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공자의 인(仁)사상과 효(孝)교육문화를 통한 인격·인성교육 방향(2)

        김익수 ( Kim Ik-soo ) 한국사상문화학회 2020 韓國思想과 文化 Vol.102 No.-

        우리나라는 역사가 아주 유구하다. 환인천제는 9217여 년 전에 환국을 건국하였다. 이는 동북아에서 시원국이 된다. 기원전 5917년 10월 3일에 개천하였다. 이때에 개천자 건국이념과 교육이념을 홍익인간으로 확정하였다. 환웅은 올해가 개천한 10월3일이 개천절이다. 고조선을 세운 단군왕검시대에 고조선의 제후국이었던 춘추전국시대의 공자는 우리 고유상인 인사상과 효교육문화를 계승하여 세계적인 유교를 집성하였다. 그런데 우리 국민들의 인식이 효는 중국의 유교사상으로 으로 알고 있다. 다시 말을 하면 공자의 효사상으로 그 시원을 알고 있다. 그렇지 않고 우리나라라가 동북아에서 처음으로 환국(桓國)을 건국하였는데 하느님으로부터 효를 이어받았는데 이른바 “환인오훈(桓仁五訓)”이다. 그 중에서 세 번째 교훈인 효순(孝順)이다. “즉 부모에게 순종해야 한다”이다. 나머지 1훈, 2훈, 4훈, 5훈은 모두 인(仁)사상의 범주에 속한다. 인류교육의 보전(寶典)인 “환인 오훈” 약 만년의 세월이 흘렀지만 그 논리나, 가치관으로 볼 때 현대의 관점으로 보아도 이의가 없다. 우리 겨레의 스승이며 성인이신 환국시대의 환인천제, 배달국의 개천자인 환웅천왕, 고조선을 세운 단군왕검을 일러 삼성조(三聖祖)라 한다. 이 거룩하고 위대한 어른들의 큰 가르침인 환인오훈, 환웅육훈, 팔조교의 효맥인 인효(仁孝)를 공자는 계승하여 유교를 집성하였다고 연구자는 주장해 왔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 3 고유사상을 계승한 공자의 효사상의 핵심가치인 인(仁)사상과 효교육문화가 삼국시대의 고구려에 다시 되돌아왔다. 우리의 삼국시대는 논어와 효경을 통하여 공자의 인사상과 효교육문화를 통해 그 어느 나라보다도 인성교육 강국이었다. 그런데 조선조에 들어와서 임진, 병자양란을 겪고 일제의 침략으로 일제식민지교육을 받아야 했고 6·25전쟁으로 국력이 분열되었고, 근세에 이르면서 서세동점으로 인하여 비판없이 받아들인 서양의 진보주의 교육의 부식시험장으로 교육의 혼란의 야기와 그 초래는 가장 중요한 한국교육의 위기를 초래하고야 말았다. 이제 우리의 주요 국정과제는 교육의 문제이다. 교육은 국가미래의 흥망을 좌우한다. 우리는 일어버린 역사를 되찾아야 한다. 지난날 배달국의 홍익인간의 이념을 되살리고 우리 고유사상을 계승한 공자의 인효사상으로 다시 회복하여 교육 제 자리 찾기를 반드시 해야 한다. 이 일이 교육혁신성장의 길이다. 도덕종주국의 장자국이 본질을 망각하고 있으며 아예 실종되고 있다. 교육은 사람을 기르는 것이다. 인격을 기르고 인성을 길러야 한다. 어른들은 인격을 도야해야 하고 어린이부터 인성교육이 중요하고 청소년들은 인성교육을 중점적으로 교육해야 한다. 우리국민들은 정신이 많이 혼탁해졌다. 이를 회복하기 위하고, 조화로운 국가발전을 위하여 홍익인간의 교육이념을 오늘에 되살리고 인효를 중핵으로 교육을 교육으로 반드시 혁신할 것을 국가정책으로 삼아야 할 것을 강력히 건의한다. Korea has a long story. God of Heaven and Celestial Emperor set up Hwanguk 9217 years ago. This is the first country in Northeast Asia. Heaven was opened on October 3 5917 B.C. Hongik Ingan (Broad benefits for humanity) was decided as the founding principles and ideals of education of the persons who opened Heaven at this time. Hwanung . The National Foundation Day is October 3 that Heaven was opened this year. Confucius of the warring states period which was the sovereign Princely States of Gojoseon in the age of Dangun Wanggeom composed world-wide Confucianism by inheriting the idea of Benevolence and filial piety education and culture, our own ideas. By the way, our people have recognized and known that filial piety is Chinese Confucian ideas. That is to say, Korean filial piety originated from Confucian thought of filial piety. But Korea first set up Hwanguk (桓國) in Northeast Asia and inherited filial piety from God. it is so-called “Hwaninohun (God of Heaven's five lessons 桓仁五訓).” Among them, the third lesson is filial obedience (孝順), which you should obey your parents. The rest first, second, third, and fifth lessons belong to the idea of benevolence (仁). Ten thousand years later, there are no different opinions of logic and values from modern views in 'Hwaninohun', the precious book (寶典) of human education. God of Heaven and Celestial Emperor of the era of Hwanguk who is our people's teach and saint, Hwanwungcheonwang who opened the Korean country, and Dangun Wanggeom who founded Gojoseon are called Samseongjo (Three saints and ancestors 三聖祖). The researcher has argued that Confucius inherited and composed Confucianism with benevolence and filial piety (仁孝), the pulse of Hwaninohun, Hwanwungyukhun, and Paljogyo, which are great teachings of holy and great saints. In this study, the idea of benevolence and filial piety education and culture, the core value of the idea of filial piety of Confucius who inherited our own three ideas, returned to Goguryeo of the Three Kingdoms of Korea. The Three Kingdoms of Korea was the personality education power more than ever through Confucius' idea of benevolence and filial piety education and culture. By the way, there were the Imjin War and Qing invasion of Joseon in the Joseon Dynasty, Japanese colonial education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division of national power due to the Korean War, the mess of education in the Joseon Dynasty, and progressive education accepted without criticism due to Western powers advancing toward East Asia in modern times. So they resulted in the mess of education and it finally led to the crisis of Korean education which is most important. Now, our major government project is a problem of education. Education makes or break the future of the nation. We should return history lost. We must restore the idea of Hongik Ingan (Broad benefits for humanity) of the past Korean country and return the idea of benevolence and filial piety of Confucius who inherited our own ideas so that education can be in place. This is the way of innovative growth of education. The country that led suzerain states of morality forgets its substance and it was finally missing. Education raises people. You should cultivate personality and character. Adults should discipline themselves, teach children in the importance of personality education, and educate teenagers focusing on it. Our people got to have a depraved mind. The researcher strongly suggests that people will return the educational idea of Hongik Ingan to recover this and develop our country harmoniously to today and make innovative education which focuses on benevolence and filial piety national policies.

      • KCI등재후보

        중국의 가정문화와 효사상

        姜坤 한국효학회 2015 효학연구 Vol.0 No.22

        본고는 가정문화와 효사상의 관계 측면에서 전통적인 효사상의 모습과 현대적인 효사상의 의미 그리고 존재하는 문제점을 밝히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먼저 중국 전통가정제도의 형성과정을 고찰하고 이를 바탕으로 중국 전통가정문화를 검토하였다. 다음 중국 전통 효사상과 중국 전통가정문화 속의 효사상을 깊이 분석해 보았다. 근대사회에 들어와 중국의 특수한 역사요인과 정책요인으로 인해 중국의 가정문화와 윤리사상이 많이 달라졌다. 본고는 이를 배경으로 현대가정문화 속의 효사상의 실상을 검토하여 문제점을 지적하였다. 전통가정문화와 전통적인 효사상을 재인식하는 것은 중국 현대적인 효사상 중에 존재하는 문제점을 개선하는 데에 있어서 아주 바람직한 일이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n this paper, from the point of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culture and filial ideas, is to investigate the meanings and existing problems in traditional filial ideas and modern filial ideas. First of all, the study examined the forming process of the Chinese traditional family system and then discussed about the Chinese traditional family culture based on the survey. Thereafter, it gives a thorough analysis on filial ideas included in Chinese traditional filial ideas and Chinese traditional family culture. Since the modern times, beacause of the special historical and political reasons, great changes have taken place in Chinese family culture and ethical thoughts. Grounded on that, this paper explores the real facts and situations of the filial ideas in Chinese modern family culture, and points out the existing problems in it. This paper also lays great emphasis on the re-recognition and restudy of the Chinese traditional family culture and traditional filial thoughts, which is really meaningful for the improvement on those problems in modern filial ideas.

      • 한국적 효사상의 발달과정 연구 : 가족 및 노인복지에 대한 함의

        이민영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연구센터 2003 이화사회복지연구 Vol.3 No.-

        본 연구는 한국적 효사상에 대한 새로운 인식이 필요하다는데서 출발한다. 현대 한국사회에서는 효를 시대착오적이고 형식적이어서 생활에 맞지 않는 것으로 보는 것과 동시에 사라져가는 효를 살리자는 담론들이 강하게 논의되고 있다. 효가 옳지만 실제로 설천하기 어렵다는 것이 지금의 효사상의 정서가 되었으며, 이 때문에 많은 연구자들은 현대 한국사회에 적합한 효개념을 찾으려 노력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역사적 맥락의 고찰과 서양 사상 과의 비교를 통해서 한국적 효사상의 개념들을 찾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한국적 효사상은 선사시대의 홍익인간 사상에서 출발하며, 삼국/신라/고려시대의 불교사상과 접하고, 유교사상과 접목하며, 조선시대의 주자학 유교의 규범을 만나, 근대의 동학사상과 기독교사상의 영향을 이어받아 이뤄낸 독특한 사상으로서 발달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한국적 효사상은 서양의 사상에서 보여지는 개인과 개인간의 합의로서의 부모자녀 관계와 형평성 개념을 포괄하면서, 자기수양, 조상숭배, 부모자식간의 상생, 이웃어른 공경, 그리고 평등으로 사회적 개념을 내포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고유한 한국적 효사상은 개인과 가족의 생활 규범을 초월하는 사회적 실천 가치이며, 한국적 사회복지사상의 기초가 됨을 알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족 및 노인복지 주체를 사회적 책임에 중심을 두어야 하는 사상적 근거를 제시할 수 있다. 이 탐색적 연구는 한국적 효사상이 현대의 사회복지사상과 구체적으로 어떻게 접목하고 발전할 것인지에 대한 후속연구를 위한 기초 자료로서의 의의를 지닌다. This study begins from the need of new perception about Korean filial piety. There are much discourses about filial piety - not only has it to be renounced, but also it has to be preserved. With acceptance of traditional filial piety's practical limitation in the contemporary society, researchers try to find new concepts of Korean filial piety which can be applied to social welfare system. This paper explores the development of the ideas of filial piety through analysis of historical context in Korea and also comparison with Western thoughts. The results are 1) Korean filial piety has developed from ancient times to modem times with influence by religions-Ancient worship thoughts, Confucianism, Buddhism, Dong-Hak, and Christianity. 2) It includes the parent-child relationship and equity in the Western ideas as well as the self-culture, ancient-worship, parent-child co-existence(Sang-Saeng), the respect to adult/old in the community, and equality in the Oriental ideas. These ideas of Korean filial piety suggest filial piety should be socially practical for modem family relationship, especially the multi-generations relationship. These Korean filial piety thoughts can be based on the thoughts of social welfare policy and practice as well.

      • KCI등재후보

        한국사상(철학) : 율곡이 수용,전개한 공자의 효사상(상)

        김익수 ( Ik Soo Kim ) 한국사상문화학회 2006 韓國思想과 文化 Vol.33 No.-

        공자(孔子 B.C.551-479)는 유교(儒敎)의 창시자이며 육례(六禮)를 연구하였고 仁義道德을 매우 강조하였다. 공자의 중심사상은 인(仁)이며 교육과 실천철학의 중핵(中核)인 효사상(孝思想)을 전개하였다. 한국도 삼국시대(三國時代)에 유교가 들어오면서 경전(經典)을 통해 전수되어 본래의 실천적인 고유도덕사상의 기반위에 이론을 갖춘 ``한국적 효사상``으로 재정립(再定立)되어 전체 한국 사상사에서 그 위상이 아주 높다. 그 공능은 윤리 교육과 철학의 기저(基底)를 이루어 왔고 인류평화사상으로 확산될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다. 동방문화(東方文化)가 서방문화(西方文化)보다 우수성은 효사상(孝思想)과 효문화(孝文化)에 있다고 하여도 과언은 아니다. 인류의 스승인 孔子는 말하기를, "내 뜻은 『춘추(春秋)』에 있고 행실은 『효경(孝經)』에 있다. (吾之在春秋 行在孝經)"고 하였다. 오늘날 정신적 문화의 병폐는 치유하기 어려운 지경에 이르렀고 청소년 교육문제는 심각한 기로에 놓여 있다. 이러한 현실은 서구사상과 문화의 비판 없는 수용과 경제적 가치에 치중해 온 결과이다. 인류문명의 새 기운을 열고 인류역사에 일대 전환의 길은 도덕교육과 효사상과 효문화 재정립에 관건이 있음을 본고에서 천명하고자 한다. 율곡(栗谷, 성명은 李珥 1536~1584)은 조선조 중기에 국정(國政)이 문란한 때에 국정개혁책(國政改革策)으로 그의 특유의 문화철학(文化哲學)을 실행하여 공자의 효사상을 한국적으로 재정립하였다. 그 수용·전개양상을 논고하여 새 문화 창조의 기틀을 삼고자 하는 것이 본 연구의 의도이다. 21세기는 문화에 관건이 있으니 오늘날 시대에 맞게 재정립해야 할 필연성은 절대적이므로 본 연구의 가치는 현실적으로 매우 크다고 생각한다.

      • KCI등재후보

        한국의 전통적 효 사상에 대한 역사적 흐름과 현대적 의미의 효 사상과 실천 방안

        정승윤 한국효학회 2009 효학연구 Vol.0 No.10

        본 논문은 전통적 의미의 효 사상과 현대적 의미의 효 사상을 알아보았다. 시대별 효사상의 특징을 통해서 현대적 의미의 효 사상을 고찰 하였고, 이를 토대로 그 교육적 방법과 실천 방안에 대하여 논의 하였다. This paper analyses the traditional meaning of Hyo and the modern meaning of Hyo. Through the chronicles of Hyo we inspected the the meaning of the modern Hyo thought and discussed the educational way and practical way in this base.

      • KCI등재후보

        원불교 효 사상의 본질

        조정현 한국효학회 2009 효학연구 Vol.0 No.10

        효행이 강물처럼 흐르는 세상은 요원한 것인가? 효는 우리의 전통윤리로서 오랜 역사와 함께 인륜의 근본이요, 모든 행동의 준거기준으로 우리들의 가슴 속에 자리하고 있는 윤리사상이다. 전통적으로 우리는 부모를 공경하고 봉양하는 「효」라는 절대적 가치 속에 살아왔지만 오늘날의 현실은 반드시 그런 것만은 아니다.「위기의 가정」,「효의 위기」,「땅에 떨어진 도덕과 인륜」이라는 활자가 심심찮게 우리들의 눈에 띈다. 마침내는「효행장려 및 지원에 관한 법률」이 제정될 정도로 효가 위기에 직면해 있는 요즈음의 상황이다. 이러한 원인을 핵가족화, 물질만능주의, 이기주의 등 여러 가지로 규명해 볼 수 있겠으나 단언하면 인간성 상실에 따른 가정의 위기와 효 윤리 실천의 부재로부터 야기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시대적 상황에서, 경로효친사상을 함양하고 효행윤리의 본질과 정신을 되살려 세상을 맑고 밝고 훈훈하게 하는 데 본 논문의 목적이 있다. 어떻게 효를 살려야 하겠는가! 본 연구의 주제는 「원불교 효사상의 본질」이며, 원불교 경전을 중심으로 위와 같은 상황과 물음에 대한 방향과 대답에 충실하고자 함이 논점의 핵심이다. 원불교 효 윤리의 특징으로 은혜의 효, 감사의 효, 보은의 효, 공경의 효, 불공의 효를 제시하고 원불교 효 윤리의 본질로서 이것들을 논점으로 제시한다. 오늘날 급박하게 변하고 있는 가정, 사회, 국가, 세계의 현상 속에서 요청되고 있는 것은 인간성 회복과 도덕 세상의 구현이다. 이러한 시대적 요구에 있어서 원불교는 이 시대의 문제를 근원적으로 해결하고 인간성의 회복에 대한 해답을 없어서는 살 수 없는 존재인 사은에 대한 보은에 두고 있다. 다시 말하면 소태산이 밝힌 은혜의 발견과 보은의 실천으로 원불교 효 사상은 열매를 맺을뿐더러 파란고해의 일체생령을 낙원세상으로 인도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일찍이 유가에서 효는 모든 행실의 근본이고 인(仁)의 바탕이며 덕(德)의 근본이라 하였듯이 인간성 회복과 도덕세상의 구현에 있어서도 효는 반드시 그 기저에서 요구되어지는 것이다. 원불교 효 사상은 부모보은을 바탕으로 하여 사은 전체에 대한 은혜의 발견에 그 핵심가치가 내재해 있다. 원불교 효사상은 없어서는 살 수 없는 존재들의 무한한 구성체인 우주만유에 대한 은혜의 발견에서부터 감사와 보은, 공경과 불공으로 특징지어진다. 은혜의 효를 시작으로 감사의 효, 보은의 효, 공경의 효, 불공의 효로 귀결되어지는 원불교 효사상의 5대 특징에 대한 가치인식과 함께 존재론적 함의가 요청된다. 아울러 원불교의 효 윤리는 그 어느 사상이나 종교와도 통할 수 있는 준거의 틀이 될 수 있다는 점을 공유해야만 한다. 지금, 여기에서 효행이 강물처럼 흐르는 세상을 우리가 이루어 가고 있지 않는가! Is it too distant to reach the world where filial piety flows like river? Filial piety is an ethical thought living in our hearts as standards of every behavior as well as a foundation of morality in the long history of the world. It is our national tradition of long history to live under filial piety, the absolute virtue to respect. And as a prove, it is not so hard to see phrases such as family on the brink, filial piety in crisis, and ruined morality and ethics in our daily living. In the end, it is a real situation of the present society that the virtue of filial piety got so totally ruined that this society couldn't help making the law of filial piety promotion and support. What caused the moral crisis could be found in a few negative phenomena like nuclear families, materialism, and selfishness, but affirmatively speaking, it must be triggered by family crisis stemmed from humanity loss and absence of activities to put filial piety thought into practice. In the light of the present trend, the study is aimed at making the society more clean and brighter place to live in by spreading the elderly respecting thought and recovering originality and spirit of the filial piety virtue. How could the filial piety be recovered? Subjects of the study are about filial piety of Won-Buddhism and it is aimed at guiding directions and answers, centering on filial piety thought of Won-Buddhism in Chongjon and Taejonggyong, for the present trend and problems. The filial piety of Won-Buddhism could be featured by classifying its categories into five ones(;Filial Piety of Grace, Filial Piety of Gratitude, Filial Piety of Requital, Filial Piety of Reverence, and Filial Piety of Buddha-Offerings) What is keenly required in the rapidly changing situation of families, societies, nations, and the world are just to recover humanity and to realize the world full of moral consciousness. The Won-Buddhism, faced with the demands of times, tries to find answers for fundamentally solving the problems of times and recovering humanity from the Indebtedness to The Fourfold Grace which is essence of the mankind. In other words, to find the indebtedness and to put requital into practice Sotaesan(; Founder of the Won-Buddhism) declared could make the filial piety of Won-Buddhism bear fruits and help the all sentient beings led to the vast and boundless world of happiness, away from the billowing sea of suffering. As believers of confucianism said the filial piety is basis of every behavior and essence of virtue, it should be secured from bottom of morality torecover the humanity and realize moral society. A core value in the filial piety of Won-Buddhism should be found in indebtedness to The Fourfold Grace based on The Grace of Parents. The filial piety of Won-Buddhism are featured in finding the grace to The Fourfold Grace, the vast and limitless body, connected to the Filial Piety of Gratitude, Requital, Reverence, and Buddha-Offerings. In line with the fact, the five filial piety thoughts of Won-Buddhism(The Essence of Filial Piety in Won-Budhism) should be recognized not only with regard to value, but also existence. Furthermore, it should be shared that the filial thought of Won-Buddhism could be a fundamental basis to be freely communicated with any ideology or religion. Now and here, Wouldn't you see we are creating the society where the filial piety flows like the river?

      • KCI등재후보

        공자의 효사상을 계승한 율곡의 효철학의 이론체계(1)

        김익수 ( Ik Soo Kim ) 한국사상문화학회 2012 韓國思想과 文化 Vol.63 No.-

        Yulgok(Yi I:1536­1584) was the man of filial piety of the era with the title of “man of filial piety from cradle”. Throughout his life, he maintained the status of man of filial piety and his thought of filial piety was well established. Although almost all Neo-Confucian scholars of Joseon mentioned the subject of filial piety, Yulgok was the one who established the thought of filial piety. The study of filial piety was a national education and it was sufficient enough to be a scholarly subject. With Toegye, Yulgok brought the Joseon"s Neo-Confucianism at its peak since Sung Dynasty based on the study of filial piety. Confucius, an "Eastern Barbarian", was the one who developed Confucianism from the Korean traditional ancient thoughts of religious studies. Confucius provided Six Scriptures of Confucianism based on ancient Chinese kingdoms including Chou Dynasty. The essence of the scriptures is the ideas of benevolence and filial piety. During the Three Kingdoms period, Confucianism returned to Korea with Five Scriptures of Confucianism and Confucius ideas of benevolence and filial piety were well established and the study of filial piety secured it status strong. At the end of Goryeo Dynasty Neo-Confucianism was introduced to Korea with the emphasis on the study of Four Books of Confucianism. Since then, neo-Confucianism became the “spirit of Korea.” Yulgok published Seonghakjipyo to make Seonjo a philosopher king as a way to fulfill his duty as a loyal government official. In the chapter of Standard Family, Yulgok consider the filial piety and respect as the philosophy for the king"s political ideology. The influence of the Western thought resulted in the collapse of traditional thought and it caused the destruction of traditional humanity. This is why the philosophy of filial piety is necessary for the contemporary politics without philosophy. 율곡(名 이이李珥: 1536-1584)은 출천(出天)의 효자로 어려서부터 “포대기효자”로 유명하였거니와 그의 일생은 효로 점철된 인간상으로 효정신이 너무나 확고하였다. 한국의 유학자들은 누구나 효를 일상으로 언급하였지만 율곡은 “조선조의 효사상”을 정립하였다고 볼 수 있는데 곧, 효학은 국교(國敎)요, 학문으로 성립하기에도 충분하다. 생각해 보면 율곡의 학문은 효학의 기초위에 조선조의 성리학을 송대이후로 퇴계와 함께 높은 산봉우리에 올려놓았다고 할 수 있다. 그런데 율곡사상형성과정을 보면 우리 고유의 뿌리사상인 신교로부터의 원형과 묘맥의 싹을 성장시킨 유교를 집성한 이는 단연 동이인 공자로 우리 고조선의 제후국의 제왕인 요, 순을 조술하고 주나라의 문, 무왕을 헌장하여 집성한 바 이른바 육경이다. 그런데 그 중심이 인효(仁孝)이다. 이는 상고대의 환국의 ‘한인오훈’ 속의 효와 무관하지 않다. 삼국시대에 되돌아온 유교는 오경중심의 공자의 인효학이 정착되어 한국사상사에서의 효학은 그 위상이 아주 높다. 고려말에는 주자학이 전래되어 사서중심의 효교육과 주자학적 효사상은 “한국인의 정신”이 되었다. 그런데 율곡은 선조를 철학적 군주로 이끌기 위해 충군(忠君)의 방법으로 『성학집요』를 제진하였는데 「정가장(正家章)」에서 "효경(孝敬)"을 군왕정치의 효철학으로 올렸다. 그런데 공자의 효사상을 바탕으로 자신의 효철학으로 제진하였는데 서양사상의 수용으로 인간의 바탕이 붕괴된 현대 국가의 철학부재의 정치와 뿌리없는 교육에도 지도자의 효철학은 절대적이라 하겠다.

      • KCI등재

        儒敎思想의 관점에서 보는 世界平和

        김익수 한국사상문화학회 2011 韓國思想과 文化 Vol.57 No.-

        Without understanding the filial piety, “the declaration of human education,” it is fundamentally impossible to discuss the thought of peace that human beings are seeking for. It is important to realize and pay attention to that the concept of filial piety began with the “Five Teachings of Hanin” by the Hanin of the Korea’s ancient Hanguk era. Therefore, it is clear to know Korea is the suzerain nation of the filial piety that is the essence of the thought of peace by studying ancient history of Korea. That is, it must be reassessed that the concept of filial piety was not started from Confucianism as we knew. The thought of Hongikingan(man beneficial to all) of Emperor of Hwanung of Baedalguk era that was developed and enriched by Dangun Wang’gum clearly include the thought of world peace. The frame is also the thought of Korea’s filial piety. Confucianism rooted to the Korea’s thought of Han and Confucius compiled it and completed as a world thought. Korea received and developed Confucianism since the Three Kingdoms period. Benevolence, the main thought of Confucius, contains the thought of human peace. Confucianism of Korea consolidated through institutional education during the Three Kingdoms period and settled as the Korea’s three major thoughts with Buddhism and Taoism. Neo‐Confucianism was introduced during the late Goryeo dynasty and reached its peak with Toegye and Yulgok during the middle of Joseon dynasty. The thoughts of these two major Neo‐Confucian scholars Toegye(1501‐1570) and Yulguk(1536‐1584) clearly included the thought of world peace. This is the main objective of this research. Another objective is to hope the thought of Korea’s filial piety will be globalized as the thought of world peace human beings are seeking for although the studies of Toegye and Yulgok already became the international studies. 인류가 희구(希求)하는 평화(平和)사상은 “인류교육의 헌장(憲章)”이라고 할 수 있는 효(孝)를 이해하지 않고는 근본적으로 논의가 되지 않는다.그런데 효(孝)는 상고(上古)의 우리의 한국(桓國)시대의 한인(桓因)의 가르침인 “한인오훈(桓因五訓)”에서 비롯되었음을 이해하고 주목해야 한다.따라서 상고사를 연구해야 인류의 평화사상의 중핵(中核)인 효가 우리가 종주국(宗主國)임을 쉽게 확인할 수 있다. 그러므로 종래의 우리의 인식이 유교에서 효가 비롯되었다는 인식은 반드시 재고해야 한다. 이른바 배달국시대의 한웅천왕(桓雄天王)의 홍익인간(弘益人間)의 사상은 단군왕검께서 더욱 발전확충시켰지만 분명히 가장 큰세계평화사상이 내포되어 있다. 그런데 골격(骨格)은 역시 우리의 효(孝)사상이다. 유교는 우리의 한사상(韓思想)이 묘맥(苗脈)이지만 공자가 집성하여 세계적인 유교사상으로 형성되었다. 우리나라도 삼국시대에 수용하여 발전시켰다.여하튼 공자의 중심사상인 인(仁)속에는 인류평화사상이 내포되어 있다.한국의 유교사상은 삼국시대에 학교교육을 통해 확고해졌으며 불교, 도교(道敎)와 함께 한국의 3대 사상으로 정착되었다. 고려말에 전래된 송대의 성리학(性理學)은 조선조 중기의 퇴계, 율곡에 의하여 크게 발전하였는데 역시 양대 유학자(儒學者)인 퇴계(1501-1570)와 율곡(1536-1584)의 사상 속에는 평화사상이 분명하게 내포되어 있다. 이를 연구하려는 것이 본연구의 목적이다. 또 하나의 의도는 “퇴계,율곡의 학(學)”이 이미 국제학으로 전 세계에 널리 전개되고 있지만 그 보다 원대한 “한국의 효사상”이 안류가 희원(希願)하는 평화사상이라고 볼 수 있는 바 조속히 세계화(世界化)되기를 기원한다.이 일이 성취될때에 한국이 전세계의 도덕종주국이 될 것이 확실하게 전망된다.

      • KCI등재후보

        율곡 효사상의 현대적 가치와 “동거계사”를 통한 세계적인 한국적 가정문화형성론 - 김장생의 효정신의 함의와 전승에 대한 인식 -

        김익수 ( Kim Ik-soo ) 한국사상문화학회 2019 韓國思想과 文化 Vol.98 No.-

        율곡은(1536-1584) 퇴계(1501-1570)와 함께 한국철학사상의 터전을 자리잡은 위대한 인물이다. 모두가 알고 있듯이 율곡은 한국의 도학자요, 철학자이면서 교육사상가요 특유의 경세철인이다. 그러나 그 보다도 연구자가 존신하는 것은 평생을 통해 효로 점철된 표준적 인간상이었으며 가장 세계적인 한국의 효사상을 정립한 점을 꼽고 싶다. 특히 만년에는 세계 역사상 유례가 없는 가정규범을 통한 100여명의 식솔들이 가족과 더불어 모여 한 집안(一家)이 화동(和同)하여 즐겁고 행복하게 살아갈 수 있는 전범을 남겼다. 오늘날 과학의 발전과 산업화의 후유증으로 인해 이익사회가 되었고 이기주의가 만연되어 비혼족(非婚族)이 늘고 젊은이의 이혼율과 노인들의 황혼이혼이 날로 늘고 있다. 더구나 저출산이 극심하고 독거노인의 자살율의 증가로 경제는 발전하고 있지만 이미 행복한 나라가 아니다. 이런 일들은 근본적으로 효사상과 무관하지 않다. 이를 뒤늦게 알게 된 정부는 막대한 재정지원에도 타락한 효문화가 핵이 된 정신문화가 타락한 현실을 극복하기가 쉽지 않다. 이런 때에 율곡의 효사상과 효문화와 효교육정신으로 가장 살기 좋은 ‘행복한 나라로 바로 세우기’를 위한 국가교육정책을 강력히 제안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 국가시대를 맞아 우리 민족문화의 정체인 효문화와 효사상과 효교육정신이 휘 갈리는 때에 행복한 복지국가 건설을 위해 혁신적인 한국적 가족문화 형성을 재정립하여 국력을 집중시키는데 기여하려는 것이다. 이러한 정신이 사계 김장생(1548-1631, 명종3년 - 인조9년)의 효정신으로 전승되었음을 인식케 하려는 또 하나의 의도가 여기에 있다. With Toegye (1501-1570) Yulgok (1536-1584) was one of the two major thinkers developed the foundation of Korean philosophy. As we all know, Yulgok was just a outstanding thinker of Daoism, philosophy and education, but also a unique political economist. Still, Yulgok was a standard man of filial piety through his life and created the foundation of the world class Korean thought of filial piety. During the middle of Joseon dynasty, Yulgok insisted the reform at the time of total crisis. However, he faced the wall and decided to move to Haeju in Hwanghae-do Province with over 100 family members after resign his public and government posts. He left the example of the family rules for the happiness and joyful living of this member as a one family that never existed in the East Asia until then. This is the rules of famous rules of Yulgok, the Donggeogyesa (同居戒辭). To teach his young nephew and son Bibok, he wrote it in Hangul of the time in his own writing. This rule consists of 9 categories. Just like the time of Yulgok, today’s Korea experiences the total crisis in education and economy. This study focuses on the policy of family education culture with filial piety in the policy of education. The reason is that the family, the foundation of the nation is collapsing. As the aftereffects of the modernization focused on the development of science and industrialization, urbanization resulted the problem of agricultural society with materialism. Selfishness spread out and single family and divorce rates of young and old are rising fast. More seriously, low birth-rate and the suicides single elderly people are rising, too. Economic development is not the key for the country with happiness. This phenomena do not fundamentally related to the neglect of the policy not concerning the Korean thought of filial piety and education of filial piety culture. The government realized the problems and put a great amount of budget and population policy. Still, it was not fast enough, but most importantly it was very difficult to overcome the tainted condition because of the lack of filial piety culture education. This study tries to provide a way to reset the foundation of the innovative national policy of the better nation. At this time of total crisis Yulgok’s thought of filial piety and policy of filial piety education can be an answer. Yulgok’s thought inherited to Sagye Kim Jang-saeng (金長生;1548-1631) and developed into a culture of Joseon’s ye and this is another aim of this study to emphasize.

      • 한국 전통문화 속의 효 사상

        심우섭 성균관대학교 유교문화연구소 2009 儒敎文化硏究 Vol.- No.14

        효는 한국인들이 가장 소중하게 여기는 윤리적 덕목이요, 미풍양속이다. 교육학 적 안목에서 보면 효는 직접적인 인격과 탁월한 지혜를 획득하는 방법적 원리이다. 따라서 효가 직접적으로는 인격교육의 방법론적 원리가 되고 결과적으로는 지혜를 획득해가는 원리가 될 수 있다. 그러므로 효 교육사상은 고대 한국인의 전통문화를 자연스럽게 계승하고 있는 한국인의 미덕이며 전통교육사상인 것이다. 경제적 풍요를 목표로 하는 산업화의 외길만 달려온 현대사회는 인간성의 상실과 퇴폐풍조를 만연시켜왔으며 전 세계 인류사회가 인간다운 행동보다는 비리와 부정 과 폭력이 공공연히 자행되고 있다. 이처럼 문명과 과학, 경제 및 산업화 등의 고도 발달로 인해 물질적 풍요는 이루었지만 정신적 문화적 황폐는 치유할 수 없는 병적 인 지경에까지 이르렀다. 현대사회는 서구적 사유방식과 사회제도에 의거하여 생활하고 있으나 병리현상은 더욱 심각해지게 된 것이다. 효는 앎의 문제가 아니라 삶의 태도이다. 부모가 자녀를 사랑하고 자녀가 부모를 친애(親愛)하며 공경하는 것은 인륜에 앞서 천륜(天綸)이다. 효는 인간의 생명에서 우러나는 도리로서 생리(生理)이며 성리(性理)이다. 즉 효의 원리는 생명 그 자체에 뿌리박고 있는 것이다. 효행은 시대와 환경과 처지에 따라 변하지만 효심은 국가 사회에 많은 영향을 주어 가정윤리와 사회윤리 그리고 국가윤리에 지대한 공헌을 해온 것이 사실이다. 효는 인도정신의 각성이며 인간 동질성을 회복하는 길이요, 세계 공동체의식을 진작하는 요도(要道)이기에 세계인류인 모두에게 있어서 진정한 효행이야말로 갈등과 분열과 투쟁의 시대를 화합과 협동과 평화의 세계로 이끄는 원동력이 되는 것이다. 효는 선진유가의 인격교육에서의 자연스런 방법적 원리이다. 성리학파에 따르면 효 사상이란 인격 확립의 방법적 원리이자 이(理)를 궁구(窮究)해 나가는 근거가 되고 있다. 그러므로 한국인들이 현대에 있어서도 가장 소중한 덕목으로 또한 미풍양속으로 효를 중시하는 까닭은 유가의 교육학사상이 일찍이 우리문화에 유입했기 때문이라기보다는 ‘조상을 숭배하고’ ‘인격을 중시’하는 한국인의 문화 전통과 맥을 같이 하고 있기 때문이라 하겠다. 또한 성리학파의 교학사상은 효의 본질인 인격 확립의 교육방법론으로 채택했을 뿐만 아니라 이를 궁구해가는 인식론으로까지 그 의미와 가치를 높여주었다는 점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현대 한국인의 효 교육사상을 조명해 볼 때 인간관계적 효 교육사상은 21세기를 맞이하고 있는 현대에 있어서도 그 의미와 가치를 지닌다고 하겠다. 한국인의 전통교육사상은 현대에 있어서도 보편성을 지니고 있는 탁월한 교육사 상이라 하겠다. 따라서 한국인에 있어 효는 가장 중시하는 덕목 또는 가장 소중하게 여기는 미풍양속을 넘어 현대에 있어서도 인격교육의 방법론과 지혜론으로써의 그 의미와 가치를 지니고 있을 뿐만 아니라 ‘인격을 중시’하고 ‘조상을 숭배’하는 한국인의 오랜 문화전통을 이어 받고 있다는 점에서 더 큰 의미와 가치를 지니고 있는 것이다. 우리사회에 대두된 가장 큰 문제는 가정이 무너지고 있다는 점이다. 가정에서의 자녀교육의 실종, 청소년들의 타락 등 오늘날 우리가정이 총체적 위기를 맞고 있다. 이러한 문제들은 유교윤리의 붕괴, 전통가치관과의 단절로 ...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