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기 한국 개신교 영성 전통을 토대로 한 한국기독교장로회의 영성 갱신 연구

        진형섭(Hyung-Sub Jin)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2021 신학사상 Vol.- No.195

        이 논문은 한국기독교장로회의 영성이 코로나19 이후 어떤 방향으로 나아가야 하는가를 탐구한다. 특별히 한국 개신교 형성에 지대한 영향을 주었던 일제 강점기하 초기 원산과 평양의 대부흥 운동과 길선주, 이용도, 김재준의 영성 형성에 관심을 두고자 한다. 이들은 대부흥 운동 이후 초기 한국 개신교의 영성이 형성되는 과정에서 길선주는 초월적이고 내세 지향적 방향으로 나아갔다. 그러나 김재준과 이용도는 이러한 흐름을 거부하고 선교사들의 근본주의적 신앙과 단절하고 사회 참여적 영성과 신비주의적 수도원 영성에 큰 관심을 보였다. 따라서 초기 한국 개신교 영성에서 길선주, 이용도, 김재준의 영향력을 배제할 수 없다. 오늘 한국기독교장로회를 포함한 한국 개신교는 이 세 인물이 보여준 영성의 흐름을 통합하면서 좀 더 건강하고 해방과 경건이 하나 된 영성을 보여주지 못하고 있다. 한국기독교장로회는 사회와 정치적 콘텍스트를 고려한 참여적 영성과 하나님과 깊은 내면적 만남과 삶의 전환을 강조하는 통합적 영성을 실천하지 못하는 아쉬움을 보인다. 이 논문은 이러한 상황을 극복하고, 코로나19 이후 시대 영성의 발전 방향을 제시하고자 초대 교회 사막 교부들이 제시하고 실천했던 하나님의 말씀을 깊이 내재화하는 방식을 적극적으로 수용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사실 수도원 영성은 길선주의 영성을 극복하고자 했던 김재준과 이용도에게 큰 영향을 주었다. 사막 교부들의 영성 훈련을 적극적으로 사용하여 코로나19 이후 한국기독교장로회가 ‘해방과 경건의 통전’을 이루는 영성을 추구할 수 있으리라 본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an alternative for the renewal of the PROK’s spirituality following the COVID-19 pandemic. In particular, this paper attempts to analyze the spirituality of three Korean pastors, Sunju Gil, Youngdo Lee, Jaejun Kim, who had a great influence on the spiritual formation of early Korean Protestants in the period of Japanese occupation. The revival movement, which took place in Wonsan in 1903, grew into the Pyongyang revival movement with the leadership of Sunju Gil in 1907. The early Korean Protestants were deeply influenced by these revival movements. However, the spirituality of Sunju Gil and his followers were gradually concerned with transcendental and afterlife-oriented piety. This spiritual trend was criticized by Jaejun Kim and Youngdo Lee. Jaeju Kim broke with the Christian fundamentalism of foreign missionaries and took an interest in socio-political spirituality. Youngdo Lee moved to a new monastic spirituality for Korean Protestants. However, today’s Korean Protestants do not integrate the spirituality of these three figures. The PROK has also failed to integrate spirituality based on sociopolitical concerns with the devotional movement that seeks deep encounters with God and the conversion of life. This study argues that the various methods of internalizing the biblical words of God, which were practiced by the Desert Fathers in the early Christianity, should be accepted in the lives of Korean Christians. In doing so, the PROK will be able to pursue the unity of liberation and piety after COVID-19.

      • KCI등재

        신비주의적 영성의 개신교적 적용에 관한 연구 - 아빌라의 테레사의 기도 이해를 중심으로

        이정순 한국실천신학회 2021 신학과 실천 Vol.- No.74

        기도는 모든 기독교인들에게는 가장 중요한 주제이다. 한국 개신교의 경우 그 어 느 나라보다 기도를 많이 하고 있는 상황에서 기도에 대한 신학적인 성찰은 상대적으 로 빈약한 것이 현실이다. 기독교의 맥락에서 참된 기도란 어떻게 이해되어야 하는 가? 기도에 대한 신학적인 이해는 무엇인가? 이런 물음과 함께 본 논문의 연구 목적 은 한국 기독교 영성의 핵심을 이루는 기도에 대해 신학적으로 성찰하는 데 있다. 이 를 위해 16세기 스페인 영성학파 중 한 사람인 아빌라의 테레사(Teresa of Avila, 1515-1582)의 기도이해를 중심으로 논의를 전개한다. 테레사는 그리스도교 영성의 한 획을 그은 인물로서 신비적인 내적 체험과 기도에 대한 깊은 이해를 통해, 당시의 그 리스도교를 새로운 방향으로 개혁한 인물로 평가되고 있다. 테레사의 기도이해는 다 양한 기독교 전통과의 대화와 비교 연구라는 맥락에서 한국 개신교의 기도이해와 영 성의 발전에 좋은 참고가 되리라고 생각한다. 그의 강렬한 신비체험과 진지한 성찰 및 개혁적인 삶은 한국 개신교회에 큰 도전을 준다. 특히 그의 신비주의적 영성은 한국 개신교회의 통성기도 중심의 영성을 보완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본 논문의 전반부에서는 테레사의 대표저작 중 하나인 『생애』 11장에서 22장까지 에 나타나 있는 그의 기도이해에 대해 살펴본다. 이 책은 테레사가 하나님께 바친 기 도와 그 와중에 겪은 여러 신비체험을 진솔하게 기록한 일종의 영적 고백록이다. 테 레사는 기도 도중 체험한 신비체험을 직접 표현하기가 불가능하였으므로 ‘내면의 정 원’이라는 비유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테레사는 영혼의 정원에 물을 주는 과정을 물, 정원, 관개(irrigation)와 같은 비유를 사용하여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 즉 테레사는 물 을 줄 수 있는 방법을 네 가지로 설명하는 데, 이것 바로 기도의 네 가지 단계 또는 등급을 의미한다. 이 기도의 네 단계를 통해 점차 능동적인 기도에서 수동적인 기도 로 발전하며, 하나님과의 합일을 이루어 기쁨을 누리게 된다. 본 논문의 후반부에서는 아빌라의 테레사가 제시한 신비주의적 기도의 영성을 한 국 개신교의 맥락에 적용하는 문제를 다룬다. 한국 개신교를 대표하는 영성은 통성기 도의 영성이라고 말할 수 있는데, 개인의 회개와 청원 및 기복적인 간구로 이루어진 통성기도의 형성을 테레사의 신비주의적 기도의 영성이 어떻게 보완할 수 있는지에 대해 논한다. 결론에서는 본 문문의 논의를 요약하고 논문의 의의와 한계 및 연구 과 제를 제시한다. Prayer is the most important theme for all Christians. Theological reflections are rare in the context of Korean Church where so many Christians are praying very hard. How do we understand true prayer in a Christian perspective? What is a theological understanding of pray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ake a theological reflection on prayer by focusing on Teresa of Avila’s understanding of prayer. Teresa of Avila(1515-1582) was the person who reformed Catholic Church in a new direction with the power of her mystical experience and new understanding of prayer. Her mystical way of prayer can be a good reference for the improvement of an understanding of prayer and the development of spirituality of the Korean Church in the context of comparative study among various Christian traditions. Her mystical experience, careful reflection on prayer, and reformative life challenge the Korean Church in many ways. In particular, her mystical spirituality can hel the Korean Church improve and complement its spirituality of loud vocal prayer. In this article, the author first explores Teresa’s understanding of prayer in Life, one of her important works. This book is a spiritual confession that she wrote about her mystical experiences of God. She uses the word ‘inner garden’ as an allegory to explain her mystical experiences because it is impossible to describe them in plain language. She explains about prayer in more details by using the words such as ways of watering, garden, and irrigation. She explains four ways of watering the garden, which means four degrees of prayer. The person who prays can progress from active prayer to passive prayer in these four degrees of prayer. The person can ultimately rejoice in an union with God. In the last part of this article, the author tries to apply Teresa’s spirituality of mystical prayer to the context of the Korean Church. It can be said that a spiritualty of ‘tongsungkido’(loud vocal prayer) is a typical spirituality of the Korean Church. However, this type of spiritualty mainly focuses on personal repentance, petition, and seeking of material wealth and blessings. So, the author explains how to reform and complement this spiritualty from a perspective of Teresa’s mystical spiritualty. In conclusion, the author summarizes this study and suggests the themes for further studies.

      • KCI등재

        이세종의 영성지도와 한국교회 목회 현장 적용에 관한 연구

        이강학 한국실천신학회 2016 신학과 실천 Vol.0 No.49

        기독교 영성지도는 전통적으로 기독교 영성사에 이름을 남긴 영성지도자의 경험과 활동의 터 위에서 발전되어 왔다. 한국 기독교의 영성지도가 지닌 특징들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한국 기독교 영성가들을 탐구해볼 필요가 있다. 이세종(1877-1942)은 한국 기독교 영성사에 있어서 주목할만한 영성지도자들 중 한 명이다. 이 논문의 목적은 한국 개신교 영성의 대표적인 인물들 중 한 명인 이세종의 영성지도의 특징을 살펴보는 것이다. 물론 이세종은 현대적인 영성지도 사역에 대해 알지 못했다. 그러나 그가 제자들의 영적인 성장을 위해 어떤 방식으로 도움을 주었는가를 영성지도라는 맥락에서 살펴보려고 한다. 이세종의 영성을 탐구한 논문들은 있지만 이세종의 영성지도에 관한 논문은 아직 전무하다. 이 논문에서는 첫째, 전통적 영성지도 및 영성지도자가 지닌 특징들을 살펴보았다. 둘째, 이세종의 영성의 특징들을 정리하였다. “이세종선생기념사업회”는 이세종을 “한국 기독교 토착신앙 영성의 뿌리”로 소개하고 있는데, 이 소개문에 담긴 네 가지 개념을 바탕으로 이세종의 영성을 탐구했다: 영성가, 기독교 영성, 토착화 영성, 그리고 한국 기독교 영성의 뿌리의 역할 등. 셋째, 이세종의 영성지도의 특징을 대표적인 두 제자 이현필 (1913-1964)과 손임순 (1893-1963)의 경우를 예로 들어 살펴보았다. 아울러 이세종의 영성지도와 현대 영성지도를 비교해보았다. 마지막으로 이세종의 영성지도가 한국 교회의 목회에 주는 통찰을 찾아보았다. 이세종의 영성지도는 스승의 권위를 강조하는 전통적 스승-제자 모델의 틀 안에 있으므로, 은사적이고 비제도적인 것을 강조하는 현대 영성지도와는 다르다. 또 이세종의 영성지도에서 추구했던 순결과 가난의 방식을 현대 기독교인들에게 적용하는 것은 무리가 따른다. 그러나 이세종은 스스로 권위를 내세운 것은 아니며, 이세종의 영성지도는 피지도자의 다양성을 보여주고 있으므로 현대 영성지도에 좋은 통찰을 던져준다. Christian spiritual direction has been developed on the ground of the experiences and practices of renowned spiritual masters in the history of Christian spirituality. In order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Christian spiritual direction, we need to explore Korean Christian mystics. Lee Sejong(1877-1942) is one of the great spiritual masters in the history of Korean Christian spirituality. This paper purposes to explore the characteristics of Lee Sejong’s spiritual direction, who is one of the representatives in Korean Protestant spirituality. Lee Sejong certainly did not know about spiritual direction. However, it is possible to explore his guidance for his disciples from the perspective of spiritual direction. There have been several papers which explored Lee Sejong’s spirituality but none on Lee Sejong’s spiritual direction. In this paper, first, I describe the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spiritual direction and spiritual directors. Second, I summarize the salient points of Lee Sejong’s spirituality. The Society of Lee Sejong’s Legacy introduces Lee Sejong as “a root of Korean Indigenous Christian Faith.” Based on the four terms in this introduction, I explain Lee Sejong’s spirituality: mystic, Christian spirituality, indigenous spirituality, and the role of a root. Third, I explore the characteristics of Lee Sejong’s spiritual direction by looking into his relationship with his two disciples, Lee Hyunpil (1913-1964) and Sohn Imsoon (1893-1963). I also compare Lee Sejong’s spiritual direction and contemporary spiritual direction. In conclusion, I provide some insights of Lee Sejong’s spiritual direction for the ministry in Korean churches. His spiritual direction which was done in the traditional model of master-disciple which showed the authority of the master is different from contemporary spiritual direction which emphasizes gifted-ness and non-systematic. His ways of spiritual direction which led his disciples to pursue extreme purity and poverty cannot be easily applied for contemporary Christians. However, the facts that Lee Sejong himself did not press his authority and his directees showed diversity provide insights for contemporary Korean spiritual direction.

      • KCI등재

        영적 욕구와 영성 형성

        윤덕규(Yun Duck-Kyu)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2012 신학사상 Vol.0 No.158

        이 연구 논문은 현대 한국인들과 한국 개신교인들의 영적/초월적 욕구에 대한 진단으로부터 시작하여 한국 개신교회의 영성형성에 초점을 맞추어 다룬다. 한국 사회의 급격한 변화에 의해 야기되는 자기초월적 욕구들과 인간의 근원적 영적 욕구들을 고려할 때, 많은 한국인들은 그들의 마음에 여전히 영적/초월적 욕구들을 갖고 있다. 영적 욕구의 시각에서, 한국 개신교회의 침체는 이러한 영적 욕구들에 대처하는 무능력에 있다. 한국 개신교인들과 한국인들의 영적/초월적 욕구들에 응답하기 위하여 필자는 한국 개신교 영성형성을 위한 두 가지 측면을 제시한다. 첫째는 개신교신앙의 영성을 심화시키는 것이다. 개신교 신앙의 심화를 위해 필자는 성서의 묵상과 연구, 영적 고전의 독서와 실천적 사용, 침묵기도전통의 회복을 제시한다. 둘째로, 기독교 텍스트와 우리의 삶의 경험을 연결함을 통해 영적 삶과 일상적/사회적 삶을 통합하는 것이다. 이러한 영성형성의 궁극적 목표는 그리스도 안에서 우리 삶의 아름다운 과실을 맺는 것이 되어야 한다. This article begins from the diagnosis of spiritual/transcendent desires of the contemporary Korean people and the Korean Protestants and focuses upon the spiritual formation of the Korean Protestant Church. Considering the self-transcendent desires caused by the stressful change of the Korean society and the human fundamental spiritual desires, many contemporary Koreans still have spiritual/transcendent desires in their hearts. From the perspective of spiritual desires, the decline of the Korean Protestant Church lies at its incapacity to cope with these spiritual desires. In order to respond to the transcendent/spiritual desires of the Korean Protestants and Koreans, author makes two suggestions for the spiritual formation of the Korean Protestant Church. First, it is to deepen the spirituality of the Korean Protestant faith. For the deepening of the Protestant faith author suggests the meditation and study of the Bible, the reading and practice of spiritual classics, and the retrieval of silent prayer tradition. Second, it is to integrate the spiritual life and daily/social life by connecting the Christian texts and the experience of our lives. The ultimate goal of the Protestant spiritual formation should be coming to beautiful fruition of our lives in Christ.

      • KCI등재

        1980년대 한국 개신교 영성연구 분석

        권진구 한국기독교교육학회 2019 기독교교육논총 Vol.0 No.60

        Before the 1980s, Korean scholars and church ministers had not often used the term 'spirituality' for their studies on the whole range of spiritual life and discipline of Korean Christians. Instead, they used terms like devotion, holiness, Christian life, mysticism and so on. During 1980s, Korean scholars begun to use 'spirituality' as an umbrella term to understand and explain not only about Christian life, movement, discipline, and practices, but also about Christian culture and thoughts, 1980s is also a pivotal period for the Korean scholars and church ministers to begin wide and serious studies on spirituality. Many scholars and church ministers had been involved in the study of spirituality in various fields like Christian education, pastoral care and counseling, church administration, Korean feminist theology, and on. The three characteristics of the 1980s protestant studies on spirituality are using 'spirituality' as a key term for theological studies, developing the interdisciplinary dimension of spirituality, and understanding Korean Spirituality through Korean history and the history of the Korean Church. 1980년대 이전 개신교 영성연구에서는 영성을 중요한 용어로 인식하거나 그 정의를 다루는 글을 발견하기 쉽지 않다. 80년대 이전에는 주로 예배, 설교, 기도, 금식, 경건, 기독교적 삶, 성령, 신비주의, 수도원 운동 등 영성과 관련된 개별 주제에 관한 연구가 이루어졌다. 1980년대는 영성을 연구의 중심 용어로 사용하는 글들이 나타나는 시기이고 영성에 관해 정의하고 그 역사를 탐구하기 시작하는 때이다. 80년대는 영성에 관해 연구하는 학자와 목회자의 수가 늘어나고 논문, 서적, 기고문 등이 이전 시대와 비교해 증가한다. 본 논문은 1980년대 생산된 영성에 관한 책과 논문 및 다양한 글을 소개하고 연구해 그 특징과 의의를 논한다. 본 연구가 주장하는 1980년대 한국 개신교 영성연구의 특징은 영성에 대한 정의, 연구 주제와 범위의 확장, 그리고 한국적 영성에 관한 탐구이다.

      • KCI등재

        The Contemplative Desires as Constitutive for Spiritual Discernment

        Joohyung Lee(이주형) 연세대학교 신과대학(연합신학대학원) 2016 신학논단 Vol.86 No.-

        본 소고는 욕망과 영적 분별이 기독교 영성에서 핵심적 구성 요소로 간주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둘 사이의 내재적 연관성과 긴밀성이 진지하게 연구되지 않았다는 인식으로부터 출발한다. 진정한 영적 분별을 위해서는 관상적 욕망에 대한 이해와 활용이 기독교 영성에서 필수적이라는 주장을 펼치고 있다. 기독교 영성에 있어 욕망은 인간 본성에 있어 근본적인 구성요소로서 여겨진다. 인간은 하나님의 형상으로 지음 받았다는 성경적 명제를 근거로, 인간의 욕망에는 하나님의 욕망이 내재적으로 투영되어 있으며, 진정한 욕망을 찾아가는 영적인 수련은 곧 하나님 욕망을 인간의 욕망 안에서 만나고, 구현하는 여정으로 여겨진다. 참된 욕망을 향한 영적인 여정은 결국 자아의 정체성을 찾아가는 수련과정이며, 이를 통해 참 자아, 즉 하나님의 형상을 회복하는 영적 경험에 이르기 때문이다. 이 과정에 영적 분별은 필수적으로 동반된다. 전인적 통합과 일치를 지향하는 영적 분별은 영혼을 향한 하나님의 뜻을 분별하기 위해서 영적-정서적 영역의 경험을 성찰하게 되는데, 이때 욕망이 가장 중요한 분별의 대상이 된다. 그러나, 한국 개신교는 욕망에 대한 세속적, 교리적, 사회심리학적 오해와 편견으로 인해 영적 분별의 대상으로 삼는 데 실패해왔음을 전제하고 있다. 닛사의 그레고리의 아가서 강해에 등장하는 무념적 영성은 욕망에 대한 심도 깊은 관점을 제공하고, 이는 곧 영적 분별을 심화시키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할 수 있음을 증명하고 있다. 그레고리는 인간 영혼이 하나님과의 연합에 참여함에 있어 관상적 욕망이 주요한 도구와 통로가 됨을 밝히고 있다. 인간에게 있어 하나님과의 만남은 이성적 영역을 넘어서는 경험이기 때문에, 성령님의 이끄심에 반응하는 관상적 차원의 욕망에 대한 이해가 필수적이라고 확신했기 때문이다. 이를 토대로, 영적 분별과 관상적 욕망 사이의 밀접한 관계를 밝히고 있다. 성령님의 인도를 통해 하나님의 욕망은 인간의 욕망 안에서 경험되기 때문에, 욕망에 대한 관상적 이해는 영적 분별과정에 필수적인 구성요소로 소개하고 있다. 그런 의미에서 파괴적 방향으로 표현될 수 있는 인간의 욕망을 순화하고 정화시키는 과정은 영적 분별에 있어서 주요한 과제이다. 이를 통해 외부적 요소에 쉽게 노출되거나 사회적 기대치에 영향을 받아 욕망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거나, 어긋난 욕망으로 부추김을 당할 수 있는 한국 개신교 영성의 변화와 성장에 기여할 수 있음을 증명하고 있다. 결론적으로 인간의 욕망에 대한 관상적 이해와 수련은 전인적 통합과 일치를 지향하는 기독교 영적 분별을 위해 필수적인 구성요소임을 주장한다. 본 소고는 욕망과 영적 분별이 기독교 영성에서 핵심적 구성 요소로 간주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둘 사이의 내재적 연관성과 긴밀성이 진지하게 연구되지 않았다는 인식으로부터 출발한다. 진정한 영적 분별을 위해서는 관상적 욕망에 대한 이해와 활용이 기독교 영성에서 필수적이라는 주장을 펼치고 있다. 기독교 영성에 있어 욕망은 인간 본성에 있어 근본적인 구성요소로서 여겨진다. 인간은 하나님의 형상으로 지음 받았다는 성경적 명제를 근거로, 인간의 욕망에는 하나님의 욕망이 내재적으로 투영되어 있으며, 진정한 욕망을 찾아가는 영적인 수련은 곧 하나님 욕망을 인간의 욕망 안에서 만나고, 구현하는 여정으로 여겨진다. 참된 욕망을 향한 영적인 여정은 결국 자아의 정체성을 찾아가는 수련과정이며, 이를 통해 참 자아, 즉 하나님의 형상을 회복하는 영적 경험에 이르기 때문이다. 이 과정에 영적 분별은 필수적으로 동반된다. 전인적 통합과 일치를 지향하는 영적 분별은 영혼을 향한 하나님의 뜻을 분별하기 위해서 영적-정서적 영역의 경험을 성찰하게 되는데, 이때 욕망이 가장 중요한 분별의 대상이 된다. 그러나, 한국 개신교는 욕망에 대한 세속적, 교리적, 사회심리학적 오해와 편견으로 인해 영적 분별의 대상으로 삼는 데 실패해왔음을 전제하고 있다. 닛사의 그레고리의 아가서 강해에 등장하는 무념적 영성은 욕망에 대한 심도 깊은 관점을 제공하고, 이는 곧 영적 분별을 심화시키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할 수 있음을 증명하고 있다. 그레고리는 인간 영혼이 하나님과의 연합에 참여함에 있어 관상적 욕망이 주요한 도구와 통로가 됨을 밝히고 있다. 인간에게 있어 하나님과의 만남은 이성적 영역을 넘어서는 경험이기 때문에, 성령님의 이끄심에 반응하는 관상적 차원의 욕망에 대한 이해가 필수적이라고 확신했기 때문이다. 이를 토대로, 영적 분별과 관상적 욕망 사이의 밀접한 관계를 밝히고 있다. 성령님의 인도를 통해 하나님의 욕망은 인간의 욕망 안에서 경험되기 때문에, 욕망에 대한 관상적 이해는 영적 분별과정에 필수적인 구성요소로 소개하고 있다. 그런 의미에서 파괴적 방향으로 표현될 수 있는 인간의 욕망을 순화하고 정화시키는 과정은 영적 분별에 있어서 주요한 과제이다. 이를 통해 외부적 요소에 쉽게 노출되거나 사회적 기대치에 영향을 받아 욕망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거나, 어긋난 욕망으로 부추김을 당할 수 있는 한국 개신교 영성의 변화와 성장에 기여할 수 있음을 증명하고 있다. 결론적으로 인간의 욕망에 대한 관상적 이해와 수련은 전인적 통합과 일치를 지향하는 기독교 영적 분별을 위해 필수적인 구성요소임을 주장한다.

      • KCI등재

        세계화와 영적 혁명 - 한국 개신교 내의 새로운 오순절 성령운동을 중심으로 -

        김성건 ( Sung Gun Kim ) 한국사회역사학회 2006 담론 201 Vol.9 No.1

        최근 문화적 세계화의 영향아래 인간의 삶 속에 내재하는 신성(神性)의 경험으로서 ``영성``(靈性)이 왕성하게 성장하고 있다. ``종교``로부터 ``영성``으로의 전환은 선진 산업사회와 연관되어 나타나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이런 맥락에서, 이 글은 ``영적 혁명 논제`` - 삶의 영성이 제도화된 전통적 종교 내부에서 성장세에 있다 - 를 지지한다. 이것을 입증하기 위해서 이 글은 현대 한국 사회에서 번영(성공)의 복음을 갖고 대중에게 다가서고 있는 ``오순절성령운동``(펜테코스탈리즘) 특히 ``새로운 오순절 성령운동``(네오 펜테코스탈리즘)에 대해서 초점을 모아 논의를 전개하였다. 한국의 오순절 성령운동적 개신교도들은 처음과 달리 현재 전체적으로 점점 중산층의 지향을 나타내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원초적, 경험적 영성으로서 새로운 오순절 성령운동적 영성은 ``객관적 삶``이 아닌 ``주관적 삶``의 요구에 응한다. 한국 개신교 내의 새로운 성령운동에서 잘 예시되어 나타난다고 볼 수 있는 현대 문화의 대규모적인 ``주관적 전환``은 최근의 경제 발전과 네트웍 사회의 출현에 의해 초래된 것으로서, 오늘날 우리들 모두가 일정 정도 경험하고 있는 주요한 문화적 전환이라 말할 수 있다. 이런 의미에서, 포스트모던 시대의 ``문화적 세계화``와 일종의 문화적 사실로서 ``주관적 전환`` 사이의 괄목할만한 상호 관련이 한국적 맥락, 특히 새로운 오순절적/카리스마적 성령운동 같은 종교적 현상 속에서 잘 관찰될 수 있다. With the impact of cultural globalization, ``spirituality`` as experience of the divine as immanent in life (theistic spiritualities of life) is thriving. The shift from ``religion`` to ``spirituality`` would appear to be associated with advanced industrial society. In this context, this paper supports the thesis of a spiritual revolution: the fact that spiritualities of life are a growing force within the sphere of institutionalized, traditional religion. In order to verify this, this paper deals with ``Pentecostalism``, especially ``neo-Pentecostalism`` with a gospel of prosperity in Korea. It is a fact that Pentecostal Protestants in Korea as a whole show a growing middle-class orientation. Neo-Pentecostal Christianity as primal, experiential spirituality caters for not ``life as`` but ``life itself`` or ``subjective life.`` Thus, the massive ``subjective turn`` of modern culture caused by both economic development and the rise of the network society is a major cultural shift of which we all have some experience. In this sense, the remarkable interface between cultural globalization of the post-modern era and the ``subjective turn`` as a cultural fact could be observed in a Korean context, especially in the religious phenomena such as the growth of neo-Pentecostal/Charismatic movement.

      • KCI등재

        Christian Discernment through the Neuroscientific Lens

        Joohyung Lee 한국기독교학회 2016 한국기독교신학논총 Vol.101 No.-

        본 소고는 기독교 영성 전통인 영적 분별이 전인적으로 함양되기 위해서는 인간 정서의 중심성을 이해해야 한다는 주장을 펼치고 있다. 인간 정신에 관한 뇌/신경과학 연구들은 한국교회 내에 팽배한 이분법적 세계관과 인간이해를 극복해야 함을 암시할 뿐 아니라, 영적 분별의 전인성을 고양시킬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감정이 인간 정신을 자극하고, 실행하고 생성하는데 구성적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는 뇌과학적 사실을 바탕으로, ‘정서’는 인지작용과 감성작용의 상호 협력과 의존적 작용임을 주장한다. 이는 에드워즈가 제시한 종교 감정과 기독교 분별이 동시대의 한국교회에도 그 적절성과 타당성을 확인해주는 결정적 근거가 된다. 이를 통해 필자는 영적 감정/정서는 하나님의 영감의 매체로서 인식되어야 하며, 인간 정서와 하나님의 초월성이 상호 의존적이며 호혜적인 역동성을 보일 때, 기독교 영성 분별은 건강한 열매를 기대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This research addresses the centrality of affection in authentic spiritual discernment in the Christian tradition. The interdisciplinary research describes how an ground-breaking knowledge of the neuroscience, will play a pivotal role, both implicitly and explicitly, in overcoming the dominant dualistic view of human nature, as well as in promoting spiritual discernment. The research elucidates that all human cognitive activities include emotionality, and emotions play a vital role in initiating cognitive procedures. It equips this research to examine Jonathan Edwards’ ideas concerning the religious affections and their implications for affective discernment. It claims that the Christian discernment should genuinely be embodied in locus where affection and divine characteristics are interdependent and reciprocal for cultivating spiritual formation in Korean protestant churches.

      • KCI등재

        The Communal Discernment for Pastoral Leadership in Korean Church

        이주형 ( Joohyung Lee ) 한국대학선교학회 2017 대학과 선교 Vol.33 No.-

        본 소고는 한국교회의 목회 리더십의 부정적 형태를 형식주의적 권위주의로 설명하면서, 신앙공동체 내부의 갈등과 무기력의 원인임과 동시에 영적 리더십의 본질을 회복해야 할 대상으로 보았다. 한국개신교의 가장 영향력있는 신학자인 칼빈의 교회론과 최신 리더십 이론가들의 일관되며 공통된 통찰력을 통해, 교회는 역설적 공동체로서 그 본질에 부합하는 공동체 리더십을 지향해야 함을 주장한다. 공동체 분별 사역을 교회 리더십 형성에 필요한 영적 수련으로 소개하면서, 그 성경적 근거를 예루살렘의 공의회로 들고 있다 (행 15장). 이냐시오 전통에서 중요한 세 문서를 역사적 근거로 제시하며, 공동체 분별이 신앙 공동체의 리더십 형성과 건강한 사역에 필수적 요소라는 사실을 증명한다. 이에 근거하여, 공동체 분별 과정과 절차를 구체적으로 소개하고, 이 영적 수련이 한국 목회 현장에서 적용될 때, 중요하게 인식 되어야 할 세 가지 요소를 제시하고 있다. 첫째는 영적 초연, 둘째는 과정으로서의 영성분별에 대한 영적 이해, 마지막으로는 권위에 대한 균형 잡힌 이해이다. The pastoral leadership style in Korean churches, which is characterized as formalistic authoritatianism, is claimed as the main reason to trigger inner conflict or discouragement as well as to lead into restoring the essence of the leadership formation. The illuminating insights of Calvin`s understanding of church and the contemporary ideas of leadership theory is playing a pivotal role in presenting the paradoxical nature of the faith community and leadership formation. The communal discernment is introduced within its biblical resources from the apostolic council of Jerusalem (Acts 15:1-35). The historical document about the communal discernment stemming from Ignatian tradition is explored as the historical heritage for complementary and transformative tool for pastoral leadership in Korean churches. At next, it deliberately articulates the details of the procedures and guides in practicing the communal discernment as spiritual practice in faith community context. At last, as practical implication in Korean pastoral context, it delineates the way in which the communal discernment could effectively be embodied as equipped with the authentic understanding of the spiritual indifference, its dynamic of process, and authority.

      • KCI등재후보

        한국 개신교계 최근 변화의 동향과 그 의미 종교사회학적 관점

        김성건 21세기기독교사회문화아카데미 2011 신학과 사회 Vol.24 No.2

        To explore the significance of recent changes in Korean Protestantism in terms of religious culture or religious orientation, I have focused on the important shifts within the contemporary Korean Protestant church and have investigated their implication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sociology of religion. First, the 2007 South Korean hostage crisis in Afghanistan, in which the aggressive Christian evangelicalism was harshly chastised by the Korean Society, has prompted the so-called 'Islamophobia' as a reaction or as a possible defense mechanism on the part of Pentecostal/Evangelical wing of the Korean church. Consequently, religious fundamentalism (or the world-view of spiritual warfare) does not seem to be fading but instead emboldening in Korean Protestantism. Second, influenced by postmodern currents switching from collectivism to individualism, Korean lay Christians prefer experiential, individualistic faith or what Harvey Cox calls 'primal spirituality' to dogmatic, ideational belief. The popularity of the Heavenly Touch Ministry (HTM) by charismatic faith-healer Elder Ki Chol Son attests this. 이글은 현대 한국 사회에서 불교와 가톨릭과 함께 3대 종교로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개신교계 내부에서 최근 일어나고 있는 종교문화 곧, 종교적 성향 측면의 변화가 드러내는 종교사회학적 의미를 밝힌 것이다. 필자는 이 글에서 다음 두 가지 변화에 주목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최근 특히 2007년 아프간 피랍사태이후 한국 교회에 제기된 외부의 공격에 대한 반작용 혹은 방어기제로서 이슬람포비아 담론의 출현으로 상징되듯 종교적 근본주의의 강화 곧, 영적 전투의 세계관의 심화 및 확대가 뚜렷이 나타나고 있다. 둘째, 최근 집단주의로부터 개인주의로의 전환으로 표상되는 포스트모던의 문화 흐름에 힘입어 한국 교회 내부에 개인주의적, 체험적 신앙에 관한 관심이 한층 증가하였고, 그로부터 최근 오순절 성령운동의 치유사역자 손기철 장로가 주도하는 헤븐리 터치 미니스트리(HTM)의 대중적 인기가 예증하듯 관념적(사변적, 교조적) 신앙보다는 영성의 추구 및 성령과의 직접적 만남 혹은 접촉 등에 대한 열망이 고조되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