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전란기의 제주문학과 『제주신보』

        김동윤 ( Dong Yun Kim ) 영주어문학회 2010 영주어문 Vol.19 No.-

        This paper explores Jeju literature through Jeju Shinbo published between Jan. 1952 and Sep. 1954 during the War Period (Apr. 19 to Sep. 1954). Jeju shinbo, a then leading daily newspaper, depicts Jeju`s social conditions during the War Period of April 3rd Suppression and the Korean war. In particular, it shows that artistic activities heated up thanks to an increasing number of artists living in Jeju. The aspects of Jeju literature shown in Jeju Shinbo are as follows: First, Jeju Shinbo provides information on Kye Yong-mook. He stayed in Jeju for three and a half years during which not only did he publish magazines and teach literary youths, but also he did a variety of activities including writing reviews on plays or dances, and being mobilized in anti-communist movements. It can be said that he is a writer who strongly influenced the local cultural and artistic community while living in Jeju. Second, in case of Chang Soo-cheol who stayed in Jeju for one and a half year, in Jeju Shinbo he published poems like "Letter" and "Wind and Stone and Women," and prose like "Busan`s Expression." His literary works show he had an affection for Jeju, but at the same time he missed his home and wished to leave Jeju. To him, Jeju was a port of call. Third, Kim Gu-ryang and Kim Jong-pyeng attracts our special attention from Jeju Shinbo because they were soldiers and their literary works fill us in on the art of troop information and education. Kim Gu-ryang played a role in the drama, writing scripts about sweeping communist guerrillas, and reviewing performances. Among his works are a play "Dawning Halla Mountain" and an opera "The Beast." Kim Jong-pyeng paid a tribute to the war dead and aroused patriotism with poems such as "Repose of Souls" and "Solice of Spirits." Forth, in case of Jeju natives, students and literary youths played a leading role in establishing local literary circles. Star Cluster, a literary society of local middle, high school, and students, was given much more weight in Jeju Shinbo. Student Literature and other articles provide data on a literary youth, Yang Jung-hae`s poems, and other literary works of Kim Jong-won, Bu Taek-hun, Park Cheol-hee, and Hyun Ki-young.

      • KCI등재

        제주지리지의 형성과 변화에 관한 소고 : 『이원진_탐라지』 이후의 제주지리지를 중심으로

        김새미오 동국대학교 한국문학연구소 2021 한국문학연구 Vol.- No.65

        This paper reports on ten different types of Jeju Island's geography that are published after Lee Won-Jin's Tamla Geography. Each geography has its own way of documenting that accords to different time periods and changes. Lee Won-Jin's Tamla Geography is the one upon which Tamla geography all began; and significant changes were identified for Lee Won-Jo's Abridgement of Tamla Geography. Afterwards, no change was made until the end of the Joseon era. Once after the Joseon Dynasty came forcefully under the Japanese rule, the age of Tamla Geography officially ended; and the new type of Jeju Geography emerged. At this time, Jeju Geography reformulated Jeju drawing upon statistical data. According to the change in administerial zoning, jeonghui hyun and daijeong hyun disappeared; and the entire region of Jeju was categorized by subjects, for which there was a commercial purpose behind. It was also identified that there were works undertaken to inherit the Tamla Geography of the Jeseon Dynasty. The availability of several geographies indicates that basic knowledge to rule Jeju was not enough at that time. Also, it is because along with the movement of the Western powers during the latter period of the Joseon Dynasty towards the East brought about interest in the sea and borders. It also indicates that many people at that time showed significant interest in Jeju. It is worthwhile to pay attention to the shift in perspectives in documenting. While Tamla Geography of the Joseon era was described with the viewpoint of non-Jeju people, Jeju Geography of the Japanese rule was documented by Jeju people with their own perspectives. Such shift in documenting styles was made possible in the situation in which intellectuals of Jeju grew significantly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and geographical perceptions expanded with the prohibition of departure for the mainland becoming vague and indecisive. Even currently, not only village geography of Jeju Island but also geography of the entire Jeju Island is continuously being under work. The importance of the Geography of Tamla was clearly identified in that diverse geographies of Jeju all inherit its tradition. 본고는 『이원진_탐라지』 이후 확인되는 10여종의 제주지리지를 정리․보고하고 그 의미를 규명한 글이다. 각각의 『탐라지』는 적지 않은 출입이 있지만, 모두 시대와 변화에 맞게 내용을 기록하는 방식이었다. 조선시대 『탐라지』는 『이원진_탐라지』에서 시작하여 『이원조_탐라지초본』에서 한 차례 크게 변화하였고, 조선의 마지막까지 이어졌다. 조선이 일제에 병탄된 후에는 공식적으로 『탐라지』의 시대는 끝나고, 새로운 형태의 제주지리지가 출현하였다. 이 시기 제주지리지는 통계자료를 기초로 하여 제주를 다시 정리하였다. 이는 일제강점기 각종조사 항목들을 반영한 것이었다. 또한 행정구역 변화에 따라 정의현과 대정현은 사라졌고, ‘제주’라는 하나의 지역을 주제별로 정리하였고, 상업적인 목적도 있었다. 이와 동시에 조선시대의 『탐라지』를 계승하는 작업도 확인된다. 제주 지리지가 이렇게 많이 확인되는 이유는 제주를 다스리기 위한 기본적인 지식이 부족한 상태였고, 조선후기 서양세력의 진출로 바다와 변경에 대한 관심이 많아졌기 때문이었다. 한편 당시 많은 사람들이 제주에 대한 관심이 높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저술시각의 전환도 주목된다. 조선시대 『탐라지』가 외부인의 시각으로 기술되었다면, 일제강점기 제주지리지에서는 제주사람들이 제주를 주체적으로 기록하고 있다. 제주지식인들이 주체적으로 기록할 수 있었던 배경에는 일제강점기 제주지식인들의 성장과 함께 구한말 출륙금지령이 유야무야되면서 지리적 인식이 확장되었기 때문이다. 지금도 제주도에서는 마을지리지를 비롯하여 도지(道誌) 등이 지속적으로 만들어지고 있다. 이런 다양한 제주지리지 인식의 기저에는 모두 『탐라지』의 전통이 자리하고 있다는 점에서 그 중요성을 다시 한 번 확인할 수 있다.

      • KCI등재

        제주 세계자연유산의 브랜드화 전략 연구

        윤병선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18 한국디자인포럼 Vol.23 No.3

        Background Jeju Island is recognized for its unique natural scenery as the Jeju Volcanic Island and Lava Tubes was listed as a UNESCO World Natural Heritage site in February 2007, approved as Jeju Island Biosphere Reserve in 2002, and designated as Jeju Island Global Geopark in 2010. The Jeju World Natural Heritage should be managed and utilized as a global brand asset with outstanding scenic value and geological value beyond Jeju.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erform a research prior to the strategy implementation of the place branding of Jeju World Natural Heritage to preserve the natural value of Jeju World Natural Heritage and for social, cultural, and economic utilization plans. Methods This study proposed a place branding strategy of Jeju World Natural Heritage by analysis and research based on the theoretical consideration of the understanding and status of UNESCO World Natural Heritage and Jeju World Natural Heritage, case studies, and place branding. Results The natural and scenic value of Jeju World Natural Heritage is highly needed to be branded as a global natural heritage from a place branding perspective. In terms of the branding strategy plan, this study presents strategic measures such as establishing an execution organization with branding executive capacity, linking the vision and policy of the government and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differentiating the place brand from a local asset to a global natural heritage, and the need for integrated place branding. Conclusion The status change of Jeju is based on the outstanding natural scenic value and Jeju World Natural Heritage is qualified to be a global natural heritage. It is necessary to prepare a strong executive power for the global place branding and systematic utilization of Jeju World Natural Heritage, the ‘Jeju Volcanic Island and Lava Tubes.’ The proposal of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development of strategic place branding in connection with tourism, culture, environment, and economic policies of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연구배경 제주는 2007년 2월 등재된 유네스코 제주 세계자연유산 제주 화산섬과 용암동굴(Jeju Volcanic Island and Lava Tubes)’을 비롯하여 2002년 제주도생물권보전지역(Jeju Island Biosphere Reserve)’승인, 2010년 제주도 세계지질공원(Jeju Island Global Geopark)’인증 등 독특한 자연경관을 인정받는 지역이다. 제주 세계자연유산은 제주를 넘어 세계적인 가치를 지닌 경관적 가치의 탁월 및 지질학적 가치가 탁월한 글로벌 브랜드 자산으로 관리·활용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향후 제주 세계자연유산의 자연가치 보전과 사회, 문화, 경제적 활용방안으로서 제주 세계자연유산의 플레이스 브랜드화 위한 전략 실행 선행연구에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유네스코 세계자연유산과 제주 세계자연유산의 이해 및 현황, 사례 조사, 플레이스 브랜딩에 관한 고찰을 바탕으로 분석·연구하여 제주 세계자연유산의 플레이스 브랜드화 전략방안을 제안하였다. 연구결과 제주 세계자연유산의 자연적·경관적 가치는 플레이스 브랜딩 관점에서 세계적 자연유산으로서의 브랜드화 필요성이 높은 것으로 분석된다. 브랜드화 전략방안으로 브랜딩 실행력을 갖춘 실행조직 구축, 정부·제주특별자치도의 비전과 정책과의 연계, 지역 자산에서 세계적 자연유산으로의 플레이스 브랜드 차별화, 통합 플레이스 브랜딩 필요 등의 전략 방안을 제시하였다. 결론 제주의 위상변화는 탁월한 자연과 경관적 가치에 바탕을 두고 있으며 제주 세계자연유산은 세계적 자연유산으로 충분하다. 제주 세계자연유산 제주 화산섬과 용암동굴 의 세계적 플레이스 브랜드화와 체계적 활용을 위한 강력한 실행력을 갖추어야 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제주특별자치도의 관광․문화․환경․경제 정책과 연계한 전략적 플레이스 브랜딩 개발에 기여할 수 있는 제안을 하였다.

      • KCI등재후보

        석주명이 본 제주문화 속의 몽골적 요소에 대한 재검토

        윤용택 제주학회 2020 濟州島硏究 Vol.52 No.-

        Jeju Island was dominated by the Mongolian Empire in the 13th~14th centuries. Therefore, Mongolian elements remain in the language and customs of Jeju Island. However, for 600 years from the 15th century, Jeju and Mongolia were completely disconnected. In the meantime, there were cultural changes in both regions due to political changes. In 1990, political, economic, and cultural exchanges began again as diplomatic relations normalized between Korea and Mongolia. Since then, research achievements have been accumulating on the influence of Mongolia on Jeju culture. Seok Joo-Myung (1908-1950), famous for butterfly expert, traveled to eastern Inner Mongolia in the early 1940s, and lived and studied in Jeju Island for two years. He has studied and compared the languages and customs of the two regions. He is the first Korean since modern times to study and focus on Mongolian elements in Jeju's traditional culture. However, because he was not a professional human sociologist or anthropologist, there are some errors in the statements concerning Jeju and Mongolia. Nevertheless, the data left by Seok Joo-Myung are basic data to provide an opportunity to compare and study the language and customs of Jeju Island and Mongolia. If Mongolian elements remain in the traditional culture of Jeju Island, it will be trace of Mongolian culture in the 13th~14th centuries. And if we can confirm it, it will be an important data to understand the formation process of Jeju culture for Jeju people, and it will be a material to contribute to restoring the forgotten traditional culture and identity of Mongolia for Mongolians. 제주도는 13~14세기에 대몽골(원)제국의 지배를 받은 적이 있어서 언어와 풍습 등 일부 제주문화 속에 몽골적 요소들이 남아있다. 하지만 15세기부터 600여 년 동안 제주도와 몽골은 완전히 교류가 단절되었고, 그 사이에 두 지역에서는 정치적 변화에 따른 문화변동도 있었다. 1990년 한․몽수교가 이뤄지면서 한국과 몽골 사이에 교류가 재개되었고, 그 이후 제주문화에 몽골이 미친 영향에 대한 연구 성과들이 축적되고 있다. 나비박사로 유명한 석주명(1908~1950)은 1940년대 초에 내몽골 동부지역을 여행하고 제주도에 2년 동안 거주하면서 두 지역의 언어와 풍습을 비교 연구한 바 있다. 그는 제주도의 전통문화에 몽골적 요소에 관심을 가지고 연구한 근대 이후 첫 한국인이다. 하지만 그는 전문 인문사회학자나 인류학자가 아니었기 때문에 제주도와 몽골에 관련된 진술들 가운데는 오류들도 더러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 남긴 자료들은 제주도와 몽골의 언어와 풍습을 비교 연구하는 계기를 마련해주는 기초자료로서 가치가 있다. 제주도의 전통문화 속에 몽골적 요소들이 남아 있다면, 그것은 13~14세기 몽골문화의 흔적일 것이다. 그리고 그것을 확인할 수 있다면, 제주인에게는 제주문화의 형성과정을 이해하는 중요 자료가 되고, 몽골인에게는 잃어버리고 잊힌 몽골의 전통문화와 정체성을 복원하는 데 기여할 자료가 될 것이다.

      • KCI등재

        조선후기 지도와 기록화를 통해 본 제주

        정은주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중앙연구원 2020 한국학 Vol.43 No.3

        This paper tried to understand the change in perception of Jeju Island at that time by analyzing the map, geographical literature, and landscape paintings of Jeju Island during the Joseon Dynasty. First, the maps exclusively drawing Jeju Island, such as a woodblock‒printed copy of “Tamna Map and Writing” produced in 1709 and “Jeju Samhyeon‒do” of “Haedong Jido” made in the early 1750s can be identified by reflecting key information like government offices, military facilities, pastoral pastures, and orchards for economic purposes. In addition, the special map, “Ranch Map”, provides an important basis for identifying the distribution and location conditions of Jeju ranches in the 17th century. Among the works that depict the landscapes of Jeju Island, there are the book produced by the Jeju magistrate Yi Ik‒tae in 1694 and “Tamna Sullyeok‒do” by another Jeju governor Yi Hyeong‒sang in 1703. “Tamna Shipgyeong‒do” is about Jeju’s scenic views. As interest in landscape sightseeing and scenic spots increased in the late 17th century, Yi Ik‒tae, the governor of Jeju Island, chose the 10 scenic views. Yi Hyeong‒sang, who was appointed to the post since then, describes not only a scenic spot, but also the official activities as a Jeju Island governor, such as the Jeju’s major events and autumn provincial tour, and thus provides diverse information beyond records. Most of the records of the events in the “Tamna Sullryeok‒do” show the military facilities and locations for defense and the customs of the Jeju people as the goal of inspection tour of local government officials. In addition, horses counting in the ranch is an important event by the Jeju governor including the dedication of tangerines, hunting, military training, the preliminary examination of Seonggyun‒gwan Academy, and banquet for the senior citizens over 80. This paper will be possible to supplement blind spots that are difficult to understand by literature data through actively utilizing visual data such as maps, documentary, and landscape paintings. 본문에서는 제주 지도와 기록화 및 실경도를 문헌 사료와 비교 검토하여 역사적, 문화사적 관점에서 조선후기 제주를 종합적으로 분석하려 하였다. 먼저 조선시대 제주도 지도와 그 정보, 실경도를 분석하여 시기별 특성과 사적의 변화 과정을 분석함으로써 당시 제주의 시대상을 파악하였다. 관찬 제주지도는 조선시대 제주에 대한 통치와 관방, 경제적 측면의 인문정보를 반영하고 있어 제주에 대한 당시 인식을 엿볼 수 있고, 제주목사가 주관하여 제작한 기록화는 제주의 관아 터와 주요 명승 및 사적을 복원하는데 유용한 자료이다. 1702년 이전 제작된 것으로 보이는 목판본 「탐라도」를 비롯하여 1706년과 1709년에 각각 제작된 목판본 「탐라지도」는 제주지도의 보급과 발전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탐라십경도 「탐라도총」과 탐라순력도의 「한라장촉」과 같이 기록화 속에 현존하는 제주지도와 18세기 중반 해동지도의 「제주삼현도」와 같이 군현 지도 속의 제주지도는 지형과 하천 수로의 흐름 등을 비교하여 목판본 「탐라도」의 계보와 이후 제작된 1709년 「탐라지도」의 계보로 구분할 수 있다. 그밖에 특수 지도인 목장지도는 17세기 제주목장의 분포와 정황을 파악할 수 있는 주요 근거가 된다. 제주도의 실경을 그린 작품 중 대표적인 것은 1694년 제주목사 이익태(李益泰, 1668‒1704)가 제주 명승 10곳을 정하여 제작한 탐라십경도의 모사본 3점이 전하며, 1702년 제주 일대의 순력을 마치고 1703년 제주목사 이형상(李衡祥, 1653‒1733)이 제작한 탐라순력도가 현존한다. 탐라십경도는 조천관, 별방소, 성산, 서귀포, 백록담, 영곡, 천지연, 산방, 명월소, 취병담 등 제주의 절경을 그린 것으로, 17세기 말 산수 유람과 명승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제주목사 이익태가 순력의 결과로 십경을 직접 선택한 점에서 주목할 수 있다. 이후 부임한 이형상은 명승에 그치지 않고 제주목의 주요 행사나 가을 순력 등 제주목사의 공적인 활동과 제주의 특산물, 풍속 등을 묘사하여 기록 이상의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본문은 지도, 기록화 및 실경도 등과 같은 시각적 사료를 활용함으로써 문헌 자료를 중심으로 진행되어 온 조선시대 제주의 풍속과 문화를 연구하는데 그 외연을 확장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조선 초기 제주도 목축업의 위기와 ‘牛馬賊’ 사건

        양정필 효원사학회 2022 역사와 세계 Vol.- No.61

        In the early Joseon Dynasty, livestock farming was the main industry in Jeju, and livestock culture remained. From the standpoint of the Joseon government, which advocated agronomism, the situation in Jeju Island was unfamiliar. The Joseon government implemented two conflicting policies for Jeju Island. Since horses were still an important means of transportation and Jeju Island was the largest supplier of horses, it was hoped that livestock farming in Jeju Island would be maintained. At the same time, Jeju Island also hoped to be reorganized into an agricultural society. As agriculture expanded, the livestock industry's position was bound to shrink more than before. In addition, they tried to create new ranches on islands along the mainland because of concerns that the Ming Dynasty might demand Jeju horses. In this process, horses needed for the newly created ranch were also supplied from Jeju. The number was large enough to exceed two thousand. As these policies were implemented, the livestock industry in Jeju Island was shrinking, and as a result, the lives of livestock farmers have become more difficult than before. As their livelihood became more difficult, they slaughtered horses and sold dried pork and leather produced there to make a living. Horse slaughter was customary and routine in Jeju society, where livestock culture was dominant. However, in order to overcome the difficult livelihood around 1430, the slaughter of horses more than doubled than before, leading to concerns over horse breeding. Accordingly, Sabok-si insisted on strongly punishing horse butchers. Saboksi's argument was accepted and Jeju Island's Umajuk was punished for being forcibly moved to Pyeongan Province. However, after taking these measures, Sejong found out that some of the horse butchers in Jeju Island included those who customarily slaughtered their horses. He thought the punishment against them was unfair. So they were sent back to Jeju Island to nullify the punishment. However, the ministers objected to Jeju's overpopulation, saying, "Is it necessary to send them back, who are already moving to land and settling down as farmers?" Sejong, who had a great love for the people, did not carry out his argument despite the opposition of many ministers. In this way, many livestock farmers in Jeju Island, not subject to punishment, were unfairly forced to move to Pyeongan area and other places. However, since they were not criminals, I think they have a character similar to refugees in the current sense of having to leave their hometown unfairly due to the government's wrong judgment and policy. 조선 초기 제주도는 목축업 중심이었고 농업은 중시되지 않았다. 농본주의를 내세운 조선 정부 입장에서 그러한 제주도 상황은 낯선 것이었다. 조선 정부는 이러한 제주도에 대해 상반되는 기대를 갖고 정책을 시행하였다. 우선 말은 여전히 중요한 교통수단이었고 제주도는 최대 말 공급지였으므로, 제주도의 목축업이 유지되기를 바랐다. 그러면서도 동시에 제주도를 농업 사회로 재편하고자 했다. 농업 확대는 농지 확보를 전제로 한다. 이를 위해서 목초지 일부가 농지로 바뀌었다. 이는 목축업에 불리한 환경이었다. 또 명나라가 제주 말을 요구할지 모른다는 우려 때문에 본토 연안의 섬들에서 목장을 신설하였다. 새로 조성된 목장에 필요한 말들은 제주에서 공급되었다. 그 숫자는 2천 마리가 넘었다. 제주 말의 반출을 제한하기도 하였다. 이러한 정책들이 시행되면서 제주도 목축업은 위축되었고, 그로 인해 牧子들의 삶도 힘들어졌다. 생계가 더욱 곤란해진 목자들 중 일부는 우마를 도축하여 생산한 건육포와 가죽 등을 판매하여 생계를 도모하였다. 우마 도축은 목축업이 지배적이었던 당시 제주에서는 관습적으로 행해지던 일이었다. 그런데 1430년을 전후하여 곤란한 생계를 타개하기 위해서 우마 도축이 이전보다 갑절 이상으로 증가하였다. 이로 인해 말 번식이 우려되는 상황이 초래되었다. 이에 사복시에서는 말을 도축한 이들을 강력히 처벌할 것을 주장하였다. 그 주장은 받아들여져서 그들은 ‘우마적’으로 낙인 찍히고 평안도 지방으로 강제 이주당하였다. 세종은 이런 조치를 취한 이후에 제주도의 우마적 중에는 관습적으로 도축한 이들도 포함되어 있음을 알게 되었다. 세종은 그들에 대한 처벌이 부당하다고 생각하였다. 그래서 강제 이주시킨 그들을 제주도로 돌려보내려고 하였다. 그러나 대신들은 제주가 인구 과잉으로 여러 문제가 있는데, 이미 육지로 이주시켜 농민으로 정착해 가는 그들을 굳이 돌려보낼 필요가 있겠는가 하고 반대하였다. 백성을 사랑하는 마음이 컸던 세종도 다수 대신의 반대를 무릅쓰고 자신의 주장을 관철시키지는 않았다. 이렇게 해서 처벌 대상으로 보기 어려운 제주도 목자들이 다소 억울하게 평안도 등지로 강제 이주되었다. 조선 초 제주도의 이른바 ‘우마적’ 사건은 이와 같은 배경과 경과 속에서 전개되었다.

      • KCI등재

        제주방언에 대한 방언 태도 연구-제주 지역 공무원을 중심으로-

        권미소,배영환 한국방언학회 2020 방언학 Vol.0 No.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dialect attitude of public officials in Jeju on Jeju dialect. To this end, we organized the concept of dialect attitude, and reviewed the status of language policy on Jeju dialect which is in danger of extinction. Then, we analyzed the results of investigating awareness on dialect attitude, dialect use area and dialect policy for public officials in Jeju. Jeju dialect shows high preservation awareness at the risk caused from stimulation due to change in external environment and internal active response. The change in external environment and stimulation can be roughly summarized into 3 stages of the Rise of Common English Language Theory, the enactment of the Framework Act on Korean Language, and the registration of UNESCO Crisis Language. Accordingly, the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enacted and promulgated an ordinance to prepare education and conservation policies for local languages to be developed only in the country. The survey targeting Jeju official‘s attitudes toward Jeju dialect confirmed that Jeju dialect is rated as a very positive image ('friendly'(38.3%)' and 'warm'(26.1%) accounted for 64.4% of the total). The survey on the area of Jeju dialect usage also showed that Jeju officials use Jeju dialect in a [-public] situation, and standard language in a [+public] situation. In the meantime, Jeju officials were found to be not well aware of Jeju language policies such as the "Basic Jeju Language Development Plan" and the "Jeju language notation." These results provide implications that Jeju officials need to be more active in promoting its language conservation policy. 본고는 제주 지역 공무원들의 제주방언에 대한 방언 태도를 조사해 보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먼저 방언 태도에 대한 개념을 정리해 보고, 소멸 위기의 제주방언에 대한 제주특별자치도의 언어 정책 현황을 살펴보았다. 그러고 나서 제주 지역 공무원을 대상으로 한 방언 태도, 방언의 사용 영역, 방언 정책에 대한 인지도를 조사한 결과를 분석하여 제시하였다. 제주방언은 외부 환경의 변화와 자극에 따른 위기에 내부의 적극적인 대응으로 높은 보전 의식을 보인다. 외부 환경의 변화와 자극은 영어 공용화론의 대두, 국어 기본법의 제정, 유네스코 소멸 위기 언어 등록의 크게 세 단계로 요약된다. 이에 따라 제주특별자치도에서는 조례를 제정, 공포하여 전국에서 유일하게 지역어에 대한 교육과 보전 정책들을 마련할 수 있었다. 제주 지역 공무원들을 대상으로 제주방언에 대한 태도를 조사한 결과에서는 제주방언에 대해 매우 긍정적인 이미지(‘친근하다(38.3%)’, ‘정겹다(26.1%)’가 전체 64.4%를 차지)로 평가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 제주방언 사용 영역에 대한 설문을 통해 제주 지역공무원들이 [-공적]인 상황에서는 제주방언을 사용하고, [+공적]인 상황에서는 표준어를 사용한다는 결과도 알 수 있었다. 한편 제주 지역 공무원들은 실제 ‘제주어 발전 기본 계획’이나 ‘제주어 표기법’ 등과 같은 제주어 정책에 대해서는 잘 인지하지 못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제주 지역 공무원에게 제주어 보전 정책의 홍보 등을 보다 적극적으로 해 나가야 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 KCI등재

        제주4⋅3항쟁과 제주불교의 사회참여 활동

        한금순 대각사상연구원 2019 大覺思想 Vol.31 No.-

        Jeju Buddhism actively participated in Jeju 4.3 Resistance in cooperation with Jeju civilians. It reflected that the Buddhist monks in Jeju were aware of the societal issues and shared the interests of civic movements at that time. In fact, social activism in Jeju thrived with the collective aspiration of new autonomous nation-state in the Jeju 4.3 periods. After Japanese colonialism was disassembled, these social movements were developed in the response of the chaos from the political division of whether to approve the trusteeship arrangement of Korea by United States and Soviet Union. The boycott of 5.10 election in Jeju was the representative case of social activism against establishing the single government of South Korea. Jeju Buddhism also got alignment with civilians and supported these activist movements of Jeju society. We can confirm the activist attitude of Jeju Buddhism during Jeju 4.3 period, through the social activities of Buddhist monks in Jeju. Yi Il-seon was one of representative figure who actviely engaged in Democartic National Front of Jeju-do. Furthermore, Yi Se-jin engaged in the leadership of armed guerrilla for Jeju 4.3 Resistance. Jeju Buddhist Office of Religious Affairs also supported the social activities in Jeju area. However, Gwaneumsa was completely devastated by the fierce battle of Jeju 4.3 Resistance, and it lost its central role of Jeju Buddhism. After all the temple buildings was incinerated by scorched-earth operation, the site of Gwaneumsa was appropriated as a military camp with guard posts and billeting places. On that account, the religious activities of Gwaneumsa was not possible. Futhermore, most Buddhist temples suffered from similar damaging situation of Gwaneumsa. Owing to the activist attitude of Buddhists in Jeju 4.3 Resitiance, Jeju Buddhism has suffered from lots of casualties including the leading figures of Buddhist community and the extensive damages of temple properties. These aftereffects of Jeju 4.3 still remain ruinous for Jeju Buddhism to restore. 제주불교는 제주4.3항쟁에 적극 참여하였다. 이러한 제주불교의 제주사회 참여 활동은 제주불교 승려들의 사회 인식과 제주도민들의 시대적 인식에 따른 활동과 그 흐름을 같이하는 것이다. 제주도는 해방으로 한국사회의 흐름을 따라 친일을 반성하고 새로운 나라를 건설하기 위한 활동으로 들끓었다. 신탁과 반탁의 사회적 혼란 상황에서 자신들의 의지를 수행하기 위한 활동에 동참하고 있었다. 제주도에서는 남한만의 단독정부 수립을 반대하며 5.10선거를 거부하기 위한 활동에 들어갔다. 제주불교도 제주사회의 이러한 흐름 속에서 제주도민과 함께 활동하는 모습을 보인다. 제주불교의 승려 이일선은 제주도민주주의민족전선 활동에 앞장섰고 승려 이세진은 제주4.3항쟁에서 무장대 지도부로 활동하였다. 승려들의 이러한 사회 참여 활동은 제주불교가 제주사회의 현안에 적극 참여하였던 모습의 일부이다. 제주불교교무원 차원의 제주사회 활동 동참 모습도 포착된다. 제주불교의 중심지였던 관음사는 제주4.3항쟁의 관음사전투 격전지가 되며 사찰 건물이 모두 불태워지고 군 숙영지와 초소 등을 건설해 놓아 군 주둔지로 활용되었다. 관음사는 사찰로서의 종교 활동 자체가 불가능하였고 이는 제주불교 사찰의 다수에 해당되는 상황이었다. 제주4.3항쟁으로 인한 제주불교의 이러한 수난은 모두 제주불교가 제주사회 활동에 적극 참여하였기 때문에 빚어진 결과이다. 제주불교를 이끌던 주요 승려의 인명 피해는 제주불교의 오랜 후유증이 되었으며, 사찰 건물 등의 피해 또한 재건하는데 오랜 시간이 걸렸다.

      • KCI등재

        근현대 제주 유학의 지형 변화에 관한 검토 ― 19세기 이후 道學 系列의 學脈 형성을 중심으로 ―

        박학래 동양고전학회 2023 東洋古典硏究 Vol.- No.90

        Research on Jeju Confucianism, which has been embodied since the 1980s, can be said to have focused on the teaching activities of local officials dispatched from the central government and exiled people who were involved in political events. This research direction takes into account the fact that it was difficult for certain ideas to take root in consideration of the geographical conditions of Jeju Island and cultural properties that have a stronger indigenous character than other regions. However, this research direction is sufficient to explain the influence of external Confucian scholars on Confucianism in Jeju, but it is highly likely to overlook the various activities of Confucian scholars in Jeju as the main body of Confucianism in Jeju. For example, since the 19th century, Jeju Confucian scholars voluntarily entered major schools in the Kiho(畿湖) and Yeongnam(嶺南) regions and became disciples of a specific school, and later took notice of major schools in Jeju. However, this fact has been relatively overlooked, and in this respect,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existing research direction needs to be reconsidered. This study focused on the various teaching activities of local officials and exiled people, which focused on the direction of understanding Jeju Confucianism, and also focused on the roles and activities of Confucian scholars in Jeju, which was the basis of Jeju Confucianism. Focusing on this research direction, the contents of the flow of Jeju Confucianism before the 19th century were first summarized in consideration of the transplantation of major schools of Jeju Confucian scholars along with the receptive position. Based on this understanding, modern and contemporary Jeju Confucianism was organized into major aspects of Jeju Confucian scholars who entered the central context of Joseon Confucianism by voluntarily participating in major academic trends in Kiho and Yeongnam regions, paying attention to the roles and activities of local officials and exiles from before the 19th century. And through this, I tried to see the overall topography of modern and contemporary Jeju Confucianism. Specifically, Confucian scholars of Yulgok, such as Nosa School(蘆沙學派), Myeonam School(勉菴學派), and Ganjae School(艮齋學派), which took root in the Jeju area, as well as Toegye-related Jeju Confucian scholars centered on Myeonwoo School(俛宇學派) were specifically identified.

      • KCI등재

        제주 옹기문화연구회의 변천과 발전 방안

        오창윤 한국도자학회 2016 한국도자학연구 Vol.13 No.2

        Jeju Onggi Culture Research Institute was established to enhance cooperation and friendship among its members and conduct research on creative activities and Onggi (pottery or earthenware) culture in Jeju in 1999. Since its foundation, the institute has elevated its status through exhibitions, seminars and workshops based on creation of Onggi in Jeju. The study aimed to reflect on activities conducted by Jeju Onggi Culture Research Institute for the past 20 years and suggest a method of facilitating and developing Jeju Onggi Culture Research Institute based on it. The process and conclusion of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is focused on examining and sorting through the background and transition of Onggi Culture Research Institute and analyzing such activities as seminars, exhibitions and workshops for the purpose of presenting such problems as reasons for failure in facilitation. Second,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f its members on the level of satisfaction to figure out problems and reasons for reduction in membership and suggest a method of development. As a result of analyses, it turned out that reduced membership of Jeju Onggi Culture Research Institute was caused by change in its name into Jeju Onggi Design Association in 2013, failure in clarification of characterization of the organization (between exhibition and academic research), commercialization-oriented operation and transformed environment in terms of formation of an organization in Jeju since 2000, which resulted in decreased interest among its members, increased problems and reduced members. In order to facilitate and develop Jeju Onggi Culture Research Institute, it is necessary to clearly redefine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the organization and push for invigoration through systematic improvement of on-going projects. In addition, efforts need to be made to enable non-majors and people from all walks of life interested in Onggi culture to take part as members with an aim to proliferate Onggi culture and suggest a method of development through continuous exchanges and cooperation with Jeju Onggi Preservation Association and Jeju Onggi Cave Festival by emphasizing the necessity of facilitating the research institute. In addition to in-depth discussions, a lot of thoughts need to be given to Jeju Onggi Culture Research Institute so that it can make a leap forward and maintain its status as a leader in the Onggi culture and the pottery culture in Jeju in the future. Toward this end, the study is expected to serve as a milestone enabling Jeju Onggi Culture Research Institute to establish a new vision and mission and make a mid-to-long-term plan. 제주옹기문화연구회는 회원 간 협력과 유대를 도모하고, 창작활동 및 제주옹기문화에 대한연구를 목적으로 1999년 제주에서 창립된 단체이다. 창립이후 제주옹기작업을 기반으로 전시, 세미나와 워크샵을 통해 단체의 위상을 높여 왔다. 본 연구는 제주 옹기문화연구회의 과거 20여년의 활동을 뒤돌아보고 이를 통해 향후 제주옹기문화연구회가 보다 발전적인 단체로 나아가기 위한 활성화 방안을 제안·제시한다. 연구의 과정 및 결론은 첫째, 제주옹기문화와 옹기문화연구회의 성립배경과 변천과정에 대하여 조사·정리하고 세미나, 전시, 워크샵 등 제반활동을 분석하여 회의 활성화 실패요인 즉, 문제점을 제시하였다. 둘째, 회원들을 대상으로 만족도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문제점과회원감소 등의 원인을 분석하고 이를 개선할 수 있는 발전방안을 제시하였다. 분석결과, 제주옹기문화연구회의 회원감소 원인은 2013년 제주옹기디자인협회로 단체명칭변경, 전시/학술연구 사이에서 단체성격을 명확하게 하지 못한 점, 사업위주의 회 운영과 2000 년 이후 제주의 단체형성 환경 변화 등으로 회원들의 흥미를 유발시키지 못하고 여러 가지문제점이 발생시키며, 회원감소의 원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제주옹기문화연구회의 활성화와 발전을 위해서는 단체의 개념과 성격을 명확히 재정립함과동시에 단체에서 진행하는 사업에 대한 체계적인 정비를 통해 활성화를 모색해야 한다. 또한옹기문화 확산에 초점을 두고 비전공자, 옹기문화에 관심 있는 다양한 분야의 사람들이 회원참여가 이루어질 수 있는 방안마련과 제주전통옹기보존회, 제주옹기굴제 등과 지속적인 교류와 연계를 통한 회의 활성화가 필요하다는 발전방안을 제안·제시한다. 제주옹기문화연구회가 제주옹기문화와 도예문화를 선도하는 연구회로 위상을 유지하고 도약하기 위해서는 향후, 많은 고민과 함께 심도 깊은 논의가 이루어져야할 것으로 보인다. 본연구는 이러한 논의의 출발점으로서 향후, 제주옹기문화연구회가 새로운 비전 및 미션을 정립하고 이를 달성하기 위한 중․장기발전계획을 수립하여 이행해나감에 있어 이정표와 같은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