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시민 인식의 녹색 전환을 위한 환경 리터러시 진단 및 강화 방안

        염정윤,김남수,정행운,정우현 한국환경연구원 2021 기본연구보고서 Vol.2021 No.-

        Ⅰ.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환경 정책이 성공적으로 정책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정책 이해와 필요성에 대한 범국민적 공감대가 필수 □ 한국환경연구원에서 발간한 ‘2020 국민환경의식조사’에 따르면, 환경문제가 중요하기는 하지만 자신이 직접적 피해를 받는 주체라고 체감하지 못함 ㅇ 주로 실천하는 친환경 행동 중 자발적인 실천은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남 ㅇ 친환경 행동 실천을 위해서는 환경에 대한 고려가 내재화되고 습관화되어야 함 □ 사람들의 인식에 영향을 주기 위해 우선적으로 고려할 수 있는 방법은 교육 ㅇ 우리나라 환경교육은 환경교육 학령기 아동과 청소년을 중심으로 구성됨 ㅇ 지금 당장 환경문제에 영향을 미치고 실질적으로 환경적 실천을 해야 하는 성인의 대다수는 성인이 된 이후에 충분한 교육 기회를 접하지 못한 환경교육의 소외계층 □ 환경교육 목표로서의 환경 리터러시 ㅇ 환경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지만 실질적으로 교육의 효과를 확인할 수 있는 객관적이고 구체적인 지표가 부재함 ㅇ 환경교육의 목표를 환경 리터러시의 증대로 설정하고 이를 측정할 지표 개발이 필요 2. 연구의 범위 □ 환경 리터러시 개념 정리 및 성인 대상의 측정 도구 개발 □ 일반 시민의 환경 리터러시 수준 측정 □ 환경 리터러시의 예측 요인과 결과 요인 확인 □ 군집 분석을 통한 시민 유형 파악 Ⅱ. 성인 환경교육과 환경 리터러시 1. 성인교육 □ OECD 2005년 프로젝트 보고서인 ‘The Role of National Qualification Systems in Promoting Lifelong Learning’에서는 교육 형식을 형식(formal), 비형식(non-formal), 무형식(informal) 교육으로 구분 ㅇ 형식 교육은 교육기관이나 훈련기관, 직장 내의 교육 등으로 학위나 자격증 등의 형태로 사회적인 인증을 받을 수 있는 학습 ㅇ 비형식 교육은 프로그램을 통한 학습이지만 공식적 평가나 인증이 없는 학습으로 주로 평생교육원이나 사설 교육기관, 문화센터 등에서 이루어지는 교육 ㅇ 무형식 교육은 가사활동, 여가활동, 직업활동 등 일상적인 활동을 통해 이루어지는 학습 □ 2020년 기준 국내에서는 42.1%에 달하는 성인 평생학습 참여율 중 비형식 교육에 참여한 경우가 41.3%로, 전체 교육 참여의 약 98%가 비형식 교육으로 이루어짐 2. 환경 리터러시 □ 북미환경교육협회(NAAEE)는 환경 소양을 설명하고 측정하기 위한 틀(framework for assessing environmental literacy)을 제안 ㅇ 환경 쟁점에 대한 개념적 이해, 문제 해결과 비판적 사고 기능, 환경과 자연에 대한 견해, 개인적/사회적 영역에서 친환경 행동으로 구성 ㅇ 핵심은 실질적인 문제를 해결하는 역량이며, 역량과 영향을 주고받는 요소로 지식과 태도가 연결됨 □ 김찬국 외(2019)는 환경교육 프로그램의 중요한 목적이 환경 소양을 갖추도록 하는 것이라고 전제하고, 환경 소양을 종합적으로 측정하고자 시도함 ㅇ NAAEE의 틀을 재구성하여, 크게 환경 지식, 환경 정서, 환경 실천으로 요소들을 범주화하고, 각 영역을 개인적 측면과 사회적 측면을 나누어 강조 Ⅲ. 성인을 위한 환경 리터러시 1. 인식 조사 □ 환경교육의 수요자인 일반 시민의 환경교육에 대한 인식을 확인해 보기 위해 일반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 ㅇ 조사기관 엠브레인퍼블릭을 통해 2021년 5월 31일부터 6월 5일까지 6일간 실시 ㅇ 환경교육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과 교육 수요를 확인하는 일반 설문조사와 연령대별 환경교육 주제와 필요한 환경 리터러시의 중요도를 확인하는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 조사 진행 □ 일반 성인들은 교육 주제 차원에서는 생활환경, 환경 리터러시 차원에서는 환경 실천의 중요성을 높게 판단 □ 상호작용 실천은 일반인과 전문가 모두 중요성을 가장 낮게 평가 ㅇ 현실적으로 형식보다는 비형식이나 무형식 교육 방식을 활용해야 하는 성인들에게는 상호작용 실천이 중요한 교육 전략으로 활용되어야 함 2. 성인을 위한 환경 리터러시 측정 도구 개발 □ 국내외 학술 데이터베이스, 구글 스콜라 등에서 ‘환경 리터러시’, ‘환경 소양’, ‘environment literacy’ 등의 검색 키워드를 활용하여 검색한 결과 환경 리터러시 측정 도구를 포함한 연구 및 설문조사 22건을 추출 ㅇ 측정 문항이 보고되지 않거나 동료 검증을 거치지 않은 학위 논문, 주관기관이 불분명한 설문조사 등을 제외한 13건의 연구를 기초 자료로 활용 □ 13건의 연구에 제시된 환경 리터러시 측정 문항 459개 내용 분석 ㅇ 인지 수준을 확인하는 문항(41.2%)이 가장 많고, 실천(33.7%), 정서(25.1%) 순 ㅇ 연구의 개념에 맞게 문항들을 분류하고 연구진 회의를 거쳐 초안 구성 □ 외부 자문위원 검토와 100명 규모의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초안 수정 ㅇ 환경 지식 영역의 경우 정답률이 95%를 초과하거나 30%에 미달하는 경우 해당 문항 삭제 ㅇ 환경 정서와 환경 실천 영역의 경우 문항 간 신뢰도 분석을 진행하여 크론바흐 알파값이 0.7 이하인 문항 삭제 ㅇ 환경 지식 33문항, 환경 정서 22문항, 환경 실천 32문항으로 최종 설문지 확정 Ⅳ. 환경 리터러시 진단 및 강화 방안 1. 조사 개요 □ 전문 조사기관 엠브레인퍼블릭을 통해 2021년 9월 10일(금)~9월 16일(목)까지 전국 20~60세 이상 성인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 진행 ㅇ 표본 추출은 성별, 연령별, 지역별 할당 표본 추출 방식 사용 2. 설문의 구성 □ 성인용 환경 리터러시 측정 도구는 지식, 정서, 실천 영역을 포함하며, 현재 우리나라 성인의 전반적인 환경 능력을 진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함 □ 설문은 ① 개인 특성 ② 환경 리터러시 ③ 환경 정책 의견 등 세 부분으로 구성 ㅇ 개인 특성에는 성별, 연령, 학력, 소득 등 인구통계학적 특성과 정보 습득 경로, 문화적 세계관, 환경 행동 동기, 주관적 지식 등 행동·심리적 특성을 포함 3. 연구 결과 □ 환경 리터러시 수준을 기준으로 군집 분석을 시행 ㅇ 본 연구에서는 K-평균 군집 분석 방법을 활용하여, 다섯 개 군집으로 설정 □ 군집은 행동 중심 군집(action-oriented cluster), 잠재 군집(latent cluster), 회의주의 군집(skeptical cluster), 무관심 군집(bystander cluster), 녹색 시민 군집(green citizen cluster)으로 구분 ㅇ 행동 중심 군집은 지식 리터러시는 낮지만, 정서와 실천 리터러시는 높은 유형(전체 응답자 중 8.8%) - 정서 리터러시 중에서도 환경 효능감이 높게 나타나는데, 자신의 노력으로 환경문제를 개선할 수 있다는 믿음이 실천으로 이어진다고 생각해 볼 수 있음 - 지식 리터러시는 낮지만, 자신의 환경 지식수준에 대한 평가인 주관적 지식은 높게 나타나 본인들의 능력에 대해 자신감과 신념을 지니고 있음 - 평균 연령이 51.3세로 높고 저학력 비중이 가장 높음(고졸 이하 31.8%) ㅇ 잠재 군집은 모든 리터러시 영역이 중간 수준인 유형(전체 응답자 중 23.3%) - 친환경적 또는 반환경적 가치관이 확립되지 않은 부동층(浮動層) - 일정 수준 이상의 환경 리터러시를 가지고 있지만 지속적인 실천은 나타나지 않음 - 실천 리터러시가 중간 이상이어서 상황이나 분야에 따라 타 군집(예를 들어, 회의주의 군집이나 무관심 군집)에 비해 친환경적 행동이 높게 나타날 수 있음 - 여성의 비율(60.5%)이 남성의 비율(39.5%)보다 높고, 평균 연령은 47.10세 - 주부와 단순 노무직 종사자의 비중이 타 군집에 비해 높음 ㅇ 회의주의 군집은 지식 리터러시는 높지만, 정서 리터러시는 중간, 실천 리터러시는 낮은 유형(전체 응답자 중 26.9%) - 지식 리터러시 수준은 높지만, 정서 리터러시의 영역 중 환경 효능감이 낮게 나타남 ㆍ환경 효능감은 환경문제의 해결책을 파악하여 실천할 수 있는 능력에 대한 믿음과 이러한 실천이 실제 환경문제 개선에 도움을 줄 것이라는 믿음 - 고학력층 비중이 가장 높고(대졸 이상 75.8%) 고소득층 비중도 높은 편(가구소득 500만 원 이상 45.7%) - 직업적 특성으로는 학생이나 전문기술직의 비중이 높음 - 토의나 토론, 강의 형식의 환경교육 방법을 선호하며 미디어(보도/비보도 모두 포함)를 통한 환경 정보 이용 비중이 다른 군집에 비해 높게 나타남 ㅇ 무관심 군집은 모든 리터러시 영역이 낮은 유형(전체 응답자 중 14.4%) - 환경 인식이 낮을 뿐 아니라 때로는 환경에 대해 부정적인 시각을 드러내는 집단 - 자연을 예측 불가능한 대상으로 보고, 행위 결과는 우연이라고 보는 운명주의가 강함 ㆍ따라서 개인이나 집단의 노력으로 위험을 막을 수 없다고 생각 - 남성의 비율(68.8%)이 여성의 비율(31.3%)보다 높고 평균 연령이 가장 낮음 - 다른 군집에 비해 저소득 비중(가구소득 200만 원 이하 32.6%)이 높고, 미혼(50.0%) 또는 자녀가 없는 응답자(51.4%)의 비중이 높음 ㅇ 녹색 시민 군집은 모든 리터러시 영역이 높은 유형(전체 응답자 중 26.6%) - 지식과 정서, 실천이 모두 갖추어진 환경적으로 가장 이상적인 집단 - 상대적으로 고학력자 비중이 높고, 경영/관리직이나 전문직 종사자 비중이 높음 - 환경 행동의 동기 중 환경의 유지와 보존 그 자체가 환경 행동의 동기가 되는 생태 동기가 가장 높은 군집 - 정보 능력이 가장 높고 모든 출처의 정보를 골고루 이용 4. 군집별 환경 리터러시 강화 방안 □ 행동 중심 군집 ㅇ 다소 부정확한 지식을 갖고 있지만 스스로는 환경에 대해 잘 알고 있다고 평가하므로 잘못 알고 있는 지식을 바로잡아 정확한 실천이 이루어지도록 유도 ㅇ 평균 연령과 저학력 비중이 높아 직관적이고 이해가 쉬운 형태로 정보 가공 필요 ㅇ 환경 캠페인, 환경 활동 참여를 선호하며 지역 커뮤니티를 통해 정보를 얻는 비중이 높아 주민센터나 복지관과 같은 지역 기반 거점에서 환경 캠페인 참여 유도 추천 □ 잠재 군집 ㅇ 일정 수준의 지식과 정서를 갖추고 있어서 적절한 개입(intervention)을 통해 정서 리터러시를 증대하면 실천 역시 증가할 것이라 기대할 수 있음 ㅇ Grunig는 이러한 집단을 활동적으로 변화시키기 위한 주요 요인으로 관여도 제시 - 관여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대상과의 심리적 거리감을 줄이고, 환경문제 실재감(tangibility)을 높여 주어야 함 ㆍ예를 들어, 여성과 주부의 비중이 높아 환경문제가 당신 자녀들이 직면하게 될 문제라는 등의 메시지를 전달하면 관여도가 증가 ㅇ 기본적으로 미디어를 통한 환경 정보 이용이 높으므로 정서 수준을 증대할 수 있는 미디어 콘텐츠의 개발 추천 - 현재로서는 환경 콘텐츠를 적극적으로 이용할 가능성이 낮아 PPL이나 교육적 오락물 등의 콘텐츠를 통해 환경 주제에 간접적인 노출 필요 ㅇ 주부 비중이 높아 자녀와 함께하는 체험, 견학을 제공하면 효과적일 것으로 예상 □ 회의주의 군집 ㅇ 사회구조적 한계 인식으로 지식 리터러시는 높으나 실천으로 이어지지 않는 집단 ㅇ 사회 환경적인 제약을 극복할 수 있도록 자신감을 주는 메시지 전달이 중요 - 개인이나 집단의 노력을 통해 환경문제를 개선한 사례나 환경 행동의 효과를 수치화하여 제시하면 효과적일 수 있음 ㅇ 교육 수준과 소득이 높고 학생과 전문기술직의 비중이 높아 의견 선도자로서 활약할 확률이 크므로 환경 분야의 전도사(evangelist)로 성장할 가능성이 있음 - 직장 단위의 환경 주제 워크숍이나 세미나 등을 추진하는 것을 제안 □ 무관심 군집 ㅇ 정서 리터러시를 시작으로 전반적인 환경 리터러시 수준 개선을 유도해야 함 ㅇ 정형적인 환경교육에는 참여하지 않을 가능성이 높아 부산물로서 환경학습의 효과를 낼 수 있는 접근 방법 구상 필요 ㅇ 연령이 낮고 미혼 비율이 높은 집단으로 체험이나 견학 활동을 선호하기 때문에 문화나 레저 등을 동반한 프로그램이 유효할 것으로 기대함 - 플로깅(plogging), SNS 챌린지 등 문화 트렌드를 만들어 환경이 아닌 문화 활동으로의 참여 유도 □ 녹색 시민 군집 ㅇ 추가적인 교육보다는 환경 관련 준전문가로서의 활용을 고민해야 하는 집단 ㅇ 지역 내 환경문제에 직접 관여하는 관찰·조사를 선호하기 때문에 민간 환경 전문가나 시민 과학자로의 양성을 고려해 볼 수 있음 Ⅴ. 결론 및 함의 1. 연구 결과의 종합 □ 일반 시민의 환경 리터러시 수준을 확인 ㅇ 지식 리터러시 평균은 5.20, 정서 평균은 5.13, 실천 평균은 4.34(각 영역 7점 만점)로 우리나라 시민의 전반적인 환경 리터러시 수준은 높은 편 ㅇ 성인 집단 내에서도 환경 수준에 따라 다양한 군집이 존재하는 것을 확인 - 사회적으로 유사한 집단(예를 들어, 나이, 직업 등) 내에서도 환경 수준 격차 존재 - 시민 군집별 환경 인식 및 환경 정책에 대한 의견 차이가 있음을 확인 ㆍ환경 리터러시 수준의 차이는 개인 간의 환경 능력의 차이일 뿐 아니라 환경을 바라보는 시각이나 환경 정책에 대한 의견에 영향을 미침 2. 연구의 의의 □ 성인 대상 환경교육의 방향성과 환경 정책 수립을 위한 기초 자료 제공 - 성인의 환경 실천을 증대하기 위해서는 정서 리터러시의 강화가 중요 - 성인 세대의 교육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무형식 교육의 강화가 필요 - 집단의 세분화를 통해 각 군집의 특성을 반영한 맞춤형 교육 접근 전략 추진 필요 3. 연구의 한계와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 □ 환경적으로 특징적인 모든 집단을 구분해 내지는 못함 ㅇ 성인을 대상으로 한 초기 연구로 범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척도 개발을 목적으로 하였으므로 측정에 포함되지 못한 주제나 실천 영역이 존재할 수 있음 □ 모든 시민의 온라인 접근성이 동일하지 않기 때문에 온라인 설문은 노년층이나 저소득층 표집이 왜곡될 우려가 있고 특정 집단이 과소 또는 과대 대표될 수 있으므로 유의하여 해석해야 함 □ 시민 군집에 따른 환경교육 접근 방법은 실제 효과가 검증된 것은 아님 ㅇ 각 군집에 대한 심층 면접이나 포커스 그룹 인터뷰 등을 통해 본 연구에서 제시한 접근 방법의 유효성을 검증하고, 다양하고 실효성 있는 방안을 모색해야 함 Ⅰ. Background and Aims of Research 1. Research purpose □ A nationwide consensus on the understanding on and necessity of the environmental policy is needed in order to successfully achieve the policy objectives. □ According to the “Public Attitudes towards the Environment: 2020 Survey” issued by the Korea Environment Institute (KEI), the citizens consider environmental issues important but do not feel that they themselves are a direct victim of such issues. ㅇ The level of autonomous environmental practice was relatively low compared to other main environment-friendly actions. ㅇ People should make a habit of taking the environment into consideration in order to take environment-friendly actions. □ One way that can be considered to influence people’s awareness is education. ㅇ Environmental education in Korea is centered around school-age children and youth. ㅇ The majority of adults currently affecting the environmental issues and practically practicing environmental protection are excluded from environmental education, thus not receiving enough learning opportunities. □ Environmental literacy as an objective of environmental education ㅇ The necessity of environmental education is being highlighted but in reality, there is a lack of objectives and specific indicators to verify its effect. ㅇ The goal of environmental education should be the expansion of environmental literacy and indicators to measure this should be developed. 2. Research scope □ Summarize the concept of environmental literacy and develop the scales for adults Measure the level of environmental literacy of citizens □ Confirm the predictors and consequences of environmental literacy □ Understand citizen types via cluster analysis Ⅱ. Environmental Education for Adults and Environmental Literacy 1. Adult education □ Education types are divided into formal, non-formal, and informal in the Role of National Qualifications Systems in Promoting Lifelong Learning (2005), a report on the project conducted by the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OECD). ㅇ Formal education: As education is conducted in educational or training institutes or workplaces, it allows learners to obtain social certifications in the form of a degree or certificate. ㅇ Non-formal education: Although learning takes place through a certain program, it is mainly conducted in lifelong or private learning institutes or culture centers without an official evaluation or certificate. ㅇ Informal education: Learning takes place through daily activities including house chores or leisure or vocational activities. □ As of 2020, the lifelong learning participation rate of Korean adults was 42.1%. 41.3% of them were engaged in non-formal education. About 98% of the entire programs were conducted in the form of non-formal education. 2. Environmental literacy □ The North American Association for Environmental Education (NAAEE) proposed a framework for assessing environmental literacy. ㅇ The framework is comprised of conceptual understanding on environmental issues, problem-solving and critical thinking, opinions on the environment and nature, and environment-friendly behaviors in personal and social areas. ㅇ The key is competency in solving practical issues. Knowledge and attitude are connected as a factor interacting with competency. □ Kim, C. G. et al. (2019) attempted to comprehensively measure environmental literacy under the assumption that the significant goal of environmental education is nurturing environmental literacy. ㅇ Kim, C. G. et al. (2019) emphasized personal and social aspects by re-organizing the NAAEE’s framework to categorize factors into environmental cognition, affect, and behavior. Ⅲ. Environmental Literacy for Adults 1. Survey on environmental awareness □ A survey was conducted among general citizens who are the major target of environmental education to examine their awareness on the education. ㅇ The survey was conducted for six days from May 31, 2021 to June 5, 2021 by a market research firm, EMBRAIN Public. ㅇ The survey consists of ① a general survey investigating the overall recognition and demand on environmental education and ② 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 survey examining education topics and the importance of the required environmental literacy for each age group. □ For ordinary adults, living conditions and environmental practice were considered important in terms of the lesson topic and environmental literacy, respectively. □ Both ordinary people and experts evaluated practicing interaction as least important. ㅇ In reality, for adults who need non-formal or information education instead of formal education, practice of interaction shall be used as an important strategy. 2. Development of environmental literacy measurement for adults □ The authors searched through the major academic database and internet search engine Google Scholar using the following search terms: “environmental literacy,” “environmental knowledge,” and others. As a result, 22 studies and survey cases on environmental literacy measurements were identified. ㅇ Of the 22 search results, 13 studies were finally included. Those whose study questions were not reported, theses not peer-reviewed, or surveys whose organization in charge is unclear were excluded. □ Details of 459 questions measuring environmental literacy suggested in the 13 cases were analyzed. ㅇ The number of questions asking the cognition level was the highest (41.2%), followed by behavior (33.7%) and affect questions (25.1%). ㅇ The draft was created after categorizing the questions fit to the study concept and having meetings with the research team. □ The draft was revised through the review of outside consultants and an online survey conducted among 100 participants. ㅇ For the environmental knowledge section, questions which over 95% or less than 30% of respondents answered correctly were deleted. ㅇ For the section of environmental affect and environmental behavior, reliability of questions was analyzed. Those whose Cronbach’s alpha coefficient value is less than 0.7 were deleted. ㅇ The final questionnaire was made up of a total of 87 questions: environmental cognition (33), environmental affect (22), and environmental behavior (32). Ⅳ. Results 1. Overview □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among 1,000 adults aged from 20 and 60 nationwide from September 10, 2021 (Fri.) to September 16, 2021 (Thur.) by EMBRAIN Public. ㅇ Gender, age, and region-based sampling was used. 2. Questionnaire □ The environmental literacy measurements for adults include the cognition, affect, and behavior sections, aiming at examining the current environmental competences of Korean adults. □ The survey questionnaire consisted of three parts: ① personal characteristics, ② environmental literacy, and ③ opinion on environmental policy. ㅇ Personal characteristics includ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such as gender, age, academic background, and income) and behavioral/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such as how they obtain information, cultural worldview, motivation of environmental behavior, and subjective knowledge). 3. Study results □ A cluster analysis was conducted based on the level of environmental literacy. ㅇ This study set five clusters by adopting the K-average clustering analysis method. □ The five clusters are classified into action-oriented, latent, skeptical, bystander, and green citizen clusters. ㅇ The action-oriented cluster showed a high level of emotion and practice literacy despite the low level of knowledge literacy (8.8% of the entire respondents). - Self-efficacy was stronger than other emotion literacy areas. It can be understood that the belief that environmental issues can be solved with one’s effort leads to practice. - Despite the low knowledge literacy, the level of subjective knowledge in terms of environmental knowledge was high. It means the respondents have self-confidence and belief in their competencies. - The average age was 51.3 and the percentage of respondents having poor academic backgrounds (the percentage of those with a high school diploma or lower was 31.8%) was high. ㅇ The latent cluster showed a mid level in all literacy areas (23.3% of the entire respondents). - They were swing voters whose viewpoint in terms of the environment-friendliness is not established. - They showed a certain level of environmental literacy but continuous practice was not found. - Since practice literacy was at a high level, more environment-friendly behaviors could be found than others (i.e., skeptical or bystander cluster) depending on the situation or field. - The female percentage (60.5%) was higher than that of males (39.5%), and the average age was 47.1. - The percentage of housewives and those in simple labor positions is higher than other clusters. ㅇ The bystander cluster showed a high level of knowledge literacy but emotion and practice literacy were at a mid and low level, respectively (26.9% of the entire respondents). - Despite the high knowledge literacy, environmental efficacy was weak in all emotion literacy areas. ㆍEnvironmental efficacy means the belief in one’s competencies in understanding and taking actions to solve environmental issues and such practice is helpful in addressing actual environmental issues. - The percentage of the highly educated was the highest (those having a university degree or higher is 75.8%) and the percentage of high income earners was relatively high (45.7% earns over five million KRW). - In terms of vocation, the percentage of students or those working in professional fields was high. - They preferred discussion or lecture in terms of environmental education methods. The percentage of people consuming environmental information via media (including both news reports and others) appeared higher than that of other clusters. ㅇ The bystander cluster showed low levels of literacy in all areas (14.4% of the entire respondents). - They had not only low environmental awareness, but also negative views sometimes. - They tended to show a strong belief in fatalism, seeing the nature unpredictable and thinking that all behavioral results occur by chance. ㆍThus, they considered danger is not preventable with individual or collective efforts. - The male percentage (68.8%) was higher than that of females (31.3%), and the average age was the lowest. - The percentage of low-income households (32.6% earns less than two million KRW) was higher than other clusters. The percentage of the unmarried (50.0%) or those with no kids (51.4%) was high among the respondents. ㅇ The green citizen cluster displayed high levels of literacy in all areas (26.6% of the entire respondents). - It is the most idealistic group supported by knowledge, emotion, and practice in terms of environmental education. - The highly educated percentage was relatively high and that of those in management or professional fields was high. - For them, the maintenance and conservation of the environment became the highest ecological motivation among others for environmental behavior. - They had the highest level of information competency and consumed information from all sources evenly. 3. Strategies to enhance environmental literacy for each cluster □ Action-oriented cluster ㅇ It is necessary to guide them to practice environmental activity correctly by revising their incorrect environmental knowledge, since they evaluate themselves as being knowledgeable about the environment without a precise understanding. ㅇ It is necessary to process information to make it intuitive and easily understandable, since the average age and percentage of those with poor academic backgrounds are high in this cluster. ㅇ It is needed to encourage them to participate in environmental campaigns on a regional base including a community or welfare center, since they like engaging in environmental campaigns and activities. A high percentage of them obtains information from the regional community. □ Latent cluster ㅇ Since this group have certain levels of knowledge and emotion, it can be expected that increased emotion literacy through proper intervention will lead to the rise in practice. ㅇ Grunig suggested involvement as a major factor to turn this type of cluster to active public. - It is necessary to reduce psychological distance while growing tangibility on environmental issues to enhance involvement. ㆍFor instance, since the percentage of females and housewives was high, their involvement could be enhanced if a message is sent to them, saying “Your children will soon face environmental issues”. ㅇ Basically, they consumed environmental information a lot through media, so developing media content to raise their emotional level is recommended. - Currently, there is a low possibility that they would actively consume environmental content. It is necessary to indirectly expose them to environment-related themes through embedded marketing or entertaining educational content. ㅇ It is expected that experience with children or a field trip opportunity will be effective due to the high percentage of housewives in the cluster. □ Skeptical cluster ㅇ People in this cluster show high knowledge literacy because of their awareness on social structural limits, but their cognition is not turned into behavior. ㅇ It is significant to deliver a message that gives self-confidence empowering them to overcome socio-environmental limitations. - If a case where environmental issues were solved through individual or collective efforts or the effect of environmental practice is presented in a quantified way, it may be effective. ㅇ Since the level of their academic backgrounds and income was high along with a high percentage of students and professionals, people in this cluster have a possibility of becoming an evangelist in the environmental field as a leading opinion leader. - Hosting an environment-related workshop or seminar by workplace unit is recommended. □ Bystander cluster ㅇ It is needed to guide the improvement in the overall environmental literacy starting with emotion literacy. ㅇ People in this cluster have a high possibility of not participating in formal education settings, so it is necessary to design an approach to create an environmental learning effect as a byproduct. ㅇ Experience or field trip programs along with a cultural or leisure activity are expected to be effective since they prefer such activities as members of a group whose average age is low and where the percentage of the unmarried is high. - It is necessary to induce their participation in an environmental activity as a cultural activity by creating a trend including plogging and the SNS challenge. □ Green citizen cluster ㅇ Instead of providing additional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consider ways to use this cluster as semi-professionals in the environment field. ㅇ Training them as civic environmental specialists or scientists can be considered as they prefer observation and investigation by directly engaging in the environmental issues within their region. Ⅴ. Conclusion and Implications 1. Conclusion □ Check the level of environmental literacy of ordinary citizens ㅇ The overall levels of Korean citizens were high on average: knowledge literacy 5.20 out of 7.0, emotion literacy 5.13, and practice literacy 4.34. ㅇ Depending on environmental literacy levels, the existence of various clusters was confirmed within the adult group. - There was a gap in the environmental literacy level even within a socially similar group (e.g. age, vocation, etc.). - It is confirmed that there were gaps in environmental recognition and opinions on environmental policy among citizen clusters. ㆍThe difference in environmental literacy is not just a gap in individuals’ environmental competence, but also a meaningful factor affecting the environmental view or opinion on the environmental policy. 2. Implications □ This study provided fundamental data to determine the direction for environmental education for adults and establishing environmental policy. - Enhancing emotion literacy is important to boost the environmental practice of adults. - Strengthening information education is required to increase the educational effect on the adult generation. - It is necessary to develop educational approaches suited to the characteristics of each cluster through cluster segmentation. 3. Limitations and follow-up research □ It is impossible to distinguish all unique clusters in terms of the environment. ㅇ This study aims at developing scales that can be universally used as initial research based on adults. Clearly, there could be themes or practice areas not included in the measurement. ㅇ Future research may classify and present clusters from a more diverse perspective. □ Since an online survey cannot be equally accessible by all citizens, the sampling of the elderly or low-income households may be distorted or a certain group can be under- or over-represented. □ The actual effect of environmental educational approaches on each citizen cluster is not verified. ㅇ It is necessary to verify the validity of the approaches suggested in this study by conducting an in-depth or focus group interview in each cluster and explore more various, effective measurements.

      • KCI등재

        중학생의 식생활 관련 환경지식과 환경의식 및 환경친화적 식생활 행동

        이옥순,김영남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005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17 No.2

        In this study, environmental knowledge and consciousness and eco-friendly behavior related to dietary life of middle school students were examined. Male and female students in Gyeongsan and Daegu Metropolitan City were selected for the study. Total of 490 questionnaires were delivered and collected, and 445 of them were analyzed by using SPSS Win Ver 12.0. Percentages of students who checked 'don't know the answer' in 20 environmental knowledge assessment questions were 14.4~41.8%, and those who gave correct answer to those responded to know the answer were 40.1~93.3%. The average score of environmental consciousness was 3.45 and that of eco-friendly dietary behavior was 2.9 out of 5. When dietary behavior was divided by three categories, such as food purchasing, eating, and dish washing, the score of food purchasing behavior was 2.7, those of eating behavior and dish washing behavior were 3.0, 3.1, respectivel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nvironmental knowledge, consciousness, and eco-friendly dietary behavior, there was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knowledge and consciousness, but no significant relation between consciousness and behavior. It showed that environmental knowledge and consciousness didn't always lead to eco-friendly dietary behavior. Therefore, education for practical behavior must be emphasized even though the knowledge and consciousness education on environment are important. 본 연구는 중학생들의 식생활 관련 환경지식과 환경의식, 그리고 환경친화적 식생활 행동 수준을 파악하고 성별, 학년별 차이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식생활 관련 환경지식과 환경의식이 환경친화적 식생활 행동과 관련이 있는지 알아봄으로써 환경문제에 대한 관심을 고취시키고자 시도하였다.2004년 7월 경북 경산시와 대구광역시에 소재하고 있는 남여 중학교 가운데 각각 1개 중학교를 편의 선정하여 이들 학교의 재학생을 대상으로 학년별로 1개 반씩 표집하였다. 총 490부의 질문지를 직접 배포수집하여, 이 가운데 445부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Ver 12.0을 이용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t-검증과 분산분석,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다.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첫째, 환경에 관련된 정보는 TV, 라디오, 인터넷 등 주로 미디어를 통해서 얻고 있었다.둘째, 쓰레기 분리함은 학교와 거주지 모두 비교적 잘 설치되어 있다고 응답하였으며, 재활용품의 수거도 잘 이루어지고 있다고 응답하였다. 반면, 무공해상품이나 재생용품의 구입, 재활용이나 물물교환의 기회가 적으며, 환경교육 프로그램도 적고 환경보호 활동이 활발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셋째, 중학생들의 환경지식 측정에 사용된 20개 문항에 대한 분석결과, 인지도는 58.2~85.6%, 평균 77.2%이며, 정확도는 40.1~93.3%, 평균 75.2%이었다. 환경지식 점수는 성별 차이는 없었으나, 학년별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3학년, 1학년, 2학년의 순이었다. 사회적으로 환경에 대한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으나 가정 교과에서 식생활 관련 환경지식에 대한 정보를 2학년 과정에서 다루지 않는다는 점에서 2학년의 환경지식 점수가 떨어짐을 알 수가 있다. 특별활동이나 재량활동 시간을 이용하거나 가정 교과에서 식생활 영역이 모든 학년에서 다루어진다면 식생활 관련 환경지식 수준이 더 높아질 가능성이 있다. 넷째, 중학생의 환경의식 실태를 분석한 결과 5점 만점에 3.45점으로 나타났다. 환경의식 점수 또한 성별 차이는 없었으나 학년별로는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환경의식 점수는 환경지식 점수와 마찬가지로 3학년, 1학년, 2학년의 순으로 나타났다.다섯째, 중학생들의 환경친화적 식생활 행동 점수는 5점 만점에 평균 2.9점으로 나타났다. 식품구매, 식사, 뒤처리 행동의 세 개 영역으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 식품구매 행동 2.7점, 식사 행동 3.0점, 뒤처리 행동 3.1점이었다. 그리고 성별에 따른 환경친화적 식생활 행동 차이를 조사한 결과 식품구매와 뒤처리에서 여학생이 남학생에 비해 환경친화적인 행동을 실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년별 차이를 분석한 결과 식사 행동에서는 저학년일수록, 뒤처리에서는 학년이 올라갈수록 환경친화적인 행동을 실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학생들은 환경의식에 비해 환경친화적인 식생활 행동의 실천도가 떨어지고 있으며, 특히 식품구매 행동에서 실천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여섯째, 환경지식, 환경의식, 환경친화적 행동의 관계에서 환경지식 점수가 높을수록 환경의식 수준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환경친화적 식생활 행동은 환경지식, 환경의식과 상관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환경지식, 환경의식 수준이 높다고 환경친화적인 행동을 실천하는 것은 아니라고 생각된다. 이상과 같은 결론을 통하여 환경지식, 환경의식에 대한 교육과 함께...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의 객관적 및 주관적 환경지식이 환경행동에 미치는 영향: 환경감수성의 매개역할

        정미라,나춘기 한국환경교육학회 2023 環境 敎育 Vol.36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유아교사의 환경지식, 환경감수성, 환경행동 간의 관계를 규명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객관적 환경지식과 주관적 환경지식이 환경감수성 및 환경행동과 어떤 관련이 있는지 살펴보았다. 구조방정식 모델을 이용하여 환경행동에 대한 환경지식의 직접적인 영향과 환경감수성을 매개로 하는 간접적인 영향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환경지식은 그 유형에 관계없이 환경감수성과 환경행동 모두에 유의한 긍정적 영향을 미치며, 환경감수성은 환경행동에 유의한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보였다. 환경행동에 미치는 주관적 환경지식의 영향은 객관적 환경지식보다 높았으며 환경감수성에 의해 부분 매개되었다. 객관적 환경지식이 환경행동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은 유의하지 않았지만 간접적 영향은 무시할 수 없을 만큼 유의하게 나타나 그 영향이 환경감수성에 의해 완전 매개되었음을 보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환경행동을 형성하는 데 있어 객관적 환경지식과 주관적 환경지식 모두의 중요한 역할과 환경지식이 환경행동으로 전환되는 데 있어 환경감수성의 중심적인 역할을 보여주었다. 또한, 예비유아교사들의 환경행동을 증진하기 위해 환경감수성뿐만 아니라 객관적 및 주관적 환경지식 모두를 향상시킬 수 있는 환경교육 프로그램이 필수적임을 시사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environmental knowledge (EK), environmental sensitivity (ES), and environmental behaviors (EB)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Specifically, we examined the ways in which objective environmental knowledge (OK) and subjective environmental knowledge (SK) are related to ES and EB. Employing a structural equations modeling approach, we tested both the direct and indirect (mediated) effects of EK on EB, taking into account the mediating role of ES. The results indicate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f EK, irrespective of its type, on both ES and EB, an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f ES on EB. The effect of SK on EB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OK and was partially mediated by ES. Although the direct effect of OK on EB was not significant, its indirect effect was substantial enough not to be ignored and was found to be fully mediated by ES. These findings demonstrated the crucial roles of both OK and SK in increasing EB, emphasizing the central role of EA in transforming EK into EB. They also suggest that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s, designed to enhance both OK, SK, and ES, are essential for improving the EB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 KCI등재후보

        환경교육 교사연수 프로그램의 내용 분석 - 국립환경인력개발원 환경교육연수 교재의 교수내용지식(PCK)을 중심으로 -

        조승연,남미리 에너지기후변화교육학회 2016 에너지기후변화교육 Vol.6 No.2

        이 연구에서는 초등학교에서의 환경교육 실행을 위한 교사들의 교수내용지식(PCK: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을 확인하고자 한다. 교사들이 환경교육에 대한 지식을 얻기 위한 방법 중 하나로 교사 연수를 선택한다는 점을 고려하여 국립환경인력개발원에서 진행하는 환경교사 연수의 교재를 연구대상으로 선택했다. 2009년부터 2016년까지의 8개년도 교재를 분석하여 내용지식과 교수내용지식이 교사연수를 통해 어떻게 전달되고 있는지 확인했다. 이를 위해 환경교육 교사연수교재의 내용과 연수교재에 제시된 교수내용지식(PCK)의 경향, 보완되거나 수정되어야 할 교수내용지식(PCK)에 대해서 분석했다. 교수내용지식이 포함된 단원을 분석한 결과, 환경교육 교수․학습의 기술과 기능 중심의 교수법에 관한 내용은 많았으나, 학습곤란이나 평가부분은 포함되지 않았으며, 학생들의 이해, 교사의 역할, 학급의 환경경영 등 수업 자체의 밑바탕이 될 수 있는 부분들에 대한 내용은 부족한 편이었다. 앞으로의 환경교사 연수에서는 환경 교사가 갖춰야 할 능력에 대해 충분히 고찰하고, 실제적인 환경교육을 수행하기 위한 교수내용지식을 포함하는 교사연수를 구성하기 위한 고민이 필요하다.

      • KCI등재

        소비자의 친환경소비 및 친환경정보 요구도에 관한 연구

        유현정,이은희,차경욱 한국소비자정책교육학회 2013 소비자정책교육연구 Vol.9 No.4

        소비자가 합리적인 선택을 통해 친환경소비를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친환경정보들이 충분하고 정확하게 제공될 필요가 있으며, 동시에 소비자도 정보를 정확히 이해하고 판단해 선택할 수 있는 능력이 있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소비자들의 친환경소비와 친환경정보 활용에 대한 탐색을 바탕으로, 친환경정보에 대한 요구도를 분석하였다. 분석을 위해 20세 이상 성인소비자를 대상으로 조사전문업체에 의뢰해 총 500부의 설문지 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자의 약 74%가 친환경소비에 관심이 있다고 응답했고, 약 77%가 친환경소비 실천을 위해 노력한다고 응답했다. 둘째, 친환경, 에너지, 탄소, 녹색소비의 4가지 영역 17개 항목으로 조사한 친환경지식의 평균 정답률은 54% 수준이었다. 특히 유기농산물, 무공해, 에너지 절약마크에 대한 지식수준이 낮게 나타났다. 셋째, 친환경 정보 중 에너지효율, 에너지절약과 관련된 정보는 활용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반면, EDP와 재활용 관련 정보는 활용도가 낮게 나타났다. 친환경정보 활용에 대한 어려움을 조사한 결과, 친환경정보가 부족하다, 정보가 추상적이다, 정보가 애매모호하다 등을 지적한 비율이 높았다. 넷째, 유기농, 인증, 에너지, 저탄소, 재활용의 5개 영역 18개 항목에서 친환경정보에 대한 요구도를 조사한 결과, 모든 항목에서 5점 중 4점 이상의 높은 요구도를 나타냈다. 다섯째, 친환경소비 관심도와 실천도 수준이 유사한 집단(균형적 소비자집단)과 관심도에 비해 실천도가 크게 낮은 집단(고관심/비실천 소비자집단)으로 유형화하여 비교한 결과, 친환경지식, 친환경정보 활용도, 친환경정보 어려움 인지, 친환경정보 요구도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여섯째, 친환경소비에 대한 관심과 실천이 친환경지식 및 정보활용도, 정보활용의 어려움인지를 거쳐 친환경정보에의 요구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지식은 활용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즉, 소비자가 관련된 지식을 많이 가지고 있다고 해서 정보를 더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것은 아님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소비자들이 알고 있는 것과 실천하는 것이 유의한 관련성을 갖기 위해서 소비자들의 입장에서 문제점이 무엇인지를 분석해야 하며 따라서 녹색소비 활성화를 위한 정보정책은 양보다는 정확성, 정보제공보다는 소비자 이해 및 수용과 실천에 좀 더 초점을 맞춰 전개될 필요성이 제기된다.

      • KCI등재

        구조적 학습환경과 자율적 학습환경이 조직혁신성에 미치는 영향 분석: 지식활동의 매개구조모형을 중심으로

        고미라,오석영 중앙대학교 한국인적자원개발전략연구소 2020 역량개발학습연구 Vol.15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조직의 학습환경을 구조적 학습환경과 자율적 학습환경으로 조작적으로 정의하여 이들과 지식활동(지식창출활동, 지식공유활동), 조직혁신성 간의 구조적 관계를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자료수집을 위해 국내 30개 대기업에 36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여 352부를 회수하였다. 이 중 불성실한 응답을 제외한 최종 337부의 응답 자료를 구조모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구성원이 인식하는 조직의 구조적 학습환경과 자율적 학습환경은 모두 지식창출활동과 지식공유활동에 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식창출활동은 조직혁신성에 정적인 영향을 주었으며, 지식공유활동은 지식창출활동을 완전매개하여 조직혁신성에 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율적 학습환경은 각 지식활동에 대한 영향뿐 아니라 조직혁신성에 대한 간접효과 역시 상대적으로 더 큰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대기업의 조직혁신성을 증진하기 위해서는 구조적 학습환경을 조성하는 것도 필요하지만, 구성원 주도의 업무수행과 구성원 간 상호작용 과정에서 학습이 이뤄지는 자율적 학습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더욱 중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또한, 단순한 지식공유를 넘어 이를 지식창출과 연계한 운영을 통해 조직혁신성을 높일 수 있음을 의미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distinct types of learning environments, knowledge activities (knowledge creation activities, KCA; knowledge sharing activities, KSA), and organizational innovation (OI). Based on previous literature, the learning environments were classified into a structured learning environment (SLE) and an autonomous learning environment (ALE) and subsequently the hypothesized model was developed. Data was collected from 30 firms and 337 respondents were analyzed to test the structural hypothesized model. The results show both the SLE and ALE in organizations have positive effects on KCA and KSA. KCA showed a positive effect on OI, and KSA positively affected OI through complete mediation of KCA.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ALE also has a relatively higher indirect effect on OI. The findings suggest that the ALE play a more important role in promoting the OI than SLE, although SLE steadily contributes toward OI. Moreover, it also implies that KCA is a critical mediating variable to enhance the OI.

      • KCI등재

        레스토랑 고객의 환경 지식이 친환경 메뉴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

        양재장 ( Jae Jang Yang ),이상건 ( Sang Gun Lee ) 대한관광경영학회 2014 觀光硏究 Vol.29 No.2

        본 연구는 국내 레스토랑 고객을 대상으로 환경지식과 주관적 지식이 환경신념과 개인적 규범을 거쳐 친환경 메뉴의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검증함으로써 환경지식의 정도가 친환경 메뉴의 구매의도에 미치는 역할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환경지식은 환경에 대한 신념에 영향을 미치고, 그런 환경에 대한 신념이 궁극적으로 개인적 규범 및 구매의도에 영향변수란 점을 파악할 수 있었다. 구체적으로 환경지식은 환경에 대한 신념을 설명하는 변수이지만, 주관적 지식은 환경에 대한 신념에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반면에 주관적 지식은 개인적 규범에 영향을 미치고, 반면에 환경지식은 개인적 규범에 영향변수가 아닌 점이 드러났다. 그리고 환경에 대한 신념은 개인적 규범과 구매의도에 모두 영향을 미치나, 특히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이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개인적 규범도 구매의도의 설명변수로 검증되었다. 즉, 환경에 대한 신념은 환경지식에 의해 형성되며 개인적 규범보다 친환경 메뉴의 재구매 의도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분석결과는 국내에서는 아직까지 개인의 주관적인 지식과 개인적 규범 보다 사회적인 영향이 친환경메뉴의 재구매의도에 더 큰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s among environment or subjective knowledge, belief on environment, personal norm, and purchase intention of environment-friendly restaurant menu. For this purpose,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restaurant customers by online research panel for 21 days from May 10th til 30th, 2013. A total of 550 were collected and 547(99.5%) were analyzed using IBM SPSS 20 and AMOS 20.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employed to verify research hypothesis. Research findings revealed that there was a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environment knowledge and belief on environment, but subjective knowledge of environment did not affect belief on environment. Belief on environment showed positive and significant impact both on personal norm and purchase intention of environment-friendly menu. Lastly, personal norm also affected purchase intention of environment-friendly menu. And implications of these results were examined.

      • KCI등재

        환경친화적 태도와 과학적 지식이 환경친화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연구

        김민경(Minkyung Kim) 한국환경교육학회 2015 環境 敎育 Vol.28 No.2

        본 연구는 서구문화권에서 도출된 환경친화적 태도 및 과학적 지식수준과 환경친화적 행동 간의 관계에 대한 기존의 이론이 문화보편적으로 적용가능한 것인지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2010년 국가 간 사회조사프로그램(international social survey program:ISSP)의 조사자료에 수록된 29개국 39,512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환경친화적 태도와 과학적 지식수준이 환경친화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외적타당도를 확인하였다. 더불어 국가의 문화성향에 따라 환경친화적 태도 및 과학적 지식수준 이 환경친화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강도에 차이가 있는지를 실증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환경에 대한 과학적 지식수준은 환경친화적 태도와 환경친화적 행동사이의 매개변수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환경친화적 태도와 과학적 지식수준은 환경친화적 행동과정(+)의 관계에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들 변수가 환경친화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강도는 국가의 문화성향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개인주의 문화성향의 국가에서는 환경친화적 태도의 함양이 환경에 대한 과학적 지식수준보다 환경친화적 행동에 더 강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집합주의 문화성향의 국가에서는 환경친화적 태도와 환경친화적 행동간의 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과학적 지식수준이 환경친화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강도는 개인주의 문화성향의 국가에서보다 높게 나타났다. The aim of the study was to test whether environmental attitudes and knowledge can explain pro-environmental behavior, and whether there are cultural differences in this respect. This study tested the conceptual framework of pro-environmental behavior by applying structural equation model (SEM). Data were drawn from the 2010 International Social Survey Programme (ISSP) which included an environmental module. Results indicated that environmental attitudes significantly predicted pro-environmental behavior and that environmental knowledge was a significant mediating variable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environmental attitudes and pro-environmental behavior. Furthermore, cultural contexts had an influence of relationships among environmental attitudes, knowledge and behavior. In individualistic cultures, pro-environmental behavior was more strongly related to environmental attitudes rather than knowledge. In contrast, environmental attitudes were not significantly related to pro-environmental behavior in collectivist cultures. On the basis of these results, the different influence of environmental attitude and knowledge on pro-environmental behavior between individualistic and collectivist cultures were discussed.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의 환경지식과 환경친화적 행동의 관계에서 환경태도와 환경행동의도의 매개효과

        정미라,나춘기 한국환경교육학회 2022 環境 敎育 Vol.35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주변 환경에 대한 환경지식이 환경태도, 환경행동의도, 환경친화적 행동을 어떻게 향상시키는지를 탐구하는 것이다. 환경지식과 환경친화적 행동의 인과관계를 평가하기 위해 SPSS PROCESS macro를 이용한 매개효과 분석을 수행하였다. G, K 및 M시에 위치한 3개 대학의 유아교육과 재학생 203명으로부터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결과는 환경지식이 환경태도에 유의미한 긍정적 영향을, 환경태도는 환경행동의도와 환경친화적 행동에 유의미한 긍정적 영향을, 환경행동의도는 환경친화적 행동에 유의미한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환경지식이 환경친화적 행동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은 유의하지 않았지만, 간접적인 영향은 유의하였다. 환경친화적 행동에 미치는 환경지식의 간접영향은 환경태도와 환경행동의도에 의해 완전 매개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환경지식이 환경친화적 행동으로 전환되는 데 있어 환경태도는 중심적인 역할을 하였다. 이러한 결과들은 예비유아교사의 환경친화적 행동을 신장시키기 위해 환경지식 뿐만 아니라, 환경태도를 개선할 수 있는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이 개발, 적용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how environmental knowledge (EK) shapes environmental attitudes (EA), environmental behavioral intentions (EBI), and pro-environmental behaviors (PEB) in relation to the surrounding environment. A mediating effect analysis using the SPSS PROCESS macro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EK and PEB. Data were collected from 203 students who are attending in the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t three universities located in cities G, K and M. The results showed that EK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EA, EA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EBI and PEB, and EBI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PEB. The direct effect of EK on PEB was not significant, but the indirect effects were significant. It was found that the indirect effects were fully mediated by EA and EBI. It was also clear that EA played a central role in the transformation of EK into PEB.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re is a need to provide more educational programs that can improve EA as well as EK in order to increase PEB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 KCI등재

        유아교사의 수학적 태도와 수학교과교육학지식이 수학문해환경에 미치는 영향

        임경령,김유정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5

        목적 본 연구는 유아교육기관의 수학문해환경에 유아교사의 수학적 태도와 수학교과교육학지식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함에 목적이 있다. 방법 서울, 경기, 인천에 소재한 34개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근무하고 있는 교사 229명을 대상으로 수학적 태도, 수학교과교육학지식, 수학문해환경에 관한 교사용 설문지를 활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기술통계, 빈도분석, t-검증, 일원분산분석그리고 단계적 다중회기분석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첫째, 유아교사는 담당하고 있는 반의 연령에 따라 수학적 태도에 차이가 있으며, 수학교과교육학지식은 유아교사의 일반적변인 중 경력과 학력, 기관 유형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수학문해환경은 유아교사의 일반변인 중 경력과 학력, 기관 유형과 담당 연령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교사의 일반적 변인, 수학적 태도 그리고 수학교과교육학지식은 수학문해환경과 정적 상관을 나타냈다. 셋째, 유아교사의 일반적 변인, 수학적 태도에서는 수학에 대한 동기 그리고 수학교과교육학지식에서는 교수학습방법에 대한 지식이 수학문해환경에 설명력을 지니고 있었다. 결론 본 연구는 교사의 일반적인 변인, 수학적 태도, 수학교과교육학지식이 유아교육기관의 수학문해환경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알아보았다. 이를 통해 유아교육현장에서 수학문해환경의 질을 높이기 위한 방안으로 교사의 수학적 태도와 수학교과교육학지식을향상시켜줄 수 있는 교사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교사교육이 이루어져야 함을 강조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