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역사문화환경’ 보존·관리·활용을 위한 박물관의 역할과 과제

        김현경 한국지역문화학회 2024 지역과 문화 Vol.11 No.1

        본 연구는 ‘역사문화환경’에 대하여 공동체 참여의 이슈를 중심으로 박물관의 역할과 과제에 대하여 탐색을 목적으로 하였다. ‘역사문화환경’은 문화유산에 대한 보존과 관리, 그리고 활용에 대한 전반적인 영역의 유산화 과정으로 개념적·제도적으로 ‘공동체의 참여’에 대한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으나, 해당 영역이 쉽게 간과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이와 같은 문제의식 하에 본 연구는 ‘포용적 유산’의 개념에 입각한 역사문화환경의 제도적 적용에서 ‘공동체 참여’를 이끌기 위한 박물관의 역할을 살펴보았다. 세부적으로 포용적 유산 관점에서의 역사문화환경과 박물관의 개념적 관련성을 밝히기 위하여 공동체 참여형 박물관의 특징들을 문헌을 통한 질적 메타 분석 방식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공동체 참여형 박물관은 지역민 참여를 기반으로 하는 자료 수집과 전문가와의 수평적 협업 구조를 형성하여 지역의 유·무형 자산을 수집·공유하는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역사문화환경의 보존에 있어 공동체의 참여를 활성화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역사문화환경의 관리에 있어 지역민 자치적인 활동을 장려하고 능동적인 역사 인식을 통한 토착 공동체와 새롭게 유입되는 공동체 간의 소통의 기회를 마련하고 협력을 이끄는 역할을 찾을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활용에 있어 역사문화환경 조성에서 간과될 수 있는 연구·교육·평가를 활성화하고, 정보 공유의 장을 마련하며 더 나아가 지역 이벤트와의 연계 활동 등 다양한 지역 활성화의 계기를 마련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explores the roles and tasks of museums, focusing on the issue of community participation, in the context of the `Historical And Cultural Zones', which is being concretized through the `First Basic Plan for the Development of Historical Cultural Areas' after the enactment of the `Special Act on the Development of Historical And Cultural Zones'. The `Historical And Cultural Zones' is a process of heritage preservation, management, and utilization of cultural heritage, and the application of institutions alone is limited, and the area of `community participation' is an area that is easily overlooked in addition to institutional methods at this point. This study is premised on the research hypothesis that there are roles and challenges for museums in the institutional application of the historic cultural environment based on the concept of `inclusive heritage'. To this end, the role of community-engaged museums, which is emphasized in the new definition of museums, is examined and its conceptual relevance to the historic and cultural environment from an inclusive heritage perspective is explored. A qualitative meta-analysis was used to identify the potential for community-engaged museums to contribute to local participation and community building in the application of an inclusive heritage perspective.

      • KCI등재

        온라인 학습환경으로서 가상박물관(Virtual Museum)의 가능성에 대한 탐구

        강인애(Inae Kang),설연경(Yeon-Kyung Seol) 한국콘텐츠학회 2010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0 No.4

        IT의 활용이 사회 전 영역에서 널리 사용됨에 따라 요사이 학교교육의 보완적 교육환경으로 언급되는 박물관에서도 가상박물관이라는 일종의 박물관 웹사이트가 등장하면서, 박물관의 교육적 기능과 역할을 더욱 강화시킬 수 있는 가능성에 주목받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웹 1.0에서 웹 2.0으로의 웹의 진화과정에 따라 가상박물관의 역할과 기능에서도 어떤 변화가 이루어지는지를 살펴보았으며, 특히 현재 국내외 가상박물관의 사례분석 및 문헌에 대한 분석 결과를 기반으로 가상박물관이 지닌 교육적 구성요소를 도출하고, 각각의 요소에 대한 교육적 활용방안들을 모색해보았다. 그 결과, 웹 2.0 기반의 가상박물관은 디지털 아카이브, 학습용 자료, 그리고 박물관을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커뮤니티의 세 가지 기능과 역할로 요약될 수 있었으며, 이들 각각 요소에 대한 교육적 활용방안을 제공하였다. 궁극적으로 본 연구가 지향하는 바는 가상박물관을 학교교육의 보완적 교육환경을 넘어서, 차세대 온라인 교육환경으로 인식할 수 있는 토대를 제시하고자 하는 것이다. As digital technologies have strongly impacted the whole social aspects, so museum recently emerging as an alternative or supplementary learning environment to school, after active adoption to the technologies, gave birth to museum websites called 'Virtual Museums' which, then, result in enhancing the educational roles and functions of physical museum. In this context, this study aimed to review the process of how virtual museum has been developed in terms of its educational roles and characteristics in accordance with the evolutionary development of web. Especially, the analysis of the status quo of the current virtual museums in both Korea and overseas presented specific aspects of the educational elements and roles embedded in virtual museum which have been emphasized in many related research and studies. The categories of the roles of the virtual museum, as a result, were classified into 'digital archive,' 'learning resources,' and 'communigy,' each of which were, then, further elaborated for its individual educational uses. Eventually this study purposed to expand the public awareness and knowledge of virtual museum as the alternative online learning environments needed in the 21st century.

      • KCI등재후보

        가상환경 프로그램을 활용한 자연사박물관 활성화 방안

        김연희,조남규 차세대컨버전스정보서비스학회 2016 차세대컨버전스정보서비스기술논문지 Vol.5 No.2

        Nowadays,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has made life convenient by city expansion and development. But science and technology with enormous destructive power has causes a critical issues of global environmental pollution, such as Global Warming and Biological Extinction, are threatening the mankind existence. As follow by meaning above, environmental concerns are cross-border and social problems that directly related to the life of supernatural modern humans. These seriousness of environmental contamination has emerged as social issues and increase importance of environmental education, however compared to importance in environmental education through field experience, the actual development and verification by utilizing with specific chapter of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s are still insufficient. Therefore, specialized education institute Museum of Natural History that systematically research and exhibition·education on the nature, human and history of the universe is, the best chapter in the environmental education that eco-friendly attitude capable. As above, in this study, we recognize the necessity of environmental education according to Earth’s environmental contamination and Biological Extinction, and to improve the Natural History Museum of Korea’s reality of the lack of the educational programs and contents, propose the ‘Experience program through the Virtual environment.’ 오늘날 과학기술의 발전은 도시를 확장하고 발전시켜 생활을 편리하게 만들었다. 하지만 거대한파괴력을 가진 과학기술은 지구의 온난화, 생물 멸종과 같은 지구환경오염이라는 심각한 문제를 발생 시키며 인류의 존립까지 위협하고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환경문제는 현대인의 삶과 직결된 탈(脫)국경 적이며 초월적인 사회문제이며 환경오염의 심각성은 사회 쟁점으로 부각되어 환경교육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하지만 현장 체험을 통한 환경교육의 중요함에 비해 실제로 구체적인 환경교육현장 조성 및 프로그램의 개발은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자연과 인류, 우주에 관한 역사 등을 체계적으로 연구하고 전시 ·교육하는 전문 교육기관인 자연사박물관이야말로 친환경적인 태도를 가질 수 있는 최적의 환경교육의 장이다. 이에 본 연구는 지구의 환경오염과 멸종생물의 증가에 따른 환경교육의 필요성을 인지하고 국내 자연사 박물관의 교육 프로그램 및 콘텐츠 부족의 현실을 개선하고자 ‘가상환경을 통한 체험 프로그램’을 제안 하고자 한다.

      • KCI등재

        국립역사박물관 실내색채계획 경향분석

        이석현(SeokHyun Lee) 한국색채학회 2014 한국색채학회 논문집 Vol.28 No.1

        2000년 이후 역사문화적 자원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이와 함께 국립역사박물관의 신축과 증개축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최근의 역사박물관은 단순한 전시 위주 공간에서 내외관의 개성적인 디자인과 체험을 중시하는 차별화된 스토리텔링을 통해 지역 문화의 특징을 전달하고 다양한 체험을 제공하는 종합적인 공간으로 거듭나고 있다. 이와 함께 건축물 실내환경의 색채도 박물관 고유의 정체성과 전시유물의 특성을 반영한 개성적인 공간연출을 위한 다양한 계획이 시도되고 있다. 본 연구는 2010년 전후로 진행된 국내의 대표적 국립역사박물관의 실내환경 색채계획에 대한 경향분석을 통해, 최근 색채계획의 진행특성을 정리하고 시사점과 개선방향을 도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은 기존의 역사박물관 색채계획의 경향과 문제점 분석, 관련 문헌과 현지조사를 통한 국내외 국립역사박물관 실내 환경색채의 특성 파악, 2010년 전후로 신축, 개축이 진행된 국립역사박물관 중에서 실내색채계획이 진행된 나주박물관, 청주박물관, 진주박물관의 계획내용에 대해 계획의 내용과 특성분석을 통해 시사점과 개선방향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내외 사례분석을 통해 국내의 역사박물관의 색채계획의 문제점이 정리되었으며, 건축계획과의 연계성을 고려한 주조색의 배치와 함께 역사박물관의 정체성을 고려하여 통일감과 안정감이 부여된 색채환경 구축이 요구되었다. 둘째, 2010년 이후로 진행된 대표적인 3곳의 박물관에 대한 실내환경 색채계획의 특성을 분석한 결과, 기존의 건축물 중심의 계획과 달리 주변 경관과의 관계 및 연속성 등의 통합적인 색채의 접근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색채의 적용에 있어 주조색은 주로 YR, Y계열의 저명도 저채도의 색상을 사용하는 경향이 강했으며, 보조색은 주조색과 유사한 색상 또는 역사유물의 색상을 반영하여 고명도 중채도의 G, GY, BG 계열이 주고 사용되고 있었다. 반면 강조색은 고채도의 R 또는 G계열의 색상이 사용되었는데 주조색과 보조색과의 배색관계를 고려되어 박물관의 정체성을 높이는 방향으로 적용되고 있었다. 그러나 박물관 외부와의 관계성의 고려가 요구되었으며, 박물관 세부 구성요소와의 종합적인 색채계획의 제시와 같은 개선이 요구되었다. 본 연구가 국내 역사박물관의 색채계획의 기준 수립과 질적인 향상에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With rising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historical culture since 2000, the building and rebuilding of national history museums have actively been in progress. Together with this, diverse attempts in colors of indoor environment of buildings have been made for characteristic space production reflecting the museum’s own identity and the nature of exhibition remains. In this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performing recent color planning are discussed through the trend analysis on indoor environment color planning of the country’s representative national museums of history promoted from around 2010, and based on this, this researcher attempts to derive its implications and improvement directions.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this researcher conducted the analysis on the trends and problems of the existing history museums’ color planning, identified the trends of indoor environment colors of national history museums at home and abroad through literature research and field survey, and conducted the analysis on the color planning of Naju Musium, Cheongju Museum, and Jinju Museum where color planning was performed among national history museums that were newly built or rebuilt from around 2010, and derived implications of the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the analysis on the cases at home and abroad, the building of the museum identity, to which the sense of unity and stability is given in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history museum, together with the arrangement of main color in consideration of the interrelationship with exterior characteristics of buildings, was also required in the color planning in the construction plan. Secon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door environment color planning that has been performed in three representative museums since 2010 showed that, unlike the existing building-oriented plans, approaches of integrated color such as interrelationship with surrounding landscape and continuity were being made. In the application of color, there was a strong tendency of using the colors of low brightness and low chroma mainly of YR and Y colors as the main color, and as the assistance color, the colors of high brightness and intermediate chroma of G, GY, BG colors reflecting the color similar to the main color or the color of historical remains were used. On the other hand, R or G colors of high chroma were used as the highlighting color in consideration of a combination of the main color and the assistance color. However, the improvement of the unity with the exterior of the museums and the application of the plan contents was found to be needed.

      • 유아 대상 박물관 물 관련 교육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이서혜 한국박물관교육학회 2017 박물관교육연구 Vol.- No.18

        본 연구는 국내 박물관의 유아를 대상으로 하는 환경교육 프로그램, 특히 물 관련 교육 프로그램을 조사하고 분석함으로써 박물관에서의 유아 대상 환경교육 프로그램의 방향, 목표, 내용, 방법 및 한계점을 도출하고 향후 지속가능한 프로그램으로 확대되기 위한 발전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유아교육기관과 박물관에서의 물 관련 교육 프로그램을 분석함으로써 정규 교육 과정과 박물관과 같은 사회 교육기관에서의 물 관련 교육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조사하였다. 다음으로 유아 대상 물 관련 교육 프로그램이 상시 운영되는 3 개의 박물관, ‘서울특별시수도박물관’, ‘서울하수도과학관’, ‘청계천박물관’을 선정하여 각 박물관 홈페이지 조사, 현장방문, 프로그램 관찰 및 프로그램 진행 강사와의 인터뷰 등을 진행하였으며 하인(Hein)의 학습 유형을 이용하여 3개의 박물관 프로그램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유아 대상 박물관 물 관련 교육 프로그램의 특성을 도출하였으며 유아대상 박물관 환경교육 개발 방안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explores the approach, goals, contents, methods, and limitations of environment education programs for young children in Korean museums to identify sustainable outreach programs. It examines and analyzes environment education programs, particularly water-related education programs. First, the study examines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water-related education programs for young children between formal education programs in preschools or kindergartens and social education programs like those in museums. Second, three museums,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Waterworks Museum , the Seoul Sewerage Science Museum , and the Cheong Gye Cheon Museum , were selected for the study because they offered water-related education programs on a regular basis. The comparison was based on Hein s museum learning theory via websites, site visits, program observations, and interviews with program lecturers. Through this, the key characteristics of museum environment education programs for young children were drawn.

      • KCI등재

        지속가능발전 개념과 목표의 박물관·박물관교육에의 함의

        국성하(Sungha Kook) 한국문화교육학회 2024 문화예술교육연구 Vol.19 No.2

        이 글에서는 지속가능발전이 무엇이고, 박물관과 어떠한 관련이 있는지 알기위해 지속가능발 전의 개념의 변화, 환경․교육․문화 측면에서의 지속가능발전 논의, 박물관·박물관교육에의 영 향을 검토하였다. 연구방법으로 다양한 국제기구 등의 협약 및 자료를 중심으로 한 문헌연구를 진행했고,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지속가능발전은 인간의 삶에 적합한 곳으로 지구를 유지하기 위한 것으로, 현세대와 미 래세대라는 세대 간 개념을 기초로 한다. 2015년 유엔은 지속가능발전 목표를 발표하였는데, 이는 지구를 치유와 보호하며, 우리의 세상을 회복하는 하는 방편이었다. 둘째, 지속가능발전의 요소 중에서 환경, 교육, 문화 부분은 박물관에 영향을 미친다. 지구의 환경 문제는 지속가능발전 논의의 출발점이고, 지속가능발전교육은 환경, 경제, 사회가 균형을 이루면서 문제를 해결하는 노력이며, 문화는 문화다양성에서 역할을 담당한다. 셋째, 유네스코는 2015년 박물관과 컬렉션에 대한 보호와 증진 제언에서 문화, 문화다양성이 지속가능발전에 연결됨을 명시했다. 2023년 현재 국제박물관협의회와 각 국제위원회 등은 지속 가능발전에 참여하기 위해 실천계획을 작성하고 있다. 지속가능발전의 실천은 박물관·박물관 교육과 직접적으로 연결된다. This article examined what sustainable development is and how it is related to museum. The concepts and goals of sustainable development were summarized and were discussed in terms of environment, education, and culture. First, sustainable development is to maintain the Earth as a suitable place for human life. In 2015, the United Nations announced its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The goal is to free mankind from poverty and scarcity, to heal and protect the planet, and to make the world resilient. Second, among the elements of sustainable development, the environment, education, and culture affect museums. The Earth's environmental problems are the starting point for discussions on sustainable development. Sustainable development education balances the three areas of sustainable development. Culture plays its role in securing cultural diversity. Third, UNESCO stated cultural diversity is linked to sustainable development. ICOM is drawing up action plans to participate in sustainable development. The practice of sustainable development is linked to museum education.

      • KCI등재

        산림문화 향유 증진을 위한 전시 매체 및 공간 연출 분석

        김영주,김현주,오정은,진혜영,김창준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3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8 No.8

        (Background and Purpose) Museum is transforming into a complex cultural space that elevates the value of the experience, beyond simply providing information. Accordingly, specialized museums showcase various cultures and must apply effective directing media that allow visitors to enjoy professional culture freely. The Korea National Arboretum Forest Museum provides biological resource services encompassing the history, culture, and environmental ecology of forests. However, aging facilities and a one-dimensional permanent exhibition environment pose challenges in delivering in-depth information and providing the experience of forest culture. This study aims to derive the direction of the Forest Museum’s exhibition media production to convey forest-related knowledge to visitors in an interesting way. (Method) This study investigated and classified the types of exhibition media and media in the spatial direction of major museums by examining prior research and conducting literature reviews, and identified the current status of exhibitions, collections, and exhibition topics in the Forest Museum. Based on this investigation, we selected national and public institutions with similar exhibition themes and identified the characteristics of exhibition directions and media by subject. This study also sets the path for the Forest Museum’s exhibition media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The results derived from the analysis of target institutions in the fields of history, environmental ecology, and folk culture were as follows: First, the field of history must create a unique interactive video space wherein dynamic images and dioramas are combined with various media technologies to enhance the audience’s intuitive understanding. Second, environmental and ecological fields should introduce augmented reality (AR) technology for audiences to indirectly experience inaccessible areas and gain a deep understanding of the environment and ecology. Third, the folk culture field should enhance the audience’s understanding by using current collections and various video media, and improve the immersive environment through experience with the five senses. (Conclusion) By analyzing nine selected national and public institutions, the direction of the Forest Museum’s exhibition media production to promote the enjoyment of forest culture was derived. This study confirms that exhibitions should be planned in different fields, with the relevant media and design adopted to convey forest culture in depth, wherein multiple factors—such as history, environmental and ecological factors, and folk culture—are complexly intertwined. For the Forest Museum to be transformed into a center for enjoying forest culture in the future, a space composition plan that considers exhibition production media should be implemented when remodeling exhibitions. (연구배경 및 목적) 박물관은 단순한 정보 제공을 넘어 경험의 가치를 높이는 복합문화공간으로 변화하고 있다. 이에 따라 다양한 문화를 다루는 전문박물관은 관람객이 자유롭게 전문적으로 문화를 향유 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적인 연출 매체의 적용이 필요하다. 국립수목원 산림박물관은 산림의 역사와 문화, 환경생태 전반에 관한 생물자원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지만, 노후화된 시설과 정형화된 상설전시 환경으로 깊이 있는 정보 전달과 산림문화를 경험시키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본 연구는 산림박물관을 찾는 관람객에게 산림과 관련된 지식을 흥미롭게 전달하기 위한 산림박물관의 전시 매체 연출의 방향성을 도출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와 문헌 조사를 통해 주요 박물관들의 전시 매체의 유형과 연출 매체에 대해 조사 및 분류하였고, 산림박물관의 전시 현황과 소장품 및 전시주제에 대해 파악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유사 전시 주제를 가진 국공립 기관을 선정하여 주제 유형별 전시연출 특성과 매체를 파악하고, 분석자료를 토대로 산림박물관의 전시 매체 연출의 방향성을 도출하였다. (결과) 본 연구의 역사, 환경생태, 민속문화 분야별 대상기관 분석을 통해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역사 분야에서는 다양한 미디어 기술과 융합된 동적 영상과 디오라마를 통해 특색있는 인터렉티브 영상 공간을 조성하여 관람객이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환경을 구축해야 한다. 둘째, 환경생태 분야는 AR 증강현실 기술을 도입하여 접근성이 어려운 지역을 간접 체험하게 하거나 과학적인 연출을 통해 관람객들에게 환경생태에 대한 풍부한 경험과 깊은 이해를 촉진해야 한다. 셋째, 민속문화 분야는 기 소장품과 다양한 영상매체를 활용하여 관람객의 이해도를 높이고, 오감 체험을 통해 몰입환경을 향상해야 한다. (결론) 선정된 국공립 9개 기관을 분석하여 산림문화 향유 증진을 위한 산림박물관의 전시 매체 연출의 방향성을 도출하였다. 연구를 통해 역사, 환경생태, 민속문화 등 다양한 요소가 복합적으로 얽혀있는 산림문화를 관람객들에게 깊이 있게 전달하기 위해서 분야별 전시연출의 방향성을 도출하고 특성에 맞는 매체 및 연출이 수반되어야 함을 확인하였다. 향후 산림박물관이 산림문화 향유의 중심지로 탈바꿈할 수 있도록 전시 리모델링 시 전시연출 매체를 고려한 공간구성 계획이 함께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박물관 전시환경 관리 방안 고찰 : 전시자재 안정성 평가(Oddy test) 방법을 중심으로

        이승은 국립중앙박물관·한국고고미술연구소 2011 동원학술논문집 Vol.12 No.-

        ‘전시 자재 안정성 평가(Oddy test)’는 금속 부식 테스트의 일종이며, 박물관 전시환경에서 발생할 수 있는 각종 유해물질로 인한 잠재적 손상에 대한 검증 실험으로 전시 진열장의 자재에 의한 은(Silver) 재질 유물의 부식과 납 합금 재질의 유물에서 발생한 하얀 크리스탈에 대한 원인 규명에서 시작되었다. 본 실험은 1973년 영국박물관(British museum)의 W. A. Oddy에 의해 제안되었으며, 제안자의 이름을 따서 Oddy test로 명명되었고 현재까지 박물관 및 전시관의 전시, 보관 자재의 사용 적합 여부 판단에 적용되어 오고 있다. 국립중앙박물관은 용산 이전 당시 진열장 선정을 위해 일부 진열장을 직접 설치하여 다양한 부분을 테스트하였으며, 이때 진열장 내부 마감재에 대한 전시 자재 안정성 평가(Oddy test)가 같이 진행되었다. 용산 이전을 준비하던 2003년 당시만 하더라도 우리나라에서 친환경적인 건축 자재를 찾기 어려웠으며, 결국 상당 부분 진열장 내부 마감재를 수입하여 사용할 수밖에 없었다. 그러나 2004년 한국공기청정협회에서 건축자재에 대한 친환경 마크 제도를 도입하고 2006년 친환경 건축물 인증제도가 도입되면서 친환경 건축자재가 비약적으로 발전하게 되었다. 이에 국내 건축자재 중에서도 전시 진열장 내부에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자재들이 증가하게 되었다. 보존과학팀의 test 결과 현재 3∼4종류의 접착제와 3∼4종류의 패브릭, 그리고 몇몇 전시 자재가 안정성 실험을 통과하였다. 그러나 친환경 인증을 받은 자재라 하더라도 유물 전시에 적합하지 않은 자재들도 상당수 발견할 수 있었다. 이 글은 이러한 실험 결과들을 바탕으로 박물관에서 사용 권장할 만한 자재들을 선별하여 유물의 보다 안전한 전시에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Stability test of displayed materials (hereinafter, Oddy test) is a kind of metal corrosion test that examines the latent damage by diverse harmful substances in museum environment. This test was first proposed by W. A Oddy of British Museum in 1973 to check the cause of corrosions in silver, lead alloy artifacts by the substance of displaying showcase. Since then, Oddy test has been used to check whether some substances are appropriate for display or storage in the museum and the exhibition hall. In 2003 when our museum was prepared to move to Yongsan, it was hard to find substances appropriate to the environment-friendly certificate standard among the building materials and in fact most of displaying materials were imported. But, since Korea Air Cleaning Association introduced the green mark for building materials in 2004 and LEED (Leadership in Energy and Environmental Design) system was introduced in 2006, the environment-friendly building materials began to develop rapidly. As a result of test by the couservation science team, 3~4 kinds of adhesive, 3~4 kinds of fabric and some displaying materials have passed the Oddy test till now. The test showed that there are several materials which have receive the environment-friendly certificate but are not appropriate for the artifact display. This report was made to select the recommendable materials for the use in the museum based on this test result and give some help to the safer display of artifacts.

      • KCI등재

        국립박물관의 물리적 환경과 감정, 방문객 만족도, 행동의도 간의 구조적 관계 연구

        김지희 ( Ji Hee Kim ),한진수 ( Jin Soo Han ) 한국고객만족경영학회 2011 고객만족경영연구 Vol.13 No.1

        본 연구는 국립박물관을 방문한 관광객을 대상으로 박물관의 물리적 환경, 감정, 방문객 만족도, 행동의도 간의 구조적 관계를 실증분석을 통해 파악하고자 실시되었다. 연구결과, 선행변인인 물리적 환경 중 디자인환경은 관련변인인 긍정적 감정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긍정적 감정은 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만족도는 결과변인인 행동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선행 변인인 물리적 환경 중 인적환경은 관련변인인 부정적 감정에 부(-)의 영향, 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만족도는 결과변인인 행동 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 국립박물관들의 디자인환경 측면에서 본 외관의 모습은 매우 딱딱하고 중후하다. 즉, 국립박물관은 관광목적지로서의 하드웨어적인 요소가 부족하다. 연구의 결과와 마찬가지로 관광객들은 하드웨어적인 입장에서 박물관의 디자인환경을 중요시 여기기 때문에 건물 자체는 관광객을 이끌 수 있는 독특하고 세련된 느낌으로 가되 실내는 좀 더 실용성과 미적 요소를 잘 접목하는 것이 중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physical environment, emotion, visitor`s satisfaction and behavioral intention of national museum visitors. The result of the study was as follows: First, design environment of the physical environment had positive(+) influence on the positive emotion of visitors and emotion affected on satisfaction positively and satisfaction seemed to have positive(+) effect on behavioral intentions. Second, human environment of the physical environment affected on negative emotion negatively and satisfaction of visitors positively, and emotion had positive(+) influence on satisfaction. And satisfaction seemed to have positive(+) effect on behavioral intentions. The exterior appearance of national museums is very hard and heavy in terms of design environment. In other words, the national museum as a tourist destination is a lack of hardware elements. As a result of the study`s, visitors to the museum considers design environment significantly so the building itself is going to feel unique and stylish, the interior should be practical and aesthetic.

      • KCI등재

        북한의 문화재법에 따른 박물관 유물의 보존 복원

        장경희(Jang, Kyung-hee) 한국학중앙연구원 2020 장서각 Vol.0 No.43

        본고는 북한의 문화재 관련 법과 박물관 제도가 시기에 따라 변화됨에 따라 소장품의 보존 관리 대책이 어떻게 변하는지를 밝히고자 하였다. 북한의 문화재 관련 법과 박물관 제도는 5시기로 변화된다. 1기는 1945년부터 1950년까지이다. 1945년 12월 평양박물관을 개관하였으며, 1946년에 〈보물보존령〉을 제정한 후 향산, 청진, 함흥, 신의주, 사리원, 해주에는 역사박물관을, 평양에 조선미술박물관을 설립하였다. 2기는 1950년대부터 1960년대까지이다. 6·25전쟁으로 유물의 90%가 사라져 버리자 북한 당국은 유적의 고고학적 발굴로 유물을 확충하고자 노력했다. 그런 다음 북한 전역에 총 13곳에 역사박물관을 세웠다. 3기는 1970년대부터 1980년대까지이다. 소련이 붕괴되자 북한은 폐쇄적인 주체사상을 내세웠다. 정치권력자의 정통성을 강화시키고자 혁명박물관을 각지에 세웠다. 4기는 김정일 집권기로 1990년대부터 2010년까지이다. 1993년 김일성의 사후 김정일은 1994년 〈문화유물법〉을 제정하여 법적으로 체계화 시키고자 하였다. 하지만 극심한 경제난으로 문화재를 보존 관리할 시스템이 작동되기 어려웠다. 훼손된 유물의 수리나 보수, 모사나 복제를 위한 재료나 시설이 부족하고 여건이 안 되었다. 5기는 김정은 집권기로 2011년 이후 현재까지이다. 김정일의 사후 2015년 김정은은 〈문화유산법〉을 제정하였다. 이전 법에는 없던 무형문화재까지 포함시키고, 유네스코 문화유산 등재를 위해 노력하였다. 이를 통해 대외적으로 국제사회와 교류하면서 대내적으로 체제의 안정을 도모하고자 했다. 이처럼 북한은 시기마다 법적 제도적 개선을 통해 박물관과 소장품의 관리방안을 체계화하였다. 그러나 경제적 어려움으로 문화재를 관리하기에 어려움이 많았다. 북한의 문화재 또한 우리 민족의 것이므로, 그들이 문화재를 잘 보존할 수 있도록 박물관의 보존시설이나 문화재 보존환경에 관심을 갖고 지원해주어야 한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changes of the measures on the conservation and management according to the changes of the law on the cultural heritage and the system of the museums in North Korea. The changes of the law on the cultural heritage and the system of the museums are categorized into five periods. The first period is between 1945 and 1950. In 1946, North Korea legislated the “The Decree for Conservation of the Treasures,” and established the historical museums in Hyangsan, Cheongjin, Hamheung, Sineuiju, Sariwon and Haeju and the art museum of Joseon in Pyongyang. The second period is between the 1950 and the 1960s. As the 90 % of the artifacts disappeared due to the Korean War, North Korea made effort to expand the scope of the cultural heritage by excavations. Then, it established a total of 13 historic museums throughout North Korea. The third period is between the 1970s to the 1980s. After the demise of the Soviet Union, North Korea insisted the exclusive Juche Idea (the official state ideology of North Korea). To strengthen the authenticity of the political power, it established the museums for the Revolution through the country. The fourth period is between the 1990s and 2010. After the death of Kim Il-sung in 1993, Kim Jong-il systemized the conservation of the cultural heritage by the legislation of “The Act on the Cultural Heritage” in 1994; however, it was difficult to properly operate the system to manage the cultural heritage due to harsh economic difficulties. At the time, the materials and facilities to repair, mend, duplicate and copy of the damaged cultural heritage lacked and the conditions was poor. The fifth period is between 2011 to the date. After the death of Kim Jong-il, Kim Jong-un enacted the Act on Cultural Heritage in 2015. This Act includes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that has been excluded, and the government made effort to make it designated as the UNESCO World Heritage. Through such effort, the government aimed to promote the stability of the system by the exchanges with the international society at home and abroad. Thus, North Korea has systemized the management measures for the museums and their collections through the improvement of the legal systems according the period; however, it was in a difficult situation to manage the cultural heritage due to the financial difficulties. Since the cultural heritage in North Korea is also the heritage of the Korean people, the interest and supports for its conservation of the museum facilities and the cultural heritage environment are requir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