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1990년대 이후 한국의 이주민 통합정책 성격 분석

        곽영초 전남대학교 글로벌디아스포라연구소 2012 전남대학교 세계한상문화연구단 국제학술회의 Vol.2012 No.5

        1990년대에 들어와 한국은 노동력시장과 인구구조의 변화로 인해 외국인 근로자들과 결혼 이주민여성이 대규모적으로 유입하게 되었다. 또한 경제위기의 해결책으로 한국의 외국인투자에 관한 기존의 규제정책을 대폭 수정하여 외국인의 이주와 투자를 유인하고자 한다. 이러한 배경 하에 한국의 이주민사회는 점차 일정한 규모를 갖추게 되었다. 한국정부는 기존의 외국인 규제정책 대신 통합정책을 실시했다. 한국사회나 학계에 이러한 통합정책에 대해 다문화적이라 평가해왔다. 그러나 과연 이러한 통합정책은 다문화의 핵심가치인 평등을 이루어지고 있는지 본문에서 한국 외국인 이주민 사회에 최초의 이주민인 화교집단에 적용되는 통합정책의 성격에 대한 고찰을 통해 밝히고 자한다. 화교집단은 한국의 외국인이주민사회에는 독특한 존재로 주목을 받게 되었다. 한국정부는 화교집단으로 하여금 외국화교자본을 끌어오는 가교역할로 하게 함으로써 높은 관심도를 표명했고 또한 한국사회는 화교집단의 법적, 사회적 지위의 향상은 제일 코리안의 선거권문제 해결의 돌파구로 여겨서 적극적으로 추진했다. 이럼에도 불구하고 화교집단은 외국인의 신분으로 인해 사회복지 보장을 받는 데 심각한 제한을 직면하고 있으며 화교문화를 지키는 역할을 수행해왔던 화교학교 역시 한국정부로부터 아무 지원도 못 받고 있다. 화교집단은 사회통합정책에서 여전희 부분적으로 차별을 당하고 있다. 한국의 이주민 통합정책은 차별적 배제모형으로부터 동화모형으로 조금 진입하지만 다문화와의 거리는 여전히 멀다.

      • KCI등재

        해방 후 광주 화교사회의 재구축과 활동양상에 관한 연구

        양세영 전남대학교 호남학연구원 2023 호남학 Vol.- No.73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life of Gwangju Overseas Chinese, focusing on the reorganization process of Gwangju Overseas Chinese society after liberation. After the Sino-Japanese War, the Gwangju Overseas Chinese society, which had virtually entered the level of dissolution as its members withdrew to China and commercial activities shrank, began to reorganize in three aspects along with liberation. First, after liberation, Autonomous region system reorganized resident Overseas Chinese and integrated the Overseas Chinese society, which had lost its centripetal power. Next, a Chinese elementary school was built to meet educational needs and establish cultural identity. In addition, many overseas Chinese who moved to Korea after the liberation and the Civil War of China flowed into Gwangju, providing human resources to effectively lead the reorganization process, and actively engaged in economic activities centered on the chinese restaurant with existing overseas Chinese who had lived before liberation. As a result of this reorganization of the Overseas Chinese society, the population more than doubled until the mid-70s, showing growth. In addition, economic activities such as Chinese restaurant, food store and casting were also activated. And Gwangju Overseas Chinese expanded its educational ground by expanding the courses of Chinese middle schools in 1965 and high schools in 1972 following the construction of elementary school buildings as the number of students increased. Through the reconstruction process and its results, the Gwangju Chinese community showed differentiated characteristics that it was self-reliant enough to promote the establishment of elementary school with its own fundraising, and due to the growth of the population, it survived the crisis of extinction since the 1970s. Future research areas are as follows: securing data on important people, organizations, and stores that led the Gwangju Overseas Chinese society, the re-migration of Gwangju Overseas Chinese since the late 1970s and the relations between the old and new Gwangju Overseas Chinese. 본고는 해방 이후 광주화교 사회의 재구축 과정을 중심으로 광주화교의 생활상을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중일전쟁 이후 구성원들이 대폭 중국으로 철수하고상업활동이 위축됨에 따라 사실상 해체 수준에 들어갔던 광주화교 사회는 해방과함께 3가지 측면에서 재건에 들어갔다. 먼저, 해방 후 조직된 화교 자치구가 거주화교를 보갑제로 편제하여 관리함으로서 구심력을 잃고 흩어졌던 화교사회를 통합하였다. 다음으로 화교 소학교를 건립하여 교육적 필요를 충족함은 물론 문화적정체성을 확립하려고 하였다. 또한, 해방 후 인근지역 화교와 국공내전 이후 국내로 이주한 화교들이 상당수 광주로 유입됨으로서 재구축 과정을 효과적으로 이끌어갈 인적자원을 제공하였으며, 해방 전부터 거주해온 기존 화교들과 함께 음식업을 중심으로 경제활동을 활발히 전개하였다. 이러한 재구축의 결과로 먼저 70년대 중반까지 인구가 2배 이상 증가하는 등화교사회가 양적으로 성장하였다. 또한, 경제생활은 핵심 영위업종이 포목업과 농업에서 음식업과 식재료상, 주물업 등으로 변화된 가운데 상업활동이 다시 활성화되었다. 아울러 취학 인구증가에 따라 소학교 교사의 신축에 이어 1965년 화교중학교, 1972년에는 고등학교 과정을 증설하여 교육적 기반을 확충하였다. 재구축 과정과 그 결과로 인해, 광주화교 사회가 보여준 다른 지역의 화교사회와 대비되는 차별점은 소학교 설립을 자체 모금으로 추진할 만큼 자립성이 강했다는 것과 인구규모 가 1970년대 이후 화교소멸 위기에서도 살아남아 지금까지나름대로 화교사회의 형태를 유지할 수 있을 정도의 수준에 이르게 되었다는 점이다. 향후 연구과제로는 광주화교 사회를 이끈 중요 인물과 단체, 상점에 대한 자료확보와 함께 1970년대 후반 이후 광주화교들의 재이주 현상과 한중수교 이후 광주에 유입된 신화교와 구화교간의 관계 정립 등에 대한 연구라 할 수 있다.

      • KCI등재

        해방 후 제주화교 사회의 재건과정과 경제·사회적 활동에 대한 연구

        양세영(Se-Young Yang) 제주학회 2022 濟州島硏究 Vol.58 No.-

        본 고는 해방 이후 제주화교 사회의 재건 과정과 그 결과가 제주화교의 생활에 미친 영향을 살펴봄으로서 현대 제주화교사를 보다 풍부하게 복원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국내 화교사 연구에 있어 해방 이후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매우 부족한 상황에서 동시대의 제주화교에 대한 연구를 통해 전체 화교사의 지평을 확대하고자 하였다. 연구를 통해 밝혀진 주요 사실은 다음과 같다. 제주화교는 1909년 이전에 제주로 도래하여 일제강점기 동안 꾸준한 성장을 통해 화교사회를 형성하였으나, 1931년 만보산 사건과 1937년 중일전쟁의 영향으로 화교사회가 거의 붕괴하는 상황에 직면하였다. 그러나 해방이후 화교 자치구의 조직과 운영, 화교소학교 건립을 통해 화교사회를 재건 하였으며, 문화적 정체성을 확보해 나갔다. 이러한 재건활동을 기반으로 피난 등으로 제주에 유입된 내륙화교들을 제주사회에 통합시켰으며 음식업을 중심으로 활발한 경제 활동을 수행할 수 있었다. 이 결과 제주화교 사회는 해방 전의 인구 규모를 능가하며 화교인구가 감소한 다른 중소도시와는 달리 70년대 후반까지 인구가 증가하는 등 활성화된 모습을 보여 주었 다. 또한, 지역문화 행사에 대한 지속적인 참여 등을 통해 지역사회에 융화되기 위해 노력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점은 다른 지역화교와 대비되는 제주화교의 독특한 모습이라고 할 수 있다. 향후 연구과제로는 1970년대 후반이후 제주화교의 재이주 동향, 1992년 한중수교 이후 유입된 신화교와 구화교 간의 관계발전 등에 대한 연구라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further enrich the life history of Jeju Overseas Chinese(Jeju Hwagyo) by supplementing the limitations of previous studies and examining the reconstruction process of Jeju Overseas Chinese society and the impact of the results on the lives of them after liberation. In addition, when research on Chinese history in Korea is very scarce after liberation, it was intended to expand the horizon of Overseas Chinese history in Korea through this research in the same period. The main fact revealed through the study was that Jeju Chinese formed a Overseas Chinese society through steady growth during Japanese colonial era since they moved to Jeju before 1909, but the Chinese society almost collapsed as it withdrew to China due to the influence of the Sino-Japanese War at the end of Japanese colonial era. However, after liberation, the Jeju Chinese Overseas society was rebuilt through the organization and operation of the Chinese Autonomous District and the opening of the Chinese Primary School, and cultural identity was secured. Based on these reconstruction activities, inland Chinese who flowed into Jeju due to evacuation were able to easily settle in Jeju society, and were able to carry out active economic activities centered on the food industry with existing Jeju Hwagyo. As a result, Jeju Chinese Overseas society showed an active appearance, with its population increasing until the mid-70s. it showed efforts to harmonize with the local community through continuous participation in local cultural events. This point can be said to be a unique appearance of Jeju Overseas Chinese in contrast to other local Overseas Chinese. Future research projects can be said to be studies on the trends and causes of re-migration of Jeju Chinese after the late 1970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old hwagyo and new hwagyo which flowed into after diplomatic relations between Korea and China in 1992.

      • KCI등재

        한국화교집단에 대한 분석: 정체성과 사회경제적 배경을 중심으로

        정회옥,윤종빈,김진주 서강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5 社會科學硏究 Vol.23 No.1

        본 연구는 한국에 거주하는 화교의 정체성과 사회경제적 배경을 질적 및 양적 방법론을 활용하여 살펴보았다. 구 화교와 신 화교로 분류하여, 인터뷰와 여론조사 분석을 통해 실제적이고 경험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구 화교와 신 화교는 정체성 측면에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체성 인식에 있어 구 화교의 경우 한국인으로서의 정체성이 중국인으로서의 정체성보다 높았으며 한국에 대해 강한 애착을 가지고 있었으나, 신 화교는 중국인으로서의 자부심과 정체성이 매우 높은 것을 발견하였다. 둘째, 화교의 거주지 선택 이유는 구 화교, 신 화교 모두 삶의 편이성과 저렴한 집세 등의 실질적이고 경제적인 이유가 주를 이루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구 화교는 한국 사람들과 유사한 빈부격차를 보이며, 신 화교의 경우 다른 외국인 이주자 집단보다 소득이 다소 높았다. 넷째, 구 화교는 한국 정부의 정책에 대해 제도적 보완이 필요하다고 여기는 반면 신 화교는 긍정도 부정도 아닌 중립적인 태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중층적·역동적 시공간을 통한 한국화교 이해

        박규택(Park, Kyu-Taeg)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17 한국민족문화 Vol.63 No.-

        19세기 말 이후 한반도에 정착한 화교는 식민지 체제 하에서 일본과 조선으로부터 이중의 지배를 받았고, 국가(한국)체제 하에서도 여전히 억압과 차별받는 외국인으로 살았다. 1990년대 이후 한중수교, 세계화, 신자유주의에 의한 변화된 환경 속에서 화교는 새로운 생존과 번영의 가능성을 모색하고 있다. 본 연구는 기존의 화교연구와 관련하여 하나의 질문을 제기한다. 즉, 화교연구가 고찰한 다양한 주제를 시공간의 관점에서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이다. 본 연구가 제시한 탈근대적 시공간의 틀, 즉 로컬, 국가, 초국가(혹은 세계)의 시공간이 중첩되어 역동적으로 수행하는 관점이다. 그리고 이 틀은 20세기 화교에 시론적으로 적용해 보았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첫째, 19세기 후반 이후 일제 식민지 시기까지 많은 중국인이 조선으로 이동해 옴에 따라 동아시아 시공간이 형성되었고, 또한 이들의 일부가 한반도의 로컬에 뿌리를 내려 생활하게 됨에 따라 로컬 시공간이 형성되었다. 그리고 두 시공간은 독립적으로 존재하지 않고 중첩되어 상호 영향을 주고받으면서 작동하였다. 둘째, 제2차 세계대전의 종전으로 한반도가 일제식민지로부터 해방된 이후 한국전쟁이 끝난 1950년대 초반까지 식민지 시대에 형성된 동아시아 시공간이 미군정 하에서 일시적으로 지속되었다. 그러나 동아시아 시공간은 한국정부, 중화인민공화국(중국), 중화민국(대만) 정부의 수립과 한국전쟁으로 인해 단절됨과 동시에 새로운 국가 시공간이 형성되었다. 셋째, 1940대 후반이후 냉전과 반공 체제 하에서 수립되어 1980년대 후반까지 지속된 국가(한국)의 시공간은 화교의 지위, 사회·경제 활동, 정체성, 재이주에 부정적 영향을 미쳤다. 그리고 화교는 자신들의 의사(意思)와는 무관하게 대만의 국적을 보유하게 되었고, 이로 인해 한국에서 외국인으로 취급받았다. 넷째, 1990년대 이후 한중국교의 수립(1992년), 세계화 전략, 신자유주의 정책, 다문화사회화, 정보통신기술의 발달은 새로운 시공간, 즉 세계, (초)국가, 로컬이 중첩된 다층적 시공간이 형성되기 시작하였고, 이는 화교 활동에 그 어느 때보다 많은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 1990년대 이후 한국 사회는 다인종(민족)으로 구성된 다문화사회로 빠르게 진전되고, 중국은 동아시아와 세계에서 경제적·정치적 영향력을 증대시키고 있다. 본 연구가 제시한 시공간의 개념적 틀은 화교를 넓고 깊게 이해하고, 나아가 미래 한국에서의 다문화사회를 전망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Korean-Chinese settled in the Korean peninsula after the late 19<SUP>th</SUP> had been simultaneously repressed by Koreans and the Japan government under the colonial system, and they have continuously lived in a controlled and differentiated condition in Korea as a nation-state. After the 1990s, they look for new possibilities in a changing situation due to a normalization between Korea and China, globalization, neoliberalism and so on. This study asks one doubt on the previously research about Korean-Chinese. The question is how time-space can be understood in a situation related practices beyond cognition and language (or sign) to various subjects investigated in the previous studies on Korean-Chinese. The conceptual framework suggested in this study is a perspective of dynamically operating through a multilayered and interacted time-space of local, nation and globe, and it is generally applied to the society, economy and politics associated with Korean-Chinese during the 20<SUP>th</SUP> century. The study results are summarized as the followings. First, a transnational time-space based on East Asia had been made by many Chinese continuously moving among China, Chosen and Japan from the late 19<SUP>th</SUP> to the Japanese colonial time, and a local time-space had been also created by some Chinese settled at particular locals of a Korean peninsula such as Incheon, Busan, Pyongyang, Wonsan. Those time-space was not separated but layered, folded and interactively influenced. Second, the transnational time-space made in the previous time was temporally maintained from the liberation from the Japanese colonial rule to the end of the Korean war. But such a time-space was totally disrupted by the establishment of Korean, Taiwan and Chinese government and the Korea war, and a newly created national time-space began to strongly influence on the society, economy and everyday life of Korean-Chinese. Third, the national time-space absolutely controlled by the Korean government have much negatively influenced on the status, socio-economic activity and identity of Korean-Chinese from the late 1940s to the late 1980s. The Korean-Chinese had a Taiwanese nationality regardless of their intention in a nationally separated time-space, and they were classified and treated as a foreigner in the Korean national territory. Fourth, a new time-space in which global, (trans)national and local scales are folded and simultaneously operated begins to be created through a normalization between Korea and China in 1992, globalization and neoliberal policies, multicultural society and the rapid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after the 1990s. It is much strongly influencing on the organization, activity and everyday life of Korean-Chinese as compared with the operation of the time-space made in the previously times. The newly created time-space is, however, related to the time-space made in a past time. After the 1990s, Korea is being changed as a multicultural society, and China is rapidly becoming a superpower of influencing on the economy and politics of East Asia and world. A time-space as the conceptual framework suggested in this study can help the deep and wide understanding of Korean-Chinese society and also the future prospects of multicultural society of Korea.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time-space framework which will be applied to specific aspects of Korean - Chinese in the 20<SUP>th</SUP> century.

      • KCI등재

        부산지역 화교의 사회연결망 특성변화와 사회자본의 형성

        김형빈(Kim, Hyung Bin),이진석(Lee, Jin Suk) 한국지방정부학회 2011 지방정부연구 Vol.14 No.4

        This study attempts to investigate social networks change and social capitalization process of Chinese Overseas community members in Busan. The idea of this research subject has been obtained mainly from the recent internal changes of their community. As for the theoretical foundations of this study, the theories of social network and social capital were discussed and an analytical framework was constructed based upon the theoretical discussion. A dicussion for possibility of linking these two theories is the most important point in this theoretical discussion process. Among these theories, Nan Lin's network theory of social capital is discussed with importance as a theoretical framework of this study because he offers a clear theoretical basis that can be used to assess the effects of social networks and social capital. Lin provides probably the narrowest conception of social capital with focus on social networks as instrumental resources that individual can access. 우리사회의 가장 오래된 소수민족인 화교사회 내부 변화 양상을 개인의 상호작용 연결망인 사회연결망의 특성과 사회자본을 통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사회연결망 이론과 사회자본론에 대한 개괄적인 고찰을 통해 두 이론의 이론적 연계에 대해 검토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부산지역 화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로는 먼저, 화교공동체 구성원은 연령, 세대, 학력, 직업, 그리고 배우자 국적별로 다른 형태의 사회단체에 가입하고 있었으며, 가장 활발하게 참여 및 활동하고 있는 단체는 강한연대(strong tie)에 기반을 둔 단체들 이었다. 다음으로 화교공동체 구성원들은 학력, 직업, 세대의 차이에 따라 사회연결망의 확장 정도의 차이가 있었다. 마지막으로 구성원들은 사회자본의 필요성을 인지하고 있었으며, 학력과 직업적 위세가 높을수록 더욱 강하게 인지하고 있었다. 경제적인 이득을 위해 사회연결망의 동원을 통한 사회자본의 획득을 시도하고 있었다.

      • KCI등재

        동남아 화교·화인 사회의 형성과 화문교육에 대한 小考

        김주아(Kim, Ju-A) 한국문화융합학회 2020 문화와 융합 Vol.42 No.8

        이 논문은 해외 화교·화인 사회의 형성과정과 화문교육의 정착 및 그 의미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해외화인이 가장 많이 분포해 있는 동남아 지역 화교교육의 어제와 오늘을 간략하게 정리해 보았다. 본 논문은 문헌 연구를 위주로 진행되었지만, 그 배경에는 연구자가 지난 몇 년 동안 동남아시아 화인사회(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싱가포르)를 방문하고 교육관계자들과 인터뷰한 내용을 바탕으로 작성되었다. ‘화교’하면 경제인의 역할을 많이 떠올리지만, 화교사회의 형성과 유지에 있어서 ‘교육(華敎)’의 힘을 무시할 수 없다. 화교사회의 뒷받침(물리적 지원)은 경제인을 중심으로 한 민족단체(社團)가 맡고 있지만, 민족정신의 뿌리는 유·무형의 ‘학교(華校)’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다. 동남아시아 화인은 국가별로 서로 다른 정착과정을 겪고 있지만, 민족지식(전통문화와 언어)을 전달할 수 있는 지식인을 양성하여 현지에서 화인의 입지를 더욱 강화하고 민족문화를 계승하기 위해 끊임없이 노력하고 있다. 우리도 이제 OECD 기준의 다문화사회를 향해 나아가고 있고, 약 750만 명의 재외동포가 있다. 화교의 경험은 우리의 과거일 수도 있고, 미래가 될 수도 있다는 점에서 고찰해 볼 가치가 있다. 본 논문은 향후 화문교육의 연구를 심화하기 위한 토대작업으로 구체적인 사례와 현황 교육자료 등이 추가로 연구될 계획이다. This paper intends to examine the formation of overseas Chinese and Chinese society and; the establishment of Chinese language education and its meaning. To this end, I briefly summarized the past and present states of Chinese education in Southeast Asia, which contains the highest concentration of overseas Chinese. Although this paper primarily focused on literature research, its background was based on the researcher’s visits to Southeast Asian Chinese societies (Malaysia, Indonesia, and Singapore) in the recent past and interviews with education officials. “Overseas Chinese” reminds us of the role of entrepreneur, but we cannot ignore the power of “education” in the formation and maintenance of the Chinese society. Ethnic groups that are involved in business serve as the pillars that support Chinese society, but the roots of the national spirit lay within tangible and intangible “schools”. Although Southeast Asian overseas Chinese have undergone different settlement processes based on the country they reside in, they are constantly striving to further strengthen their position in the field and succeed culturally by fostering intellectuals who can transmit national knowledge (traditional culture and language). In Korea, we are now moving toward a multicultural society based on OECD standards, and there are about 7.5 million overseas Koreans. It is worth considering that the Chinese experience can serve as a reference for our future. In the future, specific cases and current state-of-the-art educational materials will be further studied in order to set the foundation for a comprehensive study of Chinese knowledge diaspora.

      • KCI등재후보

        법적 지위, 사회경제, 교육 환경 특성이 재한(在韓) 화교의 사회통합에 미치는 영향 분석 -사회적응수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박철민 ( Cheol Min Park ),민기 ( Kee Min ) 대한정치학회 2015 大韓政治學會報 Vol.23 No.4

        본 연구는 한국 화교의 사회통합에 미치는 영향변인을 법적지위, 사회경제, 교육환 경 특성으로 구분하고 사회적응 수준을 매개변인으로 하여 이를 분석하기 위한 인과모형을 구성하고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부산지역 거주 화교 156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모형의 검증을 위해서는 구조방정식모형(LISREL 8.80 for Windows, 2009)을 이용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가설모형의 전반 적 적합도 지수(measures of overall fit)는 =217.84, df=125, P=0.064, GFI=0.916, AGFI=0.924, RMR=0.037, CFI=0.913으로 Schumacker & Lomax(1996)가 제시한 기준별 수용수준 범위 내에 있었다. 모수의 영향경로는, ⅰ) 사회적응 수준에는 복지수급권(경로 추정치 -0.296, t=-1.672)을 제외한 모든 변수가, ⅱ) 사회통합도 역시복지수급권(경로 추정치 -0.363, t=-1.705)을 제외한 모든 변수의 영향경로가 p<.05 에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ⅲ) 사회적응 수준에는 경제활동 불편성(경로 추정치 -1.439, t=-6.273)이, 사회통합에는 재입국허가(경로 추정치 -3.074, t=-6.462)가 가장 강한 영향경로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간접효과를 갖는 영향경로 인 여권 인정, 국내 체류권 보장, 재입국 허가, 한국인의 배타성, 복지수급권, 경제활 동 불편성, 취업환경 만족도, 의무교육 적용성, 대학진학 환경 등 9개의 경로 중 복지 수급권을 제외한 모든 변인들이 유의한 간접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의 다문화주의가 정치적 수사로 끝나지 않고 사회의 다양성을 담아내기 위한 실천담론이 되기 위해서는 이들의 사회통합에 대한 성찰적 분석이 필요한 시점으로, 이에 대한 실 증적 연구를 시도하고 있다는 점에서 연구 가치를 찾을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aims at investigating the effect of legal status, socioeconomic, educational characteristics on social integration of Chinese-Korean, focusing on exploring how the Chinese-Korean social adaption relates the three legal status, socioeconomic, educational characteristics and social integration. The study adopted a questionnaire method in research of Chinese-Korean in Busan. Data were collected from 156 Chinese- Korean for empirical analysis. Technique used in analyzing data was SEM. LISREL 8.80(2009) program was applied in the analysis. The variables used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Influencing variables of social integration, which is an exogenous latent variable, are composed of passport visa, right of domestic sojourn, reentry permit, exclusion of Korean toward Chinese-Korean, social welfare right, inconvenience of economic activity, job satisfaction of labor, compulsory education, university entrance environment. Endogenous latent variables are composed of social integration and social adaption level. On the results of test, it turned out to be significant among these variables statistically excepting social welfare right. Thus, an important implication of this study``s finding is, consequently, that a series of influencing variables excepting social welfare right should be positively enhanced for the purpose of increasing the level of social integration of Chinese-Korean through using the mediating role of social adaption level.

      • KCI등재

        '부산 속의 아시아', 부산 초량동 중화가의 사회생태학적 연구

        장세훈(Chang Se-hoon) 비판사회학회 2009 경제와 사회 Vol.- No.81

        본 연구에서는 사회생태학적 관점에서 부산 초량동 중화가의 역사적 변전 과정을 살펴보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차이나타운의 유형을 대외적 봉쇄형·대내적 차단형·거류지형·쇠락형으로 재구성하고 이를 통해 시기별 특성을 파악할 것이다. 이러한 분석틀에 따르면, 초량동 중화가는 19세기 말부터 지금까지 대내적 차단형·대외적 봉쇄형·쇠락형·거류지형의 네 가지 단계를 차례로 밟으며 변모해왔다. 먼저 부산의 개항부터 일제 식민지까지의 1단계는 청국 조계지로 중화가가 조성되었지만, 뒤이은 일제의 식민 통지로 화교의 대외 활동이 봉쇄된 탓에 중화가를 중심으로 화교 내부의 결속이 공고해진 시기였다. 해방 후부터 1960년대까지의 2단계에는 식민지 해방과 뒤이은 전쟁을 계기로 초량동 중화가가 이전과 달리 외연적 성장을 거듭하면서도 화교사회의 구심점 역할을 지속하는 모습을 보였다. 3단계는 1970년대 이후 화교에 대한 한국사회의 사회·경제적 배제와 화교사회의 내부 균열, 그리고 러시아인의 유입 등으로 중화가가 퇴행적 와해 국면에 직면한 시기였다. 붕괴 직전의 초량동 중화가는 최근 들어 한·중 수교에 힘입은 부산시의 상해거리 조성사업과 축제 등으로 재활의 실마리를 잡았지만, 그 구성원들이 한국사회로 점차 동화되어 화교사회의 응집 기능을 잃어가는 거류지형으로 변모하고 있다. This study attempts to examine the historical transformation of a Chinatown in Choryang-Dong, Busan from the socio-ecological perspective. For this research, I will reconstruct types of Chinatown as enclave type, ghetto type, colony type, disintegration type and grasp characteristics of each period on the basis of these types. According to this analytic scheme, the Chinatown in Choryang-Dong since the latter period of 19th century has transformed from ghetto type through enclave and disintegration type to colony type. At the first stage from period of opening of Busan Port to period of Japanese colony, the Chinatown was built as a Chinese concession, but the following colonial rule kept overseas Chinese from doing socio-economic activities. Therefore they regarded the Chinatown as their base camp and strengthened internal homogeneity. At the second stage from colonial liberation to 1960s, the rapid social change such as colonial liberation, Korean War etc. made its economic prosperity possible. But in spite of its growth, the Chinatown still played its own role as centripetal area of overseas Chinese society. But Korea’s continuous socio-economic exclusion to overseas Chinese, their internal divisions and the inflow of Russians into Chinatown forced the Chinatown to be on verge of ruin for 1970s to 1980s. Recently the Chinatown grabbed a chance for its renaissance thanks to friendly relationships between Korea and China, Busan’s Chinatown gentrification project, so-called ‘Shanghai street building project’ and Shanghai street festival. However as overseas Chinese are increasingly assimilating to Korean society, it lost its role as a place of their cohesion and solidarity. Therefore it is transforming into colony type.

      • KCI등재

        부산지역 화교의 사회연결망 특성변화와 사회자본의 형성

        김형빈(金亨彬),이진석(李鎭碩) 한국지방정부학회 2011 지방정부연구 Vol.14 No.4

        우리사회의 가장 오래된 소수민족인 화교사회 내부 변화 양상을 개인의 상호작용 연결망인 사회연결망의 특성과 사회자본을 통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사회연결망 이론과 사회자본론에 대한 개괄적인 고찰을 통해 두 이론의 이론적 연계에 대해 검토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부산지역화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로는 먼저, 화교공동체 구성원은 연령, 세대, 학력, 직업, 그리고 배우자 국적별로 다른 형태의 사회단체에 가입하고 있었으며, 가장 활발하게 참여 및 활동하고 있는 단체는 강한연대(strong tie)에 기반을 둔 단체들 이었다. 다음으로 화교공동체 구성원들은 학력, 직업, 세대의 차이에 따라 사회연결망의 확장 정도의 차이가 있었다. 마지막으로 구성원들은 사회자본의 필요성을 인지하고 있었으며, 학력과 직업적 위세가 높을수록 더욱 강하게 인지하고 있었다. 경제적인 이득을 위해 사회연결망의 동원을 통한 사회자본의 획득을 시도하고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