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특별지방자치단체의 기본계획에 대한 공법적 과제*

        김상태 한국지방자치법학회 2022 지방자치법연구(地方自治法硏究) Vol. No.

        A Public Legal Issues on the Basic Plan of Special Local Government Kim, Sang-Tae (Professor, Department of Law, Soonchunhyang University) Today, there is a demand for metropolitan administration beyond the existing district along with the development of transportation and communication, so it became difficult for the existing local government to fulfill such demand alone. Therefore, in the Local Autonomy Act amended in January 2021, a ‘special local government’ was introduced for establishing a system to jointly handle cases that are difficult to be managed by the existing local government structure or where the existing local government structure lacks capacity. In particular, Article 203, Paragraph (1) of the amended Local Autonomy Act stipulates the basic plan of the special local government. This clause was not stipulated in the previous Local Autonomy Act and there was not enough discussion, so a detailed analysis is necessary for a more stable legal application. In this study, legal tasks for the basic plan of the special local government were reviewed under this background. The main content are as follows. First, the target affairs of the basic plan are limited to autonomous affairs and collective delegated affairs, excluding agency delegated affairs. Second, the 「Local Autonomy Act」 imposes the responsibility to establish and implement a basic plan to manage affairs under the jurisdiction to the head of a special local government. However, the process of establishing the basic plan lacks resident participation procedures, so additional legislative supplementation is needed. Third, the binding force of the basic plan on a special local government is recognized, but the binding force on a constituent local government is not recognized. However, there should be mutual harmony between the special local government and the constituent local government while contradictions and conflicts should be minimized, so in practice, the head of the constituent local government is expected to be bound by a request from the head of the special local government. Fourth, “Abwägungsgebot” (the obligation to balance private and public interests) applies to the illegal control of the basic plan, and disposability may be recognized if the basic plan is a binding plan to residents. However, it is difficult to recognize disposability because the scope of affairs, the goal of affairs, and the processing method of affairs are planned for the content of the basic plan. Fifth, the basic plan should include the goal of the basic plan, the period and target area of the basic plan, the scope of metropolitan affairs to be managed by the special local government, the processing method (criteria) of affairs, the type of affairs to be managed by the special local government and the constituent local government (role sharing), the matters regarding financial allocation, etc. 특별지방자치단체의 기본계획에 대한 공법적 과제 오늘날 교통과 통신의 발달에 따라 기존의 구역을 넘어서는 광역적 행정의 수요가 발생하면서 기존의 지방자치단체만으로는 그 수요에 대응할 수 없게 되었다. 이에 2021년 1월 개정 「지방자치법」에서는 기존의 지방자치단체 구조에서 처리하기 곤란하거나 역량이 부족한 경우에 이를 공동으로 처리하는 체계를 구축하기 위해 ‘특별지방자치제도’ 운영과 관련된 세부적인 규정을 마련하였다. 특히, 개정 「지방자치법」 제203조 제1항에서는 “특별지방자치단체의 장은 소관 사무를 처리하기 위한 기본계획(이하, “기본계획”이라 한다)을 수립하여 특별지방자치단체 의회의 의결을 받아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는데, 동 조항의 기본계획은 이전의 「지방자치법」에서 규정하고 있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충분한 논의도 없어서 보다 안정적인 법적용을 위하여 입법정책적인 관점에서 세밀한 분석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배경 하에 특별지방자치단체의 골격을 이루는 기본계획에 대한 검토하였다.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기본계획은 특별지방자치단체의 사무를 처리함에 있어서 요구되는 사항(사무처리의 목표, 기본방향, 처리방식, 구성원 간 역할분담 등)을 정하고, 사무처리 과정에서 충돌되는 다양한 이해관계들을 조정한다. 둘째, 기본계획의 대상 사무는 자치사무와 단체위임사무에 한정하고, 기관위임사무는 제외한다. 셋째, 「지방자치법」은 특별지방자치단체의 장에게 소관 사무를 처리하기 위한 기본계획을 수립하여 시행할 책무를 부여하고 있다. 다만, 기본계획 수립 과정에서 주민참여 절차가 결여되어 있어 추가적인 입법적 보완이 필요하다. 넷째, 기본계획의 특별지방자치단체에 대한 구속력은 인정되나, 구성 지방자치단체에 대한 구속력은 인정되지 않는다. 하지만, 특별지방자치단체와 구성 지방자치단체간에는 가능한 상호 조화되어야 하며 모순과 충돌은 최소화되어야 하므로, 실무상으로는 특별지방자치단체의 장의 요청에 구성 지방자치단체의 장이 구속될 것으로 본다. 다섯째, 위법한 기본계획의 통제에 대해 형량명령이론이 적용되며, 기본계획이 주민에 대한 구속적 계획인 경우 처분성이 인정될 수 있다. 다만, 기본계획의 내용이 사무의 범위, 사무처리의 목표, 사무처리 방식 등이 예정되므로 처분성을 인정하기는 어렵다. 주제어 지방자치, 지방자치법, 지방자치단체, 특별지방자치단체, 기본계획

      • KCI등재

        특별지방자치단체의 기본계획에 대한 공법적 과제

        김상태(Sang-Tae Kim) 한국지방자치법학회 2022 지방자치법연구(地方自治法硏究) Vol.22 No.3

        오늘날 교통과 통신의 발달에 따라 기존의 구역을 넘어서는 광역적 행정의 수요가 발생하면서 기존의 지방자치단체만으로는 그 수요에 대응할 수 없게 되었다. 이에 2021년 1월 개정 「지방자치법」에서는 기존의 지방자치단체 구조에서 처리하기 곤란하거나 역량이 부족한 경우에 이를 공동으로 처리하는 체계를 구축하기 위해 ‘특별지방자치제도’ 운영과 관련된 세부적인 규정을 마련하였다. 특히, 개정 「지방자치법」 제203조 제1항에서는 “특별지방자치단체의 장은 소관 사무를 처리하기 위한 기본계획(이하, “기본계획”이라 한다)을 수립하여 특별지방자치단체 의회의 의결을 받아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는데, 동 조항의 기본계획은 이전의 「지방자치법」에서 규정하고 있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충분한 논의도 없어서 보다 안정적인 법적용을 위하여 입법정책적인 관점에서 세밀한 분석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배경 하에 특별지방자치단체의 골격을 이루는 기본계획에 대한 검토하였다.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기본계획은 특별지방자치단체의 사무를 처리함에 있어서 요구되는 사항(사무처리의 목표, 기본방향, 처리방식, 구성원 간 역할분담 등)을 정하고, 사무처리 과정에서 충돌되는 다양한 이해관계들을 조정한다. 둘째, 기본계획의 대상 사무는 자치사무와 단체위임사무에 한정하고, 기관위임사무는 제외한다. 셋째, 「지방자치법」은 특별지방자치단체의 장에게 소관 사무를 처리하기 위한 기본계획을 수립하여 시행할 책무를 부여하고 있다. 다만, 기본계획 수립 과정에서 주민참여 절차가 결여되어 있어 추가적인 입법적 보완이 필요하다. 넷째, 기본계획의 특별지방자치단체에 대한 구속력은 인정되나, 구성 지방자치단체에 대한 구속력은 인정되지 않는다. 하지만, 특별지방자치단체와 구성 지방자치단체간에는 가능한 상호 조화되어야 하며 모순과 충돌은 최소화되어야 하므로, 실무상으로는 특별지방자치단체의 장의 요청에 구성 지방자치단체의 장이 구속될 것으로 본다. 다섯째, 위법한 기본계획의 통제에 대해 형량명령이론이 적용되며, 기본계획이 주민에 대한 구속적 계획인 경우 처분성이 인정될 수 있다. 다만, 기본계획의 내용이 사무의 범위, 사무처리의 목표, 사무처리 방식 등이 예정되므로 처분성을 인정하기는 어렵다. Today, there is a demand for metropolitan administration beyond the existing district along with the development of transportation and communication, so it became difficult for the existing local government to fulfill such demand alone. Therefore, in the Local Autonomy Act amended in January 2021, a ‘special local government’ was introduced for establishing a system to jointly handle cases that are difficult to be managed by the existing local government structure or where the existing local government structure lacks capacity. In particular, Article 203, Paragraph (1) of the amended Local Autonomy Act stipulates the basic plan of the special local government. This clause was not stipulated in the previous Local Autonomy Act and there was not enough discussion, so a detailed analysis is necessary for a more stable legal application. In this study, legal tasks for the basic plan of the special local government were reviewed under this background. The main content are as follows. First, the target affairs of the basic plan are limited to autonomous affairs and collective delegated affairs, excluding agency delegated affairs. Second, the 「Local Autonomy Act」 imposes the responsibility to establish and implement a basic plan to manage affairs under the jurisdiction to the head of a special local government. However, the process of establishing the basic plan lacks resident participation procedures, so additional legislative supplementation is needed. Third, the binding force of the basic plan on a special local government is recognized, but the binding force on a constituent local government is not recognized. However, there should be mutual harmony between the special local government and the constituent local government while contradictions and conflicts should be minimized, so in practice, the head of the constituent local government is expected to be bound by a request from the head of the special local government. Fourth, “Abwägungsgebot” (the obligation to balance private and public interests) applies to the illegal control of the basic plan, and disposability may be recognized if the basic plan is a binding plan to residents. However, it is difficult to recognize disposability because the scope of affairs, the goal of affairs, and the processing method of affairs are planned for the content of the basic plan. Fifth, the basic plan should include the goal of the basic plan, the period and target area of the basic plan, the scope of metropolitan affairs to be managed by the special local government, the processing method (criteria) of affairs, the type of affairs to be managed by the special local government and the constituent local government (role sharing), the matters regarding financial allocation, etc.

      • KCI등재

        자치법규기본조례와 자치입법권의 보장

        선정원(Sun Jeong Won) 한국지방자치법학회 2004 지방자치법연구(地方自治法硏究) Vol.4 No.2

        Most rules of local government have been made by model rules and directions of central government, and remain still unchanged in spite of decentralization policy of Participative Government .(2003-now) We must strengthen rulemaking power of local governments urgently and effectively. Basic rule for rulemaking is a charter for local governments, and gives standards for all rules of local governments. For example, rule names and a rulemaking process can be unified by Basic rule for rulemaking . I think, korean local governments must make Basic rule for rulemaking to reduce mistakes in making local rules. I d like to make several suggestions about the contents of the basic rule. 1) Basic rule for rulemaking must prescribe notice and comment procedure for local rules to protect civil rights. It is necessary, because korean local self-governing act doesn t prescribe to give notice and comment before making local rules. 2) The basic rule must prescribe to make citizens know all of new rules quickly on home pages of local governments. 3) The basic rule must prescribe the regular time to correct mistakes of local rules every year. By the regular revision, the appearance of overlapping and similar rules can be prevented, and rules of good quality can be made. And, the following must be improved, to ensure the rulemaking power of local governments. 1) The Supreme Court don t almost defer the rulemaking power of local governments, but must respect the authority of local assembly more seriously. When the Supreme Court make local rules void, it must propose alternatives, as the constitutional court does it. A judicial decision on rules must be different with that on particular acts. 2) Korean local self-governing act (§15, exceptive clause) requires delegation from higher acts of the central government, when local rules prescribe rights or duties of inhabitants. But this exceptive clause puts too much restrictions on the rulemaking power of local governments, and must be amended or eliminated. 3) Central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s must try to reduce the use of model rule from central government, because its excessive use sacrifices the diversity and autonomy of local governments. 4) Local governments have to strengthen the office of judicial affairs and the supporting organization of rulemaking in local assembly. And, they can establish a legislative research institute alone or with other local governments for the sake of this.

      • The Study on Initializing KOREAN Local POLICE System for Effective Criminal Responding

        Park Young soo,Yeom Keon ryeong J-INSTITUTE 2019 Regulations Vol.4 No.1

        The Korean government recently announced a strong motivation to introduction of a local police system. The local police system is within the scope of local self-government and can not be discussed separately from local self-government. In other words, it is necessary to introduction of a local police system to complete the local self-governing system and to promote its system. The local police system should be able to realize the basic ideology of the local self-government of the consti-tution and the grassroots of democracy. To do so, the local police system needs to be implemented by the basic local government. In addition, the local police office should be able to carry out the tasks required for securing the local security, such as advanced overseas systems. However, the current Korean government has a limit that does not meet the intent of local self-government. In other words, the local police system is set up as a metropolitan government, which has the limitation of vio-lating the rights of the basic local government. 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local police affairs, it is restricted to the administrative police affairs and simple sexual violence and domestic violence, therefore its limited to per-form the police affairs. Therefore, this study examines whether the local police system announced by the present government meets the local self-governing system.

      • KCI등재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 간 협력제도의 법적 과제

        임현 한국지방자치법학회 2020 지방자치법연구(地方自治法硏究) Vol.20 No.4

        Ensuring the participation and cooperation of local governments in central legislative and policy processes affecting local autonomy is an essential prerequisite for the efficiency of state administration, integration of the state as a whole, and the practical implementation of the local autonomy system. Howeve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tate and local governments has been institutionalized mainly as a matter of involvement and supervision of the state's local governments, and the number of cases of conflict between the central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s continues to increase. Based on this awareness of the problem, this paper examines the current status of the central and local cooperation system and related legislative discussions, and presents future directions and tasks. As for the current cooperation system, the committee system of the central government, the national consultative council system of local government heads, etc., general opinion submission procedures, consultation procedures under individual laws, and dispute resolution systems were examined. In addition, for the discussion of related legislation, the contents of the 2018 Presidential bill for constitutional amendment, all amendments to the Local Autonomy Act currently submitted to the National Assembly, and the bill on the composition and operation of the Central Local Cooperation Council were reviewed. In establishing a central and local cooperation system, it is necessary to review the problems and limitations of the current system to compensate for the gap and prevent duplication, and a new cooperation system must be prepared in consideration of these points. In addition, it would be desirable for the system to be designed to enable local participation and cooperation in the entire process of legislation and policies on local autonomy.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subject of the cooperation system as important, and it is necessary to make the composition suitable for the purpose of the individual system, but it is important that the participation and cooperation of the basic local governments are sufficiently guaranteed. In particular, it is necessary not to overlook the will and authority of the basic local government in relation to the regional local government. 지방자치에 영향을 미치는 중앙의 입법과 정책과정에 지방자치단체의 참여와 협력을 보장하는 것은 국정운영의 효율성과 국가 전체의 통합 및 지방자치제의 실질적 구현을 위한 필수적 전제이다. 그러나 국가와 지방자치단체 간의 관계는 주로 국가의 지방자치단체에 대한 관여・감독의 문제로서 제도화되었고,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 간 갈등사례도 계속해서 증가하는 추세이다. 이러한 문제의식에 기반하여 이 논문에서는 중앙과 지방의 협력제도의 현황과 관련 입법 논의를 살펴보고 앞으로의 방향성과 과제를 제시해보았다. 현행 협력제도로는 중앙정부의 위원회 제도, 지방자치단체장 등의 전국적 협의체제도, 일반적인 의견제출절차, 개별법상의 협의절차, 분쟁해결제도에 대해 살펴보았다. 또한 관련 입법 논의로는 2018년 대통령 개헌안과 지방자치법 전부개정법률 및 현재 국회에서 심의 중인 중앙지방협력회의의 구성 및 운영에 관한 법률안의 내용을 검토하였다. 중앙과 지방의 협력제도를 구축해감에 있어서는 현행 제도의 문제점과 한계를 검토하여 그 공백을 보완하고 중복을 방지하는 것이 필요하며, 새로운 협력제도도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마련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지방자치제에 관한 입법과 정책의 전 과정에 있어 지방의 참여와 협력이 가능하도록 제도가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더불어 협력제도의 주체가 중요하게 고려되는 것이 필요한데, 개별 제도의 취지에 적합하게 그 구성이 이루어지는 것이 필요할 것이나, 기초지방자치단체의 참여와 협력이 충분히 보장되는 것이 중요하다. 특히 광역지방자치단체와의 관계에서 기초지방자치단체의 의사와 권한이 간과되지 않는 것이 필요하다.

      • KCI등재

        주민자치의 규범적 실험 - 서울시 관악구 주민자치 기본조례 -

        윤준병(Yoon, Joon Byeong) 한국지방자치법학회 2011 지방자치법연구(地方自治法硏究) Vol.11 No.4

        Reasons for adopting and enacting local autonomy come from its strong points that democracy can be realized in local administration as a basic principle of member’ self-government and local administration fit in local condition can be executed independently with central government. Local autonomy is secret of democracy and a systematic device that fulfills political pluralism necessary to modern complex society. It enhances inhabitants’ self-government capacity that decides local matters of mutual concern autonomously, and contributes to embodiment of free democracy ideology. Until now, local government professes inhabitants sovereignty seemingly but in actuality is not true. Therefore, we have to change this autonomy to genuine inhabitants center. For that, we need to establish and operate citizen autonomy basic ordinance like Japanese autonomy. Therefore, Seoul Gwanak establishes Seoul Gwanak citizen autonomy basis ordinance operated 2011. 7. 28. as a prescriptive frame of autonomy dimension so that genuine citizen autonomy becomes master. That is functioned as a good example that can show furtively possibility of local self-government development. Citizen Autonomy Basic Ordinance consists of 7 sheets 27 articles and contains extension of disclosure of information, activation of citizen participation, policy explanation demand system, operation of Ombudsman, operation of citizen participatory budget etc.. Seoul Gwanak establishes self-government legislation for disclosure of information, Gwanak Ordinance on Composition and Operation of Ombudsman , Gwanak Ordinance on Citizen’s Participatory Budget , Gwanak Ordinance on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Fund for Fiscal Stabilization based on the mother ordinance of Seoul Gwanak Citizen Autonomy Basic Ordinance . Seoul Gwanak makes the prescriptive mechanism so that genuine citizen autonomy is embodied. I hope that local governments actively make a prescriptive mechanism that can decide autonomously local matters of mutual concern and obey basic principles or minimum standards of local self-government with the enactment of Seoul Gwanak Citizen Autonomy Basic Ordinance . In addition, I expect that evaluation on whether the characteristics and contents of the citizen autonomy basic ordinance coincides in our level or not proceeds among scholars. I am sure that the citizen autonomy basic ordinance do good for genuine ideology embodiment of local self-government, if local governments establish their own citizen autonomy basic ordinance coinciding with their peculiar environment and history, and meeting local resident’s substantial request. 지방자치를 하는 이유로는 구성원의 자기통치를 기본원리로 하는 민주주의의 실현을 지방행정에서부터 실현한다는 점, 중앙정부와 독립하여 지방의 실정에 맞는 행정을할 수 있다는 점 등을 들 수 있다. 헌법재판소도 지방자치제도는 민주정치의 요체이며 현대의 다원적 복합사회가 요구하는 정치적 다원주의를 실현시키기 위한 제도적 장치 로서 지방의 공동관심사를 자율적으로 처결함과 동시에 주민의 자치역량을 배양하여 국민주권주의와 자유민주주의 이념구현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하는 제도라고 설시한바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의 지방자치단체는 겉으로는 주민주권을 표방하면서도 실제는 주민 보다 행정과 의회 쪽에 무게중심이 가 있었으므로 이러한 자치단체를 진정한 주민 중심으로 전환하기 위해서는 먼저 규범적인 차원에서 주민자치가 이행될 수 있도록 일본의 자치단체와 같이 자치기본조례를 제정하여 운영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서울시 관악구가 주민이 주인이 되는 진정한 주민자치가 운영되도록 자치단체 차원의 규범적인 틀을 마련하기 위해 서울특별시 관악구 주민자치 기본조례 를 제정하여 2011. 7. 28. 부터 시행한 것은 지방자치의 발전 가능성을 엿볼 수 있는 좋은 사례라 할 것이다. 주민자치 기본조례는 7장 27개 조문으로 구성되어 정보공개의 확대, 주민참여의 활성화, 정책설명 청구제, 옴부즈맨 제도의 운영, 주민참여예산제의 운영 등 주민자치를 내실화 하기 위한 내용을 규정하고 있다. 또한 기본조례는 이 조례의 분야별 시행을 위하여 필요한 경우에는 이 조례에 저촉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분야별 집행조례를 정하여 운영 하도록 규정하여 기본조례로서의 실효성을 확보하고 있다. 서울시 관악구는 나아가 기본조례를 모조례(母條例)로 하여 정보공개 자치법규, 관악구 옴부즈맨 구성 및 운영에 관한 조례 , 관악구 주민참여예산제 운영 조례 , 관악구 재정안정기금 설치 및 운용 조례 등을 제정하여 진정한 의미의 주민자치가 구현되도록 규범적 제도 장치까지도 마련하였다. 서울특별시 관악구 주민자치 기본조례 의 제정을 계기로 개별 지방자치단체들이 지역자치의 기본적 원칙이나 최소한의 기준 등을 자율적으로 결정하고 운용할 수 있는 정도의 규범적인 틀을 만드는 작업이 활성화되기를 바란다. 아울러 학계에서도 우리 수준에 부합하는 주민자치기본조례의 특성과 구성요소에 대한 평가 작업이 진행되기를 기대한다. 지방자치단체가 지닌 역사나 처한 환경이 각기 다르기에 자치단체마다 고유한 특성을 살린 독창적인 주민자치기본조례를 제정해 나가고, 또 지역 주민의 실질적인 요청에 부응해 나간다면, 지방자치의 진정한 이념 구현에도 주민자치기본조례가 긍정적인 역할을 할 것이다.

      • KCI등재

        기초 지방자치단체의 보육지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신희준,홍경준 한국보육학회 2014 한국보육학회지 Vol.14 No.2

        This study was intended to explore the factors that affect the level of child care expenditures of Korean basic local governments. The child care expenditures were conceptually divided to the mandatory child care expenditure and the autonomous child care expenditure, according to consideration of the dualism of the basic local governments' administrative structure. To achieve the purpose, the cross-section time-series data which combine 288 Korean basic local governments and a 3-year period from 2009 to 2011 were analyzed with PCSE(panel corrected standard error) regression model. The results were obtained as follows. First, the ratio of children to total population of the local increased the mandatory child care expenditure. Second, the lower fiscal ability of the basic local government increased the mandatory child care expenditure, but decreases the autonomous child care expenditure. Third, the fiercer competition between candidates for the chief of basic local government increased the autonomous child care expenditure. Fourth, the expenditure on the elderly crowded out both the mandatory child care expenditure and the autonomous child care expenditure.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effects of the factors such as the demand for child care service and the fiscal condition of the local government may vary with the types of child care expenditures, which are distinguished to the mandatory one and the autonomous one. Also, the political factors of the child care expenditures should be addressed in context of the dualistic properties of the child care expenditure of the basic local government, because the decisions are made at different levels of governments depending on the types of child care expenditures. 이 연구는 기초 지방자치단체의 보육지출을 사무구조의 이원적 특성에 따라 위임 보육지출과 자율 보육지출로 구분하고, 각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우리나라 228개 기초 지방자치단체의 2009년부터 2011년까지 3개년도에 해당하는 자료를 수집하여 결합시계열회귀분석을 실시했다. 그 결과, 첫째, 보육수요 요인으로서 지역의 아동인구비율이 높을수록 위임 보육지출 수준은 높아지는 반면, 자율 보육지출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기초 지방자치단체의 재정능력 수준이 낮을수록 위임 보육지출 수준은 높아지는 반면, 자율 보육지출 수준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기초 지방자치단체장 선거경쟁이 치열할수록 자율 보육지출 수준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구축효과 요인으로서 기초 지방자치단체의 노인복지지출 수준이 높을수록 위임 보육지출과 자율 보육지출 수준이 공히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보육정책을 확대하기 위한 국가적 노력에는 지역의 보육수요, 기초 지방자치단체의 재정능력, 그리고 기초 지방자치단체를 둘러싼 정치적 환경에 있어 중앙정부와 기초 지방자치단체에서 이질적으로 작용하는 요인들에 대한 고려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 KCI등재

        지방자치단체장의 복지권한과 책임 -「국민기초생활보장법」 상 자활센터 운영에 관한 쟁점을 중심으로-

        윤석진,이경은 사회복지법제학회 2023 사회복지법제연구 Vol.14 No.2

        There is a controversy over the authority to designate and cancel a self-sufficiency centers, which is the Minister of Health and Welfare have under the 「National Basic Living Security Act」. This is because the essential authority belongs to the central government even though basic local governments carry out most of the main tasks of centers installed in metropolitan and basic local governments. It is a problem arising from the confusion of the ideology, principles, and standards of the distribution of authority surrounding welfare affairs. In details, for the case of self-sufficiency centers, it is appropriate that the head of a local government who have control over area get a core authority to it installed in a metropolitan area or local government. However, in reality, the authority is concentrated in the Minister of Health and Welfare. This situation have a gap with the legislative purpose of the 「Local Autonomy Act」 and 「Special Act On Local Autonomy And Decentralization, And Restructuring Of Local Administrative Systems」. Since a self-sufficiency business supports self-reliance of the low income class in the local community, it is a task that should fully consider various regional characteristics. As a similar case, most of the designation and declaration systems stipulated in the 「Welfare Of Senior Citizens Act」, 「Act On Activity Assistant Services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and 「Social Welfare Services Act」 are established under the authority of local governments. Therefore, the 「National Basic Living Security Act」 also needs to be improved to give the authority to designate and cancel a self-sufficiency centers to heads of metropolitan and basic local governments. On the other hand, 「National Basic Living Security Act」, which is currently the basis for operating a self-sufficiency centers, have insufficient legislative grounds in regulating entry, operation, and exit of the centers. For this reason, a case suspected unconstitutionality were found due to violation of the jurisprudence of the delegated legislation. It is an issue that requires urgent improvement because it can neutralize the self-sufficiency support business for the low-income class in Korea. 「국민기초생활보장법」상 보건복지부 장관의 권한인 자활센터 지정 및 지정취소권을 둘러싸고 논란이 있다. 광역 및 기초지방자치단체에 설치하는 자활센터의 주요 사무 대부분을 기초지방자치단체가 이행함에도 본질적 권한은 중앙정부에 귀속되어 있기 때문이다. 이는 복지사무를 둘러싼 권한배분의 이념, 원칙, 기준의 혼란에서 오는문제이다. 구체적으로는 자활센터의 경우, 광역 및 지방자치단체에 설치해 해당 지역을 관할하는 지방자치단체장이 핵심적 권한을 행사하는 것이 타당하다. 그러나 현실은 보건복지부 장관에게 그 권한이 집중되어 있다. 이는 「지방자치법」 및 「지방분권법」 의 입법취지와 괴리되는 상황이다. 자활사업은 지역에서 자립을 지원하는 사무이기에 다양한 지역적 특성이 충분히 고려되어야 할 사무이다. 유사한 사례로 「노인복지법」,「장애인활동지원법」,「사회복지사업법」에서 정하고 있는 지정 및 신고제도 대부분 지방자치단체의 권한으로 구축되어 있다. 따라서 「국민기초생활보장법」도 광역 및 기초지방자치단체장에게 자활센터 지정 및 지정취소권을 부여하도록 개선될 필요가 있다. 다른 한편, 현재 자활센터 운영에 근거가 되고 있는 「국민기초생활보장법」은 실제 자활센터에 대한 진입·운영·퇴출 규제에 있어 입법적으로 매우 부족한 근거를 두고있다. 이 때문에 위임입법 법리에 위반되어 위헌성이 의심되는 사례가 발견되었다. 이는 국내 저소득층에 대한 자활지원 사업 자체를 무력화시킬 수 있는 사안이어서 시급한 개선이 요구된다.

      • KCI등재

        기초연금 재원부담 비율 조정에 관한 연구 : 국세와 지방세의 세 부담 비율 조정을 중심으로

        김수성,최경진,서정우 한국조세법학회 2023 조세논총 Vol.8 No.3

        Currently, the state and local governments share the financial resources required for basic pension payments. The state bears 40% to 90% of the resources necessary in consideration of the ratio of the elderly population and the financial status of local governments. Concerns have been raised that the quality of welfare services provided by local governments with poor economic conditions could decline overall as the financial burden of local governments increases due to the recent aging population.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proportion of the state burden required for basic pension payments from the current one. The ratio needs to be raised to a full amount of more than 80%. This refers to strengthening the responsibility for the state's basic pension payment and reducing local governments' financial burden with poor economic conditions. This study proposed new ways to finance the existing basic pension, insisted on strengthening the state's financial burden proportion compared to the current one, and examined ways to reduce the burden on local governments with poor economic conditions. Raising the state burden ratio for basic pension payments is expected to have a positive effect. It can ease the burden on local finances for basic pension payments and promote the soundness of local finances. The adjustment of the financial burden of the basic pension is positive in that it presents a new perspective on the financial resources of the basic pension and is significant in that it can reduce the burden on local governments as well as look at reasonable ways to become a more robust basic pension system by expanding the financial resources of the basic pension.

      • KCI등재

        전국 기초지방자치단체의 장애인 체육진흥 조례 결정요인 분석: 경제적, 사회적, 지리적 요인을 중심으로

        김경환 ( Kyung-hwan Kim ) 한국특수체육학회 2020 한국특수체육학회지 Vol.28 No.1

        이 연구는 기초지방자치단체의 장애인 체육진흥 조례 여부를 결정하는 요인이 무엇인지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독립변수로 경제적 요인, 사회적 요인과 지리적 요인을 나누어 구분하였고 각 요인들을 GRDP, 재정자립도, 등록장애인 비율과 인접기초지방자치단체 조례 수로 조작화하였다. 종속변수는 기초지방자치단체의 장애인 체육진흥 조례 채택 여부로 설정하였다. 관련 자료수집을 위해 국가법령정보센터, 통계청 및 각 광역지방자치단체의 홈페이지를 활용하였고 기초지방자치단체의 장애인 체육진흥 조례 채택 여부를 결정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이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진행하였다. 분석 대상은 전국 226개의 기초지방자치단체이다. 이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경제적 요인으로서 GRDP와 재정자립도는 기초지방자치단체의 장애인 체육진흥 조례 채택 여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사회적 요인인 등록장애인 비율도 종속변수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러나 셋째, 지리적 요인인 인접 기초지방자치단체의 조례 수는 종속변수에 유의하게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책확산이론에 근거하여 외부적 요인으로 인한 정책선택의 가능성이 크다는 것을 보여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장애인 체육진흥 조례가 없는 기초지방자치단체로 하여금 조례제정 가능성을 열게 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aims to analyze what are the main factors that affect decisions of basic level local autonomous governments in Korea about whether to enact an ordinance on the promotion of physical exercise of disabled people. This research adopted three independent variables-economic, social and geographical factors- each of which was operationalized into the gross regional domestic product(GRDP) of basic level local autonomous government, its financial independence rates, registration rates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and the number of relative ordinances in neighboring basic level local autonomous governments. As a dependent variable, it was considered whether an ordinance on the promotion of physical exercise of disabled people existed in the basic level local autonomous governments. This study used publication and statistics from the National Law Information Center, the National Statistical Office and the websites of metropolitan governments. Also, binary logistic regression was used in order to identify the factors that affect the existence of a relative ordinance in the basic level local autonomous governments. A total of 226 basic level local autonomous governments nationwide were surveyed.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ly, the economic factor-the GRDP and the financial independence rate-did not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 dependent variable. Secondly, the social factor- the ratio of the registered disabled-did not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 dependent variable, either. Lastly, geographical factor-the number of relative ordinances in neighboring basic level local autonomous governments-was found to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 dependent variable. This suggests that the possibility of policy selection due to external factors are highly based on policy diffusion theory. These research would have implications for basic level local autonomous governments not yet equipped with a relative ordinance as its findings provide a direction for the enactment of such an ordina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