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재가노인의 재난대응능력에 미치는 영향요인 연구 - 지진 경험 유무에 따른 비교 -

        김새봄,최윤정,최송식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2019 Crisisonomy Vol.15 No.1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compare and analyze the factors influencing disaster response capabilities of elderly people at home, focusing on their past experience in earthquake situations. The major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elderly people at home with earthquake experience demonstrated a higher anxiety of death, disaster awareness and response capabilities. Second, gender, health status and disaster awareness affected the disaster response capabilities among elderly people at home with earthquake experience, whereas gender, trust in government, and disaster awareness affected the disaster response capabilities of those without. It is confirmed that there is difference in factors affecting disaster response capabilities between those with and without the past experience in earthquake. Based on these findings, practical policy measures are recommended to improve disaster response capabilities of elderly people at home. 본 연구의 목적은 지진 경험유무에 따른 재가노인의 재난대응능력 영향요인을 비교⋅분석하는 데있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진을 경험한 재가노인이 지진을 경험하지 않은재가노인보다 죽음불안, 재난인식, 재난대응능력의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지진경험재가노인의 경우 성별, 건강상태, 재난인식이 재난대응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지진을 경험하지 않은 재가노인의 경우 성별, 정부신뢰, 재난인식이 재난대응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지진 경험 유무에 따른 재난대응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재가노인의 재난대응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정책적⋅실천적방안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재난교육훈련이 경찰공무원의 재난대응역량에 미치는 영향

        김병구,임준태 한국경찰연구학회 2021 한국경찰연구 Vol.20 No.2

        재난 상황에서 위기관리 국가의 시스템이 제대로 작동하느냐는 물음에 우리 사회의 우려가 커지고 있다. 이에 각종 현장에서 다양한 임무를 수행하는 경찰공무원이 재난상 황에서 이를 해결할 수 있는 필요한 역량을 갖추고 있는지에 대한 의문을 제기하며 이 연구를 실시하였다. 경찰관의 재난 대응 능력은 더 나은 교육훈련 시스템으로 개선될 수 있을 것이며, 그 후 관련 조사 및 분석을 통해 경찰관의 인식된 재난 대응 능력과 영 향을 미치는 요인을 조사하여 필요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는 것이 이 연구의 목적 이다. 이 연구를 위해 경찰청과 전국의 시·도 경찰청 및 경찰서 그리고 지구대와 파출 소에 근무하는 경찰공무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했으며 최종적으로 1,242매가 회수되었다. 연구 결과, 경찰관들을 대상으로 한 교육훈련 시스템이 재난 대응 능력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긍정적인 (+)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연구를 통하여 경 찰관들의 재난대응 능력을 평가하고 구체적인 개선방안을 제시했으며, 후속 연구의 기반을 마련하고자 한다. In a disaster situation, there is a growing concern in our society whether the crisis management system works properly. In this regard, this study began with a consideration of whether police officers, who perform various missions in the field and have increasing importance, had the required capabilities for them in the situation. For the purpose, this study set up a hypothesis, “The police officers’ disaster response capabilities would improve with better education/training system then investigated their perceived disaster response capabilities and the factors affecting them through the related surveys and analyses to present the necessary policy implications. As a result of the study, it turned out that the police officers’ education/training system had all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 impacts on their disaster response capabilit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several policy implications. In particular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nd continuously promote a plan for customized improvement, focusing on ‘female police officers,’ ‘those whose work is not at all or hardly, or slightly related to disasters,’ ‘those who have served for 10 years to 15 years,’ and ‘those whose rank is Superintendent or Senior Inspector’ who were found to have relatively poorer disaster response capabilities. Also, with these efforts for improvement, comprehensive improvements should be made, e.g., granting the police’s authority to take initial action in disaster response, maintaining the related coaching system, maintaining the laws and systems on the roles and duties of the police according to the introduction of the autonomous police system and strengthening cooperation with local governments, etc. This study scientifically verified and analyzed the factors affecting the police officers’ disaster response capabilities. In other words this study is the first case that expanded the range of the subjects of the survey from constable to the ranks higher than senior superintendent working nationwide and conducted surveys with the National Police Agency, a policy unit, as well as the first-line patrol divisions and police substations. This study has great significance for establishing the foundation for the revitalization of the follow-up studies by evaluating the police officers’ disaster response capabilities and proposing concrete improvement plans.

      • 119구급대원의 다수사상자 발생 재난 현장의 대응 역량에 관한 연구

        국종원(Kook-Jong Won),김보균(Kim-Bo Kyun)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22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22 No.5

        본 연구는 S시 소재 G 소방서 소속 구급대원과 재난관리과 구급 담당자를 대상으로 다수사상자 재난 현장에서 119구급대원의 재난 대응 역량을 파악하여 소방 내외적으로 재난 관련 교육과정에 미흡한 부분이 있다면 이를 개선하고 교육체계 발전의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자 수행하였다. 이들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재난 대응 역량을 즉각 대응 역량, 중증도(환자) 분류역량, 환자처치 역량, 환자이송역량 협업 지원역량으로 범주화 하였다. 현재 소방 조직에서 재난에 관련하여 표준화된 구급대원의 역량 평가도구가 없는 실태이며, 표준화된 평가도구를 개발하여 구급대원의 재난 대응 역량을 체계적으로 측정하여 역량을 향상해야 할 것이다. 이 연구 결과를 토대로 구급대원이 재난 현장에서 대응 역량을 향상할 수 있는 체계적인 교육과정의 발전과 개발에 대하여 인식하고 이에 대한 시스템 구축 및 정책 개발에 관한 관심이 필요하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disaster response capabilities of paramedics currently active in Korea, such as immediate response, severity classification, patient treatment, and patient transfer in a disaster situation with many casualties. Methods: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nd collected to 84 paramedics working at the G Fire Station in S City and first aid personnel in the disaster management department, of which 81 copies were used for analysis, excluding 3 inappropriate questionnaire responses. The research tool was a structured questionnaire and consisted of a total of 25 questions, including 5 questions on the subject"s general characteristics and 20 questions on disaster-related emergency response capabilities. The collected questionnaire analysis used SPSS 23, a social science statistics program. Results : First, among the subjects" disaster response capabilities, the score of patient transfer capability was the highest, and the score of cooperative support capability was the lowest.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each disaster response competency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age (p=.02), and in the case of immediate response competency and severity (patient) classification competency, the competency in their 40s was higher. Third,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 correlation between each competency in all five disaster response competencies. conclusion : This suggests that there is an urgent need to develop a systematic and specialized education system related to disasters both inside and outside the fire department to improve overall capabilities.

      • KCI등재

        119구급대원의 다수사상자 발생 재난 현장의 대응 역량에 관한 연구

        이효철,김지희,신요한,국종원 사단법인 한국응급구조학회 2022 한국응급구조학회지 Vol.26 No.2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currently active Korean paramedics’ disaster response abilities, including immediate response, severity classification, patient treatment, and patient transfer, in a disaster situation with multiple casualties. Methods: A structured questionnaire consisting of a total of 25 questions was used, including 5 questions on the subject's general characteristics and 20 questions on disaster-related emergency response abilities. Results: Among the disaster response abilities of the participants, the patient transport ability scores were high and the cooperative support ability scores were low. In terms of general characteristic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age, and it was high in the 40s, and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each competency.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re is an urgent need to develop a systematic and specialized educational system with components inside and outside fire departments related to multiple casualty disasters to improve overall abilities.

      • KCI등재후보

        식품 및 의료제품 위기 대응역량 향상을 위한 연구

        위금숙(KumSook We),황요한(YoHan Hwang) 한국방재안전학회 2015 한국방재안전학회 논문집 Vol.8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식품 및 의료제품의 위기상황 발생 시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공무원의 역량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위기대응 역량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식품 및 의료제품 위기발생시 필요한 대응활동과 필요한 역량이 무엇인지를 파악하는 것이 선행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식의약 관련 위기에 대한 정의를 살펴보고, Emergency, Crisis 등과 관련된 역량에 대한 국내외 선행연구 및 자료를 조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를 토대로 위기 시 대응역량을 ‘위기 시 조치사항을 신속하게 수행하는 능력’으로 정의하고, 식약처 위기매뉴얼을 분석하여 조치사항을 도출하였다. 조치사항을 명확히 도 출하는 것은 교육훈련 및 연습과 평가 환류의 기준이 되어 직접적이면서도 실질적인 역량을 제고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mprove the capacity of public officials that can respond quickly and effectively in the event of food and medical products crisis. In order to improve the emergency response capacity, it must be preceded to identify what kinds of response activities and capacities are needed in case of food and medical product crisis. To this end, this study examined the definition of food and drug related crisis, and investigated and analyzed domestic and international leading researches and data about the capacity related to emergency, crisis or disaster. Based on the result of the analysis, the crisis response capacity was defined as ‘the ability to quickly perform response tasks at the time of crisis’, and the response tasks were identified by analysing the crisis response manuals of the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Since identifying the response tasks clearly can be a basis for training, exercise, and evaluation, it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enhance the crisis response capabilities directly and effectively.

      • KCI등재

        경찰공무원의 근무환경이 재난대응역량에 미치는 영향

        김병구 ( Kim¸ Byung Gu ),이상훈 ( Lee¸ Sang Hun ) 한국경찰학회 2021 한국경찰학회보 Vol.23 No.5

        Concerns in our society are growing when asked if the crisis management state’s system is working properly in a disaster situation. The police traditionally play a role in law enforcement, crime prevention and response, and providing security services, and should also play a role in supporting the state and local governments as a support organization in the event of a national disaster and crisis. This police officer's ability to respond to disasters can be increased due to the improvement of the working environment, and this will be investigated through empirical analysis.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on the National Police Agency, metropolitan and provincial police offices, police stations, and police officials working in patrol stations and police boxes across the country, and 1,242 copies were finally recovered.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the working environment of police officers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their ability to respond to disasters. Through this study, it is hoped that police officers will evaluate their ability to respond to disasters and present specific improvement measures to lay the foundation for revitalizing follow up research.

      • KCI등재

        정부의 지진재난 대응역량과 재난관리체계의 법·제도적 적절성이 재난관리 운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소방공무원의 인식을 중심으로

        윤석민 한국재난정보학회 2020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Vol.16 No.2

        Purpose: In this study, the effect of the government's disaster response capabilities and the legal and institutional appropriateness of the disaster management system on the operational performance of disaster management performance were verified. Method: Questionnaire survey was performed for the fire officials, and the surveyed data was statistically analyzed by using SPSS 25.0 program. Result: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government’s earthquake disaster response capability i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disaster follow-up management as well as disaster prevention preparation, which is a factor in disaster management performance. Second, it has been shown that the legal and institutional appropriateness of the earthquake disaster management system has a significant impact on disaster follow-up management as well as disaster prevention preparation, which is a factor of disaster management performance. Conclusion: The important policy implications for improving the operation performance of disaster management could be obtained in preparation for earthquakes in Korea. 연구목적: 본 연구에서는 재난관리의 주체인 소방공무원들을 대상으로 정부의 재난대응역량과 재난관리체계의 법·제도적 적절성이 재난관리 운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연구방법: 소방공무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수행하였으며, 조사자료는 SPSS 25.0 프로램을 이용하여 통계적 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본 연구를 통해 나타난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부의 지진 재난대응역량은 재난관리 운영성과 요인인 재난 사전예방준비 뿐만 아니라, 재난 사후대응관리에도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지진 재난관리체계의 법·제도적 적절성은 재난관리 운영성과 요인인 재난 사전예방준비 뿐만 아니라, 재난 사후대응관리에도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국내 지진대비 재난관리의 운영성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중요한 정책적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 KCI등재

        조류독감 지역방재력 비교사례연구: 지방자치단체 조례를중심으로

        배숙경,최준호,최충익 한국지적정보학회 2018 한국지적정보학회지 Vol.20 No.3

        This paper aims to explore the local capabilities of disaster response against avian influenza through a comparative study of two regions. In this study, the local capabilities of disaster response are defined as comprising three components: disaster prevention, reduction, and resilience. The indexes are classified as self-help, community cooperation, and public rescue and assistance. Using case studies, this study examines the ordinances regarding community disaster management plans in Gangwon-do and Jeollabuk-do provinces, Korea. The results show that the ordinances of these two regions are insufficient in terms of community cooperation. In conclusion, this study proposes building confidence among local communities by establishing community resident meetings, sharing concerns among residents via Social Networking Services (SNS), and strengthening support among residents’organizations for disaster countermeasures against avian influenza. 본 연구는 조류독감 발생 및 확산과 관련하여 지역의 실천의지를 담은 조례에 규정된 내용을 통해 지역의방재력을 분석하였다. 우선 방재력을 억제력, 경감력, 복구력 등의 종합적 개념으로 정의하고 지표를 개인분야, 지역사회 분야, 행정과의 협력 분야 등으로 구분하여 강원도와 전라북도의 관련 조례를 검토하였다. 분석결과, 두 지역 모두 지역사회의 공조 부분에서 방재력과 관련된 조례내용이 매우 미흡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미흡한 지역사회의 공조 강화를 위해 주민자치 모임을 통한 신뢰양성, 방재 SNS 개발을 통한 주민 간 현안공유, 주민조직·단체 활용 및 지원강화 등을 향후 조류독감(AI)에 대비한 지역사회의 방재력 발전방안으로 도출하였다.

      • KCI등재

        해외주요국의 재난관리체계 특징 분석을 통한 우리나라 표준대응절차 개선방안 모색

        신희영,최우정,서경민 (사)위기관리이론과실천 2022 Crisisonomy Vol.18 No.5

        본 연구는 국내외 재난대응절차를 비교 분석할 수 있는 틀을 마련하고 우리나라의 표준대응절차를개선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목적이다. 먼저 국내 법령 및 매뉴얼 간의 한계점을 제시하고, 재난대응절차의 세부 구성요소로서 ① 대책본부의 지휘·지원체계, ② 유관기관 협업관계, ③ 대책본부의 운영단계별 활동 내용을 주요 변수로 분석틀을 구성하고 각 국가별 특징을 비교하였다. 또한각 국가별 도출된 특징을 바탕으로 수직(지휘⋅지원)과 수평(협업)관계로 재난대응절차를 도식화하여 연계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중앙의 종합⋅조정의 권한 강화, 둘째, 통합적 지휘체계 구축, 셋째, 지역의 특성에 따른 재난 맞춤형 대응계획 수립, 넷째, 광역과 기초 지자체에 대책본부 설치시 광역자치단체의 총괄·조정 기능 수립 그리고 유관기관(소방⋅해경⋅경찰)의 구체적인 협업체계구축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 재난대응 역량 평가지표 개발

        김향기,박길주,정종수 한국재난정보학회 2018 한국재난정보학회 학술대회 Vol.2018 No.11

        본 연구에서는 재난발생시 기업 활동의 연속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재난대응 역량 수준을 평가하고 지 속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지표를 개발하고 한다.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의 예방ㆍ대비ㆍ대응ㆍ복구 와 안전문화 단계에 대하여 CoP(Community of Practice) 활동을 통하여 평가지표 16개를 도출하였고, 각 각의 지표들을 측정할 수 있는 평가항목 65개를 개발함으로서 기업의 재난대응 수준을 평가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 지표를 기업의 특성에 맞도록 수정하여 적용하면 기업의 중장기적 재난대응 역량강화를 위한 토대가 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