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문화예술교육정책은 왜 혼란스러운가?

        김수정(Su Jung KIM),최샛별(SetByol CHOI) 한국문화사회학회 2017 문화와 사회 Vol.24 No.-

        이 연구는 개인적·사회적 수준에서 점차 그 중요성과 필요성이 증대하고 있는 문화예술교육정책을 사회학의 학문적 장(場)으로 끌어와 주요 연구대상으로 위치시키고, 이를 통해 사회학 내 문화예술교육정책 연구를 활성화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 시론적 작업으로 현재 한국의 문화예술교육정책이 당면한 ‘혼란스러움’의 문제를 야기한 원인을 살펴보되 문화예술교육정책을 ‘사회학적 시각’으로 조망하고 분석하기 위해 문화예술과 관련된 학문적 논의들의 흐름과 한국 문화정책이 형성되어 온 역사적이고 정치적인 과정이라는 두 가지 커다란 맥락을 고려하였다. 문화예술교육정책과 관련된 광범한 문헌에 대한 고찰을 진행하였고, 분석 결과로 한국 문화예술교육정책의 혼란스러움을 야기한 근본적 원인이 (1) 18세기 이후부터 끝없는 변화와 확장의 과정을 거쳐 형성된 문화 개념의 모호성과 다의성, 그리고 (2) 이처럼 오랜 시간에 걸친 학문적·사회적 논의의 과정을 통해 형성된 서구의 문화정책을 단기간에 압축적으로 재현하고자 했던 한국 문화정책의 형성과정에 있음을 확인하였다. 끝으로, 문화예술교육정책 연구에 활용할 수 있는 종합적 분석틀을 제시하고 후속 연구에 있어 문화예술 분야에서의 학문적 맥락, 정치와 권력의 문제, 그리고 초국가적 맥락을 고려해야 함을 제언하였다. There has been a growing importance and necessity of culture and arts education policy on both individual and social level. This article aims to attract culture and arts education policy to the academic field of sociology and position it as the main study subject. Also it stresses the emphasis that research on culture and arts education policy should be vitalized in the field of sociology. As an introductory analysis, this article examines the confused state regarding Korea’s culture and arts education policy. To analyse it on the sociological perspective, it concerns two macro-contexts on the issue of culture and arts education policy; first the academic debate on culture and arts and second the historical and political process of the formation of Korea’s cultural policy. An extensive literature review was considered for the analysis. The fundamental cause of chaos in the culture and arts education policy lies on (1) the ambiguity of concept of culture that has undergone endless modification and expansion since 18th century, (2) compressed formation process of Korean cultural policy which reproduced Western cultural policy without going through thorough academic and social discussions. Finally, this article concludes with a discussion of possibilities for future research. First it suggests a comprehensive framework for culture and arts education policy research and emphasize the necessity of considering academic context of culture and arts, the issue of politics and power, as well as transnational context.

      • KCI등재

        통일 독일의 문화예술 정책이 통일 한국에 주는 시사점

        이미재 한독사회과학회 2015 한독사회과학논총 Vol.25 No.1

        분단 이후 한국은 북한 사회주의에 반해 자본주의 문화예술을 바탕으로 발전해 왔다. 분단국에서 벗어나지 못한 한국은 25년 전 분단을 뛰어 넘은 독일을 조사· 분석하여 모델로 삼아야 한다. 독일은 정치 외교적 화합과 주변국 도움으로 평화 통일을 이루었다. 한국은 평화통일을 이룩한 독일의 통일 경험을 토대로 해야 한 다는 점이 이 논문의 관점이다. 분단을 극복하는 길은 여러 가지 있겠으나, 동일문 화권의 두 체제는, 동질성회복을 위한 문화예술 교류가 중요하다. 한국은 분단극 복을 위한 통합과 협력의 대안모색이 필요하다. 이러한 대안으로 한국은 독일통일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던 문화예술분야 정책을 연구하여 한국 환경에 적합한 방안을 찾아야 한다. 한국은 정치외교, 안보, 경제발전이 중요한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문화예술을 통한 동질성회복을 통해 남북이 화합할 수 있는 융합정책을 찾 아야 한다. 이러한 사례가 개성공단 조성과 북한관광지 개방이며, 이 과정을 통해 북한 주민의 생활이 향상되는 결과가 나타날 것이다. 결국 남북한 격차를 좁히는 일에 남한의 주도적 지원으로, 디오니소스적 비전이 요구된다. 또한 유엔을 통해 보다 적극적인 인권문제에 접근해야 한다. 그리하여 북한 주민 스스로 일어서게 할 방안을 연구해야 한다. 또한 탈북 주민들이 평화통일에 기여할 수 있는 접근도 모색해야 한다. 끝으로 한국은 성숙한 외교정책으로 인접 국가들의 이해와 협조를 얻어내야 한다. 독일통일의 주역을 담당했던 헬무트 콜(Helmut Kohl) 전 총리는 구동독을 “젖과 꿀이 흐르는 땅으로 만들어 준다.”고 했다. 이 약속을 25년 동안 지속적 으로 실천한 결과, 현재 구동독은 문화예술의 눈부신 발전상이 나타나고 있다. 바 로 이러한 문화예술의 발전 경험을 통일한국을 위해서는 잘 활용할 수 있어야 한 다고 생각한다. 결국 통일독일의 경험이 주는 시사점은 냉전체제에서 벗어나 한반 도 통일을 추진하고 있는 한국에 참고할 가치가 있다고 사료된다. 25 years ago, Germany achieved peaceful unification with the help from their neighboring countries. Since the Germany has become a role model for both South and North Korea as precedents. The following thesis asserts that both Koreas should take Germany as a model to work towards their peaceful unification: thus in the present century of 21st, which we call it as an era of globalization, both Koreas should carefully and thoroughly scrutinize and learn from the experience of Germany. cultures and Arts in South Korea have evolved along with capitalism since the Korean War unlike the North. As two Koreas share same culture, enhancing exchanges between the two Koreas through restoring culture homogeneity can be one way of over coming the divided nations. Cooperative policies in the field of cultures and Arts may even be more effective as an alternative road towards peaceful unification. The joint venture Kaeseong Industrial Complex (KIC) and Mountain Kumgang tour project are one of good examples of such an alternative policy. This was a case in which South Korea took a lead in supporting to improve their standards of living and to open North Korean tourism. Moreover South Korea should look for ways to approach North Korea's human rights issues through the United Nations (UN): in this way North Koreans can come to realization or movement on their own. At the same time South Korea should seek ways to work towards peaceful unification through making good use of defected North Koreans. Lastly, South Korea should gain understanding and cooperation of such an alternative North Korean policy from its neighboring countries through more mature foreign policies. Helmut Kohl, a former prime minster of Germany, who took a major lead in German unification, once promised Eastern Germans blooming landscapes and a new Western-style life. Such promises have been kept for the past 25 years and is shown through the current development of cultures and Arts in former East Germany. Circumstances of South and North Korea may not be all that identical to that of East and West Germanys yet somethings can surely be studies and learned as precedents.

      • KCI등재

        공유 텍스트를 통한 한국어교육의 한 방법

        김동환 ( Dong Hoan Kim ) 국어교육학회 2008 國語敎育學硏究 Vol.31 No.-

        이 논의는 일차적으로는 한국어교육에서 문학텍스트를 어떻게 활용할 것인가를 논하는 맥락에 속하지만 넓게는 한국어교육의 방향성에 대한 설계이기도 하다. 문학텍스트를 활용한 한국어교육은 ``한국어생활 텍스트``, ``한국어문화 텍스트``, ``한국어예술 텍스트``라는 세 국면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라 본다. 그리고 이러한 국면들은 선택적인 것이 아니라 가능하면 단계성을 지니고 연계될 수 있도록 설계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본다. 이 논의에서 전제로 삼고 있는 것은 학습자들이 이미 경험했을 법한 텍스트와 유사한 자질이나 요소를 지닌 텍스트 즉 공유 텍스트를 찾는 일이다. 학습자들이 교육이나 독서를 통해 모국어로 경험했을 텍스트와 견줄 수 있는 한국어텍스트가 있다면 학습효과가 매우 수월하고 생산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하기 때문이다. 공유 텍스트를 ``한국어생활 텍스트``라는 맥락에서 접근해 가는 일은 그것을 말하기, 듣기, 쓰기, 읽기, 어휘, 문법 등의 기본적인 학습 활동의 자료로 삼는 것을 의미한다. 그 학습의 결과가 학습자의 한국어 생활을 이끌어줄 수 있으리라는 판단이다. ``한국어문화 텍스트``라는 맥락은 그것에 나타나는 한국어 사용원리와 같은 한국어문화를 학습하는 일과 그 자체를 향유대상으로 삼는 일의 두 가지를 아우르는 측면이다. ``한국어예술 텍스트``의 맥락은 한국어교육이 일상적 생활이나 문화 향유의 측면에서 나아가 한국어를 바탕으로 언어적 창조의 차원으로 나아가고자 하는 학습자들을 위한 배려도 필요하다는 맥락이다. 이 논의에서 주목하고자 한 것은 텍스트에 대한 비교문화적인 접근의 생산성과 효용성이다. 지역적, 민족문화적 변이양상을 보이는 광포설화와 같은 텍스트를 통해 한국어문화 텍스트에 접근해가도록 한다면 수월성과 효용성이 높은 교육방안이 마련될 수 있을 것이다. 낯선 문화에 대한 정서적인 거리감을 줄여줄 수 있다는 점은 한국어교육 설계 시 일차적으로 고려해야 할 문제가 아닌가 판단된다. 이에 대해서는 ``징검다리 문화``라는 방법적 개념을 통해 확장된 논의로 제시할 것이다. It will be desirable for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utilizing a Literary Text to be accomplished on the three phase, treating a text as a Korean Language Culture text, a Korean Language Arts text, a Korean Language Living text. These phases are not selective, those are to be designed for a grade system In this article, the text means a co-experienced text by foreigner and korean teaching matter. The co-experienced text is very useful and productive matter for Language Education. Because the co-experienced text involves the properties and factors that is regarded as a already experienced objects in mother tongue of learner. Dealing with the co-experienced text as a Korean Language Living text means that teacher utilize it as a material of basic learning works, speaking, hearing, writing, reading, grammar, vocabulary. Dealing with the co-experienced text as a Korean Language Culture text means that teacher utilize it, as a material of using principle in korean language, and as a material for teaching of Korean culture. Dealing with the co-experienced text as a Korean Language Arts text means that teacher utilize it as a teaching media of creating literary works in Korean language by foreigner. In this article, the usefulness and productivity of approach based on the comparative cultural theory is also very importantly considered. In that respects, the co-experienced text shall be studied to the widening dimensions. This article will be connected with the methodological concept, ``stepping stones culture`` for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 KCI등재

        문화예술지원기관의 역할 정립 방안 연구 : 합의제 기구 전환 15년, 한국문화예술위원회를 중심으로

        김진각 한국동북아학회 2019 한국동북아논총 Vol.24 No.2

        The emergence of an independent executive agency that is free from national interference in the course of the development of cultural arts policies is a necessary and sufficient condition for the achievement of cultural policy goals.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which is building up the cultural policy framework, includes the public relations of the state due to the nature of the organizational structure, and it is subject to certain restrictions in order to establish itself as an organization for supporting and nurturing fine arts. As a means to overcome this, the government established Arts Council Korea(ARKO) in 2015. ARKO is more than an arts support institution, and it also contributes to the cultural industry that contributes to the national economy in addition to providing the basis for tracing the development of fine arts through budget support for artists and arts organizations. It is also the reason why we have to cultivate the fine art that is the source of the cultural industry. The main condition for such a function is the autonomy and independence of ARKO, which is a consensus-based organization, and it is also stipulated in the role-sharing plan stipulated by the government and the arts authority. Despite the intention of establishing ARKO, the functions of the consensus-based organization system are limited without resolving the issues that ARKO holds. In order to guarantee the autonomy of the ARKO, it is urgent to conclude an operating agreement between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and ARKO, like the UK government and the UK arts council, which strictly apply the principle of "arm’s length". Second, in order to establish the status as an independent arts support institution, ARKO should be excluded from the 'Act on the Management of Public Institutions'. Third, In order to ensure the stable funding of the Arts and Culture Promotion Fund, the 'seed money' for the smooth implementation of the art support policy, the transfer of the lottery fund should be examined in detail. 문화예술정책의 전개과정에서 국가간섭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있는 독립적인 집행기구의 등장은 문화정책의 목표달성을 위한 필요충분조건이다. 문화정책의 얼개를 구축하고 있는 문화체육관광부는 조직구조의 특성상 국정홍보등을 포함하고 있어 순수예술의 지원과 육성을 위한 조직으로 자리매김 하는데 일정의 제약이 따른다. 이를 극복하기 위한 수단으로 정부는 한국문화예술위원회(예술위원회)를 설립한 바 있다. 예술위원회는 예술지원기관 이상의 의미를 지닌다. 예술가 및 예술단체에 대한 예산 지원을 통해 순수예술의 발전을 견인하는 근간을 제공하는 것에서 나아가 국가경제에 기여하는 문화산업에도 영향을 미친다. 문화산업의 원천이기도 한 기초예술을 육성하지 않을 수 없는 이유이기도 하다. 이런 기능이 가능하기 위한 으뜸 조건이 합의제 기구인 예술위원회의 자율성과 독립성으로, 이는 2005년 원장 중심이던 한국문화예술진흥원 체제에서 예술위 체제로바뀌면서 정부와 예술위가 명문화한 역할 분담 방안에도 규정되어 있다. 예술위원회의 설립 취지에도 불구하고 예술위가 안고 있는 현안을 해결하지 않고선 합의제 기구 체제의 기능에한계가 있다. 예술위원회의 자율성 보장을 위해서는 첫째, 예술지원 과정에서 정부 개입의 배제를 의미하는 ‘팔길이 원칙’을 엄격하게 적용하고 있는 영국 정부와 영국예술위원회처럼 문화체육관광부와 예술위 간의 운영 협정서체결이 시급하다. 둘째, 독립적 예술지원 기관으로서 위상 확립을 위해 예술위원회를 ‘공공기관의 운영에 관한 법률’에서 제외해야 한다. 셋째, 예술지원정책의 차질 없는 시행에 필요한 문화예술진흥기금의 안정적 재원 확보를위해 복권기금의 전입 등의 구체적 방안을 서둘러 마련해야 한다.

      • KCI등재

        문화예술교육 국제교류 정책의 현황 분석 및방향 모색: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의 정책 사업을 중심으로

        정종은 한국예술경영학회 2016 예술경영연구 Vol.0 No.39

        Since the enactment of ‘Arts & Culture Education Law’ and the establishment of ‘Korea Arts & Culture Education Service’ in 2005, Korea has achieved remarkable development of the arts & culture education in terms of both size and scope. On the starting line of a new decade, the international level of the arts and culture education has been emerging as a matter of deep interest due to the internal factor such as accumulated capacity in Korean arts & culture education sector, as well as external forces such as rapid growth of cultural ODA policy. Against the background, this article seeks to analyze a variety of policy projects implemented to facilitate international exchange of the arts and culture education by Korea Arts & Culture Service, and then to explore alternative directions of the policy. In doing so, the researcher divided a dozen policy projects into four categories(inbound project, outbound project, network/collaboration project, knowledge and information infrastructure project), and examined in detail each and every category to reveal its performances and limitations. As a result, this research was able to suggest five directions for improving international exchange policy of Korean arts and culture education: clear positioning and perception sharing, demand-based policy making, project operation through cooperative governance, system innovation for enhancing the effectiveness of policy projects, and process innovation for raising the efficiency of policy projects. Given the absence of the research on international exchange policy of the arts & culture education in Korea, a comprehensive as well as concrete analysis of the current conditions and alternative directions of the policy can furnish something of interest and entry point to Korean cultural policy researchers. 2005년 ‘문화예술교육지원법’의 제정과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의 설립 이후 십여년의 세월동안 우리나라 문화예술교육은 그 규모와 범위 면에서 괄목할만한 성장을이루어왔다. 새로운 십년을 향해 발을 내딛는 시점에서 ‘문화 ODA의 확대’와 같은외적 요인은 물론이고 ‘국내 문화예술교육 역량 강화’와 같은 내적 요인으로 인해문화예술교육의 국제적 층위에 관한 관심이 새롭게 부상하고 있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연구는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이 지금까지 진행해온 다양한국제교류 사업들을 대상으로 주요한 성과 및 한계를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이에 근거하여 문화예술교육 국제교류 정책의 새로운 방향을 모색하려는 목적을 갖는다. 이를 위해 십여 개에 달하는 정책 사업들을 그 특질에 따라 인바운드 사업, 아웃바운드 사업, 네트워크/협력 사업, 지식정보 구축 사업의 네 유형으로 구분하여 살펴보고, 각 유형별로 주요한 성과를 계승하는 동시에 현재까지 파악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정책방안을 구체적으로 탐색하였다. 연구 결과, 문화예술교육 국제교류사업이 지향해야할 새로운 정책방향으로 명확한 포지셔닝과 인식 공감, 수요기반의적실성 있는 정책수립, 협력적 거버넌스 중심 사업추진, 사업 효과성 제고를 위한시스템 혁신, 사업 효율성 제고를 위한 시스템 혁신이라는 과제를 도출하였다. 현재까지 문화예술교육 국제교류 정책을 직접적으로 다루는 연구가 부족했기 때문에, 해당 정책의 현황과 성과에 대한 포괄적인 분석 및 실질적인 전략목표와 세부과제를 도출하는 데 초점을 맞춘 본 연구를 통해 향후 문화예술교육 국제교류 정책에 관한 다양한 논의들이 촉발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후보

        한국의 아랍에미리트 문화공공외교 현황과 발전 방향 : 문화예술행사를 중심으로

        박건희 횃불트리니티신학대학원대학교 한국이슬람연구소 2023 Muslim - Christian Encounter Vol.16 No.2

        한류의 전 세계적인 인기로 한국 문화에 대한 관심이 많아지면서 외교 영역에서 한국 문화의 중요성은 날로 커지고 있다. 아랍 지역에서 도 한국 문화에 대한 호감을 보이면서 관련 문화예술행사들이 점차 증 가하고 있다. 그러나 오늘날 여러 이유들로 한국의 아랍권 공공외교에 대한 국내 연구가 부족하다. 본 논문은 아랍 지역의 주요 국가인 아랍에미리트에서 최근 진행 된 한국문화예술행사를 문화공공외교 측면에서 정리하고 분석하였다. 먼저 공공외교법이 제정된 2016년부터 2021년까지 문화예술행사를 통해 소개된 한국 문화를 현대문화와 전통문화 그리고 복합문화 3가지 로 분류하고 이후 각 문화 부문들의 확산 과정과 인기 요인에 대해 정 리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한국문화예술행사를 활용한 한국의 아랍에 미리트 문화공공외교에 대한 활성화 방안을 제언하였다. 활성화를 위한 매력적인 문화예술행사 콘텐츠를 만들기 위해 3가 지 발전 방안을 제시하였는데 첫째, 현지 문화 수요에 민감한 독창적 인 콘텐츠를 제작할 것. 둘째, 문화적 공통성을 기반으로 한 창의적인 융합 콘텐츠를 제작할 것. 마지막 셋째, 현지 문화코드를 고려한 콘텐 츠를 제작하는 것이다. As interest in Korean culture has risen due to the global popularity of Korean Wave, the role of Korean culture in diplomacy is also growing in significance. In Arab regions, the number of Korean cultural and artistic events has been gradually increasing as people have become more interested in Korean culture.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status of Korea’s cultural public diplomacy through the cases of cultural and artistic events in the United Arab Emirates and to suggest directions for future development. For this purpose, based on the Global Korean Wave Report, cultural and artistic events held between 2016 and 2021 were grouped into three categories of culture. In terms of cultural public diplomacy, this study proposes three approaches for the content development of cultural and artistic event. First is creating unique content sensitive to local cultural demands. Second is exploring creative fusion content based on cultural commonalities. Third is producing content considering local cultural codes.

      • KCI등재

        다문화사회에서의 ‘한국 전통음악’의 역할

        최성환(Sung-hwan Choi),이진아(Jin-a Lee) 중앙대학교 문화콘텐츠기술연구원 2012 다문화콘텐츠연구 Vol.0 No.12

        이 연구는 다문화사회에서 개방적인 정체성 확립을 위한 ‘한국 전통음악’의 역할에 대한 고찰이다. 우리는 다문화사회에 직면하여 과거 혈연중심의 단일민족주의와 서구문화에 대한 편향적 태도에서 벗어나 다원주의적 입장에서 세계를 인식하고, 다인종?다문화 세계에 살아갈 청소년 세대들을 위한 새로운 다문화 교육이 요청되고 있다. 음악을 포함한 문화예술 활동은 다양한 문화적 유산과 자원이 서로 평등하게 공존하고 소통할 수 있으며, 다양성이 인정되고 실현될 수 있는 연결고리로 작용할 수 있다. 레비스트로스(Levi-Strauss)는 “다양성이 없이는 인류가 진정으로 살아갈 수 없다”고 지적하였다. 우리는 다문화사회에서 여러 문화의 다양성을 보존해야 한다. 또한 민족 전통 속의 정체성과 잠재력을 북돋워 특수성을 유지하면서 타문화와 교류하여 새로운 문화를 창조해야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문화예술활동은 다문화 사회에서 타문화의 이해와 공존을 위한 가장 자연스럽고, 쉽게 융화될 수 있는 효과적인 활동이다. 그동안 한국 다문화교육에서는 문화예술활동에 대한 지원이나 구체적 방법론 보다는 다른 활동에 관심을 기울였다. 특히 음악교육부분에서는 우리문화의 정체성 확립을 연관된 한국 전통음악에 대한 내용은 부족하였다. 무조건적 동화를 지향하는 한국 전통음악교육이 아니라 한국의 다문화사회에서 사회의 통합, 소통을 위한 한국 전통음악을 포함한 음악교육과정이 필요하며, 교과서에 충분히 반영시키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과 다문화사회에서의 한국 전통음악의 역할에 대한 재인식이 요구된다. 또한 우리의 고유한 사회적 배경과 한계를 분명하게 인식하고 ‘한국 전통음악’의 정체성을 확립함과 동시에 시대흐름에 맞는 음악을 추구하는 문화교육’의 가능성이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이 글은 먼저 문화예술교육의 위상과 한국의 다문화교육의 한계점을 살펴본 다음, 문화의 본질과 관련된 음악교육의 필요성과 우리의 정체성과 관련된 ‘한국 전통음악’교육의 필요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미래의 전망과 더불어 한국 전통음악의 아시아음악과의 혼융을 통한 다문화사회에서의 음악의 역할과 한국 전통음악의 다문화교육콘텐츠의 방향성을 제시하려한다. 한국 전통음악은 다문화사회에서 다른 문화권의 음악과 함께 이해되고 발전시켜야 그 가치를 인정받게 될 것이다. 따라서 단순히 한국 전통음악을 소개하고 교육하는 것에서 끝나지 않고, 전통음악의 정체성을 지키면서 넓게는 아시아음악과의 혼융을 통해 새로운 문화예술교육의 방향이 모색되어야 한다. 또한 세계화라는 불가피한 변화 속에서 한국 전통음악을 활성화시킬 수 있는 ‘한국 전통음악(교육)의 콘텐츠화’ 작업이 절실하게 필요하다. This study is about the role of ‘Korean traditional music for the establishment of open identity at multi-cultural society. Facing on the multi-cultural society we need to be free from deflective attitude about Western culture and nationalism and recognize the world from the position of multiculturalism. So new multi-cultural education for the youth generation who will live in the multi-racial?multi-cultural world is required. Culture, art and music could naturally occupy as the tool of communication between various cultural heritage and resources co-exist without discrimination. Levi-Strauss claimed that human race cannot truly live without diversity. We should preserve diversity of various cultures in multi-cultural society. Also by encouraging potential and identity for their uniqueness within ethnic tradition, we should create a new culture interchanging of various culture. In the multi-cultural society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in the meantime did not have enough contents which are required for the establishment of open identity of our culture. Music education course for the communication and unity of society is in need and Korean traditional music in multi-culture is also essential. Additionally more detailed methods to reflect enough in the textbook and Korean traditional music’s directivity in multi-cultural society are necessary. This study attempts to look very closely at the status of culture, education of arts and the limitation of Korea’s multi-cultural education, Second, it proposes the necessity of the music education that’s related to essence of a culture and our identity in ‘Korean traditional music’. Lastly, the study suggests the role of music in multi-cultural society through combination of Korean traditional music and Asian music together with the brightness of future and directivity of multi-cultural education content of Korean traditional music. Korean traditional music will be worthy when it is understood and developed together with music of other culture in multi-cultural society. Furthermore by accepting education theory of multiculturalism the introduction of Korean traditional music and education must be considered so that the significance of culture art education where the coadaptation of traditional music of multi-cultural society can be done systematically with keeping the identity of traditional music. Making contents for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is also very important in Korean music market of the flow of globalization.

      • KCI등재

        재일코리안의 한국전통예술 공연 사례 분석 - 일본 관동지방 예술인의 공연을 중심으로 -

        이지선 한국국악학회 2017 한국음악연구 Vol.61 No.-

        이 글에서는 재일코리안에 의해 연행된 한국전통예술 공연의 사례를 분석하여 그 실태와 의미에 대해서 파악하고자 했다. (사)한국국악협회 일본 도쿄지부와 (재)재일코리아문화학술교육재단 주최로 개최된 공연은 ‘재일(在日)’이라는 이름으로 많은 예술인들이 모여 일본 사회에 한국전통예술을 소개하고, 재일코리안의 문화를 발양하고자 했다는 점에서 큰 의미를 갖는다. 다만 대규모의 공연은 지금까지 1~2회에 그치고 있고, 두 단체의 운영도 회원 수의 감소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일한국대사관 한국문화원의 정기공연 시리즈는 한국예술의 보급뿐 아니라 재일코리안 예술인들에게 공연의 기회를 제공하는 역할도 함께 하고 있어 주목되었다. 다만 좋은 취지에도 불구하고 출연의 기회는 소수에게만 국한된 것이고 2015년 이후로는 중단되어 연속성도 떨어지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일본의 사물놀이 동인들이 대거 참여하는 <새터데이 장구 휘버>는 일본인들이 한국악기를 직접 연주함으로써 한국음악을 널리 알리고 한일 간의 소통을 직접 실천하고 있는 좋은 사례로 평가된다. 재일한국인․조선인 예술인들은 한 무대에서 공연함으로써 예술을 통하여 민족의 화합을 기원하는 활동을 실천하고 있다. 또한 이들은 조국의 문화․예술을 일본 사회에 알리는 것을 자신들의 역할로 인식하고 있는데, 이는 재일코리안들이 자신의 예술 활동을 개인적 차원을 넘어 한국문화의 전파자로서 사명감을 갖고 계승해오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매년 일본의 각지에서는 일제강점기에 강제징용과 학살로 희생된 조선인들을 위해 다양한 추모행사와 공연이 열린다. 추도식과 추도비 건립은 일본의 양심적인 시민 또는 시민단체가 중심이 되어 실행하고 있는 경우가 적지 않고, 재일코리안 무용가 김순자는 일본 각지를 돌며 조선인 희생자를 위한 살풀이 봉납을 30년 이상 이어오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일본 사회를 위한 자선공연도 재일코리안 예술인들에 의해 연행되고 있다. 자선공연은 일본 사회와 공생의 기반을 다지는 중요한 활동이라고 할 수 있고, 나아가 예술을 통해 한일 간의 이해와 상호 협력 관계에도 공헌한다는 면에서도 매우 유의미하다고 할 수 있다. 재일코리안 예술인들은 한일 간의 가교로서 한국의 문화예술을 일본에 전파하는 데 중추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하지만 이들은 사회적, 경제적으로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고, 특히 한국과 일본의 관계 악화는 이들의 활동에 적지 않은 영향을 주고 있다. 재일코리안 예술인들이 이러한 어려운 상황에서도 한국예술의 메신저로서 일본에서 자부심을 갖고 당당하게 활동할 수 있도록 꾸준한 관심과 폭넓은 지원이 필요할 것이다. This paper analyzes the traditional Korean arts performances presented by the Korean residents in Japan to figure out the actual condition and its meaning. The performances organized by the Tokyo Branch of Korean Traditional Music Association and the Korea Foundation for Cultural and Academic Education in Japan are particularly meaningful in that they were intended to promote the Culture of the Korean residents in Japan. These two organizations, however, are found to be in operational difficulties due to the decrease in their members. The regular performance series by the Korean Cultural Center of the Korean Embassy in Japan played a role of giving the Korean artists in Japan performing opportunities as well as diffusing the Korean arts. Still, those staging opportunities were limited to a small number of people and have come to a halt since 2015. “Saturday Chango Fever”, in which a large number of Samulnori groups in Japan participates, is regarded as a good case of practice in communication between Korea and Japan since the Japanese perform with the Korean musical instruments. The Korean artists in Japan believe that they are to promote the Korean arts in Japanese communities, which presents that they have worked hard in their art activities with a sense of mission to diffuse the Korean culture beyond a personal level. Every year, there are various memorial events and performances in many places of Japan for the Koreans sacrificed in the compulsory manpower draft and genocide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A Korean-Japanese dancer, Kim Sun-ja have performed Salpuri dance for the Korean victims in such events over 30 years. The study finds that the Korean artists in Japan have also given benefit performances for the Japanese communities. This is so meaningful in that they also contribute to mutual understanding and cooperation between Korea and Japan by their arts performances. The Korean artists residing in Japan are playing a pivotal role in diffusing the Korean culture and art. However, they are suffering from social and financial difficulties and are under considerable influence by degeneration of Korea-Japan relationship. They need persistent attention and a wide range of support so that they can pride themselves on playing their roles as messengers of the Korean arts.

      • KCI등재

        한국민속예술축제, 과연 무형문화재의 산실인가?

        정수진(Jung Soo-Jin) 한국민속학회 2009 韓國民俗學 Vol.50 No.-

        이 글은 한국민속예술축제와 무형문화재의 관계성을 천착함으로써, 이 축제가 무형문화재의 산실 역할을 해왔다는 기왕의 통설을 성찰적으로 재고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우선, 이 축제의 전신인 전국민속예술경연대회가 그 목적, 참가 종목의 분류 방식, 심사 기준 등에서 무형문화재와 서로 표리관계를 이루도록 조정됨으로써, 무형문화재와 통합적으로 운영되어 왔음을 고찰했다. 그 결과, 경연대회의 문제점에 대한 일반적인 논의들이 경연대회의 심사기준인 ‘원형성’과 ‘예술성’ 간의 이율배반이라는 본원적인 문제를 간과할 수밖에 없었음을 지적했다. 이러한 논의의 한계는 무형문화재 제도 비판론에서도 여전히 지속되었던바, 정작 경연대회를 통해 무형문화재로 지정된 사례가 1988년 이래 현격하게 줄어들었던 정황에 대한 인식은 공유되지 않았다. 이 글은 바로 그러한 점에서 경연대회와 무형문화재의 관계성을 담론적 효과 차원에서 접근해야 할 문제라고 파악했다. 그리고 ‘무형문화재의 산실’이라는 修辭의 정치성을 드러내고, 경연대회를 지속한 결과 산출된 ‘민속예술’이라는 신화의 이데올로기를 해체하고자 했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revisit the notion that the ‘Korean Folk Art Festival’ plays the role of the delivery room of the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This festival is managed until now by which integrated to the institute of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with its goal, genre of participation, and the standard of screening. As its result, the discourse and critics about the festival failed to excavate that the essential problem of the festival, namely the antinomy of the screening standards, ‘original value’ and ‘artistic value’. And they failed further to recognize that the cases designated to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through the festival are indeed few since 1988. Based upon this understanding, this paper has proposed to consider the relationship of the festival and the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as not real but the discourse and rhetoric level. And I have tried to identified the myth of ‘folk art’ and its political effect constructed as the result that the festival was continued with the rhetoric as the festival plays the role of the delivery room of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 KCI등재

        문화예술교육 교육목표의 교육학적 분석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의 문화예술교육 교육표준 분석을 중심으로

        이참슬,정영근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9 교육문화연구 Vol.25 No.5

        Arts and Cultural Education should include pedagogical contents to make pupils grow as a whole person. However, Arts and Cultural Education, so far, has not been able to affect students' spiritual development and it has not developed into authentic education, because the current program of the Arts and Cultural Education is interest-oriented. Arts and Cultural Education should move away from activity-oriented curriculum and be analyzed pedagogically. This study examines the Arts and Cultural Education program's educational objectives, with the educational standards of the Korea Arts & Culture Education Service being the subject of this study. Also, there are some essential directing points that is emphasized in 4 educational dimensions: creativity, critical thinking, aesthetic-ethical judgement, individuality development. Therefore, this study has set them as a standard of analysis, and tried a pedagogical analysis.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s that the educational standards of Arts and Culture Education is still on the level of details, and not on the integrative level that includes the whole-education. This phenomenon shows that to set an integrative standard of education, it is essential to have a pedagogical point of view. In conclusion, Arts and Culture Education should depart from mere Arts education, and be analyzed by a pedagogical point of view, in order to be further developed. 진정한 의미의 문화예술교육은 전인적 발달을 위하여 교육학적 내용을 담고 있어야 한다. 하지만 지금까지의 한국의문화예술교육은 학생의 정신적 발달에 적극적 영향을 주거나, 교육 본연의 의미를 구현하고 있다고 보기 어렵다. 이는 현재의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이 흥미와 참여 위주의 방식으로 제시되었기 때문으로 앞으로 문화예술교육은단순 참여와 활동 위주의 교육에서 벗어나야 할 뿐만 아니라, 그 내용의 구성 및 운영 또한 교육학적으로 적합한지검토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여 현행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의 교육목표를 교육학적으로 분석·검토하려는시도이다. 이를 위하여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의 <문화예술교육 교육표준>에서 제시된 교육목표들을 연구대상으로선정하였다. 또한 창의성, 비판 능력, 심미·도덕적 판단력 및 개별성 형성이라는 네 가지 교육학적 지향점들을 교육실천에서 필수적으로 추구되어야 할 목표라고 보고 이를 연구 분석의 기준으로 삼아 교육학적 분석을 시도하였다. 연구를 진행한 결과, 문화예술교육의 교육목표 체계가 교육의 의미 전체를 포괄하는 통합적 기준을 갖지는 못했음을알 수 있었다. 이는 문화예술교육에서 통합적 교육기준을 세우기 위해 교육학적 관점의 분석과 논의가 필수적임을알려준다. 따라서 향후 문화예술교육 분야가 한 단계 더 발전하기 위해 참여 및 활동 중심의 예술교육을 벗어나교육학적 관점의 전인적·심미적 예술교육으로의 전환이 검토될 필요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