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뉴미디어 아트 보존에 대한 고찰

        배수빈(Bae, Su bin),한경순(Han, Kyeong soon)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18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33 No.-

        기술과 예술의 만남으로 이루어진 뉴미디어 아트는 더 이상 낯선 예술이 아니다. 다양한 주제와 표현 방식으로 가상공간을 이용한 작품들이 창출되면서 가상현실(Virtual Reality),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등의 일반 대중이 개입하는 상황을 보여줌으로써 더욱 접근하기 쉬운 예술이 되었다. 또 사회적인 관심도가 높아지고 대중화되면서 개인 컬렉터나 미술관들의 수집 대상이 되고 있다. 첫 번째로 미술관의 지역별 분포를 조사, 그것을 대상으로 뉴미디어 작품의 소장 현황을 파악하고, 뉴미디어 아트에 중점이 되어 있는 전시들을 살펴본다. 그리고 연도별 조사로 2013년부터 2016년까지의 국내미술관 소장품 수집 현황을 조사, 뉴미디어 작품의 분포를 분석하고, 더 자세한 뉴미디어 아트의 추세를 살펴보기 위해 국내 미술 기관 중 뉴미디어 작품을 100점 이상 소장하고 있는 국립현대미술관과 서울시립미술관의 연도별 수집 현황을 조사한다. 두 번째로 국외의 미술관 보존환경들을 조사하고, 뉴미디어 아트 보존을 위한 기술적 보존 전략들을 정리한다. 마지막으로 뉴미디어 작품 보존을 위한 기술을 통해 다학제적 접근에 대해 살펴본다. 연구 결과, 국내 미술관의 연도별 미술품 수집 현황을 통해 2013년도에 저조하던 뉴미디어 작품수집 비율이 2014년부터 조금씩 증가됨을 확인해 볼 수 있으며, 국내에서 100점 이상의 뉴미디어 작품을 소장하고 있는 국립현대미술관과 서울시립미술관의 연도별 수집 현황을 통해 뉴미디어 소장품의 증가추이를 확인할 수 있다. 국외미술관들의 경우 변화에 따른 다양한 미술품 수집에 적절한 보존부서를 신설하고 조절하는 과정을 통해 체계적인 환경을 갖추는데 노력하고 있으며, 뉴미디어 관련 연구 프로젝트인 〈가변매체 네크워크〉,〈미디어아트의 문제들〉은 전문적이고 구체화된 보존 연구를 보여준다. 연구 그룹은 다양한 장르의 미디어 작품의 유형을 매체의 성격에 따라 새롭게 분류하여 제시하고, 원래의 매체보다 오랫동안 유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방법을 찾아내는 데 기반을 둔 보존 전략을 제안한다. 또한 현장 적용 가능한 사항들에 대해 연구하고 각종 양식들을 공유함으로써 소장, 전시, 대여, 관리 등의 업무가 필요한 미술관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따라서 뉴미디어 보존 현황 조사와 연구는 국내 뉴미디어 작품의 관리환경에 대한 체계적인 방법을 고찰하는 과정이라 볼 수 있으며, 국외의 연구 그룹처럼 국내에도 네트워크 형성을 통한 지속적인 보존 논의가 필요할 것이라 사료된다. 보존 연구에는 보존처리가 이외에도 기술적인 정보를 주고받을 테크니션이나 작가에게 자문을 구할 수 있는 다양하고 조직화된 전문가들의 다각적 접근이 필요하다. 이를 통해 국내 시스템에 맞는 표준 지침들이 마련되어야 한다. New media art combined with technology and art is not an unfamiliar art any more. With the creation of works using virtual space based on diverse themes and expression methods, the general public intervened in it such as virtual reality and augmented reality, so that it has become a more approachable art. Also, owing to the increased social interest and popularization, it was subject to collection for private collectors or art museums. First, after researching the distribution of art museums in each area, it understood the current collection status of new media art works, and also examined exhibitions focusing on new media art. On top of researching the current collection status of domestic art museums from 2013 to 2016, and analyzing the distribution of new media art works, in order to understand more detailed trend of new media art, it researched the current collection status of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and Seoul Museum of Art possessing more than 100 new media art works by year out of domestic art institutions. Second, it researched the conservation environment of foreign art museums, and arranged technical conservation strategies for the conservation of new media arts. Lastly, new media works conservation techniques provide a multi-disciplinary approach. According to the result, it confirmed that the rate of artwork collection of new media which was low in 2013 increased a little bit from 2014 through the yearly artwork collection status of domestic art museums. It also confirmed the tendence of increase for new media collections through the yearly status of the National Museum and the Seoul Museum of Art which had new media artworks. In case of overseas’ art museums, they have tried to have systematic environment through the process of establishing and controling new departments suitable for the conservation and 〈Variable media network〉 and 〈MMA〉 which were the new media related research projects showed professional and detailed studies for the conservation. The research group newly classified and suggested a variety of genres of media artwork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media as well as the conservation strategies based on finding ways of conserving longer than the original media. In addition, it could be helpful for art museums which needed works of collection, exhibition, rental, and management by studying things which were available to apply at the site and sharing various forms. Therefore, the status research and studies on the conservation of new media could be seen as a process of reviewing systematic ways in the managing environment of domestic new media artworks. It is necessary to discuss about the conservation continuously through forming networks in Korea like research groups in overseas. The research for the conservation requires diversified approaches among technicians or artists that can exchange technical information and diversified and organized specialists that can get consultations. Through these, it is necessary to prepare standard guidelines suitable for the domestic system.

      • KCI등재

        시간기반 미디어아트의 진본성 개념과 보존전략의 관계

        주연우(Ju, Yeonu),오준호(Oh, Jun Ho)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15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21 No.-

        본 논문은 시간기반 미디어아트의 진본성 개념과 보존전략의 관계를 분석하고자 한다. 시간기반 미디어아트는 시간적 지속성이 구조화된 작업을 총칭하며 필름, 비디오, 35mm 슬라이드, 오디오, 컴퓨터 프로그래밍을 주된 매체로 사용한다. 본 연구의 방법, 범위, 결론은 다음과 같다. 먼저 시간기반 미디어아트의 전시 형식에 따라 문화재와 정격연주에서 각각 논의된 진본성과 정격성 개념을 분석한다. 이를 통해 시간기반 미디어아트의 진본성 개념을 도출한다. 둘째로 시간기반 미디어아트에서 작품에 사용된 매체의 의미와 진본성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진본성 개념이 보존전략에 어떻게 적용되는지 연구한다. 작품의 진본성 판단에 근거하여 기술적인 대안을 모색함으로써 모방, 이주, 재해석, 과도기적 모방, 재구성의 보존전략을 분석한다. 그리고 시간기반 미디어아트 보존연구 프로젝트인 <가변매체 네트워크>와 <미디어아트의 문제들>의 사례를 분석한다. 이를 통해 국내 시간기반 미디어아트의 보존 논의에 시사하는 바를 제시한다. 두 사례는 미술관과 보존처리 전문기관들과의 협업을 통해 전문성을 확보하고 보존연구를 구체화했다는 점에서 진본성과 보존전략의 관계를 분석하는데 유용하다. <가변매체 네트워크>의 사례는 다양한 매체의 특성을 연구하고 보존개념을 정의함으로써 보존전략을 제시하였고, <미디어아트의 문제들>의 사례는 보존과정의 단계별로 지침을 제시함으로써 해당 단계에서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였다. 국내의 시간기반 미디어아트 보존연구는 미술관과 보존처리 전문기관과의 협업체계를 만들어 보존논의를 활성화해야 한다.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지속적으로 보존 관련 정보를 공유해야 한다. 다학제적 연구로써 인문예술, 보존학, 정보기술 관련 학제 및 보존처리 전문기관과의 융복합 연구를 위한 협력구조도 중요하다. 또한, 연구결과를 발표하여 보존문제를 공론화 하고, 국내 상황에 맞는 표준 지침을 작성할 필요가 있다. 지침은 매체의 상태와 형식에 따른 사례들과 작품을 관리, 보존하는 과정에 대한 구체적인 항목들이 도출될 수 있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otion of authenticity and conservation strategy in time-based media art. Time-based media art refers to artwork structured in temporal duration using film, video, 35mm slide, audio, computer programming as a medium. The method, scope and conclusion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his paper analyzes the notion of authenticity which is respectively discussed in cultural asset and authentic performance according to the display format of the time-based media art. Through this process, this paper attempts to emphasize the authentic notion of time-based media art. Secon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meaning and authenticity of the medium used in time-based media art is analyzed. Additionally, method of applying the notion of authenticity to conservation strategy is examined. By investigating technological alternatives based on the judgment of authenticity of an artwork, the paper analyzes conservation strategies such as emulation, migration, reinterpretation, transitional emulation, and reconstruction. Lastly, suggestions regarding conservation of South Korean time-based media art are presented. The suggestions are made through two case studies of time-based media art conservation: Variable Media Network(VMN), and Matters in Media Art(MMA). The two case studies implemented the conservation research focusing on art galleries, while obtaining professionalism through cooperation with organizations specializing in conservation, and formalizing conservation research. For this reason, the relationship between authenticity and conservation strategy can be effectively analyzed. The case of VMN proposed the conservation strategy through researching variety of characteristics of the medium and defining the notion of conservation. On the other hand, the case of MMA proposed guidelines for each stages of conservation, giving necessary information for relative stages. The South Korean time-based media art conservation research must create a cooperative system between art museums and organizations specializing in conservation to mobilize conservation discussions. Also, a network should be formed for continuous information exchange regarding conservation. The cooperative structure of conservation institute with academic disciplines such as arts and humanities, conservation research, and information technology is significant for multidisciplinary research on conservation of time-based media art. Moreover, exchanging research results should be followed by creating a standard guideline appropriate for South Korea. The guideline should entail specific clause regarding cases related to medium’s condition and format, as well as maintaining and conserving the artwork.

      • KCI등재

        Media Discourse Analysis on “Itaewon Accident”: A Focus on Chosun Ilbo and Hankyoreh Shinmun

        안종묵,이효성 한국커뮤니케이션학회 2023 커뮤니케이션학연구 Vol.31 No.4

        This study delves into the reporting attitudes of two prominent Korean media outlets, the conservative Chosun Ilbo and the progressive Hankyoreh Shinmun, regarding the ‘Itaewon Accident,’ using media discourse analysis as the primary methodology. The aim of media discourse analysis is to discern the meaning conveyed by the media and the prevailing value system it imparts. In this study, both media discourse analysis and media content analysis were employed to comprehensively interpret the research finding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Chosun Ilbo and Hankyoreh distinctly exhibited their media’s partisan disposition while fulfilling the role of social surveillance on contentious societal matters. Secondly, Chosun Ilbo and Hankyoreh initially shared similar discourses shortly after the accident occurred, but over time, they diverged in their discourses, displaying evident partisanship within their respective media outlets. Specifically, the conservative media progressively aligned with the government’s stance, whereas the progressive media consistently crafted discourses critical of governmental missteps. Therefore, the study suggests that over time, issues like the Itaewon accident have the potential to intensify the polarization of media discourses, consequently leading to a broader expansion of conflicting societal discourse.

      • KCI등재

        언론과 정당 간의 유착주의:정당별 국정감사에 대한 언론의 편향적 의제구성 방식

        이완수,양영유,배재영 한국의회발전연구회 2020 의정연구 Vol.26 No.2

        This study compared the format and contents of the Korean conservative/ liberal newspaper by reporting the national audit by the conservative/liberal government through content analysis. Furthermore, empirical analysis was conducted based on the press-party parallelism theory between the media and political parties to see whether conservative/liberal newspapers report differently in the conservative/liberal government.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Newspapers overwhelmingly dealt with the report of the event, and there were few in-depth commentaries and analysts. Newspapers also relied more on conveying unilateral arguments from lawmakers than on independent coverage reports. In addition to, newspapers conveyed the issue of the National Assembly in a way of relaying the report, and the agenda-raising method was found to depend mainly on the problem-raising of lawmakers. The main agenda of the National Assembly appeared as labor and social welfare and the economy, and the source one of the national audit news for the conservative/liberal newspapers cited who the party one they have supported. In particular, the conservative newspaper confirmed the conservative party, and the liberal newspaper confirmed and supported the agenda of the liberal party. This study focused on the fact that the Korean media view national audits as “political eyes” rather than as “policy eyes,” and are embraced by “partisan journalism” that has been reinforced by ideology.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media’s “headlight” function, which should monitor and evaluate administrative democracy based on transparency, openness, and legality, cannot function properly when the media is obsessed with ideological conflict. 이 연구는 한국 보수/진보 신문이 보수/진보 정부별로 국정감사를 보도하면서 어떤 형식과 내용으로 접근하는지 내용분석을 통해 비교분석해보았다. 나아가 보수/진보 신문이 보수/진보 정부에서 서로 다르게 보도하는지를 언론과 정당(정부) 간 병행관계(press-party parallelism) 이론을 중심으로 실증분석을 시도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신문들은 이벤트성 국감보도를 압도적으로 많이 다루었으며, 심층해설이나 분석기사는 적었다. 또한 신문들은 독자적인 취재 보도보다는 국회의원들의 일방적인 주장을 비판 없이 전달하는데 더 의존했다. 이와 함께 신문들은 중계보도하는 방식으로 국감이슈를 전달했으며, 의제제기 방식은 의원들의 문제제기에 주로 의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감 주요의제는 노동・사회・복지와 경제로 나타났으며, 국정감사 뉴스의 정보원 활용은 보수/진보 신문 모두 자신들이 지지하는 정당의 정보원을 적극 활용했다. 또한 보수신문은 보수정당을, 진보신문은 진보정당의 국감의제를 승인, 지지, 동조하는 언론-정당(정부) 간의 뚜렷한 유착관계를 보였다. 한국 언론들은 같은 국감의제를 자신들이 지지하는 정당이나 정부에 따라 정반대로 다룸으로써 정책 감시견으로서의 역할에 실패했다. 이 연구는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언론이 특정 정당과 유착되거나 정치적 이념에 경도될 경우 투명, 공개, 적법행정이라는 행정 민주주의를 감시하고 평가해야 할 언론의 전조등 기능이 제대로 작동될 수 없음을 시사점으로 제시했다.

      • KCI등재후보

        ‘미디어 관련법’ 보도의 뉴스 프레임 연구

        손지형(Ji-Hyoung Son),하승태(Sung-Tae Ha),이범수(Bum-Soo Lee) 부산울산경남언론학회 2013 지역과 커뮤니케이션 Vol.17 No.2

        보수와 진보 언론간의 갈등은 우리 언론의 객관성 및 공정성과 관련해 적지 않은 문제점들을 노정해 왔다. 이러한 갈등은 특히 이념적 성향이나 이해관계에 따라 언론사들의 첨예한 프레임 대결로 이어졌다. 본 연구는 언론사들과 직접적인 이해관계가 얽힌 ‘미디어 관련법’에 대한 언론사별 뉴스보도의 비교분석을 통해 이념적 성향에 따라 관련 뉴스프레임이 어떤 차이를 보이는지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미디어 관련법에 관한 보도량, 기사유형, 게재면, 정보원, 주요이슈에서 보수신문과 진보신문간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 보도량에서는 진보신문이 보수신문에 비해 두 배 이상 많은 지면을 할애 했다. 정보원 이용을 살펴보면 진보신문은 노조와 시민단체, 보수신문은 정치권을 주요 정보원으로 활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 이슈에서는 보수신문은 산업 활성화 측면을, 진보신문은 언론장악 저지 측면을 주로 다루었다는 점에서 차이를 보였다. 프레임 분석결과, 우선 형식적 측면에서는 단편적인 사건을 다룬 일화적 프레임을 보수신문들 주로 사용한 반면 진보신문들은 관련 이슈의 원인과 배경을 다루는 주제적 프레임을 더 많이 사용한 것으로 관찰되었다. 내용적 측면에서는 갈등 프레임과 책임귀인 프레임이 보수 및 진보신문사 모두에서 주요 프레임을 분석되었다. 그러나 경제적 중요성의 경우 보수신문이 상대적으로 많이 다룬 반면 도덕성 프레임은 진보신문에서 현격히 많이 다룬 것으로 나타났다. 보수와 진보신문의 보도가 특정 프레임에 집중되어 있다는 점에서 각 신문사는 미디어 관련법 보도에 있어서 다양한 의견과 시각이 충분히 반영되지 않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Since the ‘media law’was suggested in December, 2008, the precipitated kinds of social and political conflict aroused the attention to the function about the reality definition of the suggestion. The conflict between the conservative and liberal media serve as a momentum of a huge suspicion on the objectiveness and fairness of the media. As the result of this study, in the qualitative characteristics, the aspect of report quantity, article type, insertion page, information resources, major issue was widely different. In the report quantity, liberal newspapers reported more than twice as conservative newspaper did. Concerning the information sources, it was noticeable that the liberal newspapers relied more on labor union and civil association while the conservative newspapers on political parties. Episodic frames appeared more frequently than thematic frames in the conservative newspapers whereas vice-versa in the liberal one. As the conservative and liberal newspapers focused on the specific frames, it was grasped that each press did not cover the various perspectives of the media law issues in their reporting.

      • KCI등재

        주요 일간지의 ‘최순실 게이트’ 사건 보도 고찰 : 미디어의 이념적 성향에 관한 미디어 사회학적 연구

        이동근 ( Lee Dong-geun ) 한국지역언론학회 2018 언론과학연구 Vol.18 No.3

        미디어가 이념적 성향에 따라 동일한 사건이나 이슈를 어떤 방식으로 보도하는지 여부를 밝혀내기 위해 보수 성향 일간지인 『조선일보』 와 『중앙일보』, 그리고 진보성향 일간지인 『한겨레』 와 『경향신문』 의 ‘최순실 게이트’ 사건 관련 뉴스 보도를 내용 분석했다. 각 신문사 별로 중요하게 다룬 속성의제는 무엇인지, 동일 신문사가 중요하게 다룬 속성의제는 기간별로 차이가 있는지, 그리고 신문사 간 중요하게 다룬 속성의제에 기간별로 유사성이 있는지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보수 성향의 신문사와 진보 성향의 신문사간 중요하게 다룬 속성의제가 전체기간, 1시기, 2시기에 대체로 유사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우리나라 주요 일간지들은 자사의 이념적 성향과는 무관하게 ‘최순실 게이트’ 사건을 건국 이래 국기를 흔든 매우 중차대한 사회문제로 인식하고 유사한 방식으로 보도한 것이다. ‘최순실 게이트’ 사건은 보수와 진보라는 개별 미디어의 이념적 특성이 보도의 차별성을 발휘할 수 없었던 매우 이례적인 사건이었음을 보여준 결과다. 이는 미디어의 이념적 성향이 취재 보도 관행에 압도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못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더불어 보수 대 진보라고 하는 개별 미디어의 이념성의 ‘방향’이 아닌 이념성‘정도’의 차이에 따른 미디어간 보도 성향의 차이도 발견되었다. This study explores whether mass media coverage of the event of social significance varies according to the ideological stances of individual media. Content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major daily newspapers’ coverage of ‘Choi Soon-sil Gate’, a political scandal whereby a non-government civilian woman Choi Soon-sil had exerted strong influence over President Park Geun-hye since she was not yet elected as President. President Park was eventually impeached. The result of the study shows that coverage of this unprecedented political scandal by two conservative daily newspapers, Chosun Ilbo, and Joongang Ilbo, and two progressive daily newspapers, Hankyoreh and Kyunghyang Shinmun is similar regardless of ideological stances of individual media. Contrary to the conventions of professional journalism that the media cover the political issues according to their ideological stances, the country’s major daily newspapers covered this particular event from similar points of view. The result means that ideological stance of media could not overwhelm the journalistic routines of media coverage. The study also shows that the degree of the ideological stance of the media resulted in the differences in the coverage.

      • KCI등재후보

        새 술은 새 부대에 : 소셜 미디어·인식공유 및 정치권력

        Jesse A. Dizard,Mi-Kyung Kim 청운대학교 방송예술연구소 2011 미디어와 공연예술연구 Vol.6 No.3

        동시대 사회적 변혁에 있어서 디지털 미디어의 역할에 대한 도구적 관점은 정치 적으로 조망되고 있다. 방송미디어의 가치는 평가 절상되었고 시민들이 사적으로 소통하는 미디어는 가치 평가 절하되었다. 그러나 중동사태, 영국폭동, 일본 쓰나미 와 후쿠시마 원전 폭발사전, 한국에서의 시장선거(2011)에서처럼, 소셜미디어는 기 득권 미디어의 대안으로서의 역할을 분명히 하고 있으며 의제설정의 힘을 획득하 고 있다. 본 연구는 소셜 미디어가 사람들로 하여금 인식을 공유케 하는 역할을 점 검하고 보수적인 권력이 소셜 미디어와 네트워킹 현상에 대해 대처하는 방식을 검 토하고 있다. 또한 본 연구는 소셜 미디어가 사회적 합리성을 증진시키는 도구로서 의 역할을 수행함에도 불구하고 소수의 엘리트에 의해 과점적으로 지배되어 권력 의 면역시스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는 점에 우려를 표명하고 있다. The instrumental view of digital media’s role in contemporary social transformations is politically appealing. It overestimates the value of broadcast media while underestimating the value of media that allow citizens to communicate privately among themselves. During tumultuous 2011, much of their reporting lagged far behind tweets and videos shared directly from Tunis, Tunisia, Tahrir Square in Egypt, Fukushima Prefecture in Japan, the recent riots in London and other British cities, or even the recent damage caused by severe storms and the mayoral election in Seoul, S. Korea. Social media appears to have usurped the role previously played by broadcast media for agenda setting. This paper describes the interplay between power, both political and economic, and media. In addition, this paper examines the important role social media plays as an instrument for improving social awareness and the inherent danger therein as this tool becomes a weapon in the hands of the inevitable oligarchies it creates.

      • KCI등재

        Art Museum in the Age of New Media

        Ilmin Nah(나일민) 서양미술사학회 2013 서양미술사학회논문집 Vol.39 No.-

        The present essay explores the valid definition of artistic and museological use of the term “new media” and those characteristics (technology, multimedia, immaterial, electronic, variable, interactive, and reproducible…etc) peculiar to new media-based artworks. In addition, by overviewing briefly some museologic challenges confronted by modern art museums - ranging from collecting and exhibiting to preserving new media artworks - the paper shows that new media questions everything about the most fundamental assumptions of art and art museum: What is artwork? What is author? What is ownership? What, how and why to collect art? How to display and preserve? How to organize the museum’s material and immaterial building? This approach emphasizes that the new media artwork not only complicates the modern museum’s conceptual frameworks and practical issues but also questions the construction of its building, physical as much as symbolic as illusion. Through such observations, the essay argues how new media represents today a crucial factor which could entail considerable alterations in museums’ strategies and practices by expanding and dissolving the immovable notion of what artwork and art museum is and can be as a whole.

      • KCI등재

        The dual role of the media in environmental communication as a public sphere and as political actors

        박미선 한국산림과학회 2013 Forest Science And Technology Vol.9 No.1

        This paper examined the role of the media in the process of environmental communication by analyzing media articles appearing in the Republic of Korea on the issue of forest conservation. The Korean media functioned as a space for debate and discussion on the issue of forest conservation by various actors, including civil society. Moreover, the Korean media took an active role in the political process by selecting and structuring information, assigning relevance, and interpreting and evaluating events related to forest conservation. Because the media function in part as political actors, journalists also express their own views in media articles in accordance with their interests and goals and collaborate with other actors in the process of environmental reporting. Therefore, the media play a dual role as a public sphere and as political actors in the process of environmental communication in the Republic of Korea.

      • KCI등재

        가짜뉴스 확산, 그 이후: 보수와 진보의 가짜뉴스 노출과 제도 신뢰의 편향

        민희(Hee Min) 한국정치정보학회 2022 정치정보연구 Vol.25 No.3

        본 연구는 가짜뉴스 확산의 정치 사회적 맥락에 초점을 맞춘다. 그 일환으로 가짜뉴스 노출이 민주주의의 주요 기능을 담당하는 제도 신뢰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의 문제를 다룬다. 첫째, 주류 언론을 통한 가짜뉴스 노출이 주류 언론 신뢰 및 정치 신뢰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본다. 둘째, 이념 성향이 양자의 관계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한다. 구체적으로 주류 언론을 통한 가짜뉴스 노출과 주류 언론 및 정치 신뢰에 대한 이념 성향의 조절 효과를 분석한다. 그 결과 보수 성향은 진보 성향에 비해 주류 언론을 통한 가짜뉴스 노출이 주류 언론 신뢰에 미치는 영향력이 컸다. 즉, 보수적일수록 주류 언론을 통한 가짜뉴스 노출 경험이 있는 경우 주류 언론에 대한 신뢰가 크게 떨어졌다. 한편, 매우 강한 진보는 정치 신뢰에 대한 인식에서 흥미로운 태도를 보였다. 약한 진보 및 보수 성향과 달리 이들의 주류 언론을 통한 가짜뉴스 노출 경험이 오히려 국회 신뢰를 상승시켰다. This study focuses on the political and social contexts in which the spread of fake news has certain consequences. It explores how exposure to fake news affects on public trust in democratic institutions. First, this study analyzes the influence of exposure to fake news through mainstream media on the trust in mainstream media and the trust in politics. Second, it explores the influence of ideological orientation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 This study found that exposure to fake news through mainstream media was associated with a decrease in mainstream media trust across ideological orientations. For more conservatives, exposure to fake news through mainstream media predicted a lower confidence in mainstream media. The result also showed that exposure to fake news through mainstream media predicted higher trust in assembly trust, only for strong progressiv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