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클로드 드뷔시의 “기쁨의 섬”을 중심으로 한 인상주의적 특징

        김미숙 한국교통대학교 2017 한국교통대학교 논문집 Vol.52 No.-

        Impressionism was a movement occurred in France during late 19th and early 20th centuries. The term first used in painting emphasized on accurate depiction of light in its changing qualities. Impressionist painters capture their instant expression and atmosphere. The development of Impressionism in the visual arts was followed by Symbolism in literature and Impressionist music. Impressionist music describes impressions and atmosphere through harmonic usage, texture and tone colors. Claude Debussy(1862-1918) is one of the leading composers in impressionist music along with Maurice Ravel(1875-1937), though Debussy disliked the term when applied to his compositions. Debussy used whole tone scales, pentatonic scales, church modes and chromatic scales as well as nonfunctional harmony and large unresolved chords, parallel chords, nontraditional and ambiguous tonality, and heavy use of the piano pedals to create musical images and evoke a mood and feeling in his works. “L’Isle Joyeuse, L. 106” composed in 1904 is one of Debussy’s representative piano compositions which shows the characteristics of impressionist music. It is inspired by “Pligrimage to Cythera(1717)” by French artist Jean-Antoine Watteau(1684-1721). The structure of this work is ABA’ form including introduction and coda in free way. Debussy created tonal ambiguity using non-harmonic and exotic scales while sustaining tonality using ostinato and pedal point at the same time. He described orchestral colors and sounds using broad dynamic ranges and various timbres. Polyrhythm, hemiola, syncopation, irregular accentes and rhythms are also adapted for the unique sound of the composition. Debussy’s music became turning point from traditional Romantic music into new music. His compositional techniques established origin of 20th century music and his musical style contributed to contemporary composers.

      • KCI등재

        클로드 드뷔시의 <잊혀진 영상>에 관한 분석 연구

        김희정 국제문화기술진흥원 2022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 Vol.8 No.3

        <잊혀진 영상>은 클로드 드뷔시(Claude Debussy)의 피아노 독주곡으로서 1894년에 작곡되었으나 미상의 이 유로 1977년이 되어서야 비로소 출판되었다. 흥미롭게도 총 세 곡으로 구성된 작품 중 제 2곡은 1896년 2월 파리의 일간지 ‘르 그랑 저널(Le Grand Journal)’을 통해 독립적으로 발표되었으나, 제 1곡과 3곡은 자필 악보 상태로 남아 있다가 1977년 뒤늦게 출판되었다. 이러한 이유로 본 작품은 아직까지도 피아노 연주가들과 음악 애호가들에게 잘 알 려지지 않은 작품으로 남아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작품의 출판 시기, 작곡 배경에 대해 먼저 고찰해보고, 작품의 작곡 양식적 특징을 선율, 화성, 형식의 측면에서 면밀하게 분석하여 본다. 본 작품을 구성하는 세 곡은 다양 한 교회 선법, 온음음계 그리고 전통적 조성 체계의 회피를 통한 화성적 어법의 확대를 보여주며 드뷔시가 피아노 독 주곡에 즐겨 적용하였던 3악장 구성의 틀을 제시한 최초의 작품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드뷔시 피아노 독주곡 양식 에 대한 음악어법상의 이해와 함께, 잘 알려지지 않은 본 곡이 차지하는 음악사적인 가치에 대한 관심이 증대될 것을 기대한다. Claude Debussy’s <Images(Oubliées)> is a solo piano piece written in 1894. However, for unknown reasons, the entire piece was not published until 1977, despite clear evidence that Debussy intended to publish it during his lifetime. Interestingly, the second movement of the three pieces comprised in the work was published independently in February 1896 through the Parisian periodical Le Grand Journal. Partly because the work was recently published, it remains relatively more unknown to pianists and music lovers than other piano solo pieces by Debussy. Thus, this article addresses in detail the compositional background of this work, focusing on why the work was not published during Debussy's lifetime. Furthermore, by analyzing this piece in detail, this article intends to discuss the stylistic characteristics of the work regarding its melody, phrase structure, harmony, and form. This survey, which would help understand the musical style embodied in this piece, aims to contribute to improving the awareness of the work.

      • Use of Pedal in Selected Piano Music of Debussy

        Sei-Eum Kim The Pianissimo 음악예술학회 2013 음악예술연구 Vol.3 No.1

        드뷔시는 그의 피아노 음악에 페달 표시를 극히 드물게 사용하였기 때문에 연주자에게 있어서 드뷔시의 페달링에 관심을 갖게 되는건 아주 중요한 문제이다. 피아노에서 페달법은 결코 간단히 결정지을 수 있는 문제가 아니고 매우 중요한 것이다. 피아니스트가 결정한 페달로 인해 음악과 연주 전체의 본질이 바꾸어 질 수있기 때문이다. 적절한 페달링은 음악적 상상력을 고취시키지만 그렇지 못한 페달링은 음악의 본질을 왜곡시킨다. 이 연구의 목적은 연주자가 드뷔시가 그의 음악에서 의도했던 소리를 표현하기 위한 가장 적합한 페달링을 찾아내는 데에 있다. 또한 이 논문은 드뷔시의 작곡기법과, 당시의 피아노와 그에게 영향을 끼친 것들을 연구함으로써 드뷔시가 페달링을 인상주의 음악 어법의 하나로써 어떻게 다루었는지를 이해하는 데에 중점을 두었다. This paper will address the topic of the use of pedal in selected piano music of Debussy. Attention to pedaling in Debussy’s music is undoubtedly crucial for any pianists as his piano music is regarded as one of the most economical in pedal signs suggested by the composer. Piano forte pedaling is a complex subject, and an important one. The decisions that a pianist makes in this area can change the whole nature of a performance. While fine pedaling enhances musical creations, bad pedaling unavoidably distorts them. As a result, resolving the pedaling problem has been always a big assignment for perform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appropriate pedaling, to acquire the sound Debussy intended in his music, and to stimulate the performer to have a right concept of pedal technique in playing impressionistic piano music.

      • KCI등재

        윤이상과 동시대 한국 작곡가에게 끼친 드뷔시의 영향에 대한 비교 연구

        지형주 ( Hyungjoo Chi ) 민족음악학회 2018 음악과 민족 Vol.0 No.56

        본 논문은 윤이상과 동시대 한국의 작곡가 중 이상근, 나운영에게 끼친 드뷔시의 영향을 살펴본다. 이들의 음악은 지역적, 시대적 차이를 떠나 모두 ‘민족적’이라는 공통점을 가진다. 드뷔시는 유럽에서 나머지 세 작곡가는 한국에서 동시대의 조성적 경향에서 벗어나고자 하였다. 드뷔시는 이국적 정서로 자신만의 음향을 통해 프랑스적 민족주의 음악을 만들어내었다. 한국 작곡가들에게는 한국에서 이국정서가 된 조성음악을 이탈하여 민족주의적 음악을 수립해야 하는 과제가 있었다. 이를 위해 한국 전통음악의 현대화 작업이 필요하였고, 여기에 드뷔시가 큰 역할을 담당하였다. 한국의 작곡가들은 드뷔시 이후에 나타나는 유럽의 표현주의적이고 무조적인 극단적 현대기법으로 작곡 경향이 바뀌는 듯 했다. 그러나 독일에서 활동한 윤이상은 중심음 기법을 기반으로 하는 ‘음색음악’ 작곡으로 자신만의 독자적 음악세계를 형성하여 드뷔시의 음악과 비교가 되었다. 국내에서 활동한 이상근과 나운영도 20세기 중반의 현대음악의 물결을 탔으나 결국 민족주의 음악으로 돌아오게 되었다. 특히 나운영의 작품세계에서 민족적인 것은 한 번도 포기된 적이 없다. 그는 세 사람 중 가장 먼저 무조적 현대를 지향했던 작곡가였으나 ‘토착화’가 우선이었다. 나운영은 끈질긴 노력과 열성으로 드뷔시의 음악어법과 맞닿아 있는 ‘투영법’이나 ‘병행법’ 같은 한국음악적 이론을 창출해 내었다. 드뷔시식의 음향들은 한국으로 돌아와 현대화된 옷을 입고 ‘새야화현’이 되고 ‘번짐음’이 되었다. 결론적으로 드뷔시음악은 세 작곡가가 민족적인 것과 현대적인 것 사이의 간극을 메우는 주요한 음향기법이 되어 한국 음악의 정체성 확립에 기여하게 되었다. This paper examines the influence of Claude Debussy on Isang Yun and his Korean contemporary composers Sang-Geun Lee and UnYoung La. Their music has a commonality of ‘nationalization’, apart from regional and time differences. Debussy created French nationalistic music through his own acoustics with exotic atmosphere from Asia and non-Euorpean conturies. For Korean composers, there was a task to set up nationalistic music by deviating from tonal music which became an exotic sentiment in Korea. Three Korean composers seemed to change their compositional tendencies with expressive, atonal and avantgarde music after Debussy. However, Yun in Germany created his own unique style with ‘sound-mass music (Klangkomposition)’ which is comparable to Debussy’s. Lee and La in Korea who influenced by the modern music of the mid-20th European trend came back eventually to the establishment of Koreanization. For example La created the Korean musical theory such as ‘projection’ and ‘parallelization’ which are associated with Debussy's musical idioms. As a conclusion, Debussy’ music has become a major acoustic technique for three Korean composers to fill the gap between Koreanization and modernization, contributing to establishing the identity of Korean music.

      • KCI등재

        드뷔시의 피아노 음악에 나타난 케이크워크의 수용 양상

        김희정 한국피아노교수법학회 2019 음악교수법연구 Vol.20 No.2

        미국 남부 흑인들의 춤에서 그 유래를 찾을 수 있는 케이크워크가 19세기 말 프랑스로 유입되었다. 케이크워크의 춤과 음악은 20세기 초 프랑스 파리를 중심으로 엄청난 인기를 누렸으며, 이러한 열풍을 반영하듯 클로드 드뷔시도 자신의 여러 작품에서 그 양식을 적극적으로 수용하고 있다. 본 논문은 당시 케이크워크가 프랑스로 유입된 배경과 유입을 통한 사회, 문화적 파급 현상에 대해 고찰해보고 아울러 드뷔시가 실제로 접했을 법한 케이크워크 <휘파람 부는 루퍼스>, <스모키 모크스>, <무지개 길을 건너>의 세 곡을 바탕으로 그 양식적 특성에 대해 논의해본다. 케이크워크 양식이 반영된 드뷔시의 피아노 작품 ‘골리워그의 케이크워크’, ‘괴짜 라빈 장군’은 양식에 대한 정통함을 보여주면서도 선율 구조, 차용 선율, 악곡 형식 등에 있어 각기 다른 접근방식을 취하고 있다. In the early twentieth century, cakewalk music found its way to France, originally via a military band at the 1900 Paris World Exhibition. With its characteristic syncopated rhythm, cakewalk’s popularity was phenomenal in the capital. With the subsequent arrival of an American dancing troupe not long after, Parisians experienced the new type of entertainment once again, and this time, danced to cakewalk. The dance had enjoyed tremendous success in Paris and it was against this social and cultural background that Claude Debussy encountered the syncopated cakewalk music. His highly receptive approach to this American music was demonstrated in his piano pieces such as ‘Golliwogg’s cakewalk,’ the sixth piece of his piano suite <Children’s Corner>; ‘The Little Nigar,’ the short piece written in 1909; ‘Minstrel,’ the twelfth piece in his <Prelude I>; and ‘General Lavine - excentric,’ the sixth piece in his <Prelude II>. This paper addresses in detail the background of the influx of cakewalk to France and the way in which it reshaped the French cultural scene in the early twentieth century. Debussy, with clear reference to the cakewalk style in general, adopted a different approach in composing his piano pieces. ‘Golliwogg’s Cakewalk’ and ‘General Lavine – excentric’ reflect Debussy’s versatility and imagination as a composer in combining musical and extra-musical sources. By analyzing these pieces in detail, this study illuminates a different approach to dealing with form, phrase structure, and harmony and aims to provide a broader spectrum on which to understand Debussy’s music.

      • 리스트, 라벨, 드뷔시의 ‘물’ 이미지의 형상화와 인상주의적 어법에 관한 연구

        김세은 The Pianissimo 음악예술학회 2016 음악예술연구 Vol.6 No.1

        본 논문에서는 프란츠 리스트(Frans Liszt, 1811-1886), 모리스 라벨(Maurice Ravel, 1875-1937), 클로드 드뷔시(Claude Debussy, 1862-1918) 이 세 작곡가가 그들의 피아노 음악에서 물의 이미지를 어떻게 음악적으로 형상화하였는지에 대하여 공통점과 차이점 등을 살펴보고자 한다. 특별히 리스트의 <순례의 해 제 3집>(Années de pèlerinage: Troisième année, 1877) 중에서 ‘에스테장의 분수’ (Les Jeux d’eau a la Villa d’Este), 라벨의 <물의 희롱> (Jeux d’eau, 1901), 드뷔시의 <영상 제 1집>(Images I, 1905) 중에서 ‘물의 반영’ (Reflets dans l’eau) 을 선곡하였다. 리스트로부터 시작하여 라벨과 드뷔시에 이르는 흐름을 따라 그들의 물에 관한 음악을 살펴봄으로써, 리스트의 물에 관한 이미지의 구체적인 형상화가 다음 세대인 라벨과 드뷔시의 물에 관한 작품들에서 더욱 세련된 기법과, 다면적인 인상주의적 어법으로 진화, 발전되었음을 관찰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ommon thread and different aspects in evoking water imagery by Franz Liszt (1811-1886), Maurice Ravel (1875-1937) and Claude Debussy (1862-1918). This study addresses impressionistic water music for piano solo composed in the nineteenth and early twentieth century, including Les jeux d’eau à la Villa d’Este (1877) from Années de pèlerinage: Troisième année by Liszt, Jeux d’eau (1901) by Ravel, and Reflets dans l’eau from Image I (1905) by Debussy. By tracing the lineage from Liszt through Ravel and Debussy, one may observe how the depiction of water evolves from simple and recognizable figurations both visually and aurally in Liszt’s water music to the more sophisticated and multifaceted impressionistic style in the works of Ravel and Debussy.

      • Debussy < Preludes > Book I의 서사적 구조

        김선아 ( Kim Sunah ) 한국피아노학회 2017 피아노음악연구 Vol.11 No.-

        총 24곡으로 이루어진 드뷔시의 < Preludes > 곡집은 1910년과 1913년 두 차례에 걸쳐 두 권으로 출판되었다. 이 작품은 드뷔시가 자신의 예술적 상상력을 정교하고 섬세한 음악적 언어로 표현한 가장 큰 규모의 피아노음악으로, 드뷔시 음악의 감각적 표현들과 모순적 아름다움이 여러 겹의상징과 은유, 암시로 나타난다. 각 작품은 어떤 이미지나 이야기, 혹은 다채로운 감각들을 표현하고 있으며, 조성과 선율, 리듬 등 음악적 요소들이 작품 전체에 통일성과 작품 간의 긴밀한 연관성을 부여하며 전체적인 서사를 만들어 나간다. Debussy’s 24 < Preludes >, published in 1910 and 1913, are in two volumes. It is his most extensive collection and shows how Debussy expresses his artistic imagination with sensitive and exquisite musical language. The collection is full of musical symbolism, metaphor and allusion, which bring up multi-layered aesthetics with sensuality and irony. The individual works are based on images, stories or senses, and its musical contents, such as key, melody and harmony, have certain connections among the works, and eventually establish the narrative of the volume as a whole.

      • KCI등재

        한국음악 20세기(19): 한국음악의 관점(10) : 윤이상의 음악미학 또는 도교와 드뷔시

        홍정수 ( Jung Soo Hong ) 민족음악학회 2016 음악과 민족 Vol.51 No.-

        The composer Isang Yun explains most of his works in terms of Taoism, which reflects East-Asian mindset. His Taoistic intention is attested in his writings since 1958. In this year in Darmstadt he met European avant-garde music (Serialism and Chance music) and made a complete turnaround. He abandoned Europe-centered techniques turning to the East-Asian music and thinking. But turning to this direction was in fact as a matter of time in that he wanted to compose Westernized Korean work from his early time in Korea. To be Koreanized, his Taoistic method is paired with ornamentations of ancient Korean court music. His Taoistic works sound sonorous mysticism. Yun’s Taoistic explanation of the cosmos increases the aura of mysticism of his music which was composed in a free way upon it. The music of Isang Yun was strongly influenced from Claude Debussy also, especially in these two points: 1) The strong eliciting of inexplicable mood; 2) The ornamentation, often called “arabesque”, always remains undefined and vague. Of course Isang Yun’s compositional techniques themselves, based on Korean ornamentation, atonality and ‘sound music’, have nothing to do with Debussy’s music. What``s in common between them is far from specific theoretical systems, and reflective of particular effects: Indefinite, inexplicable, vague and mysterious. Thus, Taoism was Yun’s Instrument for explanation, and Debussy’s music was the prototype of sound for his composition.

      • KCI등재

        메테를링크-드뷔시의 오페라 《펠레아스와 멜리장드》(1902): 선율 모티프 분석을 통한 등장인물의 젠더 정체성 연구

        박정숙 한양대학교 음악연구소 2019 音樂論壇 Vol.42 No.-

        This article is a study of the melodic motifs and symbolic meanings used in the opera Pelléas et Mélisande(1902) by the playwright Maurice Maeterlinck(1862-1949) and composer Claude Debussy(1862-1918).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reveal the problem of gender identity and the relationship of power in the work through motif analysis. I searched for about 30 melodic motifs with different meanings depending on the characters, their identity, their emotional state, and dramatic situation of the play. Based on these motifs, I examined in detail the gender identity of characters, the image of sexuality, the physicality, the problem of desire, the problem of emotion, and the process of the becoming otherness of women with ‘symbolism’. 본 논문은 극작가 모리스 메테를링크(Maurice Maeterlinck, 1862-1949) 와 클로드 드뷔시(Claude Debussy, 1862-1918)의 오페라 《펠레아스와 멜리장드》(Pelléas et Mélisande, 1902)에 사용된 선율 모티프와 그 상징 적 의미 분석에 관한 연구로, 연구의 목적은 모티프 분석을 통해 작품 안 에 기입된 젠더 정체성의 문제와, 힘의 관계가 존재하는 방식을 밝히는 것 에 있다. 이에 필자는 등장인물이나 그들의 정체성, 감정상태, 혹은 극의 분위기나 극적 상황에 따라 각각의 의미를 갖는 약 30여개의 선율 모티프 를 찾아낸다. 그리고 그 모티프를 바탕으로 오페라의 등장인물 가운데 골 로, 펠레아스, 멜리장드에 대한 젠더 정체성, 성에 따른 이미지, 육체성, 욕망의 문제, 감정의 문제, 그리고 ‘상징성’에 빗대어 여성을 타자화시키는 과정을 등을 면밀히 살펴본다.

      • KCI등재

        드뷔시의 <솔로 플롯을 위한 시링크스> 분석을 통해 본 20세기 초의 조성개념

        김종신 ( Jongshin Kim ) 한양대학교 음악연구소 2006 音樂論壇 Vol.20 No.-

        This paper analyzes Syrinx for Solo Flute, a late piece of Debussy and attempts to investigate how new musical elements got merged into early 20th century music within the framework of tonal concept. The Syrinx for Solo Flute is a monodic piece and it proceeds with main motives of 3 and 4 note groups. The overall flow of the piece is developed by the intervallic relation which has free rhythmic pattern and it can be analyzed as a piece that ignores the tonal and solely consists of intervallic relation. Thus, this piece has been analyzed as proceeding with simple intervallic alignment by many analysts. However, this analysis exhibits that the distinct melodic line that is shown by the note group with a very regular rhythmic pattern proceeds within the framework of the traditional tonal concept. In this piece, Debussy exquisitely combines the pentatonic scale with the whole tone scale within the framework of the traditional B<sup>b</sup> and D<sup>b</sup> tonal, consequently achieving both conservative and progressive tendencies. The whole piece shows that on a large scale it contains the pentatonic scale having B<sup>b</sup> and the whole tone scale having D<sup>b</sup> as their tonal centers. Therefore, from the perspective of the tonal, Debussy exhibits the dual aspects of the attempt to destroy the traditional tonal by introducing a new scale and at the same time to blend the new musical element into the traditional tonal system. This way of analysis focusing on the tonal aspect thus can help us understand the various characteristics and tendencies of early 20th century's music.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