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아리스토텔레스주의와 토마스주의에 관한 비교 연구 영혼(psyche)의 불멸을 중심으로 -

        이상일 범한철학회 2013 汎韓哲學 Vol.69 No.2

        When we study the teaching on the immortality of the soul. It is essential that we examine the relations Aristotle’s teaching on the happiness and his teaching on the immortality of the soul with St. Thomas’s teaching s on the perfect happiness in the coming life and the immortality of the soul. because St. Thomas’s teachings is based on Aristotle’s teachings when he establishes tis teachings on the immortality of the soul. Then, On the relations of between two teachings, There are two elucidations. One is a philosophical elucidation. The scholars who assert a philosophical elucidation maintain that he completes teachings on the perfect happiness in the coming life and the immortality of the soul with his own philosophical proof by being based on Aristotle’s teaching on the happiness and the immortality of the soul. Another is a theological elucidation. The scholars who assert a theological elucidation maintain that st. Thomas teaching of the immortality of the soul is never philosophical not only in the original intention but also in evolving those teachings. I will argue detailedly about these things by dividing into st. Thomas’s two text, that is, “Sententia libri Ethicorum” and “Summa contra Gentiles.” First, I will try to examine into st. Thomas’s the immortality of the soul in the “Sententia libri Ethicorum” by centering about James C. Doig’s assertion. And then, I will refute against this by centering about allegations of Harry v. Jaffa and of several scholars. Second, I will examine into James C. Doig’s assertion on st. Thomas’s the immortality of the soul as a natural desire and then by centering about ralations the immortality intellect as the part of the soul with the immortality of the soul. And then, I will refute against James C. Doig’s allegations by centering about F. C. Copleston’s assertios and several scholar’s assertions.After this, I will conclude that st. Thomas doesn’t evolve a philosophical work but in fact evolves a theological work in the process og evolving his teachings on the immortality of the soul. After all, I will conclude that St. Thomas must have evolved his teachings on the immortality of the soul, not as a philosopher but as a thelogian although st. Thomas evlves his teachings by being based on Aristotle’s teachings. 우리가 성 토마스(St. Thomas)의 영혼의 불멸에 관한 교설들을 연구할 때, 아리스토텔레스의 행복에 관한 교설들, 그리고 영혼의 불멸에 관한 그의 주장과 성 토마스의 내세에서의 완전한 행복에 관한 교설, 그리고 그의 영혼의 불멸에 관한 교설들과의 관련성들을 검토해보는 것은 필수적이다. 왜냐하면, 성 토마스가 자신의 영혼의 불멸에 관한 교설들을 수립함에 있어서, 그의 교설들은 아리스토텔레스의 교설들을 기본적인 토대로 삼고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 양자 사이의 관련성에 관하여 두 가지의 해석이 존재한다. 하나는 철학적인 해석이다. 철학적인 해석을 주장하는 학자들은 성 토마스가 아리스토텔레스의 행복에 관한 주장과 영혼의 불멸에 관한 교설들을 토대로 하여, 자기 자신의 철학적인 논증들을 가지고서 내세에서의 완전한 행복과 영혼의 불멸의 교설을 완성시켰다고 주장한다. 또 다른 하나는, 신학적인 해석이다. 신학적인 해석을 단언하는 학자들은 성 토마스의 영혼의 불멸의 교설은 본래적인 의도에 있어서 뿐만 아니라 그러한 교설의 전개에 있어서도 결코 철학적이지 않다고 주장한다. 다시 말하면, 성 토마스의 시도는 신학적이라는 것이다. 본 연구자는 이러한 논쟁들을 성 토마스의 두 가지의 본문, 즉 『윤리학 주해』(Sententia libri Ethicorum)와 『대(對)이교도 대전』(Summa contra Gentiles)으로 나누어서 상세하게 논의해 볼 것이다. 첫째, 성 토마스의 『윤리학 주해』 안에서의 영혼의 불멸에 관하여 도이그(James C. Doig)의 주장을 중심으로 살펴볼 것이다. 그리고 나서 본 연구자는 이에 대하여 제이퍼(Harry V. Jaffa)와 몇몇 학자들의 주장들을 중심으로 해서 반론을 제기할 것이다. 둘째, 본 연구자는 성 토마스의 『대(對)이교도 대전』 안에서의 영혼의 불멸에 관한 도이그(James C. Doig)의 주장에 관하여 검토하고 난 후에, 성 토마스의 본성적인 욕구로서 영혼의 불멸, 그리고 그의 영혼의 부분으로서 불멸하는 지성과 아리스토텔레스의 영혼의 불멸에 관한 주장을 중심으로 해서 검토해 볼 것이다. 그리고 나서 본 연구자는 도이그의 이러한 주장에 대하여 코플스톤(Frederic C. Copleston)과 여러 학자들의 주장들을 중심으로 해서 반론을 제기할 것이다. 그러한 후에, 본 연구자는 성 토마스는 영혼의 불멸에 관한 교설을 전개함에 있어서, 사실상 자기 자신의 신학적인 의도를 가지고서 철학적인 작업이 아닌 신학적인 작업을 시도했다고 주장할 것이다. 그리하여 본 연구자는 비록 성 토마스가 아리스토텔레스의 교설들을 토대로 하여 그의 교설들을 전개했을지라도, 성 토마스는 한 사람의 철학자로서가 아닌 한 사람의 신학자로서 그의 영혼 불멸에 관한 교설을 전개한 것임에 틀림없다는 결론을 내릴 것이다.

      • KCI등재

        오르페우스교와 플라톤 사상으로 살펴본 나그함마디 문서의 영혼의 여행

        조재형 한국신학정보연구원 2022 Canon&Culture Vol.16 No.1

        By using history of ideas and the method of comparative religion, this paper studies the influence of the journey of the soul on the theology of Gnostic Christianity in the Nag Hammadi Library. I discus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oul and the notion of immortality of the ancient Greeks, centering on Irwin Rhode’s Soul. In particular, according to Rohde, the ritual of the soul provides a root for the immortality of the soul and the future life of the soul. The concrete idea of the immortality of the soul becomes more clearer through Orphism and Platonism. The monad (God) in the Nag Hammadi library is an invisible entity, but it is the source of all things, from which the human soul is also released. Like the monad, because this invisible soul becomes an individual human being, it receives more attention than that of the god in the history of religion. The perfect and good monad establishes justice by releasing human souls to this world, and by calling them back to be judged. This soul’s journey is demonstrated in The Apocryphon of John, The Prayer of Apostle Paul, the Gospel of Thomas, Acts of Thomas, The Exegesis on the Soul, Authoritative Teaching, and The Gospel of the Egyptians in detail. Therefore, based on the pre-existence and immortality of the monad, they reveal that the human soul comes out of the monad and returns to it, which suggests that humans become children of God in the original meaning, and ultimately the idea of becoming one with God. 이 논문은 나그함마디 문서에서 영혼의 여행이 영지주의 그리스도교의 신학에 끼친 영향을 사상사 비평법과 종교사적 비교연구로 고찰하는 것이다. 필자는 먼저 어윈 로데의 『영혼』을 중심으로 고대 그리스인이 가졌던 영혼과 불멸 사상의 관계를 논한다. 특히, 로데에 의하면, 영혼제의는 영혼불멸과 영혼의 미래 삶에 대한 뿌리를 제공하는데, 구체적인 영혼불멸 사상은 디오니소스 제의와 오르페우스교를 거치면서 더욱 확고해진다. 소크라테스도 오르페우스교의 영향을 받았고, 플라톤은 소크라테스의 사상에다 오르페우스교의 전통을 보다 체계화해서 그의 영혼론을 확립하게 된다. 그는 인간의 탄생이 영혼의 하강과 함께 시작되고, 인간 육체의 죽음은 새로운 환생을 위한 영혼의 여행이 되기 때문에, 인간의 구원은 영혼의 윤회를 멈추게 하는 존재의 지식을 통해서 가능하게 된다고 주장한다. 나그함마디 문서에서 모나드(하느님)는 눈에 보이지 않는 존재이지만 모든 것의 근원이 되며 이 모나드로부터 인간의 영혼도 방출된다. 모나드처럼 눈에 보이지 않는 이 영혼이 인간이라는 개체 존재와 함께 있다고 믿기 때문에 영혼은 신(god)보다도 종교사에서 더 많은 관심을 받는다. 완전하고 선한 모나드(하느님)는 인간 영혼을 방출하여 이 세상에 보내고, 또 그 영혼을 다시 불러들여 심판함으로써 공의를 세운다. 나그함마디 문서의 대표적인 문서인 『요한 비밀서』, 『도마복음』, 『도마행전』, 『영혼에 관한 주석』, 『이집트인의 복음』은 바로 이러한 영혼의 여행을 자세하게 보여준다. 그러므로 나그함마디 문서는 모나드의 선재성과 불멸성을 기반으로 인간 영혼이 모나드로부터 나와서 다시 모나드로 돌아가는 영혼의 여행을 잘 드러내고, 이를 통해서 인간이 본디 의미의 ‘하느님의 자녀’가 되고, 궁극적으로는 하느님과 하나가 된다는 사상을 제안한다.

      • An Examination of LeRoy Froom’s Understanding About Luther’s Soul Sleep

        Donny Chrissutianto 삼육대학교 신학연구소 2018 신학과 학문 Vol.24 No.-

        LeRoy Froom is a notable scholar among conditionalists. His two-volumes work, The Conditionalist of Our Fathers, has been a classic writing for understanding conditionalism. He believes that Martin Luther was a conditionalist. Nowadays, there are more Luther’s writings accessible and translated into English, so that to understand comprehensively Luther’s concept on soul sleep becomes possible. Scholars are divided in understanding Luther’s soul sleep. Some believe that he was a conditionalist and the other consider Luther believed in immortality of the soul. This division provides a further examination of Luther’s soul sleep especially in the writing of LeRoy Froom. By comparing Froom ideas of Luther’s soul sleep and Luther’s statements, one can identify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This may contribute to better understand the writing of Froom and Luther regarding the state of the dead. This study indicates that there are more differences than similarities between these two ideas. Froom argues that the soul sleep concept of Luther shows that he was a conditionalist. He suggests that Luther believed in both the body and soul died in afterlife. This idea influences his understanding that Luther did not believe in immortality of the soul. However, a careful reading on Luther’s statements on the soul sleep shows that Luther never believed in the death of soul in afterlife. When he stated about the “soul sleep” idea, he was discussing that the soul is still alive even in the condition of sleeping. Luther explained that the dead know nothing is like someone who is sleeping and does not know about anything. The difference in concept between Froom’s interpretation of Luther’s soul sleep and Luther’s transmitted sources affects his understanding on Luther’s idea about purgatory, the Resurrection, and eternal torment. Froom comprehends that Luther rejected the doctrine of purgatory and eternal torment but seemingly Luther accepted the idea of purgatory but not its Catholic concept. He also believed that the eternal torment would be started after the Resurrection. The variances between Froom’s interpretation and Luther’s statements on soul sleeps may be caused by a combination of factors. One of the factors is that Froom may have been relying on other conditionalist scholars’ opinion when he interprets Luther’s writings. On the other hand, primary sources of Luther’s writings especially on the Lectures on Genesis, quotations of some Christian authors, his Sermons and Table Talks are also a subject of criticism as it is pointed out by Jaroslav Pelikan and Preserved Smith. However, Pelikan still argues that even some editorial works may have been done by editors but the “voice” of Luther is still maintained in his writings.

      • KCI등재

        플라톤의 영혼론의 전개

        김윤동 대한철학회 2020 哲學硏究 Vol.155 No.-

        Plato demonstrates the immortality of soul in 「Phaedo」, based on the resemblance between idea and soul. Namely he wants to get immortality from simplicity, indivisibility, independence, invisibility of soul. In this process, soul and body show an opposite relationship, and both survive in inconvenient conditions. Soul waits only for the day of departure through exercise of death. In 「Republic」 Plato gives up this extreme dualism and tries to reconcile soul and body. In book Ⅳ he divides soul into three parts. The contrast between soul and body is explained by the conflicts of these tripartite elements. This is the development of Plato's psychology. When he divides the soul into three parts, namely reason, spirit, and desire, we can find grounds for the external cause of the tripartite state and internal cause of the psychological conflicts. ‘Psyche’, meaning ‘power of life’ originally, obtains the philosophical basis in Plato. In book Ⅹ, he insists that the only rational part is immortal. 「Timaeus」 is the book of Plato's cosmology and explains the process of making the soul. The cosmic body was made from four elements (water, fire, air, earth). The cosmic soul entered into the cosmic body and the intelligence (nous) entered into the cosmic soul. After that, Demiurge makes the human soul directly by himself, placing that divine soul into the head. The spirit and desire of the soul are made by celestial bodies (gods). In 「Timaeus」 soul is also tripartite. These two irrational parts of soul are mortal in the end. On the other hand, the rational part of soul (logistikon) is immortal as gods. 소크라테스는 인간의 본질을 육체가 아닌 영혼으로 보고, “영혼을 돌보는 것이 인간의 최대관심사이어야 한다.”라고 설파하였다. 인생의 목적이 덕(德)의 실현에 있고, 영혼은 바로 덕이 실현되는 장소이기 때문이다. 그의 영혼에 대한 관심은 제자 플라톤에 이르러 보다 체계적인 영혼론으로 발전하여, 이데아론과 함께 중요한 철학적 탐구영역으로 자리매김한다. 「파이돈」편에서는 오르페우스교와 피타고라스교의 내세지향적인 윤회설에 근거하여 영혼의 신적이고 불멸적인 본성을 찾고자 영혼 불멸증명을 시도한다. 윤회설과 상기설, 이데아와의 유사성, 가설의 방법을 동원한 증명들은 온전한 성공을 거둘 수 없었다. 따라서 플라톤은 논리적 증명의 한계를 사후(死後)의 신화(神話)로 보완하였다. 아무튼 「파이돈」에서 보여준 영혼은 초기 이데아의 배타성, 초월성, 불변성과 유사한 성질을 가진 나머지, 자기의 육체와 대립하게 되고 육체라는 감옥에서 해방되기 위해 죽음을 연습(philosophia)할 수밖에 없었다. 그러나 플라톤은 「국가」편에서 영혼을 삼분(三分)하는 방향으로 나아갔다. 즉 「파이돈」에서 단일하게 보였던 영혼이 이성적 부분, 격정적 부분, 욕망적 부분으로 되어 있어, 서로 간에 갈등을 일으키는 것으로 설명하였다. 이러한 면모는 영혼을 육체와 대립 내지 적대관계로 보는 것이 아니라, 육체와 화해하고 육체를 다스리는 역할을 중시한 데서 비롯된다. 이성이 격정과 욕망을 잘 다스릴 때, 지혜‧용기‧절제라는 각각의 덕(德)이 조화를 이루어 정의로운 인간이 된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플라톤은 영혼의 단일성을 포기하고 복합적 영혼에로 나아갔는가? 영혼의 단일성에 근거한 불멸성은 어떻게 확보되는가? 영혼의 세 부분 중 이성적 부분만 불멸하는가, 아니면 조화를 이룬 세 부분이 하나의 전체로서 불멸하는가? 이러한 어려운 문제들이 풀기 어려운 실타래처럼 엉겨있다. 「파이드로스」편에서 영혼은 ‘스스로 운동하는 자’로서 불멸적이고 모든 운동의 원인임을 증명하고자 한다. 그리고 뒤이은 신화에서 천상의 영혼들이 신들의 영혼이건 인간으로 탄생할 영혼이건 간에, 세 부분으로 활동하고 있는 장면을 묘사하고 있다. 이리하여 영혼의 삼분(三分) 문제는 더욱 복잡한 양상으로 얽히게 된다. 어떻게 육체를 입기 전의 영혼에도 이성‧격정‧욕망이라는 세 요소가 있다는 말인가? 플라톤은 모든 인간의 활동의 원인이 영혼에 있음을 보여주기 위해서였다. 여하튼 선재(先在)하는 영혼의 삼분(三分)은 「국가」편의 삼분적 영혼의 선험적 근거를 마련해주었다. 「티마이오스」편은 플라톤 영혼론의 완결판이라 할 수 있는데, 여기서도 영혼은 세 부분으로 구분된다. 이전 대화편들과 달리, 세계영혼이 기하학적 비례에 따라 먼저 제작되고, 그 뒤에 인간 영혼이 제작된다. 인간 영혼의 기원이 분명히 밝혀진 셈이다. 그리고 세 부분의 영혼이 각각 위치하는 신체적 기관까지 명시함으로써, 영혼이 모든 인간 활동의 원인이고 육체를 지배하는 원리임을 증명한다. 「티마이오스」편은 세 부분의 영혼이 하나의 통일체로서 불멸하는 것이 아니라, 머리에 위치한 이성적 부분만이 불멸적임을 분명히 밝히고 있다. 이 부분은 데미우르고스가 직접 만든 것이고 나머지 사멸적 두 부분은 천신(天神)들 즉 천체들에게 제작을 맡겼다. nous가 그 안에 들어있는 이성적 부분 ...

      • KCI등재

        플라톤의 〈파이드로스〉편에 나타난 영혼의 문제

        김윤동(Kim Yoon-Dong) 대한철학회 2007 哲學硏究 Vol.103 No.-

        플라톤은 〈파이돈〉 편에서 영혼의 불멸성을 이데아와 영혼간의 유사한 성질에 근거하여 증명한다. 즉 영혼의 단일성, 불가분성, 독립성, 비가 시성에서부터 불멸성을 도출하고자 한다. 이 과정에서 영혼과 육체는 대립적 관계를 보여주며, 양자는 반대적 성질로 말미암아 불편한 동거로 일관한다. 영혼은 죽음의 연습을 통해 육체와 결별할 날만을 기다린다. 이에 반해 〈파이드로스〉편의 영혼불멸증명은, 영혼이 영원히 운동하고 스스로 운동하는 것으로서 모든 운동의 원인이라는 사실을 통해 수행된다. 영혼은 육체에 운동과 생명을 부여하는 실재이다. 따라서 영혼과 육체는 상호 불가분리적인 유기체를 이룬다. 이를 뒤따르는 신화는 영혼이 물질, 즉 영혼 없는 것에 대해 돌봄과 다스림의 임무를 지니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리하여 〈파이돈〉에서의 이데아계와 현상계, 영혼과 육체의 분리는 〈파이드로스〉에서 화해와 통일의 국면으로 전환된다. Plato demonstrates immortality of soul in 〈Phaedo〉, based on resemblance between Idea and soul. Namely he wants to get immortality from simplicity, indivisibility. independence, invisibility of soul. In this process, soul and body show opposite relation, and both survive in inconvinient condition. Soul waits only the day of departure through exercise of death. On the contrary, the demonstration of soul’s immortality in 〈Phaedrus〉 consists of the facts that soul as eternal-moving and self-moving entity is cause of all movements. Soul is reality that gives motion and life into body. So soul and body become inseparable organic body together. The myth in 〈Phaedrus〉 shows that soul ought to care and order to souless matter. So separation between Ideas and phenomena, and between soul and body in 〈Phaedo〉 converts to reconsiliation and unity in 〈Phaedrus〉.

      • KCI등재

        그리스 종교와 철학의 관점에서 살펴 본 신약성서의 영혼의 여행

        조재형(Jae Hyung Cho) 한국신학정보연구원 2021 Canon&Culture Vol.15 No.1

        서구 철학과 종교에서 영혼은 유사한 얼개와 속살을 공유하는 환생, 윤회, 부활 사상의 토대이자 불변하는 주체이기 때문에 신에 대한 연구만큼 중요한 주제이다. 그리스의 영웅들이 엘뤼시온 들판에서 지복을 누리며 영원히 산다는 호메로스와 헤시오도스의 증언은 당연히 영혼 불멸성에 근거한 영웅숭배 제의를 발전시켰다. 그리스도교의 부활과 관련된 신앙에서 영혼은 인간의 본질을 나타내는 중요한 지표로 간주되었다. 영혼 불멸성에 대한 개념은 논쟁적인 주제였으며, 영혼의 여행은 영지주의 문서를 판단하는 시금석으로 사용되었다. 특히, 오르페우스교, 디오니소스 제의, 소크라테스, 플라톤으로 이어지는 영혼에 대한 논쟁들을 신약성서의 영혼의 여행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준다. 이러한 해석을 기반으로 신약성서 기자들(바울, 요한, 마가, 누가)은 예수의 십자가 사건을 통한 인류 구원의 목적이 “믿음의 결국은 영혼의 구원이다”(벧전 1:9)라는 사상을 도출하여, 그리스-로마 세계에서 그리스도교의 신앙을 전파하였다. 요한과 바울을 비롯한 신약성서 기자들은 영혼의 여행이라는 개념을 통해서 그리스 종교와 철학의 전통을 계승한 영혼관을 산출하였다. 그러므로 그리스 종교와 철학의 관점에서 살펴본 신약성서의 영혼의 여행은 영혼선재설과 불멸설의 근거를 제공한다. 이것을 토대로 모나드로서의 하나님에 대한 이해와 이 모나드로부터의 영혼이 방출된다는 것까지도 알려주기 때문에, 신약성서 자체가 고대 영지주의 사상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는 증거가 된다. 이러한 영혼에 대한 인문학적 접근은 영혼에 대한 신약성서의 기록을 문자적으로만 해석하지 않고, 사상사적 배경에서 해석하도록 도와준다. In Western philosophy and religion, the human soul is a research subject as important as God, for it is the foundation of thoughts of rebirth, reincarnation, and resurrection, sharing similar features and frames with the latter. Homer and Hesiod’s accounts in which Greek heroes blissfully lived forever in the fields of Elysion had naturally developed the idea of the immortality soul, which later established the cult of heroes. In Christian beliefs on resurrection, the soul is regarded as an essential indicator of human nature. The immortality of the soul has always been a controversial subject, and the journey of the soul is often used as a touchstone for defining Gnostic texts. In particular, debates on the soul among Orphism, the cult of Dionysus, Socrates, and Plato, helped to understand the journey of the soul in the text of the New Testament. Based on these interpretations, the New Testament writers (such as Paul, John, Mark, and Luke) could forge ideas that the purpose of human salvation through the crucifixion of Jesus Christ is “the salvation of your souls” (1 Peter 1:9). By doing so, they could successfully spread Christianity throughout the Greco-Roman world at that time. Therefore, from the perspective of Greek religion and philosophy, the journey of the soul in the New Testament could provide the basis for the pre-existence and immortality of the soul. This proves that the New Testament itself was probably influenced by ancient Gnostic thoughts that perceived God as the monad and the emission of the soul to be from him. This humanistic approach to the soul helps to interpret the text of the New Testament not just literally, but also in the context of the history of ideas.

      • KCI등재

        마르실리오 피치노 철학에서 미 개념의 의미

        이순아 ( Soon Ah Lee ) 한국칸트학회 2009 칸트연구 Vol.24 No.-

        이 논문의 의도는 이탈리아 르네상스의 철학자 마르실리오 피치노(Marsilio Ficino, 1433-99)의 철학에서 미 개념의 의미를 살펴보는 것이다. 플라톤과 플로티누스가 하나의 통일적인 근본사상으로 소생되어 있는 피치노의 사상은 미는 선의 광휘라는 플라톤주의적 성찰이 중심이 되고 있으며, 르네상스 예술에 광범위한 영향을 미쳤다. 인문주의와 <플라톤 아카데미>를 배경으로, 피치노는 `플라톤 신학`을 통해 플라톤 철학과 그리스도교 신학의 본질적인 일치를 증명하였다. 『플라톤 신학』의 부제는 영혼불멸성으로서, 영혼을 중심적 위치로 하는 우주론적 존재위계를 체계화하였다. 우주의 매개자로서의 인간영혼의 목표는 점진적인 내적 상승 즉 관조를 통한 신과의 합일이며, 이때 인간은 영혼불멸을 얻는다. 따라서 영혼불멸성은 인간의 존엄과 신성의 근거이다. 피치노의 우주론과 관련하여, 미는 능동적으로 사랑을 베푸시는 신이 맨 먼저 천사들을 비추고 나서 인간의 영혼을 조명하고 마지막으로 물질세계를 밝혀주는 신의 자태의 광휘이다. 이러한 미의 본질적 특성이 현상하기 위한 선결조건으로서 미의 또 다른 원리는 수적질서이다. 따라서 미는 `신성이 빛나는 비례`이며, 사랑을 불러일으킴으로써 인간영혼의 상승의 동인이다. 신적 선의 광휘로서의 미를 향유하려는 욕구인 사랑은 우주적 조화와 통일의 원리로서, 신적·예지적인 것과 감각적인 것을 매개한다. 사랑의 광기를 통하여 인간영혼은 신과 합일하고 지고한 행복과 영혼불멸을 얻는다. 바로 이것이 피치노의 `플라톤적 사랑`의 의미이다. 이로써 피치노 사상의 궁극 목표인, 플라톤주의 전통으로부터 유래하는 인간영혼의 신에게로의 내적 상승이라는 관념을 전제로 하고, 그의 철학의 지축인 영혼불멸성 및 미와 사랑의 관계와 관련하여, 피치노에게 미는 인간영혼의 내적 상승의 동인이다. 즉 피치노의 `플라톤적 신학`에서 미 개념의 실제적 의미는, 바로 인간이 신적 선함이 반사된 아름다운 사물을 봄으로써 불러 일으켜져서 자기 자신을 성찰하게 되고 내적으로 아름다운 선한 존재로 변형되어 자신의 신성을 발견하게 된다는 데 있다. The intention of this dissertation is to explore the meaning of beauty in the philosophy of the Italian Renaissance philosopher Marsilio Ficino(1433-99). In Ficino`s writings Plato and Plotinus are revived as a unified doctrine, and the Platonic reflection that beauty is the splendor of the good is central. As such, Ficino`s thought had a vast influence on the culture and the arts of the Renaissance. With humanism and the Platonic Academy in the background, Ficino proved, through `Platonic theology,` the essential unity between Platonic philosophy and Christian theology. The subtitle of Theologia Platonica is "the immortality of the soul." In this work, he systematized the cosmic hierarchy of being in which the soul occupies the central place. The goal of the human soul as the mediator of the universe is the gradual inner ascent, or unity with God through contemplation, and this is when man acquires an immortal soul. Accordingly, the immortal soul is the evidence of human dignity and divinity. In connection with Ficino`s cosmology, beauty is the splendor of the divine countenance, in which the actively loving God first lights the angels, then illuminates the human souls, and lastly shines the material world. Another principle of beauty, as the precondition for the revelation of this beauty, is the mathematical order. Accordingly, beauty is the lucid proportion(lucida proportio), and it motivates the ascent of the human soul by arousing love. Love, which is the desire for enjoying beauty as the radiance of divine goodness, is the principle for cosmic harmony and unity; it mediates the divine and intelligible, and the sensible. Through love, the human soul becomes a union with God and acquires beatitude and immortality. This is the meaning of the "Platonic love," espoused by Ficino. Thus, in terms of the ultimate goal of Ficino`s thought, which takes as its premise the notion of the inner ascent of the human soul to God from the Platonic tradition, and in connection with the immortality of the soul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beauty and love, the two axes of his philosophy, beauty is the motive for the inner ascent of the human soul. The real meaning of Ficino`s concept of beauty consist in the very fact that man is provoked by seeing the beautiful things which reflect the divine good so that he reflects on himself, transforms himself into the internally beautiful being, or Good itself, and finally finds his own divinity.

      • 화이트헤드의 불멸 개념 연구: 화이트헤드의 ‘객체적 불멸성’ 개념을 중심으로

        전철 한국화이트헤드학회 2014 화이트헤드 연구 Vol.0 No.29

        This article aims to examine the concept of objective immortality of Alfred N. Whitehead. Whitehead distinctly suggests the subjective mortality and objective immortality by relating them with the conceptualization of objective immortality. By him, the subject is created and perished every moment but all of the occasions are not vanishing, becoming objective. God embraces the perishing of every subjective mortality as objective, functioning as a basis of objective immortality. This study pays attention to the passage of nature of cosmos as a premise of the idea of the objective immortality. Furthermore, it investigates how the observation functions as a significant basis of objectification and how the objective immortality as a metaphysical notion is justified and signified from an anthropological viewpoint. Through it, this research tries to specifically reinterpret the religious-anthropological meaning of Whitehead's concept of objective immortality. 본 연구는 화이트헤드의 객체적 불멸성(objective immortality) 개념에 대한 검토를 목적으로 한다. 화이트헤드는 자신의 불멸론 안에서 주체적 소멸(subjective mortality)과 객체적 불멸(objective immortality)의 개념적 구상을 명료하게 제시하였다. 화이트헤드에 의하면 주체는 매 순간 순간 탄생되고 소멸되나 그 모든 사건은 객체적으로 기여가 되고 사라지지 않는다. 신은 모든 주체의 소멸을 객체적으로 품으며 객체적 불멸성의 근거로서 기능한다. 본 연구는 이러한 객체적 불멸성의 관념의 전제로서 우주의 관계성과 과정성을 주목하였다. 더 나아가서 본 연구는 객체화의 중요한 근거로서의 우주의 연장성과 관찰의 문제, 그리고 형이상학적 개념인 객체적 불멸성이 인간학적-신학적 관점에서 어떠한 정당성과 의미를 지니는지를 검토하였다. 이를 통하여 화이트헤드의 객체적 불멸성 개념의 학제간 대화 가능성, 특히 신학적 함의를 조명하였다.

      • KCI등재

        피치노의 사랑론과 예술적 영감

        이순아 한국고전중세르네상스영문학회 2011 중세근세영문학 Vol.21 No.2

        The intention of this thesis is to explore the concept of love(amor) and the artistic inspiration that it provided for Renaissance art by examining the Italian Renaissance philosopher Marsilio Ficino's Commentary on Plato's Symposium. The core of Ficino’s Platonism is the immortality of the soul, for which the goal of the human soul as the mediator of the universe is the union with God through a contemplative ascent. Accordingly, the immortal soul is the evidence of human dignity and divinity. The other aspect of the ascent of the soul is love. Love is the motive force of the whole universe, the universal pursuit of God, and so the key to Ficino’s entire system. In connection with Ficino’s cosmology, beauty is the radiance of the divine goodness, in which the actively loving God lights the universe. So it appears as a harmonious structure in the universe. That is, beauty is the lucid proportion(lucida proportio), and it motivates the ascent of the human soul by rousing love. Accordingly, love is the principle for cosmic harmony and unity, and so through the divine madness(furor divinus) of love, the human soul becomes united with God and acquires beatitude and immortality. This is the meaning of the ‘Platonic love,’ espoused by Ficino. According to Ficino’s thought which was influential in Renaissance period, art, which handles, changes, and forms the materials of the world, is the production of a god on earth, and a reflection of the divine. So, the concept of love became the inspirational principle for the exalted artist as the divine maker. Thus the role bestowed upon Renaissance artists was to intuit and represent the supreme beauty by the ascent to intelligible principles from sensible experiences through the divine madness of love for beauty. The divine madness was the creative motive for artistic activity. Thus, love is the motive for the inner ascent of the human soul. Indeed, through love for beauty as the splendor of the divine goodness, man can ascent from the earthly love to the heavenly love to unite with God, and artist can intuit the divine beauty from the sensible beauty for artistic creation.

      • KCI등재

        불멸성에 관한 철학적 증명들

        구인회(Ku, In Hoe) 가톨릭생명윤리연구소 2012 인격주의 생명윤리 Vol.2 No.2

        이 논문에서 필자는 플라톤과 칸트, 아리스토텔레스와 토마스 아퀴나스와 같은 철학자들이 불멸성에 대해 어떻게 증명하고자 했는지 살펴보았다. 플라톤은 파이돈에서 영혼의 불멸성에 대한 입증을 시도하였다. 모든 것은 그 반대 것에서 생긴다. 생명과 죽음은 반대의 것이다. 생명은 죽음으로, 죽음은 생명으로 된다. 그리하여 그 둘은 서로 교체하는 가운데 발생한다. 플라톤은 죽음을 영혼과 육체의 분리로 정의한다. 칸트의 주장에 따르면 우리 인간이 도덕적으로 완전하려면 자연적 수명을 넘어서 지속됨이 필요하다. 아리스토텔레스에 의하면 모든 존재자는 형상과 질료로 이루어지며 그 안에 현실성과 가능성이 있다. 질료는 그것에서 모든 것이 될 수 있는 순수한 가능성이다. 형상은 현실성을 수여하고 형성하는 힘을 나타낸다. 영혼은 한 생명체의 이데아이며 전체를 의미한다. 토마스는 죽음을 육신과 영혼의 분리로 묘사한다. 토마스의 견해로는 영혼이 육신으로부터 분리된 이후에 계속 살긴 하지만, 육신 없는 불완전하기 때문에 육신도 마찬가지로 부활해야만 한다. 최후 심판 이후에 최종적인 부활은 육신의 부활인 동시에 영생을 의미한다. In this paper, I examined the Arguments of philosophers such as Plato, Kant, Aristotle and Thomas Aquinas to prove the immortality. Plato attempted in phaidon to prove the immortality of the soul. Everything occurs from the opposite. Life and death are opposites. Life turns into death, and death turns into life. Plato defined the death as the separation of soul and body. According to Kant' we need to exist beyond the natural life span to perfect our human morality. According to Aristotle, all beings are made from form and materials, in which reality and potentiality exist. Material is a pure possibility, that everything could be made. The form represents the power, which gives the reality to the material. The soul is the form of a life, and it means the totality. Thomas described death as the separation of body and soul. According to Thomas's opinion, the soul lives continuously after the separation of body and soul, but the body also must be resurrected, because it is incomplete without body. The final resurrection after the last Judgment means not only the resurrection of body, but also the eternal lif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