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청소년의 식생활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김다정,강혜정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18 농촌경제 Vol.41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food consumption behavior of adolescents by the socio-economic factors of households and to analyze the factors affecting the satisfaction of adolescents' eating habits. This paper used raw data of 'Food Consumption Behavior Survey in 2015' conducted by the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In order to analyze the factors affecting the satisfaction of adolescents' eating habits, an ordered probit model was us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factors affecting adolescents' diet satisfaction were age of food purchaser in the household, household income, and the number of household members. In addition, the main food purchaser's interest in health, the regular eating habits, the number of times adolescents did not eat breakfast for a week, and the fruit snack consumption also affected satisfaction. The higher the age of food purchasers, the greater the number of household members, the lower the tendency of the adolescents to be satisfied with their diet and the higher the monthly average income of the households, the more the adolescents were satisfied with their diet.

      • KCI등재

        소비자의 식품위해불안이 식품표시 확인과 안전표시식품 구입에 미치는 영향:

        전상민(Jun Sang min) 한국소비문화학회 2017 소비문화연구 Vol.20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소비자의 안전표시 지식수준에 맞게 식품위해불안에 효과적으로 대처하고, 안전한 식품 구입을 증대시킬 수 있는 실효성 높은 식품표시제도 운영 방안을 제안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식품위해불안이 식품표시 확인과 안전표시식품 구입에 미치는 영향력이 안전표시 지식수준에 따라 어떻게 다른지 차이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농촌경제연구원에서 제공하는 2015 식품소비행태조사 자료를 사용하여 다중집단 확인적 요인분석과 다중집단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식품위해에 대한 소비자 불안이 식품표시 확인에 미치는 영향은 안전표시 지식수준이 높은 집단에서는 유의하지 않았고, 지식수준이 낮은 집단에서는 정적으로 유의하여 차이를 보였다. 또한, 식품위해불안이 안전표시식품 구입에 미치는 영향은 모든 집단에서 정적으로 유의하였고, 안전표시 지식수준이 높은 집단의 영향력이 안전표시 지식수준이 낮은 집단의 영향력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식품표시 확인이 안전표시식품구입에 미치는 영향은 두 집단 모두에서 정적으로 유의하였고, 안전표시 지식수준이 높은 집단의 영향력이 낮은 집단의 영향력보다 더 크게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식품위해로부터 소비자를 보호하고, 식품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한 효과적인 식품표시제도 운영 방안과 소비자교육 방안 수립에 유용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s to propose an effective operating plans for food labeling system that can successfully cope with consumer anxiety about food hazards and enhance safe food purchase in accordance with consumer s knowledge level on safety labeling. We tested the difference of the influence of consumer anxiety about food hazards on food label use and safe food purchase depending on the knowledge level of safety labeling. Data obtained from the 2015 Food Consumption Survey, conducted by the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were used. Multi-group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multi-group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ere performed. Results showed the influence of consumer anxiety about food hazards on food label use was not significant in the groups with high knowledge about safety labeling, but was significantly positive in the groups with low knowledge of safety labeling. Further, consumer anxiety positively affected safe food purchase in both groups, with purchases by those with high knowledge of safety labeling more strongly affected than those with low knowledge. Lastly, food label use positively affected safe food purchase in both groups, but the influence of the groups with high knowledge was stronger than that of the groups with low knowledge. Based on these results, the study proposes effective operating plans of food labeling system and consumer education strategies for protecting consumers from food hazards and ensuring food safety.

      • KCI등재

        청소년의 가정간편식 구입지출 변화와 식생활 만족도에 대하여속성 만족도가 미치는 영향: 성인과의 차이 검증을 중심으로

        전상민 한국소비문화학회 2017 소비문화연구 Vol.20 No.4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Korean adolescents' diets and propose rational plans for food consumption for them. We explored the consumption patterns of home meal replacements (HMRs) and tested how satisfaction with their attributes influenced HMR purchasing changes and adolescent’s dietary satisfaction compared to adults. We used data from the 2015 Food Consumption Survey that sampled 642 adolescents and 5830 adults and multi-group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is showed that adolescents bought HMRs more frequently and spent more on yearon- year purchases than adults spent. Adolescents were found to buy HMRs at convenience stores rather than large discount stores and to eat in the stores instead of at home. Adolescents purchased HMRs because they tasted good, but they did not buy them when the price was high, whereas, adults bought HMRs because of a lack of time and the trouble of cooking at home, but they did not choose them when they lacked taste. Adolescents showed high levels of convenience and taste satisfaction and low levels of nutritional and safety satisfaction for HMRs including higher taste and price satisfaction than adults. For adolescents, only price satisfaction of HMRs positively influenced purchasing changes, and increasing rates of HMRs purchased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the adolescent’s satisfaction with their diets. In comparison, for adults, satisfaction with HMR price, taste, and convenience increased purchasing changes for HMRs, and increasing rates of HMRs purchased negatively affected the adult’s satisfaction with their diet. Based on these results, we suggest strategies for product improvement and labeling of HMRs and consumer education plans that are useful for the rational and satisfactory diets of Korean adolescents.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가정간편식 소비행동을 탐색하고, 청소년의 가정간편식 속성 만족도가 가정간편식구입변화 및 식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성인과 비교하여 청소년의 식생활을 이해하고, 합리적인 식생활 소비지원 방안을 제안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2015 식품소비행태조사」의 청소년 642명 및 성인 5830 명 자료와 다중집단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청소년이 성인보다 가정간편식을 더 자주구입하고, 전년 대비 구입지출도 더 많이 증가하였으며, 대형할인점보다 편의점에서 간식용으로 구입하여 집이아닌 해당 매장에서 먹는 것으로 나타났다. 청소년은 맛이 좋아서 가정간편식을 자주 구입하고, 가격이 비싼 경우 구입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성인은 시간이 부족하고 귀찮아서 구입하고, 맛이 없어서 구입하지 않아대조적이었다. 청소년은 가정간편식의 편의, 맛 만족도가 높고, 영양과 안전 만족도가 낮았고, 성인보다 맛, 가격만족도가 높았다. 청소년은 가격 만족도만이 구입지출 변화에 정적 영향을 미쳤고, 구입지출 변화는 식생활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은 반면, 성인은 가격, 맛, 편의 만족도가 구입지출 변화에 정적 영향을 미쳤고, 구입지출 변화는 식생활 만족도에 부적 영향을 미쳤다. 이를 근거로 본 연구는 청소년의 바람직하고 만족스러운 식생활을 위한 가정간편식 제품 개선과 식품표시, 청소년 소비자교육 방안 수립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였다.

      • KCI등재

        단독가구의 가정간편식 선택속성 만족도가 구입행동 변화와 식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다인가구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

        전상민 한국소비자정책교육학회 2016 소비자정책교육연구 Vol.12 No.3

        최근 단독가구가 우리 사회의 주된 가구 유형으로 자리 잡으면서 가정간편식 소비도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본 연구는 단독가구의 가정간편식 구입과 관련하여 식생활 만족도 제고를 위한 제품 개발 및 소비자교육․지원 방안을 제안하기 위하여 단독가구의 가정간편식 선택속성 만족도가 구입행동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이를 다인가구와 비교하였다. 이를 위하여 한국농촌경제원 2015 식품소비행태조사의 성인 가구원 5830명 자료를 사용하여 교차타당성 검증과 다중집단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단독가구의 경우, 가정간편식 편의 만족도가 구입행동 변화에 정적 영향을 미치고, 가정간편식 구입행동 증가는 식생활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이와 대조적으로 다인가구의 경우에는 가정간편식의 맛 만족도와 가격 만족도, 편의 만족도가 구입행동 변화에 정적 영향을 미쳤고, 가정간편식 구입행동 증가는 식생활 만족도에 부적 영향을 미쳤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단독가구의 가정간편식 구입행동 변화의 원인을 다인가구와 비교하여 제시하고, 단독가구의 식생활 만족도 향상에 기여하는 가정간편식 개발 및 소비자 교육․지원 방안 수립에 유용한 기초자료를 제시하였다. As one-person households become a major household type in Korea, home meal replacement (HMR) consumption has been increasing. This study aims to propose useful marketing strategies and consumer education plans about HMR, in order to enhance the dietary life satisfaction levels among one-person households. We tested how satisfaction with HMR attributes influenced purchase changes for HMR among one-person households compared with multi-person households. We analyzed data from the 2015 Food Consumption Survey, which was conducted by the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A total of 5830 responses were analyzed using a cross-validation test and multi-group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e found that, among one-person households, satisfaction with the convenience of HMR positively affected the purchase changes for them, and increasing rates of HMR purchase did not significantly influenced satisfaction with participants’ dietary lives. In contrast, taste, price, and convenience satisfaction regarding HMR positively affected changes in HMR purchasing, and increased levels of HMR purchasing negatively influenced dietary life satisfaction among multi-person households. Based on these results, the study suggests reasons of changes in HMR purchasing behavior compared to their multi-person household counterparts. In addition, effective HMR development plans and consumer education strategies are proposed for improving dietary life satisfaction levels among one-person household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