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에른스트 헤켈의 자연물 도해에 나타난 조형원리를 응용한 패션디자인 연구 : 슬래쉬 기법을 중심으로

        관기흠,이세리 한국기초조형학회 2022 기초조형학연구 Vol.23 No.5

        자연은 인간에게 줄곧 중요한 영감의 원천이 되어왔다. 19세기말-20세기 초 독일의 저명한 생물학자에른스트 헤켈은 자연물에 대한 관찰을 통해 『자연의 예술적 형상』을 출판했다. 본 연구는 당대 생물학 및 예술 분야에까지 영향을 미쳤던 헤켈의 저작이 갖는 예술적 가치를 인정하며, 헤켈의 자연물도해를 모티프로 하여 패션디자인으로 응용할 수 있는 창작의 원천을 찾아내고 작품화하고자 하는 목적을 갖는다. 연구 방법으로서 우선 헤켈의『자연의 예술적 형상』의 창작 배경에 대해 고찰하였고 총100개의 도판을 대상으로 자연물 도해에 나타난 일반 특징 및 조형원리를 관찰하였다. 헤켈의 도해는이미 대칭, 질서의 원리로 설명되어 왔지만 전체의 배치와 부분의 형상 묘사를 관찰함으로써 그 이상의 조형원리를 도출할 수 있다. 헤켈의 도해에서 형태와 더불어 특징적으로 보이는 질감의 특징은 다양한 선들의 표현으로 드러난다. 따라서 다양한 선형의 표현을 슬래쉬 기법으로 연결할 수 있었다. 이를 토대로 소재 개발을 시도하고 총 4벌의 패션디자인 작품을 제작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헤켈의자연물 도해는 반복, 대칭, 점진, 율동, 방사, 강조 등 여섯 가지 조형원리가 가장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특히 그 중 반복은 나머지 다섯 가지 조형원리를 가능하게 한 기본 원리가 되었다. 한편 기법의 측면에서 슬래쉬 기법은 르네상스 시기부터 발전하여 현대 패션디자인까지 적용이 되고 있는데 과거의유럽 전통복식과 비교했을 때 오늘날 패션 컬렉션에 나타난 슬래쉬 기법은 규칙적이면서 응용된 직선형을 구사하는 유형이 가장 다수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작품은 이와 같은 분석 결과를 토대로 하여소재 개발 및 실루엣의 모티프를 찾아 디자인하였으며 헤켈의 자연물 도해에 나타난 조형원리 여섯가지를 조합한 패션디자인 작품을 제작하였다.

      • KCI등재

        일반 논문 : 생태담론의 연원(淵源)적 고찰

        양해림 ( Hae Rim Yang ) 한국환경철학회 2010 환경철학 Vol.0 No.9

        생태학이란 용어를 처음으로 사용한 헤켈(Ernst Heackel)은 찰스 다윈이 진화의 조건으로 표명한 생물과 생물들 혹은 생물과 환경간의 상호작용을 다루기 위한 학문이라고 생태학을 정의한 바 있다. 헤켈은 생태학이라는 용어를 처음부터 진화론의 논의들 속에서 형성시켰다 특히 생태학에서 다루는 주요한 연구대상은 주로 개체 이상의 생물체이며, 각각의 특성에 대한 연구뿐 아니라 상호작용에 대한 질문을 주된 연구과제”로 삼고 있다. 하지만 생태학은 현대 생물학의 주류를 차지하고 있는 분자생물학과는 질적인 차이를 보인다. 생태학은 직접적인 인과관계를 연구하는 물리학이나 화학과는 다르게 생활양식, 네트워크, 균형, 순환들을 연구한다. 즉 생태학의 목표는 생명체계 전체의 기능을 종합적으로 이해하는데 있다. 따라서 이러한 생태학의 관점을 토대로 필자는 생태담론의 등장, 생태담론의 근원적 관점: 자연개념의 변화, 생태담론의 철학적 논의, 그리고 21세기의 생태담론의 과제를 차례로 고찰하고자 한다. Ernst Heackel coins the term, ecology for the first time defining it as a discipline that studies correlative actions between an organism and organisms, or between organisms and the environment that Charles Darwin manifested as a condition of evolution. This means that Heackel intended to discuss ecology within the theory of evolution. In particular, the main subjects that ecology deals with are not only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organisms, but also their correlation with their environment. However, ecology has differences from molecular biology that is the main stream study of the modern biology because ecology studies modes of living, networks, balances, and circulation, which is different from physics or chemistry that deals with the direct causality of things. In other words, the goal of ecology is to understand the entire living systems comprehensively. Based on the ecological point of view, this study aims at examine how ecological discourse was originated, what the original point of view of the ecological discourse is, how the concept of nature has changed, how philosophical aspects of ecological discourses formed, and what tasks of the current ecological discourses are.

      • KCI등재

        생태담론의 연원(淵源)적 고찰

        양해림 한국환경철학회 2010 환경철학 Vol.0 No.9

        Ernst Heackel coins the term, ecology for the first time defining it as a discipline that studies correlative actions between an organism and organisms, or between organisms and the environment that Charles Darwin manifested as a condition of evolution. This means that Heackel intended to discuss ecology within the theory of evolution. In particular, the main subjects that ecology deals with are not only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organisms, but also their correlation with their environment. However, ecology has differences from molecular biology that is the main stream study of the modern biology because ecology studies modes of living, networks, balances, and circulation, which is different from physics or chemistry that deals with the direct causality of things. In other words, the goal of ecology is to understand the entire living systems comprehensively. Based on the ecological point of view, this study aims at examine how ecological discourse was originated, what the original point of view of the ecological discourse is, how the concept of nature has changed, how philosophical aspects of ecological discourses formed, and what tasks of the current ecological discourses are. 생태학이란 용어를 처음으로 사용한 헤켈(Ernst Heackel)은 찰스 다윈이 진화의 조건으로 표명한 생물과 생물들 혹은 생물과 환경간의 상호작용을 다루기 위한 학문이라고 생태학을 정의한 바 있다. 헤켈은 생태학이라는 용어를 처음부터 진화론의 논의들 속에서 형성시켰다 특히 생태학에서 다루는 주요한 연구대상은 주로 개체 이상의 생물체이며, 각각의 특성에 대한 연구뿐 아니라 상호작용에 대한 질문을 주된 연구과제”로 삼고 있다. 하지만 생태학은 현대 생물학의 주류를 차지하고 있는 분자생물학과는 질적인 차이를 보인다. 생태학은 직접적인 인과관계를 연구하는 물리학이나 화학과는 다르게 생활양식, 네트워크, 균형, 순환들을 연구한다. 즉 생태학의 목표는 생명체계 전체의 기능을 종합적으로 이해하는데 있다. 따라서 이러한 생태학의 관점을 토대로 필자는 생태담론의 등장, 생태담론의 근원적 관점: 자연개념의 변화, 생태담론의 철학적 논의, 그리고 21세기의 생태담론의 과제를 차례로 고찰하고자 한다.

      • KCI등재

        최인훈 문학의 기원과 진화론적 상상력

        오윤호 서강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9 서강인문논총 Vol.0 No.56

        This paper is to study the evolutionary imagination of Choi In-hoon's literature focusing on Ernst Hekel's evolutionary perspective. Also, I tried to analyze the evolutionary imagination and the evolutionary status of individual life in Choi In-hoon's novels. Choi In-hoon had an expert view on Ernst Heckel's theory of repetition and bioevolution, including DNA, since the 1960s. He was also interested in areas such as computer science and space exploration. Choi In-hoon attempted to explain the biological conditions of humans and the development of civilization based on these scientific perspectives, and to create an evolutionary literary art theory that penetrates creatures, humans, and civilizations. In “Literature and Reality” written in 1965, Choi In-hoon introduces the concept of two species inherent in human beings as “the human being as the unity of biological and civilized species.” Choi In-hoon discusses the characteristics of humans who perform symbolic behavior (literature activities) through the theory that ‘geneticity repeats phylogeny’ and distinguishes biological DNA from cultural (DNA)′ in Literature and Ideology. Choi In-hoon's evolutionary imagination, starting with Ernst Heckel, extends beyond species evolution, repetitive evolution of the individual and evolution of the mind. This bioevolutionary view reanalyze the scene where Lee Myung-jun seeks the condition of animals and erotic primitive life in Square, or Kim Hak’s biological understanding of the genealogy and countless 'I' in Gray Man, and the scenes that describe mummies and fossils in GeUnMong and SeoYuGi. In particular, HoaDu shows how the evolutionary status of various ideologies (individuals) and individual creatures (humans) are concentrated in the cosmic worldview. This evolutionary imagination is the starting point for reconstructing the evolutionary plot and art theory of Choi In-hoon's literature. 이 논문은 최인훈 문학의 진화론적인 상상력을 연구하기 위하여, 에른스트 헤켈의진화론적인 시각을 살펴보는 가운데, 최인훈 소설 속 진화론적 상상력과 개체적 생명의 진화론적 위상을 분석하려고 하였다. 최인훈은 1960년대부터 에른스트 헥켈의 진화론이나 DNA 등 생물진화론에 대해 전문가적인 견해를 갖고 있었으며, 컴퓨터 공학이나 우주 탐사와 같은 영역에 대해서도 많은 관심을 가졌다. 이러한 과학적인 관점들은 인간의 생물학적인 조건과 문명사의 전개를 설명하고, 생물・인간・문명을 관통하는진화론적인 문학예술론으로 구체화되었다. 1965년에 쓰여진 「문학과 현실」에서 최인훈은 “생물적 종과 문명적 종의 합일체로서의 인간”이라는 내용으로 인간에 내재되어있는 두 가지 종적 개념을 소개하고, 「문학과 이데올로기」에는 생물학적 DNA와 문화적 (DNA)′를 구분하며 ‘개체발생은 계통발생을 되풀이한다’라는 이론을 통해 기호행동(문학활동)을 하는 인간의 특성에 대해 논한다. 에른스트 헤켈로부터 시작된 최인훈의진화론적 상상력은 종적 진화를 넘어, 개체의 반복 진화, 마음의 진화에까지 이르게된다. 이러한 생물진화론적인 시각은 광장에서 이명준이 에로틱한 사랑의 감정에동물이라는 조건과 원시적 생명성을 추구하는 장면이나 회색인의 김학이 ‘족보’를생물학적으로 이해하며 무수한 ‘나’를 발견하는 내용, 구운몽과 서유기에서 ‘미라’와 ‘화석’을 설명하는 장면을 재해석하게 만든다. 특히 화두를 통해 다양한 이데올로기(문명)와 개체적 생명(인간)의 진화론적 위상이 우주적인 세계관 속에서 집약되는 과정을 잘 보여준다. 이렇게 진화론적 상상력은 최인훈 문학의 진화론적 플롯과 예술론을 재구축하는 출발점이 된다.

      • KCI등재

        신 없는 자연-초기 이광수 문학에서의 과학-

        황종연 상허학회 2012 상허학보 Vol.36 No.-

        The early Yi Kwang-su illustrates how enormous an impact western science had on the young Korean elite of his generation. He worshipped natural science as much as to think at a point of time in his days as a student in Tokyo that it was solely worth studying, believed it crucial for the regeneration of Korea to spread science among its people, and attempted to transform Korean culture and society on scientific ground. Pioneers, one of his early novels, portrays a dedicated chemist with his academic background in a technical school in Japan as an evidence of Korea’s national rebirth. In his view, the ideal type of a Korean young man was one whose scientific knowledge enabled him to conquer nature and to rule the world. For him, scientific pursuit and education of desire was inseparably connected. Biology, the most important branch of science in his estimation, encouraged him to make sense of the world in terms of desire. Convinced once that Darwin’s theory would replace The Bible, he practically enacted a shift from Christianity to evolutionary theory in the greatest work of his early fiction. Heartless depicts a Christianity-dominated Korean world in a way insusceptible to Christian interpretation. Written under the influence of Ernest Heckel, a Darwinian, mechanistic philosopher, the novel suggests that things are going in accordance with evolutionary laws, not with a providential order. Pioneers also conveys an image of the world which operates on mechanic and natural causes without divine, transcendent, and supernatural forces. It offers a description of Seoul that turns the city from a historical place marked by fluctuation of powers and joys and sorrows of people into an organism in an evolutionary process, going through a cycle of birth and death, determined by its own cause. In other words, disenchantment in Weber’s sense characterizes the world depicted by the early Yi Kwang-su. Pioneers presents in one of its characters named Sŏngsun a form of rational and self-determining subjectivity correlative to the world bereft of the divine and the mysterious. This is, however, not all that can be said about the works of the early Yi Kwang-su with regard to modern science. Though it is true that he approaches a mode of thinking commonly called the radical Enlightenment in European intellectual history his fictional works are more than a celebration of naturalistic, mechanistic and scientific rationality. He was keenly aware of the meaninglessness or emptiness of life brought about by the process of disenchantment and tended to see literature as a means to relieve human beings from such a situation of spiritual loss. Literature as he defines it captures human psychology estranged from the Newtonian and Darwinian world while, at the same time, it describes human reality by setting it against the world of iron laws. In the work of the early Yi Kwang-su, Korean literature began to establish itself as an enemy as well as a friend of science. 1910년대 이광수는 당시 조선의 청년 엘리트에게 서양 근대과학이 가한 충격이 얼마나 심대했던가를 명확하게 예증한다. 일본 유학 시절 한때 자연과학만을 학문이라고 여길 정도로 자연과학을 경배했던 그는 과학의 보급이 조선민족의 갱생에 핵심적이라고 믿었고 과학지식을 기반으로 조선 사회와 문화의 변혁을 추구했다. 그의 초기작 『개척자』는 왕년의 독립운동이 종언을 고한 것처럼 보이는 식민지 상황을 배경으로, 일본 공업학교 출신의 헌신적인 화학자를 조선이 소생하고 있는 증거로 추켜세운다. 그가 생각한 조선 청년의 이상적 형상은 과학의 힘으로 자연을 정복하고 세계를 통치하는 사람이었다. 과학적 탐구와 욕망의 교육은 불가분의 관계로 얽혀 있었다. 그가 과학의 분과 중에서 가장 중요하게 여긴 생물학은 바로 생에 대한 욕망의 관점에서 인간 세계의 이치를 이해하도록 그를 고무했다. 다윈의 이론이 성경을 대신하리라고 믿은 적이 있는 그는 기독교에서 진화론으로의 이동을 그의 초기 소설의 명작 속에서 실제로 수행했다. 『무정』은 기독교가 우세한 조선인의 세계를 기독교적 해석을 용납하지 않는 방식으로 그리고 있다. 다윈주의적, 기계론적 철학자 헤켈의 영향을 받은 그 소설은 세계가 신의 섭리가 아니라 진화의 법칙에 따르고 있음을 보여준다. 신적, 초월적, 초자연적 세력이 사라진, 기계적, 자연적 원인에 따라 작동하는 세계의 이미지는 『개척자』에서도 약여하다. 여기에 나오는 서울에 관한 묘사는 그 도시를 사람의 애환과 권력의 흥망이 얽힌 역사적 장소가 아니라 자체 내의 원인에 따라 생멸의 순환을 보이며 진화의 행로를 가는 유기체로 만든다. 요컨대 탈마법화는 초기 이광수가 그린 세계의 두드러진 특징이다. 『개척자』는 성순이라는 인물 속에 그렇게 성스러움과 신비로움이 축출된 세계에 대응되는 이성적이고 자주적인 주체성의 형상을 보여주고 있기도 하다. 그러나 이것이 초기 이광수 문학을 두고 과학과 관련하여 가능한 이야기의 전부는 아니다. 그는 유럽사상사에서 보통 급진적 계몽이라고 불리는 사고 양식에 근접한 것이 사실이지만 그의 소설이 단지 자연주의적, 기계론적, 과학적 합리성에 대한 찬가인 것은 아니다. 그는 탈마법화가 초래하는 삶의 무의미성 도는 공허함을 날카롭게 의식하고 있었고 문학이 그러한 영혼 상실의 상황으로부터 인간을 구제할 수단이라고 보는 경향이 있었다. 그가 정의한 의미에서의 문학은 뉴튼적, 다윈적 세계를 배경으로 인간 현실을 묘사하는 동시에 그 세계에 대해 소원한 인간의 마음을 기록한다. 초기 이광수의 작품을 기점으로 한국문학은 과학에 대하여 충정과 반심을 함께 가지기 시작했다.

      • KCI등재

        동아시아 사회진화론의 수용과 그 계보-신소설 작가들의 사회진화론 인식론에 대한 서설(序說)-

        유봉희 ( Yoo Bong-hee )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4 한국학연구 Vol.0 No.32

        이 논문은 신소설 작가들의 사회진화론 인식론에 대한 서설로, 동아시아 사회진화론의 수용과 그 계보를 거칠게나마 살피는 것을 목적으로 했다. 중국의 옌푸(嚴復)·량치차오(梁啓超), 일본의 가토 히로유키(加藤弘之)를 중심으로 살피기는 했지만, 이들과 유럽의 연쇄고리를 전제한 후 영국의 스펜서·헉슬리·키드와 독일의 블룬칠리·헤켈 등의 진화론사상을 동시에 포괄했다. 이를 통해 중국의 엄복·양계초, 일본의 가토 히로유키 등의 사회진화론사상의 뿌리를 확인하기도 했다. 즉 개인의 방임을 강조한 영국 발 사상이냐, 아니면 개인마저도 국가에 수렴하는 강력한 국가우위의 독일 발 사회진화론이냐, 하는 갈림길에 주목했던 것이다. 양계초는 영국 사상가들에게서, 가토 히로유키는 독일의 사상을 적극 수용했음을 알 수가 있었다. 당시 조선의 신소설 작가들 또한 자신의 사상적 바탕을 사회진화론에 두고 있었다는 사실을 인정하다면 양계초를 매개로 사회진화론사상을 받아들였는가, 아니면 가토 히로유키를 키워드로 수용했는가 하는 문제는 중요하게 다가올 수밖에 없을 터다. 그 결과 양계초와 카토 히로유키를 매개로 수용한 조선의 사회진화론은 그 성격을 달리했던 것이다. 이들로부터 영향을 받은 신소설 작가들 또한 작품의 지향점이 극명하게 갈리게 된다. 이 논문이 거듭 근대문학 해석에서 사회진화론을 상정하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This is an introductory study on the epistemology of social evolution theory of new novel writers and aims to figure out the acceptance of East Asia social evolution theory and its genealogy in a broad manner. While Yenpu and Ryangchichao of China, and Kato Hiroyuki of Japan were focused in the study, the study also included the evolution theory of Spencer, Huxley and Kidd of England and Bluntschli and Hegel of Germany as well in the presupposition of their link to the Europe. In doing so, the study could find the root of social evolution theory of Eom Bok and Yang Gecho of China and Kato Hiroyuki of Japan. It means that this study paid attention to fork load between the idea of England that focused on individual rights and the idea of Germany that put strong national superiority over individual. Yang Gecho accepted the ideas of English thinkers and Kato Hiroyuki adopted the idea of Germany actively. If new noble writers in Joseon of the time were based on social evolution theory in their ideological foundation, it would be significant if they received social evolution theory via Yang Gecho or if they accepted Kato Hiroyuki as their key word. As a result, the characteristics of social evolution theory in Joseon were different by the media from Yang Gecho and Kato Hiroyuki. The orientation of novels of new novel writers was dramatically divided. That is the reason why this study focused on social evolution theory in the interpretation of the modern literature.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