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미술교육 공적개발원조(ODA) 사례 분석을 통한K-문화예술교육 활성화 방안

        김형숙,이재예 한국미술교육학회 2023 美術敎育論叢 Vol.37 No.3

        본 연구는 과거 교육 원조국에서 공여국으로 승격한 우리나라의 문화예술교육 공적개발원조(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ODA)발전 방향 모색을 위해 한국-네팔 미술교육 ODA 프로그램을 논의 및 분석하고, 여기서 도출한 시사점을 토대로 ‘K-문화예술교육 플랫폼’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첫째, 지속가능한 상호 발전을 위한 대면, 비대면 교류 채널 다원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둘째, 문화예술교육 ODA 기초 연구가 부족한 상황에서 자료 수집 및 분석 방법을 토대로 지속가능한 교류방안을 제안하였다. 셋째, 미술교육프로그램 기획과 종결 후 향후 발전을 위해 참고할 수 있는 문화예술교육 ODA 평가지표를 개발하였다. 문화예술교육ODA에 대한 기초자료 및 연구가 부재한 상황에서 경험에 기반해 발전 방향을 제시하는 본 연구는 선진국형 ODA에 다가서는데 이바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is study discusses the Korea-Nepal Art Education ODA program in which researchers participated to find a direction for the development of Korea's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ODA). Global happiness and citizenship are emphasized in preparation for future situations where various disruptions are expected, such as refugee issues, climate change, and the development of rapidly developing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and culture and arts education ODA is drawing attention. In this situation,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n education platform so that people around the world can understand Korea's culture and arts education, which has been proven by the popularity of K-syndrom, across the boundaries. The researcher visited an elementary school in Nepal where there was no art curriculum, conducted art education for all grades, and conducted workshops on art curriculum and works for local teachers. Teachers showed a change in perception of the art subject and expected to interact in the long run. Based on these experiences and existing ODA research data, a plan to revitalize ODA in sustainable culture and arts education was proposed. First, it is the diversification of exchange channels for continuous exchange, second, the collection of various data for basic research, and third, the development of evaluation indicators for self- evaluation. In the absence of basic data and research on culture and arts education ODA, this study, which presents the direction of development based on experience,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approaching advanced ODA.

      • KCI등재

        문화예술교육사 제도 정립을 위한 전문예술교육가(TA) 해외 사례 연구

        이주연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2012 미술교육연구논총 Vol.33 No.-

        According to the enforcement of The Decree of the Arts & Cculture Education Assistance Act and Rules of 2012 for ‘arts & culture educator’ in Korea, there should be a variety of plans and researches followed in order to establish its system. This study, as one of the commissioned works by ‘Korean Arts and Culture Education Service’, was benchmarking similar overseas cases of TA(AT) systems in the matter of qualification, education,career, local or national support, assignment and etc, in order to present implications and possibilities. It was found that one of the most important elements in TA’s success in overseas cases was well-built community-based networking systems based on close cooperation within TA,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local organizations. Also, a human resource management services were effectively afforded to provide useful information. Despite consistent world economic recession, there were various efforts found to create a new job position for TA. In conclusion, inspection and development of curriculum and instructional methods, selection of training institutions,qualification standard for getting 1^(st) or 2^(nd) degree, building networking system local and nationwide, job creation, work program, and consistent support for arts & culture educators, should be considered altogether for the success of arts & culture educators in Korea. 2012년 문화예술교육지원법 시행령이 개정·시행되고 문화예술교육지원법 시행 규칙이 신규 제정됨에 따라, 문화예술교육사 제도 정립을 위한 다양한 모색이 진행 중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시도 중의 하나로, 우리나라의 문화예술교육사와 유사한 해외의전문예술교육가(Teaching Artist, TA) 사례를 벤치마킹하고, 이를 통해 우리나라문화예술교육사의 성장 가능성과 발전 방안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해외의 경우 국가 혹은 지역사회-예술단체-교육기관-TA간 네트워킹을 기반으로긴밀한 협력 체계를 이루고 있었으며, 인적 관리 관련 정보 서비스를 제공하기 때문에지속적인 관리와 지원이 가능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지역사회에 공헌한다는 책임감으로 자신의 교수법을 개선하고자 다양한 형태의 세미나, 워크숍, 학술대회에 참석하는 등 자기개발에 힘쓰는 TA들도 발견할 수 있었다. TA 관련 가장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것은 예술 관련 단체나 협회, 학회, 예술교육연합회, 교육기관, 기타 사회기관 등이었으며, 세계적인 경제 불황에도 불구하고 이들을 중심으로 TA의 활동 영역을개척, 확장하기 위한 다양한 노력들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해외의 다양한 사례를 기반으로 우리나라의 문화예술교육사 양성을 위한 체제 및 교육과정의 점검과 더불어, 예술가로서 지속적인 힘을 지닐 수 있도록 다양한 배려와 지원이 요구되는 바이다.

      • KCI등재

        학습자의 심미적 정서 유발을 위한 교사의 역할 - 비고츠키(Vygotsky) 예술심리학을 중심으로 -

        김정은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2022 한국초등국어교육 Vol.74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role of the teacher in evoking the aesthetic emotions of learners in literature education. For this purpose, the concept of aesthetic emotion in narrative communication was examined with Vygotsky’s Psychology of Art, and the necessity of literary education was confirmed in the process of developing the aesthetic emotion of children’s readers. This study looked at the origin of aesthetic emotions in children’s and youth literature works and further explored the role of teachers to evoke learners’ ‘aesthetic emotions’. As a result, aesthetic emotions arise when the emotions arising from the materials and forms of art cause conflicts and contradictions with each other. It is a state of transformation (catharsis) into a new state of emotion that has not been experienced at the previous level of consciousness. It is the driving force and higher mental function to expand the existing perception and perception in a broader and deeper way than before. Teachers should help children’s readers to recognize the emotions arising from the materials and forms of children’s and youth literature by dynamically interacting with the text. Teachers can use points of conflict between ① the event and the style, ② the event and the narrator’s voice, and ③ the character and the narrator’s voice. In order to induce the learner’s aesthetic emotions, first, the teacher should guide the learner to easily understand the confrontation of the elements involved in the point of contradiction and conflict. Second, at the point where the materials and forms of literary works contradict each other, it is necessary to provide a linguistic stimulus to maximize and feel the opposing effects of the forms. Third, teachers should provide various linguistic assistance including their own thinking processes so that the unconsciously formed emotions in the process of constructing new thoughts and emotions through emotional conflict are materialized in the learners’ consciousness. 이 연구는 문학교육에서 학습자의 심미적 정서 유발을 위한 교사의 역할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비고츠키의 예술심리학을 중심으로 서사 소통에서 심미적 정서의 개념을 고찰하고 아동독자의 심미적 정서 발생 과정에서 문학교육의 필요성 을 확인하였다. 또한 아동⋅청소년문학 작품에서 심미적 정서의 발생 지점을 살펴보고 나아가 학습자의 ‘심미적 정서’를 유발하기 위한 교사의 역할을 언어적 조력의 측면에서 모색해보았다. 심미적 정서란 예술의 재료와 형식에서 발생하는 정서가 서로 갈등과 모순을 일으킴으로써 발생한다. 이전의 의식 수준에서 경험하지 못했던 새로운 상태의 정서로 변모된 상태(카타르시스)이다. 기존의 지각과 인식을 이전보다 폭넓고 깊이 있게 확장해 나가게 하는 동력이자 고등정신기능이다. 교사는 아동독자가 텍스트와 역동적으로 상호작용함으로써 아동⋅청소년문학 작품의 재료와 형식에서 비롯되는 정서를 인식할 수 있도록 ① 사건과 문체 ② 사건과 서술자의 목소리 ③ 인물과 서술자의 목소리 사이의 갈등 지점을 활용할 수 있다. 학습자의 심미적 정서를 유발하기 위해 교사는 첫째, 모순과 갈등의 지점에 관여하는 요소들의 대립을 학습자가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안내해야 한다. 둘째, 문학작품의 재료와 형식이 모순되는 지점에서 형식이 유발하는 상반된 효과를 극대화하여 느낄 수 있도록 하는 언어적 자극을 제공해야 한다. 셋째, 정서적 갈등을 통해 새로운 사유와 정서를 구성하는 과정에서 무의식적으로 형성된 정서가 학습자의 의식에 구체화되도록 교사는 자신의 사고 과정을 비롯한 다양한 언어적 조력을 제공해야 한다.

      • KCI등재

        대학생의 국제개발협력과 세계시민교육에 관한 인식연구

        김하늬,김영환,박정선 한국교양교육학회 2021 교양교육연구 Vol.15 No.3

        This study was conducted to understand the overall perceptions of university students toward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IDC) and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The results, based on survey data, are as follows. First, university students agreed on the necessity of pursuing the goals of IDC and ODA projects. They reasoned that because South Koreans had benefited from foreign aid, they had a moral responsibility to contribute to the welfare of other developing countries. The students presented a high degree of agreement on the effectiveness of IDC projects in solving global problems, but they showed reluctance to the enlargement of the projects. The study revealed that the students were less aware of “2030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SDGs)” Second, the study showed that undergraduates were willing to participate in IDC projects and global citizenship educations. From a macroscopic point of view, they showed an eagerness to help the poor in developing countries and be engaged in IDC projects due to their global concerns. From a microscopic view, they wanted to fulfill their sense of moral responsibility by participating in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which they believe might help them find a job and develop their career. Third, undergraduates recognized that universities lack proper education on IDC and need to be equipped with a more enforced educational programs. Some of the students expected to receive multifaceted and up-to-date information on IDC via liberal arts courses.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국제개발협력과 세계시민교육에 대한 전반적이고 종합적인 인식을 파악하기위하여 설문조사를 통해 이루어졌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들은 국제개발협력 및 대외원조의 필요성에 찬성하며, 그 이유로는 과거 우리나라도원조 혜택을 받았고, 도의적 인도적 책임감을 꼽고 있다. 국제개발협력이 국제사회문제 해결에 실질적으로 도움이 된다는 높은 효과성에 비해 대외원조 규모 확대에 대한 찬성도는 낮은 편으로 나타났다. 또한 “2030 지속가능개발목표(SDGs)에 대해서는 낮은 인지도를 보였다. 둘째, 대학생들은 국제개발협력과 세계시민교육에 참여 의사가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생들은 거시적으로 개발도상국의 어려운 사람을 돕고, 국제사회의 관심 때문에 국제개발협력에 참여를희망하였고, 미시적으로 자신의 만족을 충족시키고 진로 탐색과 취업준비의 일환으로 개발교육에 참여하고 싶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셋째, 대학생들은 세계시민교육이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고 있고, 대학생 대상 교육을 강화해야 한다고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다각적이고 최신의 정보를 대학 교양 교육으로 제공되기를 원하는 것으로나타났다.

      • KCI등재

        문화예술교육을 통한 공적개발원조(ODA)의 추진방향에 관한 연구

        황규홍,이병준,이유리· 한국문화교육학회 2016 문화예술교육연구 Vol.11 No.3

        그동안 우리나라는 국제적 위상제고와 경제개발의 노하우를 공유하기 위해 교육분야와 문화분야에서의 ODA를 적극적으로 추진해왔다. 최근에는 문화예술을 통한 국제교류를 확대하기 위해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을 중심으로 문화예술교육 ODA가 시작되고 있다. 그러나 문화예술교육 ODA는 주로 단발적인 프로젝트로 진행되면서 장기적인 전략이 부족하다는 문제를 드러내고 있다. 이에 문화예술교육 ODA의 방향성에 대한 검토가 필요한 시점이다. 본 연구에서는 교육분야 ODA와 문화분야 ODA에서의 현황과 쟁점들을 검토한 후 이를 토대로 문화예술교육 ODA의 추진방향에 대해 논의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교육분야와 문화분야 ODA의 현황이나 쟁점들을 다루고 있는 기존의 연구들과 관련 기관들의 자료들을 검토하였다. 연구 결과 우리나라의 교육분야와 문화분야 ODA의 경우 직업교육 위주, 프로젝트식 단기 운영, 자국 문화의 일방적 홍보라는 내용적 문제와 함께 추진체계의 미흡, 국가정책변화에 따른 일관성 부족 등의 문제가 있었다. 이를 참고로 문화예술교육 ODA가 지속가능한 사업이 되려면 기능위주의 예술교육이 아닌, 창조적 역량 개발과 시민성 함양 그리고 창조도시, 학습도시 조성 전략과의 연계를 도모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우리나라 예술강사 파견시스템의 문제점을 보완하고 다양한 영역의 전문가들과의 결합과 현지국가별 문화와 사회에 대한 토대연구들이 진행될 필요가 있다. So far South Korea has been actively promoting the ODA in the field of education and culture in order to share the know-how of the improvement and economic development. In recent years, in order to expand the international exchange through culture and arts, Culture and Arts Education Agency has been started the culture and arts education ODA. However through that the culture and arts education ODA has been proceeding mainly in a one-off projects the problem is represented that long-term strategy is not enough. It Is a time to be considered in the direction of this cultural and artistic education ODA. In this study, after reviewing the current situation and issues in the field of education ODA and culture ODA we intend discuss about the propulsive direction of culture and arts education ODA. For this study we considered the articles in the existing research and related organizations that are dealing with the current situation and the issue of education and cultural fields of ODA. As the results we found some problems that short-term operation as project-type, one-sided public promotions of our country's culture, shortage of consistent in the educational and cultural ODA. There is a necessary that cooperation with the construction strategy of creative city making and learning city making rather than the artistic education of the function oriented to make culture and arts education ODA to a sustainable project. And it is needed to complete the problems of the art lecturer dispatch system and combination of experts of various region. And there is necessary to basic research for another country's culture and society.

      • KCI등재

        특수교사와 특수보조원의 방과 후 미술치료 프로그램 참관과 참여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박보람 한국미술치료학회 2012 美術治療硏究 Vol.19 No.6

        This study aimed at learning the changes in the experiences and recognition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assistants before and after sitting and joining in the after-school art therapy classes through a qualitative study. In order to accomplish this goal, we selected 8 teacher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assistants in 5 elementary schools of the Seoul metropolitan area as the subjects of our study with their consent, and took a qualitative study by using Van Kaam's Phenomenological Qualitative Study Method. They took the art therapy 15 times for 15 weeks from the first week of March, 2012 to the second week of June, 2012. The results of our study are as follows. All of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assistants recognized the therapy as an activity of self-expressing based on the expectation from the experiences that they had before sitting and joining in the therapy. All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assistants reported that the capability of self-expression of the students in the therapy was improved, and this accorded with their expectation. Second, the student-centered approach for therapy acted as a powerful stimulus, and they made lots of mentions for the necessity of the student-centered approach for therapy. This changed their recognition and experience over the art therapy, and they began to think that skill-oriented art activity is just a tool and the art therapy has a further goal. 본 연구는 특수교사와 특수보조원의 특수학급 방과 후 미술치료 프로그램 참관과 참여 경험에 관한 질적 분석을 통해 참관과 참여 이전과 과정, 그리고 이후의 미술치료에 대한 참관과 참여 경험 및 인식의 변화를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서울지역 5개 초등학교의 특수교사와 특수보조원 8명을 대상으로 면담을 실시하였고, 미술치료 프로그램 참관과 참여 경험은 2012년 3월 첫째 주부터 6월 둘째 주까지 총 15주 15회기였다. 연구 방법으로는 Van Kaam의 현상학적인 질적 연구 방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미술치료 프로그램 참관과 참여 이전 8명의 특수교사와 특수보조원들은 모두 미술치료를 자기표현을 위한 활동으로 기대하고 있었고, 이는 미술치료 참관과 참여 경험 이후에서 미술치료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들의 자기표현이 향상되었음을 보고함으로써 미술치료에 대한 특수교사와 특수보조원들의 기대를 전원 만족시키는 결과를 가져왔다. 둘째, 학생중심의 미술활동 및 치료적 접근은 특수교사와 특수보조원들에게 새로운 자극이 되어 많은 사례에서 학생중심 미술치료의 중요성을 언급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특수교사와 특수보조원들의 미술치료에 대한 참관과 참여 경험의 변화를 가져왔고, 기법을 사용한 미술활동은 단지 매개물이며 미술치료는 그 이상의 목표와 목적을 가진다는 인식의 변화를 보여주었다.

      • KCI등재

        Exploring the Role of a Graduate Teaching AssistantThrough Self-Reflective Journals in an Art College

        고진영,김보람 한국국제미술교육학회 2024 미술과 교육 Vol.25 No.2

        This case study explores a college-level art curriculum centered on maximizing the impact of Graduate Teaching Assistants (GTAs). It demonstrates significant engagement through comprehensive involvement and collaborative data collection, incorporating the introspective journal entries of a co-researcher GTA. The study emphasizes the need to enhance GTAs’ contributions for an enriched educational experience in art classes. It delves into the roles and efficacy of GTAs in higher education, focusing on their reflective journeys and collaborative learning experiences. The impact of reflective practices on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teaching methodologies is highlighted, advocating for an integrative approach to pedagogical training that fosters both personal growth and educational excellence. The reflective journals clearly show the importance of building GTAs’ self-efficacy, underlining the necessity for consistent mentorship and targeted workshops to refine communication skills and teaching methods. Fostering a collaborative atmosphere encourages engagement among GTAs and students and facilitates the exchange of diverse perspectives. Leveraging the varied strengths of GTAs, including their backgrounds, is essential for educational enhancement.

      • KCI등재

        Bandura의 모델링 이론을 적용한 영상미술 교육프로그램 개발과 실행연구

        이시연,심지영 한국국제미술교육학회 2022 미술과 교육 Vol.23 No.2

        본 연구는 학교 교육현장과 괴리된 융합미술교육의 문제점을 검토하고 이에 대한 대안을 모색하기 위한 연구의 일환이다. 디지털 세대의 영상중심 생활양식을 반영하고 학교현장에서 활용도가 높은 미술 교육의 질적 성장을 도모하기 위한 미술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 검증에 목적을 두었다. 문헌연구를 통해 연구의 범위를 설정하고 학습자 요구 분석과 학습환경에 따른 프로그램을 설계한 후 실행연구를 진행하였다. 자료수집과 분석은 혼합연구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130명의 연구대상자의 진로자기효능감과 영상제작 이해도를 양적 연구 분석하였고, 6명의 표본추출 대상자의 심층면담을 코딩화 작업을 통해 질적 연구 분석하였다. 최종 프로그램은 영상미술의 현장활용도를 제고하고 교사의 부담감을 줄일 수 있도록 스마트 기기와 영상편집 어플리케이션을 학습매체로 선택하였다. 영상미술과 진로교육을 융합하는 데에 효과적인 Bandura의 모델링(modeling) 이론을 적용한 수업단계로 설계하였으며 코로나19 학습환경을 고려한 블렌디드 교수법(blended learning)과 온라인 동영상 플랫폼 유튜브 비평 활동을 적용하였다. 실행연구 결과 연구대상자의 진로 자기 탐색 효능감, 진로 수행 효능감, 진로 결정 효능감, 영상 제작 이해도가 모두 향상된 것을 볼 수 있었으며, 질적 연구에서는 시대(기술)의 반영, 학습환경의 변화, 진로교육을 융합한 새로운 미술교육 패러다임에 대한 긍정적 인식을 확인할 수 있었다.

      • 디지털 리터리시를 중심으로 21세기 문화예술교육의 변화와 개선 방안

        이다희(DAHEE LEE) 한남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23 사회과학연구 Vol.27 No.1

        21세기 디지털 시대의 도래로 인해 교육의 중심은 디지털 리터러시와 핵심 역량 교육으로 전환되고 있다. 이에 따라 문화예술교육도 디지털 환경에서 필요한 리터러시 이해를 기반으로 변화해야 할 것이다. 하지만 기술의 발전과는 별개로 한국 학생들은 디지털 리터러시 수준이 세계 최하위로 나타났으며, 문화예술교육의 온라인 참여도도 낮은 수준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본 연구는 문화예술교육의 디지털 환경 속에서 발전할 수 있는 협업 형태와 사례를 조사하고 개선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디지털 리터러시를 기반으로 한 통합 커리큘럼 개발과 맞춤형 프로그램 제공, 구글 아트앤 컬처를 기반으로 한 플랫폼 사례, 디지털 리터러시 교사 교육, 평가 및 피드백 활성화, AI 보조교사 시스템의 도입 등이 제시되었다. 이러한 방안들은 디지털 시대에 필요한 디지털 리터러시를 효과적으로 배우고 활용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또한, 예술교육을 통해 다양한 감각적 지각과 심미성을 활용하여 미래세대의 공존을 위한 예술교육을 실현할 수 있을 것이다. Correspondingly, cultural and artistic education needs to undergo changes based on the necessary understanding of digital literacy in the digital environment. Despite South Korea's reputation as an IT powerhouse, Korean students have exhibited the lowest levels of global digital literacy, while the participation rate in online cultural and artistic education remains significantly low. To address these issues, this study investigates collaborative forms and cases for the advancement of cultural and artistic education in the digital environment and proposes improvement strategies. The suggested measures encompass the development of integrated curricula rooted in digital literacy, provision of tailored programs, exploration of the Google Arts and Culture platform as an exemplar for online cultural and artistic education, training for teachers in digital literacy, and the implementation of assessment and feedback processes. These approaches will facilitate effective learning and utilization of digital literacy skills in the digital era. Additionally, by integrating diverse sensory perceptions and aesthetic sensibilities, art education can foster a future-oriented cultural and artistic learning environment that promotes coexistence among younger generations.

      • KCI등재

        고전 서사 텍스트의 수용 방식에 대한 연구 -예술대학생의 읽기 능력을 대상으로-

        서승아 ( Seung Ah Seo ) 한국텍스트언어학회 2014 텍스트언어학 Vol.37 No.-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prove relation of reading competence and arts production. For this, researcher took notice of lexical competence as the reading condition. Because the object of this research is with the artistic arm of the college, professors must approached the object differently and prudently for supporting their reading or writing. Students followed teacher’s guide that had started to read the full text for reasoning from the meaning of the title. Researcher implemented silent reading test for finding how to draw text-units in undergrates’ mind. They constructed sentences with center vocabulary and assistant vocabulary in the text. Their memory showed the narrative structure in that. In addition, professor leads them to think the value of text with background knowledge, they have to select text-units at the lexicon layer in subordinate meaning categories of text. Undergrates remembered the narrative spread process by making out the meaning relation elaborately among selected lexicons. Consequently, researcher found the fact that text reading competence and lexical competence are corelated through this study. Specially, the classical literature reading support producing artistic things because classics possess the source of creative thinking. And creative thinking come out from critical reading. So, when professors give aristic classes, they must listen to undergrates’ questions serious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