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원주지역 동학농민군과 의병

        이병규 동학학회 2018 동학학보 Vol.0 No.49

        1894년 원주에서 동학농민군의 활동이 미약하였지만 원주가 동학과 관련이 많고 동학농민군의 활동이 왕성하였다는 전제위에서 논의를 전개함으로서 그 방향성을 상실하고 있다. 원주는 강원감영이 있었던 곳이다. 그래서 이서층의 세력이 강력한 편이었다. 조세수취 과정에서 이서층의 수탈로 많은불만이 있었고 이것이 원주민란으로 표출되었다. 한편 원주를 근거로 한 사족들도 다수 있었다. 서울에서 가까워 재기를 노리는 많은 사족들이 원주에서 터를 잡고 후일을 도모하였다. 이러한 조건은 원주에서 동학포교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기 어려웠고 동학농민군의 활동도 제한적으로 이루어질 수밖에 없었다. 대체로 감영이 있던 곳에서 동학농민군 자체적인 활동이 이루어진 곳은 거의 없다. 전라감영이 있던 전주성은 동학농민군이 점령한 것이고, 경상감영이 있던 대구에는 동학농민군 활동이 없었고, 충청감영이 있던 공주역시 동학농민군 세력이 활발하기 보다는 동학농민군이 점령하고자 했던 곳이다. 원주에서 동학농민군의 활동은 동학농민혁명 2차 봉기 시에 있었으며그들은 원주의 반농민군에게 철저하게 공격당하였다. 동학농민군들은 대부분이 원주의 반농민군에게 체포당하였다. 결국 원주지역에서 동학교도의 활동과 동학농민군의 활동이 활발하지 못하였다. 한편으로 눈여겨볼 것은 원주민란, 동학농민혁명, 의병운동 과정에서 대립과 갈등양상이 일반적이지 않다는 것이다. 1885년 원주민란에서는 농민과 재지사족이 같은 편으로 이서층과 대립하였고, 1894년 동학농민혁명에서는 동학농민군이 사족과 이서층이 중심이 반농민군과 대립하였고, 1896년 의병운동 단계에서는 재지사족, 이서층 포군이 같은 편으로 하여 정부군과 일본군과대립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1894년을 전후한 시기에 원주라는 지역에서이서층, 농민, 재지사족, 동학교도, 동학농민군, 포군 등 다양한 세력들은 역사적 사건에 따라 입장과 태도가 다르게 표출되고 있다. 그것은 절대적 기준, 즉 선악이나, 시비, 정의와 부정의 등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당사자들은 자신들의 입장에서 최선을 다했을 것이다. 그러나 동학농민혁명과 의병이 충돌하고 이를 우리는 해석하고 의미를 부여해야 한다. 이재화와 이철화의 예를 통해 우리는 이 문제에 새롭게 접근할 수 있다. 이재화와 이철화는 사촌 간으로원주민란 당시에 이재화가 농민들의 입장을 대변하였다. 그러나 1894년 동학농민혁명 당시 이철화는 반농민군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동학농민군토벌에 앞장섰다. 그리고 그는 1896년 의병운동에 적극적으로 가담하였다. 상황이 변하자 농민들의 입장을 대변한 이재화와 이철화는 다시 반농민군이되어 동학농민군을 공격하였고, 다시 일본의 침탈이 격해지자 의병활동에 적극 참여하였다. 한국사 전개과정에서 동학농민혁명이 역사발전에 공헌한 만큼 의병활동 역시 한국 역사발전에 공헌하였다. 그러나 이철화의 경우에서, 그리고 원주라는 지역에서 동학농민혁명과 의병이 충돌하는 지점을 발견하게 된다. 이러한 충돌은 당시 조선 전역에서 발생하였다. 우리는 이러한 역사적 사실에 대해 각각의 입장에서 가치와 의미를 부여해야 할 것이다. In 1894, Donghak peasant army activities in Wonju were weak. However, the debate has been lost due to the fact that Wonju is related to Donghak and the activities of Donghak peasant army were active. Wonju is where Gangwon provincial office was located. So the forces of clerks were powerful. There was a lot of dissatisfaction with clerks’ abduction in the tax receipt and this was expressed by the revolt of aboriginal people. On the other hand, there were many nobles based on Wonju. Because Wonju is close to Seoul, many nobles aiming for status recovery were planning to catch up later in Wonju. Because of this condition, Donghak missionary work in Wonju was not active and Donghak peasant army was limited in activity. In most places where there was a provincial office, there are very few places where the Donghak peasant army had its own activities. Jeonju where Jeolla provincial office was located was occupied by Donghak peasant army and Daegu with Gyeongsang provincial office had no Donghak peasant army activity. Gongju, where the Chungcheong Provincial Office was located, was where Donghak peasant army hoped to occupy the Donghak peasant army, not where the forces were active. The activities of the Donghak peasant army in Wonju were in the second uprising of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They were thoroughly attacked by Wonju’s anti-peasant army. Most Donghak peasant armies were arrested by Wonju’s anti-peasant army. In the end, activities of Donghak followers and activities of Donghak peasant army were not active in Wonju area. One thing to keep in mind is that conflicts are not common in Wonju Uprising, Donghak Peasant Revolution, and Righteous Army movement. In 1885, in Wonju, the peasant and intellectuals were confronted with clerks. In 1894,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opposed the anti-peasant army of the nobles and clerks. In the Righteous Army movement in 1896, intellectuals, clerks, and artillery were on the same side, showing confrontation with government and Japanese forces. In the area around Wonju in 1894, various forces such as clerks, farmers, intellectuals, Donghak followers, Donghak peasant army, and artillery forces have different attitudes and attitudes according to historical events. It is not accounted for by absolute standards, namely, good and evil, justice, and injustice. The parties would have done their best in their own terms. However, since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and the Righteous Army are in conflict, we must interpret it and give meaning to it. The example of Lee Jae-Hwa and Lee Chul-Hwa gives us a new approach to this problem. Lee JaeHwa and Lee Chul-Hwa were cousins and Lee Jae-Hwa at the time of Wonju people represented the position of the farmers. However, at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in 1894, Lee Chul-Hwa actively participated in the antipeasant army activities, leading the Donghak peasant army subjugation. And in 1896 he actively took part in the Righteous Army movement. As circumstances changed, Lee Jae-Hwa and Lee Chul-Hwa, representing the farmers’ position, attacked the Donghak peasant army again as an anti-peasant army, and actively participated in the Righteous Army activities when Japan’s invasion intensified. Since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contributed to the development of Korean history, Righteous Army activities also contributed to the development of Korean history. However, in the case of Lee Chul-Hwa, we find a point where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and Righteous Army collide in Wonju. These conflicts occurred throughout the Joseon Dynasty. We must give value and meaning to each of these historical facts.

      • KCI등재

        동학농민혁명 희생자와 홍주의사총 관계 연구

        성주현 동학학회 2020 동학학보 Vol.0 No.57

        본고는 동학농민혁명 당시 희생자 현황과 홍주의사총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성리학 이데올로기의 조선 정부에서는 동학농민혁명은 탄압의 대상이었다. 초기 고부기포 당시에는 주도세력은 엄격한 처벌, 일반 참여자는 효유의 대상이었지만, 무장기포 이후에는 토벌의 강경 대응으로 전환되었다. 더욱이 일본의 출병으로 지휘권을 확보한 일본군은 동학농민군을 ‘토벌’의 대상으로 인식됨에 따라 동학농민군의 희생은 크게 늘어날 수밖에 없는 상황으로 전개되었다. 이에 따라 동학농민군을 진압하기 위해 파병된 일본군을 ‘토벌대’라 불렸다. 당시 동학농민군의 희생자에 대한 현황은 현재까지 구체적으로 밝혀진 바가 없다. 다만 천도교단과 관련된 연구에 의하면 20만 또는 30, 40만 명으로 추정하고 있다. 동학농민혁명과 홍주의사총의 관계는 동학농민혁명과 병오의병 당시의 홍주성 전투의 종합적 분석을 통해 살펴보았다. 첫째 참가 인원수는 동학농민군은 최대 6만 명에서 최소 7천 명이었으며, 의병은 최대 5천 명에서 최소 2백 명, 둘째 희생당한 인원수는 동학농민군은 최소 2백 명이며(홍주성에 압송되어 효수당한 동학농민군 제외) 최대 수천 명 내지 3만 명, 의병은 최소 83명이며 최대 1천여 명, 셋째 전투현장은 동학농민군은 서문과 동문, 그리고 북문을 중심으로 홍주성을 공략하였으며, 의병은 홍주성 안에서 일본군을 상대로 방어적인 전투를 전개하였다. 그리고 시신 수습 과정에서 동학농민군 시신을 수습한다는 것은 불가능하였다, 의병은 선유사로 파견된 윤시영 홍주군수에 의해 대부분 연고자가 찾아갔으며, 시친자(屍親者)가 없는 경우만 매장되었다. 이러한 점에서 볼 때 홍주의사총에 묻혀있는 유해는 1906년 의병이기보다는 1894년 홍주성 전투에서 희생당한 동학농민군의 희생자였음을 확인할 수 있다. This paper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ictims of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and the Hongju Righteous Army Tomb. In the Joseon government of Neo-Confucian ideology,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was subject to oppression. At the time of the initial Gobu-Uprising the leadership was subject to strict punishment and general participants were subject to filial piety, but after Moojang-Uprising it was converted into a hard-line response from the punitive force. Furthermore, as the Japanese military, which secured the command due to the dispatch of Japan, was recognized as a target of “punitive” the sacrifices of the Donghak Peasant Army were inevitably increased. As a result, Japanese troops dispatched to suppress Donghak Peasant were called “a punitive force”. At that time, the current status of the victims of Donghak Peasant Army has not been revealed so far. However, according to a study related to Cheondogyo, it is estimated that there are 200,000 or 300,000 or 400,000 peopl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and the Hongju Peasant’s Association was examined through a comprehensive analysis of the Battle of Hongju Castle during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and the Righteous army. The first number of participants was up to 60,000 to at least 7,000 in Donghak Peasant Army, up to 5,000 to 200 in righteous army, The second victim was at least 200 Donghak Peasants’ Army (excluding Donghak Peasants Army who were sent to Hongju Castle to be executed), up to thousands to 30,000, at least 82 righteous army soldiers, and up to 1,000 people. At the third battle site, Donghak Peasant Army attacked Hongju Castle, focusing on the west gate, east gate, and north gate, while righteous army fought the Japanese army in Hongju Castle. And it was impossible to recover the body of the Donghak Peasants Army in the process of collecting the body. But most of the righteous army ointment was recovered by Hongju County Governor Yoon Si-young, and was buried the People who have nothing to do with the dead. From this point of view, the remains buried in the Hongju Temple were not righteous soldiers in 1906, but rather victims of Donghak Peasant Army who were killed in the 1894 Battle of Hongju Castle.

      • KCI등재

        경북지역 향촌지배층과 전기의병장들의 동학농민군 인식과 대응

        신진희 한국근현대사학회 2017 한국 근현대사 연구 Vol.80 No.-

        이 글은 경북지역 향촌지배층과 전기의병장들이 동학농민군에 대하여 어떻게인식하고 대응했는가를 연구한 것이다. 인식은 향촌지배층의 경우 동학농민군에 가담하기도 했지만 ‘이단’으로 배척하는경우가 많았다. 대응은 피난을 가 동학농민군을 피하는 경우가 많았고, 청년을 모아무장을 하여 마을을 지키거나 향약(鄕約)과 동규(洞規)를 시행하여 마을을 지키고자하였다. 또 반동학농민군을 결성하여 동학농민군 진압에 나선 경우도 많았다. 여기에참여한 계층은 신향(新鄕)이 대부분이었다. 전기의병장은 향촌지배층에 속하는 이들이 대부분이다. 그러나 동학농민군 대응에 있어서 향촌지배층과는 다른 결과가 나왔다. 첫째, 동학 입도 사례가 없었다. 이것은 자료의 한계 때문에 밝혀지지 못한 것일 수 있다. 그러므로 나중에라도 자료가 발견되어 밝혀질 수 있기를 기대한다. 둘째, 반동학농민군 활동에 참여하지않았다. 의병장은 그 지역에서 영향력을 가진 인물이었기 때문에 반동학농민군을결성할 수 있는 기반을 가지고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들은 반동학농민군결성에 나서지 않았다. 이 연구로써 “을미의병 지도부=반동학농민군”이라는 일부의 주장을 반박할 수있었다. 즉, 경북지역 전기의병장은 반동학농민군이 아니었던 것이다. This study examined the way in which the town dominant class and captains of the Early Righteous Armies recognized and responded to the Donghak Peasant Army. Referring to the recognition of the Donghak Peasant Army, some of the town dominant class joined in the activities of the Donghak Peasant Army, but others regarded the Donghak Peasant Army as unlawful and antisocial, and rejected it. In relation to their responses to the Donghak Peasant Army, most of the dominant class fled to avoid the Donghak Peasant Army, and some defended their towns with their own armed young people, and also administered town regulations, Hayngyak(鄕約) and village rules, Donggyu(洞規) to keep their towns and village in order. Others organized an anti-Donghak Peasant Army and suppressed the Donghak Peasant Army, and most of those were Sinhyang people newly admitted into the Yangban class, the nobility. Captains of the Early Righteous Armies mostly belonged to the town dominant class. However, they responded differently from other town dominant people to the Donghak Peasant Army. First, there were no cases in which they joined the Donghak Peasant Army, which may be due to the limitation of the materials related to this. With further research, some documents might be expected to be found that show their activities in support of the Donghak Peasant Army. Next, they did not join in any activities against the Donghak Peasant Army. Captains of the Righteous Armies were fairly influential in their towns and villages, and surely had enough power to organize an anti-Donghak Peasant Army. Nevertheless, they did not organize any army against the Donghak Peasant Army. Therefore, this study can refute the contention that leaders of the Eulmi Righteous Army were against the Donghak Peasant Army. That is, captains of the Early Righteous Armies in the area of Gyeongbuk Province were not opposed to the Donghak Peasant Army.

      • KCI등재

        경기지역 동학농민군의 활동과 성격

        이병규 동학학회 2021 동학학보 Vol.- No.60

        1894년 동학농민혁명 당시 경기지역에서 동학농민군의 활동이 매우 활발하였음을 확인하였다. 경기지역에서 동학농민군의 활동이 있었던 지역은 연천현, 양주목, 양근군, 지평현, 광주목, 여주목, 이천부, 음죽현, 용인현, 수원부, 죽산부, 안성군, 양성현, 진위현 등 평택현(충청도)을 포함하여 총 15개 군현이다. 대략 경기도의 반에 가까운 군현에서 동학농민군의 활동이 확인되고 있다. 이는 강원도나 경상도 그리고 충청도에 비해 규모나 활동 면에서 뒤지지 않았음을 의미한다. 지역적으로 보면, 주로 충청도와 인접한 진위현, 양성현, 안성군, 죽산부, 수원부, 용인현, 음죽현 등 남부와 강원도와 인접한 연천현, 양주목, 양근군, 지평현, 광주목, 여주목, 이천부 등 동부지역에서 동학농민군의 활동이 활발하였다. 이러한 사실은 경기지역 동학농민군들이 충청도 북부지역 및 강원도 서부지역과 교류하고 영향을 주고 받았음을 의미한다. 경기지역 동학농민군은 1894년 동학농민혁명 1차 봉기 과정에서 활동은 거의 포착되지 않는다. 이들이 활동을 전개하기 시작한 것은 2차 봉기 직전인 8월부터이다. 이후 2차 봉기 과정에서 대대적인 활동을 전개하여 결국 많은 동학농민군들이 체포되거나 목숨을 잃었다. 경기지역 동학농민군은 대부분 최시형의 동학 교단의 영향력 하에 있었다. 그런데 이들은 이미 1890년 초반부터 동학도로서 활동하고 있었다. 그것은 이들의 조직이 단순히 1894년 2차 봉기과정에서 형성된 것이 아니라 오래전부터 조직화되어 있었다는 의미이다. 경기도 각 지역의 동학농민군 지도자들은 대부분 대접주, 수접주, 접주, 접사 등 동학 조직의 책임자였다. 경기 지역 동학농민군 활동의 특징을 살펴보면, 먼저 동학농민혁명에 참여한 이들이 사대부 자제, 마름, 관포군, 농민 등 매우 다양한 출신성분으로 구성되어 있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와 함께 동학농민군 진압과 관련하여 동학농민군으로 참여하였다가 피신한 경우, 그들의 재산을 몰수하는 상황이 실제로 확인된다는 점이다. In 1894, it was confirmed that the Donghak Peasant Army was very active in the Gyeonggi area during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In Gyeonggi Area, there were about 15 counties and prefectures where Donghak Peasant Army were active including Yeoncheon-hyeon, Yangju-mok, Yanggeun-gun, Jipyeong-hyeon, Gwangju-mok, Yeoju-mok, Icheon-bu, Eumjuk-hyeon, Yongin-hyeon, Suwon-bu, Juksan-bu, Anseong-gun, Yangseong-hyeon, Jinwi-hyeon and Pyeongtaek-hyeon (Chungcheong-do). Activities of the Donghak Peasant Army have been confirmed nearly half of counties and prefectures in Gyeonggi-do. This means that compared to Gangwon-do, Gyeongsang-do, and Chungcheong-do, they were not behind in terms of scale and activities. Geographically, Donghak Peasant Army was active Jinwi-hyeon, Yangseong-hyeon, Anseong-gun, Juksan-bu, Suwon-bu, Yongin-hyeon, Eumjuk-hyeon and other southern regions adjacent to Chungcheong-do, and Yeoncheon-hyeon, Yangju-mok, Yanggeun-gun, Jipyeong-hyeon, Gwangju-mok, Yeoju-mok, Icheon-bu and other eastern regions adjacent to Gangwon-do. This fact means that the Donghak Peasant Army in the Gyeonggi area exchanged and influenced the northern regions of Chungcheong-do and the western regions of Gangwon-do. The activities of the Donghak Peasant Army in Gyeonggi area during the first uprising of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in 1894 were hardly captured. They started their activities in August, just before the second uprising. Afterwards, during the second uprising, large-scale activities were conducted, and in the end, many Donghak Peasant soldiers were arrested or lost their lives. Most of the Donghak Peasant Army in Gyeonggi area was under the influence of the Donghak organization of Si-hyeong Choe. However, they had already been participated in Donghak Movement since the early 1890s. This means that their organizations were not simply formed during the second uprising in 1894, but had been organized for a long time. Most of the leaders of the Donghak Peasant Army in each region of Gyeonggi-do were in charge of Donghak organizations such as Daejeopju, Soujeopju, Jeopju, Jeopsa and others. Looking at the characteristics of Donghak Peasant Army's activities in the Gyeonggi area, first, those who participated in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have a characteristic that they are composed of very diverse backgrounds, such as nobleman’s children, the supervisor of a tenant farm, Gwanpo army, and farmers. At the same time, in relation to the suppression of the Donghak Peasant Army, it was confirmed that their property and possessions were confiscated when they were found to be participating in Donghak Peasant Army even after they escaped.

      • KCI등재

        동학농민군의 전주성 점령과 전주화약에 관한 고찰

        성강현 동학학회 2019 동학학보 Vol.0 No.51

        19세기 조선 말기의 동학농민혁명은 조병갑의 학정에 반항한 고부기포가발단이 되었다. 안핵사 이용태의 만행은 고부기포를 동학농민혁명으로 확장시키는 촉매제 역할을 하였다. 전봉준 등 동학농민군은 3월 20일 무장에서 재기포하여 26일 백산 대회를 기점으로 혁명을 본격화하였다. 황토현 전투와 황룡촌 전투의 승리로 자신감을 획득한 동학농민군은 4월27일 호남의 수부인 전주성을 무혈입성해 동학농민혁명의 1차 목표를 달성하였다. 그러나 뒤이어 쫓아온 홍계훈이 이끄는 관군에 의해 연패하면서 위기감에 빠지게 되었다. 또 농사를 주업으로 하는 동학농민군은 농번기의 도래와오랜 타향생활에 따른 피로감도 쌓여갔다. 반면에 조정에서도 동학농민군 토벌을 위해 청국군의 차입을 요청하였고 이는 일본군의 출병으로 이어졌다. 양국 군대의 차입으로 정치불안이 고조되자 조정에서는 양국의 군대를 돌려보내기 위해서는 동학농민군의 해산이 필요했다. 또한 동학농민군을 진압하기에는 병력이 부족했고 관군의 오랜 숙영으로 인해 사기도 저하되어 있었다. 전주화약은 이러한 양측의 필요에 의해 맺어졌다. 동학농민군은 집강소의설치와 폐정 개혁의 실시를 요구했고, 조정에서는 무기의 회수와 동학농민군의 해산을 요구하였다. 양측은 이에 합의하여 전주화약을 맺고 동학농민군은전주성를 빠져나왔다. 조정에서도 중앙군의 일부만 전주에 남기고 철수하였다. 이후 동학농민군은 전라도 군현에 집강소 설치를 수용하여 표면적으로는화약의 내용을 실천하였다. 그러나 동학농민군과 정부군 모두에게 만족할 수없는 불완전한 합의에 불과했다. 전주화약은 우리 역사상 처음으로 관민상화의 기구인 집강소가 설치되어민의가 국정에 반영되는 첫 사례를 만들었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 이는왕조국가에서 보기 드문 사례로 이후 민의를 국정에 반영할 수 있는 계기를만들었다. 따라서 동학농민군의 전주성 전투를 통해 많은 희생자를 내었지만전주화약을 통해 민의를 국정에 반영할 수 있는 길을 열었다는 점에서 큰 역사적 의의가 있다. 동학농민군의 고부 기포에서 전주 화약까지의 실상을 밝히기 위해서는 관군의 기록과 동학농민군의 기록, 그리고 제3자의 기록을 상호 비교해서 서술해야 한다. 동학농민군의 기록은 기포에서부터 전주 입성까지의 기록을 상세하지만, 완산 전투와 전주 화약에 대해서는 간략하게 서술되어 있다. 반면에관군의 기록은 황토현 전투와 황룡촌 전투 그리고 전주 입성 전투에 관해서는자신들의 과오는 기술하지 않고 간단하게 언급하고 있다. 반면에 승전을 한완산 전투에 관해서는 전과를 십여 배를 부풀리는 과장을 서슴지 않았다. 따라서 동학농민군의 기록이 부족한 상황에서 제3자의 기록은 초기 동학농민혁명의 실상을 밝혀줄 수 있는 중요한 자료이다. 따라서 초기 동학농민혁명의실상을 면밀하게 파악하기 위해서는 관군과 동학농민군, 제3자의 기록을 종합적으로 상호 비교하여 서술하여야 한다.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became the beginning of the Kobu Rebellion which rebelled against the tyranny of Cho Bok-Kap. And Yi Tae 's atrocity became the driving force to develop the Kobu revolt into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The Donghak Peasant Army, such as Jeon Bongjun, was sewn on March 20, 1894 in the Armed Forces. The Donghak peasant army, which acquired confidence with the victory of the battle of Hwangtohyeon and the battle of Hwangryongchon, achieved the first goal of Donghak Peasant Revolution by entering the center of Honam, Jeonju Province, on April 27th. However, after the successor Hong, Gye-hoon led a losing streak to the government and fell into a sense of crisis. In addition, Donghak peasant army, which is mainly engaged in farming, has accumulated fatigue due to the arrival of the farming season and the long-time living. On the other hand, the court also asked the King Dynasty army to take down the Donghak peasant army, which led to the dispatch of the Japanese army. As the influx of the two countries led to political instability, the Donghak peasant troops needed to be dissolved in order to return the armies of the two countries. In addition, lack of troops to suppress the Donghak peasant army and long-term residents of the municipal government, the morale was lowered, and necessary reconciliation. The Jeonju Agreement was concluded by the needs of both sides. The Donghak peasant forces demanded the installation of the docking stations and the implementation of the demolition reforms, and demanded the return of weapons and dissolution of Donghak peasant army. The two sides concluded an agreement in the prefecture, and Donghak peasant troops exited Jeonju province. In the mediation, too, only a part of the Central Army left the poles and withdrew. The Donghak peasant army accepted the installation 동학농민군의 전주성 점령과 전주화약에 관한 고찰 | 169 of the docking station in Cholla province and performed the contents of the agreement on the surface. However, it was merely an incomplete agreement that could not be satisfied for the Donghak peasant and government forces. The Jeonju Agreement is meaningful in that it is the first case in which the establishment of an institute which is the institution that harmonizes the people and the people is established for the first time in Korea. This is an uncommon example in the dynasty country, and it has created an opportunity to reflect the people in the aftermath. Therefore, although the Donghak peasant troops gave many casualties through the Jeonju battle, there is a great historical significance in that it opened the way to reflect the people to the national affairs through the Jeonju treaty. In order to reveal the facts from the Kobu to the Jeonju Agreement of the Donghak Peasant Army, the records of the Tribunal, the records of the Donghak peasant army, and records of third parties should be described in comparison with each other. The records of the Donghak Peasant Army detail the record from the uprising to the entrance to Jeonju, but briefly describe the Battle of the Wansan Mountain and the Jeonju Treaty. On the other hand, the records of the Tribunal refer to the Hwangtohyeon battle, the battle of Hwangryongchon and the arrival of Jeonju without simply describing their mistakes. On the other hand, he did not hesitate to exaggerate the fact that he was a victorious battle. Therefore, in the situation that Donghak peasant 's records are lacking, the record of the third person is an important data that can reveal the reality of the early Donghak peasant revolution. In conclusion, in order to grasp the reality of the early Donghak peasant revolutions, the records of the military units, Donghak peasant army, and third parties should be comprehensively compared and described.

      • KCI등재

        동학농민혁명기 나주 수성군의 조직과 활동

        김봉곤 ( Kim Bonggon ) 호남사학회(구 전남사학회) 2020 역사학연구 Vol.79 No.-

        본고는 나주지역 동학농민혁명의 재조명을 위해 나주수성군의 실체는 어떠하였으며, 수성군의 활동은 나주수성단계와 호남 초토영 단계, 일본군진출기에 걸쳐 어떻게 변화하였는가를 분석한 글이다. 동학농민혁명기의 나주지역은 관찬사료와 고문서, 개인문집, 일본군 측 사료를 통해 볼 때 동학농민군과의 관계에 있어서 크게 3단계로 전개되었다. 첫째 단계는 나주 수성기이다. 나주목사 민종렬은 처음에는 전라병영(全羅兵營)의 지원을 받았으나, 전라병영의 군사들이 빠져나가자, 전라 우영의 영장 이원우(李源佑)와 아전들의 도움을 받아 수성군을 편성하였다. 나주는 전라우영으로서 군관과 병사를 갖춘 상시적인 군사조직이 있었기 때문에 수성군을 조직하고 훈련시킬 수 있었다. 또한 나주지역은 1710년(숙종 30)부터 변란에 대비한 이노작대의 전통이 유지되고 있어서 1894년 동학농민혁명이 일어나자 아전들과 관노로 구성된 수성군이 손쉽게 결성될 수 있었던 것이다. 또한 대원군 집권 이후 외적을 방어하기 위해 축적된 화포나 군수물자도 상당한 양에 달했다. 수성군의 조직은 아전과 군교 등의 지휘부, 주력부대인 포군, 일반 병사들로 구성되었다. 포군은 전, 중, 후군 등 200명이며, 1,000여 명에 달하는 병사들이 24개의 초로 나뉘어 나주성 경비와 수리, 군량미 보급 등에 종사하였다. 이후 동학농민군은 나주성을 함락시키기 위해서 공격했으나, 대패하게 되자 전라감사 김학진을 통해 민종렬와 이원우를 파직코자 했으나, 나주 수성군의 반발로 실패하였다. 이에 동학농민군은 나주성 탈환을 위해서 전력을 다해 9월부터 11월까지 여러 차례 공격을 가하였으나, 화력의 부족과 전술의 미흡으로 실패하고 말았다. 특히 나주수성군은 600명에 달하는 포군을 지형에 따라 자유롭게 응용하고 기동성이 뛰어난 포차의 개발로 동학농민군의 전력을 무력화시켰던 것이다. 둘째 단계는 호남초토영기(湖南招討營期)이다. 나주목사 민종렬은 호남소모사, 호남 초토사의 직함이 부여되어 나주 수성군의 활동 반경은 남평이나 무안, 영암, 영광 등지로 전선이 확대되었다. 또한 초토사 민종렬은 관할 구역에 향약을 실시하여 교화를 통해 동학농민군 수뇌부 외에는 죽이지 않는 유화정책을 실시했다. 또한 전라도 전역에 4읍 작통제(四邑作統制)를 실시하고, 작통에 대한 규칙을 두어 함부로 동학농민군을 살상하지 않게 하였다. 이 때문에 전투시에도 수성군의 동학농민군 살상이 20명이 넘지 않는다고 평가될 정도로 그 피해는 크지 않았다. 셋째 단계는 일본군 점령기이다. 1895년 1월 5일(양력)부터 2월 10일까지 일본군 후비보병 제19대대장 미나미 고시로가 나주의 정토군 본부에 상주하여 일본군과 관군, 나주수성군을 총지휘하면서 동학농민군이 재기하지 못하도록 철처히 초토화작전을 전개하였다. 이에 서남해안 일대에서 동학농민군은 2,000명 이상이 죽어갔으며, 나주에서도 최소한 230명이 학살되었다. 나주관아도 일본군이 장악하고, 4대문도 일본군이 수비했다. 이 때문에 나주목사 민종렬은 관아가 아닌 객사 옆의 노반청에서 머물게 되었다. 잇달은 일본군의 부녀자 겁탈이나 재물 약탈에 대해서도 민종렬이나 나주영장 이원우가 감히 나서서 막지 못하였다. 나주수성군들은 일본군이 철수할 때까지 일본군의 지시에 따라 보조적인 역할을 수행할 수 밖에 없었다. This article to analyze the truth of Naju Suseing-gun, and the changes in the activities of Suseong-gun throughout the stages of Naju Suseong, of Honam Chotoyeong, and of the Japanese military's entry period, in order to shed new light on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in Naju. The Naju during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was developed into three major stages in relation to the Donghak Peasant Army, when looking at the official historical records and old manuscripts, private collections, and historical materials from the Japanese military. The first stage is the period of Naju Suseong (Naju Defence). Min Jong-ryeol, Naju Moksa, got support from Jeolla Byeongyeong (全羅兵營/Jeolla Naval Fortress) at first, but when their troops escaped, he organized the Suseong-gun with the help of Lee Won-woo(李源佑), a head of Jeolla Wooyeong and their Ajeons (subfficials). Naju has Wooyeong of the Jeolla 5-yeong, so, it had a military organization composed of military officers and soldiers, and it was able to train Suseong-gun and could be in charge of the battles. In addition, the Naju area has maintained the tradition of Inojakdae (吏奴作隊) since 1710 (the 30th year of King Sukjong's reign), so when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took place in 1894, Suseong-gun who composed of Ajeons (subofficials) and slaves in government employ could be easily organized. Also, the amount of gunpowder and military supplies accumulated to defend the foreign enemy since Daewongun's reign has reached a considerable amount. The organization of Suseong-gun consisted of commanders such as the Ajeon and the military officers, artillery as main-force units, and ordinary soldiers. There were 200 artillerymen, including former, middle, and rear soldiers, and as many as 1,000 soldiers were divided into 24-Cho, and engaged in security, repair, and military rice distribution in Naju Fortress. Later, the Donghak Peasant Army attacked Naju Fortress in order to capture it, but when it was defeated, it tried to dismiss Min Jongryeol and Lee Won-woo through Kim Hak-jin, the Jeolla governor, but failed due to the resistance of Naju Suseong-gun. Therefore, the Donghak Peasant Army made attacks several times from September to November with all their might, to recapture Naju Fortress, but failed due to lack of firepower and tactics. In particular, Naju Suseonggun has disabled the Donghak Peasant Army by freely applying its 600-strong artillery force and developing gun carriages with highly mobility depending on the terrain The second phase is the period of Honam Chotoyeong. The Royal Court gave the titles like Honam Somosa and Honam Chotosa to Naju Moksa Min, Jong-Ryeol, to let him take in charge of Jeolla Udo. After that, the movement scope of Naju Suseong-gun was expanded to the front lines in Nampyeong, Muan, Yeongam, and Yeonggwang. Also, the Chotosa Min, Jong-Ryeol implemented a village code in the jurisdiction, including an appeasement policy not to kill anyone through reformation except for the leaders of Donghak peasant army. Also, despite the implementation of four-eup Jaktongje in the whole Jeolla-do, the rules of Jaktong were established to prevent the reckless killing or wounding the Donghak peasant army. This is the reason why no more than 20 soldiers of Donghak peasant army were killed or wounded in the battle with Suseong-gun. The third phase is the period of occupation by Japanese army. From January 5, 1895(solar calendar) to February 10, 1895, the Japanese army installed the head office of Donghakdang Jeongto-gun in Naju. Minami Goshiro who was the battalion commander of the 19th infantry in Japanese army of the time, resided in the head office of Jeongto-gun in Naju, took the high command of Japanese army, government soldiers and Naju soldiers, thoroughly developed the scorched-earth strategy to prevent the comeback of Donghak peasant army in Honam. In the whole areas of southwest seashores, more than 2,000 soldiers of Donghak peasant army were killed, and at least 230 people were killed in Naju as well. Also, around this time, the Naju government office was dominated by Japanese army while the four main gates were defended by Japanese army. Minami Goshiro let his Japanese army handle all the affairs of government office. For this reason, the Naju Moksa Min, Jong-Ryeol had to stay in Nobancheong next to an inn, instead of government office. Min Jong-ryul and Lee Won-woo did not dare to fight against in a series of women rapes and plunder property by Japanese troops. The Naju Suseokng-gun was forced to play an auxiliary role until the Japanese troops withdrew.

      • KCI등재

        강원도 홍천의 동학농민군과 풍암리 전투

        신영우 동학학회 2015 동학학보 Vol.0 No.37

        강원도는 동학 교주 최시형이 은도기에 탄압을 피해서 교세를 보존하고 확대한 지역이었다. 1894년 강원도 홍천의 동학농민군은 일본군을 축출하려는 무장봉기를 준비하면서 경기도까지 가서 부자들에게 돈과 곡식을 강제로 거둬들였다. 경기도 지평에서는 민보군을 결성해서 그런 활동을 적극 제지하였다. 그리하여 두 차례에 걸쳐 강원도 홍천까지 가서 동학농민군을 공격하였다. 동학 근거지를 기습하고 많은 동학농민군을 죽였다. 이러한 내용은 『고종실록』에 간략하게 실려 있기 때문에 자세한 내용은 알 수 없었다. 다행히 최근에 연구에 활용하기 시작한 『갑오군정실기』는 더 많은 내용을 전해주고 있다. 홍천에서 벌어진 사건은 이 자료에 의해 여러 가지를 보완할 수 있게 되었다. 홍천 서부의 동학 지도자 고석주 등은 팔봉과 필곡을 거점으로 홍천 경내는 물론 경기도 지평까지 활동무대를 넓혔다. 무장봉기를 위해 돈과 곡식을 모으면서 양반유생들과 심각한 갈등이 벌어졌다. 홍천의 동학농민군이 경기도에 세력을 확대했다면 서울도 위협을 받았을 것이다. 지평의 민보군은 9월 12일 팔봉을 기습해서 그런 위협을 제거하였다. 그 공적으로 민보군 지도자 맹영재(孟英在)는 기전소모관 겸 지평현감이 되었다. 지평민보군은 경기도와 충청도 여러 지역에서 동학농민군을 견제하면서 그 지도자들을 체포하였다. 10월 22일 벌어진 풍암리전투는 ‘수천여 명’의 동학농민군을 맹영재가 이끈 ‘홍천 여주 양근 지평 춘천 등의 포군 1,000여 명’이 공격한 전투였다. 동학농민군이 패배한 이 전투는 강원도 일대의 상황을 결정지었다. 풍암리전투 이후 강원도의 동학농민군은 이전과 같은 기세를 보이지 못하였다. 풍암리의 동학농민군을 지휘한 대접주 차기석은 정성과 평창전투 이후 홍천민보군이 체포해서 처형하였다. 강원도 홍천의 동학농민군이 일본군과 싸우지도 못하고 지평의 민보군에게 제압된 것은 비극이었다. 경복궁을 점거해서 국왕을 인질로 잡은 외적을 앞에 두고 서로 싸운 것이기 때문이다. Gangwon-do is the place where Donghak leader Choi Sihyung had made Donghak spread during sequestered period to avoid supression. In 1894, Donghak peasant army in Hongcheon, Gangwon-do prepare for uprising against the Japanese army by forcing riches in Gyeonggi-do to donate their wealth. The riches depence themselves by making Min-bo gun so that attack the Dong-hak peasant army in Hongcheon, Gangwon-do. They made sudden attack the Dong-hak peasant army and killed numerous ones. These stories was not known because of minimal recordings of Gojongsilrok(高宗實錄). The Gabogunjungsilgi(甲午軍政實記), however, has been used for studying recently shows more stories about the Donghak peasant army in Hongcheon, Gangwon-do. It is a new historical material of the Donghak peasant army. If the Donghak peasant army extended their power in Gyeonggi-do, Seoul might be threatened. The Dong-hak peasant army in Hong-chun, Gangwon-do was dispersed by the Minbogun(民堡軍) in Jipyeong, Gyenggi-do. Maeng Young-jae(孟英在), the leader of the Minbogun in Jipyeong, Gyeonggi-do was became the magistrate of Jipyeong(Hyengam, 縣監), Gyeonggi-do as a reward for the broken-up of the Donghak peasant army. He made arrested the several leaders of the Donghak peasant army in Gyeonggi-do and Chungcheong-do and stopped their spread. The battle between the Donghak peasant army in Pungam-ri of the Hongcheon, Gangwon-do and the Minbogun in Jipyeong, Gyeonggi-do provoked the weakness of the Joseon military power during the Joseons suffered form a foreign invasion.

      • KCI등재

        1894년 영남의 동학농민군과 동남부 일대의 상황

        신영우 동학학회 2014 동학학보 Vol.0 No.30

        In 1894, North-West, South-West of Gyeongsangdo occupied by the Donghak Peasant Army who against Joseon Dynasty. The Donghak Peasant Army of Gyeongsangdo had a firm grip on the northwest area near Chungcheongdo and Jeonrado. At the end of October, the principal cities like Sangju(尙州) and Seonsan(善山 ) was occupied by Donghak Peasant Army. It was threatened the supply base of Japanese army at Nakdong(洛東) and hapyeong(海平). Japan began military intervention. Japanese army set up the quartermaster corps in 11 districts of Gyeongsangdo. Even though the Donghak Peasant Army awarded of the Japanese martial power, they targeted on the blocking Japanese military telegraph which was the only way to attack. The Japanese army counterattacked the Donghak Peasant Army. Minbogun(民堡軍) which organized by Joseon Dynasty organized and Namyoungbyeong(南營兵) which detached under Japanese coercion were also attacked the Donghak Peasant Army. The battle resulted in the defeat of the Donghak peasant army. On the other hand, Younghae(寧海) where is on the southeast area of Gyeongsangdo, faced a different situation by the peasants' uprising. It was not intervened by the Donghak. Since 1871 when Shin-Mi trouble occured, the Donghak couldn’t rebuild. The reason of the peasants’ uprising was same as the Donghak peasant army, misgovernment. 1894년 충청도와 전라도에 접경한 경상도 북서부와 남서부의 상주 선산 용궁 성주 하동 등에서는 읍내가 점거되었다. 10월 하순 동학농민군이 상주 선산을 점거하자 일본군이 즉각 개입하였다. 군사상의 필요 때문이었다. 일본군은 부산 삼랑진 물금 밀양 대구 청도 다부원 해평 낙동 태봉 문경의 11개 지역에 병참부를 설치하고 군용전선을 깔았다. 경상도의 동학농민군은 병참로를 따라 행군해간 일본군의 위력을 직접 보았으면서도 대일전쟁을 준비하였다. 처음에는 전선을 단절하거나 전신주를 쓰러뜨려 전신망 차단이 목표였다. 일본군 후방에서 효과적으로 공격하는 유일한 공격 방법이었다. 일본군은 이런 공세에 반응해서 동학 조직의 견제를 시작했는데 동학농민군의 무장봉기 이후에는 직접 반격을 가하거나, 조선정부에 강요해서 남영병을 파견하도록 하였다. 일본군 공격으로 동학농민군은 번번이 패배하고, 여러 군현에서 민보군을 결성하여 근거지를 수색하자 경상도 일대의 동학농민군은 곧 세력이 무너지게 되었다. 그래서 일본군의 전신망과 병참망은 11월 초 이후에는 더 이상 위협을 받지 않았다. 경상도의 동남부 군현에서는 이와 달리 동학농민군이 봉기한 기록이 나오지 않는다. 동학의 포접 조직과 인맥으로 구성된 동학농민군은 동학 세력이 미약하거나 존재하지 않은 지역에서는 나타날 수 없었다. 영해를 비롯한 인근 군현은 1871년 신미년의 병란 이후 동학 조직이 재건되지 못했을 수 있다. 동학농민군의 봉기 원인인 폐정은 1894년에 여러 군현에서 일어난 농민항쟁의 요인이었다. 동학농민군이 봉기하지 않은 군현에서도 농민항쟁이 일어나 10월 초에 60여 군현이 소란했다고 한다. 1894년은 연이은 흉작으로 농민생활이 매우 어려웠다. 경상도 71개 군현 중 37개 군현이 혹심한 흉년으로 고통을 받았다. 영해와 영천 등지의 농민항쟁은 경상도 북서부와 남서부에서 동학농민군이 봉기를 하던 시기에 일어났다. 정부에서 파견한 안핵사 이중하는 주도자는 원악도로 정배를 보낸 동시에 불법을 자행한 지방관과 향리도 엄벌을 내려 수습하였다. 농민항쟁은 부산의 일본영사관에서도 관심을 가지고 조사하고 있었다. 농민항쟁은 관치질서 유지를 위해 수습되어야 했다. 일본군이 내정을 간섭하던 시기에도 정부로서는 동학농민군과 마찬가지로 지방관의 폐정에 항거하던 농민항쟁도 용납할 수 없었다. 동학농민군의 봉기나 농민항쟁의 원인을 제거하는 책임은 감사에게 있었다. 경상감사는 지방관들의 착복과 공금 유용 사실을 조사해서 정부에 보고하였다. 민씨정권의 문란한 국정 운영이 지방 군현에서 나타난 사례가 지방관의 불법행위였고, 그것이 항쟁의 주요한 원인이었다.

      • KCI등재

        강원도의 동학농민혁명 유적지와 동학농민군

        이병규 동학학회 2015 동학학보 Vol.0 No.37

        The Donghak Farmer’s Revolution actively developed in the Gangwondo region in 1894. There was not much activity apparent in Gangwondo during the first uprising of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but it was actively involved in the second uprising. The Gangwondo region holds a special meaning as Choe Sihyeong, who assumed leadership of the organization following the execution of Choe Jaewoo in 1864, established a base and reorganized in the region. To this day, the progress of the organized research on the Donghak Revolution in the region is close to none. Also, there is almost no research on the Donghak Peasant Army who participated in the revolution either. It has been assessed that there are a total of 13 historical sites of the Donghak Peasant Rebellion in the Gangwondo region. Many of these sites held an important role to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However, it is also true there isn’t much recognition or management of these sites. It is an issue that must be addressed and fixed in the future. Signboards are needed as the first step in the management of the historical sites of the Donghak Revolution in Gangwondo. For the systematic preservation of the sites, there must be an effort to register the sites as cultural assets, and the academic research must also be strengthened. There is also a need for an exploration program to be developed in the Gangwondo region with the sites of the Peasant Revolution as the core, and a Donghak Peasant Revolution Memorial must also be established, as Gangwondo is the Mecca of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Currently, there are 76 confirmed members of the Donghak Peasant Army in the Gangwondo region. It has been confirmed that almost the entire region of Gangwondo held Donghak Peasant Army activity. Divided by regions of Gangwondo, Gangneung had 8 members, Bongpyeong 12, Wonju 6, Inje 2, Yangu 1, Jeongsun 4, Pyeongchang 6, Hongchun 36, and Hwengsung 1, showing that Hongchun had the most members of the Donghak Peasant Army. It could be said that this is a result of Cha Giseok of having Hongchun as his base for the activities of the Donghak Peasant Army and fighting a major battle. . In future research of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we believe that the research must be carried out with the perspective of the region. More than anything, it is also necessary to restore the appearance of individual activities of those who participated in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in the Donghak Peasant Army. 1894년 동학농민혁명은 강원도지역에서도 활발하게 전개되었다. 강원도지역에서는 동학농민혁명 1차 봉기 과정에서는 특별한 활동을 보이지 않다가 2차 봉기과정에서 적극적으로 참여하였다. 또한 강원도지역은 최제우가 1864년 처형된 후 조직을 이어받은 최시형이 근거지로 삼고 동학교단 조직을 재정비한 지역으로서 큰 의미가 있는 지역이다. 지금까지 강원도지역의 동학농민혁명 유적지에 대해 정리된 연구 성과는 거의 없는 형편이다. 또한 강원도지역에서 동학농민혁명에 참여한 동학농민군들에 대한 연구도 거의 없는 실정이다. 강원도 지역에서 총 13곳의 동학농민혁명 유적지가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동학농민혁명사에서 중요한 위치를 가지고 있는 유적지가 상당수 위치하고 있다. 그러나 이에 대한 인식과 관리가 이루어지고 있지 못한 것이 사실이다. 앞으로 개선되어야 할 문제이다. 강원도 지역 동학농민혁명 유적지와 관련하여 우선적으로 안내판설치가 필요하다. 여기에 체계적인 보존 관리를 위해서는 문화재로 지정하는 작업이 진행되어야 하며 학술연구도 보다 심도 있게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또한 강원도 지역 동학농민혁명 유적지을 중심으로 답사 프로그램을 개발할 필요가 있으며 강원도 동학농민혁명의 메카로서 강원지역의 동학농민혁명기념관의 설립도 필요한 부분이다. 현재까지 파악된 강원도 지역 동학농민군은 총 76명이다. 지역별로 거의 강원도 전지역에서 동학농민군의 활동이 있었음이 확인된다. 지역별로 보면 강릉 8명, 봉평 12명, 원주 6명, 인제 2명, 양구 1명, 정선 4명, 평창 6명, 홍천 36명, 횡성 1명으로 홍천에서 가장 많은 동학농민군이 확인된다. 이는 홍천을 근거로 차기석이 이끄는 동학농민군이 홍천을 중심으로 활동하면서 큰 전투를 벌인 결과라고 할 수 있다. 앞으로 동학농민혁명 연구는 지역적 관점을 견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고 생각된다. 또한 동학농민혁명에 참여한 농민군 개개인의 활동 양상을 복원해내는 것이 무엇보다 필요하다.

      • KCI등재

        충청남도 서남부 지역의 동학여당(東學餘黨)과 서양종교

        이영호(Lee, Young-ho) 호서사학회 2018 역사와 담론 Vol.0 No.88

        이 논문은 1894년 동학농민전쟁 이후 동학농민의 동향을 서양종교와 관련하여 검토한 것이다. 동학여당(東學餘黨)이 천주교, 러시아 정교회[희랍교(希臘敎)], 야소교(耶蘇敎)에 투탁하거나 또는 그들 종교를 이용하여 개인적 이득을 취하는 한편 변혁운동을 모색하기도 한 양상을 검토했다. 일찍이 이양선이 출몰하여 서양에 대한 기억이 축적되어 있고, 종교적으로도 포교의 공백지대로 남아있던 충청남도 서남부 지역에서 서양종교를 이용한 동학여당의 활발한 움직임을 포착했다. 충청남도 서남부 지역은 부여와 보령을 잇는 선 아래 쪽 임천·한산·서천·비인·남포·홍산 지방이다. 천주교의 경우, 1895년 한산의 동학여당이 천주교에 들어가 개인적 원한을 갚으려 하여 분쟁이 생긴 사례를 검토했다. 한산군수는 이들을 체포하여 처벌하고자 했지만, 프랑스 선교사가 이들을 교인이라고 보호하면서 한국의 행정기관과 프랑스 측이 대립했다. 이들 동학여당은 천주교의 보호를 받아들여 결국 진실한 교인이 되었다. 천주교의 강력한 통제 하에서 동학여당이 변혁운동을 추구하기는 어려운 상황으로 되어 갔다. 러시아 정교회와 야소교를 이용한 동학여당의 활동은 1899년 전라북도 일원에서 일어난 영학당운동과 관련된다. 영학당의 잔당들이 금강을 건너 이곳으로 넘어와 서양종교에 가탁하여 분란을 야기했다. 1900년 가을, 임천의 동학여당이 러시아 정교회 소속의 정길당(貞吉堂)이라는 여인과 결탁하여 러시아 정교회 교당과 십자기를 세우고 인근 각지에 지파를 두고 주민들에게 ‘작폐(作弊)’한 사건이 일어났다. 그들은 ‘사송아문(詞訟衙門)’을 칭하며 지방행정을 장악하려는 모습을 보였다. 이어서 1902년 보령과 남포의 동학여당이 야소교를 세워 십자기를 내걸고 ‘송실(訟室)’을 칭하며 역시 지방행정을 장악하려 했다. 이 두 사건의 주동자들은 서양종교의 종단과는 무관하여 보호를 받지 못했다. 보수유생들과 대결하고 있는 모습은 동학농민전쟁 때의 상황을 연상시킨다. 영학당의 잔당인 이들 동학여당은 변혁에 대한 의지를 내면에 품고 있었을 가능성이 없지 않아 보인다. This study examines the trends of Donghak peasants after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in 1894, in relation to western religion. While the remnants of the Donghak Peasants’ Army entrusted themselves to the Catholic Church, the Russian Orthodox Church, and the Protestant Church, or gained personal benefits through such religions, they sought a revolutionary movement. As Western ships had previously entered the southwestern region of Chungcheongnam-do Province, the residents retained memories of the West. The region had remained as a blank area of missions in terms of religion. In response, the remnants of the Donghak Peasants’ Army acted vigorously in promoting Western religion in that region. This subject is also examined in this study. As for the Catholic Church, the remnants of the Donghak Peasants’ Army in Hansan county (Chungcheongnam-do Province) joined the Catholic Church in 1895 to wreak acts of personal vengeance, which led to a dispute. The governor of Hansan-gun County attempted to arrest and punish them. However, a French missionary protected the remnants as the members of the Church, which led to a confrontation between Korea and France. These remnants of the Donghak Peasants’ Army accepted the protection of the Catholic Church and eventually became true Church members. The situation was difficult for the remnants of Donghak Peasants’ Army to pursue its reform movements under heavy control of the Catholic Church. The activities of the remnants of the Donghak Peasants’ Army using the Russian Orthodox Church and the Protestant Church are related to the Younghak-dang Movement that took place in Jeollabuk-do Province in 1899. The remnants of the Younghak-dang crossed the Geumgang River to that region, and disguised themselves as the members of the western religion, creating trouble. In autumn 1900, in collusion with a woman named ‘Jeong-gil-dang’ of the Russian Orthodox Church, the remnants of the Donghak Peasants’ Army in Imcheon county (Chungcheongnam-do Province), constructed the Russian Orthodox Church, erected a cross flag, and established local churches in many neighboring places, thus giving troubles to the residents. They called their own organization ‘Sasong-amun (semantically, the Judicial Departments)’ and tried to take control of the local administration. Subsequently, in 1902, the remnants of the Donghak Peasants’ Army in Boryeong county and Nampo county (Chungcheongnam-do Province), constructed a Protestant Church under the flag of a cross, and called the church ‘Songsil (semantically, the Judicial Office)’ to take control of the local administration as well. The leaders of these two cases were not protected because they had no relation to the orders of Western religions. Their confrontation with conservative Confucians is reminiscent of the situation of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in 1894. It is likely that these remnants of the Donghak Peasants’ Army, who were the remnants of the Younghak-dang, had the willingness to achieve a revolu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