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샹키야 철학과 바가바드기따의 구나(Guna)에 관한 비교연구

        곽미자 ( Mi Ja Kwak ) 한국동서정신과학회 2004 동서정신과학 Vol.7 No.1

        The gunas are considered as important ideas in Indian philosophy as well as Indian culture. The gunas are mentioned here and there in scriputres or texts. In Sankhya philosophy and Bhagavadgita the concept of the gunas is known as one of the main ideas. The concept of the gunas seems to be different in respect to the thoughts from Sankhya philosophy and Bhagavadgita. So, in this paper, an attempt has been made to understand the concept of the gunas by examining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Classical Sankhya or Karika Sankhya and Bhagavadgita. In chapter two, the meaning of the term gunas has been discussed in both Sankhya philosophy and Bhagavadfita. From this chapter, we found that the `gunas` have not been used to mean `quality` specially as in Nyaya-Vaisesika, but `rope` and `secondary`. In chapter three, an attempt has been made to look at the characteristics and functions of the gunas. Sankhya and Bhagavadgita agree in the sense that the Ultimate Reality is beyond the gunas, but the difference is that in Sankhya, the gunas never associate with it while in the Bhagavadgita they do. The gunas given by Sankhya function as the metaphysical features compared to psychic features. Whereas the gunas in the Bhagavadgita function as the psychic features compared to cosmic aspects. The reasons have been discussed tin respect to the existence or non-existence of God. In chapter four, gunas in both systems cause bondage as a result of spirit identifying with matter. Again, liberation is a state free from the three gunas. However, in the aspects of the way to get liberation, Sankhya focused on knowledge through discrimination between purusa and prakrti, while Bhagavadgita focused on the path of Karma, Jnana, Bhakti and Raja yoga.

      • KCI등재후보

        샹키야 철학과 바가바드기따의 구나(Guna)에 관한 비교연구

        곽미자 ( Kwak Mija ) 한국동서정신과학회 2017 동서정신과학 Vol.20 No.1

        구나(guna)는 인도철학뿐만 아니라 인도문화에서 중요한 개념으로서 특히, 샹키야 철학과 바가바드기따에서는 가장 중요한 개념 중의 하나이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샹키야 체계 중 특히 무신론과 이원론을 강조하고 있는 고전적 샹키야(Karika Sankhya)와 바가바드기따에서 언급되고 있는 구나의 차이점과 유사점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구나(guna)라는 용어에 관해서 일반적으로 번역되고 있는 `속성(quality)`이 두 체계에서는 사용되고 있지 않으며, 오히려 샹키야에서 구나는 뿌루샤를 묶는 쁘라끄리띠의 끈으로서 활동하므로 `줄(rope), 실(thread), 끈(cord)`으로 의미되며, 또한 구나는 뿌루샤를 위해 있으므로 `부차적인 혹은 보조의 것(secondary)`을 의미한다. 바가바드기따에서 구나의 의미는 샹키야 철학에서만큼 명확하게 사용되지 않고 있으나 구나의 본질에 관한한 샹키야와 바가바드기따는 별다른 차이가 없는 것으로 파악된다. 구나는 누구에게나 내재해 있으며 개인의 다양성은 사뜨와(sattva), 라자스(rajas), 따마스(tamas)라는 세 가지 구나 중 어느 것이 주도적인가에 따른 것으로 두 체계는 인정하고 있다. 신의 존재 유무에 따라 샹키야와 바가바드기따에서는 구나와 관련하여 몇 가지 차이점을 나타낸다. 고전적 샹키야에서는 신을 믿지 않으며, 뿌루샤와 마찬가지로 쁘라끄리띠를 독립된 실체로 인정하고 있다. 구나는 쁘라끄리띠의 산물이 아니며, 쁘라끄리띠는 구나의 평형상태에 있다. 하지만 바가바드기따에서는 신의 존재를 인정하고 있으며, 구나는 신의 도구로서 활용하고 있다는 차원에서 쁘라끄리띠의 산물이라 할 수 있지만 실제로는 구나를 초월하고 있는 신으로부터 나오게 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둘째, 샹키야에서는 구나의 평형상태가 깨어짐으로써 쁘라끄리띠의 전개가 이루어지므로 구나의 기능이 형이상학적인 양상에 초점을 더 두고 있다면, 바가바드기따에서는 세상만물은 신에 의해 창조되므로 구나의 기능은 사이킥(psychic) 양상에 더 비중을 두고 있는 점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샹키야에서 구나는 항상 활동적인 구나로부터 초월해있는 뿌루샤를 위해 있으므로 비활동적인 뿌루샤와 관련되어있지 않다. 하지만 바가바드기따에서는 비록 신이 구나의 작용으로부터 영향을 받지는 않지만 구나는 신과 연관되어 있다. 이른바 사뜨와는 비슈누와, 라자스는 브라흐마와 따마스는 시바와 관련되어 있다. 넷째, 샹키야와 바가바드기따에서 자유는 구나로부터의 해방 혹은 초월(trigunatita)이라 할지라도 자유에 이르는 방법은 서로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샹키야에서 자유는 뿌루샤와 쁘라끄리띠 사이의 바른 지식 혹은 분별을 통하여 이루어진다. 즉 이것은 뿌루샤가 쁘라끄리띠로부터의 완전한 분리 상태이다. 샹키야에서는 행위(karma)는 구나의 작용으로 보기 때문에 행위를 통해서 자유에 이를 수 없다고 한다. 하지만 바가바드기따에서는 욕망 없는 행위(까르마 요가)를 통해 자유에 이를 수 있으며 지식요가와 박티요가를 통해서도 가능하다고 한다. 샹키야에서 자유는 축복의 상태가 아닌데, 이는 축복 또한 사뜨와의 상태로 여기기 때문이다. 하지만 바가바드기따에서는 신의 축복으로 여기는 점 또한 다르다고 볼 수 있다. 이처럼 고전적 샹키야와 바가바드기따에서의 구나의 본질과 관련하여 차이가 없지만 신의 존재 유무에 따라 그 특성과 기능이 차이가 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The gunas are considered as important ideas in Indian philosophy as well as Indian culture. The gunas are mentioned here and there in scriptures or texts. In Sankhya philosophy and Bhagavadgita the concept of the gunas is known as one of the main ideas. The concept of the gunas seems to be different in respect to the thoughts from Sankhya philosophy and Bhagavadgita. So, in this paper, an attempt has been made to understand the concept of the gunas by examining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Classical Sankhya or Karika Sankhya and Bhagavadgita. In chapter two, the meaning of the term gunas has been discussed in both Sankhya philosophy and Bhagavadgita. From this chapter, we found that the `gunas` have not been used to mean `quality` specially as in Nyaya-Vaisesika, but `rope` and `secondary`. In chapter three, an attempt has been made to look at the characteristics and functions of the gunas. Sankhya and Bhagavadgita agree in the sense that the Ultimate Reality is beyond the gunas, but the difference is that in Sankhya, the gunas never associate with it while in the Bhagavadgita they do. The gunas given by Sankhya function as the metaphysical features compared to psychic features. Whereas the gunas in the Bhagavadgita function as the psychic features compared to cosmic aspects. The reasons have been discussed in respect to the existence or non-existence of God. In chapter four, gunas in both systems cause bondage as a result of spirit identifying with matter. Again, liberation is a state free from the three gunas. However, in the aspects of the way to get liberation, Sankhya focused on knowledge through discrimination between purusa and prakrti, while Bhagavadgita focused on the path of Karma, Jnana, Bhakti and Raja yoga.

      • KCI등재

        문법교육 : 혼잣말 종결어미 "-구나"와 "-네" 의 의미 차이 연구

        이재성 ( Jae Seong Lee ) 한국문법교육학회 2014 문법 교육 Vol.21 No.-

        This study aims to examine what causes the difference in meaning between ‘-guna’ and ‘-ne.’ For the examination, this study used a research method that differentiates grammar category from semantic category, and showed that grammar category should be used as a standard point for the meaning analysis of ‘-guna’ and ‘-ne.’ In addition, this study also used a research method that differentiate utterance situation from utterance sentence, and showed that utterance situation should be used as a standard point for the meaning analysis of ‘-guna’ and ‘-ne.’ By using these methods, first, this study found that the sentence-final endings of ‘-guna’ and ‘-ne’ are both used when a speaker talks to himself or herself. Next, this study also found that, “whether a speaker has interest in a combined proposition” is an important criterion for differentiating between ‘-guna’ and ‘-ne. More specifically, ‘-guna’ is used when a speaker does not has an interest in a combined proposition (unbiased position), whereas ‘-ne’ is used when a speaker has an interest in a combined proposition (biased position). This study is meaningful because it provides an opportunity to reconsider the current trend of meaning analysis which uses ‘evidentiality,’ ‘inference,’ or ‘perception’ for the interpretations of the difference inmeaning between ‘-guna’ and ‘-ne.’

      • KCI등재후보

        샹키야 철학과 바가바드기따의 구나(Guna)에 관한 비교연구

        곽미자 한국동서정신과학회 2004 동서정신과학 Vol.7 No.1

        구나(guna)는 인도철학뿐만 아니라 인도문화에서 중요한 개념으로써 특히, 샹키야 철학과 바가바드기따에서는 가장 중요한 개념 중의 하나이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샹키야 체계 중 특히 무신론과 이원론을 강조하고 있는 고전적 샹키야(Kārikā Sāńkhya)와 바가바드기따에서 언급되고 있는 구나의 차이점과 유사점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구나(guna)라는 용어에 관해서 일반적으로 번역되고 있는 ‘속성(quality)’이 두 체계에서는 사용되고 있지 않으며, 오히려 샹키야에서 구나는 뿌루샤를 묶는 쁘라끄리띠의 끈으로서 활동하므로 '줄(rope), 실(thread), 끈(cord)'로 의미되며, 또한 구나는 뿌루샤를 위해 있으므로 ’부차적인 혹은 보조의 것(secondary)'을 의미한다. 바가바드기따에서 구나의 의미는 샹키야 철학에서만큼 명확하게 사용되지 않고 있으나 구나의 본질에 관한한 샹키야와 바가바드기따는 별다른 차이가 없는 것으로 파악된다. 구나는 누구에게나 내재해 있으며 개인의 다양성은 사뜨와(sattva), 라자스(rajas), 따마스(tamas)라는 세 가지 구나 중 어느 것이 주도적인가에 따른 것으로 두 체계는 인정하고 있다. 신의 존재 유무에 따라 샹키야와 바가바드기따에서는 구나와 관련하여 몇 가지 차이점을 나타낸다. 첫째, 고전적 샹키야에서는 신을 믿지 않으며, 뿌루샤와 마찬가지로 쁘라끄리띠를 독립된 실체로 인정하고 있으므로, 구나는 쁘라끄리띠의 산물이 아니라 구나의 평형상태에서도 쁘라끄리띠를 구성하고 있다. 하지만 바가바드기따에서는 신의 존재를 인정하고 있으며, 구나는 신의 도구로서 활용하고 있다는 차원에서 쁘라끄리띠의 산물이라 할 수 있지만 실제로는 구나를 초월하고 있는 신으로부터 나오게 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둘째, 샹키야에서는 구나의 평형상태가 깨어짐으로써 쁘라끄리띠의 전개가 이루어지므로 구나의 기능이 형이상학적인 양상에 초점을 더 두고 있다면, 바가바드기따에서는 세상만물은 신에 의해 창조되므로 구나의 기능은 사이킥(psychic) 양상에 더 비중을 두고 있는 점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샹키야에서 구나는 항상 활동적인 구나로부터 초월해있는 뿌루샤를 위해 있으므로 비활동적인 뿌루샤와 관련되어있지 않다. 하지만 바가바드기따에서는 비록 신이 구나의 작용으로부터 영향을 받지는 않지만 구나는 신과 연관

      • KCI등재

        『시용향악보』 무가계 악곡의 발생 배경 추론 -<나례가>, <성황반>, <내당>을 중심으로-

        윤아영 한민족문화학회 2023 한민족문화연구 Vol.82 No.-

        The three songs of Naryega, Seonghwangban, and Naedang, known as shamanic music included in the Singyonghyangakbo, have been analyzed differently due to difficulties in interpreting lyric songs. This study decoded the lyrics of these three songs through comparison with narye ritual at the time based on the fact that the Singyonghyangakbo was compiled between November 18 (1505) and March 17 (1506). First of all, the difficulty of interpreting the situation in which naryeong gongtaek, clowns, and ghosts are combined in the same text was due to the situation of the day when four complex narye rituals were held at the same day before and after the guna ritual. Unlike the existing Seonghwangban, which was presumed to have absorbed the strange music of Seonghwangdang, it was sung in the court describing the year-end guna ritual. In particular, singing the four gates shamanic gods is related to the construction of the four gates of the castle in the guna ceremony, and then singing the golden eyes heavenly king is related to bangsangsi, who was serving covered with the mask of golden four eyes. Naedang was interpreted as a female song with obscene meanings in that a song related to Buddhist service or male slaves appeared. However, this song also suggested the possibility that it was actually related to guna ritual among narye's four rituals. This is because the jinja, who played the role of a traitor in Chinese guna ritual, have traditionally been selected from slaves, and if they followed the tradition of guna ritual on the Korean Peninsula, it is presumed to mean the male slaves of guna ritual. As a result, the three songs are related to four kinds of narye ceremonies at year end, and although the title may be misunderstood as a shamanic songs, it was revealed that the music was created at the time because it depicted the year-end events in the court. However, although all three songs have newly created lyrics, the problem of determining the musical genre of the created song is another problem, and the judgment of whether the musical style of these songs is a shamanic type, lyric poetry or a folk song is reserved.

      • KCI등재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공감하기 교육의 연구 - ‘-겠-, -구나, -지’를 중심으로 -

        정미진 한국화법학회 2024 화법연구 Vol.- No.63

        Empathy, the act of understanding and accepting the emotions of others, plays an important function in everyday communication. Nevertheless, few studies have examined the content and methods of teaching and learning with consideration of empathy as an independent function. This study analyzes the linguistic realization of empathy with the grammatical items -gess-, -guna, and -ji, which are frequently used in daily life and are essential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presents teaching and learning contents and methods. -gess- and -guna are used in a conversation to state the speaker’s inference of their interlocutor’s feelings based on what he or she says, so they can express empathy. -ji is used to express information that the speaker has already internalized and is familiar with, so it can express that one is well aware of and fully understands the other person’s feelings. Korean textbook s, developed relatively recently, only deal with the use of empathic expressions once and only partially, so there is a need to teach and learn empathic expressions more explicitly as an independent functional items. Accordingly, this study presents examples of structuring classes and speaking tasks to explicitly teach expressions of empathy.

      • KCI등재

        동북아시아 구나(驅儺)의식에서 연희된 가면무 비교연구

        박시우,신효영 대한무용학회 2023 대한무용학회논문집 Vol.81 No.3

        This paper examines Korea's ‘Cheoyonghmu’, China's ‘Cham’, and Japan's ‘Kagura’by focusing on ‘Guna’ among shamanistic rituals. These dances presuppose a ritual that pursues evil spirits, but they have some- thing in common called ‘mask dance’. Mask dance is generally known to have originated from primitive religious events or acts of seasonal cus- toms, and fundamentally contains the meaning of faith or blessing in- herent in human life. Therefore, we would like to find the essential meaning of mask dance by analyzing the structure, form, and content of the dance to restore the artistic authority of Na(儺) culture and linking traditional culture and dance in each country despite geographical differences in East Asia.

      • KCI등재

        조선 전기 향악 불찬의 성격과 연원

        나정순 한국불교선리연구원 2015 禪文化硏究 Vol.18 No.-

        Buddhist chants is a rare historical material that exhibits the uniqueness of courtly culture in Early Joseon, complexly mixed with the continued tradition of Buddhist culture from the Goryeo Dynasty and Confucian culture. Buddhist chants is a meaningful subject of research, because Buddhist chants was performed as performance of Early Joseon and sung about song of blessing while preserving the traditional Buddhist culture of the Goryeo Dynasty. Buddhist chants is unique in that it complexly shows both the contemporary characteristic of the early Joseon period and the tradition of Buddhist culture from the Goryeo society. Despite its uniqueness, Buddhist chants has been studied only for its present aspects and properties of Akjang based on stylistic classification. The exhibition of traditional Buddhist culture in its lyrics or its origin in relation to performance culture have not been considered yet. The time of creation of <Yeongsanhoesang> and other Buddhist chants have been ambiguously mentioned by researchers due to the lack of precise examination of references. This study reveals that the existence and time of creation of Buddhist chants is comparatively clear according to references. Buddhist chants was mainly created in the early Joseon period, under King Sejong and King Sejo. The content of Buddhist chants has two distinct features. Firstly, they all call for Buddha, that is they are in the form of ‘the repetition of the sacred name of Buddha’. This shows that Buddhist chants was dedicated to Buddha as voice services and passed down according to the Sutras. Secondly, Buddhist chants prays for permanent dynasty and long life of kings in accordance with Buddhist saints’ practice of good deeds. This is unusual in that it displays both Buddhism and the Confucian concept of sovereign and subject. The fact that Buddhist chants was actively used as music of solace for the king shows that even in the palace Buddhism functioned as religious consolation alternative to Confucianism. Furthermore, the second half of the performance of Cheo-yong reappears in the lyrics of Buddhist chants, showing that performance of Cheo-yong and Song of Cheo-yong were handed down in a deep relation to continued Buddhist culture of the Goryeo dynasty. Particularly, guna(驅儺), originating from the early Buddhism forms the basis of Buddhist culture, suggests that guna performed as exorcism before performance of Cheo-yong actually derived from the practice of culture in Buddhism.『荊楚歲時記』(a glossary of seasonal words as HYUNGCHO) is an evidence. Besides Song of Cheo-yong which is considered as shamanistic, contains several Buddhistic constituents. Thus the point of view that approaches Cheo-yong folklore as only shamanistic needs to be reconsidered. 조선 전기의 불찬은 고려 시대의 불교 문화 전통을 지속적으로 이어가는 동시에 선초 유교문화에 복합적으로 융합된 조선 전기 궁중 문화의 특이성을 보여주는 희귀한 자료이다. 본고에서 다루고자 하는 불찬이 연구의 대상으로서 의미 있는 이유는 조선 전기의 정재(呈才)로 공연되면서 ‘송도지사(頌禱之詞)’를 노래하는 가운데에도 고려시대의 불교문화 전통을 여실히 담고 있기 때문이다. 조선 전기의 시대성과 고려 사회의 불교 문화 전통이라는 두 가지 측면을 동시에 지니면서 모순된 존재 방식을 복합적으로 보여준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이러한 특이성에도 불구하고 불찬에 대한 연구는 지금까지 존재 양상과 문체적 분류에 근거한 악장의 특성에 대하여 논의되었을 뿐 불교 문화의 전통 속에서 나타나는 노랫말의 내용적 성격이나 연행 문화와 관련된 연원의 문제에 대해서는 논의된 바 없다. 지금까지 <영산회상> 이하 여러 불찬에 대하여 그 제작 시기가 학자들에 따라 불분명하게 언급되었던 것은 문헌 자료에 대해 정확한 검토를 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본 연구를 통하여 관련 문헌의 기록을 검토해 보면 불찬의 존재방식이나 제작 년대는 비교적 명확하다. 불찬은 조선 전기 세종 대에서 세조 대에 집중적으로 생성된 것이다. 불찬의 내용적 특징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누어 살펴볼 수 있다. 그 하나는 불찬의 내용이 모두 부처를 부르는 호불 즉 칭명염불의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는 점이다. 이는 불찬이 조선 전기에 음성공양으로 바쳐졌던 모습을 보여주는 것으로 불경에 근거하여 전승된 것임을 알 수 있다. 둘째 불찬은 왕조의 영속이나 임금의 수복과 안녕을 기원하면서 재앙의 소멸과 불보살의 공덕 행위를 추구하는 불교적 기반을 바탕으로 하고 있다. 이는 유교적 군신주의와 불교적 주술성이 혼합되어 있는 모습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독특하다. 조선 전기에 임금께 올리는 위안의 음악에 노랫말로서의 불찬이 적극적으로 활용되었다는 사실은 당대 궁중의 문화에서도 유교가 해결해 줄 수 없는 종교적 위안의 역할은 여전히 불교 쪽에서 담당할 수밖에 없었던 측면을 보여 주는 것이다나아가 처용 정재의 후도가 불찬의 노랫말로 연속되고 있다는 점, 그리고 구나 후 이어졌던 처용의 연행은 고려시대부터 전해지던 불교문화와 깊은 연관성 속에서 전승되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구나 의식이 초기 불교문화와 관련된다는 점에서 볼 때 처용 정재를 공연하기 전에 행해지던 악귀를 쫓는 축사(逐邪)로서의 구나 의식은 바로 불교 문화를 기반으로 하여 파생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형초세시기』의 기록이 이를 뒷받침하고 있기 때문이다. 게다가 우리가 무속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고려 <처용가>의 내용에서도 불교적 성격을 보여 주는 여러 가지 요소들을 찾아볼 수 있다. 그런 점에서 처용의 연행에 대하여 무속적 제의의 기능만으로 이해하는 관점은 재고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한국 고대 香徒의 조직과 역할

        채웅석(Chai, Oong-Seok) 한국고대사학회 2016 韓國古代史硏究 Vol.0 No.81

        향도는 불교의 포교와 신앙활동을 위하여 결성된 공동체이다. 이 논문에서는 공동체라는 용어를 자연발생적인 공동감정에 바탕을 둔 유형뿐 아니라 결사를 포함하는 넓은 범주로 사용하였다. 승려의 권화에 따라 신자들이 자발적으로 향도에 참여하여 수행하면서 불사에 재물이나 노동력을 보시하는 활동 등으로 공덕을 닦았다. 향도는 사료 상으로 7세기 무렵부터 신라에서 확인된다. 그리고 통일신라 말기까지 여덟 개의 사례를 확인할 수 있다. 그 사례들을 분석하여 조직상의 특징과 활동양상을 검토하는 한편, 다음 사항들에 대해서도 주목하여 살폈다. 신앙공동체에 향도라는 독특한 명칭을 쓴 까닭이 무엇인가? 향도와 전통적인 공동체와의 관계는 어떠하였는가? 향도의 공동체 활동을 세속적인 목적으로까지 확장할 수 있는가? 고대사회의 변화와 관련하여 향도는 어떠한 역할을 수행하였는가? 고대사회의 발전과정에서 향도는 친족이나 촌락을 넘어서는 개방적 보편성을 지닌 불교의 신앙공동체로서 활동하였다. 그 구성원들은 지배층이 불교의 이상정치를 하도록 기대하였으며, 또 중생은 사적 이해관계로 갈등하는 것이 아니라 함께 성불할 존재라고 인식하였다. 한편 통일신라 말기의 사회변동과 관련해서도 향도의 역사적 의미가 부각되었다. 호부층이 향도의 결성이나 활동을 주도하면서 지역민을 이끌어 신망을 얻고 리더십을 강화할 수 있었다. Hyangdo was the community which was organized for the propagation of the Buddha-Dharma and the practice of Buddha’s teaching of the laudable deeds. In this paper, the term ‘community’ was used in the broad sense including not only the type in which personal relationships are defined on the basis of naturally arising mutual emotions but also the association in which personal relationships are defined on the basis of rational self-interest. In accordance with the Buddhist priest’s solicitation, members of Hyangdo voluntarily followed the principles of the Buddhism and practiced any services for Virtue(Guna) either in material form or physical labor. The first reference to Hyangdo in historical records comes from the 7th century in Silla, and eight cases have been found until the late Unified Silla. This paper reviews the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and the activities of Hyangdo by analyzing the cases, while paying attention to the following points. What was the reason for using the distinctive name called ‘Hyangdo’ for the community? How wa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raditional community and Hyangdo? Did Hyangdo also pursue the secular goals? What roles did Hyangdo play in terms of the changes of the ancient society? Hyangdo was the community of the Buddhism which had the open universality overcoming the limits of kinship and village on the process of the development of the ancient society. The members expected the ruling class to do the ideal politics according to Buddha’s teaching, and thought that people were the living beings not to create conflict of private interests but to attain the Buddhahood. Meanwhile, Hyangdo was important for the social change in the late Unified Silla. The new wealthy and powerful class(the Hobu class) people were able to gain influence and inforce leadership over their local communities by taking the lead in forming and the activities of Hyangdo.

      • KCI등재

        처용무의 성립과 각 지방의 관련 민속연희 및 민속

        전경욱(Jeon Kyung-Wook) 한국민속학회 2006 韓國民俗學 Vol.44 No.1

        신라 헌강왕 때의 처용설화는 처용이 문신으로 신격화되고, 처용의 형상이 역귀(疫鬼)를 퇴치할 수 있는 주술력을 갖게 되는 과정을 잘 보여 준다. 이후 처용무는 통일신라시대로부터 고려·조선시대를 거쳐 현재까지 꾸준히 전승되면서, 시대의 변천에 따라 다양한 변화를 겪은 것으로 나타난다. 더욱이 처용무 자체 내의 변화가 있었을 뿐만 아니라, 처용무가 전승되는 과정에서 후대에 각 지방의 연희에 영향을 끼쳤고, 민간에서 민속화한 경우도 있었다. 그러므로 본고에서는 처용무와 관련된 각 지방의 연희 및 민속의 유래와 특징을 살펴보았다. 처용무는 현존 가면극의 가면·의상·소도구 및 배역 구성과 갈등구조에도 영향을 끼친 것으로 나타났다. 가면극의 오방신장무는 고려 말 나례에서 연행되던 오방귀무 및 조선시대의 나례에서 연행되던 오방처용무와 그 성격, 기능, 의상 등에서 매우 밀접한 관련을 보인다. 그러므로 오방신장무는 나례의 오방귀무와 오방처용무의 영향 아래 형성된 것으로 보인다 강릉관노가면극에서 양반광대, 소매각시, 시시딱딱이의 삼각관계가 처용, 처용의 처, 역신의 관계와 일치하는 점으로 볼 때 양자의 관련성을 엿볼 수 있다. 가면극에서 취발이가 붉은색의 가면을 쓰고, 역시 벽사할 수 있는 푸른 버드나무 가지를 머리 위로 치켜들고, 다리에 방울을 매달고 나와서 노장을 쫓아내는 모습은 나례에서 처용이 역귀를 쫓는 구나(驅儺) 형식과 매우 유사하다. 가면극의 연잎가면은 오랜 수행 끝에 번뇌의 바다에서 벗어나 깨달음에 이른 수행자의 모습이고, 부처의 세계에 태어날 신통 자재로운 존재를 비유하고 있으며, 파계한 중인 상좌를 물리치는 역할을 하는 점으로 볼 때, 오방처용무의 무동가면과 밀접한 관련 아래 성립된 것으로 보인다. 조선시대에는 해마다 설날이면 문배로서 종규, 울지경덕, 진숙보와 함께 처용의 화상을 문에 붙였다. 그래서 문신의 역할을 하는 처용이 집안으로 들어오는 액을 막았다. 조선 후기에는 민간에서 처용의 벽사적, 주술적 기능과 관련된 풍속으로 '제웅치기'가 전승되었다. 이는 짚으로 인형(제웅)을 만들어 머릿속에다 동전을 집어넣은 다음, 음력 정월 14일 초저녁에 길에다 버려 액을 막는 풍속인데, 제웅은 처용으로 간주 되었다. 오늘날도 제웅치기는 개인의 액을 쫓아버린다는 동일한 주제를 가지고 있지만, 지방마다 약간씩 변이되어 전승되고 있다. 원래 처용은 액을 물리치는 고귀한 존재였으나, 제웅은 액막이의 짚인형으로 변이되었다. The 'Cheoyong' tale in the reign of King Heongang in the Silla Kingdom demonstrates the process that cheoyong was deified the god protecting the gate and its figure practised sorcery to eliminate the spirit god bringing a disease. As the 'Cheoyong-mu'(dance of Cheoyong) has been constantly handed down to today from the Unified Silla Kingdom to the Joseon Dynasty through the Goryeo Dynasty, it has been changed in many parts. Its change explained the inside of the dance itself, and it affected lots of performances played in local areas in the process of being handed down and became folklore.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performances played in each region and the origin and characteristics of folklore related to the Cheoyongmu. It appears that it affected the mask, costume, small implements, the composition of performers, and the conflict structure in the mask dramas. The obangsinjang-mu(the sprit gods of five colors signifying five directions) in the mask dramas has a close relation to the characteristics, function, costume of 'obnaggui-mu' played in the 'narye'(a ceremony to ward off evil spirits in the court) in the late Goryeo Dynasty and 'obangcheyong-mu' played in the 'narye' in Joseon Dynasty. Therefore, it is presumed that the 'obangsinjang-mu' was formed under the influence of 'obnaggui-mu' and 'obangcheyong-mu'. The triangle relation of 'yangban gwangdae'(noble crown), 'somae gaksi', and 'sisittakttaki' appeared in 'gwanno' mask dance drama in Gangneung has a close ralation to that of Cheoyong, Cheoyong's wife, and the spirit god bringing a disease. The scene that 'chivali' drove out the old man wearing a red mask and a bell on a leg, holding a branch of the willow to eliminate evil spirits is similar to the form of 'guna'. The mask of lotus leaf presenting an ascetic realizing the truth in agony after practising a long austerities and a role to ward off a fallen monk seems to be formed under a close relation with the 'mudong' mask in 'obangcheyongmu'. From the Joseon Dynasty, the picture of 'Cheyong' was posted on the gate with 'jonggyu', 'uljigyeongdeok', and 'jinsukbo' on New Year's day to prevent evil spirits from entering a house. Throwing a straw effigy for exorcism was handed down to the ordinary people in late Joseon Dynasty. This was a custom that the effigy made of straw with a coin inside its head was thrown on the street on the early evening of the 14th of January on the lunar calendar for eliminating evil spirits, so the straw effigy was considered 'Cheoyong'. The 'Cheoyong' was originally a noble existence to ward off evil spirits, but the 'jeung' was changed to a straw figurine for exorcis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