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IESCOPUSKCI등재

        Process-Aware Internet of Things: A Conceptual Extension of the Internet of Things Framework and Architecture

        ( Meesun Kim ),( Hyun Ahn ),( Kwanghoon Pio Kim ) 한국인터넷정보학회 2016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 Vol.10 No.8

        This paper tries to extend the conventional conceptual framework of the Internet of Things (IoT) so as to reify an advanced pervasive IoT-community collaboration concept, which is called the process-aware Internet of Things. The extended conceptual framework is embodied as a referential architecture that can be a standardized reference model supporting the conceptual integration of the Internet of Things and the process awareness. The extended referential architecture covers the full range of the architectural details from abstracting the process-aware behavioral semantics to reifying the IoT-process enactments. These extended framework and architecture ought to be the theoretical basis for implementing a process-aware IoT-community computing system supporting process-aware collaborations of Things in pervasive computing environments. In particular, we do point up that the proposed framework of the process-aware Internet of Things is revised from the Internet of Things framework announced in ITU-T SG13<sup>3</sup> Y.2060 [26] by integrating the novel concept of process awareness. We strongly believe that the extended conceptual framework and its referential architecture are able to deliver the novel and meaningful insight as a standardized platform for describing and achieving the goals of IoT-communities and societies.

      • KCI등재

        시나리오 분석을 통한 사물인터넷(IoT)의 취약성 분석

        홍성혁,신현준 한국융합학회 2017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8 No.9

        네트워크 환경의 개발과 고속화가 되면서 수많은 스마트 기기가 개발되고, 사람과 사물의 상호작용을 가능하게 하면서 고속화된 스마트사회를 구현할 수 있다. 사물인터넷의 수가 급증함에 따라 장치, 플랫폼 및 운영 체제, 통신 및 연결된 시스템에 대한 광범위한 새로운 보안 위험 및 문제점들이 부각되고 있다.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장비 들이 갖는 물리적인 특성상 기존 일반 시스템에 비해 크기가 작고 저전력, 저비용, 상대적으로 낮은 스펙으로 운용 제작되기 때문에 연산 및 처리 능력이 떨어져 기존 시스템에서 사용하던 보안 솔루션 적용에 한계가 있다. 또한 IoT(Internet of Things)기기들이 네트워크에 항상 연결되어 있는 특성에 따라 도청 및 데이터의 위·변조, 프라이버시 침해, 정보 유출, 비 인가된 접근, 루팅 및 업데이트 취약성 등 개인의 사생활 노출이나 국가의 중요 기밀과 시설에 대한 위협까지 중대한 보안상 문제들이 나타날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사물인터넷(IoT)의 네트워크의 보안위협사례와 피해사례를 조사하고, 취약성을 시나리오를 통해 분석하여 사물인터넷에 의한 재산피해 최소화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으며, 시나리오를 이용하는 방법으로 취약점을 분석하였다. As the network environment develops and speeds up, a lot of smart devices is developed, and a high-speed smart society can be realized while allowing people to interact with objects. As the number of things Internet has surged, a wide range of new security risks and problems have emerged for devices, platforms and operating systems, communications, and connected systems. Due to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IoT devices, they are smaller in size than conventional systems, and operate with low power, low cost, and relatively low specifications.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apply the existing security solution used in the existing system. In addition, IoT devices are connected to the network at all times, it is important to ensure that personal privacy exposure, such as eavesdropping, data tampering, privacy breach, information leakage, unauthorized access, Significant security issues can arise, including confidentiality and threats to facilities. In this paper, we investigate cases of security threats and cases of network of IoT, analyze vulnerabilities, and suggest ways to minimize property damage by Internet of things.

      • KCI등재

        사물인터넷을 기반으로 한 예술에 관한 연구

        유영재 한국기초조형학회 2015 기초조형학연구 Vol.16 No.5

        Recently Internet of Things(IoT) called disruptive innovation has been an issue, it has a lot of interest in many research areas. This paper investigates about the trends and characteristics of works of art based on the Internet of Things in the art. In order to appreciate the latest IoT-based Art, this paper looks into the Networked Art category of 2013/2014 Internet of Things Awards organized by Postscapes, Internet of Things analysis agency. Investigating all nine works by theme, media, interaction, etc, classifying them into the Internet of Things technology development stage and interactivity with users, and figuring out their characteristics. There are still plenty of telepresence works of M2M concepts and IoT works to connect to the physical world. In recent years, communication-based interaction works using SNS, mobile network have been in the limelight. In IoT-based Art, interactivity around the audience and the media is very various. This survey shows that audience of four works among total nine works interactively participated and instantly experienced the results from their actions. The noticeable characteristics of IoT-based Art are mixed reality, connecting people, telepresence, connecting to the physical world, etc. If things connected to the Internet have increased progressively in the future, more complex and various IoT-based Art will emerge. 최근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이라는 와해성 혁신 기술이 이슈가 되고 있고, 여러 분야에서 많은 관심을 갖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예술에 있어서 사물인터넷을 기반으로 한 예술 작품의 경향과 특성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한다. 최근의 사물인터넷 기반의 예술 작품들을 조사하기 위하여, 사물인터넷 트래킹 분석기관인 포스트스케이프(Postscapes) 에서 주관한 최근 2013/2014 사물인터넷 어워드의 아트 부문 작품들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총 9 작품들의 주제, 미디어, 상호작용 등에 대해 조사하고, 이들을 사물인터넷의 기술 발달 단계와 관객과의 상호작용성의 잣대로 분류하고, 그특성을 파악하였다. M2M 개념의 원격현전이나 물리적 세계 연결을 시도하는 사물인터넷 작품들이 꾸준히 많은 가운데, 최근에는 SNS, 모바일 통신을 이용한 Communication-based Interaction 작품들이 각광받고 있다. 사물인터넷 아트에서는 수용자와 매체를 둘러싼 다양한 상호작용이 가능하다. 본 조사에서는 9 작품 중 절반 정도인 4 작품에서 수용자가능동적으로 참여함으로써 자신의 행위의 결과물을 즉각적으로 체험하였다. 사물인터넷 예술작품들의 특성으로는 혼합현실, 사람과 사람 사이의 연결, 원격현전, 물리적 세계에 연결 등이 보인다. 앞으로 빠른 속도로 인터넷에 연결되는 사물들이 증가한다면, 더욱 복잡하고 다양한 상호작용의 예술 작업들이 등장할 것이다.

      • KCI등재

        IoT 환경에서 인터유저빌리티(Interusability) 개선을 위한 사물성격(Personality of Things)중심의 UI 프로토타이핑에 대한 연구

        안미경(Mikyung Ahn),박남춘(Namchoon Park) 한국HCI학회 2018 한국HCI학회 논문지 Vol.13 No.2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시대에는 다양한 사물이 연결되어 사물들 스스로가 데이터를 획득하여 이를 바탕으로 학습하고 동작한다. 이는 사물이 사람의 모습을 닮아가고 있다고 볼 수 있고 변화한 사물과 사람이 어떻게 소통하는가를 설계하는 것이 핵심 이슈로 떠오르고 있다. 이러한 IoT 환경이 도래함에 따라 UI 디자인 분야에서도 많은 연구가 진행되었다. 멀티모달리티(Multi-modality)와 인터유저빌리티(Interusability) 등의 키워드를 통해서 UI 분야에서도 복합적인 요소를 고려하려는 연구가 진행됐음을 알 수 있다. 하지만 기존의 UI 디자인 방법론으로는 IoT 환경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UI)를 설계할 때 사물, 사람, 데이터가 상호작용하는 방식에 대해서 구조화하고 테스트하는데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새로운 UI 프로토타이핑 방법을 제안하였다. 본 논문의 주요 분석과 연구는 다음과 같다:(1)먼저 사물의 행동 프로세스를 정의하였다.(2)행동 프로세스를 토대로 기존의 IoT 제품을 분석하였다.(3)사물성격(Personality of Things)유형을 구분 지을 수 있는 프레임워크를 제작하였다.(4)프레임워크를 바탕으로 사물성격(Personality of Things) 유형을 도출하였다.(5)3개의 대표 사물성격(Personality of Things)을 실제 스마트 홈 서비스에 적용하여 프로토타이핑 테스트를 해보았다. 본 연구는 새로운 UI 프로토타이핑 방법을 제안하여 더 총체적인 방식으로 IoT 서비스에 대한 사용자 경험(UX)을 확인할 수 있었다는 데 의의가 있다. 또한, 향후 본 연구를 발전시켜 인공지능(AI) 기술이 발전한 환경에서 지능화된 서비스의 정체성(Identity) 확립의 도구로 사물성격(Personality of Things) 개념을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In the IoT environment, various things could be connected. Those connected things learn and operate themselves, by acquiring data. As human being, they have self-learning and self-operating systems. In the field of IoT study, therefore, the key issue is to design communication system connecting both of the two different types of subjects, human being(user) and the things. With the advent of the IoT environment, much research has been done in the field of UI design. It can be seen that research has been conducted to take complex factors into account through keywords such as multi-modality and interusability. However, the existing UI design method has limitations in structuring or testing interaction between things and users of IoT environment. Therefore, this paper suggests a new UI prototyping method. In this paper, the major analysis and studies are as follows: (1) defined what is the behavior process of the things (2) analyzed the existing IoT product (3) built a new framework driving personality types (4) extracted three representative personality models (5) applied the three models to the smart home service and tested UI prototyping. It is meaningful with that this study can confirm user experience (UX) about IoT service in a more comprehensive way. Moreover, the concept of the personality of things will be utilized as a tool for establishing the identity of artificial intelligence (AI) services in the future.

      • KCI등재

        Internet of Things and the Implication of Legal Risks and Solutions

        김용의 충북대학교 법학연구소 2022 法學硏究 Vol.33 No.1

        So far the Internet has been conceived as the network of people connected to one another. Recently, a lot of things works in connection with one another connected via the Internet. Thus this Internet is called Internet of Things(IoT). The things include not only the electronic devices for personal use such as smartphones and notebooks but also the variety of home appliances, cars, airplanes and even the satellite in the space. The things in the IoT are working based upon the most important two technologies, which are Artificial Intelligence and 5G Telecommunication Technology. Though IoT can be defined a bit differently by scholars and institutions, it is a common understanding that AI and 5G Telecommunication are the key elements. On one hand IoT’s capacity to sense, collect, analyze the informations and make decisions in a very high speed and effective way, makes possible the smart home, smart factory, smart city and even the smart government. On the other hand, it may also generate high risk and problems that it makes personal information leak and misused, person’s privacy is invaded, and even the national security can be threatened. The goals of benefiting IoT at the same time protecting people from the risks caused by IoT could be achieved through variety of efforts including setting up appropriate policies and enacting rules and regulations. This article addressed the alternative solutions for the achievement of the goals such as making soft laws, implementing governance process, and the application of blockchain. In sum, with all the pros and cons, this article strongly recommends people (including corporations, consumers, and other groups and associations), as the members of the community they belong to, that they adopt their own soft law best fit for their purpose and community environment to regulate themselves first and to make the soft law to regulate the society general as a de facto binding rules. While doing so we may go through the governance process to harmonize the conflicting interests of the constituents of the society and also adopt the new technology such as blockchain to strengthen the practicability of the soft law at the same time. Any soft law standards regarding the IoT should be purported to assure individuals that their data will not be misused or hacked, and that they facilitate trust and communication, and avoid the premature and heavy-handed stifling of innovation. Soft law can help these technologies proliferate while giving people the confidence that, contrary to the current belief, the benefits of the IoT far outweigh the risks. Soft law for IoT can be enhanced by convening a multistakeholder process, as one of the public governance process, to develop best practices for protecting the privacy and security of IoT data, including implementing security by blockchain solutions for the IoT.

      • KCI등재

        사물인터넷시대 국가 사이버안보 강화 방안 연구

        이상호(Lee, Sangho),조윤영(Cho, Yun Young) 한국정치정보학회 2015 정치정보연구 Vol.18 No.2

        세계적으로 각광받는 사물인터넷은 모바일 시대 이후 IT 산업의 신 패러다임으로 인식되고 있다. 사물인터넷은 사물과 인간과의 연결을 시작으로 다수의 사물과도 융합되어 인간의 삶에 편리를 도모하는 방식으로 진화될 것이다. 사물인터넷은 모든 것이 인터넷에 연결된 유비쿼터스(Ubiquitous) 사회를 궁극적으로 지향한다. 우리나라도 2007년부터 사물인터넷 발전을 위한 여러 가지 대책을 세웠으며 2013년에 사물인터넷을 본격적으로 발전시키기 위한 전략을 설계하였고 이에 맞는 환경을 조성하고 있다. 사물인터넷의 활용은 광범위하다. 특히 홈네트워크, 스마트 그리드, 건물관리시스템 등은 국가·사회와 기업 모두에게 긍정적인 효과를 제공하고 우리 일상의 편의도 크게 개선될 것이다. 또한 사물인터넷 관련 산업의 경제·산업 파급력이 급속히 확대될 것이다. 이런 긍정적인 측면에도 불구하고 사물인터넷 오용이나 악용에 따른 위해요소들은 다수 존재한다. 국가·사회적으로는 무엇보다 국가 기간망에 대한 사이버공격과 해킹의 급증이 우려되고 북한과 같은 적대세력이 사이버전을 더욱 적극적으로 전개하게 하는 동기를 제공할 수 있다. 개인적 차원의 위해요소로는 개인정보 유출을 통한 재산손실, 금융 피해 등의 문제가 더욱 악화되고 악의적인 협박이나 고의적 사고 유발 등에 노출될 가능성도 존재한다. 반면 국내 보안 정책이나 관련 업계의 보안기술 발전의 속도는 급변하는 환경에 비해 매우 더디게 발전하고 있는 실정이다. 결국 사물인터넷시대에 있어 관련 기술만큼이나 중요한 부분은 정보보안이다. 이를 위해 정책 및 법률 보완을 통한 보안대책 강화, 기업과 정부의 협력 강화와 정부의 보안사업 정책적 지원 및 보안 산업 혁신 유도 및 개인정보 보호 관련 법률 강화 등 개인정보 보호 대책 지속 개선 등의 조치가 마련되어야 한다. The recent surging interest in IoT(Internet of Things) is based on the perception that IoT will become a new trend setter in the post-mobile computing era. IoT will begin to connect human-being and things in the initial stage and this will eventually expand to human-material fusion which will become a main driving force in making human lives more comfortable. Ultimately, IoT’s aim is to achieve a truly ubiquitous society. Korea has been focusing attention to the potential of IoT from 2007 and was able to set up future IoT strategy in 2013 to enable realistic progress in the field. The application of IoT is indeed vast from home networking, smart-grid to building maintenance which will bring significant benefits to both the governments and businesses that were fortunate enough to make an early investment decision in the area. However, despite these benefits, there are many factors that IoT will pose serious threat to users if the related technologies are misused. In fact, such abuse will include serious hackings and cyber-attacks on the national infrastructure systems, and if this kind of vulnerability is exposed at the national-level, this will compel an adversary such as North Korea to consider major scale cyber war against South Korea. The abuses against individuals include capital and financial loss and damages from identity theft, increase of blackmailing and exposure and intentional infliction of accidents and damages. Regardless of these increasing threats, Korea’s government and businesses are not agile enough to adept to the rapidly changing circumstances. In particular, the policies and technology to counter IoT related cyber threat is lacking compared to the speed of technological development in the field. The major issue that will determine the successful adoption of IoT depends on the security and safe use of related technologies. In order to secure safety in the age of IoT, the government and business will need to cooperate in setting up necessary policy, strategic and legal framework to support the advancement of the area, as well as reinforce the measures to protect individual information and related industries.

      • KCI등재

        사물인터넷에 관한 공법상 쟁점과 입법정책 소고(小考)

        김영진 한국경제법학회 2016 경제법연구 Vol.15 No.3

        We cautiously expect a hyper-connected society will come true soon by the benefit of the Internet of Things (IoT). A lot of people’s anticipation is currently rosy because IoT technology must have a great ripple effect on diverse industrial areas, thus, finally lead to make a big benefit to us from an economic viewpoint. Yet, from a normative or legal approach, it is not easy to confirm that either a legal standard of IoT technology is decently established or a legislative support on IoT environment is successfully provided in our country, Korea. Being different with other previous researches, this article tries to focus on introduce diverse legal issues in public and legislative law fields concerning IoT. This article is mainly composed of two parts. The first part presents five legal topics in public law with regard to IoT: 1)IoT and a human character in constitutional law, 2)Firmware update under IoT and informational autonomy, 3)Information disparities under IoT and an equal right, 4)IoT and a personal data protection, 5)IoT and administrative automatic determination system. The second part mostly deals with available legislative policy on IoT in Korea. For this, above all, this article reviews both a meaning of IoT’s public value and an intervention of IoT’s public framework under two theoretical basis: pluralism and republicanism. Subsequently, this article analyzes two conceivable measures for supporting IoT legally: soft law support and hard law support. 사람, 사물, 공간, 데이터 등이 연결되는 초연결사회(Hyper-connected Society)는 더 이상 SF영화 속 상상에만 그치지 않고 IT기술 및 시스템의 현격한 발전에 따라 우리가 막연하게만 생각하던 미래상이 현실로 구현되는 시기가 점차 다가올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이를 선도할 수 있는 가장 유력한 기제에 해당하는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IoT)에 대하여 관련산업 종사자 및 이해관계 주체들이 주로 경제적 파급효를 중심으로 장밋빛 예측을 펼치고 있는 것도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이다. 그러나 현재 우리나라에서 사물인터넷에 대한 통일적 기준 내지 표준의 정립이나 법적․제도적 차원의 지원 등 적어도 규범적 측면에서 사물인터넷 관련 논의는 미완성의 진행형 단계에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며 현시점까지 결코 괄목할 만한 수준의 명확한 결과물이 있다고도 할 수 없다. 본고는 기존 선행연구들과는 관점을 다소 달리하여 앞으로 현 시대 혹은 근 미래에 우리 모두에게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는 보다 진보된 IT환경을 배경으로 새롭게 확산될 패러다임이자 시스템 기제에 해당하는 사물인터넷을 둘러싸고 펼쳐질 여러 논의들 중 주로 규범적 측면에서 접근하되 공법상 부각되고 생각해 볼만한 쟁점들을 간단히 소개하고 사물인터넷에 대한 법제적 차원의 지원을 위해 가능한 입법정책 역시 간략히 점검해 보는 것을 주된 목표로 삼았다. 우선 사물인터넷에 관한 공법상 쟁점으로는 첫째, 사물인터넷 환경과 헌법규범이 지향하는 인간상에 대한 숙려, 둘째, 사물인터넷의 펌웨어 업데이트와 정보자기결정권과의 관계, 셋째, 사물인터넷의 정보수집과정에 따른 정보격차와 평등권과의 관계, 넷째, 사물인터넷의 정보수집과 개인정보보호 문제, 다섯째, 사물인터넷과 행정의 자동결정 문제 등을 살펴보았다. 또한 사물인터넷에 관한 입법정책으로는 총론적 관점에서 사물인터넷의 공공성에 대한 인식제고 및 공적 개입 논의와 사물인터넷의 공공성을 실현하기 위한 입법전략으로서의 다원주의적 관점 및 공화주의적 관점을 살펴보았고 각론적 관점에서 사물인터넷에 대한 법제적 지원방안으로 우리의 규범현실에서 상정해 볼 수 있는 연성법적 지원방안과 경성법적 지원방안을 각각 검토해 보았다.

      • KCI등재

        사물 인터넷 경량 사물 인터넷 클라우드를 위한 DB 기반 가상 파일 시스템 구현

        이형봉 ( Hyung Bong Lee ),권기현 ( Ki Hyeon Kwon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4 정보처리학회논문지. 컴퓨터 및 통신시스템 Vol.3 No.10

        IoT(Internet of Things) is a concept of connected internet pursuing direct access to devices or sensors in fused environment of personal, industrial and public area. In IoT environment, it is possible to access realtime data, and the data format and topology of devices are diverse. Also, there are bidirectional communications between users and devices to control actuators in IoT. In this point, IoT is different from the conventional internet in which data are produced by human desktops and gathered in server systems by way of one-sided simple internet communications. For the cloud or portal service of IoT, there should be a file management framework supporting systematic naming service and unified data access interface encompassing the variety of IoT things. This paper implements a DB-based virtual file system maintaining attributes of IoT things in a UNIX-styled file system view. Users who logged in the virtual shell are able to explore IoT things by navigating the virtual file system, and able to access IoT things directly via UNIX-styled file I·O APIs. The implemented virtual file system is lightweight and flexible because it maintains only directory structure and descriptors for the distributed IoT things. The result of a test for the virtual shell primitives such as mkdir() or chdir() shows the smooth functionality of the virtual file system, Also, the exploring performance of the file system is better than that of Window file system in case of adopting a simple directory cache mechanism.

      • KCI등재

        사물인터넷(IoT) 사용에 대한 초기 이용자의 탐색적 유형연구

        이종윤 ( Jong Yoon Lee ),홍장선 ( Jang Sun Hong ),윤주현 ( Joo Hyeon Yoon ) 한국주관성연구학회 2015 주관성연구 Vol.- No.30

        사물인터넷(IoT)은 모든 사물(클라우드, 빅데이터,모바일 등)에 연결성을 추가, 새로운 서비스와 플랫폼이 탄생해 다양한 융합산업을 창출 및 촉진할 것으로 본다. 본 연구의 목적은 사물인터넷(IoT) 이용자들이 어떠한 만족을 얻고,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이해하고 그 유형을 발견하는데 있다. 제1유형인 매력적 사물인터넷 이용자-긍정적 프라이버시형은 사물인터넷(IoT) 사용에 대해서 긍정적이나 프라이버시 보호장치의 보완이 필요하며, 사물인터넷(IoT)을 언제 어디서든 공간의 제약없이 다각적으로 편리하게 활용한다. 제2유형인 반감적 사물인터넷 이용자-반감적 프라이버시형은 사물인터넷(IoT) 사용에 대해서 부정적인 성향과 프라이버시 침해를 문제로 들고 있으며, 디지털적인 이로움보다 사생활 침해에 대한 반감이 더 크다. 제3유형인 제한적 사물인터넷 이용자-오류방지 제시형은 사물인터넷(IoT) 사용에 대해서 긍정적이나 부정확한 정보전달에 대한 방지가 필요하다고 인식하며, ‘원격제어’, ‘원격사용’에 대한 편의성에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다. 제4유형인 부정적 사물인터넷 이용자-사생활 신중형은 부정적인 인식과 사생활 침해의 요소가 많은 기기로 인식하며, 공공의 이익과 사생활 침해의 대립, 실제 사용 영역의 한계를 문제점으로 들고 있다. 본 연구결과는 사물인터넷(IoT) 이용 및 만족도 향상을 위한 구체적인 발전 방안을 마련해 줄 것이다. The Internet of Things (IoT) will lead to new services and platforms by additionally providing connectivity with all ‘things` (i.e. cloud, big data, mobile).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identify the satisfaction that users of IoT gain and users` awareness and investigate different types of satisfaction and awareness. Type 1, shows positive attitudes towards the user of IoT but requires supplementation of privacy protection equipment for IoT use with a desire of easily using IoT without limitations of time and location. Type 2, shows a negative attitude towards the use of IoT and rises issues on invasion of privacy; their animosity towards invasion of personal lives is greater than the digital benefits. Type 3, shows a positive attitude towards the use of IoT but also is aware that inaccurate information delivery should be prevented; they are positively aware of the convenience of ‘remote control` and ‘remote use.` Type 4, have negative awareness of IoT and regard it as a device that has many factors related to invasion of privacy; they point out the limits of the practical use domain and the conflict between public interest and privacy invasion as problems. This research will provide a specific development method to improve the use and satisfaction of IoT.

      • KCI등재

        사물인터넷과 개인정보보호

        황창근 한국법제연구원 2014 법제연구 Vol.- No.46

        In the age of Internet of Things(IoT), every behaviors and data of individuals is unnoticeably collected by things and exploited by big data. Consequently, a risk of infringement on personal data increases. There are hardly any policies at home and abroad which directly dealing with personal data protection issues related to Internet of Things. Amongst domestic personal data protection laws, Location data law is the most closely related law to Internet of Things. About existing personal data protection law, it is necessary to reconsider the opt-in rule, a notion and protection extent of personal data and location data and the business rgulation regarding personal data collecting and exploiting. It is neither desirable regulating Internet of Things in order to protect personal data nor giving up personal data protection for the purpose of revitalizing Internet of Things. What is required is a balanced measure to reduce riskiness of invasion of personal data and also to revitalize Internet of Things. It is inevitable consequence that data within things connected by internet are collected and utilized. Thus, the highest importance lies in a switchover to that data are easily collected but not exploited with strict control. Moreover, taking into account establishment of international norms and transactions, Internet of Things needs to follow a formation of international standards rather than to be legislated hastily. 사물인터넷 시대에는 개인의 모든 행동, 정보가 사물을 통하여 부지불식간 수집되고, 빅데이타를 통하여 활용되게 되는 것이므로 개인정보의 침해위험성이 보다 높아진다. 아직 국내외 정책동향을 보더라도 사물인터넷에서의 개인정보보호의 문제를 직접적으로 다룬 것은 발견하기 어렵다. 국내의 개인정보보호법제 중 사물인터넷과 가장 관련이 많은 법제는 위치정보법이다. 기존의 개인정보보호법제에 있어서는 개인정보의 수집, 이용 등의 경우에는 정보주체의 사전동의원칙, 개인정보 내지 위치정보의 개념 및 보호범위, 위치정보법상 사업자 등에 대한 재검토가 필요하다. 개인정보 보호를 위하여 사물인터넷의 활성화를 규제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고, 반대로 사물인터넷의 활성화를 목적으로 개인정보 보호를 포기하는 것도 바람직하지 않다. 어떻게 하면 개인정보 침해 가능성을 줄이면서 사물인터넷의 활성화를 도모할 것인가의 균형 잡힌 대책이 필요하다. 인터넷으로 연결된 사물이 가지고 있는 정보의 수집과 이용을 피할 수 없는 현실에서는 수집은 용이하게, 이용은 엄격하게 통제하는 수집에서 이용으로의 발상의 전환이 무엇보다도 필요하다. 또한 사물인터넷은 국제적으로 표준이 설정되고 거래가 이루어지는 것을 감안하여 성급한 입법 보다는 국제적인 규범의 형성을 따라가는 것이 필요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