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펀드 내 개별종목의 베타를 이용한 공모펀드의 성과평가 분석

        정문경(Mun Kyung Cheong),김현수(Hyun Soo Kim),성현모(Hyun Mo Sung) 한국증권학회 2013 한국증권학회지 Vol.42 No.3

        펀드의 운용성과를 측정하는데 많이 쓰이고 있는 Jensen(1968), Fama and French(1993) 및 Carhart(1997) 성과평가지표는(Top-Down 방식) 추정기간동안 베타의 시간가변성을 고려하지 않아 펀드매니저의 능력을 적절히 고려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는데 이런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Elton et al.(2011, 2012)은 펀드의 개별종목베타와 포트폴리오 비중을 기반으로 한 성과평가지표를 (Bottom-Up 방식, EGB 지표) 개발하였고 본 연구에서는 이 EGB 지표를 이용하여 국내 펀드의 성과 즉 종목선택능력, 예측능력 및 마켓타이밍능력을 평가하였다. 먼저 공모펀드 집단에 대해 3요인 모형 또는 4요인 모형을 적용하여 Bottom-Up 방식과 Top- Down 방식에 의해 알파를 측정하였는데 공모펀드에서 주식선택능력이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반적으로 Bottom-Up 알파가 Top-Down 알파보다 약 0~2%(연간기준) 정도 큰 값을 갖으며 Bottom-Up 또는 Top-Down 알파 측정값의 차이는 주로 성과가 좋은 구간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Elton et al. (2011)의 연구에서는 펀드의 과거성과를 Bottom-Up 방식으로 측정하면 향후 기간의 성과를 Top Down이나 Bottom-Up 방식 중 어느 것으로 측정하든지 미래성과가 우수한 펀드를 더 잘 선택할 수 있다는 결과가 제시되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그와 같은 결과를 얻지 못하였다. 끝으로 공모펀드 집단에 대해 Elton et al.(2012)의 마켓타이밍 지표를 측정한 결과, 공모펀드 펀드 매니저들이 기업규모요인, 가치/성장주 요인 및 모멘텀 요인을 이용하여 마켓타이밍을 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Widely used mutual fund performance evaluation measures by Jensen (1968), Fama and French (1993), and Carhart (1997) (Top-Down approach) have a problem of not considering time variability of betas during the estimation period and thus, not measuring fund managers` performance correctly. To correct this problem, Elton, Gruber, and Blake (EGB, 2011, 2012) develop a performance evaluation measure based on the betas of fund`s individual items and their portfolio weights in mutual funds (Bottom-Up approach). In this study, we evaluate performances (selection capability, prediction capability, and market timing capability) of publicly traded domestic mutual funds by using EGB performance measure. First, we measure alphas based on Bottom-Up and Top-Down approaches by using 3 factor model and 4 factor model and find that Bottom-Up alphas are generally higher than Top-Down alphas by about 0~2%. We also find that main differences between them happen in the upper level performances. EGB (2011) report that if past fund performance is measured by Bottom-Up approach, it can select superior funds in the future no matter how the future performance is measured, whether by Top-Down approach or Bottom-Up approach. However, we do not find a similar result in this study. Finally, we measure the EGB (2012) market timing measures for our mutual fund data and find that publicly traded mutual fund managers do not do market timing to firm size factor, value/growth factor, and momentum factor.

      • KCI등재

        바텀업(Bottom-up) 접근법의 참여 디자인을 통한 복합문화공간 디자인 - 동두천 장애인 복지관 ‘햇살큰방’을 중심으로 -

        정이삭 ( Isak Chung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8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3 No.4

        (연구배경 및 목적) 수많은 사회과학자들이 오늘날의 국정운영이 ‘정부(goverment)’에서 ‘거버넌스(governance)’로 변하고 있다고 주장한다. 이러한 변화는 공공이 주도하는 도시재생 사업이나 공공 건축의 분야에도 점차 확산되고 있는 추세이다. 따라서 최근 여러 공공 주도의 사업이 상명하복과 같은 탑다운(top-down) 방식보다는 수평적 네트워크를 중시하는 바텀업(bottom-up) 방식의 주민 참여형이나 사용자 의견 수렴형 디자인 등의 형식을 채택하고 있다. 하지만 앞서 언급된 여러 참여 디자인 의사결정 시스템을 진정성 있게 구체적으로 이해하지 않고 개념적으로만 접근하여 사업에 적용하면 대부분 실패한 공공프로젝트가 되고 만다. 대게는 참여 디자인 의사결정의 과정에서 의견수렴을 이끌어내지 못하여 프로젝트가 지연되거나, 다수의 관계자들의 이해관계 속에서 사업의 방향성이 흐려져 유명무실한 사업 결과를 얻게 되기도 한다. 이러한 문제의식에 기반하여 공공 프로젝트에서의 효율적이고 진정성 있는 수평적 의사결정 시스템에 대한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경기도 동두천시 장애인 복지관을 대상지로 정하고, 효과적인 사용자 의견 수렴 계획을 바탕으로 사용 측면의 현실성과, 디자인 차별성이 있는 공공 시설로서의 장애인 복합문화공간을 디자인하였다. (연구방법) 디자인 계획의 범위는 경기도 동두천시 상패로 64. 동두천시 장애인 복지관의 2층 외부 발코니 공간을 내부 공간화하여 복합 문화공간으로 조성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첫째, 바텀업 방식 및 참여 디자인을 이론적으로 고찰하고, 해당 시설에 유효한 바텀업 접근법의 참여형 디자인을 고안하였다. 둘째, 장애인에 대한 일반 이해와 대상 시설 주변 동두천 지역의 분석을 바탕으로 시설 사용자인 장애인의 의견 수렴을 하고, 기타 유효한 방식의 사용자 및 대상지 분석을 진행하였다. 셋째, 사용자 의견 수렴 및 관찰, 대상 시설의 이해를 통해 도출된 주요 설계 개념과 내용을 정리하여 계획에 적용하였다. (결과)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결과는 첫째, 국내 공공 건축 작업에서의 유효한 바텀업접근법의 참여 디자인을 통한 의사결정 방식의 가능성을 제시했다. 둘째, 바텀업 의견수렴의 과정에서 본 시설 사용자에 특화된 방법론 적용과 적극적인 참여 유도를 통해 지속가능한 자발적 참여 공간으로 발전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했다. 셋째, 의견 수렴의 결과로 도출된 설계 개념을 적용하여, 의식주 중 주(住)의 욕구를 충족시키는 기본 복지에 중점을 둔 가변적이고, 수납이 용이한 동시에 추후 확장 가능성을 열어둔 다용도 복합문화공간을 제시하였다. (결론) 본 연구는 공공 건축 작업에서의 적절한 사용자 주도의 공간 디자인 프로세스와 그에 따른 결과물을 제안하였으며, 디자인 발전 과정에서 사용자의 참여가 어떻게 설계에 반영될 수 있는지를 제시한다. 이는 바텀업 접근법의 사용자 의견 수렴과 관리자의 적절한 검증을 가능하게 하는 디자인 개발시스템으로, 그렇게 수렴된 여러 의견을 정리 및 적용하여 여러 용도에 대응 가능한 가변적이고, 추후 확장 가능한 장애인 복합문화 공간을 제시했다는데 의의가 있다. (Background and Purpose) Many social scientists argue that the state administration of today is transitioning from “government” to “governance.” This change is also gradually spreading to publicly driven urban regeneration projects and public architecture. As a result, many public-led projects have recently adopted participatory decision-making systems, characterized by the bottom-up approach or user feedback collection, rather than the top-down approach. However, many of these participatory decision-making systems failed when approached in concept alone, without a deeper understanding of the details. More specifically, participatory design projects usually slow down owing to the inability to coordinate various opinions, or even lose their purpose in the effort to reconcile the conflicting interests of multiple stakeholders. These problems demonstrate the need for a more efficient and authentic model of participatory design. In response, this study designates a rehabilitation center in Dongducheon, Gyeonggi Province, as its site, and proposes a public multi-cultural space for the disabled with a distinct design and practicality, based on a newly devised model for user feedback collection. (Method) The scope of the design plan is to turn the second-floor exterior balcony of the Dongducheon Rehabilitation Center into an interior and create a cultural space. First, this study considers the theoretical ground of participatory design systems and the bottom-up approach to devise a new type of participatory design appropriate for the target site. Second, based on general understanding of the disabled and an analysis of the areas surrounding the site, the study gathers the opinions of the facility users and conducts user analysis. Last, this study builds a plan based on the major design concepts and key content drawn from the opinions collected from the users, observations, and analysis of the target facility.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e possibility of decision making through a bottom-up style and participatory design, applicable to domestic public architecture projects. Second, this study presents the possibility of sustainable participation of the users in spatial design, by applying a method specialized to its users and engaging their active participation. Third, by applying the design concept derived from the user feedback collection, the study presents a multi-purpose cultural space, focused on basic residential welfare and storage space, but open to changes and further expansion. (Conclusions) This study proposes a user-driven spatial design process appropriate for public architecture projects and its following outcome, as well as shows how the actual design could reflect the users’ participation in its development.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the proposed design development system allows for the collection and verification of user feedback, which are clearly reflected in the final design of the multicultural space for the disabled, adaptable to various uses and expandable in size.

      • 스마트시티 계획 수립에서 bottom-up approach의 중요성

        장혜지(Hyeji Jang),곽지영(Jiyoung Kwahk),정다운(Dawoon Jeong),류현영(Hyun Young Ryu) 대한인간공학회 2019 대한인간공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9 No.5

        This study aims to present the importance of the bottom-up approach by comparing and analyzing two approaches for establishing safe smart city design in Pohang. In order to solve various urban problems, or to develop the efficient new city, the world is paying attention to smart city. It is essential to combine top-d own and bottom-up approach in order to create citizen-sentiment smart city. Korea is also pursuing for various smart city plans, but most are government driven. To collect plans that are underway or being targeted,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the person in charge from 18 departments of Pohang city hall. As part of the Bottom-up method, a survey was conducted on Pohang citizens to collect safety-related requirements. The responses collected through each method were classified by open card sorting and compared. Pohang city plans were classified into four categories: hardware improvement, software improvement, service procurement, and data and technology. The responses collected from 297 citizens were classified as functional requirements, non-functional requirements, and emotional discomfort. As a result of comparing two approaches, it was confirmed that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scale and items of the problem to be solved. In addition, it was shown that there was a limitation to the utilization of data and technolog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necessity of a bottom-up approach and participation of various organizations when establishing a smart city plan.

      • KCI등재

        도로이동오염원 배출량 산정을 위한 Bottom-Up Approach 기법의 개선에 관한 연구

        최기주,이규진,안성채 대한교통학회 2009 大韓交通學會誌 Vol.27 No.4

        Air pollution due to vehicle exhaust gas is considered to be a main contributor to the issues of transportation & environment. Furthermore it is raising concern over life quality and public health and is also perceived as a global issue. This research aims at providing helping hands for both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to set up and promote efficient atmospheric quality improvement policies, with the help of the travel demand forecasting model and GIS. More specifically, it tries to produce the overall emission level with time and space-based high resolution framework. This research, based on bottom-up approach reflecting vehicular traffic characteristics, suggested an improved approach to estimating emission level, by using a traffic model with a total of vehicular mileage revised by surveyed value and atmosphere model. Summing up, using the method proposed, the improvement of the reliability of the emissions inventory from the mobile pollutions sources is expected by the proposed integrated paradigm of transportation and atmosphere modeling approach as a new alternative. 교통⋅환경문제로 대표되는 차량의 배기가스에 의한 대기오염은 삶의 질과 국민보건에 대한 관심뿐 아니라 범세계적인 문제로 인식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교통수요모형과 GIS를 이용하여 도로이동오염원에 대한 시공간적 고해상도의 배출량 산정 방식을 제시하여 정부와 지자체가 효과적으로 대기 질 개선 정책을 수립⋅추진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이에 차량의 통행특성을 반영하는 Bottom-Up Approach 기법을 기반으로 총 주행거리를 실측치로 보정한 교통모형과 차량의 특성에 적합한 배출계수를 적용할 수 있는 대기모형을 이용한 개선된 기법을 제시하였다. 즉, 새로운 대안으로 교통-대기 통합패러다임에 의해 이를 연계한 도로이동오염원의 배출량 산정기법을 제시함으로써, 도로이동오염원 배출량의 신뢰도 개선이 기대되어진다.

      • KCI등재

        Alternative vocabulary learning approaches in EFL setting: Bottom–up or top-town?

        이정원,윤경옥 한국영어교육학회 2019 ENGLISH TEACHING(영어교육) Vol.74 No.3

        The present study aimed at investigating the effectiveness of bottom-up (BU) and top-down (TD) approaches on EFL learners’ vocabulary learning, the difference in the effects of the two approaches depending upon their level of vocabulary proficiency, and their perception of the approaches. For this study, 122 college students were divided into two approach groups and to two levels in each group depending upon their level of vocabulary knowledge. They were trained with either of the approaches for one semester. The results were that 1)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BU and TD approaches, even though the two approaches were effective to improve the students’ vocabulary knowledge; 2) high-level students failed to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approaches in the two tests, whereas low-level students in the BU group performed significantly better than those in the TD group in the production test; and 3) they preferred the BU or TD approach to the traditional method in vocabulary learning, and they listed som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the approaches.

      • KCI등재

        인공적 도덕 행위자에 대한 융합접근의 철학적 기획

        최현철,변순용 한국윤리학회 2019 倫理硏究 Vol.124 No.1

        This article aims at philosophical analysis and planning for a hybrid approach to artificial moral agents. The goal of the AMA is to establish a realistic plan that has a moral awareness similar to human beings in the ethical dimension among the various approaches to AMA. Therefore, this study summarizes the moral cognitive models that have been discussed in philosophy, especially ethics, in order to accomplish these aims and goals. Through this process, this study regards the position that morality can be reduced to formal reasoning as the main idea of ​​top - down approach and distinguishes the main idea of ​​bottom - up approach that morality has self - manipulation as an emergent process. As a result, the study has gone beyond the limitations of virtue theory emphasized by W. Wallach & C. Allen in a hybrid approach, suggesting new plans for a more realistic AMA hybrid approach. 이 글은 인공적 도덕 행위자(Artificial Moral Agents)에 대한 융합(hybrid) 접근에 대해 철학적 분석과 기획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AMA를 둘러싼 여러 접근들 중 융합적 접근이 윤리학 차원에서 인간과 유사한 도덕적 인지를 갖추게 하는 현실적으로 기획 수립을 그 목표로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목적과 목표를 수행하기 위해 철학계에서, 특히 윤리학에서 지금까지 논의되고 있는 도덕적 인지 모형들을 정리하였다. 이 정리를 통해 본 연구는 도덕성이 형식적 추론으로 환원될 수 있다는 입장을 하향식의 주요 이념으로 간주하고 도덕성이 창발적 과정으로 자기 조작성을 가진다는 입장을 상향식의 주요 이념을 구분하였다. 그 결과로 본 연구는 웬델 월러치와 클린 알렌(W. Wallach & C. Allen)이 융합적 접근으로 강조한 덕 이론의 한계를 넘어, 보다 현실적인 AMA 융합적 접근에 대한 새로운 기획들을 제시하게 되었다.

      • KCI등재후보

        뇌졸중 후 보행 재활의 최신 경향 : 상향식 접근과 하향식 접근

        오덕원 한국신경근육물리치료학회(구 한국신경근육재활학회) 2020 한국신경근육재활학회지 Vol.10 No.2

        As neurological rehabilitation has been increasingly developed, there is a rapid close in gap between neuroscientific information and clinical application. Also, a variety of concepts have been established to apply therapeutic techniques in stroke rehabilitation, which are based on bottom-up and top-down approaches. Therefore, clinicians need to understand valuable knowledge with regard to the natures of these approaches, and know the current use of treatment techniques. Based on recent trend, advanced technology highlights to develop new neuromechanical tools and robot-assisted devices for improved rehabilitation effects and functional recovery. Despite inadequate evidences in clinical setting, these approaches are known to facilitate brain plasticity and functional recovery, thereby allowing developing specific devices and more efficient control system. Focusing on scientific interests to control the pathophysiology of neural plasticity after stroke and operate them in controlled environment, data on specific effects from treatment are promptly collected as treatment outcomes. This supports the great benefits of patient-therapist-specific approaches. Therefore, the understandings of bottom-up and top-down approaches are necessary to build the present and future concepts in treatment. This paper aims to provide valuable information about current trends in gait rehabilitation after stroke, including bottom-up and top-down approaches.

      • KCI등재

        A Study on Methodology of U-City Promotion (Top-Down vs Bottom-Up Approach Model)

        이상훈,김형복 대한공간정보학회 2009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Vol.17 No.1

        Recently, a lot of local autonomous entities are promoting Ubiquitous City(U-City) Construction by integrating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ICT) with city development, and also internationally, a lot of cities are making efforts to develop U-City to intensify a city's competitive strength and improve life quality of city dwellers. In keeping with such a stream of the times, each local autonomous entity and project developer are developing a lot of methodologies to establish optimal U-City in corresponding cities and also inquiring into a variety of development procedures, such as connecting existing urban development methods with information establishment methods. The method used usually is to establish Information strategy Plan(ISP) for a city which will be developed through consulting in the stage of city development planning. ISP is to establish vision & strategy for building the ubiquitous city and is a methodology including city vision, strategy, goal, and implementation method, etc. However, due to a lot of variables, such as a variety of city environment, establishment period, budget, information technology, and etc., it is difficult to contain establishment plans for every occasion in a similar method, in reality. Therefore, it is naturally necessary to suggest plans for city vision & strategy, and selection of element technology/service. Thus, this paper suggests models for vision & strategy establishment of U-City and suggests Top-Down Approach and Bottom-Up Approach method as a plan for U-City establishment. In addition, this paper analyzes general promotion methodologies for constructing U-City and analyzes how these two strategic methods [Top-Down Approach and Bottom-Up Approach] for city vision establishment are composed in such a methodology, to define and analyze its constituent plan.

      • 표준필수특허권 침해에 대한 손해배상액의 산정

        이진희 서울대학교 기술과법센터 2018 Law & technology Vol.14 No.5

        특허법에는 특허권 침해의 경우에 손해액을 산정하는 다양한 방법이 규정되어 있는데, 표준필수 특허권이 침해된 경우에도 일반적인 특허권 침해의 경우와 동일하게 위 규정들에 근거하여 손해액을 인정할 수 있는지 문제된다. 이와 관련하여 표준필수특허권 침해 시 손해액 산정에 관한 각국의 실무 및 논의를 살펴보았다. 미국에서는 표준필수 특허권 침해에 대하여 손해배상으로서 합리적 실시료를 지급하는 것을 전제로, 그 액수의 구체적인 산정을 위해, Top-down 방식, Bottom-up 방식, 비교 가능한 실시계약을 이용하는 방식 등이 활용되어 왔다. 그런데 FRAND 확약을 한 표준필수특허권자는 FRAND 조건에 따른 실시료를 지급할 의사가 있는 사람에 대하여는 라이선스를 거절할 수 없다는 점에서 실시계약을 거절하고 특허발명을 독점적으로 실시할 수도 있는 일반적인 특허권자와는 본질적인 차이가 있다. 이러한 표준필수특허권의 본질은 손해액 산정에 고려되어야 할 것이므로, FRAND 조건에 따른 실시료를 지급할 의사가 있는 사람에 대한 손해액은 원칙적으로 실시료 상당액이라고 보는 것이 타당하고, 그 경우에는 손해액 추정에 관한 특허법 규정에 근거하여 다른 유형의 손해액을 인정하는 것은 어려울 것이다. 나아가 FRAND 조건에 따른 합리적 실시료는 각 사안에서 당사자가 제출한 증거 등을 고려하여 비교 가능한 실시계약을 사안에 맞게 적절히 수정하여 활용하거나, 해당 표준에 대한 실시료 총합을 확정하고 이를 문제가 된 표준필수특허권의 기술적 기여에 따라 배분하는 Top-down 방식 등이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Patent Act provides several methods calculating damages for patent infringement. However, whether these provisions are equally applicable to standard essential patent (SEP) infringement is debatable. As such, I have researched practices and discussions in other countries. In the United States, reasonable royalty is awarded as damages in fair, reasonable, and non-discriminatory (FRAND) cases, and various methods such as top-down approach, bottom-up approach, and comparable approach have been used to come up with a concrete amount. An SEP owner is fundamentally different from other patentees in that patentees normally have the power to refuse any licensing agreement and enjoy the exclusive patent rights but an SEP owner cannot refuse to grant license to those willing to pay FRAND royalty due to the FRAND commitment. This unique nature of SEPs must be taken into account when evaluating damages for SEP. Therefore, it is reasonable to conclude that damages for SEP infringer who are willing to pay FRAND royalty should be estimated based on reasonable royalty and other provisions for damages are inapplicable. A reasonable royalty may be assessed based on various methods such as comparable approach, which uses comparable licenses and adjusts them according to the circumstances provided in the specific case, or top-down approach, which first determines the total sum of the royalties regarding the standard at issue and then apportions the sum depending on the technical contribution of the particular SEP.

      • KCI등재

        WTO 수산보조금 협상 쟁점연구

        박원석 법무부 2007 통상법률 Vol.- No.74

        이 연구는 2007년 현재 WTO 본부에서 뜨겁게 진행되고 있는 수산보조금 협상의 주요쟁점을 살펴보고 각 쟁점들에 대한 회원국의 입장을 검토하여 그에 대한 국내대책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을 둔다. 수산보조금 협상과 관련된 주요 쟁점은 크게 수산보조금 협정문의 작성형식, 수산보조금의 정의와 적용범위, 금지보조금 및 허용보조금 카테고리의 설치여부 및 범위, 조치가능 보조금의 설정, 개도국 특별대우 및 유예기간, 그리고 소규모 어업과 생계형 어업의 정의 및 적용범위 등으로 나눌 수 있다. 먼저 수산보조금 협정문의 작성형식과 관련해서는 현재 완전한 조약문 형태를 갖춘 부속서(Annex) 방식과 현행 보조금 및 상계조치협정 보조금 협정문의 일부 조항을 수정, 개정, 삭제하는 방식인 수정(Amendment) 방식의 제안서로 나누어 제출되고 있다. 둘째, 수산보조금의 정의와 적용범위와 관련하여서는 기본적으로 내수면을 제외한 해상에서 이루어지는 잡는어업에 지원되는 보조금에 한정하고, 자원고갈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양식, 유통, 가공 보조금 및 내수면 어업 보조금이 수산보조금의 규율대상에 포함될 것인가가 관심사항이다. 셋째, 금지보조금 및 허용보조금 그리고 조치가능보조금 카테고리의 설치와 관련하여서는 포괄적 금지방식(Top-down)과 개별적 금지방식(Bottom-up)이 채택되는가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현재 포괄적 금지방식을 주장하는 국가들은 모든 수산보조금을 금지보조금으로 간주하고 일부 보조금을 금지보조금의 예외로 인정하려는 추세인데 반하여, 개별적 금지방식을 주장하는 국가들은 모든 수산보조금의 성격을 개별적으로 분석하여 금지보조금과 허용보조금으로 분류하고 그리고 나머지 보조금은 현행 ASCM의 적용을 받도록 하든지 아니면 아예 설치를 하지 않든지 경우에 따라 입증의 책임을 전환하든지 몇 개의 대안을 제시하고 있다. 넷째, 개도국 특별대우 및 유예기간과 관련하여서는, 개도국 특별대우는 원칙적으로 인정하되 중국 등 주요 수산선진 개도국까지 면제부(carte blanche)를 부여하지 않고 연간 어획량이 일정 수준이상인 개도국에게는 개도국 특별대우를 제한하는 방안이 이들 국가들의 강력한 저항속에 제시되고 있다. 다섯째, 소규모 어업과 생계형 어업의 정의 및 적용범위와 관련하여서는 이 두 어업을 분리하여 적용을 달리 할 것인지, 개도국에게만 적용할 것인지 아니면 선진국까지 적용할 것인지, 그리고 투명성, 실행가능성 등을 고려하여 합리적이고 간단한 기준을 제시하여 공감대를 형성하기 위해 물리적 기준(예 : 어선길이)만을사용할 것이지 아니면 톤수나 부피 또는 엔진마력도 적용할 것인지 등이 논쟁사항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ssues arising from the current fisheries subsidies negotiation under WTO and propose some feasible solutions after reviewing the WTO country-Members' positions to each of these issues.' The major issues involving this negotiation include the mode of legal text(i.e. Annex mode or Amendment mode), potential scope and definitions of proposed fisheries subsidies agrement, establishment of prohibited, allowable or actionable subsidy categories, scope of special and differential treatment and grace period, and scope and definitions of small-scale and artisanal fishing etc. First, the mode of legal text is divided into independent and full text-form Annex mode and Amendment mode with some minor changes, modifications, or additions to the current ASCM. Second, while scope and definitions of fisheries subsidies may be deemed the most thorny issue, it is proposed to apply only to capture fisheries in the sea water, excluding capture fisheries in in-land water, aquaculture fishery with no direct relation with fish resources depletion, distribution, or processing. Third, the establishment of red, green and amber subsidy categories may depend wholly on which approach is adopted between Top-down approach or Bottom-up approach. Currently, while Top-down approach countries attempt to prohibit all fishery subsidies with handful exceptions, Bottom-up approach countries are trying to divide all fishery subsidies into red and green after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each subsidy with the remaining subsidies subject to the current ASCM or exempted from application of this Agreement or suffering from transferred burden of proof. Fourth, special and differential treatment for developing countries may basically be provided to the lease developed and developing countries, but some developing countries with strong fishery industry or exceeding particular share of world total fishing catch may be excluded from this exemption. Finally, scope and definition of small-scale fishing and artisanal fishing is under serious debate. Among other issues are included here separated discussion of these two fishing, extension of this privilege to those of developed countries, and establishment of reasonable and simple criteria for transparency and workability (i.e. one, some or all factors such as tonnage, volume, engine power, length of vesse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