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친환경건축인증 공공건축물의 지속가능성 개념에 따른 표현 특성 연구 -국내 친환경건축인증 공공청사를 대상으로-

        정은희 ( Jung Eunhee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1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6 No.3

        (연구배경 및 목적) 정부에서는 친환경건축물의 확산을 위해 ‘공공기관 에너지 이용 합리화 추진지침’을 제정하여 공공건축물에 대해 친환경건축물인증과 에너지효율등급 등을 의무적으로 취득하도록 하고 있고, 특히 공공건축 분야는 녹색건축과 함께 선도적으로 주민들의 이해와 체험을 통한 인식변화를 이끌 수 있는 공공의 역할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현재 국내 공공건축물 중 친환경건축인증을 획득한 국내 공공청사를 대상으로 친환경건축의 근본적 속성인 지속가능한 건축의 개념을 다양한 측면에서 고찰하여 현대건축에 적용가능한 표현 특성과 요소들을 추출하여 공공건축물의 지속가능성 개념에 관한 건축적 표현특성을 진단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친환경건축인증 공공건축물과 건축에서의 지속가능성 개념을 고찰하고, 선행 연구를 통해 지속가능한 개념의 표현요소를 도출하여 국내 친환경건축인증 공공건축물의 지속가능성 개념에 관한 건축적 표현특성을 규명하고자 한다. 분석 방법은 선행 연구를 통해 도출한 건축적 표현특성을 재정리하고 생태적 관점과 에너지적 관점의 세부 개념에 따른 건축적 표현내용과 요소를 기준으로 국내 친환경건축인증 공공청사의 건축적 표현특성을 분석한다. 분석의 대상은 국내에서 친환경건축 인증제도가 시행된 2002년 이후 계획 설립된 친환경건축인증 우수등급 이상의 국내 공공건축물중 공공청사로 한정한다. (결과) 분석의 결과 성남시청사는 생태적 관점의 전체성 4/5점, 순환성 4/5점, 항상성 5/5점으로 나타나 총 15점 중 13점을 만족하였고, 에너지적 관점에서 열에너지 4/4점, 빛에너지 4/6점, 바람에너지 3/5점으로 총 15점 중 11점을 만족하여 지속가능성 개념의 건축적 표현특성 총 30점 중 24점을 획득하였다. 서울시청사는 생태적 관점의 전체성 4/5점, 순환성 4/5점, 항상성 5/5점으로 나타나 총 15점 중 13점을 만족하였고, 에너지적 관점에서 열에너지는 4/4점, 빛에너지는 4/6점, 바람에너지는 2/5점으로 총 15점 중 10점을 획득하여 지속가능성 개념의 건축적 표현특성 총 30점 중 23점을 만족하였다. 마지막으로 충청남도청사는 생태적 관점 너지는 5/5점으로 총 15점 중 12점을 획득하여 지속가능성 개념의 건축적 표현특성 총 30점 중 27점을 만족하였다. (결론) 성남시청사는 생태적 87%, 에너지적 73%으로 총 80% 수준을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서울시청사는 생태적 87%, 에너지적 67%으로 총 77% 수준을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충청남도청사는 생태적 100%, 에너지적 80%으로 총 90% 수준을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모든 항목을 종합하였을 때 생태적 관점 91%, 에너지적 관점 73%로 에너지적 개념을 담은 표현요소보다 생태적 개념을 반영한 표현특성이 강하게 나타났다. 또한, 전체적으로도 82%로 높은 수준으로 나타나 우수한 지속가능한 친환경적 특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장 높은 수준의 지속가능성 개념이 건축적으로 표현된 건축물은 충청남도청사(90%)였으며 뒤를 이어 성남시청사(80%), 서울시청사(77%)순을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국내 친환경 공공청사는 지속가능성 개념의 건축적 표현이 높은 수준으로 적용되어 생태적으로나 에너지적으로 우수한 친환경적 특성을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과거 연구에서 일반 친환경건축인증건축물은 지속가능성 개념 중 생태적 개념의 표현이 다른 요소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매우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본 연구에서는 국내 공공건축물 중 친환경건축인증 공공청사들은 에너지적 측면과 더불어 생태적 개념을 적용한 디자인적 표현 역시 인증을 받은 일반건축물들과 비교하여 매우 뛰어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Background and Purpose) To spread Green buildings, the government established the “Guidelines for Rationalizing Energy Use” to obtain Green building certification and energy efficiency grades for public buildings. In particular, the public building sector needs green buildings. In response,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concept of sustainable architecture, which is a fundamental attribute of Green architecture, in various aspects and diagnose the expressionist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of public buildings. (Method) This study examines sustainability concepts in public buildings and buildings certified as Green buildings and draws expressions of sustainable concepts through prior research to identify expressionist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on sustainability concepts in domestic Green buildings. The analysis method rearranges such characteristics derived from prior research and analyzes them with regards to public buildings based on architectural contents and elements supported by detailed concepts of ecological and energy perspectives. The targets of the analysis are limited to public buildings among domestic public buildings with excellent Green building certification grades, which were established after 2002 when the certification system was implemented in domestic buildings. (Results) According to the analysis, Seongnam City Hall satisfied 13 out of 15 points with 4/5 points in ecological view and circulation, respectively, 5/5 points for constancy, 4/4 points for thermal energy, 4/6 points for light energy, and 3/5 points for wind energy. The Seoul City Hall scored 13 out of 15 points with 4/5 points in ecological view and circulation, respectively, 5/5 points for constancy, 4/4 points for thermal energy, 4/6 points for light energy, and 2/5 points for wind energy. Finally, Chungcheongnam-do Office obtained 12 out of 15 points with 5/5 points for ecological view, satisfying 27 out of 30 points of expressionist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concept of sustainability. (Conclusions) Seongnam City Hall scored 80% with 87% in ecology and 73% in energy, Seoul City Hall scored 77% with 87% in ecology and 67% in energy, Chungcheongnam-do Province scored 90% with 100% in ecology and 80% in energy. When all items were combined, 91% of ecological perspectives and 73% of energy perspectives showed stronger expressive characteristics reflecting ecological concepts, instead of expressive elements, containing energy concepts. In addition, 82% of the total was found to have excellent sustainable Green characteristics. Moreover, the buildings with the highest level of sustainability concept were Chungcheongnam-do Office (90%), followed by Seongnam City Hall (80%) and Seoul City Hall (77%). Through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domestic Green public buildings have Green characteristics that are excellent ecologically and energetically because of the high-level architectural expression of the sustainability concept. In addition, among domestic public buildings, Green building certified public buildings showed excellent design expression with ecological concepts compared to certified general buildings.

      • KCI등재

        건축물의 친환경 인증여부에 따라 주거환경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계획요소 비교연구

        양승우(Yang, Seung-Woo),김현근(Kim, Hyun-Gun) 한국도시설계학회 2013 도시설계 : 한국도시설계학회지 Vol.14 No.4

        본 연구는 친환경 인증단지와 비인증 단지의 주거환경 만족도를 비교·분석하고, 친환경 인증단지의 주거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지로 경기도 남양주시 진접지구의 4개 단지를 선정하여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세 가지 결론에 도달하였다. 첫째, 친환경인증 단지와 비인증 단지의 주거만족도를 비교·분석한 결과, 친환경 인증 항목의 차이가 주요한 역할을 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친환경 인증 단지의 주거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를 밝히기 위하여 12개의 친환경 인증 요소만을 독립변수로 하여 회귀분석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셋째, 친환경 인증단지의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구체적 항목을 도출하기 위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녹지환경 관리, 에너지 효율, 분리수거, 실내온도, 그리고 보행도로에 대한 만족도 등 친환경 인증 항목 5개와 비인증 항목으로 CCTV, 난방/관리비에 대한 만족도 2개가 통계적으로 유의함을 밝혔다. This paper aims at comparing Residential Environment Satisfaction(RES) between Environmentally Friendly Certified(EFC) site and non-certified(NEFC) site, and identifying the influence factors on the RES of EFC site through the regression analysis and factor analysis. Four sites in Namyangju-si new town were selected as case study at Jinjeop district, and findings were as followings. Firstly, RES of EFC site was statistically higher than that of NEFC site by ANOVA analysis with 38 variables. Secondly, regression analysis with only 12 elements of EFC. They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o RES. So any other else elements would influence on the the RES of EFC site. Thirdly, regression analysis was done to identify influence variables on the RES of EFC site. Statistically significant variables were satisfaction degree of green environment management, energy efficiency, separate garbage collection, indoor temperature, pedestrian way, CCTV, and heating and maintenance cost. The former five variables were from variables of EFC elements, and the latter 2 variables were from NEFC elements.

      • KCI등재

        친환경인증마크가 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태도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환경의식 수준과 이타주의 성향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장우성,박윤서,이승인 韓國商品學會 2014 商品學硏究 Vol.32 No.4

        연구목적: 본 연구는 최근 중요 소비 트랜드로 주목받고 있는 ‘웰빙(Well-being)’과 ‘로하스(LOHAS)’를 주제로, 친환경인증마크유무와 유형(로하스 인증마크 vs. 웰빙 인증마크)에 따른 소비자들의 친환경제품에 대한 태도, 구매의도와의 관계를 살펴보고, 이러한 관계가 소비자의 개인적 특성 중 친환경제품 구매 시 중요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는 소비자의 환경의식 수준과 이타주의 성향에 따라서 어떻게 조절되는가를 살펴보았다.연구 설계 및 방법론: 연구목적의 달성을 위해 친환경인증마크 유무 및 유형에 관한 설문지를 제작하였다. 설문지는 두 가지 다른 친환경인증마크 유형에 따라 두 가지 버전으로 작성되었으며, 응답한 설문 중 총 287부가 최종 분석에 활용되었다.분석 및 연구 결과: 본 연구의 실증분석 결과, 소비자들은 친환경인증마크가 부착되지 않은 제품보다 인증마크가 부착된 제품에 대해서 보다 긍정적인 태도와 높은 구매의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인증마크의 유형(로하스 인증마크 vs. 웰빙 인증마크)은 소비자들의 친환경제품에 대한 태도 및 구매의도에 차이를 주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친환경인증마크 유무와 제품태도의 관계에 있어서 환경의식 수준의 조절효과는 유의하게 나타났으나, 이타주의 성향의 조절효과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인증마크 유무와 소비자들의 제품에 대한 구매의도와의 관계에 있어서 환경의식 수준과 이타주의 성향의 조절효과는 모두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친환경인증마크 유형(로하스 인증마크 vs. 웰빙 인증마크)과 제품태도, 구매의도와의 관계에 있어서 환경의식 수준과 이타주의 성향의 조절효과는 모두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시사점 및 연구의 한계점: 본 연구에서는 인증마크가 구매와 관련한 위험 지각을 감소시키고, 제품에 대한 품질의 단서로 이용되며, 더불어 구매시점에서 구매에 대한 자신감을 증대시켜 매출 증대에 기여한다는 기존의 연구결과를 지지하면서, 친환경제품을생산하고 판매하는 기업의 마케팅 담당자에게 상품에 대한 인증마크 부착의 중요성을 제시하고 있다. 향후 연구방향: 본 연구에서는 인증마크와 친환경제품에 대한 소비자 태도와 구매의도와의 관계에 있어서 단지 환경의식 수준 과 이타주의 성향만을 조절변수로 사용하였다. 하지만 향후 연구에서는 소비자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하여 성별, 지역,소득수준 등 다양한 인구통계학적 변수를 바탕으로 한 연구가 추가적으로 수행될 필요가 있을 것이다. 공헌점: 본 연구는 최근 친환경제품에 대한 소비트랜드를 반영하여 친환경인증마크의 유형을 나누고 환경의식과 이타주의 성향을 통해 친환경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태도와 구매의도를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학문적 실무적으로 중요한 의의를 갖는다. Purpose: As consumers have recently started to become interested in environmental preservation and prefer eco-friendly products, companies are putting more effort into showing that their products are eco-friendly. A typical way to do this is to attach certification marks. Since this helps consumers make rational decisions by providing them with a type of external condition that can solve problems related to the asymmetry of information, it has important implications for both companies and consumers. Though there have been many researches related to brands or countries of origin as external conditions, researches on certification marks are relatively insufficient. Focusing on 'Well-being' and 'LOHAS' which has recently attracted a lot of attention as an essential consumption trend, this paper studied the relation between the consumers'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 towards eco-friendly products in accordance with the existence and type of eco-friendly certification marks. It also examined the moderating effects of the consumers' environment consciousness and altruistic tendency that are expected to have an important influence on the consumers' purchase of eco-friendly products as individual characteristics.Design/methodology/approach: To achieve the purposes of this research, questionnaires were created according to whether or not the products have environmentally-friendly certification labeling and what types of labels are put on the products. The questionnaires were divided into two versions depending on the types of labeling and the respondents were asked to complete one of the two versions randomly. In both versions, the respondents gave responses to questions about product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s towards products without certification. Of 320 questionnaires, 287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Results/finding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In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influence of the existence of certification marks(products with certification marks vs. products without certification marks) on the consumers'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s towards eco-friendly products, first, consumers showed more positive attitudes and higher purchase intentions towards products with certification marks than products without certification marks. In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influence ofthe type of certification marks(Well-being certification marks vs. LOHAS certification marks) on the consumers'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s towards eco-friendly products, second, the two types (Well-being and LOHAS certification marks) had no difference in influencing the consumers'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s towards eco-friendly products. In the results of examining the moderating effect of consumers' environmental consciousness level(high/low) and altruistic tendency(high/low), third,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environmental consciousness level was significant in the relation between the existence of certification marks and the consumers' attitude towards products, while the moderating effect of altruistic tendency was not significant. In the relation between the existence of certification marks and the consumers' purchase intention towards products, the moderating effect of environmental consciousness level and altruistic tendency were all shown to be significant. While, fourth, the moderating effect of environmental consciousness level and altruistic tendency was not all significant in the relation between the type of certification marks and consumers' attitude as well as purchase intention. Research implications/limitations: Supporting the existing studies which found that certification marks reduce the risk perception related to purchase, and can be used as a clue of the product quality and contribute to the sales increase by increasing confidence in purchase, this study also places emphasis on the importance of attaching eco-friendly certification marks to products for the people in charge of

      • KCI등재

        친환경건축물 인증제도 평가방법 개선 연구

        오세경(Se Kyung Oh),한민석(Min Suk Han),임병찬(Pyeong Chan Ihm) 한국아시아학회 2011 아시아연구 Vol.14 No.1

        지구의 환경문제와 에너지 부족에 대한 관심은 환경친화적이고 지속가능한 개발에 대한 연구와 적용이 전 세계적으로 계속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건축 및 도시계획분야에서는 친환경건축물 인증과 에너지 인증이 시행되고, 지속적 인 연구와 이를 뒷받침하는 제도를 개정하고 있다. 친환경 건축물 인증제도는 건물의 친환경 성능을 평가하고 친환경성능을 제시하여 대상건물을 평가하는 도구이며, 현재 우리나라를 비롯하여 세계 주요국가에서 시행 중이다. 본 연구에서는 미국, 영국, 일본 등 주요국가의 친환경건축물 인증기준을 중심으로 최근에 업데이트된 인증제도의 특징 및 평가방법을 분석하여 향후 국내 친환경건축물 인증제도의 개선 및 연구방향에 대해 제시하였다. 첫째, 친환경건축물인증항목에서 환경관리부문 보행자 자전거안전부문 경관부문과 에너지 운용체계 관리 부문은 인증항목에 추가적으로 고려해야겠다. 둘째, 한국의 친환경건축물 인증기준에서 에너지부문에 대한 배점을 높게 하는 방향으로 개선을 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셋째, 인증기준의 평가 방법에서는 한국의 경우도 다양한 등급방식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Recently, energy and environment problems are serious all over the world. Therefore, environmental conferences in international society have held on Rio de Janeiro from UNCED in 1992 upward (United Nations Conference on Environment and Development) for countermeasure of environmental matters. Such developed countries as United States, Japan, Canada and British are to take effect building performance certification criteria what is certification system of environment for promotion in aspects of Green Buildings. Korea is enforcing Green Building Certification Criteria (GBCC) for multi-unit residential building, mixed-use dwellings, office and school. And now GBCCs for stores and accommodations are under develop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and analyze about standards and assessment of certification systems which are LEED in USGBC since 1993 in United States, BREEAM since 1991 in United Kindom, CASBEE in Japan and GBCC of KGBC in state-run organization since 2002 and ``Environment-friendly Building Guidelines`` of Seoul to be recently driven. This study shows that sevaral fators, such as environtmantal management, pedestrian safety, urban scape and ennergy operation system, are considered Korean Green Building Certification Criteria. In addition, GBCC is needed to improve scoring system and ranking system by considering developed countries cases Higher score in energy section.

      • KCI등재

        친환경건축의 평가를 위한 LEED 3.0 인증제도와 국내 친환경건축물 인증제도의 평가항목 비교 연구 - 에너지와 대기부문을 중심으로

        김준영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2013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Vol.15 No.1

        이 연구는 국내 친환경건축물 인증제도를 LEED 인증제도와 비교함으로 그 발전적 개선방향을 찾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전체적인 LEED 인증시스템의 구조와 평가항목과 국내 친환경건축물 인증 시스템의 구조와 평가항목을 비교하여 고찰하였다. 또한 평가시스템 중 에너지와 대기부문의 항목을 비교하여 그 점수의 비중과 세부항목에 대한 평가방법과 기준을 비교하였다. LEED 인증은 7개의 대항목과 여기에 따르는 57개의 세부항목이 있다. 57개 세부항목은 8개의 필수 항목과 49개의 점수를 부여하는 항목으로 구성되며 이 항목들로 평가한 총점을 4레벨의 차등을 두어 인증을 부여하는데 비해 국내친환경인증은 9개의 대부문과 20개의 범주 33개의 세부항목으로 평가하며 이중 점수를 부여하는 항목 중 필수 항목이 포함되어 있음을 살펴보았다. 그 구성이 약간 다르지만 대부분의 세부항목이 일대일로 대응할 수 있으므로 국내 친환경건축물 인증이 LEED 인증을 비롯하여 해외 친환경건축물 인증의 제도를 비교 연구함으로 많은 보완과 발전을 가져왔음을 볼 수 있었다. 이에 비해 각각의 세부항목에 대한 비중은 조금씩 차이가 있다. 또한 이런 비중의 차이와 세부항목에 대한 평가기준이 미국과 국내의 지역적 여건의 차이를 반영하며 친환경건축을 유도하는 주안점이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에너지와 대기부문이 차지하는 점수비중은 LEED 인증과 국내 친환경건축물 인증 모두에서 가장 큼을 볼 수 있다. 에너지 대기부문에서 에너지효율항목은 LEED 인증과 국내 친환경건축물 인증 모두에서 가장 큰 배점을 가지는 항목이다. 하지만 에너지효율을 평가하는데 LEED 인증과 국내친환경건축물 인증은 조금 다른 방법으로 평가함을 알 수 있다. LEED 인증에서 eQUEST라는 에너지 시뮬레이션 툴을 사용하며 에너지효율을 총량적으로 평가하는데 반해 국내 친환경건축물 인증에서는 에너지 성능지표 검토서를 사용할 경우 개별평가방식을 따른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에너지 효율등급을 사용하여 평가하는 경우 ECO-2시뮬레이션 툴을 이용하여 LEED 인증과 같이 에너지사용총량에 대해 평가할 수 있게 되었다.

      • KCI등재

        친환경 업무용건축물의 지속가능성에 관한 특성 연구 -국내 인증건축물 사례를 중심으로-

        정은희 ( Jung Eunhee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0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5 No.8

        (연구배경 및 목적) 1996년 친환경건축의 개념이 국내에 도입되어 지속적고 신속한 제도적 발전을 이루었다, 2025년까지 건축 분야에서도 제로에너지 의무화로 인해 에너지 효율적 측면의 기술적 수준이 매우 높아져 있다. 그러나 초기에는 다양한 가치의 친화경건축의 시도와 달리 인증제도의 빠른 정착과 성장에 반해 제도 자체가 인증을 받기 위한 절차로만 인식되면서 지속가능성 개념의 친환경적 요소들을 다양하게 만족하지 못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국내 친환경건축 인증제도인 G-SEED의 업무용건축물에 대한 분야별 항목을 2001년 가이와 파머가 논문을 통해 제시한 지속가능한 건축을 위한 6가지 조건을 근거로 분석 평가하여 국내 친환경 업무용건축물의 지속가능한 친환경적 특성을 규명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국토교통부시행령이 개정된 2016년 9월 G-SEED의 기준이 개정된 이후 2020년 7월까지 동일한 인증기관에서 최우수와 우수 등급을 획득한 20개 친환경 업무용건축물 사례를 대상으로 20개 건축물의 인증결과를 가이와 파머가 2001년 제시한 지속가능한 건축의 6가지 조건을 기준으로 분석 평가하여 G-SEED 인증을 획득한 국내 업무용건축물의 지속가능한 친환경적 특성을 평가하였다. (결과) 분석 결과 Eco-technic(생태기술성) 76%, Eco-medical(생태건강성) 74%, Eco-centric(생태중심성) 35%, Eco-cultural(생태문화성) 55%, Eco-social(생태사회성) 66%, Eco-aesthetic(생태심미성) 55% 순으로 나타났으며 평균 값은 60%로 국내 친환경 업무용건축물의 지속가능성을 종합적으로 평가할 때 중위 수준 이상으로 나타났다. 항목별로는 생태기술성이 76%로 가장 높은 수준으로, 생태심미성이 35%로 가장 낮은 수준으로 평가되었다. 또한, 생태기술성, 생태중심성, 생태건강성은 평균을 상회하였고, 생태심미성과 생태문화성, 생태사회성은 평균 이하로 나타났다. 인증 항목중 생태심미성과 생태문화성, 생태사회성에 해당하는 항목의 배점이 각각 16점, 37점, 37점으로 상대적으로 다른 항목에 비해 낮게 분포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사례분석 결과에서도 낮은 수준으로 나타나 현재 국내 친환경 업무용건축물의 지속가능성에 관한 경향이 에너지 기술이나 인간의 쾌적성과 건강에 관한 부분, 지역 환경의 보존을 위한 과학적, 기술적인 부분에서 우수하지만 생태적 개념을 문화적으로 반영하여 인간과 환경이 정주(dwell)하는 방법이나 개인과 공동체, 인간과 생태환경의 비계층적이고 유기적인 커뮤니티를 통한 사회적 결합이 부족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생태심미성은 6가지 항목 중 가장 낮은 수준을 보여주어 심미적 관점에서의 조형적 접근은 매우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국내에 친환경건축의 경향이 점차 ‘인증’ 자체를 목적으로 기술적 요소의 만족만을 추구하는 방향으로 변화되는것에서 그 방향성을 다양한 지속가능성을 반영한 건축으로 전환하기 위해 새롭게 변화된 생태학적 지식의 관점에서 자연에 대한 우리의 의식을 보편적으로 재구성하고 변화시켜 친환경건축의 다양한 지속가능한 가치를 균형적으로 구현하는데 본 논문이 기초적 자료로 활용되기 바란다. (Background and Purpose) The concept of eco-friendly architecture was introduced in Korea in 1996, where it achieved continuous and rapid institutional development. By 2025, the technical level of energy efficiency is going to be very high due to the mandatory zero energy in the field of construction. In the beginning, however, unlike attempts to build an eco-friendly architecture of various values, the system itself was perceived as a procedure for certification, contrary to the rapid settlement and growth of the certification system, and thus it does not tend to satisfy various eco-friendly elements of sustainability. In response,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sustainable eco-friendly characteristics of domestic eco-friendly office buildings by analyzing and evaluating items by sector considering the G-SEED work-use building, which is a domestic eco-friendly building certification system, based on six conditions for sustainable architecture presented in a 2001 paper by Guy and Farmer. (Method) Since the revision of the G-SEED standards in September 2016, the results of certification of 20 buildings were analyzed and evaluated based on the six conditions of sustainable architecture proposed by Guy and Farmer in 2001 to assess sustainable eco-friendly characteristics of domestic buildings that obtained G-SEED certification. (Results)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ere 76% of eco-technic, 74% eco-medical, 35% eco-centric, 55% eco-cultural, 66% eco-social, and 55% eco-aesthetic works in Korea. By item, eco-technic was the highest at 76%, and eco-aesthetic was the lowest at 35%. In addition, eco-technic, eco-centric, and eco-medical were above the average, while eco-aesthetic, eco-cultural, and eco-social were below. Although the item scores corresponding to eco-aesthetic, eco-cultural, and eco-social were relatively low compared to other items, the case analysis also showed that the current trends in the sustainability of eco-friendly buildings in Korea are low in terms of energy technology or human comfort and health, and in terms of science and technology to preserve the local environment, but they reflect cultural concepts of human beings and ecological environment. In particular, eco-aesthetic showed the lowest level among the six categories, indicating a very poor formative approach from an aesthetic point of view. (Conclusion) It is hoped that this paper will be used as a basic material for the balanced implementation of various sustainable values of eco-friendly architecture by universally reconstructing and changing our consciousness of nature from the perspective of newly changed ecological knowledge to shift the direction from the trend of eco-friendly architecture to the direction of pursuing only the satisfaction of technical elements for the purpose of “certification” itself.

      • KCI등재

        신축 건축물의 친환경 인증에 관한 연구 : LEED 2009 NC 인증제도의 평가항목 및 기준을 중심으로

        이상춘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2010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Vol.12 No.4

        전 세계적으로 친환경 건축이라는 새로운 패러다임이 에너지 및 자원의 고갈과 환경 보전이라는 사회적인 요구와 관심 속에서 생겨났다. 이러한 친환경 건축이라는 개념을 뒷받침하기 위해서, 1990년대 초반부터 많은 세계 주요 국가에서는 친환경 건축물 인증제도가 개발 시행되었다. 이 논문의 목적은 가장 권위 있는 친환경 건축물 인증제도 중의 하나인 미국 그린 건축 협의회 LEED 제도의 최근 개정된 변화를 소개하고, 건축 전문가 집단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통해서 LEED 인증제도에서 신축 건축물의 친환경 인증을 위한 중요한 전략을 제시한다. LEED 제도에서 최고 인증 등급을 받은 23개 건축물의 평가항목별 취득점수 관한 사례 조사를 한 후, 설문 조사를 통해서 얻은 LEED 2009 NC 인증제도에서의 친환경 건축물 인증을 위한 두 가지 전략을 제시한다. 첫 번째 전략은 건설 사업 단계에서의 각각의 평가항목에 대한 인증 자료의 제출시기에 관한 것이고, 두 번째 전략은 각각의 평가항목의 점수를 취득하기 위한 건설 사업 관계자들의 의사 결정 과정에서의 참여도에 관한 것이다. 설문 조사의 결과로서 34개 평가항목 중 19개 항목의 인증 자료들은 설계 단계에서 제출되어져야 하고, 건축 설계팀, 시공사, 발주처는 각각 18, 9, 7개의 평가 항목 취득에 대한 의사결정과정에 참여해야 한다는 전문가 의견이 나왔다. LEED 2009 NC 인증제도의 평가항목을 인지하고 이 두 가지의 전략을 취함으로써 신축 건축물의 친환경 인증은 보다 체계적이고 원활하게 될 것이다.

      • KCI우수등재

        미국 외부공간 친환경 인증(SITES) 사례분석을 통한 친환경 조성기법 및 평가체계 연구

        이형숙,Lee, Hyung-Sook 한국조경학회 2016 韓國造景學會誌 Vol.44 No.3

        친환경 건축물만이 아닌 지속가능한 대지개발 및 외부환경 조성에 대한 관심과 중요성이 높아짐에 따라 미국에서는 기존 친환경 건축물 인증제인 LEED와는 별도로 Sustainable Sites Initiative(SITES)라는 인증체계를 구축하고, 이를 통해 다양한 유형의 외부공간의 친환경 요소들을 평가하고, 개발 전 과정동안 지속가능하고 통합적인 디자인이 실현되도록 유도하고 있다. 본 연구는 SITES 인증을 획득한 프로젝트들의 구체적인 친환경 전략과 적용기술 등을 분석함으로써, 친환경적인 외부공간 조성기법과 평가체계를 검토하고, 국내 외부환경 친환경 평가체계의 개선에 대한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SITES 인증을 받은 텍사스 지역 세 대상지의 친환경요소 분석결과, 건축물 중심의 친환경 인증과 달리 토양, 식생, 물 보전 등 조경분야에서의 다양하고 실질적인 친환경 전략과 방법들이 적용되고 있었다. 또한 인증과정을 통해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이 협력하고 소통하는 통합적 디자인과 주민들의 참여가 이루어지고, 환경교육 및 실천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외부환경 및 녹지의 친환경적 평가기준이 부족한 현실에서 국내 상황에 적합한 현실적이고 실효성 있는 외부환경 친환경 인증 및 평가체계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며, 본 연구는 향후 이러한 논의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While many assessment systems for buildings and indoor environment have been created with increasing interest in sustainable development, assessments for sustainable landscaping and outdoor environments have received less attention. Recently, the Sustainable Site Initiatives(SITES) was developed in the USA in order to evaluate and certify sustainable landscape design projects.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analyze sustainable landscape strategies and to review the certification system through case studies of SITES certified projects. Three certified projects in Texas were selected and literature review, site visits and interview were conducted. The results indicated that various sustainable and practical strategies were applied including soil preservation, use of native plants and recycled materials, and water harvesting. Also, SITES has benefits to encourage an integrated design process, community participation, and environmental education for the public. This suggests that a certification system for landscaping and outdoor environments needs to be developed to ensure sustainable site development, which helps extend the roles of the landscape architecture profession in sustainable design.

      • KCI등재

        친환경건축물 유형별 인증평가요소 비교 연구 : 공동주택과 업무용건축물을 중심으로

        신희숙,구본학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2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7 No.4

        (연구배경 및 목적)본 연구는 우리나라 친환경건축물 인증제도의 현황 및 유사제도를 비교하고, 2013년부터 통합되는 녹색건축물 인증제도에 대해 고찰하였다. (연구방법)평가대상지는 2010년 10월 이후 본 인증을 받은 공동주택 14개단지와 업무용건축물 5개동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평가항목 중 자연환경과 관련이 있는 토지이용, 수자원, 생태환경을 비교하였다. (결과)평가결과 공동주택의 경우 총 53점 중 평균취득점수는 26.128점으로 총점의 49%로 나타났고, 업무용건축물의 경우는 총 40점 중 15.348점인 38.37%로 공동주택에 비해 낮게 나타났다. 토지이용과 수자원의 경우 비슷한 점수를 취득했지만 업무용건축물의 경우는 생태환경이 특히 낮게 나타난 것으로 보아 업무용건축물의 경우 옥상녹화와 녹지공간이 늘어나고 있지만 상대적으로 많이 부부족한 결과로 나타났다 (Background and Purpose)The aim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present condition of the eco-friendly building certification system in Korea to its similar system, and to consider the green building certification system which is to be integrated from 2013. (Method)This study set the 14 complexes of apartment housing, and 5 office buildings, which were officially certified after October in 2010, as its target sites for evaluation, and compared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land use, water resources, and eco-environment which are related to natural environment among evaluation items. (Result)As a result of doing evaluation, it was found that the acquired average points of apartment housing were 26.128 out of total points of 53, marking 49% of total points while the points of office buildings were 15.348 out of total points of 40 with the 38.37% of total points, being lower than that of apartment housing. Seeing that in case of the land use and water resources, both acquired similar points, but office buildings were found to be especially low in eco-environment, it can be judged that the cases of an office building's rooftop greening and green space have increased, but, the general results show that there still remain a lot of shortages.

      • KCI등재

        건축관련법에 있어서의 친환경성의 구현

        ( Eun Kee Lee ) 한국환경법학회 2014 環境法 硏究 Vol.36 No.2

        건축물에서의 에너지소비는 에너지소비의 대종을 이루고 있는바, 건축물은 건축용지의 조성, 건물의 설계, 건설, 유지관리 및 사용, 리모델링, 폐기 등 그 생애주기 동안의 모든 단계에서 에너지와 자원을 사용하게 된다. 따라서 각 과정에서의 에너지와 자원의 소비가 많으므로 적절한 에너지 절감대책이 필요하게 된다. 우리나라 건축물의 에너지 사용량은 20%정도이나 앞으로 40%까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건축물의 친환경성과 직접적으로 관련되는 온실가스배출 감축문제는 기후변화의 완화를 위한 적정한 대응전략이 될 수 있다. 우리나라는 건축물의 친환경화로 인한 에너지 절약을 위하여 녹색건축물인증제도 및 건축물 에너지효율등급 인증제를 시행해 오고 있는바, 그 근거법은 ‘녹색건축물조성지원법’(제16조 제4항)과 ‘녹색건축인증에 관한 규칙’이다. 이 제도는 미국의 그린빌딩 등급시스템인 LEED제도, 영국의 그린하우스 프로그램인 BREEAM제도 그리고 EU 의 친환경건축물 프로그램인 GreenBuilding-Programm제도를 벤치마킹한 것이다. 녹색건축물인증제도는 국토해양부와 환경부의 운영기관단일화, 제도의 간소화 (즉 인증기관수의 최소화·인증기준의 단순화·평가항목의 축소 등), 1등급부터 4 등급의 단계로 실시하는 평가등급의 세분화를 통한 제도의 실효성확보 등 개선해야될 부분도 적지 않다. 특히 녹색건축물 인증제도의 운영부처가 국토교통부와 환경부의 공동운영으로 이원화되어 있는바, 제도운영의 효율성이 떨어질 수밖에 없으므로 주무부처를 환경부로 일원화하고 국토교통부는 협력부처로 할 필요가 있다. 건축관련법과 도시정비에 관한 현행법은 에너지절약을 통하여 건물의 친환경성과의 실현을 도모하고 있으나, 선진국의 관련법제에 비하여 에너지 효율향상을 위한 제도적 장치가 아직도 미흡한 점이 많으므로 태양광 등 신재생에너지의 적극적 활용과 에너지 절약성능이 높은 건축물에 대대해서는 높이제한, 용적률 완화, 등록세·재산세 와 같은 세제혜택 등의 인센티브를 주고 건축물에너지 소비총량제를 도입하는 등 보다 적극적이고 계속적인 법제적 보완이 요구된다. Energy consumption in the building accounts for the majority of energy consumption. Therefore, the building uses energy and resources at all stage of its life cycling including construction of building site, design of building, maintenance and use, remodeling, and disposal. It is required to make suitable energy reduction policy as there is much consumption of energy and resource. While the energy consumption amount of building in Korea is 20%, it is expected to increase up to 40%. The reduction of greenhouse gas discharge that is directly related to the eco-friendliness of building can be a suitable response strategy to relieve climate change. To save energy by means of eco-friendliness of the building, system of accrediting green building and building energy efficiency grading certification system are introduced in Korea. The reference laws are ‘Green building construction support act’ (Article 16.4) and ‘Green building certification regulation.’ These are the benchmarks of LEED, a green building system of the US, BREEAM as green house program of the UK and Green Building-Programm, an EU`s eco-friendly building construction program. As for green building certification system, it has many issues to be resolved such as the single operation system between the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and Ministry of Environment, simplification of system (minimization of number of certifying institute, simplification of certification criteria and reduction of evaluation method), classification of evaluation grade between best and excellent grade in order to secure practicality for the system. In particular, as the operating authorities are divided into the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and Ministry of Environment, it lacks efficiency of system opera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et the Ministry of Environment as the competent authority and to appoint the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as the cooperating authority. While the building construction related laws and urban maintenance laws attempt to realize eco-friendliness of the building by means of energy saving, there are many insufficiencies for the development of energy efficiency which requires continual further modifi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