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역 문화담론의 식민지적 대응양상 고찰 - 1930년대 『호남평론』의 경우

        송병삼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2012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Vol.56 No.-

        This paper has examined the Honam-review in Mokpo City in the 1930s. Also this thesis is based on the local culture/literary discourse in colonial period. The Honam Review published its first contents in April 1935 and the final contents in November 1937. This all-round magazine is related to previously the local journal, Jeonnamgongron, Mokpo Review , and Jeonnam Review . The publisher Kim Cheoljin, the editor Na Manseong, and main authors who had engaged in a social movement in Jeonnam province in the 1920s~1930s. They have tried new cultural movement by publishing local journal in the period of regressing. After quite a few articles had been mutilated by the censors, it came to cease publication after the breakout of Sino-Japanese War in 1937. But there are lots of literary works and reviews written not only by the local writers but various other authors. Most article of reviews is to concern on local issues about Mokpo city or local of Honam. This reviews have reflexive feature about locality in Mokpo-Honam. Local identity is constructed by this self reflexivity based on locality. But many literary articles have not identity of modern literature. 이 논문은 1930년대 목포지역에 기반을 둔 지역 종합지(綜合誌) 『호남평론』을 대상으로 하여 식민시기의 지역문화담론의 양상을 살펴본 글이다. 『호남평론』은 1935년 4월에 창간되어 1937년 11월에 종간된 지역 종합잡지이다. 『호남평론』은 『전남공론』과 『목포평론』, 『전남평론』등의 이전에 출판된 적이 있었던 잡지들과 연관성을 갖고 있다. 앞의 잡지들이 사회주의적인 성향을 보인다는 점과 나만성이 공통적으로 편집에 관여하였다는 점 때문이다. 무엇보다도이 잡지들을 이름이 다르지만 서로 연관되었다고 볼 수 있는 것은 1920년대부터이어져 왔던 목포지역의 사회주의계열 청년 지식인들의 사회운동 차원에서 간행되었다는 점 때문이다. 『호남평론』의 주요 필자진이자 임원, 기자수행을 했던 김철진, 나만성, 배치문, 조극환, 서병인, 설준석, 조문환 등은 신간회 결성 전후로목포와 전남 일대에서 노동운동과 사회주의운동을 수행했던 이력이 있는 인사들이었다. 『호남평론』을 중심으로 해서 1930년대 이후 목포지역의 사회운동은 지역 유지계층들과 사회주의계열 지식인들이 모두 참여한 ‘문화운동’ 차원으로 전개되었다. 지역 종합지로서 『호남평론』은 목포-호남의 조선인들의 권리와 민의를 대변하고, 지역 사회의 현안들에 대해서 여론을 조성하는 등 사회운동 차원에서 식민지 조선인들의 공론의 실천장으로서 역할을 하였다. 『호남평론』은 전반적으로 시사종합지의 성격을 갖는다. 그럼에도 내용의 체계는 크게 시사와 문예를 구분할 만큼 문예물에 대한 할애 분량이 많다. 시사면은 크게 국제적인 정세와 지역 현안, 지역 소개 항목으로 대별해서 구성되어 있다. 지역의 미디어로서 지역적인 문제를 중심에 두고 있는 점은 『호남평론』의 가장 중요한 특징이다. ‘시사’의 지역 중심으로 한 범주 설정문제는 잡지편집의 방향이자 잡지의 정체성을 보여주는 것이고, 목포-호남지역이라는 자기영역을 설정하고 있고, 그 영역 경계선 내 자기 내부의 문제성을 다루고 있다는점이 지역 문화담론체로서의 정체성을 확보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문예면은 많은 지면분량이 할애된 만큼 지역사회의 문사뿐만 아니라 다양한구성원들의 작품이 실려 있다. 그러나 문예물들은 전문적인 작가들의 창작물 몇편을 제외하고는 대부분이 대중적인 교양 독물(讀物)이거나 편집진과 지역 인사들의 아마추어적인 수준의 개인적인 감성을 표현하는 것들이 많다. 『호남평론』이문학 분야의 독자성에 기반하여 전문 문예지의 성격도 갖추고 있는 종합지라고보기에는 다소 무리가 있는 지점이다. 지역(잡지)에서의 근대 문학 또는 문예라는것은 근대 문학의 자율성과 거리가 있거나, 생산성보다는 소비와 향유에 맞추어진, 중앙문화(제국의 또는 경성의)의 소비재로서의 성격을 보여주고 있다.

      • KCI등재

        1930年代 素人劇 텍스트 一考: ≪湖南評論≫소재 자료를 중심으로

        최상민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2014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Vol.64 No.-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nature of amateur theatrical text in an esthetical point of view with a focus on 5 volumes of play text in <Honam Review> which was published in Mokpo region during 1930s. For this purpose, the pieces awarded grand prizes were categorized into two different purposes, entertainment and education. The results from the analysis on esthetical characteristics can be summarized as below. Firstly, for those amateur theatricals with entertainment purpose, running time was usually short and made audience laugh by switching the context of stories with actors’ conversations and actions. Also they made their audiences feel sense of sense of superiority with casting actors below average standard. Secondly, the characteristics of amateur theatricals with education purpose can be explained as follow. Regarding <Hometown>, it presented metonymy of literature with ‘center versus surroundings’ structure regarding contradictions of the times. <A blind with eyes open> used emotional approach rather than rational approach as a drama strategy to appeal the audiences. <After flooding> used suspense effect as a drama strategy. It is hoped that above studies could contribute to understand the nature of amateur theatricals in some way. 이 연구는 1930년대 목포지역에서 간행되었던 ≪湖南評論≫소재 희곡 텍스트 5편을 중심으로 당대 소인극텍스트의 실체를 미학적 차원에서 점검해 본 것이다. 이를 위해 대상작품을 크게 오락적인 목적에 둔 유형과, 공리적이며 계몽적인 목적에 둔 유형으로 나눠 살폈다. 연구를 통해 확인된 1930년대 ≪호남평론≫소재 소인극의 미학적 특징들을 간추리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오락성을 전면에 내세우는 소인극들의 경우 서사구성에 있어서 우선 그 길이가 매우 짧다는 점과 담화나 행동이 본래의 취지와는 어긋나게 다른 맥락의 이야기로 轉置됨으로서 웃음을 유발하도록 하고 있다는 점, 평균이하의 인물들에 의해 관객들로 하여금 우월감을 느끼도록 하는 방식을 구사하고 있다는 점이다. 둘째, 계몽적 공리성을 내세우는 경우는 그 특징을 다시 다음의 몇 가지로 간추릴 수 있다. 먼저 <故鄕>의 경우는 당대적 모순을 ‘중심 대 주변’이라는 구도의 문학적 환유로 드러내고 있다. 다음으로 <눈뜬봉사>의 경우 이성적인 접근보다는 정서적인 접근을 통하여 관객들에게 소구하려는 극전략이 구사되고 있는 점이다. 끝으로 <水害後>의 경우는 서스펜스 효과를 이용하는 극전략이 사용되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들이 당대 소인극의 실제를 이해하는 데 다소나마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나천수의 문학적 생애와 로컬리티 연구

        이동순 전남대학교 한국어문학연구소 2024 전남대학교 한국어문학연구소 학술지 어문논총 Vol.- No.45

        이 글은 작가 나천수의 생애와 작품을 중심으로 나천수 문학의 로컬리티를 밝힌 것이다. 나천수는 1935년부터 1950년까지 운문 12편과 산문 9편을 남긴 전남 목포에서 활동한 작가다. 『호남평론』에서 『예술문화』에 이르기까지 정치적 이데올로기의 변화를 온몸으로 겪은 생애는 작품을 통해서도 확인된다. 해방기의 첨예했던 이데올로기 갈등도 작품 속에 반영되어 있다. 그의 생애가 행방불명으로 멈춘 것처럼 창작활동도 길지는 않았다. 활발한 창작활동으로 목포 문학을 채웠던 나천수 작품의 특징은 근대도시 목포의 공간과 항구로서 목포의 장소성을 구현했다. 이것이 나천수 문학의 로컬리티다. 정치지형과 이데올로기로 인한 갈등 속에서 목포의 작가들과 함께 희생된 것으로 추정되는 그는 광주전남 지역문학장과 목포문학 지형에 적지 않은 의미로 남을 것이다. This article revealed the locality of Na Cheon-soo's literature, focusing on the life and works of the writer Na Cheon-soo. Na Cheon-soo is a writer who was active in Mokpo, Jeollanam-do, who left 12 poems and 9 prose from 1935 to 1950. His life throughout the body of changes in political ideology, from the 『Honam Review』 to 『Arts and Culture』, can also be confirmed through his work. The sharp ideological conflict during the liberation period is also reflected in the work. Just as his life stopped short of missing, the creative activities were not long. The characteristic of Na Cheon-soo's work, which filled Mokpo literature with active creative activities, embodied the locationality of Mokpo as a space and port in the modern city. This is the locality of Na Cheon-soo's literature. presumed to have been sacrificed along with Mokpo's writers amid the conflict between political topography and ideology, he will remain as a significant meaning in the Gwangju-Jeonnam Regional Literature Center and the Mokpo Literature Terrain.

      • KCI등재후보
      • KCI등재
      • KCI등재

        항일청년 최규창의 삶과 투쟁

        김홍길 ( Kim Hong-gil ) 호남사학회(구 전남사학회) 2018 역사학연구 Vol.72 No.-

        이 연구는 학생운동과 농민운동에 참여자 최규창에 대한 연구였다. 최규창은 영암 구림에서 성장했고, 아동기에 3.1운동을 겪었다. 본격적인 항일운동 참여로 총 3차례 옥고를 치렀다. 학생맹휴(1928), 광주학생독립운동(1929), 영암농민운동(1932)을 겪은 후 그가 직면한 두 개의 현실은 민족의 운명에 대한 책임과 부친의 사망으로 가족의 생계를 책임져야 하는 처지였다. 항일은 긴 투옥으로 이어졌고, 가족의 비극과 가난을 수반했다. 광주학생운동으로 두 번의 옥고를 치르고, 1931년 동아일보 기자가 되지만, 1932년 영암농민운동으로 투옥된다. 1937년 호남평론 광주특파원을 맡지만 중일전쟁으로 활동이 중단된다. 1939년 전남도청 촉탁을 맡았고 사상보국동맹에 참여했지만 대화숙이나 일본 감시당국의 예방구금에 동원되고 감시당했다. 그는 학파농장에 의탁도 해보고, 양복점도 운영했지만 궁핍을 개선할 수 없었다. 해방 후 그는 건국준비위원회에 참여했고, 1946년 호남신문 기자가 되었다. 그후 1948년 겨울 조선중앙일보 기자가 된다. 좌우갈등 속에서 그는 잘 적응하지 못했다. 그러나 1949년 여름 갑자기 폐렴으로 사망했다. 그는 항일투사였지만, 철저한 사회주의자는 아니었다. 그의 삶이 항일활동을 통해 충분히 대변되지는 않는다. 시련의 시기에 따라 처세했지만 그렇다고 친일의 길로 가지도 않았다. 최규창의 삶과 죽음은 당시 호남청년의 삶의 일부를 반영한다. 우리는 시대 상황과 아픔을 통해 그 시대의 진실에 다가갈 수 있는 것이다. The study is about the life of Choi Kyu-chang, a student activist and a farmer's activist. Choi grew up in Yeongam Gurim, He was imprisoned for three times by anti-Japanese movement that including Student Solidarity(1928), the Gwangju Student Movement(1929), and the Yeongam peasant uprising (1932). He faced to The two realities which is family responsibilities and national responsibility. The day led to long imprisonment, accompanied by family tragedy and poverty. He became a reporter for the Dong-A Ilbo in 1931, but he was imprisoned for the farmers' movement, and became a special correspondent for the Honam Criticism in 1937, but was suspended due to the second Sino-Japanese War. he was commissioned by the South Jeolla provincial government in 1939, but was detained in the Sasang Security Alliance(思想報國聯盟) and Gwangju Daehwasuk(光州大和宿). He leaned on a school farm and ran a tailor's shop, but It can’ not improve poverty. After his liberation, he joined the committee and became a reporter for the Honam newspaper in 1946. Then he became a reporter for the Chosun JoongAng Ilbo in the winter of 1948. He didn't adjust well in the conflict. But in the summer of 1949, he suddenly died of pneumonia. He was an anti-Japanese fighter, but he was not a complete socialist. His life is not fully represented through anti-Japanese activities. Despite the circumstances of the ordeal, he did not go to the path of pro-Japanese collaborators. Choi's life and death reflect part of the tragedy. We can approach the truth of the time through its reality and pai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