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동아시아의 징관(澄觀)화엄 계승과 그 역사적 전개

        김용태(Yong Tae Kim)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2012 佛敎學報 Vol.0 No.61

        본고는 중국 華嚴敎學의 집성자인 澄觀사상의 동아시아적 전개와 계승을 중국 송대와 조선후기 화엄교학에 초점을 맞추어 고찰한 것이다. 송대 화엄교학의 특징은 法藏과 징관 화엄의 대비구도로 이해된다. 징관과 宗密의 사상을 계승한 觀復의 『會解記』는 화엄의 ``同敎一乘``을 강조하여 諸敎융합적인 송대의 교학경향에 부합하였고, 화엄 ``別敎一乘``의 절대성을 강조한 師會계통은 법장교학을 계승하여 화엄 우위의 정통주의를 표방하였다. 조선후기에는 禪, 敎, 念佛을 병행하는 三門체계가 정립되었고 看話禪과 화엄으로 대표되는 禪敎兼修가 추구되었다. 중국 嘉興大藏經의 징관 『華嚴疏,抄』가 17세기말 조선에 유입되고 유통되면서 화엄 講學이 성행하고 주석서 私記저술이 본격화되었으며 18세기에는 ``화엄의 시대``라고 할 만큼 교학을 중시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즉 징관 화엄이 큰 영향을 미치면서 화엄은 선종의 祖師禪과 동격으로 이해되었고 선과교의 두 전통이 병립하여 계승되었다. Determined in this article, is how the Buddhist teaching of Jing`gwan/澄觀, who is known to have ``completed`` the Hwa`eom-based Academic Buddhism(華嚴敎學) in China, was spreaded throughout regions of East Asia, as well as how it was relayed to the following generations of Buddhist priests. Such determination will be made by examining the Hwa`eom-based Academic Buddhism that not only prevailed inside the Chinese Sung dynasty, but also prospered in the Korean Joseon dynasty in its latter half period. The main characteristic of Chinese Sung`s Hwa`eom-based Academic Buddhism is the coexistence of Beob`jang/法藏`s Hwa`eom teachings and Jing`gwan`s Hwa`eom teachings. Gwanbok`/觀復`s 『Hwe`hae-gi/會解記』, which inherited the thoughts and teaching of Jing`gwan and Jong`mil/宗密, emphasized the Hwa`eom teaching`s ``同敎一乘(Dong`gyo Il`seung: All academic Buddhism share the same importance)`` principle, and maintained a close relationship with the attitude of academic Buddhism of Sung, which tried to invite all kinds of academic Buddhism and gather them together. On the other hand, the line of Sa`hwe/師會emphasized the ultimate nature of Hwa`eom`s another supposed principle ``別敎一乘(Byeol` gyo Il`seung: a particular type of academic Buddhism comes before all else).`` He inherited Beob`jang`s teachings, and claimed the status of legitimacy which usually considered Hwa`eom teachings above all else. In the latter half period of the Joseon dynasty, a three-pronged system (Sam`mun/三門), which included character-building pursuits of Zen(禪), academic studies of buddhism(敎), and the Yeombul/念佛practices, was established. Also, the teachings of both Gan`hwa Zen(看話禪) and Hwa`eom studies were pursued at the same time by the same people(禪敎兼修). Jing`gwan`s acclaimed writings of 『Hwa`eom So-Cho/華嚴疏,抄』, inside China`s Ga`heung Grand Collection of Sutras(嘉興大藏經), was introduced to the Joseon people at the end of the 17th century, and after that preaches of Hwa`eom`s teaching increased, while the publications of ``private memorandums(私記),`` which were actually proofread commentary versions of the original texts, became a new norm. The pursuit of academic Buddhism became so dominant, that the 18th century was actually called the ``Era of Hwa`eom.`` With the influences of Jing`gwan`s Hwa`eom teachings strongly appreciated more than ever, Hwa`eom teachings came to be considered as positioned at the same level of Zen Buddhism`s Josa Zen(祖師禪) teachings. Such atmosphere enabled traditions of both Zen Buddhism and Academic Buddhism to be adequately succeeded by the Joseon(Korean) people.

      • KCI등재

        동아시아 사회진화론의 수용과 그 계보-신소설 작가들의 사회진화론 인식론에 대한 서설(序說)-

        유봉희 ( Yoo Bong-hee )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4 한국학연구 Vol.0 No.32

        이 논문은 신소설 작가들의 사회진화론 인식론에 대한 서설로, 동아시아 사회진화론의 수용과 그 계보를 거칠게나마 살피는 것을 목적으로 했다. 중국의 옌푸(嚴復)·량치차오(梁啓超), 일본의 가토 히로유키(加藤弘之)를 중심으로 살피기는 했지만, 이들과 유럽의 연쇄고리를 전제한 후 영국의 스펜서·헉슬리·키드와 독일의 블룬칠리·헤켈 등의 진화론사상을 동시에 포괄했다. 이를 통해 중국의 엄복·양계초, 일본의 가토 히로유키 등의 사회진화론사상의 뿌리를 확인하기도 했다. 즉 개인의 방임을 강조한 영국 발 사상이냐, 아니면 개인마저도 국가에 수렴하는 강력한 국가우위의 독일 발 사회진화론이냐, 하는 갈림길에 주목했던 것이다. 양계초는 영국 사상가들에게서, 가토 히로유키는 독일의 사상을 적극 수용했음을 알 수가 있었다. 당시 조선의 신소설 작가들 또한 자신의 사상적 바탕을 사회진화론에 두고 있었다는 사실을 인정하다면 양계초를 매개로 사회진화론사상을 받아들였는가, 아니면 가토 히로유키를 키워드로 수용했는가 하는 문제는 중요하게 다가올 수밖에 없을 터다. 그 결과 양계초와 카토 히로유키를 매개로 수용한 조선의 사회진화론은 그 성격을 달리했던 것이다. 이들로부터 영향을 받은 신소설 작가들 또한 작품의 지향점이 극명하게 갈리게 된다. 이 논문이 거듭 근대문학 해석에서 사회진화론을 상정하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This is an introductory study on the epistemology of social evolution theory of new novel writers and aims to figure out the acceptance of East Asia social evolution theory and its genealogy in a broad manner. While Yenpu and Ryangchichao of China, and Kato Hiroyuki of Japan were focused in the study, the study also included the evolution theory of Spencer, Huxley and Kidd of England and Bluntschli and Hegel of Germany as well in the presupposition of their link to the Europe. In doing so, the study could find the root of social evolution theory of Eom Bok and Yang Gecho of China and Kato Hiroyuki of Japan. It means that this study paid attention to fork load between the idea of England that focused on individual rights and the idea of Germany that put strong national superiority over individual. Yang Gecho accepted the ideas of English thinkers and Kato Hiroyuki adopted the idea of Germany actively. If new noble writers in Joseon of the time were based on social evolution theory in their ideological foundation, it would be significant if they received social evolution theory via Yang Gecho or if they accepted Kato Hiroyuki as their key word. As a result, the characteristics of social evolution theory in Joseon were different by the media from Yang Gecho and Kato Hiroyuki. The orientation of novels of new novel writers was dramatically divided. That is the reason why this study focused on social evolution theory in the interpretation of the modern litera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