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의 소년범 처리실태와 개선방안: 보호처분을 중심으로

        한영선 한국청소년학회 2018 한국청소년학회 학술대회 Vol.2019 No.1

        According to the recent news which youth crime is going severe, lots of people requested the petition of juvenile law abolition. Under this situation I look into the Korea`s juvenile crime trends, response of government, and some problems, suggest the several ideas First of all, the statistics reveal that Korea`s juvenile crime does not increase, especially recidivism rate decreases from 2013 year. However, rapes and sexual assaults are rising. The rate of youth offenders committed the crime whining 1 year among population of recidivists is 75.3%. It means that early intervention is important but the effort failed. Prosecutors are getting self-regulated in the discretion of prosecution of juvenile youth. They are reducing the number of prosecution and sending much more juvenile criminals to Juvenile Courts. But juvenile courts are making institutional disposition, which means Juvenile courts are showing "get tough policy". In 2007, Korea`s juvenile court act was amended a lot, especially the Congress changed the purpose of Juvenile court act in 50 years. The focus was shifted from "ensuring sound fostering of juveniles" to "helping sound fostering of juveniles". In order to help the juveniles` proper maturation in the practical situation, we need the proper personnel, facilities, and programs. I believe that privatization of education sect is the better way to reinforce the government personnel. Another suggestion is that related to the juvenile court act clause that "protective dispositions imposed on the juvenile shall not affect their future status". We all people should strictly follow the spirit of juvenile court act. Running away from juvenile facilities is not committing escaping the prison. In addition to that, we should consider a measure to sealing or demolishing the record of juvenile misbehaviors. 최근 들어 청소년범죄가 흉포화되고 있다는 언론보도와 함께 소년법의 폐지 청원 등 소년범에 대한 엄벌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우리나라의 소년범죄 실태와 처리 동향은 어떠한지 그리고 문제점이 있다면 어떤 개선방안이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먼저 우리나라 소년사건의 실태를 살펴본 결과 일반적으로 우려하는 것처럼 증가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년범죄의 누범화 경향도 2013년을 기점으로 감소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인터넷의 영향으로 사기와 횡령 등 재산범죄와 성폭력 범죄가 늘어나는 것은 우려할만한 현상이다. 그리고 재범자 중에서 1년 이내 재범이 전체 재범자의 75.3%를 차지하고 있어 효과적인 보호관찰 등 조기 개입의 필요성이 매우 크다고 하겠다. 우리나라는 검사선의주의이지만 검사가 기소권을 스스로 통제하면서 소년법원으로 송치하는 비율이 점차 늘어나고 있으며, 소년법원은 시설내 처분을 하는 비율이 늘어나서 엄벌화 경향을 보이고 있다. 그리고 소년법의 목적이 소년의 건전한 육성이라는 국가 주도적 접근에서 소년의 건전한 성장을 돕는다는 소년 주도적 접근으로 변화하였으나 이를 집행현장에서 실천하기 위해서는 소년원 등의 인력확보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다만 소년보호교육기관의 인력 부족은 직원의 충원 뿐만 아니라 민간 전문가에게 이를 개방하는 민영화도 한 방법이라고 생각된다. 다음으로 소년법의 보호처분은 소년의 장래에 어떠한 불이익도 미치지 않는다고 선언하고 있는바 소년원 등에서 소년이 이탈하더라도 도주죄에 해당되지 않는다고 하여야 할 것이며, 소년의 전과기록 특히 수사자료조회표에도 소년의 처분결과를 삭제 또는 봉인하는 방안을 마련하여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소년법 제67조의 위헌성에 대한 검토- 집행유예를 선고받은 소년범을 자격에 관한 특례조항의 적용대상에서 제외할 수 있는가? -

        박찬걸 한국소년정책학회 2018 少年保護硏究 Vol.31 No.1

        Juvenile Act can be what's called special criminal act which is limited in personal coverage in that such an act includes juvenile offenders, juveniles who are against the law, and juveniles with a criminal bent among juveniles under 19 years old. Hence, criminal cases of juveniles shall be applied to the example of general criminal cases without special provisions of Juvenile Act. However, special provisions stipulated in clause of Article 48 of Juvenile Act take special measures against criminal procedures, setting it as the main aim to help juveniles grow healthy. A general and broad review about special provisions of Juvenile Act has often been discussed in the academic circles, up to now. But as Article 67 of Juvenile Act related to ‘the Legislative Coverage of Criteria’ which has rarely been the focus of discussion relatively compared with any other special clauses is recently proclaimed as the decision incompatible with the constitution, it is judged that the field for the discussion about it would be provided. On January 25 2018, the Consitutional Court ruled that Article 67 was incompatible with the Constitution and ordered that the legislative clause would be applied continually until December 31 2018 when such a clause would be revised. The legislative body took the prompt measures against this immediately after the Consitutional Court made such a decision. Some legislative revision bills on Juvenile Act issued by Representative Haek Hye-ryeon on January 26 2018 were in response to it. It can be said that this was proposed with the main aim to complement the defect of the current laws incurred by the Consitutional Court's incompatible decision, by amending the pertained regulations so that the special case in Article 67 of Juvenile Act could be applied into the declaration of a stay of execution just like the sentence of imprisonment. In this regard, the study will analyze the provisions and specific issues in Article 67 of Juvenile Act and conduct a comparison with the declaration of a stay of execution and the sentence of imprisonment in consideration of the legal and factual attributes of the declaration of a stay of execution to review the validity of the decision incompatible with the Consitutional Court as to Article 67 of Juvenile Act and some legislative revision bills on it. .

      • KCI등재

        한국의 소년범 처리실태와 개선방안: 보호처분을 중심으로

        한영선 한국청소년학회 2018 한국청소년학회 학술대회 Vol.2018 No.1

        According to the recent news which youth crime is going severe, lots of people requested the petition of juvenile law abolition. Under this situation I look into the Korea`s juvenile crime trends, response of government, and some problems, suggest the several ideas First of all, the statistics reveal that Korea`s juvenile crime does not increase, especially recidivism rate decreases from 2013 year. However, rapes and sexual assaults are rising. The rate of youth offenders committed the crime whining 1 year among population of recidivists is 75.3%. It means that early intervention is important but the effort failed. Prosecutors are getting self-regulated in the discretion of prosecution of juvenile youth. They are reducing the number of prosecution and sending much more juvenile criminals to Juvenile Courts. But juvenile courts are making institutional disposition, which means Juvenile courts are showing "get tough policy". In 2007, Korea`s juvenile court act was amended a lot, especially the Congress changed the purpose of Juvenile court act in 50 years. The focus was shifted from "ensuring sound fostering of juveniles" to "helping sound fostering of juveniles". In order to help the juveniles` proper maturation in the practical situation, we need the proper personnel, facilities, and programs. I believe that privatization of education sect is the better way to reinforce the government personnel. Another suggestion is that related to the juvenile court act clause that "protective dispositions imposed on the juvenile shall not affect their future status". We all people should strictly follow the spirit of juvenile court act. Running away from juvenile facilities is not committing escaping the prison. In addition to that, we should consider a measure to sealing or demolishing the record of juvenile misbehaviors. 최근 들어 청소년범죄가 흉포화되고 있다는 언론보도와 함께 소년법의 폐지 청원 등 소년범에 대한 엄벌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우리나라의 소년범죄 실태와 처리 동향은 어떠한지 그리고 문제점이 있다면 어떤 개선방안이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먼저 우리나라 소년사건의 실태를 살펴본 결과 일반적으로 우려하는 것처럼 증가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년범죄의 누범화 경향도 2013년을 기점으로 감소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인터넷의 영향으로 사기와 횡령 등 재산범죄와 성폭력 범죄가 늘어나는 것은 우려할만한 현상이다. 그리고 재범자 중에서 1년 이내 재범이 전체 재범자의 75.3%를 차지하고 있어 효과적인 보호관찰 등 조기 개입의 필요성이 매우 크다고 하겠다. 우리나라는 검사선의주의이지만 검사가 기소권을 스스로 통제하면서 소년법원으로 송치하는 비율이 점차 늘어나고 있으며, 소년법원은 시설내 처분을 하는 비율이 늘어나서 엄벌화 경향을 보이고 있다. 그리고 소년법의 목적이 소년의 건전한 육성이라는 국가 주도적 접근에서 소년의 건전한 성장을 돕는다는 소년 주도적 접근으로 변화하였으나 이를 집행현장에서 실천하기 위해서는 소년원 등의 인력확보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다만 소년보호교육기관의 인력 부족은 직원의 충원 뿐만 아니라 민간 전문가에게 이를 개방하는 민영화도 한 방법이라고 생각된다. 다음으로 소년법의 보호처분은 소년의 장래에 어떠한 불이익도 미치지 않는다고 선언하고 있는바 소년원 등에서 소년이 이탈하더라도 도주죄에 해당되지 않는다고 하여야 할 것이며, 소년의 전과기록 특히 수사자료조회표에도 소년의 처분결과를 삭제 또는 봉인하는 방안을 마련하여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소년법」상 ‘검사송치’의 의의 및 기준

        김성규 한국소년정책학회 2019 少年保護硏究 Vol.32 No.2

        The purpose of Korean Juvenile Act is to ensure sound fostering of juveniles by carrying out necessary measures for the environmental adjustment and character correction of juveniles demonstrating anti-social behavior. The term “juvenile” means a person under the age of 19, which includes a juvenile under 14 years of age who has violated a penal provision, and yet shall not be criminally responsible under Article 9 of the Korean Criminal Act; and a juvenile from 14 to 19 who has committed a criminal offense, as well. Juveniles cases shall be tried as protection cases by the Juvenile Department of the Family Court or the Juvenile Department of a district court. So, the public prosecutor who has investigated a case of juvenile offender shall transfer the case to the competent Juvenile Department, in cases where it is deemed, as result of investigation of the case, that there is a cause for protective detention. However, in cases where the Juvenile Department has found criminal facts which deserve imprisonment without prison labor or heavier punishment as a result of an investigation or a trial, and if the Juvenile Department deems it necessary in view of the motive for offending and the nature of the crime committed to impose criminal punishment upon the juvenile concerned, the Juvenile Department shall, by means of a ruling, transfer the case to a public prosecutor. In particular, the Juvenile Department may do so, also in the protection cases transferred from a prosecutor, While the ‘transfer of Juvenile offender to Public Prosecutor’s Office’ takes place quite rarely and in highly exceptional circumstances. it seems nonetheless relevant to examine the law and practice concerning the transfer of Juvenile offender to Public Prosecutor’s Office that opens the way to the criminal prosecution of the juvenile concerned, especially in regard to the primary goals of the juvenile justice system. This article outlines the procedure of the transfer to Public Prosecutor’s Office under the Korean Juvenile Act, reviews the debate about the requirements for the Juvenile Court’s Ruling of the transfer to a public prosecutor, and demonstrates that the rationales and parameters for the transfer of Juvenile offender to Public Prosecutor’s Office can be understood in relation to the role of education in juvenile justice.

      • KCI등재

        말레이시아의 소년사법제도에 대한 고찰

        김용운 ( Yong Woon Kim ) 대한범죄학회 2011 한국범죄학 Vol.5 No.1

        Malaysia has faced with adolescent violence and drug abuse, which have become serious social issues. Although Malaysia has English law background, he reformed juvenile justice system early 2000s. Malaysia runs a juvenile court system, in which the juvenile law is a ``Child Act`` and juvenile cases are dealt with in Court for Children equal to Magistrate``s Court. The Court for Children covers children who have committed a crime. One magistrate presides a trial and makes a decision between criminal punishment and protective treatments based on special provisions for juvenile protection. In the Child Act, the juvenile protection institutions include Places of Safety, Places of Refuge, Places of Detention, Probation Hostel, Approved School and Henry Gurney School. What is noteworthy with it is that juveniles can be transferred from a juvenile protection institution to another, from a juvenile protection institution to prison, or from prison to a juvenile protection institution to receive measures from different agencies. In addition, there is social treatment, in which social welfare workers perform a probation order. Menawhile, the Child Act is the basic act for juvenile protection, thus it contains provisions that highlight the responsibility and duty of parents for children``s sound upbringing. The juvenile law of Malaysia differs from that of Korea in terms of the roles of the prosecutors and the kinds of measures. At the same time, the Child Act is similar to the Juvenile Law of Korea in that it focus on children``s protection, sound upbringing and development rather than punishment, and also emphasize the responsibility and duty of parent, being truthful to the ideology of juvenile protection. Malaysian Juvenile justice system is also very different from that of Korea in that it runs juvenile court, and connect and execute punishment and protective treatments without distinguishing them strictly.

      • KCI등재후보

        말레이시아의 소년사법제도에 대한 고찰

        김용운 대한범죄학회 2011 한국범죄학 Vol.5 No.1

        Malaysia has faced with adolescent violence and drug abuse, which have become serious social issues. Although Malaysia has English law background, he reformed juvenile justice system early 2000s. Malaysia runs a juvenile court system, in which the juvenile law is a 'Child Act' and juvenile cases are dealt with in Court for Children equal to Magistrate's Court. The Court for Children covers children who have committed a crime. One magistrate presides a trial and makes a decision between criminal punishment and protective treatments based on special provisions for juvenile protection. In the Child Act, the juvenile protection institutions include Places of Safety, Places of Refuge, Places of Detention, Probation Hostel, Approved School and Henry Gurney School. What is noteworthy with it is that juveniles can be transferred from a juvenile protection institution to another, from a juvenile protection institution to prison, or from prison to a juvenile protection institution to receive measures from different agencies. In addition, there is social treatment, in which social welfare workers perform a probation order. Menawhile, the Child Act is the basic act for juvenile protection, thus it contains provisions that highlight the responsibility and duty of parents for children's sound upbringing. The juvenile law of Malaysia differs from that of Korea in terms of the roles of the prosecutors and the kinds of measures. At the same time, the Child Act is similar to the Juvenile Law of Korea in that it focus on children's protection, sound upbringing and development rather than punishment, and also emphasize the responsibility and duty of parent, being truthful to the ideology of juvenile protection. Malaysian Juvenile justice system is also very different from that of Korea in that it runs juvenile court, and connect and execute punishment and protective treatments without distinguishing them strictly. 말레이시아는 이슬람국가라는 외형적인 이미지와는 달리 폭력, 마약범죄 등 청소년범죄가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역사적인 이유로 영국식 사법제도를 운용하고 있으나 2000년대 초에 소년사법 개혁을 통해 독자적인 소년사법제도를 발전시켜오고 있다. 말레이시아의 소년법은 ‘아동법(Child Act)'이며 치안법원과 동격인 아동법원(Court for Children)을 두어 아동과 관련된 사건을 처리하는 소년법원제도를 갖추고 있다. 아동법원은 치안판사가 심리를 주관하여 형사처벌 또는 보호처분을 결정을 하며 한국의 소년법과 마찬가지로 아동보호를 위한 특별한 조치들을 규정하고 있다. 아동법상 소년보호시설에는 Places of Safety, Places of Refuge, Places of Detention, Probation Hostel, Approved School 및 Henry Gurney School 등이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 보호시설에서 다른 보호시설로, 또는 보호시설이나 교도소에서 교도소나 보호시설로 이송하여 처분을 교차 집행할 수 있다는 점이 가장 큰 특징이다. 그 외 사회내처우로는 사회복지공무원이 비교적 가벼운 범죄를 저지른 아동에 대해 감독와 원호를 수행하는 보호관찰명령이 있다. 또한 말레이시아의 아동법은 아동보호의 기본법으로서 아동의 건전한 육성을 위한 부모나 보호자의 책임과 의무를 강조하는 조치들을 포함하고 있다. 말레이시아의 소년법은 소년보호의 이념에 충실하여 아동의 보호와 건전한 육성에 중점을 두고 있고 보호자의 책임과 의무를 강조하고 있는 점은 한국과 유사하지만 형사처벌과 보호처분을 엄격히 구분하지 않고 상호 연계하여 집행하고 있는 점이 한국의 소년법과 크게 다른 점이다.

      • 소년보호재판의 개선방안

        차경환 사법발전재단 2009 사법 Vol.1 No.10

        This article aims to search the problem of juvenile protection justice and to present the improvement plan of it. Juvenile protection justice was based on ‘Parent Partial’ historically. Juvenile is the early stage of human development, require particular care and assistance with regard to physical, mental and social development, and require special legal protection. The purpose of Juvenile Act is edification, improvement and protection of juvenile. Juvenile protection justice is administration of justice area such as the social overhead capital(SOC) that continuous interest and investment are required. For that reason, Juvenile protection justice had always been pushed out at priority order of judiciary improvement. Decrease of teenagers population and aging of population are becoming factor that threaten our society. And recently juvenile delinquency is showing tendency of increase in violence and recommitment rate. Juvenile act has based on the prosecutor initiative system in the procedural system of juvenile justice since the establishment of the juvenile act in 1958. But I have a strong opinion about the superior model in the procedural system of juvenile justice, that is the intake initiative should be given to the juvenile court. This article have several improvement plan about juvenile protection justice. Conclusively, part that the most important improvement plan is necessary extension of human base(especially, specialized Judge and investigator) connected with juvenile protection justice. In addition, I assert establishment of Juvenile court as soon as possible. Also the right of crime victims should be protected in juvenile protection justice area. 소년보호재판은 연혁적으로 국친사상에 기원하여 반사회성이 있는 소년의 환경 조정과 품행 교정을 목적으로 하는 재판작용을 말한다. 즉, 소년법에 규정되어 있는 다양한 보호처분 중에서 당해 보호소년에게 가장 유효ㆍ적절한 보호처분을 선택함으로써 국가적으로는 미래사회의 주역이 될 청소년들을 건전하게 육성하여 사회발전을 도모하고, 개인적으로는 올바른 가치관과 인성을 갖추게 하여 행복한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한다는 점에서 복지지향적인 사법작용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복지지향적인 사법작용은 그 효과가 즉시 나타나거나 쉽게 검증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지속적인 사회적 관심과 재정적인 지원이 전제되므로 사법제도개선의 우선순위에서 밀려나기 쉬운 속성을 가진다. 소년보호재판은 기록에 나타난 과거의 전력이나 비행사실뿐만 아니라 보호소년의 성행과 환경을 주의 깊게 관찰함으로써 소년에게 가장 적합한 보호처분을 선택하는 것을 최종적인 지향점으로 하므로 이를 위해서는 보호소년에 대한 깊은 관심과 이해가 요구된다. 이러한 양질의 재판이 가능하기 위해서는 소년보호재판을 위한 인적, 물적, 제도적인 뒷받침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본문에서는 소년보호재판의 관할, 소년부 판사와 소년조사관의 전문화, 심리기일의 내실화, 환경조사의 적극적 활용, 동행영장의 집행과 심리불개시결정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등과 같이 재판실무를 하면서 고민해 왔던 소년보호재판과 관련된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다룬다. 아울러 보호소년 중심적인 소년법의 태도로 인해 소외되기 쉬운 피해자의 권익보호를 위한 개선책으로 일본 소년법과의 비교를 통한 절차참여권의 적극적 보장, 화해권고제도의 세부 규정의 마련 및 활성화 방안, 회복적 사법이념의 하나인 소년사법회합제도의 도입의 필요성을 주장하고자 한다. 근래에 소년사법제도에 관한 국민적 관심이 증가하면서 사법부 내부에서도 소년보호재판의 개선을 위한 다양한 노력들이 시도되고 있는데, 특히 청소년법정과 화해권고위원회의 시범운영, 국선보조인, 전문가 진단 및 상담ㆍ교육에 관한 재정적인 지원, 통고제도의 적극적 활용, 집행감독의 강화, 법관 및 소년조사관의 증원 노력 등이 그것이다. 위와 같은 사법부 내부의 개선노력이 국민적 호응을 얻게 되면 소년사법제도의 획기적 발전의 전환점이 될 법원선의주의의 도입과 소년법원의 설치가 가능하게 될 것이고, 이를 통하여 우리나라의 경제규모와 복지정책 수준에 상응하는 바람직한 소년사법제도를 마련할 수 있게 될 것이다..

      • KCI등재

        개정 소년법 신설제도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박영규 한국교정학회 2012 矯正硏究 Vol.- No.55

        The New Revised Juvenile Act introduces several important provision for juvenile offenders. they are the Protective Disposition(1 month, short time and long time in Juvenile Training School), Recommendation toward Reconciliation, the Investigation System before prosecutors judgement, The Training Programs etc. Among them which The New Revised Juvenile Act introduces, newly established system is the Protective Disposition No.8,(which is the Protective Disposition in the Institution for Delinquent Juveniles) and another ist the provision of "recommendation toward reconciliation(§25-3)" in order to permit the greater use be made of alternative responses outside the youth court process. Although the New Law is not explicitly mentioned "restorative justice", it is reflected in the recognition of restorative justice, through the provision of "recommendation toward reconciliation" functions. Juveniles should be the target of protection rather than punishment even if they commit a crime, because they are an immature being and are easy to be influenced by environment. New Rrevised Juvenile Law was revised in Korea and created provisions to strengthen human rights for juvenile. The Protective Disposition, Juvenile Probation and Parole has been carried out, based on lots of laws and regulations. The recent amendment of Juvenile law will cause a lot of changes for The Protective Disposition, Juvenile Probation and Parole since they are mainly based on Juvenile law. There are neverthless some challenges to be resolved in order to operate these new systems. First, In the investigation system before prosecutors' judgement, the objectivity should be maintained so that the investigation may be done objectively. Second, The Training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in order to enhance expertise of the juvenile prosecutor, juvenile judge and juvenile investigator. Third, the purpose of The Protective Disposition is to prevent juveniles in the early stage of delinquency from committing recidivism through offering the open treatment based on character-building education. Fourth, to solve these problems, specialized organizations for juvenile delinquent such as Department of Justice should appoint certain private facilities so that the facilities should be intensively managed and supervised. Last, for the disposition of Juvenile Protection, several programs should be developed,This study suggested the alternatives to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tective Disposition. The perception of the disposition should be reshaped to impose this disposition on proper juveniles who is in early stage of delinquency. 소년법 제1조에서 교정주의 내지 보호주의 이념에 기초하고 있음을 천명하고 있다. 이러한 소년법의 이념에도 불구하고 다음과 같은 기본적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첫째, 1개월이내의 송치처분(8호처분). 현재 8호 처분은 초기 비행청소년을 그 대상으로 하고 있으나 소년법 등 관련 법률에서는 8호 처분의 대상선정과 관련된 구체적인 기준이 마련되어 있지 않다. 또 1 개월 이내의 송치처분(8호 처분)과 장기 보호관찰처분(5호 처분)이 병합되는 경우 현행 소년법상 보호관찰처분에 병합 또는 부가할 수 있는 처분을 1개월 이내의 송치처분(8호 처분)에도 그대로 적용하여서는 안 된다. 둘째, 보호자특별교육제도는 금후 다음과 같은 문제를 해결하여야 할 과제가 있다. ⅰ) 집단강의식 교육방법을 탈피하여야 한다. ⅱ) 교육시간은 연속성을 지닌 형태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ⅲ) 보호자들이 보다 적극적이고 자율적으로 참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생업 등으로 교육에의 참가가 어려운 부모들에게 가족수당을(혹은 교통비, 실비 등의 지원 등)지급하는 방법이나 직장 등에서 외출이나 휴가로 인정해 주는 방안도 고려 해 볼 수 있다. ⅳ) 부모교육 프로그램에 대하여 다각적이며 보다 적극적인 보다 많은 관심과 노력을 기울여야 하다. 셋째, 3개월이내의 대안교육명령은 비행청소년의 인성교육을 주로 하고 있으므로 인성교육을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사항을 고려하여야 한다. ⅰ) 현재 시행중인 인지행동치료 및 체험 중시의 인성교육과정의 세부교육과정에 대한 효과성을 측정하여야 한다. ⅱ) 상담교사 및 관련학과 전공자를 교육담당자로 충원하여 담당 과목에 대한 식견과 소양을 갖추고 있는 교사가 인성교육과정을 담당하도록 한다. ⅲ) 위탁기관유형에 따른 차별화된 대안교육의 시행이 필요하다. 넷째, 검사의 결정전 조사 검사가 수사단계에서 아직 소년의 비행사실이 확정되지 않은 상태에서 소년의 품행․경력․생활환경이나 그밖에 필요한 사항에 관한 광범위한 조사를 보호관찰소의 장이나 소년분류심사원장․소년원장에게 요구할 수 있는 권리를 가짐에 따라 소년법원의 역할이 그만큼 축소될 수 있다는 지적이 있다. 또 기관별로 상이한 진단결과가 나타내는 문제를 예방하기 위해서 위험평가도구의 표준화가 선행되어야 한다. 다섯째, 출원제도 구체적으로 시설 수용경험이 있는 소년 범죄자의 사회복귀를 지원하기 위한 실체적 현실적 규정의 결여가 아쉽다. 여섯째, 조건부 기소유예제도 기소유예 처분을 받는 소년의 재범률을 낮출 수 있는 대책이 요망된다. 일곱째, 소년사법에서의 회복적 사법의 도입 화해권고와 같은 회복적 사법이 효과적으로 운용되기 위해서는 화해절차의 담당자· 절차· 내용 등 여러 가지 인적· 물적 자원이 갖추어져야 한다. 여덟째, 비행예방정책 청소년비행예방센터 개청 이후 그 동안의 교육성과를 실질적으로 분석하고 향후 정책적인 조언을 하는 것은 실무적인 측면에서나 국가전체의 비행청소년정책을 수립하는 데에도 매우 유용하다 하겠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해결해야 할 과제로 ⅰ) 소년사법 초기단계 청소년에 대한 개입․지원강화, ⅱ) 부처간 협력체제 구축을 통한 비행예방정책 실효성 제고, ⅲ) 지역사회 위기청소년 비행예방 중심기구로서의 역량확대, ⅳ) “비행청소년 전문가”로서의 인력양성 기능강화...

      • 소년 형사사법절차의 개선에 관한 연구 - 통합적 운용가능성을 중심으로 -

        문선주 ( Moon Sunju ),김윤정,서용성 사법정책연구원 2019 연구보고서 Vol.2019 No.3

        The ideology of juvenile protection is the basic idea of the juvenile justice procedure for both domestic and international rules. However, as the risk of juvenile delinquency has risen due to the occurrence of violent crime by juvenile offenders or the increase in the recidivism rate of juvenile delinquents, there are many discussions about necessity of punitive turn in juvenile justice procedure. This research ultimately aims to offer suggestions for an improved system of Korean juvenile justice procedure by summarizing the problems in Korea’s current juvenile justice procedure and seeking ways to improve the operation, focusing on the fact that the Korean juvenile justice procedure has adopted the dual procedure and provision in which the prosecutor may determine whether to proceed initially in juvenile or criminal court. First, this research analyzes the current situation and problems of the juvenile justice procedure through the statistical analysis and the results of surveys of judges who hear juvenile delinquents or offenders. This research also tries to draw some suggestions to complement the problem of the Korean system by examining comparative legal analyses of the US juvenile justice system which tries to combine the dual procedure and the Germany’s which operates the unified procedure. Based on the analysis above, this research examines procedural improvement measure, 1) subdividing the jurisdiction of juvenile cases into local court, 2) operating the unified procedure by same judge who should punish juvenile delinquents and offenders, furthermore as long-term improvement plan, 3) revising laws to integrate jurisdiction of juvenile delinquency and criminal case and 4) establishing the Juvenile Court as a specialized court. For practical improvement measures, 1) clarifying the priority of the ideology of juvenile protection, 2) strengthening professionalism of judges who hear juvenile offenders, 3) imposing probation and special observations on juvenile probation and 4) limiting the roles of prosecutor. Juvenile delinquency is a result of the manifestation of various problems in our society. Therefore, the resolution of juvenile delinquency should not be approached as a punishment- oriented ways, but should start from a long-term perspective consistent with juvenile protection ideology. Hopefully, this research would contribute to stimulate the improvement of the practice and system of juvenile justice procedure in Korea.

      • KCI우수등재

        소년의 법률조력을 받을 권리와 보조인 제도의 재조명

        김혁(Kim, Hyeok) 한국형사법학회 2020 형사법연구 Vol.32 No.1

        「유엔아동권리협약(Convention on the Rights of the Children)」은 형사소추 등과 관련하여 소년의 법률 조력을 받을 권리를 천명하고 있고(제40조 제2항 b호 ⅱ, ⅲ목), 우리 소년법은 보조인 제도를 두고 있어 이를 보장하고 있다(제17조, 제17조의2). 보조인은 형사절차의 변호인에 대응하는 자로서, 보조인 제도는 소년보호절차에서 소년의 기본권 보장을 위해 중요한 의의를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동안 보조인의 지위와 역할에 관한 학계의 논의는 그다지 활발하지 않았다. 이는 아마도 소년법에 대한 기본적인 전제, 즉 소년보호절차는 소년의 「보호」를 위한 절차이고 보호처분은 형벌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유리한 처분이므로, 소년심판에서의 적정절차의 구현이라는 관점보다는 소년에게 적확한 처분결정 및 사회복귀라는 관점이 우선되어야 한다는 인식에서 비롯된 것이 아닌가 생각된다. 실제로 실무에서는 보조인을 소년의 권리를 보호하는 자로 인식하기보다는 법원의 적확한 처분 결정을 위한 협력자로 취급하는 경향이 강한 듯하다. 그러나 보호처분은 단순히 소년의 이익을 위한 복지적 처분이 아니라 어디까지나 소년에게 불이익을 초래하는 형사제재적 성격을 가지는 처분임을 잊어서는 안 된다. 또한 소년보호절차에서도 범죄·촉법·우범사실의 유무를 다투거나, 요보호성 판단에 관한 이의 제기, 항고 등 소년의 방어권 행사를 위한 적극적 소송행위가 필요한 상황이 적지 않다. 이 점을 염두에 둘 때 현재의 실무 운용이 소년의 권리 옹호를 위해 제대로 기능하고 있다고 단언하기는 어려운 상황이다. 사실 소년에 대한 법률 조력 및 보조인 제도에 대한 검토는 소년보호절차를 적정화하고 공정한 재판을 구현하기 위한 전제조건임과 동시에, 소년 및 소년법 전반을 바라보는 근본적인 시각과도 밀접한 관련을 가지고 있다. 전제하는 소년상(少年像)과 소년법에 대한 시각에 따라 기본권 보장의 정도와 보조인의 지위 및 역할에 대한 인식이 달라질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본고에서는 권리의 주체인 소년상을 상정함과 동시에 소년법의 형사특별법적 성격에 주목하여, 다음과 같이 논의를 진행하였다. 먼저, 예비적 고찰로서 헌법과 아동권리협약의 검토를 통하여 소년은 단순한 보호의 객체가 아닌 권리의 주체임을 명확히 하고, 소년보호절차에서의 실질적 참여권 보장을 위한 법률 조력이 필요함을 도출하였다. 다음으로, 보조인 제도의 성립 및 확대과정을 연혁적으로 고찰함으로써 입법자가 기대한 보조인의 역할이 적정절차의 구현과 맞닿아 있음을 밝히고, 보조인의 지위와 역할은 소년의 권리 옹호에 중점을 두어야 함을 논증하였다. 이를 토대로 변호사 선정을 통한 국선보조인의 법률조력 기능의 강화, 법률조력의 활성화를 위한 실질적 체계 마련, 절차의 초기단계에서의 법률 조력, 틈새 없는 보조인 제도의 운영 등을 제안하였다. “Convention on the Rights of the Child” declares that children have the right to legal assistance in criminal or juvenile protection procedures, and Juvenile Act guarantees that the juvenile or his/her guardian may appoint assistants. Although the assistant system has an important significance to ensure the juvenile’s fundamental rights in the juvenile protection proceedings, academic discussions on the status and role of assistants have not been very active. In practice, it seems more likely to treat an assistant as a partner for the court’s precise disposal decision rather than as a protector of the juvenile’s rights. However, we should not forget that the protective measure is not merely a welfare disposition for the benefit of the juvenile, but a criminal sanction for the sake of disadvantage. In addition, the juvenile protection procedure often requires the juvenile to plead not guilty or to make a claim in favor of the juvenile in order to exercise his/her defense. With this in mind, it is difficult to assert that the current practice is functioning properly for the defense of juvenile’s rights. In this paper, I noted the criminal characteristics of Juvenile Act and discussed as follows. First, through the review of the Constitution and the Convention on the Rights of the Child, it was made clear that the juvenile is not merely an object of protection. Through this, it was found that legal assistance was needed to guarantee the right to actual participation in juvenile protection procedures. Next, by reviewing the process of establishing and expanding the assistant system, the role of assistants expected by the legislator was closely related to the due process doctrine. It was also argued that the status and role of assistants should focus on the defense of juvenile’s rights. Based on this, it was suggested that the assistant system should be reorganized as a system for the actual legal aid of the juveni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