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Research on Measures for Establishment of Compliance Officer System in Korea

        김태명 한국전문경영인학회 2017 專門經營人硏究 Vol.20 No.3

        The compliance officer system has long been established in advanced countries including the US, the UK, Germany, and Japan. Moreover, it is widely considered an essential part of the management in globally renowned companies such as Microsoft and GE. For instance, no listed company in the US shall make a public disclosure until its corporate disclosure materials are not signed by the compliance officer. In addition, companies with efficient compliance officer systems can get up to 60% relief on legal penalties even in case they are sentenced with fines from violation of relevant laws. Above all, due to the strong social emphasis on business ethics, companies in advanced countries are actively introducing compliance officer systems to promote their corporate image. However, according to the business report of Financial Supervisory Service issued in June 2016, only 183 companies out of 311 listed companies in Korea that are required to appoint compliance officers have compliance officer system in place, which is only 58.8% of companies supposed to have the system. The rest 41.2% of companies haven't appointed their compliance officers yet. To successfully establish the compliance officer system in Korea, it is necessary to take the following measures. Firstly, the number of companies that are required to introduce the system should be increased in phases. Practically, it would be difficult to expand the coverage in a short period of time. But the number of companies mandated to have the system in place must be increased gradually. Secondly, not only listed private companies but also public companies that have public influence or concerned to public interest should also be required to adopt the system. Next, the status of compliance officer must be secured and their qualification criteria need to be eased. Currently the work scope of compliance officers is redundant with that of auditors (Audit Committee). Moreover, the qualification doesn't need to be limited to those from certain vocational background, for instance lawyers. Also, there should be sanctions against companies that haven't appointed compliance officers yet. There is no statutory penalty to impose sanctions in case listed companies don't have a proper compliance officer system. To help the compliance officer system take root in Korea, it is essential to have more practical and legally binding measures such as sanctions. The fifth measure is giving incentives to companies that appoint compliance officers. Measures including tax benefits, exemption or reduction of criminal punishment and fines shall be considered. The sixth is computerization of most compliance officer tasks. That will enable compliance officers to focus on their core tasks, helping them to perform their work with higher efficiency in a more strategic manner. Seventh, the compliance officer system stated in the Korean Commercial Act and the system in specified in other finance related laws shall be integrated into one to ensure consistency. Finally, the role and work scope pertaining to internal controls shall be clearly distinguished and the work independence must be guaranteed. As this research places a strong focus on suggesting efficient measures to establish the compliance officer system in Korea, empirical analysis is not included herein.

      • KCI등재

        Research on Measures for Establishment of Compliance Officer System in Korea

        Tae-Myung Kim 한국전문경영인학회 2017 專門經營人硏究 Vol.20 No.3

        준법지원인제도는 미국, 영국, 독일, 일본 등 외국에서는 이미 일반화된 지 오래고, 마이크로소프트, GE 등 세계적인 기업에서 필수적인 제도로 정착되어 있다. 미국의 상장회사들은 기업공시 자료에 준법지원인(compliance officer)의 서명이 없으면 공시 자체가 어렵다. 또한 법위반 행위로 벌금형을 부과받을 때도 효과적인 준법지원제도가 마련되어 있는 회사는 법정형의 60%까지 감경받고 있다. 무엇보다 기업윤리를 중시하는 사회분위기 덕분에 기업들은 앞다투어 준법지원인제도를 도입하여 기업 이미지 제고에 활용하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에서는 금융감독원의 2016년 6월 사업보고서에 따르면 준법지원인 선임 대상 311개 상장사 중 58.8%인 183개 회사만이 준법지원인을 두고 있으며, 41.2%에 해당하는 128개 회사는 아직까지 준법지원인을 선임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준법지원인제도를 올바르게 정착시키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방안이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첫째, 준법지원인제도 도입 대상 회사를 단계적으로 확대하여야 한다. 현실적으로 갑작스레 적용 대상 회사를 확대하는 것은 어렵더라도 단계적으로 준법지원인 선임 대상 회사를 늘려 나가야 한다. 둘째, 상장회사와 더불어 공공성이 큰 공기업도 준법지원인제 도입 대상에 포함시켜야 한다. 셋째, 준법지원인의 지위를 명확히 하고, 그 자격기준을 완화할 필요가 있다. 준법 지원인과 감사(감사위원회)의 업무범위가 중복되고 있다. 또한 자격을 반드시 특정 직역(변호사)에 국한시킬 필요는 없다. 넷째, 준법지원인 미선임기업에 대한 제재가 필요하다. 상장회사들이 이를 선임하지 않은 경우에 제재를 가하는 처벌 규정이 없는 상태이다. 준법지원인제도를 정착시키기 위해서는 현실적으로 제재와 같은 의무화를 위한 방안이 필요하다. 다섯째, 준법지원인 선임기업에 대한 인센티브 부여가 필요하다. 준법지원인 도입 기업에 대한 세제 혜택, 형사처벌 감면, 과징금 감면 등의 방안이 모색되어야 한다. 여섯째, 준법지원인의 업무 대부분을 전산화 한다면, 준법지원인은 본질적인 업무에 집중할 수 있어 보다 효율적인 업무 수행을 통하여 전략적 준법지원업무를 수행 할 수 있을 것이다. 일곱째, 상법상 준법지원인제도와 금융관련법상 준법감시인제도를 단일법으로 통합할 필요가 있다. 여덟째, 내부통제업무와 관련하여 직무가 명확히 구분되고 업무의 독립성이 보장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준법지원인제도의 효율적인 정착방안을 제시하는데 주안점을 두고 있기 때문에 실증적 분석은 제외하였다. The compliance officer system has long been established in advanced countries including the US, the UK, Germany, and Japan. Moreover, it is widely considered an essential part of the management in globally renowned companies such as Microsoft and GE. For instance, no listed company in the US shall make a public disclosure until its corporate disclosure materials are not signed by the compliance officer. In addition, companies with efficient compliance officer systems can get up to 60% relief on legal penalties even in case they are sentenced with fines from violation of relevant laws. Above all, due to the strong social emphasis on business ethics, companies in advanced countries are actively introducing compliance officer systems to promote their corporate image. However, according to the business report of Financial Supervisory Service issued in June 2016, only 183 companies out of 311 listed companies in Korea that are required to appoint compliance officers have compliance officer system in place, which is only 58.8% of companies supposed to have the system. The rest 41.2% of companies haven't appointed their compliance officers yet. To successfully establish the compliance officer system in Korea, it is necessary to take the following measures. Firstly, the number of companies that are required to introduce the system should be increased in phases. Practically, it would be difficult to expand the coverage in a short period of time. But the number of companies mandated to have the system in place must be increased gradually. Secondly, not only listed private companies but also public companies that have public influence or concerned to public interest should also be required to adopt the system. Next, the status of compliance officer must be secured and their qualification criteria need to be eased. Currently the work scope of compliance officers is redundant with that of auditors (Audit Committee). Moreover, the qualification doesn't need to be limited to those from certain vocational background, for instance lawyers. Also, there should be sanctions against companies that haven't appointed compliance officers yet. There is no statutory penalty to impose sanctions in case listed companies don't have a proper compliance officer system. To help the compliance officer system take root in Korea, it is essential to have more practical and legally binding measures such as sanctions. The fifth measure is giving incentives to companies that appoint compliance officers. Measures including tax benefits, exemption or reduction of criminal punishment and fines shall be considered. The sixth is computerization of most compliance officer tasks. That will enable compliance officers to focus on their core tasks, helping them to perform their work with higher efficiency in a more strategic manner. Seventh, the compliance officer system stated in the Korean Commercial Act and the system in specified in other finance related laws shall be integrated into one to ensure consistency. Finally, the role and work scope pertaining to internal controls shall be clearly distinguished and the work independence must be guaranteed. As this research places a strong focus on suggesting efficient measures to establish the compliance officer system in Korea, empirical analysis is not included herein.

      • KCI등재

        국토계획법상 지구단위계획수립 관련 주민참여 제고방안(提高方案)에관한 연구 : 주민제안의 현황 및 제도적 활성화를 위한 개선방안을 중심으로

        최용(Choi, Yong) 한국토지공법학회 2021 土地公法硏究 Vol.93 No.-

        행정에 있어서 주민참여란 공익적 관점에서 주민이 중앙 및 지방자치단체를 포함한 정부의 의사결정과정에 직접 또는 간접으로 참여하여 정책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말한다. 1991년 지방자치제의 부활 이후 학계에서도 주민참여 활성화에 관한 여러 선행 연구들이 있어 왔다. 행정계획의 수립 및 결정절차에 있어서 주민의 권익보호를 위한 논의들 역시 지속적으로 개진되었지만 안타깝게도 주민의 실질적 참여는 이뤄지지 못하고 있는 것이 현황이다. 본 연구자는 행정계획과 관련하여 주민참여가 저조한 현실 속에서 방법론 탐색의 일환으로 작은 단위 행정계획인 지구단위계획의 수립에 있어 주민참여를 제고할 수 있는 실효적인 방안들을 고민해 보고자 한다. 주민제안과 관련하여 제도적 차원의 개선책을 모색해 보는 것이 실질적인 주민참여 활성화를 위한 의미 있는 시도라는 생각으로 본고 연구에 천착하게 되었다. 위와 같은 연구 목적을 기초로 지구단위계획의 운용 현황 및 문제 점에 대한 분석을 진행한 결과 현행 지구단위계획 수립지침은 주민의 입안 제안 및 그 변경을 제안하는 규정들과 관련하여 대외적 구속력(규범력)이 부여될 필요가 있다는 결론에 도달하였다. 또한 주민 제안의 수용 여부에 있어서 행정주체의 자의적 판단을 막고, 일방 적인 거부 결정을 방지할 수 있는 통제책의 마련 역시 긴요한 과제로 선정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자는 행정주체의 주민 제안 수용 여부에 대한 회신 기한 연장을 위한 수립지침 개정과 함께 상기 주민 제안 관련 규정들을 현행 훈령에서 법규명령인 시행령으로의 승격하여 제정 및 운용하는 방안을 제시해 보았다. 수립지침 중 주민 제안에 대한 행정주 체의 타당성 평가, 절차, 세부 기준 등이 객관적으로 작동할 수 있도록 검증 및 평가의 규정 마련이 필요한 바 이를 신속하게 도입할 필요가 있으며, 이 역시 시행령 형식으로 제정 하여 규범력을 갖추어 운용할 필요성이 있다고 본다. 수립지침 상 주민 제안의 활성화를 사실상 어렵게 하는 구조적 문제점은 제도적 지원 방안의 관점에서 모색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자는 공동체의 활성화와 환경의 보전 등을 위한 주민의 입안 제안의 경우 비용 지원의 근거 규정을 마련하고, 전문가 조력의 상시화, 주민의 위원회 참여 기회 보장 등 주민 제안의 제도적 관점에서 본 개선 방안들을 제시해 보았다. 본고를 통해 지구 단위계획수립에 있어 주민제안 활성화에 관한 논의가 조금 더 구체화되고, 기타의 개발계획 등 행정계획에서 주민참여를 제고할 수 있는 실천적 방법론에 대한 고민과 검토 작업 들이 이어지기를 기대해본다. Residents participation in administrative affairs means that residents directly or indirectly participate in the government s decision-making process, including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from a public interest perspective, affecting the policy process. Since the revival of the local autonomy system in 1991, there have been several prior studies in academia on revitalizing residents participation. Discussions on the protection of residents rights and interests have also been continuously held in the process of establishing and determining administrative plans, but unfortunately, the actual participation of residents has not been made. I wants to consider effective measures to enhance residents participation in the establishment of a small-unit administrative plan, a district unit plan, as part of the search for methodology amid the low participation of residents in administrative planning. In connection with the residents proposal, I decided to pursue the study with the idea that seeking institutional improvement is a meaningful attempt to revitalize the participation of residents. The analysis of the current status and problems of the district unit plan based on the above research purposes led to the conclusion that the current district unit plan guidelines need to be given external binding force in relation to residents proposals and regulations to change them. In addition, it was also selected as an important task to prepare controls to prevent arbitrary judgments by administrative entities and to prevent unilateral rejection decisions in the acceptance of residents proposals. To this end, I proposed a plan to promote, enact, and operate the regulations related to the proposal of residents from the current order to the enforcement ordinance, along with revising the establishment guidelines to extend the deadline for responding to the residents proposals. Among the establishment guidelines, it is necessary to quickly introduce regulations for verification and evaluation so that administrative entities feasibility, procedures, and detailed standards for residents proposals can be objectively operated. Under the establishment guidelines, structural problems that make it virtually difficult to revitalize residents proposals need to be sought in terms of institutional support measures. To this end, this researcher proposed improvement measures from the institutional perspective of residents proposals, such as the provision of cost support, regularization of expert assistance, and guaranteeing opportunities for residents to participate in the committee. Through this study, I hope that discussions on revitalizing residents proposals will be more concrete in the establishment of district unit plans, and that other practical methodologies such as development plans can enhance residents participation.

      • 위조방지무역협정(ACTA)의 국내이행방안에 관한 연구 : 한미 FTA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이상미(Lee Sang Mi) 차세대콘텐츠재산학회 2012 콘텐츠재산연구 Vol.3 No.-

        위조방지무역협정(Anti-Counterfeiting Trade Agreement, 이하 “ACTA”)은 지적재산권 집행강화를 위한 새로운 다자간 협정으로, 2008년부터 2년간 비공개로 협상이 진행되다 2010년 4월 21일 그 협정문이 공개되기에 이르렀다. 공개된 협정문은 총 6장으로 구성되어있으며, 가장 논란이 되고 있는 것은 제2장 지적재산권 집행에 관한 규제이다. 이는 (i) 민사집행, (ii) 국경조치, (iii) 형사집행, (iv) 디지털 환경에서 지적재산권의 기술적 집행에 관한 특별 조치로 구성 되어있다. 이 글에서는 한미FTA와의 비교 검토를 통하여 협정 이행시 국내에 필요한 규정을 다음과 같이 지적하였다. (i) 민사집행에 있어 법정손해배상제도와 침해자에 대한 정보청구권의 도입, (ii) 국경조치에 있어 절차적 대상으로써 ‘환적’의 추가, (iii) 형사집행에 있어 위조된 라벨 유통행위와 영상저작물녹화행위의 형사처벌 규정 도입, (iv)디지털 환경 하 특별 조치에 있어 온라인서비스제공자의 침해자관련 정보제공의무와 기술적보호조치의 무력화 행위 자체의 금지 규정의 도입. 또한, ACTA의 체결 목적이 권리자의 보호강화에 초점을 맞추고 있음을 감안하여 국내 이행을 위한 법 개정 시 권리자와 이용자 사이의 권익의 균형과 조화를 맞추는 입법을 제언한다. ACTA which means Anti-Counterfeiting Trade Agreement is new multilateral agreement for reinforcing enforcement of intellectual property. During 2 years closed negotiation of ACTA has been progressed and recently the agreement was made public. It constitutes 6 sections and the most controversy section is the Section.2 ‘Legal Framework for Enforcement of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This section consists of (i) Civil Enforcement, (ii) Border measure, (iii) Criminal Enforcement, (iv) Special Measures Related to Technological Enforcement of Intellectual Property in the Digital Environment. At this paper, regulations which would be necessary if the greement is made are proposed as compared with KORUS FTA. It is (i) in connection with Civil enforcement, pre-established damages and the authority to order the alleged infringer to provide any relevant information, (ii) in conjunction with Border measures, as the target of border measures introduction of transhipment, (iii) in regard to Criminal enforcement, introduction of criminal penalty about the distribution of counterfeited trademark and recording audiovisual works, (iv) in reference with Special Measures Related to Technological Enforcement of Intellectual Property in the Digital Environment, online service providers"s obligation to provide information about infringers and prohibition of circumventing technological measures. Legislators should make the related regulations very careful in order not to harm fair use privileges.

      • 철도안전관리체계 국내외 사례 및 발전방안 고찰

        이창민(Chang-min Lee),황성민(Seong-min Hwang),안현근(Hyun-geun An),박지훈(Ji-hoon Park),박정수(Jung-soo Park) 한국철도학회 2017 한국철도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017 No.05

        2003년 대구 지하철 화재 참사를 계기로 철도안전에 대한 인식이 변화되었으며, 2004년부터는 철도역사상 많은 변화가 발생한 시작점이다. 2004년 3월부터 개정된 철도안전법은 과거의 철도안전관리기법에서 탈피하여 새로운 안전관리체계 도입을 요구하게 되었다. 이에 국제기준과의 차이점을 찾아내어 국내는 국제기준에 부합하도록 변경검토를 하여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첫째 2004년 이후 급격하게 변화한 철도운행 반경을 분석하고, 둘째 철도안전관리체계 정립을 위한 국내외 적용되는 다양한 기법을 소개한다. 셋째 철도사고 발생률 국제비교 및 문제점 제시를 통해 사고예방활동, 사고저감대책을 정리하고 철도안전의 미래상과 철도안전대책을 제시하고자 한다. Daegu metro fire in 2003,. The awareness of the railway safety on railway platforms since 2004, and change many changes have occurred in the starting point. The Railroad safety Act as amended in March 2004, broke away from railways safety management style of the past with new safety management system require the adoption. In noticed a difference with international standards both at the national and international standards should be required to enable change to conform to the review. In this study, the first railroad operations changed dramatically since 2004, applied at home and abroad for the safety management system for railways, and second for a radius of a variety of techniques. Here. Third rail accident rate for international Student and the Reduction Strategies of incident and railway safety, accident prevention measures through the presentation of vision problems and to provide safety measures.do.

      • KCI우수등재

        연구논문(硏究論文) : 우리나라가 체결한 FTA 및 관련 조약에서의 지식재산권 집행조항이 국내에 미친 영향에 관한 분석

        김용진 ( Yong Jin Kim ) 법조협회 2016 法曹 Vol.65 No.4

        이 글은 FTA 지식재산권 집행조항을 한-미ㆍ한-EUㆍ한-중 FTA의 관련조항을 비교하여 분석하고 그 결과를 평가하였다. 미국은 “TRIPS-plus” 조항을 고집함으로써 FTA를 자국의 이익을 관철하는 수단으로 활용해오고 있는 반면에, 유럽연합은 WIPO 등이 주축이 된 기존의 질서 내에서 IP 보호수준을 높이려는 행보를 계속하여 왔다. 이와 같이 신질서추구세력과 구질서발전세력 사이의 알력으로 인하여 FTA는 다자조약이 아니라 주로 양자조약의 형태로 체결되어 온 것이 현실이다. 그런데 우리나라는 미국은 물론 유럽연합과 FTA를 체결하면서, 양 세력의 핵심적 제도를 동시에 받아들이는 입법적 선택을 감행하였다. 예컨대 한-미 FTA는 법원의 명령에 따르지 아니한 소송법적위반행위에 대해 실체적 제재를 가하는 규정을 마련할 것을 요구할 뿐 아니라 우리나라의 과실책임주의의 원칙을 무력화시키는 법정손해배상 제도의 도입을 강제하고 있다. 이와 같은 법정손해배상 제도의 내용은 같은 대륙법계국가에 속하는 중국과 체결한 FTA에서도 그대로 되풀이 되었다. 다른 한편, 유럽연합과의 관계에서는 우리나라제도에 익숙하지 아니한 형태의 증거보전조치와 정보청구 대상자를 제3자로 확대시키는 조항을 채택하였다. 위와 같이 우리나라는 서로 조회되기 어려운 대륙법과 영미법의 특징적 요소를 수용함으로써, 영미법과 대륙법을 가교하였다는 자부심과 함께 제도 운영 면에서 서로 상충할 수 있는 위험에 노출되어 있다. 그리고 그 만큼 국내이행입법에 어려움을 겪고있는 것도 사실이다. 법정손해배상 제도는 국내법에 수용되었지만, 정보제공자를 제3자로 확대하는 일은 가까운 장래에는 기대하기 어려울 것 같다. 중국과의 관계에서는 미국에 버금가는 보호규정을 합의해 냈지만, 필수적인 비밀유지의무 조항이 없으며 폐기상품에 대한 종국적인 국경조치도 보장받지 못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논문은양 제도를 가교한다는 긍지와 함께 수준 높은 집행제도에 관한 국가신임도를 높일 수있고, 이후 다른 나라와의 FTA 협상의 전례로 삼을 수 있다는 점 등에 비추어 긍정적으로 평가하여도 무방하다는 결론에 도달하였다. This paper sheds light on an emerging phenomenon relevant to the IP enforcement provisions of Free Trade Agreement. It focuses on the enforcement topics, i.e. the remedies provisions including civil measures and provisional measures. Korea has concluded and brought into force KORUS FTA as of the begin of 2014 and EUㆍorea FTA as of December 13, 2015. It is well known that FTAs negotiated by the U.S.A. have a number of ``TRIPS-plus`` provisions reflecting the interests of the U.S. They have been utilizing the IP chapter of FTAs as international rule-making efforts taking advantage of FTAs. On the other side some developing countries as well as the European Union adhere to the traditional international principles. In the FTAs is seen such a contention between the New World including the U. S. and the Old World, including the EU Member States. As not only the EU but also the U.S. has concluded FTAs with us, the FTA strategies of the two sides are intersected over one country, the Republic of Korea. This paper explores that Korea is exposed to high level of IP protection. As examples it demonstrates the provisions of the right of information and pre-established damages. With regard to the right of information the Korea-EU Trade Agreement goes beyond any other FTAs, as it requires the adoption of ``third party information``. Moreover the FTAs of Korea-China and KORUS mandate adoption of pre-established damages, while the FTA between Korea and EU does not require the adoption of US-style statutory damages. In this respect, the Korea-US Trade Agreement goes beyond TRIPS and even the TPP, which offers the option between “pre-established damages” and “additional damages”. Although it is not desirable for us to introduce this US-style statutory damages in our judicial system. we have already implemented such a statutory damages framework. The paper concludes with great confidence in international cooperation.

      • KCI등재

        누설전류에서 희생양극법을 이용한 전식 방지에 대한 연구

        유해출(Hai-Chool Yoo),최홍규(Hong-Kyoo Choi)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 2010 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지 Vol.24 No.8

        최근 전력구동 수송수단의 보편화로 그 주변에서 발생하는 누설전류로 인한 지하 금속매설물의 전기부식 문제의 심각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전식에 대한 이론적인 개념과 구체적인 현상을 확인하고 전력구동 수송시스템에서 전식을 최소화할 수 있는 전기화학적 방안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Recently, since the prevalence of electric driving transfer system arouse the electric corrosion of neighboring underground metal establishment, the problems caused by that kind of electric corrosion became very serious. In this paper, we studied about a theoretical concept and concrete concepts of electric corrosion and tried suggested an optimistic chemico-electrical measures on the electric corrosion of underground metal establishments.

      • 택지 철도의ㆍ일체적 추진을 위한 법제연구

        지우석,정명운,최환용,이세정,이상윤 경기연구원 2009 위탁연구 Vol.2009 No.6

        대도시권의 광역교통 문제를 효율적으로 해결하기 위하여 1997년에 「대도시권 광역교통관리에 관한 특별법」이 제정되었다. 그러나 이 법의 시행 이후에도 대도시권의 광역교통과 관련하여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첫째, 광역교통계획이 필요한 신도시개발 및 대단위 택지개발 시 도로중심의 광역교통계획과 대책을 수립함으로써 대중교통보다는 승용차 의존적 도시가 되고 있다. 이로부터 주요 간선축의 교통 혼잡이 더욱 심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둘째, 광역교통개선대책을 대규모 택지개발사업에 대해서만 개별 지구별로 수립하도록 규정함에 따라 주변의 소규모개발사업과의 연계성이 결여되고 있다. 따라서 교통네트워크의 연결성 및 교통시설 부족현상이 발생하고 있다. 셋째, 교통시설의 공급규모 및 비용분담 등과 관련하여 수립권자, 관련 시 및 중앙행정기관과 개발사업자 간에 갈등이 발생하고 있다. 또한 사후관리에 대한 명확한 관리지침이 없어 광역교통개선대책의 수립ㆍ이행기간이 지연되고 있다. 따라서 지역여건에 맞는 광역교통개선대책의 수립이 어렵고 협의 및 공사 지연 등으로 교통 불편이 해소되지 않아 광역교통개선대책의 실효성이 떨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원활한 택지공급과 대도시권의 교통문제를 광역적 차원에서 효율적으로 해결하고 택지개발과 철도사업의 연계를 통한 광역적 교통네트워크를 강화할 수 있도록 그 법리적 방안을 제시한다. 연구방법으로써는 현행 택지 도시철도 관련 법제의 현황과 그 한계를 검토하고, 외부 전문가 풀을 구성ㆍ활용하여 브레인스토밍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택지ㆍ도시개발사업과 철도사업의 효율성 고조 및 체계적인 운영ㆍ지원을 위한 바람직한 입법모델로써 현행 「대도시권 광역교통관리에 관한 특별법」의 전문개정 (안)을 제시하였다. 구체적으로 택지ㆍ철도의 일체적 추진에 관해서는 광역교통개선대책 수립권의 일원화, 택지ㆍ철도의 연계개발에 대한 법적 근거를 마련하였다. 철도 중심의 대중교통체계 구축과 관련해서는 광역교통시설부담금의 배분비율 조정 및 소규모 연접개발 사업에 있어서 연계철도 기본계획수립 등 법적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대규모개발사업과 연계하여 철도를 효율적으로 건설할 수 있을 것이며, 철도 위주의 광역교통대책 수립 및 철도건설 재원 확보가 가능할 것이다. 또한 인접한 소규모 개발 사업에 대한 교통대책 수립이 이루어져 교통네트워크의 연결성 및 교통시설의 확충 등을 기대할 수 있다. To effectively solve the problems of intercity transportation in metropolitan areas, the Special Act on the Management of Intercity Transportation in Metropolitan Areas was enacted in 1997. However, the following problems related to intercity transportation in metropolitan areas have occurred since the Act entered into force. First, intercity transportation plans and measures are established with emphasis on roads at the time of the development of new towns and large housing sites subject to those plans. Thus, such new towns become automobile-oriented towns, and traffic congestion on major main lines worsens. Second, the Act provides that intercity transportation improvement measures shall, only in the case of large-scale housing site development projects, be established for each zone. Therefore, there is no connection with small-scale development projects in the vicinity. As a result, the connection between transportation networks, as well as transportation facilities, has been insufficient. Third, conflicts among persons having authority to establish intercity transportation improvement measures, relevant cities, central administrative agencies and developers arise as to scale of transportation facilities, cost sharing therefor, etc. In addition, in the absence of specific guidelines for ex post factomanagement, the establishment and implementation of those measures may be delayed. In particular, it is difficult to establish intercity transportation improvement measures appropriate in regional conditions, and the effectiveness of those measures, if any, is decreased because the transportation congestion is not settled due to delays in consultation and work. This Study is to present legal methods for facilitating the supply of housing sites, for effectively solving the problems of intercity transportation in metropolitan areas and for strengthening the intercity transportation networks by the connection between housing site development and railroad projects. As the research methods, the status of current legal systems related to housing sites and railroads, as well as the limits of such systems, is reviewed and brainstorming is conducted with an external expert pool. The research results propose a full amendment to the Special Act on the Management of Intercity Transportation in Metropolitans Areas as a desirable legislative model to raise the efficiency of housing site and urban development projects and railroad projects and to provide their systematic operation and support. In particular, this Study prepares the legal basis for the integration of authority in establishing the intercity transportation improvement measures and that for housing site and railroad connection development with respect to the integrated implementation of housing site development and railroad projects and to present legal methods for coordinating portions of intercity transportation facility contribution fees and for establishing the master plan for connected railroads in small-scale connection development projects with respect to the establishment of any public transportation system on the basis of railroads. Therefore, railroads connected with large-scale development projects can be efficiently constructed, and it is possible to establish the intercity transportation measures based on railroads and to ensure financial resources for the construction of railroads. Furthermore, it is possible to ensure and expand the connection between transportation networks as well as transportation facilities due to the establishment of transportation measures for small-scale development projects in the vicinity.

      • KCI등재

        日本における高齢者の雇用政策と法的課題

        ?方 桂子(Keiko Ogata) 한국비교노동법학회 2021 노동법논총 Vol.51 No.-

        한국에서는, 향후, 노령 연금의 지급 개시 연령인 만 65세(혹은 그것을 초과)까지의 고용을 보장하는 법 제도의 구축이 요구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한국의 고용 관행에서 정년제가 근로자의 정년연령까지 고용을 보장하는 기능을 하지 못한다면, 향후 고령자의 고용보장을 정년제 실시의 강화 또는 정년연령 연장(예를 들어 65세까지 정년연령 의무화)에 의하여 도모하려고 하여도 그 정책은 충분한 효과를 거두지 못할 가능성이 높다. 이에 본 글에서는 정년제의 연장 이외의 방법에 의한 고령자의 고용 내지 취업 보장의 기본방향을 검토하기 위하여 일본 고용확보조치의 역사적 전개 및 2020년에 새롭게 규정된 취업확보조치의 내용, 예상되는 법적 효과에 대해 고찰하였다(Ⅱ). 또 고용확보조치 중 가장 빈번하게 이용되고 있는 “계속고용제도”를 둘러싸고 발생하는 법적 과제에 대해서도 상세히 검토하였다(Ⅲ). 구체적으로는 고년법 9조 위반행위의 사법적 효과, 계속 고용 선별기준 협정이 없거나 적절히 운용되지 않은 경우의 법적 효과 및 계속 고용 시의 노동조건 문제를 다루고, 각각의 논점에 대한 학설 및 판례의 견해를 검토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 다룬 제도들은 한국에서는 현재로서는 존재하지 않는 제도지만 앞으로 유사한 제도의 도입이 시도될 가능성이 있다. 도입한다고 하면 입법적인 대응을 하게 될 것으로 생각되지만, 일본의 경험을 바탕으로 한다면 계속 고용제도 조치의무 위반인 경우의 사법적 효과와 계속 고용 후의 노동조건 문제에 관하여 충분한 대응을 해 둘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It is certain that Korea will be required to establish a legal system that guarantees employment until the age of 65 (or beyond), the starting age for old-age pension payments. However, if the mandatory retirement age does not function as a guarantee of employment until the retirement age in Korean employment practices, it is possible that such policies will not be sufficiently effective even if they attempt to guarantee employment of older workers in the future by strengthening the implementation of the mandatory retirement age or extending the mandatory retirement age (for example, by making it mandatory to retire at age 65). It is highly likely that such policies will be ineffective. Therefore, this paper examines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employment security measures in Japan, the content of the new employment security measures stipulated for 2020, and their expected legal effects, in order to consider how employment security measures other than the extension of the mandatory retirement age should be implemented (II). This paper also examined in detail the legal issues arising from the “continuous employment system,” which is the most frequently used employment security measure (III). Specifically, the paper discusses the private law effects of violations of Article 9 of the Act on Stabilization of Employment of Elderly Persons, the legal effects of inadequate or inappropriate implementation of the agreement on the selection criteria for continued employment, and the issue of working conditions for continued employment, and examines the views of academic theories and court precedents on each of these issues. The systems discussed in this paper are systems that do not currently exist in Korea, and there is a possibility that similar systems will be introduced in the future. If such a system is to be introduced, legislative measures will have to be taken. Based on the Japanese experience, it is necessary to take sufficient measures to deal with the private law effects of a breach of the obligation to take measures for a continuous employment system and the issue of working conditions after continuous employment. With regard to employment policies for the Elderly, there is a view that advocates the abolition of the mandatory retirement age, especially from the perspective of prohibiting age discrimination. While this is an important argument, it has not become a major debate in Japan, so this paper does not deal with this issue.

      • KCI등재

        특허기술의 권리회복심사 방법 연구

        설인환,지선구 한국산학기술학회 2022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3 No.7

        As we become part of the global economy, patent disputes are increasing rapidly. It is necessary to support the acquisition of patent rights by improving the decision method for the re-establishment of patents so that Korean companies can enter the global markets and compete. In this study, the decision process of re-establishment under the Patent Act was newly presented by referring to the guidelines of major advanced countries, such as Japan and Europe. As a new decision methodology, this study first judges whether the event that directly caused the delay was predictable and then proposes a procedure to review the validity of pre-case and post-case measures according to the nature of the event. When determining the validity of measures, this study considers the type of events, which were classified into inevitable cases such as natural disasters, artificial negligence, and other unexpected events, such as system defects or accidents. It is designed to determine whether necessary measures were taken and whether the response level was appropriate for the event type. As a result, patent procedures that were not acceptable under the current strict re-establishment requirements will be re-processed, creating an environment in which Korean companies can acquire patent rights more easily. 경제가 글로벌화 되면서 특허 분쟁이 급증하고 있다. 우리나라 기업이 해외에 진출해 경쟁할 수 있도록 권리회복심사 프로세스를 개선해 특허권 획득을 지원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특허법 상 권리회복에 관한 심사 프로세스와 심사 방법을 일본, 유럽 등 주요 선진국의 심사 가이드라인을 참고해 새롭게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신규 권리회복심사 방법으로서 먼저, 기간 해태의 직접적 원인이 된 사건의 예측 가능 여부를 1차적으로 판단하고, 다음으로 기간 도과를 유발한 사건을 명확히 한 후 사건의 성격에 따라 사건 전 조치의 합당성, 사건 후 조치의 합당성을 검토하는 절차를 제안한다. 조치의 합당성을 판단할 때는 사건의 유형을 고려한다. 사건의 유형을 천재지변 등과 같이 불가피한 경우, 인위적인 과실이 있었던 경우 및 기타 시스템 불량이나 사고 등 예기치 않은 사건이 발생한 경우로 구분하고 필요한 조치를 취했는지 여부 및 그 수준이 적정했는지를 판단하도록 설계하였다. 이에 따라 종전 엄격한 권리회복요건 하에서 인정받지 못했던 절차들에 대해 다시 절차를 밟게 됨으로써 우리나라 기업이 좀 더 쉽게 특허권을 획득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할 수 있게 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