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아시아인으로서의 정체성이 클래식 음악계 아시아 연주자들에게 미치는 영향: 동아시아인과 서양음악문화의 만남

        황윤주 ( Yoon Joo Hwang ) 이화여자대학교 음악연구소 2017 이화음악논집 Vol.21 No.1

        오늘날 클래식 음악계에서 성공적인 활동을 보여주고 있는 동아시아 음악가들의 비중은 날마다 증가하고 있으며, 많은 동아시아의 음악학도들이 미국 혹은 유럽에서 학위를 취득하기 위해 유학을 떠난다. 이러한 상황에서 접하게 되는 이질적인 문화, 교육시스템 및 교육환경이 아시아 음악가들의 성장과 발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게 될까? 본 논문은 아시아의 클래식 음악가들이 서양 클래식 음악을 통해 자신의 음악적 사고를 표현하는 방식에 대한 문제를 다루고자 한다. 서양 클래식 음악의 맥락 안에서 아시아인의 정체성 개념을 둘러싼 다양한 문제들에 접근하기 위해 아시아인의 인종적, 문화적, 민족적 정체성의 개념화를 고려할 필요가 있으며, 동양적 전통이 서양 클래식 음악과 역사적으로 상호작용해 온 과정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동아시아 출신 연주자들의 다양한 배경을 살펴보고, 서양의 음악기법을 사용하면서도 “민족적” 또는 전통적 요소들을 결합시킨 아시아계 작곡가들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또한 서양 클래식 음악계 내에서 아시아인이 가진 정체성의 복합적인 양상을 살펴보기 위해 이들을 배출한 교육시스템을 살펴보았다. 동아시아의 음악가들은 많은 경우 유학을 통해 서양 음악교육시스템에 편입되어 다양한 경험을 접하게 되며, 이러한 경험과 자신이 속한 민족의 전통을 조화시키게 된다. In the contemporary classical music world, there are many distinguished East Asian musicians, and many music students from East Asia study abroad to pursue their degrees in the United States or Europe. How do the different cultures, education systems, and environments encountered in these situations affect an Asian musician`s growth as a classical musician? Classical musicians can encounter a diverse range of cross-cultural experiences while performing, singing, writing and conducting music. For example, while playing and rehearsing together in an orchestra, they may discuss music with individuals from several other cultures. This work therefore seeks to address the question of how Asian classical musicians can express freely their own musical ideas through Western classical music. To approach the many complicated issues surrounding the idea of Asian identity in the context of Western classical music, it is necessary to consider conceptualizations of East Asian ethnic, cultural, and national identity, which involves a discussion of how Asian traditions have interfaced with classical music historically. This inquiry leads to an examination of the complicated backgrounds of successful East Asian orchestral and solo performers, who invoke their Eastern origins while playing music derived from Western cultural traditions. Similarly, many successful Asian / Asian American / Asian European composers write in Western idioms but also incorporate “national” folk or traditional elements from Asia. One of the most productive ways of inspecting the origins of these complicated evocations of Asian identity within Western classical music, then, is to consider the education systems that produced these performers and composers. The educational journey of nearly all successful East Asian musicians turns out to involve a combination of instruction that conforms to the traditions of their home countries along with extensive experiences in Western musical educational systems, often at the postgraduate level.

      • KCI등재

        동아시아 음악 데이터베이스 II (포괄적이고 혁신적인)와 새로운 통합적, 대화적 음악 연구에 대한 함의

        채현경 ( Hyun Kyung Chae ),김은하 ( Eun-ha Kim ) 한국음악학학회 2018 음악학 Vol.26 No.1

        ‘동아시아 음악데이터베이스[East Asian Music Database]’ 구축은 그 연구 방법에 있어 ‘발화의 지점[the location of utterance]’을 서구가 아닌 한국과 아시아에 두고, 크게 두 가지 접근방법을 토대로 한다. 첫째는 철학적인 접근으로 한국의 근ㆍ현대 자료들을 통합적[integrated]이고 대화적인 [dialogic] 접근법으로 인접 지역인 일본 및 중국어권과의 관계 안에서 살펴 보는 것이다. 여기서 통합적이란 자료의 분석 및 해석을 특정 문화권을 중심으로 보는 것이 아니라 다수의 문화현상들 모두가 편견 없이 동등하게 독해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또한 대화법[Dialogic approaches]을 통해 각 나라의 문화가 제시한 서로 다른 음악문화의 변용이 ‘다성[polyphony 多聲]’의 차원에서 이해되어야 한다는 원칙을 ‘동아시아 음악 데이터베이스’ 구성에 반영하였다. 이 논문은 많은 양의 음악문화 켄텐츠를 처음으로 수집하고 디지털화하는 시도로 제시 된 방법론의 적합성에 대해서 비판적으로 논하기보다는 그것이 어떻게 데이터베이스에 적용되었는지에 대해 소개하는 것에 더 큰 목적이 있다. Asia or inter-Asia has been an emerging field of study since the 1990s, and new ways of examining historical as well as socio-cultural aspects of the region has been called for. One of the advocation has been placing the ‘location of utterance’ in Asia not the west in the center of Asian discourses. Furthermore, the need for provocative approaches, such as ‘integrated’ as well as ‘dialogic’ has been expecially emphasized by scholars from countries that have been deeply affected by colonialism and imperialism. However, lack of primary sources which resulted in thin scholarship in the region hinders the invigorating research in East Asian Music. Under this circumstances, a group of researchers in diverse fields, including music, area studies (especially China, Japan, & Taiwan), computer science, library science, and copyright Law, integratedly and dialogically built the East Asian Music Database, called EMDB 1 and II, since 2011 to present a vast array of primary sources of East Asia. It has been a new challenge for scholars in Korea. Therefore, this paper deals with practical as well as philosophical challenges in building music database with a large quantity. Two most important concepts, ‘integrated’ and ‘dialogic’ approaches, so effective in both establishing and interpreting East Asian Music is introduced. In addition, two specific features unique to the EMDB, a chronological overview of the four nations included in the database will be explained, ‘Keyword Search’ design that reveals the relationship between and among composers with similar musical trends, as in many ‘isms’ in the 20<sup>th</sup> century western music is also presented. At the end, the future direction in Asian Music Research in terms of using Music database is concisely stated.

      • KCI등재

        East Asian Music Database II and its implications for New Integrated and Dialogic Music Research

        채현경,김은하 한국음악학학회 2018 음악학 Vol.26 No.1

        Asia or inter-Asia has been an emerging field of study since the 1990s, and new ways of examining historical as well as socio-cultural aspects of the region has been called for. One of the advocation has been placing the ‘location of utterance’ in Asia not the west in the center of Asian discourses. Furthermore, the need for provocative approaches, such as ‘integrated’ as well as ‘dialogic’ has been expecially emphasized by scholars from countries that have been deeply affected by colonialism and imperialism. However, lack of primary sources which resulted in thin scholarship in the region hinders the invigorating research in East Asian Music. Under this circumstances, a group of researchers in diverse fields, including music, area studies (especially China, Japan, & Taiwan), computer science, library science, and copyright Law, integratedly and dialogically built the East Asian Music Database, called EMDB 1 and II, since 2011 to present a vast array of primary sources of East Asia. It has been a new challenge for scholars in Korea. Therefore, this paper deals with practical as well as philosophical challenges in building music database with a large quantity. Two most important concepts, ‘integrated’ and ‘dialogic’ approaches, so effective in both establishing and interpreting East Asian Music is introduced. In addition, two specific features unique to the EMDB, a chronological overview of the four nations included in the database will be explained, ‘Keyword Search’ design that reveals the relationship between and among composers with similar musical trends, as in many ‘isms’ in the 20th century western music is also presented. At the end, the future direction in Asian Music Research in terms of using Music database is concisely stated.

      • KCI등재

        국내 개최 동아시아음악학 국제학술대회의 성과와 국악학계의 반영: 제6회 국제전통음악학회 동아시아 음악연구회 서울 학술회의를 사례로

        장윤희 국립국악원 2018 국악원논문집 Vol.38 No.-

        This research explores the meaning and outcome that the field of Korean traditional musicology earned by hosting and programming the 6th Symposium of the Music of East Asia Study Group of ICTM. In August 2018, the National Gugak Center and Korean Musicological Society co-hosted the MEA symposium in Seoul, Korea. The symposium was not only successful but also greatly influenced scholars and students in the field. First, the symposium provided scholars a place to communicate with one other, discussing new trends and topics and providing a space to share research data and information on East Asian music studies. Further, the symposium helped promote a better understanding of Korean traditional music among many scholars from all over the world, so that they can increase their interested in Korean music scholarship. As such, the conference was a bridge between foreign scholars and the scholarship of Korean performing arts. Second, the symposium helped young students and new scholars in traditional music to strengthen their qualification as future generation scholars by giving them the opportunity to experience international scholarly activities and to learn and to realize their need to advance toward a wider academic world. However, the chance to build a network among students and young scholars who study Asian music was not enough. In order to create closer relationships among them with academic communication, additional programs are required with group meetings based on research topics or themes. The growth of Korean scholars in the field of East Asian music study will be able to make Korea a hub of Asian culture research. A more active approach in hosting and organizing international conferences in Korea can bring new chances for the field of Korean traditional music to move forward with better educational influence for students. 본 연구는 국립국악원과 한국국악학회가 2018년 8월 공동 주최한 동아시아음악학회의 제6회 서울 심포지움(이하 본 학술대회)의 의미와 국악학계의 성과와 반영을 논의한다. 개최국의 관점에서 바라본 학술대회의 내용과 성과는 국악학의 발전을 성찰하는 의미에서 연구의 필요성이 있다. 본 학술대회는 국악학자들이 동아시아 음악문화연구에 관한 최근 관심사와 새로운 주제, 다양한 연구방법 등을 보다 적극적으로 공유할 수 있는 학술활동의 장을 제공하였고 국악공연 관람과 연구자료 배부, 연구기관으로의 국악원 소개 등 국악학의 여러 면모와 입지를 국제 학계에 보여주었다. 학계와 해외 학자들에게 국악학과 국악연구의 동향을 소개하여 이후 아시아 연대 연구에서의 한국음악분야 활성과 국악학 연구로의 가교 작업을 하였다. 국악학자의 국제적 활동 증대와 학문후속세대의 국제화 역량강화에 실질적 도움을 주었으며, 학계의 인적자원 구축과 교류에 기여하였다. 신진학자양성, 교육적 효과, 자연스러운 학문적 성장이 함께 맞물려 선순환의 구조로 나아갈 수 있는 원동력이라는 의미부여가 가능하다. 그러나 아시아의 학생들이나 신진학자들이 서로 알아가며 네트워크를 형성할 기회는 부족했다. 동아시아음악학계 내에서도 보다 긴밀한 소통과 교류가 가능한 분과모임의 조성이 필요하며 이는 음악 주제별 분과가 효과적으로 사료된다. 동아시아 음악학계에서의 한국학자들의 성장은 한국을 아시아문화 연구의 허브로 만들어가는 준비과정의 하나가 될 것이며 향후 적극적 학술행사의 유치와 진행은 한국음악학계의 새로운 부흥과 교육적 기회로 기대된다.

      • KCI등재

        혁신적이고 포괄적인 동아시아 음악데이터베이스(EMDB II)의 디자인 및 웹 시스템 구축: 통합적인 음악 역사 기술(記述)의 길을 열다

        채현경,김은하,박정숙,김주섭,문봉기,유진선,김신효,신승남 한국음악학학회 2019 음악학 Vol.27 No.2

        Since November of 2011, our research of East Asian Music Culture, built a music database called EMDB (Ewha Music Database, 2011~2014) and EMDB II (East Asian Music Database, Innovative and Inclusive, 2014~2017). They are unique as it contains a vast array of primary music sources of the 20th century East Asia, namely, China, Japan, Korea, and Taiwan, in one place for the first time in history. The reason our research team dedicated the past eight years to establish such databases is that there has been no database for modern and contemporary music of East Asia available until this point. There have been a few archives or documentation of primary music sources of the modern era from the region, yet those include only one culture as in the case of collections in Japan’s Diet Library and Kunitachi Library. As there has been no prior or concrete model to follow in the region, we have been dealing with many technical, practical, as well as philosophical issues in developing our databases, especially establishing the second Database (EMDB II) of composers, compositions, and performances of the contemporary music of East Asia. As it is technically innovative as its 3.0 symentic web system allows users to engage in dialogues with each other, and also with the composers for providing more accurate information of such a vast culture specific materials. Some features in EMDB II, such as ‘timeline’ and ‘events’, providing socio-cultural overview of the 20th century East Asia are especially useful for anyone who wants to learn more about the background of or positioning individual composers or compositions beyond just sonic experience. As with its 3.0 symentic technological advancement in EMDB II, this paper will focus on the technical merits, its design and web system and advocate the importance of using integrated and dialogic approaches in building database. Our research team hopes to generate further discourses on the more advanced development of music culture specific contents. 21세기 아카이브, 웹, 그리고 도서관의 역할이 2.0에서 3.0으로 변화하며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에서 ‘개인 맞춤화’와 ‘협업화’가 중요해졌다. 급속도로 변화하는 디지털 환경에서 시맨틱 웹을 통한 논리적 추론을 기반으로 사용자 패턴 및 성향을 예측하여 최적의 정보로 개인별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이터베이스의 구현을 위해 본 동아시아 음악문화 연구팀은 한국연구재단의 중점연구소 사업(2014~2017)을 수행하며 동아시아 음악문화 데이터베이스(East-Asian Music Database: Innovative/Inclusive, EMDB II)를 구축하였다. 연구의 핵심 방법론은 서구와 비교하여 현저하게 침체 된 동아시아 음악에 대한 교육, 창작, 공연예술의 활성화를 목적으로 다양한 분야(디지털 인문학, 음악학, 문헌정보학, 데이터베이스 설계 및 기술과 방법론을 제시하는 컴퓨터 공학 등)의 전문가들의 의견이 동등하게 고려되는 대화적(dialogic)이며 통합적인(integrated) 방법으로 시대별·유형별 음악콘텐츠를 구축하는 것이었다. 이 논문은 ‘협업’과 ‘개인맞춤’을 통한 새로운 음악문화 콘텐츠 창출에서, 설계와 제반기술에 중점을 두고, 그 과정을 연도별, 단계별로, 즉 3차연도의 최종결과물에서 1차연도로 거슬러 올라가는 형태로 각각의 항목별 진행을 면밀하게 제시하며, 우리 문화에 맞는 미래의 아카이브 구축 개선을 위한 정보 및 의견을 개진하고 공유하는 새로운 논의의 장(場)을 마련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그와 더불어 본 논문은 연구팀이 연구 수행과정에서 직면해야 했던 가장 큰 어려움, 즉 어떻게 서로 다른 학문의 목소리(polyphony-multiple voice)가 대화(dialogic)를 통해서 통합(inegrated)되고 실질적인 결과물인 동아시아 음악문화콘텐츠를 만들어냈는지, 특히 음악문화 연구의 방법론과 컴퓨터 공학 기술, 그리고 웹 디자인 설계가 일상작업에서 어떻게 서로 작동하여 어려움을 극복할 수 있었는지 대한 실질적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자 한다.

      • KCI등재

        ‘케이지 우연성음악’의 철학적 배경에 관한 비판적 고찰 -동아시아 철학 수용의 문제를 중심으로-

        강나원 한국서양음악학회 2010 서양음악학 Vol.13 No.3

        This study explores the philosophical background of John Cage's chance music. In the early 1950's, Cage introduced the chance music with the philosophical project of “liberating music” from the previous musical system controlled by composers. By eliminating composer's intention,he attempted to liberate musicians and sound from composer's oppression and the composer himself from his own ego. He claimed that his idea is based on the East Asian philosophy. Since then, "East Asian Philosophy” has become a signifier symbolizing his chance music in the history of Western music. However, the view that the chance music is based on East Asian philosophy overlooks the fundamental differences between the philosophy of East Asia and that of Cage. Cage’s chance operation aimed at eliminating concepts, so that he could be free from his own ego. However, it was more of the suppression of consciousness rather than liberation from his ego. In his chance music, Zen Buddhism and I-Ching were distorted to the extent that their original meanings and intentions are hardly recognized. Although both aim to transcend the limitations of one's ego or consciousness, they are not denying empirical ego, based on our daily lives or repressing consciousness. Hence, Zen Buddhism and I-ching are scarcely related to Cage's non-intentionality. In conclusion, East Asian philosophy was exploited by Westerners whose intention was to break away from the tradition of European music. The philosophy of chance music is based on Orientalism rather than East Asian philosophy despite his sincere concentration on it. 본 논문은 존 케이지(John Cage) 우연성음악의 철학적 배경에 관한 연구이다. 1950년대초 케이지는 “음악의 해방”이라는 철학적 기획을 가지고 자신의 우연성 음악을 탄생시켰다. 케이지는 작곡가의 의도를 배제함으로써 연주자와 소리를 기존의 음악적 시스템으로부터 해방시키고, 작곡가 자신의 자아로부터 자유롭고자 하였으며, 이러한 자유이념의 기원을 동아시아 철학으로 제시하였다. 이후 서양음악사에서 “동아시아 철학”은 케이지의 우연성 음악을 상징하는 일종의 기표로 작용해왔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우연성음악의 이념적 배경이 동아시아 철학에 근거한다는 시각은 양자 사이의 사상적 차이를 너무 간과한 것은 아닌가라는 의구심을 갖게 한다. 케이지는 우연작동법을 통해 모든 개념을 제거하고 부터 자유롭고자 하였으나, 실제로 우연성음악에 존재한 것은 자아로부터의 자유라기보다 의식적 사고의 억압이었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우연성음악에서 선불교와 주역은 그 본래의 사상과 취지를 알아볼 수 없을 정도로 왜곡되었다. 선불교와 주역 또한 논리적 의식이나 자아의 한계를 넘어서는 것이지만, 그러한 초월이 경험적 자아의 부정이나 의식적 사고의 억압을 의미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케이지의 무의도성과 별로 관련이 없는 것으로 여겨진다. 결론적으로 본 논문이 드러낸 우연성음악의 사상적 배경이 동양정신에 근거한다기보다 “오리엔탈리즘”의 한계를 보여준다는 점이다. 동아시아 철학은 케이지의 진지한 접근과 성찰에도 불구하고 유럽전통으로부터 벗어나고자 하는 그의 필요에 의해 이용된 측면을 부정하기 어려워 보인다.

      • The Durham Oriental Music Festivalandits Legacy

        Keith Pratt,Simon Mills,Keith Howard 아시아음악학회 2017 Asian Musicology Vol.27 No.-

        Between 1976 and 1982 the city and University of Durham, UK, hosted a series of three unprecedented festivals. Their aim was to introduce Western audiences to the traditional music of Asia by means of concerts, lectures, workshops, films and exhibitions. Countries represented by topclass artists and scholars were China, Korea, Japan, Turkey, Egypt, Iraq, Iran, India, Bangladesh, Thailand, Indonesia, Vietnam and Laos. Overcoming many difficulties, the Durham Oriental Music Festival acquired a worldwide reputation and successfully helped to promote Asian music and ethnomusicology in the West. In 2009 Durham University revived its aims by introducing a Festival of East Asian Music. More modest in scale, this annually promotes performance and study of musical themes from countries of East Asia, again putting emphasis on authenticity and high quality.

      • 문화 복합체로서의 동아시아 전통 춤 연구를 위한 제언 -한,중,일 사자춤의 대조 고찰을 바탕으로-

        허영일 한국예술종합학교 세계민족무용연구소 2012 민족무용 Vol.16 No.-

        I did a comparative study on the central and provincial succession of lion dance of Korea, China, and Japan. Origination and course of succession are not clearly revealed in case of China but those of Korea, Japan, and Ryukyu can be identified. In case of Korea, lion dance succeeded via China was first performed among folks and extended its area to the court later on. Comparatively, in Ryukyu, the dance adopted through China first performed in the court, and after the downfall of Ryukyu dynasty, transferred among people to settle newly as a folk art. Based on the intricacy and transformation taken place during the succession of music-dance culture, future research on East Asian traditional dance should go in following directions: First, considering its nature as a ``culture complex`` having special function and reputation, omnifaceted research will be necessary. To deal with this kind of matter, consilient research among different fields of study should be activated. This is because, East Asian traditional dance is grounded in history yet has been forming and developing as a combination of music, courtesy, philosophy, religion, folk, and literature. Second, in order to penetrate the succession and cultural transformation of music-dance culture, research from macroscopic and systematic perspective should be done. To do this, predicting the relationship of adoption and change of the three nations, centering on the interaction of Korea-China, Japan-China, and Korea-Japan and furthermore, reference to similar cases such as Ryukyu and Vietnam should be done. In addition, music and dance of the West which affected those of China will be useful too. This is because there are music and dance that have high possibility of having been transferred to Korea via China from the West. If future research shall take place in this perspective, the limits of individual and microscopic research that are done by nation or fields could be complemented. However, there is a task which should be done beforehand. That is, collecting and scrutinizing research achievements about Korea, China, and Japan`s music and dance culture. Next, filing and modernizing of data on music and dance should be managed for the establishment of the research basis. Finally, analysis of the data and multifaceted and organic research based on it should be done.

      • KCI등재후보

        『周易』의 원리에 근거한 국악교육의 방향 탐색

        정미영(Jeong, Mi-Young) 한국국악교육학회 2018 국악교육 Vol.45 No.45

        본 연구는 『周易』의 원리 및 내용을 국악과 연관시켜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국악교육의 방향을 탐색해보고자 하였다. 기존 선행연구를 검토해 본 결과, 『周易』과 관련된 교육 연구는 윤리/도덕교과와 연관된 연구가 대부분이었고 국악교육에 관련된 내용은 전무하였다. 더욱이 『周易』과 국악에 대한 연구도 한 두 연구에 지나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모든 사상의 상위적 개념인 음양의 원리가 우선되어야 한다는 전제 아래, 음양의 원리를 적용하여 체계적으로 풀어낸 『周易』을 중심으로 국악교육의 방향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첫째, 국악에서 『周易』의 구성 원리인 ‘대대(待對)와 변역(變易)’, ‘생생지위역(生生之謂易)’, ‘삼재(三才)’ 등을 12율, 악곡, 악기분류 및 제작 등을 통해 ‘음악 속에 철학’을 고찰하였다. 둘째, 『周易』의 대표적인 괘 중 하나인 건괘(乾卦)와 음악적 내용이 직접 언급되어 있는 예괘(豫卦)의 내용과 풀이를 통해 음악적 의미를 살펴보았다. 셋째, 『周易』의 원리를 통해 국악교육의 방향을 제시하고 국악곡 속에서 음양의 원리를 찾아보는 실제적인 지도 내용도 제시하였다. 『周易』은 국악의 다양한 분야에서 그 관련성을 찾을 수 있으며 우주 순화의 변화는 음악교육의 인성적 측면과 지도 내용에도 적용할 수 있는 원리임을 알 수 있었다. 아울러 『周易』의 원리가 반영된 국악 및 국악교육 연구가 미미한 현실에서 본 연구가 기초자료와 참고자료 활용될 수 있음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direction of Korean music education by correlating the principles and contents of 『Zhouyi』 with Korean music. From the precedent researches, this paper ascertained the educational studies related on 『Zhouyi』 were mostly linked to Ethics subject, not Korean music education. Moreover, the studies on 『Zhouyi』 and Korean music are no more than one or two papers. Thus, on the premise that the theory of yin and yang, a superordinate concept of all ideas should be put first, this study detected the direction of Korean music education by 『Zhouyi』 applied to the principle of yin and yang as in the following. Firstly, this paper discovered the philosophy of music regarding 12yul, musical pieces, instrumental categorization, and production through the constituting principle of 『Zhouyi』, ‘Daedae(待對) and Byunyeok(變易)’, ‘Saengsaenggiwiyeok(生生之謂易)’, ‘Sanjae(三才)’ etc.Secondly, this paper examined the musical meanings of 『Zhouyi』 by ‘Geongwae(乾卦),one of the representative gwae of 『Zhouyi』 and ‘yeogwae(豫卦)’referred to musical contents. Thirdly, this paper presented the direction of Korean music education and the practical teaching content exploring the theory of yin and yang from Korean musical pieces. This study was emphasized on the changes and ethics of the universe circulation and personality education as well as the relation between 『Zhouyi』 and Korean music. Besides, this study presented the teaching contents to search and explain the principal of yin and yang related to Korean music education. This author expected this paper to be used as a fundamental research and reference for the Korean music education reflected the theory of 『Zhouyi』.

      • KCI등재

        동아시아 한민족 음악교육의 양상

        양종모 한국음악교육공학회 2023 음악교육공학 Vol.- No.54

        이 연구는 동아시아 한민족 음악교육의 양상을 분석하여, 흩어져 살고 있는 한민족의 음악적 동질성을 이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한국, 북한, 중국, 일본의 한민족 학교 음악교육을 분석하였다. 연구 자료는 한국의 초등학교, 북한의 소학교, 중국의 조선족 학교, 일본의 조총련 학교 등에 적용되는 음악과 교육과정과 교과서 그리고 관련 연구를 활용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리듬, 가락, 화음, 형식, 음색, 셈여림, 빠르기 등 7가지 요소를 비교했으며, 이를 통해 다음의 결론을 얻었다. 첫째, 동아시아의 한민족은 학교 교육에서 모두 우리의 민족음악을 지도하고 있다. 둘째, 동아시아 한민족은 한민족의 음악에서만 사용하는 독특한 음악 개념을 지도하고 있다. 셋째, 동아시아 한민족 학교의 음악과 교육과정에서는 나라에 따라 장단의 종류는 다르다. 넷째, 동아시아 한민족 중 한국이 국악 개념을 가장 많이 다양하게 제시하고 있다. 다섯째, 동일한 음악 개념들에 대한 용어가 나라마다 다르다. 동아시아의 한민족은 문화적 동질화를 위한 노력이 있어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