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하향식 다단 압력 그라우팅 방법의 주입특성에 대한 연구
이홍성,이승호 대한지질공학회 2019 지질공학 Vol.29 No.3
Bottom-up multi-stage pressure grouting is widely applied to domestic slopes and tunnels. It involves injecting earth from the ground to the surface after drilling. Various reports of construction performance have demonstrated its wide applicability. However, little research has studied top-down multi-step pressure grouting in Korea, which involves injection from the surface. This paper compares the grouting effect of both the established bottom-up method and the top-down method in soil box and field tests. The soil box test showed that the bulb volume of the top-down method is ~24% less than that of the bottom-up method. The field test confirmed that the top-down method has a wider grouting range and a higher injection density per area than the bottom-up method. 국내 사면 및 터널에서 주로 적용되고 있는 다단 압력을 이용한 그라우팅 방법들은 천공 후 지중에서 지표 방향으로 스텝주입을 하는 상향식 다단압력 그라우팅 방법이며 다수의 연구결과와 축척된 시공실적을 토대로 현재 여러 현장에서 적용되고 있다. 국내에서 하향식 다단압력 그라우팅 방법의 연구결과는미미한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토조시험과 현장시험을 통해 기존 상향식 다단압력 그라우팅 방법과지표부에서부터 주입을 실시하는 하향식 다단압력 그라우팅 방법의 주입효과를 비교․분석하였다. 토조시험 결과 하향식 다단압력 그라우팅 방법의 경우 상향식 다단압력 그라우팅 방법에 비해 구근체의 부피는 약 24%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장시험 결과 하향식 다단 압력 그라우팅 방법이 상향식 다단 압력 그라우팅 방법에 비해 주입 범위가 넓고 면적당 주입 밀집도가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액티브니스가 펀드 성과에 기여하는가 : 하향식 운용의 요인별 성과 기여 분석
신중철,박종원 한국재무학회 2016 한국재무학회 학술대회 Vol.2016 No.05
Cremers and Petajisto (2009)와 Petajisto (2013)는 집중도를 나타내는 "적극적 투 자비중(Active Share)"이라는 지표를 종목선정(selection)을 나타내는 지표로 간주하였으 며, 추적오차(tracking error)를 시기선택(timing)을 나타내는 지표로 이용하였다. 그러나 추적오차는 운용의 결과로 나타나는 사후적인 지표이며 시기선택뿐만 아니라 종목선정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는다. 또한 매니저의 시기선택 의도를 사전에 확인할 수 없다는 한계 를 갖는다. 이 논문에서는 매니저가 구성한 포트폴리오로부터 공통요인에 대한 액티브니스와 개 별종목에 대한 액티브니스를 측정하였다. 두 개의 집중도 사이에 나타나는 높은 공선선 (collinearity)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펀드매니저가 하향식운용(top-down approach) 을 한다는 가정 하에, 포트폴리오로부터 측정한 액티브니스(DAP, dirty active position) 과 대비되는 종목순액티브니스(PAP: pure active position)를 추정하는 방법을 고안하였 다. 업종을 공통요인으로 한 분석에서, 종목순액티브니스가 업종혼합액티브니스보다 가상 포트폴리오 및 펀드의 초과성과를 더 잘 설명하였다. 공통요인과 종목관점에서 측정한 액 티브니스는 추적오차와 달리 포트폴리오로부터 직접 측정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하향식 방법을 통한 시계열 항공사진의 항공삼각측량 기법
서상일(Seo, Sang-Il),안영준(Ahn, Young Joon),박병욱(Park, Byung-Wook),김창재(Kim, Chang Jae) 한국측량학회 2016 한국측량학회 학술대회자료집 Vol.2016 No.4
다년도 항공사진을 이용하여 항공삼각측량을 수행하는 프로세스를 어떻게 구축할 것인가 하는 것은 중요한 문제이다. 우선적으로 항공삼각측량을 수행하기 위한 지상 기준점이 최근의 자료들이 많기에 과거 항공사진을 단독으로 이용하여 항공삼각측량을 수행하는 것은 무리가 따른다. 이의 해결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최신의 영상과 과거의 영상을 자동매칭시켜서 추가적인 지상기준점을 필요로 하지 않는 하향식 방법(top-down)을 제안하고자 한다.
철학적 인간학과 의학적 인간학 -「고대 의학에 관하여」를 중심으로-
반덕진 한국의철학회 2010 의철학연구 Vol.9 No.-
히포크라테스 전집의 「고대 의학에 관하여」라는 논문은 기원전 5세기에 그리스 자연철학의 중요한 요소들로 그리스 전통의학을 혁신하려 했던 철학적 의학자들로부터 전통적인 섭생의학을 수호하려는 저자의 논박이 잘 담겨있다. 저자는 소크라테스 이전 철학자들의 ‘자연에 대한 탐구’에서 도출한 이론에 따라 한두 가지 요인들로 질병의 원인과 치료를 설명하려는 인과적 환원론과 몇 가지 원초적인 구성요소로 인간의 기원을 설명하는 인간본질론 및 그 위에 의학을 정립하려는 시도를 비판한다. 저자는 의학의 모든 것을 한두 가지 원리의 상호작용으로 설명하는 폐쇄체계를 비판하고 수많은 체액들의 혼화와 숙성으로서의 인간본질론이라는 개방체계를 제시하면서 인간본질에 대한 지식은오직 의학을 통해서만 얻을 수 있다고 반격한다. 저자와 그의 논적들은 의학이인간의 본질에 대한 보편적인 지식과 관련되어 있다는 점에 대해서는 의견이다르지 않지만 인간의 본질에 대한 범위와 연구방법이 무엇인지에 대해서는 의견이 다르다. 철학적 의학자들은 자연의 본질에 대한 연구(자연철학)를 통해 인간의 본질에 대한 탐구(인간학)가 가능하고 그에 의거하여 의학과 질병에 대해연구하는(의학) ‘하향식’ 방법을 주장한 반면, 저자는 요리법에서 출발한 의학의연구를 통해 인간의 본질에 대한 이해(인간학)가 가능하다는 ‘상향식’ 방법을제시했다. 저자는 철학적 영역에 속해 있던 인간본질론을 반복적인 관찰과 정교한 추론으로 얻은 새로운 인간본질론으로 대체하고자 했다. 철학적 의학자들에게 의학은 인간에 대한 사전 지식이 필요한 학문이었기에 독립적인 학문이 될수 없었으나 저자와 같은 전통의학자들에게 의학은 철학적 인간학을 전제할 필요가 없는 자족적인 학문이었고 나아가 그들은 철학적 인간학에 맞선 의학적인간학을 내세워 고대 세계의 인간본질에 대한 이해를 다채롭게 했음은 물론당대의 인간본질 논쟁을 가능케 했다.
차주헌,이인호,박면웅,김재정,Cha, Ju-Heon,Lee, In-Ho,Park, Myeon-Ung,Kim, Jae-Jeong 대한기계학회 2002 大韓機械學會論文集A Vol.26 No.9
This paper describes inference architecture of an intelligent CAD system that is to be used for design tasks in which complex and large amount of knowledge is used. In order to investigate the issue of handling huge and complex knowledge, design knowledge is categorized into four types and inference methods for them are identified respectively: original design problems are decomposed into several modules of design processes and finally into sub-problems with the four types of knowledge as basic elements in a top-down manner. We demonstrate the implementation of the architecture with the result of the machining center - a sort of machine tools - design.
이정욱 ( Jung Wook Lee ) 연세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1 사회과학논집 Vol.42 No.2
This study critically assesses the current state of knowledg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public organizations and their political environments. Through a comprehensive review of the relevant literature, the study identifies two major approaches to the topic: a ``top-down`` approach and a bottom-up approach. The former is interested in ensuring democratic control of the bureaucracy, which is a primary concern for elected officials and other political entities. The latter, on the other hand, looks at the political environment from the perspective of public organizations and their managers, considering it mainly as a source of constraints but also as opportunities in accomplishing their missions. Then the study presents a critical evaluation of these two approaches and identifies their contributions to and limitations in the understanding of the political environment of public organizations. By doing so, the study suggests what we know, do not know, and need to know for a better understanding of how the political environment relates to public organizations and their management. Lastly, it concludes by suggesting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교통환경정책 수립을 위한 대기환경 개선효과 추정방안 연구 도로이동오염원을 중심으로
한진석 ( Jin-seok Hahn ),서은주,서원호,김승범,최윤영 한국환경연구원 2016 기본연구보고서 Vol.2016 No.-
This study proposes an analysis method to test the improvement effects of air quality that can be used at the establishment stage of transport policy targeting mobile sources. The method considers changes to the volume of mobile emissions following policy enforcement, changes to the emission level of air pollutants, atmospheric dispersion of air pollutants, and the effects of air pollutants on the health of local residents, sequentially. In particular, changes to the traffic volume of mobile sources must be considered in the method to improve the effects of the atmospheric environment because the traffic volume has a direct connection to the effects of the policy. In this study, we intend to detail the changes to travelers`s travel behavior following policy enforcement. We will apply the bottom-up approach (BUA) based on the traffic demand model rather than top-down approach (TDA) when calculating changes to the emission level of the mobile sources. This study proposes analysis methods to test the effects of air quality by classifying into macro/meso-level analysis and micro-level analysis based on reviewing the analysis methodology used to test the emission level of mobile sources, analysis methodology for air quality, analysis methodology for health effects, and the related study cases from within and outside Korea. The TDA method and/or BUA method will be used to analyze the emission level of the mobile sources, depending on the type of policy. However, the BUA method must be applied when changes to the traveler`s travel behavior are expected in response to policy enforcement. The analysis method proposed in this study can be applied at the macro/meso level or micro level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benefit from the policy, ripple effect, and other factors; however, application of the micro level BUA method in calculating the emission level of mobile sources is limited because the database on public confidence has not yet been established.
A Study on Methodology of U-City Promotion (Top-Down vs Bottom-Up Approach Model)
이상훈,김형복 대한공간정보학회 2009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Vol.17 No.1
Recently, a lot of local autonomous entities are promoting Ubiquitous City(U-City) Construction by integrating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ICT) with city development, and also internationally, a lot of cities are making efforts to develop U-City to intensify a city's competitive strength and improve life quality of city dwellers. In keeping with such a stream of the times, each local autonomous entity and project developer are developing a lot of methodologies to establish optimal U-City in corresponding cities and also inquiring into a variety of development procedures, such as connecting existing urban development methods with information establishment methods. The method used usually is to establish Information strategy Plan(ISP) for a city which will be developed through consulting in the stage of city development planning. ISP is to establish vision & strategy for building the ubiquitous city and is a methodology including city vision, strategy, goal, and implementation method, etc. However, due to a lot of variables, such as a variety of city environment, establishment period, budget, information technology, and etc., it is difficult to contain establishment plans for every occasion in a similar method, in reality. Therefore, it is naturally necessary to suggest plans for city vision & strategy, and selection of element technology/service. Thus, this paper suggests models for vision & strategy establishment of U-City and suggests Top-Down Approach and Bottom-Up Approach method as a plan for U-City establishment. In addition, this paper analyzes general promotion methodologies for constructing U-City and analyzes how these two strategic methods [Top-Down Approach and Bottom-Up Approach] for city vision establishment are composed in such a methodology, to define and analyze its constituent pl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