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전쟁과 식민의 기억 : 히노 게이조의 문학을 중심으로

        김계자 ( Gae-ja Kim ) 국민대학교 일본학연구소 2021 일본공간 Vol.29 No.-

        본고는 히노 게이조가 베트남전쟁을 취재하고 돌아와 소설을 쓰기 시작하여 일본의 패전과 귀환체험, 그리고 식민지 조선의 기억과 조우하는 과정에서 전쟁과 식민의 기억이 새롭게 환기되고 형상화되는 방식과 그 의미를 살펴본 것이다. 히노 게이조는 일본에서 태어나서 식민지 조선으로 이주하였고, 패전 후에 일본으로 귀환, 1960년대에 다시 서울로, 그리고 베트남전쟁 취재를 위해 특파원으로 두 차례 베트남을 다녀오는 등, 그의 이력에 이동이 계속된 점이 특징적이다. 그 영향으로 그의 문학은 이동에 따른 상대적인 장소성과 부유하는 인간의 존재적 문제에 천착하는데, 다른 귀환자 문학과는 다르게 내면의 정체성이나 귀속의 장소로 수렴되지 않고, 주체와 공간 사이의 경계의 확장과 새로운 관계성의 구성을 ‘집’이라는 구체적인 장소의 문학적 형상화로 보여주고 있다. 패전 직후의 단상에서 문학 활동을 시작하여 식민지 조선에서의 기억과 귀환 체험을 소설화한 초기작부터 「차안의 집」과 「그 저녁놀」에 이르기까지 작자 스스로 ‘사소설’이라고 언급한 일련의 작품 속에서, 계속된 이동이 만들어낸 식민지 조선에서의 기억 환기가 새로운 관계성의 공간으로 형상화된 특징이 잘 나타나 있다. This paper considers how Hino Keizo began writing novels after covering the Vietnam War, and analyzes that the memories of war and colonization are newly recalled and embodied. Hino Keizo was born in Japan and moved to colonial Chosun in 1934. After Japan’s defeat in 1945, he repatriated to Japan. In the 1960s, he visited Seoul again, and returned to Japan as a correspondent to cover the Vietnam War. As a result, his literature represents the relative topology by the continuous movement and the existence of floating people, showing the expansion of boundaries between subject and space. This characteristic composes new relationships, representing a literary embodiment of “home”. Hino Keizo’s works from the early works to the series of autobiographical novels are created by continuous movement, representing the memories of war and colonization and symbolic of a new relativity and place of memory.

      • KCI등재

        전후일본에서 문예비평의 굴절— 한국전쟁의 문학적 영향 —

        가지오후미타케 한국일본사상사학회 2023 일본사상 Vol.- No.44

        본고는 1950년, 한국전쟁의 시대에 도쿄대학에 재학중이던 학생들이 창간했던 동인지 <<현대문학>>에 주목해 이 잡지에 결집했던 히노 게이조, 오오카 마코토, 김태중의 출발기와 그 이후의 동향을 전후일본의 ‘전향’이라는 관점에서 검증하고 있다. 한국전쟁의 발발을 ‘전후’의 종언으로 받아들였던 히노 게이조는 여전히 후진국인 일본에 혁명과 전쟁이 임박했다는 인식 위에서 유혈을 거부한다는 입장에서 현대문학을 규정했다. 현실에 있어서 정치의 우위성을 인정한 이 규정은 문학의 자율성을 확보한다는 종래의 ‘정치와 문학’과 같은 비평의 구도를 굴절시키는 것이었다. 오오카 마코토가 <<현대문학>>에 게재한 시 「1951년 성탄제 전후」는 한국전쟁에 대한 저항시 혹은 반전시로서의 성격을 띠는 한편, 언어유희에도 경도되어 있다. 시인은 이 작품에서 전쟁의 유혈을 시 언어의 유희를 위한 소재로 삼아서는 안된다는 금기에 스스로를 속박시키고 있다. 그러나 그 이후의 오오카는 사회적 윤리성보다 시인으로서의 ‘꿈’을 옹호하는 태도를 강화해갔다. 폴 엘뤼아르를 레지스탕스의 시인이 아닌 자연을 육체로 받아들이는 감수성을 갖춘 시인으로 평가했던 오오카는 자신이 경험한 1950년대의 ‘정치의 계절’을 ‘감수성 축제의 시대’라고 불렀다. 그것은 한국전쟁의 시대경험을 망각하려는 지향과 표리일체를 이루고 있었다. 김태중이 <<현대문학>>에 발표한 「방문」은 오오카 작품의 패러디로 보이는 시 작품이다. 동시에 그는 이 시에 식민지 시대부터 한국전쟁에 이르는 ‘재일’로서의 디아스포라의 경험을 새겨넣고 있기도 하다. 그러나 김태중은 경영자의 길을 선택하고 1950년대 후반부터는 시단에서 멀어져갔다. 한국전쟁을 계기로 일어난 일본의 전후부흥은 문학적 자율성의 승리를 결정적인 것으로 만들었고, 그와 동시에 사람들이 ‘천하태평’의 배후에 감춰진 사회적 모순으로부터 눈을 돌리게 만드는 측면이 있었다.

      • KCI등재

        포스트콜로니얼의 어떤 복잡한 월경적 연애에 관하여

        김예림(Yerim Kim) 서강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1 서강인문논총 Vol.0 No.31

        이 논문은 전후 일본의 집합기억의 역학을 분석하고 이 장에서 구식민지였던 조선-남한이 어떠한 위치에 놓여 있었는지를 고찰한다. 문제적인 것은, 전후 일본에서 전쟁을 기억하는 행위가 결코 식민지를 기억하는 행위는 아니었다는 점이다. 따라서 전후 일본의 기억-기록의 장에서 드러나는 불균형과 구식민지를 향한 현실적, 상징적 처리 방식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1945년 이래 일본에서는 전쟁(패전)을 둘러싼 다양한 기억-기록물과 재현물이 지속적으로 재/생산, 재/구성되어 왔다. 반면 구식민지 조선에 대한 기억은 소거되었다. 그러나 당시 패전한 일본과 해방된 조선-남한이 서로에 대해 맺고 있던 관계를 보여주는 몇몇 자료들이 존재한다. 해방된 조선-남한에 대해서 일본은 연장된 식민주의나 공포와 같은, 모순적이고 양가적인 태도를 취했다. 1945년 이후, 기존의 제국/식민지라는 계서제적 권력관계에서 벗어난 조선은 일본에 대해, 동등한 위상을 갖는 불투명한 ‘이웃’이 되었다. 이제는 ‘이웃’이 되어버린 타자로서의 조선은 일본의 자기의식을 계속 자극하는 존재가 된다. ‘인양서사’는 이와 같은 전후 일본의 복잡한 자기 구축의 맥락과 과정을 반영하고 있다. 특히 이 글에서는 조선-남한과 일본의 경계를 넘나드는 ‘월경적 연애’의 상상이 갖는 의미론적 위상을 규명하였다. 이를 위해 1950년대에서 1970년대에 이르기까지 한일 양국에서 나온 월경적 연애의 서사들 즉 후지와라 데이의 『灰色の丘』, 이범선의 『검은해협』, 히노 게이조의 중단편을 주요 분석대상으로 삼았으며, 이와 더불어 『親和』의 담론을 분석하였다. This paper analyzes the dynamics of the collective memories of postwar Japan and the position of the old colony Korea at terms of postcolonial Japanese memories-field. It is problematic that the memories of the war don’t mean the memories of the colonies which Empire Japan had occupied. Therefore, it’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unevenness of collective consciousness and the way of treatment of past colonies like Korea in postwar Japan. Since 1945, various kinds of memories or representations concerning (defeated) war had been continuously (re)produced and (re)constructed, while those of old colony Korea have been erased in postwar Japan. But there are some materials which describe realistic and symbolic relations between Japan and Korea. Toward liberated Korea, postwar Japan has contradictory attitudes such as extended colonialism and fear for the others. Liberated Korea which got out of empire/colony hierarchy became equal but obscure ‘neighbor’, that is to say the other who stimulates self-consciousness of defeated Japan. The narratives of Japanese refugees(hikiagesha) show the context and process of complicated self-construction in postwar Japan. Especially, this paper probes the location and meaning of imagination regarding ‘transnational love’ between postwar Japan and Korea, focusing on the novels and essays written in 1950s~1970s. For this work, I analyze Hujiwara Tei(藤原てい)’s 『灰色の丘』, Lee Beomseon’s Geomeun Haehyeop(Black Strait), Hino Keizo’s novels and articles of monthly magazine 『親和』.

      • KCI등재

        정체(政體), 인민 그리고 베트남(전쟁)이라는 사건

        김예림 ( Kim Ye Rim ) 역사문제연구소 2014 역사문제연구 Vol.18 No.2

        This paper explores the perception of Vietnam and the Vietnam War in 1960s Korea, fo-cusing on the problems of political systems and governmentality. In the early 1960s, Korea and Vietnam were both undergoing political crises, with the delayed transfer of power to the civil government in South Korea, and the political uprising against the dicta-torship and continuous coups d`etat in Vietnam. The two nations shared a common his-torical and socio-political background as the new states of Asia, considered `backward na-tions` or third-world countries. Japanese intellectuals noticed the similarities between these two countries. This paper examines the respective perspectives of South Korean and Japanese intellectuals, who reflected on broken democracy, the reality of the governed, and people`s struggle to build a nation-state. The Vietnam War was an important event which allowed South Korean and Japanese intellectuals` interests in Asian political con-ditions to converge. However, it is clear that the point of view of South Korean in-tellectuals toward Vietnamese and the Vietnam War differed from that of the Japanese. In Korea, it was hard to understand the significance of the Vietnamese resistance to America or the Vietcong`s struggle, while Japanese intellectuals imparted historical mean-ing to their movement. This paper analyzes the convergence and differences in the opin-ions of Korean and Japanese intellectuals, as represented by writers Choi In Hoon and Oda Makoto, and Vietnam correspondents Hino Keizo, Son Joo Hwan, and Shim Sang Joo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