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청일전쟁 이후 이승만의 탈중화적 변모와 독립사상

        김명섭 21세기정치학회 2024 21세기 정치학회보 Vol.34 No.2

        이 연구의 목표는 청일전쟁(1894~95) 이후 이승만의 탈중화적 변모(變貌)와 독립사상을 추적, 분석하는 것이다. 청일전쟁 중에 실시된 갑오경장으로 과거제가 폐지되자 조선의 청년 이승만은 사서삼경 대신 신학문을 배우며 중화주의에서 벗어나기 시작했다. 중화적 세계관의 신체적 상징이었던 상투도 잘랐다. 그는 고종황제가 표방한 국제적 독립을 지지했지만 청나라 대신 명나라를 숭상하는 소중화주의적 전제정치로는 독립을 보전하기 어렵다고 보았다. 독립협회에 참가한 이승만은 독립을 보전하기 위해 전제정치를 헌법정치로 바꾸려 했고, 민주정치는 아직 “동양 천지에서는 … 위험한 생각”이라고 보았다. 이러한 인식은 조청일전쟁 이라고도 볼 수 있는 청일전쟁의 한 축을 형성했던 동학농민봉기에 대한 그의 비판적 입장과 도 상통하는 것이었다. 이승만은 1899년 한성감옥서에 수감된 직후 개신 기독교인이 되면서 근대적 개인에 기초 한 독립사상을 내면화했다. 이 점은 똑같이 반일독립운동에 나섰지만 소중화주의적 복벽(復辟)을 추구했던 이승희와 같은 유교 지식인과 이승만의 차이였다. 다른 한편으로 이승만은 청일전쟁의 결과로 “주어진” 독립을 무조건 환영하기 보다 비판적 입장을 견지함으로써 청 나라에 대한 일본의 승리 이후 탈중화적 개화 지식인들이 빠져 들었던 ‘친일의 덫’을 회피할 수 있었다. This article reconsiders Syngman Rhee’s de-Sinocentric transfiguration and idea of independence after the Qing–Japan War(1894~95), which was observed by a Russian diplomat as “a clash of civilizations.” As Gwageoje (科擧制) based on the Confucian scriptures was abolished during the war, Syngman Rhee entered into a Christian Missionary school and began to liberate himself from Sinocentrism. In 1895, Syngman Rhee cut off his topknot, a physical symbol of Sinocentric worldview. Moreover, he participated in the movement of Korean independence by reforming Gojong’s despotism, which was rooted in the Ming Empire overthrown by the Qing Empire. Syngman Rhee preferred constitutional politics to despotic governance. Furthermore, he regarded democracy as the best political system but thought it was “a dangerous idea in the East.” In the same vein with this position, he was also critical of the Donghak (Eastern School) Peasant Uprising that formed a part of the Qing–Japan War or the Korea–Qing–Japan War.After being imprisoned in 1899, Syngman Rhee became a Protestant Christian and developed the idea of independence based on individual liberty. This philosophy marked the difference between Syngman Rhee and other Confucian intellectuals such as Seunghui Yi, who maintained the Sinocentrism of the Ming Empire although both of them participated in the anti-Japanese movement. Syngman Rhee also differed from other de-Sinocentric intellectuals caught in a ‘pro-Japanese trap.’ Contrary to these intellectuals overwhelmed by the victory of Japan over Qing, he maintained a critical stance on independence “granted” by the Qing–Japan war.

      • KCI등재

        근대 조선의 ‘탈중화’와 지역의식의 재구성 - 『독립신문』의 논설을 중심으로 -

        김수자 ( Kim Soo Ja ) 한서대학교 동양고전연구소 2017 동방학 Vol.37 No.-

        1876년 조선이 일본에 의해 개항하면서 한중일 3국은 조선과 청의 전통적인 조공, 책봉관계, 그리고 자주 개념을 서로 다르게 이해, 해석하고 있었음이 드러났다. 일본은 조일수호조약을 체결하면서 사용한 ‘자주국’이라는 용어를 통해 조선이 중국에 대해 자주, 독립국임을 분명히 하려고 하였다. 조선은 중국의 속방(屬邦)이나 내치외교는 자주(自主)라고 하는 ‘형식적인’ 종속관계를 유지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중국은 조선이 자국의 속국임을 실제화하려 했다. 이와같이 선명하지 않은 관계는 청일전쟁에서 일본이 승리하고, 청나라가 패하면서 종결되었다. 그리고 1899년 대한제국이 중국과 한청통상조약을 체결하면서 정치적 의미와 중세적 지역의식에서 조선은 중국으로부터 ‘완전히’ 벗어났다고 할 수 있다. 당시 개화 지식인들은 탈중화의 주요한 방법으로 문명담론을 활용하였다. 문명담론에 의거해 중국적인 것은 거의 예외없이 배격, 부정되었다. 중국의 것이 야만적인으로 규정되었기 때문이다. 유교문명 자체에 대해서도 회의하고 부정하는 태도를 보였다. 특히 『독립신문』은 중국을 서양이 갖추고 있는 문명의 양상들이 모두 결여된 어리석고, 천하고, 더러우며 나라를 위하는 마음이 없는, 미개화 혹은 야만과 동격화 하였다. 중국은 더 이상 문화의 중심이 아니라 동아시아의 다른 국가들과 마찬가지로 ‘지역’의 하나가 되어가고 있었다. 그러나 중국을 주변국으로 간주하면서도 동양의 방어를 위해서는 조선과 중국, 일본이 연대하여야 한다는 지역연대의식을 보여주고 있다. 이 연대의식은 자연스럽게 서양과 대별되는 아시아 지역공동체 성격을 띠는 것이었다. 이것은 조선의 위치를 독립국으로 자리매김하면서 동시에 자국의 역할을 규정한 것이기도 하였다. In 1876, when Chosun was opened by Japan. It was revealed that the three countries of Korea, China and Japan had different understanding about Chosun-Qing Relation, Tributary and Investiture. Japan tried to make it clear that Chosun was independent country from Qing by using a word ‘independent state’ at the Chosun-Japan Treaty. Chosun wanted to maintain a ’formal’ subordinate relationship with Qing, but was able to use its own independent diplomacy . But Qing tried to actualize that Chosun was Qing’s subject country. However, this unclear relationship ended with when Japan won and Qing lost at the Sino-Japanese War. And in 1899, by the Korean empire and Qing signing at the Korea-Qing Commercial Treaty, de-sinocentralism were composed at the political meaning and medieval regional consciousness. The intellectuals developed the moves that the movement to de-sinocetralism in terms of culture and consciousness. Based on the discourse of civilization, Qing style was rejected and denied almost without exceptions. Furthermore the China’s things were thought as barbaric. Also they seemed attitude that they denies with the confucianism too. Especially The Independent become equaled Qing same with barbarism that is insufficient civilization which Western has, and foolishness, dirty, and lack of interest for country. The reason why the intellectuals of Chosun made Qing as the barbarian country was they thought that dele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Qing which blocked the Chosun’s independence traditionally would announce that Chosun is independent country and make Chosun rich and strong. It was for showing that China was no longer the center of the culture anymore and it was just a local like other countries in East Asia. And in the process, it was defined the role of the Chosun state in that it should stand as an independent country.

      • KCI등재

        특집논문 : 연행의 길, 인문의 길 ; 연행 여정에서 형성된 "탈중화"의 두 번째 경로

        이철희 ( Chul Hee Lee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15 大東文化硏究 Vol.90 No.-

        조선후기 탈중화주의의 진전은 두 가지 경로가 확인된다. 첫 번째는 주지하다시피 서구에서 유입된 세계지도와 우주관으로부터 중국이 더 이상 세계의 중심이 아님을 깨닫게 된 것이다. 두 번째는 연행 여정에서 북방민족과 한족을 직접 경험하며 형성된 민족담론과 문명론을 통해서다. 조선 지식인은 존명반청의 이념을 고수하고 있었지만, 실제 연행 여정에서 만난 만주족에게는 순실하고 강건함을 느낀 반면 한족에서는 교활함을 느낀다. 조선을 잔혹하게 짓밟은 만주족에게 오히려 친밀감을 느끼고, 은혜를 입은 명나라의 유민인 한족에게 반감을 느낀다는 것은 그들의 이념과는 배치되지만 연행에서 직접 경험한 현실이었다. 이러한 체험의 담론은 북방민족으로부터 자국을 지켜내지 못했던 한족, 특히 남방 한족의 ‘숭문주의’에 대한 회의감을 불러일으켰고, 오랑캐로 치부되던 북방민족에게서 상대적인 강점을 발견하게 된다. 조선후기 제기된 고구려 정통론과 ‘고구려, 발해, 여진족, 만주족’을 하나의 계보로 묶은 북방민족론은 중원 중심의 중화주의와 숭문주의에서 벗어나 새롭게 민족정체성을 탐색하는 ‘탈중화’의 또 다른 경로였다. In late Choson era, one can easily find two social movements to De Sinocentrism. First movement is due to physicism and world atlas introduced by Western civilization and people start to recognize that China was not the center of the Universe. Second movement occurred through Ethic discussion and Civilization Theory by confronting Manchu Peoples and Chines during entraining journey. During 18th century, most of Choson``s intellectuals kept socialism of favor Ming against Qing Dynasty. However, they felt simple, sincere, and strength from Manchu People but felt devious from Chinese. It was very contradictory to feel intimacy from Manchu People, who conquered and destroyed Choson, and to feel antipathy from Chinese, the people of Ming Dynasty. However, the discussion of these experience raised skepticism about Chinese, who could not defend their country from Manchu People, especially Chongwenism. Also, it became a start to find new values of Manchu People, whom Choson believed to be a barbarians. Koguryo Legitimacism and discussion to include Koguryo, Balhae, Ruzhens, Manchu as genealogy of North East Asia by Yu Deuk-gong was to study National identity depart from Sinocertrism and Chongwenism; thus, it was the movement to Exit Sinocentrism.

      • 홍대용의 지리적 관심과 사상에 대한 조명: 지리적 세계관과 국토에 초점을 둔 개혁안을 중심으로

        나인경 ( In-kyung Ra ) 서울대학교 지리교육과 2015 地理敎育論集 Vol.59 No.-

        본 논문은 홍대용의 지리적 관심과 사상에 대한 고찰을 통해 지리학자로서 홍대용을 재평가해보고자 한다. 홍대용은 과학적 관찰과 경험을 통해 중국 중심의 지리적 세계관을 비판하고 구형의 땅에서 중국 외에도 조선을 비롯한 모든 국가가 중심이 될 수 있다는 지리적 세계관을 제시해 탈중화적 시각으로 세계를 인식했다. 이 같은 지리적 세계관은 오늘날의 세계화 시대에 요구되는 다원주의적 세계 인식과도 맞닿아 있다. 홍대용은 국토에 대한 지리적 이해를 바탕으로 토지 중심의 사회 개혁안들도 제시했는데 이는 지리학자로서 그의 궁극적인 지향점이 유민익국(裕民益國)에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그는 제한적이나마 글로컬라이제이션을 주창하며 당대로는 매우 진보적인 사고를 보여주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value Hong Dae-Yong as a geographer by reviewing his geographical interests and thought. He criticized the conventional geographical world view which is China-oriented through scientific observations and experiences. Also he suggested a new geographical world view that every country including Joseon could be the center of the world on the globular earth overcoming Sinocentrism. This geographical world view is related to pluralism or cultural relativism which is required in era of globalizaion these days. He suggested reforms focusing on territory based on understanding the country geographically, which means this geographer`s ultimate purpose is to make Joseon and the people be well-off. Also he advocated glocalization even it was restrictive, and it means he had a quite progressive though of his age.

      • KCI등재

        동아시아에 있어서 근세일본의 탈중화 - 중화의 관복을 중심으로 -

        허은주 일본어문학회 2016 일본어문학 Vol.74 No.-

        In the pre-modern society centered around China, the Sino clothes were the most specific representation of Confucian civilization and the mark of power relations based on the Sino-centric world order when other ethnic groups wore them. After the abolition of Gyeondangsa (遣唐使), Japan failed to maintain stable official relations with China. Since Japan was not fully included within the Sino-centric world order system, its official uniform system was not Chinese, either. Controlling international exchanges through “Haegeum (海禁)” since the former half of the 17th century, the Tokugawa shogunate got to experience the Sino official uniform in contact with its political reality. One example is the investiture of “King of Japan” to Hideyoshi by Ming in the peace settlement process in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along with Tongshinsa(通信使) of Joseon and Ryukyu diplomatic delegations. This study sets out to examine how the Japanese construed the Sino official uniform system different from theirs and formed their sense of identity based on the clues of the Sino official uniform they got to experience in contact with the neighboring nations in the situations of Edo Japan, thus figuring out the ways in which Edo Japan responded to the colossal universal world of China. 中華を中心に構築された東アジアにおいて中華の官服は儒教的文明性を象徴するもっとも具体的な表象である一方、異民族がこれを着用する場合には華夷秩序に基づく権力関係の標識でもあった。さて、明から册封を与えられ中華の官服制度に組み込まれていた朝鮮や琉球などとは違い、中国との公式的関係が安定的でなかった日本の官服制度は中華のものではなかった。中華の官服を取り入れた自らの官服を儒教的文明性の象徴として見做していた前者とは異なり、近世日本は異民族の着用した中華の官服を従属の象徴とみていた。 本稿は、近世日本が周辺の国々と交流を通して経験することになる中華の官服に対してそれを従属の象徴としてみなす理解を、それまで東アジアにおける中華という巨大な普遍に対応する方式の一端と捉えて、文禄の役の際にその講和過程において明から与えられた册封とその官服を秀吉が拒否したとするいわゆる「册封拒否説」と、薩摩蕃の附庸國となった琉球が中華、すなわち明の官服制度を採用・維持することに対する近世日本の捉え方を考察したものである。

      • KCI등재

        철학 : 신유학 개념은 타당한가? - 신유학 개념의 비판적 분석을 통한 유학의 "새로움"에 대한 고찰 -

        김성실 ( Sung Sil Kim ) 조선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5 인문학연구 Vol.0 No.49

        본 논문은 신유학[新儒學, Neo-Confucianism]의 개념에 대한 비판적 검토를 통해 신유학의 프레임 속에 가려진 중화주의를 밝히고, 유학에 있어 ‘새로움’의 의미를 살펴보고자 한다. 신유학이라고 하면 보통 주자학, 송명유학 등으로 이해하며, 선진유학과는 다른 체계를 지닌 유학으로 이해한다. 그러나 신유학은 송대 당시 학자들이 사용하지 않았고, 신유학 개념의 형성에 영향을 미친 것은 명대의 양명학적 토대 위에서 선교를 위해 중국을 방문한 마테오리치 등의 선교사이다. 양명은 주자학을 비판하면서 古本大學으로 돌아갈 것을 주장하였고, 마테오리치의 天主實義 는 하나님 과 고대유학 체계 속에서의 上帝天과의 유사함을 주장하며 주자학을 비판하여 그의 의도대로 유학사를 분절시키고자 하였다. 오늘날 현대신유가(New-Confucianism)들은 爲善去惡의 양명심학을 공맹유학의 전통으로 보고 있으며, 중국의 국가정책과 맞물려 신중화주의를 꿈꾸고 있다. ‘爲善’이라면서 ‘去惡’을 하려는 태도는 제국주의의 부활이지 전혀 새로운 유학이 아니다. 유학의 정체성은 새로움에 있다. 신유학은 유학의 生生之理의 道를 밝히는 개념이 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reveal the Sinocentrism behind Neo-Confucianism``s frame by critical review the Neo-Confucianism and study about what the Newness of Confucianism is. Generally speaking, Neo-Confucianism is understood the doctrines of Chu-tzu, Song-Ming Confucianism and a different system from Pre-Qin Confucianism. In Song-Ming era, they didn``t use a word of Neo-Confucianism. Mateo Ricci has an influence the concept of Neo-Confucianism by separating Confucianism based upon Yang-Ming’s study. Yang-Ming insisted that the Great Learning have to come back the ancient text of the Great Learning by criticized Zhuxi’s study. Ricci has presented serving Deus as a new concept of cultivation compared with serving Heaven of Confucianism. and he try to separate the history of confucianism by criticized Zhuxi’s study. The contemporary Neo-confucianism suggest The Third Period of Confucian Development that confucian culture and spirit should be modernize. It is apprehended that they move the Sinocentrism based upon Cultural Imperialism. Identity of Confucianism is newness. Neo-confucianism will be a concept to show the vital spirit of Confucianism.

      • KCI등재
      • KCI등재

        『독립신문』에 나타난 개화지식인들의 근대주의와 儒學 인식

        김수자 동양고전학회 2011 東洋古典硏究 Vol.45 No.-

        19세기 조선을 둘러싸고 벌어진 청일전쟁, 러일전쟁과 중국에서의 의화단 사건 등 일련의 지역적 사건들은 동아시아 지역의 전통적인 힘의 배치를 바꿔 놓았다. 이들 사건들은 조선인들이 일본과 중국을 인식하는 방법 뿐 아니라, 자신의 국가/민족을 이해하는 방법에도 커다란 변화를 가져왔다. 동아시아 유교문화권 안에서 중화로서의 중국의 역할은 붕괴되기 시작하였다. 중화는 이제 더 이상 세계의, 문화의 중심을 의미하는 개념이 아니었으며 중국은 이제 세계적으로나, 지역적으로나 ‘문명화되지 않은’ 주변부에 지나지 않게 되었다. 개항 이후 조선의 개화지식인이 인식한 조선의 가장 시급한 과제는 근대화와 문명개화였다. 이것은 서구 열강과 청의 내정 간섭 하에서 문명개화가 조선의 부국강병과 자주독립을 보존하기 위한 방안으로 간주되었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개화지식인들은 독립신문을 통해 자주독립, 자유민권 사상을 공론화시키고자 하였고, 다른 한편으로는 전통적인 지배질서 체제, 사상, 학문, 사서삼경 등 전통 유학을 ‘부정’적으로 다루었다. 개화지식인들은 기존의 학문, 사상체계를 극복, 청산, 부정해야만 조선을 근대화할 수 있다는 근대주의적 인식하에 ‘탈중화’를 의도적으로 주장하였던 것이다. 구체적으로 그들은 중국의 문화, 학문, 사상의 핵심인 유학을 ‘虛學’으로 규정하고 ‘야만’의 것으로 회의, 배격하는 자세를 취하였다. 그러나 개화지식인들이 유학을 폄하하고 서구의 학문의 적극적 수용을 강조하는 논리는 서구인들이 동양을 식민지화하는데 활용한 근대주의적 성격이 강한 ‘문명담론’이었다. 이것은 조선의 위기상황을 극복하기 위해 문명담론을 활용하고자 하였던 개화지식인이 가지고 있었던 시대적 한계라 할 수 있다. The East-Asian countries' opening of ports in the 19th century, and the following series of regional events such as the Sino-Japanese War, Russo-Japanese War in Chosun, and The Boxer Rebellion in China redistributed the traditional power of East-Asian area. These events not only brought a change in how the Chosun people perceived Japan and China, but also greatly changed how they understood their own 'nation/state' for a fissure had began in the East-Asian Confucianist cultural area's perceptional frame of Sino-central order which encompassed everything. Also, the role of China as the center of East-Asian Confucianist cultural area naturally began to collapse. Sino-centralism was no longer a concept at the center of the world and culture and China now became nothing more than a globally and regionally 'uncivilized' marginal area. The most urgent task which the enlightened intellectuals perceived in Chosun after the opening of their ports was civilization and enlightenment as this was considered as the way to preserve Chosun's national prosperity, military power, and independence under Western power's and Quing Dynasty's interference in domestic affairs. Especially, the discourse of civilization and enlightenment began to gain power as it was spread to the general public through The Independent, first issued under the enlightened intellectuals. The first priority of The Independent was to enlighten the Chosun people of the latter Chosun period who were imbued with the old conventions and to overcome the overall crisis which Chosun society was under. For this end, The Independent attempted to on one hand, publicize thoughts of independence and the right to liberty, and on the other, negate traditional 'Confucianism' such as the traditional dominating order system, philosophy, scholarship, and the seven Chinese classics. The enlightened intellectuals intentionally asserted a 'de-Sinocentralism" under the perception that Chosun could only become modernized when it overcame existing scholarship and systems of thought. Specifically, they defined Confucianism at the center of Chinese culture, scholarship, and philosophy as an "empty scholarship' and assumed an attitude which completely doubted and denounced it as 'uncivilized." As such, the enlightened intellectuals who were the prime force of The Independent discarded the 'empty scholarship' and acquired Shilhak (The Realist School of Confucianism) to actively search for methods leading to Chosun's national prosperity and military power.

      • KCI등재

        ‘事大’와 ‘交隣’과 ‘小中華’라는 틀의 초시간적인 그리고 초공간적인 맥락

        정다함(Chong Da-ham) 고려사학회 2011 한국사학보 Vol.- No.42

        Since the liberation, ROK historians have depicted the history of the Korean peninsula as that of an already-always, bordered territorial entity, evolving in a continuous linear progression into the modem nation-state. This paper seeks to challenge conventional nationalist Korean historiography and the territorialized imaginary and Confucian civilizational bias that support it, and to elucidate the complex and dynamic historical relationships between the peoples and states inhabiting this geographical space. I do so through scrutinizing South Korean historiography on the early Joseon period, analyzing the ways in which the models of political, economic, cultural and military interaction between Joseon and its neighbors inhabiting its peripheral spaces have been reinterpreted in modem times to underpin the dominant nationalist paradigm and the boundaries of Korean-ness it polices. South Korean historiography has constructed a model of the Northeast Asian region based on a Neo-Confucian hierarchy and conceptual dichotomy between “civilized” center and “barbarian” periphery, which has been combined with contemporary understandings of the nation-state. Through this process, these dogmatic frameworks, so called Sadae(事大; 사대) and Kyorin (交隣; 교린) that relegate the complex web of dynamic relationality between early Joseon and its neighbors to a fixed hierarchy based on Confucian civilizational biases, have been established and they are still dominating South Korean historiography. By providing a new trans-temporal and trans-spatial approach based on transnational perspective which enables us to profoundly understand how South Korean historiography re-appropriated traditional Confucian civilizational paradigm early Joseon dynasty had appropriated from Ming under the hegemony of U.S. in late 20th century. I assert such frameworks which have substantialized hierarchical set of the relations among Ming, Jurchen, Joseon, Tsushima, Muromachi Bakufu are the invention of South Korean nationalist Historiography, and have categorically denied the fluidity of spaces and peopl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