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Will COVID-19 affect consumer irrational behavior? A survey of China's consumer market based on FAHP

        위연(RAN WEI),황비(FEI HUANG) 글로벌경영학회 2023 글로벌경영학회지 Vol.20 No.3

        COVID-19의 영향으로 인해 사람들의 심리와 소비 행위는 팬데믹 상황에서 약간의 변화가 일어났으며, 이러한 변화는 사회의 안정에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정부가 국민경제의 균형 잡힌 건강한 발전을 유지하는데장애가 되었다. 본 연구는 COVID-19의 유행 아래 주민들의 소비행위가 비이성적으로 전환되는 것에영향을 끼치는 요인을 연구하기 위해 두 가지 단계의 접근법을 채택하였다. 첫 번째 단계에서는 FAHP를 실행하여 제안된 연구 모델 각 요소의 상대적중요성을 결정하고, 두 번째 단계에서는 SEM을 사용하여 중국의 20개성 66개 도시의 응답자 150명을 대상으로 연구 가설을 검증하였다. FAHP의 결과에 따르면 COVID-19 상황에서 희소성의 인식은 소비자의 비이성적 전환행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증연구 결과에 따르면 희소성의 인식, 불량한 정서 및 소비자 선호의 변화는 모두 팬데믹 상황 아래주민들의 소비 행위에 비이성적인 변화를 부분적으로 조정하였으며, 동시에 정부의 팬데믹 예방 조치에 대한 주민들의 긍정적인 인식은 팬데믹 상황에서 부분적으로 비이성적 소비행위의 발생을 부정적인 방향으로 조절하였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학제간 이론 및 방법론적통합을 실현하였을 뿐만 아니라 정부에 COVID-19 관리 조치가 팬데믹 상황에서 주민 소비 행위의 비이성적인 변화를 완화하는데 유용하고 계량화된 측정 기준을 제공한다. 또한 관련 소비행위 연구에 비이성적인 소비행위에관한 문헌을 풍부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중국 정부에 공중 보건 비상 사태 중 주민들의 비이성적인 소비행위를 통제하기 위한 이론적, 실증적, 실천적 사례의 지원을 제공할 수도 있다. Under the influence of COVID-19, people's psychology and consumer behavior have changed somewhat from the pandemic, and these changes have not only affected the stability of society but also created obstacles for the government to maintain the balanced and healthy development of the national economy. Our study uses a two-step approach to investigate the factors influencing the irrational shift in residents' consumption behavior under COVID-19. In the first step, FAHP was executed to determine the relative importance of the factors in the proposed research model. In the second step, the study hypotheses were tested using SEM with data from 150 respondents in 66 cities across 20 provinces in China. The FAHP results show that perceived scarcity has the highest weight of influence on irrational shifts in consumer behavior under COVID-19. The empirical findings suggest that perceived scarcity, bad mood, and changes in consumer preferences partially mediate the irrational changes in residential consumption behavior during a pandemic. Meanwhile, residents' positive perceptions of government pandemic prevention measures partially negatively moderated the generation of irrational consumer behavior during the pandemic. Thus, our study not only achieves interdisciplinary theoretical and methodological integration but also provides the government with a quantitative measure of the utility of COVID-19 management measures in mitigating irrational changes in residents' consumption behavior during a pandemic. Not only can we enrich the literature on irrational consumption behavior in related consumption behavior studies, but also provide theoretical, empirical, and practical case support for the Chinese government's response to control the irrational consumption behavior of the population under public health emergencies.

      • KCI등재

        레스토랑 이용자의 비합리적 선택행동 연구

        김문식(Moon Sig Kim),김남조(Nam Jo Kim) 한양대학교 관광연구소 2014 觀光硏究論叢 Vol.26 No.1

        본 연구의 목적은 합리적 행동이론(Theory of Reasoned Action: TRA)과 Max Weber의 사회적 행위 개념을 비교함으로 레스토랑 선택이라는 소비자 행동의 변수가 합리적 요인뿐 아니라 비합리적 요인도 영향을 끼치는가를 연구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는 질적 연구 방법 중 심층 인터뷰 기법을 사용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소비자의 레스토랑 선택 행동에서는 비합리적 요인이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둘째, TRA보다 Weber의 사회적 행위 개념을 통해본 소비자의 레스토랑 선택 행동이 소비자 행동을 세분화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있었다. 셋째, TRA에도 비합리적 요소가 포함되어있었다. 넷째, Weber의 사회적 행위 개념의 관점에서 소비자의 레스토랑 선택 행동은 합리적 요인과 비합리적 요인을 통해 소비자 행동이 적절하게 설명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었다. 시사점으로는 외식업체의 마케팅 방법에 비합리적인 요인을 고려해야 한다는 것, Weber의 사회적 행위 개념이 레스토랑 선택 행동을 설명하는데 유용한 개념 이라는 것, TRA의 확장된 연구가 비합리적인 방향으로 진행되어야 한다는 점이다. 연구의 의의로는 레스토랑을 선택하는 소비자의 행동 연구에서 비합리적인 요인이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추론한 것, TRA의 전제인 합리적 이성에 대한 전제가 넓어져야 한다는 것을 추론한 것에 연구의의가 있다. 본 연구는 소비자의 레스토랑 선택 행동에 비합리적 요인이 영향을 받고 있는 것을 추론하여, 소비자 행동에서 비합리적 요인의 중요성에 대한 문헌적인 제안을 하여 바람직한 경영 활동을 영위하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This study aims to whether the variable of customer behavior as restaurant choice has impact on rational fact as well as irrational one by comparing between theory of Reasoned Action and Social Action Concept of Max Weber. This study was processed through the depth interview in the qualitative research. As research results, first, The irrational fact has main impact on restaurant choice customer behavior. Second, Social Action Concept of Max Weber has more detailed and specific explanation power about restaurant choice customer behavior than TRA. Third, there was irrational fact in TRA. Forth, restaurant choice customer behavior from Social Action Concept of Max Weber`s point have appropriate explanation through rational and irrational facts. This study suggests that first, food service business have to concern irrational fact on marketing, second, Social Action Concept of Max Weber is useful concept to explain restaurant choice behavior and third, the extended TRA research has to process to irrational direction. The meaning of this study is to prove that irrational fact has impact on restaurant choice customer behavior and it extend the premise of rational reason as the TRA prerequisite. This study is going to contribute to run desirable management activities by proving that irrational fact has impact on restaurant choice customer behavior and suggesting literally about the importance of irrational fact on restaurant choice behavior.

      • KCI등재

        접근성에 따른 청소년 내기행동의 경로분석

        이난희(Nanhee Lee),전효정(Hyojeong Jeon),고은경(Eunkyoung Goh)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15

        목적 본 연구는 접근성에 따른 청소년 내기행동의 경로를 확인함으로써 청소년 내기행동에 대한 통합적 이해와 경로별 맞춤형 개입을 위한 자료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방법 이를 위하여 전국에 거주하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571명의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SPSS 21.0으로 기술통계 및 상관분석을 하고 R version 3.6.1 환경에서 ‘tidyLPA’ 패키지를 사용하여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하였다. 다음으로 내기행동 접근성에 따라 AMOS 21.0으로 방임과 학대가 우울, 충동성, 내기행동 기대, 비합리적 신념, 청소년 내기행동에 미치는 경로를 확인하였다. 결과 첫째, 접근성 고저에 따라 청소년 내기행동 경로는 충동성에서 내기행동으로 이어지는 경로, 내기행동 기대에서 내기행동으로 이어지는 경로, 비합리적 신념에서 내기행동으로 이어지는 경로의 계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나 집단 간 특정 경로 차이가 뚜렷하였다. 둘째, 접근성이 높은 집단에서 내기행동에 영향을 주는 경로는 방임이 비합리적 신념을 매개로 내기행동으로 가는 경로, 방임에서 우울, 충동성, 내기행동 기대, 비합리적 신념을 순차적으로 거쳐 내기행동으로 가는 경로, 학대에서 우울, 충동성, 내기행동 기대, 비합리적 신념을 거쳐 내기행동으로 가는 경로와 학대에서 충동성, 내기행동 기대, 비합리적 신념을 거쳐 내기행동으로 가는 경로가 유의미하였다. 셋째, 접근성이 낮은 집단에서는 내기행동으로 이어지는 유의미한 경로가 나타나지 않았다. 결론 본 연구는 접근성에 따라 청소년 내기행동에 미치는 특정 경로의 뚜렷한 차이를 확인하였으며, 국내 연구에서 다루지 않았던 내기행동 기대 변수를 청소년 내기행동의 주요변수와 함께 투입하여 접근성에 따른 다차원적 경로를 확인하였다. 이로써 청소년 내기행동에 대한 이해 틀을 넓히고 맞춤형 개입을 위한 근거자료를 제시하였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data for an integrated understanding of youth betting behaviors and customized interventions for each path by identifying the paths of youth betting behaviors by accessibility level. Methods For this purpose, data from 571 adolescents residing across the country were collected, descriptive statistics and correlation analysis were performed with SPSS 21.0, and latent profile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tidyLPA’ package in R version 3.6.1 environment. Next, the pathways of neglect and abuse on depression, impulsivity, betting behavior expectations, irrational beliefs, and adolescent betting behaviors were identified with AMOS 21.0 by level of betting behavior accessibility. Results First, for adolescent betting behavior paths by accessibility level, the coefficient differences between the path from impulsivity to betting behavior, the path from betting behavior expectation to betting behavior, and the path from irrational belief to betting behavior were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Second, the path that affects betting behavior in the group with high accessibility is the path from neglect to betting behavior through irrational beliefs, the path from neglect to depression, impulsivity, betting behavior expectations, the path to betting behavior through irrational beliefs, and the path from abuse to betting behavior The path to betting behavior through depression, impulsivity, betting behavior expectation, and irrational beliefs and the path from abuse to betting behavior through impulsivity, betting behavior expectation and irrational beliefs are significant. Third, in the group with low accessibility, a significant path leading to betting behavior does not appear. Conclusions This study confirmed the distinct differences in specific pathways on adolescent betting behavior by accessibility level, and confirmed multidimensional pathways by accessibility level by inputting betting behavior expectancy variables, which were not covered in domestic studies, together with major variables of adolescent betting behaviors. This broadened the understanding of youth betting behavior and presented evidence for customized intervention.

      • KCI등재

        어머니의 부모화 및 과보호 경험이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 비합리적 신념의 매개효과

        권정숙,조용주 한국인지행동치료학회 2019 인지행동치료 Vol.19 No.4

        본 연구는 어머니의 부모화 경험 및 과보호 경험이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비합리적 신념의 매개효 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서울, 인천, 경기에 거주하며 현재 자녀를 양육하고 있는 기혼여성 430명을 대상으로 부모화 경험, 과보호 경험, 비합리적 신념, 양육행동 척도의 설문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 프로그램과 AMOS 21.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화 경험, 과보호 경험, 비합리적 신념, 양육행동 간에는 모두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각 변인 간의 경로분석 결과, 어머니의 부모화 경험과 긍정적 양육행동 간의 경로에서 비합리적 신념은 부 분매개효과를 보였으며 부모화 경험과 부정적 양육행동 간의 경로에서 비합리적 신념은 완전매개효과를 보였다. 그러므로 어머니의 부모화 경험은 긍정적 양육행동에 직접적인 영향과 비합리적 신념을 통한 간접 적인 영향을 동시에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부정적 양육행동에는 비합리적 신념을 거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어머니의 과보호 경험과 긍정적 양육행동 간의 경로, 과보호 경험과 부정적 양 육행동 간의 경로에서 비합리적 신념은 모두 완전매개효과를 보였다. 따라서 어머니의 과보호 경험은 긍정 적 양육행동과 부정적 양육행동 모두에 비합리적 신념을 거쳐 간접적인 영향을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가 지니는 의의와 제한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irrational beliefs on mother's parentification experience and overprotective experience on parenting behavior. For this purpose, 430 mothers who live in Seoul, Incheon, and Gyeonggi who are raising their children. The survey was conducted on parentification experience, overprotective experience, irrational beliefs and parenting behavior.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1.0 program and AMOS 21.0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parentification experience, overprotective experience, irrational belief, and parenting behavior. Second, in the path analysis between the variables, irrational beliefs showed a partial mediation effect in the path between mother's parentification experience and positive parenting behavior, and irrational beliefs showed complete mediation effect in the path between parentification experience and negative parenting behavior. Therefore, it can be seen that mother's parentification experience has a direct influence on positive parenting behavior and an indirect influence through irrational beliefs, and negative parenting behavior indirectly through irrational beliefs. The pathway between mothers' overprotective experience and positive parenting behavior, irrational beliefs in path between overprotective experience and negative parenting behavior showed full mediation effect. Therefore, it is confirmed that mother's overprotective experience indirectly influences both positive and negative parenting behavior through irrational beliefs. Finally,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re discussed.

      • KCI등재

        남녀 고등학생의 충동성과 도박행동의 관계에서 비합리적 도박신념의 매개효과

        선혜민,천성문,조은희,박진희,양정하,최지이,신현주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2018 청소년상담연구 Vol.26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impulsivity and irrational gambling beliefs on gambling behaviors of high school students. For this purpose, 784 high school students in Busan and Kyungnam area were surveyed using the impulsiveness scale, the irrational gambling belief scale, and the youth gambling behavior scale. A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among the main variables on the basis of the collected data. A median model test was conducted to find out if the irrational gambling beliefs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impulsiveness and gambling behavior. The main results revealed through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gambling behaviors, impulsiveness and irrational beliefs were statistically correlated. As were impulsiveness and irrational gambling beliefs. Secondly, the irrational gambling beliefs of high school boys showed a full mediation effect on impulsive gambling behavior. On the other hand, the irrational gambling beliefs of female high school students showed a partial mediation effect on the impulsive gambling behavior.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higher impulsiveness and irrational gambling beliefs can lead to gambling activity. Even if the impulsiveness remains the same, a reduction in irrational gambling beliefs can lead to a reduction in gambling activity in male high school students. 본 연구의 목적은 남녀 고등학생의 충동성과 비합리적 도박신념이 도박행동에 미치는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부산, 경남지역 소재 남녀 고등학생 784명을 대상으로 충동성 척도, 비합리적 도박신념 척도, 청소년 도박행동 척도를 사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주요 변인들 간의 관련성을 살펴보기 위해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고, 남녀 고등학생의 비합리적 도박신념이 충동성과 도박행동간의 관계에서 매개하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매개모형 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통하여 밝혀진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도박행동과 충동성 및 비합리적 신념은남녀 모두 정적 상관을 보였다. 또한 충동성과 비합리적 도박신념도 남녀 모두 정적상관을 보였다. 둘째, 남자 고등학생의 비합리적 도박신념은 충동성이 도박행동에 미치는영향에서 완전매개효과를 보였다. 반면 여자 고등학생의 비합리적 도박신념은 충동성이도박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부분매개효과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남녀 고등학생은충동성이 강하고 비합리적 도박신념이 강할수록 도박행동으로 이어질 수 있으며 특히남자 고등학생의 경우 비합리적 도박신념을 줄일 수 있도록 돕는다면 충동성이 높아도도박행동으로 이어지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과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如何应对突发公共卫生事件下居民非理性消费行为 -来自中国COVID-19的调查证据-

        魏然 ( Ran Wei ),黄菲 ( Fei Huang ) 한중사회과학학회 2023 한중사회과학연구 Vol.21 No.3

        Under the influence of COVID-19, people’s psychological and consumption behaviors have undergone certain changes, among which the more typical is the increase of residents’ irrational consumption behaviors. In our study, we investigated the changes in consumption behavior of 507 residents in 32 provinces of China during COVID-19 by questionnaire and random sampling method. We then built a response plan and system to study the irrational consumption behavior of residents under COVID-19 by drawing on the SOR model in behavioral psychology and the quality engineering configuration theory in marketing, and applied the principles of mediating and moderating effects. The causes of the irrational shift in residents’ consumption behavior under COVID-19 are analyzed and explored. Our findings show that residents’ overreaction to the epidemic partially mediates the shift from the usual consumption behavior before the epidemic to the irrational behavior under COVID-19, while residents’ positive perceptions of the government’s epidemic prevention policies positively moderate the government’s policy response to residents’ overemotional reaction to the epidemic. This part of our study can provide theoretical and practical case studies to support the Chinese government’s response to the control of residents’ irrational consumption behavior under public health emergencies, as well as to expand the international literature on similar academic research topics and to innovate research perspectives.

      • KCI등재

        청소년의 도박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최춘호(Choi, Chun Ho),고성희(Ko, Sung Hee),김지영(Kim, Ji Yo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13

        본 연구는 청소년 도박행동 실태를 파악하고, 도박행동 경험 유무에 따른 청소년의 특성, 비합리적 도박신념, 스트레스의 차이를 파악하며, 청소년의 도박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고자 시도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J도내 4개 고등학교 학생 296명을 대상으로, 2017년 11월 9일부터 15일에 걸쳐 자가보고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대상자 중 최소 0.3%에서 최대 29.1%까지 도박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상자의 비합리적 도박신념은 평균 20.72±8.43점, 스트레스는 평균 88.09±28.70점이었다. 도박행동 경험 유무는 성별, 학년, 친구도박행동, 아버지 도박행동 및 자아 스트레스의 정도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도박행동에는 친구도박행동이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었으며, 친구도박행동이 월1회 이상인 경우가 월1회 미만인 경우보다 1.86배 정도 도박행동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본 연구모형의 설명력은 41.3%이었다. 본 연구는 청소년 도박문제를 감소시키고 또래집단 환경의 변화와 도박중독의 폐해와 심각성을 알릴 수 있도록 주기적인 도박문제 예방교육이 시행되어야 할 필요성을 제기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current status of adolescents gambling behavior and to investigate whether irrational gambling beliefs and stresses affect adolescents gambling behaviors. The study examined 296 students who are students in 4 high schools in J-Do. The data was collected from Nov 9 to Nov 15, 2017 using self-report questionnaires. The data were analyzed by the SPSS WIN 21.0 Statistics. Results: It was showed that at least 0.3% to 29.1% of the subjects had gambling experience. The Irrational gambling belief 20.72 points on average, stress was average 88.09 points. Gambling behavior with or without gambling behaviors showed that gender, grade, friend gambling behavior, father gambling behavior, and self-stress affected gambling behavior. For regression analysis, friend gambling behavior were proven to have an significant impact on adolescents gambling behavior. It was found that the probability of gambling behavior was 1.86 times higher than that of less than once a month when the friend gambling behavior was more than once a month. The variance accounted for adolescent gambling behavior was found to be 41.3%. This study is significant that in order to decrease adolescents gambling problem and inform the change of the peer group environment and the harmfulness and seriousness of gambling addition, periodic gambling problem prevention education should be implemented.

      • KCI등재

        중학생의 자해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비합리적 신념, 역기능적 분노표현방식, 자살사고, 인지적 정서조절의 구조적 관계모형 검증

        최원석 서강대학교 생명문화연구소 2022 생명연구 Vol.64 No.-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s of irrational beliefs, dysfunctional anger expressions, suicide accidents and cognitive emotional control on self-harm behaviors in middle school students and to help change middle school students' irrational beliefs.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structural relationship model, it was confirmed that irrational beliefs of middle school students increased self-harm behavior, but the effects of dysfunctional anger expression and suicide accidents on self-harm behaviors could be affected by adaptive, maladaptive and cognitive emotional control. Adaptive cognitive emotion control increases self-harm behavior by increasing the positive effects on dysfunctional anger and suicidal thoughts, and adaptive cognitive emotional control positively affects dysfunctional anger expression, suicidal thoughts and self-harm Negative effects on behavior lower suicidal thoughts and reduce self-harm behavior. These results indicate that 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reduces the negative effects on self-harm behavior. 본 연구는 중학생을 대상으로 비합리적 신념, 역기능적 분노표현방식, 자살사고, 인지적 정서조절(적응적, 부적응적)이 자해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여 자해행동을 감소시킬 수 있는 상담적 개입방안을 마련하고, 중학생의 비합리적 신념을 바꿀 수 있도록 돕기 위하여 진행되었다. 이를 위해 역기능적 분노표현방식과 자살사고, 인지적 정서조절이 비합리적 신념이 중학생의 자해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순차적으로 구조방정식 모델을 적용하여 연구모형을 검증하였다. 구조적 관계모형을 검증한 결과, 중학생의 비합리적 신념은 자해행동을 높이지만 적응적‧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에 따라 역기능적 분노표현방식, 자살사고가 자해행동에 미치는 영향이 달라질 수 있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은 역기능적 분노표현방식과 자살사고에 정적인 영향을 높여서 자해행동을 증가시키고,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은 역기능적 분노표현방식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자살사고와 자해행동에 부적인 영향을 미쳐 자살사고를 낮추고 자해행동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이 자해행동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감소시키는 요인임을 나타낸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를 바탕으로 역기능적 분노표현방식과 자살사고, 인지적 정서조절의 구체적 기능을 확인함으로써 중학생의 자해행동을 감소시키기 위한 직접적인 도움과 상담개입 방안을 정립하고, 연구에 관한 논의와 후속연구를 제언하였다.

      • KCI등재

        남자 대학생의 생활 스트레스가 도박행동에 미치는 영향: 비합리적 도박신념 매개효과

        홍성예,장현아 한국웰니스학회 2021 한국웰니스학회지 Vol.16 No.3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among irrational gambling belief, life stress and gambling behavior in male college students. Functional Assessment of life stress scale, gambling behavior, and irrational gambling belief scale were conducted for 148 male college students aged 20 to 25. A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among the main variables on the basis of the collected data and PROCESS macro version 3.3 (Model 4; Hayes, 2017) was used to analyze mediation effects. In this study,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Firstly, life stress, gambling behavior and irrational gambling belief were statistically positive correlated. Secondly, irrational gambling belief appeared to have partial mediation effect in the correlation between life stress and gambling behavior. Even if the life stress remains the same, a reduction in irrational gambling belief can lead to a reduction in gambling behavior. Finally, the implications and Prevention and Alternatives, limitations of the study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남자 대학생을 대상으로 생활 스트레스와 도박행동과의 관계에서 비합리적 도박신념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에 재학 중인 20~25살의 148명 남자 대학생에게 생활 스트레스척도, 도박행동척도, 비합리적 도박신념척도를 사용하여 설문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주요 변인간의 관련성을 확인하기 위해 상관관계 분석을 하였고, PROCESS macro version 3.3 (Model 4; Hayes, 2017)를 사용하여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 생활 스트레스, 도박행동, 비합리적 도박신념은 정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생활 스트레스와 도박행동 관계에서 비합리적 도박신념은 부분 매개효과를 나타냈다. 남자 대학생의 생활 스트레스가 높고 비합리적 도박신념이 강할수록 도박행동으로 나타나며 비합리적 도박신념을 줄일 수 있도록 돕는다면 생활 스트레스가 높아도 도박행동으로 이어지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예방 및 대안, 제한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환경 태도와 행동의 불일치로 인한 내적 갈등 분석 연구

        박선영(Sun Young Park),남영숙(Young Sook Nam) 한국환경교육학회 2016 環境 敎育 Vol.29 No.1

        이 연구는 환경 행동과 관련한 비합리적 심리 요인을 밝히기 위해 환경 태도와 행동의 불일치 상황에서 발생하는 내적 갈등 양상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먼저 개인내부에서 발생하는 심리적 갈등 양상을 파악하기 위한 심층면담 질문지를 개발하였고, 환경에 긍정적 태도를 가진 11명의 연구 참여자를 선정하여 개별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얻은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환경태도와 행동이 일치하지 않는 것은 크게 내부적 조절점과 외부적 조절점으로 구분하여 설명할 수 있으며, 총 17가지의 불일치 이유를 확인하였다. 둘째, 환경태도와 행동 간의 불일치로 인한 내적 갈등 양상을 분석한 결과, 환경에 대해 긍정적 태도가 형성되어 있는 사람은 자신이 가진 환경 태도와 일치하지 않는 행동을 했을 때 내적 갈등을 경험하였다. 이러한 내적 갈등은 자신의 내 · 외부로부터의 부정적 자아 인식에 대한 방어와 행동의 부정적 결과에 대한 인식 등으로 인해 발생하였으며, 행동 전, 행동 중, 행동후, 행동하지 않는 상황에서 다양한 강도로 나타났다. 이 연구를 통해 분석된 환경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비합리적 심리기제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앞으로 친환경행동을 증진시킬 수 있는 환경교육 방안을 강구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ern internal conflict from dissonance between environmental attitude and behavior along with its self-justification to examine the irrational psychological factors in environmental behavior. In order to identify internal conflict and self-justification, a questionnaire was developed for in-depth interviews.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11 participants who were selected for their positive attitude towards the environment. The results of the interviews were analyzed using qualitative analysis to identify the types of conflict and justification.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Seventeen reasons for the dissonance were discerned and analyzed. Then, the internal conflicts caused by the dissonance were also analyzed. The participants did experience internal conflicts when their behaviors did not match their attitudes towards the environment. The internal conflicts were caused by internal and external negative self-awareness as well as recognition of the negative consequences of the behavior. The conflict appeared at different times (before, during, after and apart from the situations) with varying intensity. In conclusion, this study provides information regarding the impact on environmental behavior through the exploration of internal conflict caused by the mismatch of environmental attitude and behavior. Based on this understanding of the irrational psychological mechanisms,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that it suggests ways to improve environmental behavior in environmental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