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회복지사의 자아 인식과 기능적 활용에 대한 탐색 연구 : 멈추어 생각해 보기

        배진형 ( Bae Jin Hyung )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2020 사회복지 실천과 연구 Vol.17 No.2

        다양한 도전들 속에서 스트레스를 경험하는 사회복지사들, 그들에게 멈추어 서서 자신의 자아를 되돌아보는 성찰의 시간이 필요하다. 특별히 사회복지사의 자아가 실무에서 기능적으로 잘 활용되고 있는지 성찰하는 것은 동기 부여된 실천과 소진 예방을 위해 큰 도움이 된다. 본 연구는 다양한 사회복지 영역에서 10년 이상 경력을 가진 사회복지사들이 자신이 사회복지사로서 지금까지 일 해 온 과정을 포괄적으로 성찰하며 발견한 다양한 자아의 측면들을 어떻게 실무 상황에서 기능적으로 활용해 왔는지에 대한 경험을 고찰하였다. 이를 위해 경력 10년 이상 된 여러 분야의 사회복지사 8명을 의도적 표본추출을 통해 모집하여 심층면접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주제분석 방법을 활용하여 질적 분석되었고, 그 결과, 47개의 개념과 15개의 하위범주, 7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이들은 첫째, ‘나는 나임을 인식함’, ‘나만의 독특한 경험을 확장함’, ‘신앙인으로서의 나를 조명함’, ‘밀도 있는 전문성을 발휘함’, ‘꾸준한 고민과 점검을 이어나감’, ‘선택과 구분을 통한 자기관리 방법을 적용함’, 그리고 ‘성숙한 상생을 위해 덜어주고 보태어 감’ 이었다. 이를 토대로 ‘타고난 본성과 경험을 디딤돌 삼고 신앙과 전문성을 활용해 가되 안주하지 않는 성찰과 구분된 자기관리를 통해 뜻을 향해 주변과 더불어 성장해 감’을 전체 주제로 도출하였다.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사회복지 교육과정 차원에서 사회복지사의 자기인식, 자아의 기능적 활용과 자기 관리, 셀프케어 등 과목 개설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나아가 선배 사회복지사들이 경험을 통해 효과적이라고 입증한 기능적 자아활용의 모델 사례들을 본 연구에서 도출된 범주별로 공유하는 실질적 기회의 확대, 사회복지사가 자신의 신앙을 업무 상황들에 어떻게 기능적으로 반영하는지에 대한 심도 깊은 탐색, 자신만의 개성과 고유한 특성을 독특한 방식으로 홍보하고 공유함으로써 발생되는 효과에 대한 연구 및 예비사회복지사들의 차별화된 자아 발견 및 구체화된 공유 필요성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how social workers recognize their self and use their self in functional ways. This study utilized in-depth interviews and subject analysis to collect and analyze data. Eight experienced social workers from various practice fields were recruited by purposive sampling, and in-depth individual interviews were conducted. Data were analyzed with subject analysis method through coding process. As a result, 47 concepts, 15 sub categories and 7 categories were found: ‘realizing themselves’, ‘expanding their unique experiences', 'recognizing both one’s religious and professional self', ‘using their professional perspective and skills richly’, ‘consistent self-reflection’, ‘trying to keep a healthy self with selection and separation’, and ‘sharing and contributing to mature cooperation’. The subject drawn from the analysis is ’Purposive co-growth through on the basis of in-nature personality and experience, utilization of religion and professional competence, and incessant reflection and distinguished self care’. Based on the results, the study suggests the establishment of academic courses on self reflection, the opportunities to share each category presented in the study, functional self use and self care, addressing the necessity to explore on social workers’ self use through connecting religious self, and expressing their self effectively with their distinct strengths.

      • KCI우수등재

        자기조절의 이론적 접근과 심리장애와의 관계: 경험적 연구에 근거한 개관적 고찰

        이슬아,권석만 한국심리학회 2017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Vol.36 No.1

        Self-regulation is associated with psychological well-being and its deficits are considered a common etiological factor relevant for the development and maintenance of wide range of psychological disorders. Although numerous empirical studies have conducted to define and evaluate this concept, there have been only a few comprehensive reviews of the empirical literature. Therefore, this study is conducted to comprehensively examine self-regulation. In order to achieve this objective, this study reviewed main psychological theories of self-regulation and analyzed various measures of self-regulation. Furthermore, this study examined the role of self-regulation in the development and maintenance of mental disorders. In conclusion, this study proposes future directions of the empirical studies on self-regulation and psychological disorders as discussing the limitations of the previous studies. 자기조절은 다양한 삶의 영역에 적응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구성개념으로, 높은 자기조절력은 성공적이고 건강한 삶에 기여하는 행동들과 관련되며, 자기조절에 실패할 경우에는 다양한 심리장애 및 문제행동을 겪게 된다. 현재까지 다양한 영역에서 자기조절에 대한 폭넓은 연구가 이루어졌음에도 불구하고 연구마다 자기조절 개념의 정의나 측정도구가 다양하게 사용되어 온 바, 연구 결과를 비교하고 통합하는 데 어려움이 크다. 또한 다양한 심리장애와의 관계에 대한 연구들을 충분히 검토하지 않았다는 한계를 지니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자기조절의 개념 및 측정도구, 심리장애와의 관계에 대한 연구들을 통합적으로 포함하는 보다 포괄적인 개관 연구를 실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우선 자기조절의 주요 이론들을 살펴보면서 각 이론들의 핵심적인 특징을 비교하였고, 이어서 대표적인 측정도구들의 특징을 구체적으로 살펴보고 한계점을 논의하였다. 아울러 심리장애와 자기조절의 관계에 대한 연구들을 검토하면서 자기조절 개념이 심리장애를 설명하는 역할에 대해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를 통해 추후 자기조절 관련 연구에서 고려해야 할 연구 과제를 제시하였다.

      • KCI등재

        사교육은 자기주도 학습을 대체하는가?

        고선 ( Sun Go ) 한국응용경제학회 2013 응용경제 Vol.15 No.1

        이 글에서는 2009년 생활시간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사교육에 따른 학생의 시 간자원 배분 변화를 패널 고정효과 모형과 도구변수 토빗 모형으로 살펴보았다. 패널 고정효과 모형은 학습동기와 의욕 등 관찰되지 않는 개인의 특성에 대해 통제하는 장점이 있는데, 분석 결과에 따르면 사교육 시간의 100분 증가는 같 은 날 자기주도 학습 시간의 14~54분 감소와 관련되었다. 한편 도구변수 토빗 모형에서는 사교육 시간과 자기주도 학습 시간 사이의 내생성을 통제하기 위하 여 2009년 사교육비 실태조사 자료로부터 일반교과 사교육 시간당 가격 자료를 계산하여 사교육 시간에 대한 도구변수로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사교 육 시간과 자기주도 학습 시간 사이에는 거의 일대일에 상응하는 대체 관계가 발견되었다. 이 글에서는 2009년 생활시간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사교육에 따른 학생의 시 간자원 배분 변화를 패널 고정효과 모형과 도구변수 토빗 모형으로 살펴보았다 패널 고정효과 모형은 학습동기와 의욕 등 관찰되지 않는 개인의 특성에 대해 통제하는 장점이 있는데, 분석 결과에 따르면 사교육 시간의 100분 증가는 같 은 날 자기주도 학습 시간의 14~54분 감소와 관련되었다. 한편 도구변수 토빗 모형에서는 사교육 시간과 자기주도 학습 시간 사이의 내생성을 통제하기 위하 여 2009년 사교육비 실태조사 자료로부터 일반교과 사교육 시간당 가격 자료를 계산하여 사교육 시간에 대한 도구변수로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사교 육 시간과 자기주도 학습 시간 사이에는 거의 일대일에 상응하는 대체 관계가 발견되었다. Does private tutoring substitute for self-motivated study? Results from panel fixed-effect regressions using the 2009 Time Use Survey show that a one-hundred minutes` increase of private tutoring was associated with a 15~54 minutes` decrease in self-motivated study at home or schools on the same day. To consider for the endogeneity between private tutoring and self-motivated study, we also estimated an IV Tobit model instrumenting the average hourly price of private tutoring for private tutoring time. The IV Tobit results show that private tutoring has an almost one-to-one substitution effect on the time spent for self-motivated study.

      • KCI등재

        가상현실재활시스템 적용에 따른 뇌졸중 환자의 일상생활활동, 인지기능, 자아존중감의 개선효과

        김영근(Kim, Young-Geun) 한국산학기술학회 2015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6 No.8

        본 연구의 목적은 산학연 공동기술개발사업으로 개발한 가상현실재활시스템이 뇌졸중 환자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지 임상 실험으로 알아보고 이를 통해 개발제품의 임상적 사용 가능성을 검증하기 위함이다. 임상실험을 통해 검증하고자 가상현실재활시스템을 재활병원에 입원하고 있는 뇌졸중 24명(뇌출혈 13명, 뇌경색 11명)에게 제공하였다. 실험군(13명)에는 가상현실재활시스템 위주의 훈련을 실시하였고, 대조군(11명)에는 재활치료의 유형인 보편적 기능훈련으로 일상생활활동 훈련, 지필물과 테이블 탑 위주의 인지재활 훈련, 운동조절 훈련을 실시하였다. 실험군과 대조군 모두 주 3회 하루 2회씩 총 8주간 실시하였다. 두 집단 모두 사전사후 기능적 독립 측정(Functional Independent Measure; FIM), 한국형 간이정신상태검사(Mini-Mental State Examination for Korean; MMSE-K), 자아존중감척도 평가를 실시하였다. 실험결과 가상현실재활시스템을 제공한 집단과 보편적 재활치료를 받은 집단이 일상생활활동, 기초인지, 자아존중감척도에서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중재 전후를 비교해 본 결과 가상현실재활시스템을 제공한 집단이 중재 전보다 중재 후에 일상생활활동, 기초인지, 자아존중감에서 모두 의미 있는 향상이 있었다(P<.05). 산학공동으로 개발한 가상현실재활시스템이 뇌졸중 환자의 일상생활 기능과 기초 인지능력을 회복시키고, 삶의 만족과 인간행동의 원인이 되는 자아존중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보여 주었기 때문에 가상현실재활시스템의 임상 적용 가능성을 긍정적으로 확인하였다. 추후 연구에서는 가상현실재활시스템을 뇌손상 환자와 치매 환자의 다양한 기능 회복에 대한 임상적 유용성을 검증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clinical usefulness of the virtual reality rehabilitation system which Academic-Industrial cooperation develop through clinical experiment for recovering the functional abilities in stroke. For this purpose, 24 Stroke(hemorrhage13, infarction11)participated in a clinical experiment. They were randomly assigned to the virtual reality rehabilitation system group(n=13) and conventional rehabilitation training(Activities of daily living, cognition training, motor control) group(n=11). All participant were evaluated with three standardized assessment tools(Functional Independent Measure; FIM,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for Korean; MMSE-K, Self-esteem scale) before and after the planned intervention sessions. All participant were intensively carried out for 8weeks, 3times a week.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s for Activities of daily living, basic cognitive abilities and self-esteem related with life satisfaction after the interventions(p<.05).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s for all assessment tool after interventions. Because of this experimental results, the virtual reality rehabilitation system showed the clinical utility for recovering the function in stroke.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verify the clinical usefulness on the improvement of various functions in brain injury and dementia.

      • KCI등재

        Graphene Quantum Dots Enhanced Photocatalytic Activity of Sb2WO6 Under Ultraviolet- and Visible-Light Irradiation

        Shan Li,Zhongping Chen,Datong Wu,Yong Qin,Yong Kong 대한화학회 2020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Vol.41 No.5

        A novel composite of graphene quantum dots functionalized Sb2WO6 (GQDs/Sb2WO6) was prepared by an electrostatic self-assembly method and used as a photocatalyst for the degradation of an organic pollutant. The resulting GQDs/Sb2WO6 was characterized by electron microscopy and optical measurements. The photocatalytic activity of GQDs/Sb2WO6 was investigated by degrading methyl orange (MO) under UV-light and visible-light irradiation. Compared with pure Sb2WO6, enhancement of the photocatalytic performance of GQDs/Sb2WO6 was achieved, and the degradation efficiency for MO was almost 100% within 3 h under UV-light irradiation and 71.4% within 3 h under visible-light irradiation. The photocatalytic degradation mechanism of GQDs/Sb2WO6 was illustrated by free radical and hole scavenging experiments, and the main active species were confirmed to be holes (h+) and superoxide anion radicals (O2·?). Moreover, the GQDs/Sb2WO6 composites exhibited high recyclability and stability and had potential application for decomposing other organic contaminants in water.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