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신주인수권부사채 가장납입과 업무상배임죄의 성립 - 대법원 2022. 6. 30. 선고 2022도3784 판결을 중심으로 -

        홍대운 강원대학교 비교법학연구소 2022 江原法學 Vol.68 No.-

        Under the Korean Commercial Act, bonds with warrants, such as convertible bonds, are classified as special types of bonds that have the characteristics of both stocks and bonds. Despite the abolition of the minimum capital requirement for corporations in the Commercial Act of 2011, crimes of disguised capitalization have not been eradicated. They have continued to evolve through the use of various criminal techniques. In the so-called SillaJen case, which has become a social problem in recent years, former and current executives of SillaJen, Inc. colluded with a stock trading firm to issue bonds with warrants without actual payment of the bonds. The executives then acquired the bonds and increased their stakes by exercising the warrants. In the decision 2022Do3784 of June 30, 2022, the Korean Supreme Court ruled that the issuance of bonds with warrants by way of disguised capitalization constitutes the crime of misappropriation in violation of the Act on the Aggravated Punishment of Specific Economic Crimes, instead of the crime of disguised capitalization under the Commercial Act. This judgment is the first one of its kind regarding the issuing of bonds with warrants as a fraudulent method of disguised capitalization. At the same time, it is also a judgment that clarifies the Korean Supreme Court’s decision that special bonds should be strictly separated from stocks in the case of disguised capitalization. However, given that new types of capital securities, such as perpetual bonds, continue to emerge as the line between stocks and bonds is increasingly blurred due to the development of financial techniques, the mechanical separation of stocks and bonds and the application of completely different legal standards to the issuance of stocks and bonds by disguised capitalization, all things being equal, run the risk of lacking validity in practice. Furthermore, there is no fundamental difference between the issuance of new shares by disguised capitalization and the issuance of new shares due to the exercise of warrants after the issuance of bonds with warrants by disguised capitalization. However, there may be a significant imbalance between the two cases in terms of the degree of punishment. Although the statutory criminal penalty does not change according to the amount of profit made by the perpetrators in the former case, it can be aggravated in the latter case if the Act on the Aggravated Punishment of Specific Economic Crimes is found to apply. In conclusion, decision 2022Do3784 can serve as an opportunity to highlight the problem of the dichotomous approach to existing precedents for stocks and bonds issued by disguised capitalization. The issuance of stocks by disguised capitalization needs to be punished as a crime of misappropriation as stipulated in the Criminal Act and the Act on the Aggravated Punishment of Specific Economic Crimes. 신주인수권부사채는 전환사채와 같이 주식과 사채의 성격을 모두 갖는 상법상 특수한 사채이다. 2011년 상법상 주식회사의 최저자본금 폐지에도 불구하고 가장납입은 근절되지 않고 다양한 범행수법을 활용하는 등 점점 더 진화하고 있는데, 근래 사회적으로 문제가 된 이른바 ‘신라젠 사건’에서는 신라젠의 전·현직 임직원과 인수인이 공모하여 실질적인 자금납입 없이 신주인수권부사채를 발행한 후 신주인수권을 행사하는 부정한 방법으로 지분율을 높였다. 이 사건에서 최근 대법원이 선고한 2022도3784 판결은 이러한 가장납입에 의한 신주인수권부사채 발행에 관하여 상법상 납입가장죄 대신 특정경제범죄가중처벌등에관한법률위반(배임)죄의 성립을 인정하였다. 이 판결은 신주인수권부사채를 가장납입에 의하여 발행한 사건에 관한 첫 판결이면서, 동시에 가장납입 사안에서는 특수한 사채라고 하더라도 주식과는 엄격히 구분하겠다는 대법원의 입장을 명확히 한 판결이기도 하다. 그러나 금융기법의 발전으로 인하여 영구채 등 신종자본증권이 계속 등장하는 등 주식과 사채의 상대화 현상이 심화되고 있다는 사실을 고려하면, 주식과 사채를 기계적으로 구분함으로써 예컨대 나머지 사실관계가 동일한 가장납입 사안에 서로 전혀 다른 법리를 적용하는 것은 실무상 구체적 타당성을 결여하게 될 위험이 있다. 또한 가장납입에 의한 신주발행과 가장납입에 의한 신주인수권부사채 발행 후 신주인수권의 행사로 인한 신주발행이 기존 주주와 회사에 끼치는 해악은 본질적인 차이가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자의 경우에 이득액에 따른 법정형의 차이가 없는 반면 후자의 경우에 특정경제범죄 가중처벌 등에 관한 법률에 의하여 이득액이 많은 경우 가중처벌할 수 있어 결과적으로 양자 사이에 범죄와 형의 현저한 불균형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2022도3784 판결은 앞서 언급한 의의 외에도 가장납입에 의한 주식과 사채발행의 죄책에 대한 기존 판례의 이분법적 접근방식의 문제점이 부각되고 공론화될 기회이기도 하며, 향후 그러한 이분법적인 접근방식을 수정하게 되는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국제회계기준에 따른 차입원가자본화 사례

        김길훈,강내철 한국경영교육학회 2015 경영교육연구 Vol.30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uss capitalization of borrowing costs under IFRS by a case. In this study, we reviewed that determining the amount of borrowing costs eligible for capitalization by applying a capitalization rate to the expenditures on a qualifying asset did not coincide with IAS 23 core principle that borrowing costs that were directly attributable to the acquisition of a qualifying asset form part of the cost of that asset because borrowing costs that were not directly attributable to the acquisition of that asset such as borrowing costs for the non-capitalization period could be included in the amount of borrowing costs eligible for capitalization. So to the extent that an entity borrows funds generally and uses them for the purpose of obtaining a qualifying asset, the entity shall determine the amount of borrowing costs eligible for capitalization by applying a capitalization rate to the expenditures on that asset. In addition, expenditures on a qualifying asset to which the capitalization rate is applied include borrowing costs previously capitalized. We also explained that the amount of borrowing costs during a period that an entity capitalized should not exceed the amount of borrowing costs it had incurred not during that income statement period but that capitalization period. We explained capitalization of borrowing costs in the context of IAS 23 core principle and the Conceptual Framework for Financial Reporting by a case. So this study could be of help to the preparers and auditors in using judgement in the absence of sufficient guidance to exercise that judgement regarding IAS 23. 본 연구의 목적은 국제회계기준에 따른 차입원가자본화에 대해 관련 사례를 통해 논의하는데 있다. 원칙중심의 국제회계기준이 도입된 이후에도 우리나라 중급회계 교재들은 일반차입금의 자본화가능차입원가 산정을 종전 규정에 따른 방법으로 설명한다. 본 연구에서는 적격자산에 대한 누적지출액이 차입금 잔액을 초과하는 상황에서 우리나라 중급회계 교재에서 설명하고 있는 방법으로 자본화가능차입원가를 산정할 경우 적격자산 취득과 직접 관련되지 않은 일반차입금 차입원가가 자본화되는 문제를 제기하였다. 이것은 적격자산 취득과 직접 관련된 차입원가를 자본화한다는 국제회계기준(기업회계기준서 제1023호)의 핵심원칙에 맞지 않는다. 따라서 자본화기간 동안 일반차입금으로 조달된 적격자산 지출액에 대해 자본화이자율을 적용하여 자본화가능차입원가를 산정할 필요가 있다. 또한 전기에 자본화한 차입원가는 당기 적격자산 관련 지출액에 포함하지 않는다는 일부의 주장은 타당하지 않으며, 차입원가자본화 한도규정은 손익계산서기간이 아니라 일반차입금 차입원가가 자본화되는 기간을 기준으로 적용하는 것이 타당하다는 것을 설명하였다. 본 연구는 사례를 이용해서 차입원가 관련 기업회계기준서에 제시된 원칙과 재무보고를 위한 개념체계에 입각하여 차입원가자본화 방법을 설명함으로써, 차입원가 회계처리와 관련된 국제회계기준에 대한 이해와 전문적인 판단을 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KCI우수등재

        적극적인 상법상 가장납입죄 적용의 필요성 - 무자본 M&A 과정에서의 가장납입 사례를 중심으로 -

        朴宰平 ( Park,Jae-Pyoung ) 법조협회 2021 法曹 Vol.70 No.5

        금융범죄 실무, 특히 무자본 M&A 과정에서 발생하는 신주 인수대금 납입에서는 상법 제628조 제1항의 가장납입으로 볼 수 있는 여지가 많고, 실제 다양한 실무사례가 쌓이고 있다. 즉 과학기술의 발달, 증권시장의 활성화 등 시대 변화에 따라 금융범죄도 진화하고 있는 바, 적극적으로 상법상 가장납입죄를 적용해야 하는 것은 아닌지 검토할 필요가 있다. 금융범죄 실무에서는 기존의 가장납입의 형태를 벗어난 다양한 모습들이 나타나고 있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종전 판례나 관련 해석에서 벗어나 가장납입죄의 개념, 요건, 보호법익 등에 관한 새로운 해석 등이 필요하다. 상법 제628조 제1항의 가장납입죄는 회사의 자본금충실을 기본적으로 보호하고 그와 필연적으로 연결되는 회사채권자, 주주, 일반투자자들의 이익도 보호하고자 하는 사회적 법익에 관한 죄이고, 이는 시대 변화, 가장납입죄의 상법상 규정 체계, 입법자의 의도, 상법상 공시제도와 자본시장의 현실 등을 고려할 때 더욱 그렇다. 가장납입죄의 요건 중 특히 ‘납입 또는 현물출자의 가장’, ‘자본충실을 해할 의도’라는 해석에 있어서는 단순히 외견상 모습에 치우쳐 가장행위 여부를 판단할 것이 아니고, 가장납입이 이루어지게 된 전 과정을 살펴보고, 당사자들의 관계나 그 자금의 실제 사용처, 관련 약정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해야 하며, 특히 무자본 M&A 과정에서 발생하는 자본시장질서 교란사범들의 납입에 대하여는 가장납입죄를 적극적으로 의율할 필요성이 있다. In practice of financial crimes, especially in the capiatlless M&A, there is much room for the disguised capitalization under Article 628 (1) of the Commercial Act. And in fact, various practical examples are accumulating. In other words, financial crime is also evolving according to the changes of the times, such as the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and the revitalization of the stock market. It is necessary to examine whether or not the crime of the disguised capitalization should be actively applied under the Commercial Act. The crime of the disguised capitalization under Article 628 (1) of the Commercial Act is a crime concerning social and legal interests that fundamentally protects the fidelity of a company's capital and also protects the interests of corporate creditors, shareholders, and general investors that are inevitably connected thereto. This is especially true when considering the changes of the times, the system of regulations under the Commercial Act of the crime of the disguised capitalization, the intention of the legislator, the disclosure system under the Commercial Act and the reality of the capital market. Among the requirements of the crime of the disguised capitalization, in particular, in the interpretation of 'disguised capitalization or contribution in kind' and 'intention to undermine capital fidelity', it is not simply a judgment of whether a disguise act is carried out based on the outward appearance. It is necessary to review the entire process of making the payment for acquisition, and comprehensively review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arties, the actual use of the funds, and related agreements. In particular, there is a need to actively applying the crime of the disguised capitalization under Article 628 (1) of the Commercial Act made by those who disrupt the capital market order that occur in the process of M&A without capital.

      • KCI등재

        지방세법상 건설자금이자에 대한 연구

        성용운,김병일 한국세무학회 2011 세무와 회계저널 Vol.12 No.3

        The local tax law doesn't have any detailed provisions for interest cost capitalization that is included in the acquisition tax base, but apply the detailed provisions on the GAAP. So, the interest cost capitalization on the local tax law have not only induced many complicated tax matters, but also may bring new tax problems because of the duality of the GAAP in 2011. This research reviews many existing tax matters and new tax problems that are related to the interest cost capitalization in the local tax law, and suggests the improvement plan that the interest cost capitalization is not included in the acquisition tax base. This improvement plan is based on the following reasons. First, from the view of the calculation method of interest cost capitalization, as it is assumed that the debt is previously used than internal fund in the acquisition fund except for the specific construction borrowing interest, the acquisition cost may be overvalued rather than it is. Second, due to no sufficient source of assets, taxpayers who are dependent on a loan are asked to pay more of an acquisition tax, which negatively affects the mind of the substantial tax equality principle. At last, the GAAP and the corporate tax adopt interest cost capitalization for matching cost with revenue and proper income calculation, but acquisition tax in the local tax law catches tax payment capacity in the process of asset acquisition. Therefore, in the point of the purpose and intent of interest cost capitalization for proper income calculation, the acquisition tax cannot harmonize with interest cost capitalization. 지방세법은 취득세 과세표준에 포함되는 건설자금이자에 대해서 아무런 규정을 두지 않고 기업회계의 개념과 범위 및 계산방법 등을 그대로 차용하고 있다. 그러나 기업회계상 건설자금이자의 계산방법은 매우 복잡하고 일부 선택적 계산방법까지 허용하고 있어서 지방세법이 단순히 기업회계기준을 준용하는 것은 그동안 많은 다툼과 혼란을 야기했으며 앞으로도 실무상 매우 민감한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더욱이 2011년부터 기업회계가 K-IFRS와 일반기업회계기준으로 이원화된 상태에서 두 기준의 내용이 일부 달라서 현행 지방세법상 건설자금이자 규정은 경제적 실질이 동일한 경우에도 개별기업이 준거하는 회계기준에 따라 과세표준 및 세부담이 달라지는 등 새로운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현행 지방세법상 건설자금이자와 관련한 문제점들을 살펴보고, 2011년부터 기업회계가 이원화됨에 따라 생길 수 있는 문제점들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이러한 문제점들에 대해 다음의 개선방향을 제시하였다. 첫째, 단기적으로 과세당국이 기존 해석상의 문제점과 기타 예상되는 문제점들에 대한 입장을 지방세법기본통칙 등을 통해 선제적으로 밝히는 것이다. 다만, 이 경우 과세당국은 차용개념에 대한 일반해석원칙에 따라야 할 것이다. 둘째, 중장기적으로 건설자금이자를 취득세 과세표준에서 제외할 것을 제안하였는데, 그 근거는 다음과 같다. 첫째, 취득세 과세표준에 건설자금이자를 포함함으로 인해서 발생하는 사회적 비용이 세수규모보다 클 개연성이 높고, 둘째, 취득세의 담세력은 취득한 과세물건의 공정가치에 따르는 것이 타당하다고 할 것이므로 과세물건의 공정가치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건설자금이자 때문에 취득세 과세표준이 달라지는 것은 옳지 않다는 것이고, 셋째는 건설자금이자의 계산방법을 보면 특정차입금이자를 제외하고는 차입금이 내부자금에 우선하여 자산취득에 사용되었다는 것을 가정하고 있기 때문에 취득원가가 실제보다 과대평가될 가능성이 상존한다는 것이고, 넷째는 대개 자금 사정이 여의치 않아서 차입금에 의존하는 납세자가 오히려 더 많은 취득세를 부담하게 되어 실질적 조세평등원칙의 정신을 해친다는 것이고, 마지막으로, 기업회계나 법인세법은 적정한 소득의 측정을 위해 수익비용대응원칙상 건설자금이자 회계처리가 필요한 것인데 지방세법상 취득세는 소득을 계산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라 과세대상물건의 취득과정에서 적절한 담세력을 포착하고자 하는 것이므로 그 취지 자체가 완전히 다르다는 것이다.

      • KCI등재

        일반 논문 : 회사설립시 최저자본금제도 폐지와 납입가장죄의 재검토

        이정민 ( Jung Min Lee ) 고려대학교 법학연구원 2014 고려법학 Vol.0 No.73

        모든 사람에게 명확한 법은 있기 힘들지만, 적어도 체계의 규율을 받는 사람들이 그 행위가 처벌받는지 안 받는지는 알고 있어야 한다. 대법원이 가장납입에 대해 유효설을 취하면서 납입가장죄, 공정증서원본부실기재죄 및 부실기재공정증서원본행사 죄의 성립을 인정하는 것은 논리적일관성을 결여한 것이다. 가장납입에 대해 유효하게 보았다면, 납입된 주금은 회사의 재산이다. 그러므로 회사의 재산을 불법영득의사를 가지고 처분하였다면 업무상횡령죄가 성립할 것이다. 이러한 해석이 법체계의 통일성과 일관성을 유지하는 법해석 관점이다. 한편 주주가 가장납입이라는 형식을 빌려 회사에 출자한 일이 없으면서 회사의 주주로서 지위를 누리게 된다면, 이는 가장납입죄로 처벌받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업무상 배임죄로 처벌할 수 있다. 자본은 과거시점이며, 자본은 주주가 출연한 가치의 가액이다. 현재회사의 지급능력이나 수익성을 보여주지 않는다. 그러나 채권자는 회사의 지급능력이나 수익성에 관심이 있고, 계속기업으로 존속할지에 관심이 있다. 채권자의 관심은 채권자가 원하는 시간에 돈을 돌려받을 수 있으면 된다. 그 문제만 해결되면, 굳이 납입가장죄가 존재할 이유는 없다. 게다가 최저자본금개념이 폐지된 시점에서 설립시 납입가장죄는 비범죄화되어야 한다. This paper offers a rethinking of disguised capitalization under the Korean Commercial Code (hereafter, KCC). The act of disguising capital when establishing a company or releasing new shares is subject to punishment by fine or imprisonment according to the KCC. Such punishment is intended to ensure the legality of any paid-in capital under the principle of limited liability of share.holders. Traditional views have simply assumed that in the incorporation process, any fraudulent payment for share subscription would be invalid, rendering the disguised capitalization ineffective, since it results in a lack of capital to the corresponding newly issued shares. The Korean Supreme Court, however, has consistently held the position that payments of share subscription are valid and effective, regardless of whether the payments are disguised. This position is contrary to traditional approaches, and is based on the grounds that real money is transferred to the company’s account, as far as civil cases are concerned. Nevertheless, solid precedents exists in criminal cases in which share subscriptions by disguised payments have been treated as null and void. Changes to laws such as that of the KCC in 2009, have shown a shift towards leniency when it comes to cases surrounding the Legal capital rules. Changes to KCC in 2009 have resulted in decreases of cases of disguised capitalization because of the abolishment of minimal capital requirement. While recent corporate cases have demonstrated the growing tendencies of cohesion between the civil and criminal law, scholars and lawyers from each side have not been shown to recognize and consider the validity of the opposing court, as can be seen in the case of disguised capitalization. The people who are related to criminal cases should consider disguised capitalization as valid and effective, and they should prosecute and judge the cases of disguised capitalization under the charge of embezzlement. Such interdisciplinary co-ordination of criminal law and civil law work for the unity of legal order.

      • KCI등재

        연구논문 : 자본화,비용화된 연구개발지출과 유형자산지출이 미래이익 변동성에 미치는 영향; 차이 비교

        하석태 ( Seok Tae Ha ),조성표 ( Seong Pyo Cho ) 한국회계학회 2012 회계저널 Vol.21 No.4

        연구개발지출에서 발생하는 미래성과는 유형자산지출에 비하여 불확실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미래성과의 불확실성 정도를 미래이익 변동성으로 측정하고, 연구개발지출과 유형자산지출이 미래이익 변동성과의 관련성 정도에 차이가 있는지 분석한다. 더 나아가 연구개발지출을 자본화된 연구개발지출과 비용화된 연구개발지출을 구분한 후, 미래이익 변동성에 대한 관련성에서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며, 아울러 이 두 지출과 유형자산지출의 차이를 비교한다. 실증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개발지출이 유형자산지출보다 미래이익 변동성에 대한 관련성이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미국의 결과와 상반되는 것으로서 우리나라 기업의 연구개발의 위험성이 낮음을 시사한다. 둘째, 연구개발지출을 자본화 또는 비용화로 구분하여 유형자산지출의 미래이익 변동성과의 관련성을 비교한 결과, 비용화된 연구개발지출이 미래이익 변동성과 가장 높은 관련성을 보인 반면, 자본화된 연구개발지출과 유형자산지출은 미래이익 변동성과 양(+)의 관련성을 보였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셋째, 연구개발집약적 산업에서는 비용화된 연구개발지출과 유형자산지출은 미래이익 변동성과 양(+)의 관련성을 보였으나, 자본화된 연구개발지출은 유의적 관련성이 없었다. 넷째, 연구개발집약산업에서는 자본화된 연구개발지출과 미래 주식수익률 변동성이 유의한 관련성을 보이지 않았으며, 이는 자본시장이 연구개발지출 시점에서 관련 정보를 충분하게 반영하고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이러한 결과는 자본화된 연구개발지출이 미래이익 변동성과 유의적인 관련성이 없거나, 유형자산지출과 차이가 없기 때문에 자본화하여 자산으로 인식하는 것이 타당함을 시사하고 있다. 또한 현행 회계기준에서 자본화 또는 비용화를 구분하는 기준이 미래이익에 대한 변동성의 정도에 따라 합리적으로 구분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It has been an ongoing debate on whether to allow capitalization of R&D expenditures. In the United States R&D capitalization is not permitted because of high uncertainty of future benefits while in most of the other countries R&D expenditures can be capitalized when they meet several criteria for capitalization. Prior studies have shown that capitalized R&D expenditures is more value-relevant than immediately expensed R&D expenditures. We examine whether total R&D expenditures generate greater variability in future earnings than capital expenditures. We further divide R&D expenditures into two categories - expensed R&D expenditures and capitalized R&D expenditure - and compare the strength of associations between capitalized [or expensed] R&D expenditures and the uncertainty of subsequent performances such as future earnings and stock returns. We find the following empirical results: First, total R&D expenditures show lower variabilities of future earnings than capital expenditures. Second, expensed R&D expenditures result in the greatest variability of subsequent earnings while capitalized R&D expenditures and capital expenditures show positive associations with variability of future earnings,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m. Third, capitalized R&D expenditures show insignificant association with variability of subsequent earnings in R&D intensive industries. Fourth, in R&D intensive industries capitalized R&D expenditures are not associated with variability of future stock returns, implying that stock prices fully reflect the related information about the capitalization. Our findings suggest that IFRS and Korean GAAP which allow the capitalization of R&D expenditures are rather reasonable whereas their criteria of determining whether or not to capitalize well discriminate the uncertainty of future benefits of R&D expenditures.

      • KCI등재

        배당소득세불이익과 기관지분율이 내재자본비용에 미치는 영향

        고종권,조문희 한국세무학회 2008 세무와 회계저널 Vol.9 No.4

        Whether stock prices capitalize shareholder level dividend taxes has been long question, but still there is no consensus among researchers. This question is important because it provides information about the determinants of a firm's cost of equity capital. Recent accounting researches, specially in return studies, find evidence consistent with dividend tax capitalization using long-term and short-term returns. But, as Dhaliwal et al.(2005) pointed out, one important limitation in these studies is that they use realized returns to examine the effect of dividend taxes on stock returns because ex ante required returns are not readily avaliable. This paper extends the prior return research by estimating the implied cost of capital using Korean market data and investigate the effect of dividend taxes on these measures of the ex ante cost of equity capital to test for dividend tax capitalization. The ex ante cost of equity capital is recognized as the theoretically relevant measure in tests for dividend tax capitalization. As for the implied cost of capital, we estimate 3 different measures using the methods established by Gode and Mohanram(2003) and Easton(2004). Korea is different from the United States in that Korea has dividend imputation system to protect shareholders from double taxation whereas the United States has not. As a result, Korean market shareholders faces different dividend tax penalty than the United States market shareholders. Our use of the implied cost of capital and the Korean market data should provide an international evidence of dividend tax capitalization. We also use institutional ownership to further investigate the question:if dividend taxes affect the cost of capital, how does the magnitude of this effect vary with this firm specific characteristics? We limit the sample period for 2 years from 2001 to 2002 considering the estimation of implied cost of capital and the measurement of dividend tax penalty and use total 281 firm-year data. We use the methodology in Dhaliwal et al.(2005) by exploiting time-series variation in dividend tax penalty, which is a function of dividend and capital gain tax rates, to isolate the tax effect from the information and agency effects of dividends. A firm’s dividend yield is used to capture the level of tax disadvantaged dividend income and the level of institutional ownership is utilized as a proxy for marginal investors which have relatively low dividend tax penalty. We further disaggregate institutional ownership into 3 different groups that are more homogeneous with respect to their tax attributes:government, banking-securities-insurance company, and other corporations' ownership ratios. The results generally support the dividend tax capitalization hypotheses. First, the relation between the implied cost of capital and dividend yield is increasing in the magnitude of dividend tax penalty. Second, the positive relation between the implied cost of capital and dividend yield is decreasing in the level of institutional ownership. Third, the positive relation between the implied cost of capital and dividend yield is decreasing in the level of banking-securities-insurance company, and other corporations' ownership ratios when we further disaggregate institutional ownership into 3 different groups. This result suggest that banking-securities-insurance company, and other firms can play their role as marginal investors in Korea. Overall, these results suggest that dividend tax penalty increases the dividend tax premium, in other words implied equity premium, and accordingly it has negative effect on stock prices. The evidence in this paper adds to the understanding of the effect of taxes on equity prices. 배당소득세가 자산가격에 영향을 미치는지 여부는 오랜 연구과제이나 선행연구의 결과는 일치하지 않는다. 최근 회계연구에서는 장단기수익률을 이용한 수익률분석을 통해 투자자 단계에서 납부하는 세금이 주가에 반영된다는 증거를 제시하였다. 그러나 투자자 세금이 주가에 반영된다는 증거를 제시한 선행연구의 대부분은 수익률로 사후수익률을 사용하였다는 단점이 있다. 본 연구는 배당소득세 자본화에 대해 보다 신뢰성이 있는 검증을 하기 위해 Dhaliwal et al.(2005)과 같이 사전 자본비용 측정치인 내재자본비용을 추정하여 배당수익률과 내재자본비용간의 관계를 검토하였다. 장단기수익률을 이용한 선행연구는 대부분 사후수익률을 종속변수로 하여 배당수익률과 사후수익률간의 관계를 검토하였으나 본 연구는 배당수익률과 내재자본비용간의 관계를 분석함으로써 자본비용이 주가(수익률)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는 점에서 다르다. 본 연구의 분석기간은 자본비용의 측정과 배당소득세불이익 측정치를 고려하여 2001년과 2002년에 국한하였고 총 281개 자료를 사용하였다. 배당의 정보효과와 대리인효과로부터 세금효과를 분리하기 위해 배당소득세불이익의 시계열 변동을 이용하였다. 기관지분율은 배당소득세 불이익이 없는 투자자에 대한 대용치로 세금효과를 반영하는 변수로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추가적으로 기관투자자를 세분하여 분석하였다. 기관투자자의 유형에 따라 정부·정부관리업체 지분율, 금융기관·증권회사․보험회사 지분율, 그리고 기타법인 지분율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배당소득세불이익이 클수록 배당소득세 프리미엄이 존재한다는 가설을 지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첫째 내재자본비용과 배당수익률의 관계는 세금불이익이 클수록 양(+)의 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내재자본비용과 배당수익률의 관계는 세금불이익이 클수록 증가하지만 세금측면에서 유리한 기관지분율이 증가할수록 양의 관계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세금측면에서 유리한 기관지분율이 증가할수록 양의 관계가 감소하는 현상은 기관지분율을 세분하는 경우 금융기관·증권회사·보험회사 지분율, 그리고 기타법인 지분율이 증가할수록 명확하게 나타나 이들이 한계투자자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이상의 결과는 배당소득세 세금불이익이 큰 경우 자본비용이 증가하며 이에 따라 주가에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시사하는 것으로 배당소득세 자본화 가설과 일치하는 결과이다. 본 연구는 배당소득세와 주식수익률간의 관계를 사전자본비용을 이용하여 검증함으로써 신뢰성 있는 배당소득세자본화 연구 결과를 제시한 것으로 본 연구의 증거는 세금이 주식가치평가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는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

        운용리스의 자본화가 재무비율에 미치는 영향과 기업의 신용평가

        신승묘 한국세무학회 2011 세무와 회계저널 Vol.12 No.3

        Leases are classified into financial lease and operating lease for accounting purpose, and in case of operating lease, there is unrecorded lease debt. Therefore, firms have incentives to favour operating lease contracts, and this can impede the usefulness of accounting information. For this reason, IASB is preparing new IFRS on lease accounting under which all leases are to be capitalized, and Korea also is going to adopt the new IFRS. If all leases are capitalized according to the new IFRS, firms' lease use can shrink because some accounting numbers including debt ratio can be severely affected, and this is the main reason for lease industry to dislike the adoption of new IFRS. In such a situation, it would be timely to conduct a study on how much accounting numbers are affected by operating lease capitalization,and if operating lease capitalization is desirable for the usefulness of accounting information. Based on these points, this study investigates for the KSE-listed companies how much financial ratios are affected by capitalizing operation lease. And it is empirically tested whether the explanatory power of the regression model, with firm's financial rating and financial ratios being dependent variable and independent variables respectively, is higher in case of operating lease capitalization compared with the case of no capitalization. Main results from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operating lease capitalization makes ROA(return on asset) and DR(debt ratio) significantly higher, and ROE(return on equity),COV(interest coverage) and TRN(turnover of PPE) significantly lower. Second, the explanatory power of financial ratios for financial rating is significantly higher when operating leases are capitalized. These results imply that financial ratios are much affected by operating lease capitalization, and capitalizing all leases including operating leases is desirable for the usefulness of accounting information. 리스는 이에 대한 회계처리 목적상 금융리스와 운용리스의 두 가지로 나뉘는데 운용리스의 경우에는 리스부채가 재무상태표에 나타나지 않는다. 이에 따라 기업은 가급적 운용리스 방식의 리스 계약을 선호하며 그 결과 회계정보의 유용성이 저해될 수 있다는 논의가 있어 왔다. 이러한 이유로 IFRS(리스 회계기준서)를 발표할 예정이며 우리나라도 새로운 IFRS를 수용할 예정이다. 그런데 새로운 IFRS에 따라 모든 리스를 자본화하게 되면 부채비율을 비롯한 회계수치가 심하게 영향을 받음에 따라 기업들의 리스 이용이 위축될 수 있으며, 이는 리스업계의 입장에서 새로운 IFRS의 도입을 반기지 않는 핵심적 이유가 되고 있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운용리스를 자본화할 경우 회계수치가 어느 정도나 영향을 받게 되는지, 그리고 과연 운용리스의 자본화가 회계정보의 유용성 측면에서 바람직하다고 볼 수 있는지 알아보는 것은 시의적절한 연구주제라고 생각된다. 이러한 점에 입각하여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유가증권시장에 상장된 기업을 대상으로 하여 운용리스를 자본화할 경우 주요 재무비율들이 어느 정도나 영향을 받는지 살펴보았다. 그리고 기업의 신용평가 지표로서의 재무평점을 종속변수로 하고 주요 재무비율들을 독립변수로 한 회귀분석모형의 설명력이 운용리스를 자본화한 경우가 자본화하지 않은 경우에 비하여 더 높은지 실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운용리스를 자본화할 경우 총자산이익률과 부채비율은 유의적으로 더 커지고 자기자본순이익률과 이자보상비율 및 유형자산회전율은 유의적으로 더 작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운용리스를 자본화한 경우가 자본화하지 않은 경우에 비하여 재무평점에 대한 재무비율들의 설명력이 유의적으로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는 운용리스의 자본화가 주요 재무비율들에 미치는 영향이 상당하며 운용리스를 포함하여 모든 리스를 자본화하는 것이 회계정보의 유용성 측면에서 바람직할 것임을 시사한다.

      • KCI등재

        금융비용자본화와 국제적정합성

        정영기 ( Young Kee Chung ),박연희 ( Yeon Hee Park ) 한국회계학회 2006 회계저널 Vol.15 No.특별

        2001년 공표된 기업회계기준서 7호에서는 자산취득관련 금융비용을 기간비용으로 회계처리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되, 자본화를 선택하는 것도 허용함으로써 이 기준서가 시행되는 2003년부터 금융비용을 자본화하는 기업과 비용화하는 기업이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자산취득관련 금융비용의 회계처리에 재량권이 주어진 환경 하에서 본 연구는 경영자들이 자본화를 선택하고자 하는 유인이 무엇인지를 밝혀내고, 경영자들의 자본화 회계선택에 의해 산출된 이익정보와 기간비용으로 했을 때의 이익정보에 대해서 시장이 차별적으로 반응하고 있는지를 검증하였다. 또한 금융비용 자본화에 대한 주석공시 여부가 이익정보에 의해서 영향을 받는지도 추가 검증을 수행하였다. 금융비용자본화 선택 여부를 종속변수로 한 logistic분석결과, 직전연도 대비 보고이익이 음(-)의 값을 갖는 표본들은 자본화를 선택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금융비용자본화를 강제화했던 2002년의 금융비용자본화 금액이 기업회계기준서 7호 시행 이후연도의 자본화 회계처리 선택에 양(+)의 영향을 주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한편, 금융비용 자본화 선택 여부에 따른 이익정보에 대한 시장반응 검증결과는 자본화된 이익정보가 자본화 이전의 이익정보보다 정보유용성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비용으로 회계처리한 기업들과의 비교가능성 제고를 위하여 자본화 기업의 경우에는 비용화할 경우 재무제표의 주요 항목에 미치게 될 영향을 추가로 공시하도록 규정된 바, 자산규모가 크고, 자본화된 금액이 큰 기업들이 비교공시를 충실하게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들은 금융비용 자본화와 관련하여 자본화했을 때와 비용화했을 때 주가수익률 및 기업가치에 미치는 설명력에 차이가 없다는 기존연구와는 다른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본 연구와 기존연구 결과의 이러한 차이는 기존연구가 기업회계기준서 7호를 시행하기 이전기간을 분석기간에 포함시킴으로써 개정된 현행 기준에 의한 영향을 직접적으로 검증하지 못했기 때문일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자산취득관련 금융비용을 선택적으로 회계처리할 수 있도록 한 현행 기준의 타당성에 대한 실증적 증거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며, 이는 현행규정을 국제적 정합성에 맞추기 위한 방안을 모색할 수 있는 기틀을 제공해 줄 것으로 기대된다. A point of contention in determining the initial measurement of an asset is weather or not finance costs incurred during the period of its construction should be capitalized. Under the SKAS No. 07: Capitalization of Borrowing Costs(2001), borrowing costs should be recognized as an expense in the period in which there are incurred regardless of how the borrowings are applied. However standards also incorporates capitalization of borrowing costs as an optional treatment. Under these accounting environment, this study investigates management`s accounting choice about borrowing costs. By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e can conclude that difference of income, capitalized amount have positive effect to choose capitalization policy. Also we can find that accounting data from capitalized financial statements have more relevant information contents than pro forma financial statements adjusting capitalized borrowing costs as an expense. Another findings are relatively large size and more capitalized amount company have reported appropriate footnote disclosure to enhance the comparability between expense treatment and capitalization treatment. Finally, we can recommend that SKAS No. 7 will be revised to remove optional accounting treatments and converge to international accounting standards.

      • KCI등재

        자본시장과 인구변화

        김지훈,양채열 한국재무관리학회 2019 財務管理硏究 Vol.36 No.1

        This study analyzes the relationship between capital markets and population changes. From 2008 to 2017, listed companies were divided into the location of the main office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arket capitalization ratio and the population ratio by region. We also identified the causes of changes in population and market capitalization during the perio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is a strong correlation between capital markets and population changes. Second, the crude birth rate is more suitable as a comparison index in Korea than the total fertility rate. Third, contrary to popular belief, the natural growth rate in the relatively capital-rich metropolitan population is high and the natural growth rate of the local population with relatively low capital is low. Fourth, capital is shifting to the Chungcheong provinces, and social movements of the population are occurring equally. Fifth, the expansion of foreign investment is estimated to have strengthened the population of the metropolitan area. Sixth, it is important for companies to make new increases in market capitalization ratios (i.e., population ratios) to remain unaffected by changes in the price of capital markets and the effects of corporate transfers. In addition, this paper is meaningful in that the social phenomenon of population decline was first identified in relation to the capital market and that one of the most important causes of the population decline was found to be the lack of capital. Based on these analyses, it is suggested that local financial ecosystems should be created and local listed companies should be increased in order to effectively and efficiently cope with a population decrease. 본 논문은 자본시장과 인구변화의 관계를 분석한다. 2008년부터 2017년까지 상장회사를 본점 소재지별로 구분하여 광역권별 시가총액 비율과 인구 비율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다. 동 기간 동안 인구 비율과 시가총액 비율의 세부적인 변화 원인도 파악한다. 본 논문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본시장과 인구 변화 간에는 강한 양의 상관관계가 존재한다. 둘째, 합계출산율보다 조출생률이 국내 비교지표로서 적합하다. 셋째, 일반적으로 알려진 것과는 반대로 상대적으로 자본이 풍부한 수도권 인구의 자연 증가율이 높으며, 상대적으로 자본이 부족한 지방 인구의 자연 증가율이 낮다. 넷째, 충청권으로 자본이 이동하고 있으며, 인구의 사회적 이동도 같이 일어나고 있다. 다섯째, 외국인 투자의 확대는 수도권의 인구집중을 강화한 것으로 추측된다. 여섯째, 자본시장의 가격변화, 기업의 이전 등에 따른 효과에 영향을 받지 않고 시가총액 비율(곧 인구 비율)이 상승하기 위해서는 기업들의 신규상장이 중요하다. 본 논문은 인구 감소라는 사회 현상을 자본시장과의 관계 속에서 최초로 파악했다는 점과 인구 감소는 결국 자본이 부족하기 때문에 발생하는 현상으로 단순화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고 생각된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기초로 인구감소에 효과적이고 효율적으로 대처하기 위해서는 지방의 금융생태계가 조성되고 지방의 상장사가 늘어나야 함을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