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공론장·의사소통행위 이론에 비추어 본 아카이브 플랫폼 기반 공공역사(public history)의 개념과 방법

        노명환 한국독일사학회 2024 독일연구 Vol.0 No.56

        본 논문은 역사이론에 관한 것으로 아카이브 플랫폼 기반 공공역사에 관한 것으로 주제의 배경으로서 독일현대사와 깊은 관련이 있다. 공공역사(public history)란 무엇인가? 왜 해야 하는가? 어떻게 해야 하는가? 하는 질문을 두고 많은 논의들이 이루어져 오고 있다. 공공역사의 개념을 알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공공역사의 실체가 들어서는 시기와 전개되어 오는 과정 및 양상을 사학사적인 관점에서 파악·분석하는 것이 의미 있겠다. 그런데 필자는 이와 함께 하버마스(Jürgen Habermas)의 공론장과 의사소통 행위 이론에 비추어 봄으로써 공공역사의 개념과 의의 및 방법을 한층 더 깊고 넓게 정립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왜냐하면 공공역사는 근본적으로 공론장의 성격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이다. 역사를 이해하고 역사의 방향을 잡는 가는데 있어서 공론장의 사회가 중대한 역할을 할 수 있다. 여기에서 우리는 공공역사를 공론장 속에서 전개되는 역사로 이해하고, 그것의 방법은 의사소통 행위로 볼 수 있다고 생각된다. 공공역사에서 말하는 공공성 및 참여성이란 공론장의 성격과 상통한다. 기록관리와 기록학에서도 큰 변화가 일어나 붐스의 사례에서 보듯이 기록물의 평가 기준을 공론장과 여론에서 찾고자 하는 움직임이 일어났다. 이는 그의 후속 세대들에 의해 보다 체계화되었다. 특히, 디지털 시대의 전개와 함께 이들은 공론장을 위해 아카이브 플랫폼의 사회적 역할에 초점을 맞추기 시작했다. 이러한 상황 전개는 아카이브 플랫폼 기반 공공역사를 가능하게 하는 주요 배경들이 되어 주었다. 자본주의 사회의 진척과 함께 와해의 방향인 공론장의 구저변동을 보던 하버마스는 디지털 플랫폼 시대를 새로운 공론장의 구조변동으로 진단했다. 디지털 플랫폼은 무엇보다도 사실의 왜곡을 막을 수 없다고 보고 하버마스는 매우 큰 우려를 표하고 비관적인 전망을 제시한다. 필자는 아카이브 플랫폼을 통해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비전을 제시하고, 아카이브 플랫폼에 기반한 공론장의 발전을 내다 본다. This paper is about historical theory and public history based on an archive platform, and is deeply related to modern German history as the background of the topic. What is public history? Why should we do it? What should we do? There has been a lot of discussion about this question. In order to understand the concept of public history, it would be meaningful to understand and analyze the period when the entity of public history was established and the process and aspects of its development from a historical perspective. However, the author believes that the concept, meaning, and methods of public history can be established more deeply and broadly by reflecting on Jürgen Habermas's theories of public sphere and the communicative action. This is because public history fundamentally includes the nature of a public sphere. A society of public opinion can play an important role in understanding history and determining its direction. Here, we understand public history as history unfolding in the public sphere, and its method can be seen as an act of communication. Publicness and participation in public history are consistent with the nature of the public sphere. There was a great change in archival science, and as seen in the case of Hans Booms and his subsequent generations. They led a movement to find standards for evaluating records in the public sphere and public opinion. In particular, with the development of the digital age, they began to focus on the social role of archive platforms for the public sphere. This development of the situation became the main background that made public history based on an archive platform possible. Habermas, who saw changes in the public sphere in the direction of collapse along with the progress of capitalist society, diagnosed the digital platform era as a new structural change in the public sphere. Habermas, who believes that digital platforms cannot prevent the distortion of facts above all else, expresses great concern and presents a pessimistic outlook. The author presents a vision for solving these problems through an archive platform and foresees the development of a public sphere based on the archive platform.

      • KCI등재

        역사드라마의 변천과 특성

        주창윤 한국극예술학회 2017 한국극예술연구 Vol.0 No.56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uggest the classification of period over the 50 years in Korean television historical dramas. This research classifies the historical dramas at five periods, considering generic development and social context. First, it is called as 'the period of watching old stories and general education' from 1964 to 1971. Television historical dramas were strongly influenced by historical films and radio dramas which were popular in those days, dramatizing classic novels and legends in melodramatic conventions. Second, it is defined as 'the period of competition and dominant ideology production' from 1972 to 1982. Historical dramas were programmed from weekday series to daily series, focused on historical probability. Though the government forced the broadcasters to produce historical dramas to represent a historical view of a nation as a dominant ideology, these kinds of dramas were firmly excluded by the mass. Third, historical dramas have tended to 'pursuit historical facts' in 1983~1990, taking a perspective of historical records. In these days, as color television broadcasting was started, television historical dramas kept enlargement and promoted location production beyond studio production. This period is named as the history-based times. Fourth, 'the period of depression and groping' came on 1991~1999. The production of historical dramas was in depression, and historical dramas were not popular any more. The final period is considered as drama as imagination from 2000 to the present. Imaginative historical dramas have been popular, blending a wide range of conventions and inventions from trendy drama, melodrama and action drama. In addition, historical backgrounds have expanded to ancient history or the Koryo Dynasty. 이 연구의 목적은 지난 53년 동안(1964~2016) 역사드라마의 진화과정에서 각 시기별로 어떤 특징들이 있는가를 논의하는데 있다. 이 연구는 외재적 변화와 내재적 발전이라는 두 가지 관점에서 역사드라마의 시기를 구분했다. 지난 50여 년 동안 한국 역사드라마는 5단계를 거쳤다. 첫째, 1964년~1971년은 ‘옛 이야기와 교양의 시기’다. 역사영화와 라디오 역사드라마의 인기가 텔레비전 역사드라마 구성에 영향을 미쳤고, 역사드라마는 주간연속극 형식의 멜로드라마로 제작되었으며, 허구적 역사서술이 두드러졌다. 둘째, 1972년~1982년은 ‘경쟁과 국민계도의 시기’다. 역사드라마의 형식이 주간연속극에서 일일연속극으로 바뀌었고, 역사드라마 장르의 경쟁력은 커져갔다. 역사드라마의 서술방식은 허구적 서술에서 벗어나서 인물중심의 개연적 서술로 바뀌었다. 정권은 유신체제의 민족사관론을 강요했지만, 목적극은 대중성을 얻는데 실패했다. 셋째, 1983년~1990년은 ‘사실(史實) 추구의 시기’이다. 제5공화국이 들어서면서 컬러 방송이 시작되었고 공영방송체제로 방송환경이 바뀌었다. 방송 프로그램이 대형화되었으며, 로케이션 촬영이 활발히 진행되었다. 역사드라마는 고증과 사료에 충실한 기록적 역사서술 방식을 취했으며, 일일연속극은 주중연속극으로 바뀌었다. 넷째, 1991년~1999년은 ‘침체와 모색의 시기’다. 역사드라마는 주중연속극과 주말연속극으로 편성되었으며, 역사드라마 제작은 침체기에 빠져 있었고, 대중들은 역사드라마를 외면했다. 다섯째, 2000년~2016년은 ‘상상의 역사서술 시기’다. 역사드라마는 정치나 방송환경의 외적변화보다는 장르 내재적 발전으로 상상의 역사를 묘사했다. 역사드라마의 인기는 높아지기 시작했으며, 표현방법과 연출도 새롭게 바뀌었다. 게다가 역사배경도 과거 조선 중심에서 벗어나서 고려시대, 고조선과 남북국 시대를 다룬 것들도 증가했다.

      • KCI등재

        역사드라마의 스토리텔링 전략과 반향 - ‘팩츄얼 드라마’ <임진왜란 1592>를 중심으로 -

        양근애 한국극예술학회 2017 한국극예술연구 Vol.0 No.56

        In the midst of the increase of historical storytelling, Imjin War 1592 televised on KBS 1TV appeared as a project which emphasized ‘historical facts’, claiming to be a ‘factual drama.’ Examining the process of planning, production and distribution of this drama, this paper tries to draw singularity of Imjin War 1592 and considers strategies of current Korean historical dramas as well as their echoes. Imjin War 1592, a Korea-China joint venture drama is based on historical records and related researches. The production crew stresses historical factuality of this drama naming these stylistic characteristics as ‘factual drama.’ Actually in this drama, intention to present historical facts by the style of documentary stands out more than the drama that develops the story by the dramatic plot. And this drama imparts a new meaning to Imjin War as the first international war occurred in East Asia. Accordingly, this drama has distinct position among other dramas treating Imjin War by additional historical facts from China who co-produces the drama. Historical dramas are not still free from historical research, distortion of facts, and discussion about probability and reality between 'history' and 'drama'. ‘Factual drama’ that Imjin War 1592 suggests newly in Korea is an attempt to emphasize historical facts more than fictional dramas. Achievement and limit of Imjin War 1592 are an example which indicates the present state of Korean historical dramas floating between the antagonistic relationship of fact and imagination. 역사 관련 스토리텔링이 증가하는 가운데 KBS 1TV에서 방영한 <임진왜란 1592>는 ‘팩츄얼 드라마’를 표방한, ‘역사적 사실’ 자체를 강조한 기획으로 등장했다. 본고는 <임진왜란 1592>의 형식이 가진 독특성과 관점의 새로움에 주목하여 이 드라마의 기획, 제작, 유통, 소비 과정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현재 한국 역사드라마의 스토리텔링 전략과 그 반향에 대해 고찰하였다. <임진왜란 1592>는 한·중 합작 드라마로 『임진장초』, 『난중일기』, 『수조규식』 등 역사적 기록과 임진왜란 관련 연구들을 바탕으로 하여 만든 역사드라마이다. 제작진은 이와 같은 드라마의 양식적 특질을 ‘팩츄얼 드라마’로 명명하며 역사적 사실성을 강조한다. 실제로 이 드라마는 플롯을 통해 이야기를 극적으로 전개시키는 드라마보다 역사적 사실을 다큐멘터리 형식을 통해 제시하려는 의도가 더 두드러진다. 또한 <임진왜란 1592>는 임진왜란과 평양성전투를 16세기 동아시아에서 일어난 최초의 국제전(國際戰)의 관점에서 조명하고 있다. 이에 따라 공동제작을 한 중국의 역사적 사실이 추가 되며 한중일의 관계가 새롭게 재편되는 등 기존의 임진왜란 관련 드라마와 차별 되는 지점이 있다. 역사드라마는 ‘역사’와 ‘드라마’ 사이에서 고증과 사실 왜곡, 역사적 개연성과 리얼리티에 관한 논쟁에서 여전히 자유롭지 못하다. <임진왜란 1592>가 새롭게 제안하는 ‘팩츄얼 드라마’는 허구적 드라마보다 역사적 사실을 더 강조하고자 하는 의도를 드러낸 시도라고 할 수 있다. 이 드라마의 성취와 한계는 사실과 상상 사이의 길항 속에서 유동하고 있는 한국 역사드라마의 현주소를 가늠하게 해주는 사례라고 볼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사실과 이념 : 역사 담론의 지평에서

        박구용(Park Goo-Yong) 사회와 철학 연구회 2010 사회와 철학 Vol.0 No.20

        이 논문은 역사가 하나의 사실이 아니라 복수의 사실로 구성된다는 논증을 통해 사실과 이념의 경계에서 역사철학의 새로운 가능성을 찾고자 한다. 필자는 무엇보다 눈으로 볼 수 있는 것만을 보는 역사, 귀로 들을 수 있는 것만을 듣는 역사철학을 현실 긍정의 체계로 해석한다. 모든 형태의 이념을 부정하는 사실의 역사는 배제되고 감금된 사람들의 탄식과 비탄의 소리를 들을 수 없기 때문이다. 필자는 이 글에서 배제되고 감금된 것의 시선으로 역사의 사실을 되묻는 역사철학을 지향한다. 이를 위해 필자는 역사적 사실, 가상, 실재의 관계를 새롭게 규정하면서 랑케(L. v. Ranke)의 실증사학에 대한 비판을 시도한다. 이 과정에서 배제를 배제하는 사실로서의 역사를 사실과 이념의 상호 제약적 관계에서 찾는다. This article offers a new possibility in the historical philosophy through argument that the history is composed of not a single fact but plural facts from the boundary between the fact and the idea. Above all, I interpret history which only see what can see with eye and also historical philosophy which only hears what can hear with ear as a system of the reality affirmation. It is because the history of fact that negates all kind of ideology is unable to listen sigh and grief of the people who are excluded and confined. This paper is aimed at historical philosophy that ask again the fact of history with a view of the thing is excluded and confined. For this purpose, I tend to criticise positive history of L. v. Ranke, while I determine the relation of historical fact, imagination and reality with a new point of view. In this process, history as fact which excludes exclusion finds a possibility in the intercross constrained relation of the fact and the idea.

      • KCI등재

        역사전쟁을 성찰하며―정사(正史)·정통성(正統性)론의 함정

        홍석률 역사문제연구소 2019 역사비평 Vol.- No.128

        지난 역사전쟁은 주로 역사교과서 문제를 중심으로 진행되었다. 왜 역사교과서였을까? 아직도 한국사회에는 은연중에 역사교과서를 국가적 차원의 공식적인 역사서술 또는 일종의 정사(正史) 같은 것으로 보는 경향이 있다. 민주적이고 다원적인 사회로 갈수록 교과서의 기능과 역할은 절대화되기보다는 상대화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지난 역사전쟁의 과정에서 교과서는 더욱 절대적인 중요성을 부여받았으며, 나아가 국가 전체의 공식적인 역사서술로 오해되는 경향이 있었다. 단일한 국정역사교과서, 이른바 “올바른(正) 역사교과서”의 추진은 그 극단이었다. 이에 역사논쟁은 국가 정체성, 정통성 문제로 과잉 정치화, 이념화되었다. 친일/반일, 종북/반북의 이분법적 논리가 성행하고, 이승만·박정희 찬양론 대 악마론이 맞붙었다. 이는 역사논쟁에서 복합적이고 다원적인 역사인식의 실종을 가져왔고, 치열한 이념 논쟁 속에서 오히려 이념은 변질되거나 퇴행하였다. 시대착오적인 정사(正史)의 추구, 정통론적 역사인식이 중요한 원인이었다. The History Wars in South Korea were mainly centered on the issue of history textbooks. Why was it a history textbook? Still, Korean society tends to regard history textbooks in the schools as official historical writings or authentic history(正史) on a state level. Increasingly toward a democratic and pluralistic society, the function and role of textbooks tend to be relative rather than absolute. In the course of the past history wars, however, textbooks were given more absolute importance. The attempt by Park Geunhae government for a single state history textbook, the so-called “right history textbook”, was its extreme. History debates tended to be over-politicized and ideologicalized over the issue of national identity and state legitimacy. As a result, in the course of historical debate, historical perception has become narrower rather than expansive. The pursuit of anachronistic authentic history and orthodox recognition were important reasons.

      • KCI등재후보

        한일 상호 이해를 위한 역사교육연구의 새로운 경향 -한일 역사교사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를 중심으로-

        카마타 사토시 한국역사교육학회 2008 역사교육연구 Vol.- No.7

        이 논문은 일본과 한국 역사교육 담당교사의 역사인식과 역사의식, 역사교육의 내용과 방법에 대한 설문조사를 토대로, 한일 상호이해롤 위한 기초적 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조사 연구의 결과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점을 알 수 있었다. 첫째, 일본의 역사교육 담당교사들이 시험성적을 더 의식해서, 역사적 사실을 기억시키는 학습을 중시하고 있다. 둘째, 한국의 역사교육 담당교사들이 역사의 특성이나 역사를 배우는 의의를 중시하는 역사수업을 하고 있다. 이러한 조사 연구의 결과와 카마다의 선행 연구의 결과(한국의 중학생이 역사 용어를 더 잘 이해하고 있다는 것 등)에서, 한국의 역사교육은 역사를 배우는 의의나 의미를 이해시키면서, 역사 용어를 알게하는 것도 중시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반면, 일본의 역사교육 담당교사는 역사를 배우는 의의나 의미를 학생들에게 이해시키려고 하면서도, 눈앞에 닥친 시험의 압력 때문에 역사 수업의 내용과 방법에서 많은 고민을 하고 있다.

      • KCI우수등재

        독일의 디지털 역사학 현황

        문수현 역사학회 2018 역사학보 Vol.0 No.240

        If the digital humanities in North America are demonstrating a centrifugal force, the digital humanities in Europe are evaluated to be centripetal. In Europe, which is a relative latecomer when compared to the US, digitization is continuing mainly through government support. DARIAH, CLARIN, and a number of large-scale platforms such as EUROPEANA, a European digital culture platform with 3,500 institutions across Europe, and www-digitale-bibliothek, a German version of EUROPEANA, as well as many “International archives” were representative. Beyond such digitization of the historical materials, research in the field of “digital history” has been continuously published. The “Digital History” was created as a separate research group under the German Historians’ Association in the 2012. Although there is criticism that the digital history just resembles the existing quantitative approach or did not suggest a new historical methodology, it is undeniable that the Digital History already showed a number of meaningful research results. Ultimately, future historical researches should not be “either digital or analog” but rather “how much digital”. 북미의 디지털인문학이 원심력을 보이고 있다면 유럽의 디지털 인문학은 구심력을 보인다고 평가되고 있다. 미국에 비해 상대적으로 후발주자인 유럽의 경우 주로 정부지원을 통해서 디지털화가 이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DARIAH, CLARIN 등을 필두로 하여 유럽전역에서 3,500개의 기관이 참여한 유럽의 디지털문화 플랫폼인 EUROPEANA, 유로피아나의 독일판인 www-digitale-bibliothek 등 대규모 플랫폼들이 다수 개발되었고, “Intentional archive” 혹은 “thematic research archive” 등도 만들어졌다. 이와 같은 역사학 자료의 디지털화를 넘어서 “디지털 역사학” 분야의 연구들이 본격적으로 출간되고 있다. 디지털 역사학이 독일역사학계에서 얼마나 받아들여졌는지를 알려주는 지표는 독일역사학대회 발표문이라 할 것이다. 2012년 독일역사학대회에서 독일역사가협회 산하 연구그룹으로 “디지털 역사학”이 만들어졌고, 아직 경험적인 연구성과들이 많이 보이기보다는 여전히 방법론적인 모색과 논의에 집중하고 있는 상황이기는 하지만, 2012년부터 각각 4~6개 섹션을 확보해오는 등 성과를 보이고 있다. 구체적인 디지털인문학 연구 성과들은 Semantic web, Digitale Edition, GIS-Visualization, Text mining, Network analysis 등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이 글에서는 매핑 연구인 “1800년 이래 유럽 역사학의 디지털 지도”, 토픽 모델링과 텍스트마이닝 파트에서 “아동의 세계”, 네트워크 분석 관련해서는 베를린에 생존한 유대인 조력자 네트워크 분석에 대해 소개했다. 이러한 연구들이 기존의 양적인 접근과 유사한 방법론이라거나 새로운 역사학적인 방법론을 제시하는 선까지 나아가지 못하고 있다는 비판이 있지만, 의미있는 여러 연구 결과들을 보여주고 있다는 점을 부정하기는 어려워 보인다. 결국, 향후 역사가들의 연구는 “디지털이냐 아날로그냐”가 아니라 “얼마나 디지털이냐”일 수밖에 없을 것이다.

      • KCI등재

        역사 철학적 관점에서 본 정치적 혁신의 가능성 : 헤겔의 1830/31년 『세계사철학』 원고를 중심으로

        남기호(Nahm, KiHo) 사회와철학연구회 2014 사회와 철학 Vol.0 No.27

        지금까지 출판된 여러 역사철학 강의 판본들과 달리 헤겔 자신은 단 한 편의 정서된 강의 원고를 미완의 형태로 남겼다. 이 1830/31년 세계사철학 원고는 이전 판들과는 상이한 특징들을 보여준다. 이 글은 이 원고를 중심으로 헤겔 역사철학의 기본 구조를 재조명하고자 한다. 이 원고에서 헤겔은 역사철학이 단순한 신정론으로 머물러서는 안 되며 개념적 인식에로 나아가야 한다고 명시한다. 역사를 개념적으로 사유하는 고찰을 통해 인간에게 의식되는 세계정신이 결과로서 산출될 수 있다는 것이다. 세계정신은 그 동안 이성이 세계사를 지배해 왔다는 역사 철학적 반성 내용을 의미한다. 이러한 철학적 역사에서 세계사적 개인은 보편적 이성목적을 수단으로 자기목적을 추구한 인물로 고찰된다. 그러나 그가 투입한 유한한 이성은 보편적 이성목적과의 연관 속에서 그의 자기목적을 넘어서는 세계사적 사건을 초래하게 된다. 이러한 관점에서 그는 세계정신의 도구라 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비록 구상 차원이긴 하지만 유일하게 이 원고에서 헤겔은 역사의 자기 의식적 주체에 의한 정치적 혁신의 가능성을 모색한다. 이에 따르면 인간만이 역사 철학적 반성을 통해 획득한 세계정신의 법에 따라 변화를 법칙적인 것으로 하는 원리를 지닐 수 있다. 이 원리는 내용적으로 자유의 구체적 실현을 지향하는 것이어야 한다. 또한 정치적 혁신은 개별적 자기목적의 지양을 통해 보편적 이성목적을 도모하는 것이어야 한다. 이를 통해 정신의 자기 의식적 자유 개념에 따른 현존제도의 끊임없는 혁신이 가능해진다. 이것은 헤겔 역사철학에서 역사의 초월적 주체 같은 것은 없으며, 오직 자기 이성의 유한성을 지양하는 인간만이 적극적인 역사적 주체로 설정되고 있음을 입증한다.

      • KCI등재

        역사교육에서 역사교과서의 성격 규정 문제

        송상헌(Sohng Sang Heon)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12 사회과교육 Vol.51 No.2

        지금까지 역사교과서 논의에서 학생의 역사 인식을 도울 수 있는 방안에 대한 논의가 미흡했는데 그 배경에는 역사교과서의 성격에 대한 오해가 있었다. 대표적인 것이 역사교과서는 역사담론을 담아야 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역사교과서는 역사담론을 담기에는 적절하지 않은 텍스트이다. 역사담론은 역사교과서를 통해 사실들을 엮어 추론한 결과로 구성되는 것이다. 여기서 역사담론 구성 과정이 역사 인식의 과정이고 따라서 역사교육은 역사담론 교육이라고 할 수 있다. 역사교과서는 담론 구성을 위한 자료집의 성격을 갖는다. 따라서 역사교과서 서술 방향은 특정한 역사담론을 담으려 하지 말아야 하고, 흠결없는 완벽한 교과서를 만들어야 한다는 유혹에 현혹되지 않는 자세를 지켜나가야 하고, 역사학과 달리 도덕 기준을 적용해야 한다는 것이다. 자료집으로서의 역사교과서 활용 방안으로는 패스모어의‘사건의 경로’개념, 화이트의‘플롯’부여 개념, 월시의‘총괄’개념을 적용하는 것이다. 그리고 역사교과서에 대한 외부의 간섭에 대응하기 위해 역사화의 방법을 활용할 수 있다. It is somewhat insufficient to be satisfied to find a way to assist students to understand history in the argument on school history texts so far. There has been wrong idea on the nature of history texts in the arguments of history teaching. It is a typical wrong idea that texts have to account historical discourses. But texts are not appropriate for accounting historical discourses. Those are something to be constructed with products gained by making an inference from texts. The processes that construct historical discourses are just the course of understanding history. So we are able to count history teaching just as teaching of historical discourse. Historical texts have the nature as material books for discourses. Principles of accounting historical texts are not to have historical discourses and to intend to account perfect historical texts without a flaw to readers. It needs moral standards in school history. The ways of reading history texts in history teaching are to adopt the concepts of ‘Courses of Events,’ of J. Passmore, ‘Emplotment’ of H. White, ‘Colligation’ of W. H. Walsh. And teachers are able to adopt ‘Historicization’ for make a protest with agents against meddling school history for political interests.

      • KCI등재

        다문화시대 역사교육의 방향 벤야민의 역사철학과 포스트식민성의 관점을 중심으로

        홍은영 ( Hong Eun-young ) 한국교육철학학회(구 교육철학회) 2017 교육철학연구 Vol.39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차이와 사회적 불평등이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는 이주사회에서, 지금까지 `국민국가` 형성을 통한 정체성 수립에 기여한 역사교육이 직면한 문제를 논의하고 다문화 시대 역사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모색하는 데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연구자는 발터 벤야민의 역사 이해방식과 포스트식민적 관점을 고찰함으로써 역사교육이 현재 대면하고 있는 문제들을 짚어보았다. 벤야민은 역사를 과거의 완결된 결과물로 보고 이미 극복한 과거로 치부하는 것이 아니라, 과거를 현재로부터 바라보면서 기억된 사건을 현재화하는 `지금`과 기억을 하는 행위 그 자체에 주목하는 것으로 특징지을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 역사를 기억하는 과정에서 주목해야 할 부분은 역사적 `사실`을 자라나는 세대에게 연대기적으로 단순히 전달하는 역사교육이 아니라, 이주사회 내에 존재하지만 배제하였던 소수자들의 역사, 차별의 경험과 기억의 복원을 통해 `공식 역사`의 편견을 극복하여 역사이해를 현재화하고 재구성하는 것이다. 이때 역사교육은 소수자의 역사를 다루는 것 그 자체가 포함 및 배제의 권력 기제로 기능할 수 있다는 점을 항상 염두에 둘 필요가 있다. 결론적으로 다문화시대 역사에 대한 교육(학)적 대응을 분석하기 위해 교육이론가 및 실천가는 현재에 대한 냉철한 인식과 정치적 관심을 가지고 자신의 타자관을 비판적으로 반성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uss the problems faced by history education and to seek new directions for history education to follow. The historical education has contributed to defining identification through creating a nation-state in an immigrate society where difference is so closely related to social inequality. To achieve this goal, the researchers have considered issues facing history education by studying the concept of history defined by Walter Benjamin and reviewing the postcolonialty. Benjamin sees history not as a past concluded and thus finalized that has already been overcome. Hee sees the past from the present point of view, brings the past events to the present moment focusing on the very act of remembering the past. The result of this study is that when we remember history, we need to make present and reconstruct the historical understanding, not by simply transmitting historical `facts` to the growing generations, but by recovering the memories and experiences of the inequalities that existed in the history of minorities and the immigrant society. And when we do this, we must recognize that dealing with historical education for ethnic minorities can act as a force for identity, inclusion or exclusion. In the end, educational theorists and activists must have clear realizations, political concerns, and critical self-reflection on the way they see others investigate educational responses to histo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