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도바울의 선교사상에 나타난 삼위일체 하나님과 선교적 공동체 연구

        조해룡 한국복음주의선교신학회 2020 복음과 선교 Vol.49 No.-

        This study is about the Trinity God and the missional community in the mission thought of the Apostle Paul, who discusses the ecclesiastical theory with the Trinity God at the center of his mission thought. For Paul, the core of mission of the Trinity God is to transform people into Christ. It presents the idea of the Trinity God as an essential subject to change people into the shape of Christ. In other words, as the subject of mission, the Father God, the core of the Gospel, Jesus, and the driver who leads mission in the world, holy Spirit. This is the position and life of the church on the missional direction of the Trinity God. Paul understands the church as a new human being changed in Christ, and argues that it is the missional duty of the church to invite people to the community The church is also regarded as a group of believers who are regularly gathered for worship, fellowship and service as the people of God who have been changed and chosen. In other words, it represents the people who have been called to make Christ the king as the body of Jesus Christ, obey under his kingship, and live an ideal community through worship and fellowship. Furthermore, to Paul, the church was a holy community that kept the secret of God's redemption as a missional community toward the end. Then, Apostle Paul emphasizes that the true essential goal of life in the missional church is love and ethics. When the church is immersed in missional roles without true love, it understands that the church loses its purpose and direction of existence and drifts. It is not just virtue or words but the right life of the gospel to reveal the true value of Christian life to the world, and to say that the right life, morality, attitude and attitude are different from others so that sinners can be saved and society can be reformed. Through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the life and purpose of the church called as a mission community will be redefined and the missionary responsibilities appropriate for the call of the Trinity God will be renewed 본 연구는 사도바울의 선교사상에 나타난 삼위일체 하나님과 선교적 공동체에 관한 연구이다. 사도바울은 삼위일체 하나님을 그의 선교사상의 중심에 놓고 교회론을 논한다. 그에게 있어서 삼위일체 하나님의 선교의 핵심은 사람들을 그리스도 형상으로 변화시키는 일이다. 따라서 바울은 사람들을 그리스도의 형상으로 변화시키기 위한 본질적 주체로서 삼위일체 하나님을 제시한다. 즉 선교의 주체로서 성부 하나님, 복음의 핵심이신 성자 예수, 그리고 세상에서 선교를 이끌어 가는 동인으로서 성령이다. 이러한 삼위일체 하나님의 선교사상 위에서 교회의 위치와 삶을 논한다. 바울은 교회를 그리스도 안에서 변화된 새로운 인류로 이해하면서 하나님 나라를 증거하기 위해 사람들을 공동체로 초청하는 것이 교회의 선교적 책무임을 주장한다. 또한 변화되고 선택받은 하나님의 사람들로 예배, 교제, 봉사를 위해 정규적으로 모이는 하나님의 백성으로 간주한다. 즉 예수 그리스도의 몸으로 그리스도를 왕으로 삼고 그분의 왕권 아래 순종하며, 예배와 교제를 통해 이상적인 공동체를 이루며 사는 부름 받은 선교적 백성으로 명명한다. 나아가 교회를 종말을 향해 가는 선교적 공동체로서 하나님의 구속의 비밀을 간직한 거룩한 공동체로 이해한다. 이러한 교회론적 이해로부터 사도바울은 선교적 교회의 진정한 본질과 삶의 목표는 사랑과 윤리임을 강조한다. 교회가 진정한 사랑이 결핍된 채 선교 사역에만 몰두하게 될 때 교회는 교회의 존재 목적과 방향을 잃고 표류하게 된다고 강조한다. 단순한 미덕이나 말이 아니라 복음의 합당한 삶을 통해 그리스도인의 진정한 삶의 가치를 세상에 드러내고, 바른 삶의 윤리와 사랑을 통해 죄인을 구원할 수 있고 사회 개혁을 이끌 수 있다고 단언한다. 따라서 사도바울의 선교사상을 통해 선교 공동체로 부름 받은 교회의 삶과 목적을 새롭게 정의하고, 이 세상에서 교회의 진정한 삶의 본질과 목적은 하나님의 선교에 있음을 새롭게 배울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바울의 칭의론과 하나님의 선교와의 상관관계 연구

        김종성 한국선교신학회 2018 선교신학 Vol.49 No.-

        칭의론은 기독교의 심장이라 말할 수 있다. 바울에게 있어서 이렇 게 중요한 개념인 ‘칭의론’이 오늘날 세계 선교와 선교학에 있어서 중요한 자리 매김을 하고 있는 ‘하나님의 선교’ 개념과는 어떤 상관관계가 있는가? 구체적으로 본 논문은 바울의 칭의론이 ‘하나님의 선교’라는 거대한 선교 신학적 패러다임 속에 담긴 칭의론과의 차이가 무엇인지를 비교 연구함으로써 선교 신학적 이해를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는 ‘하나님에 대한, 인간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한다. 바울이 예수를 가리켜 가장 빈번하게 사용하는 용어는 ‘주’(Lord)이다. 그가 이 ‘주’를 하나님으로 칭송하고 있다는 의미는 아니다. 하나님의 아들이라는 칭호 역시 반드시 예수가 하나님이시고, 후대 삼위일체 교리의 의미에서 “성자 하나님”(God the Son)이심을 암시 하는 것은 아니다. 그렇기 때문에 ‘하나님의 선교’ 관점 속에서 이해된 바울의 칭의론 연구는 21세기 선교의 방향을 제시하는데 중요한 준거의 틀 역할을 하게 된다. The theology of justification can be considered as the heart of Christianity. What is a correlation between the theology of justification of Apostle Paul and the “mission of God,” which is becoming more important today in world mission and missiology? This paper studies the difference between Paul’s theology of justification and the central theology of justification within the enormous missiological and theological paradigm of the “mission of God.” To examine this, ‘an understanding of God, an understanding of humans’ should precede further study. Paul frequently refers to Jesus as the “Lord,” which is the translation of Greek word Kurios. Referring to Christ as Kurios does not indicate with certainty that he worships Jesus as God; nor does the title “Son of God” necessarily imply that Jesus is God or that he is “God the Son” mentioned in later theology of the Trinity. Hence, it is essential to reinterpret this concept based on the Protestant confession of faith in the present day.

      • KCI등재

        선교적 공동체로서 하나님의 백성의 공동체와 신약의 교회

        구자용 한국선교신학회 2019 선교신학 Vol.53 No.-

        구약에서 하나님의 택함을 받은 이스라엘이 가진 선교적 공동체로의 정체성은 이미 인간 창조 서술에 암시되어 있다. 그것으로부터 하나님의 선교가 먼저 인간의 선교(창 1:26 이하)로 그리고 이스라엘의 선교(창 12:3)로 발전하며, 점점 더 구체화되고 있다. 특히 이스라엘이 출애굽기에서 처음 민족적 단위로 세워지며, 온 세계 민족에 대한 선교적 공동체로서의 정체성을 지니게 되었음은 하나님의 백성의 공동체로 세워지는 출애굽기 19장 4-6절에 명시화되어 나타난다. 또한 레위기는 오경의 신학적 핵심에 서 있을 뿐 아니라 책 자체에 고안된 중앙 집중적 구조를 통해서도 자신의 백성의 공동체에 임재하며, 그들에게 속죄의 현재성을 지속적으로 보장할 뿐만 아니라, 자신의 백성을 통해 그 속죄의 은혜를 온 세상에까지 전파할 사명을 부여하는 하나님을 제시한다. 구약이 제시하는 이러한 하나님의 백성의 공동체가 가진 정체성은 신약의 교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뿐 아니라, 에베소서가 제시하는 교회의 정체성으로서의 통일성, 성결성 그리고 보편성에 맞닿아 있으며, 나아가 신약과 오늘날의 선교적 공동체로서의 교회가 가져야 할 모습을 규정하고 있다. Die Identität von Gottes gewählter Missionsgemeinschaft Israels im AT wird bereits von der Erzählung der Menschenschöpfung zur Missio Dei entwickelt und zwar immer konkreter, zunächst als Missio hominium (Gen 1,26ff) und dann Missio Israeli (Gen 12,3). Erst im Exodus wurde Israel als nationale Einheit aufgebaut und erhielt gemäß Ex 19,4-6 die Identität einer Missionsgemeinschaft für alle Nationen. Ferner präsentiert das Buch Levitikus als ein theologisches Zentrum des Pentateuchs den Gott Israels, der einerseits in der Gemeinschaft seines Volkes präsent ist, um dem Volk dauerhaft seine vergebende Gegenwart zu gewähren, andererseits seinem Volk die Mission gibt, die Gnade der Versöhnung auf die ganze Welt zu verbreiten. Die Identität dieser Gemeinschaft des Volkes Gottes hängt direkt mit der Kirche des NTs zusammen.

      • KCI등재

        하나님의 형상(Imago Dei)을 통해 보는 하나님의 선교(Missio Dei)

        김성무 한국선교신학회 2024 선교신학 Vol.73 No.-

        본 연구는 구약성경 안에서 하나님의 선교를 논할 때 제한적이며, 특히 창조신학과 원역사 안에서는 거의 다루어지지 않는다는 문제의식 에서 출발하였다. 하나님의 선교라는 렌즈로 성경 전체를 바라볼 수 있어야 하나님의 선교는 성경적인 뒷받침을 얻을 것이다. 본 연구는 하나님의 선교는 하나님의 형상을 통해 사명을 위임받아 보내심을 받은 선교적 인간에 의해 그분을 계시하고 세상에 구속과 샬롬을 이루는 인간의 선교로 나타난다는 것을 주장한다. 즉 하나님의 선교 관점에서, 하나님의 형상에는 창조된 인간이 그분을 계시하고, 세상에 구속과 샬롬을 이루도록 고안된 특별한 기능이 포함되어 있으며, 이 기능을 통해 인간은 공동체가 교회의 본질을 회복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를 통하여 하나님의 선교가 이루어져야 하는 방향과 선교가 보내심을 넘어서 하나님을 계시하는 모든 행하심이 선교이고 그것은 세상에 대한 보호와 보존, 발전임을 주장할 것이다. 그래서 보내심의 선교의 의미를 더 풍부하게 만드는 것이 또한 이 연구의 목적이 된다. This study started from the awareness that the discussion of God’s mission in the Old Testament is limited. This study argues that God’s mission appears as a human mission that reveals Him and achieves redemption and shalom in the world by missional humans who are sent and entrusted with a mission through the image of God. In other words, is, from the perspective of God’s mission, the image of God includes a special function designed to enable created humans to reveal Him and achieve redemption and shalom in the world, and through this function, humans enable the community of church to restore the essence of the church. The paper argues that all act of mission reveal God’s purpose transcending beyond sending people but how God’s mission is the protection, preservation, and development of the world.

      • KCI등재

        하나님의 선교, 세상, 그리고 샬롬

        정승현(Seung Hyun Chung) 장로회신학대학교 세계선교연구원 2009 선교와 신학 Vol.24 No.-

        호켄다이크의 선교신학은 여러 해 동안 논쟁이 되어 왔다. 어떤 학자들은 하나님의 선교에 대한 그의 색다른 접근에 대해서 적극적으로 지지를 보낸 반면, 많은 복음주의 계열의 학자들은 그의 이론을 거부하였다. 이번 논문에서 필자는 호켄다이크의 선교신학을 다섯 가지 주제로 나누어서 정리하고자 한다. 먼저, 호켄다이크는 그리스도인이나 교회가 잃어버린 영혼에 대한 열정이나 예수님의 명령 때문이 아니라 기독교 세계(Christendom)를 유지하기 위해서 선교를 한다고 비판하였다. 그는 교회 중심적인 선교를 거부하였고 선교는 그리스도에 의해서 주도되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교회를 선교의 출발점이나 종착점이 아니라 하나님의 선교의 도구로서 자리매김하였다. 둘째, 선교의 목적은 샬롬을 경험하는 것이 되어야 한다. 호켄다이크에게 선교는 종말론적인 사건이다. 샬롬은 그리스도에 의해서 시작되었고 그가 마지막 때에 완성하실 것이다. 이 두 사건 가운데서 그리스도인은 종말론적인 관점에서 선교를 해야 한다. 셋째, 호켄다이크는 하나님의 최우선의 관심은 교회이기보다는 세상이라고 확신하였다. 하나님 아버지는 그의 귀한 독생자를 교회가 아니라 세상을 위해서 보내셨다. 이 말은 세상이 교회보다 우선되어야 한다는 의미이다. 이러한 이해를 바탕으로 호켄다이크는 하나님 교회-세상 대신 하나님-세상-교회라는 패러다임을 주장하였다. 호켄다이크에게 가장 중요한 것은 세상을 향해 어떻게 선교를 하느냐 하는 것이었다. 넷째, 하나님의 선교는 언제나 세상과 인간의 역사와 연결되어 있다. 만일 인간의 상황과 역사가 없다면 하나님의 선교도 존재하지 않을 것이다. 그러므로 하나님의 선교의 목표와 목적은 세속화된 세상에서 인간화이다. 마지막으로, 복잡한 구조와 조직을 가지고 있는 교회는 빠르게 변화하고 있는 세상에서 선교를 효과적으로 감당하기에 적합하지 않다. 이런 면에서 평신도의 역할은 매우 중요하다. 왜냐하면 그들은 매일 자신들의 일터와 공공 생활 속에서 하나님의 선교에 동참할 수 있기 때문이다. The mission theology of Hoekendijk has been controversial for many years. Some praised his different approaches to the missio Dei but many scholars, usually from evangelical traditions, totally disregarded his theory. In this article, I would like to summarize his mission theology in five different categories. First of all, Hoekendijk argued that many Christians and churches pursued evangelism not just because of passion for the lost or the commandment of Jesus, but because of maintaining Christendom. He refused church-centered mission and insisted that mission has to be led by Christ. The Church is no at the starting-point nor at the end. It is only an instrument in the mission of God. Secondly, the goal of mission should be experiencing Shalom. For Hoekendijk, mission is an eschatological event. Shalom has been initiated by Christ and He will fully accomplish it on the Final Day. In the middle of these two events, Christians have to do mission from eschatological perspectives. Thirdly, Hoekendijk was certain that God’s major concern is the World rather than the Church. God the Father sends His precious Son for the World not for the Church. This means that the World should proceed before the Church. In this sense, Hoekendijk demonstrated a new paradigm, God-World-Church instead of God-Church-World. Consequently, the most important thing for Hoekendijk is how to do mission for the World. Fourthly, the mission of God is always related to the World and human history. If there was no human context and history, God’s mission would not have existed. Therefore, the goal and purpose of the mission of God should be humanization in the secularized World. Finally, a Church that has complicated structures and organizations is not appropriate to do mission effectively in the rapidly changing World. In this sense, the role of laity is crucial because they can participate in the mission of God in their daily work and public service.

      • KCI등재

        환대의 신학에 나타난 하나님의 선교와 교회의 선교적 정체성 연구: 교회와 이웃 사이의 다리 이어주기

        조해룡 한국선교신학회 2024 선교신학 Vol.74 No.-

        인간다움, 사람과 사람 사이의 평화와 상생, 건전한 사회, 공평과 평등을 바탕으로 이루어지는 문화구조, 국가와 국가 간의 상호교류 등이 절실히 요청되는 21세기에 우리는 역설적이게도 폭력과 배제, 혐오가 지구촌 곳곳을 휩쓸고 있는 것을 경험하며 살고 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최근 환대의 중요성과 필요성에 대한 논의가 인문, 사회과 학 전반에서 화두가 되었고 환대의 실천을 제도화하려는 정치권과 시민단체의 노력도 적지 않았다. 하나님의 선교를 위해 세상으로 파송 받은 교회는 어떤 삶을 살아야 할 것인가? 본 논문은 환대의 신학에 나타난 하나님의 선교와 선교적 교회의 정체성을 연구한다. 환대 신학 안에 나타난 하나님의 선교와 교회의 온전한 선교적 삶이 무엇인지를 탐구한다. 하나님의 선교의 출발은 하나님의 환대에서 시작되며 교회의 사명은 하나님의 환대를 말과 삶을 통해 세상에 선포하는 것이다. 환대는 하나님의 선교를 지속 가능하게 하는 교회의 선교적 표지이다. 인간다움, 사람과 사람 사이의 평화와 상생, 건전한 사회, 공평과 평등을 바탕으로 이루어지는 문화구조, 국가와 국가 간의 상호교류 등이 절실히 요청되는 21세기에 우리는 역설적이게도 폭력과 배제, 혐오가 지구촌 곳곳을 휩쓸고 있는 것을 경험하며 살고 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최근 환대의 중요성과 필요성에 대한 논의가 인문, 사회과 학 전반에서 화두가 되었고 환대의 실천을 제도화하려는 정치권과 시민단체의 노력도 적지 않았다. 하나님의 선교를 위해 세상으로 파송 받은 교회는 어떤 삶을 살아야 할 것인가? 본 논문은 환대의 신학에 나타난 하나님의 선교와 선교적 교회의 정체성을 연구한다. 환대 신학 안에 나타난 하나님의 선교와 교회의 온전한 선교적 삶이 무엇인지를 탐구한다. 하나님의 선교의 출발은 하나님의 환대에서 시작되며 교회의 사명은 하나님의 환대를 말과 삶을 통해 세상에 선포하는 것이다. 환대는 하나님의 선교를 지속 가능하게 하는 교회의 선교적 표지이다. 인간다움, 사람과 사람 사이의 평화와 상생, 건전한 사회, 공평과 평등을 바탕으로 이루어지는 문화구조, 국가와 국가 간의 상호교류 등이 절실히 요청되는 21세기에 우리는 역설적이게도 폭력과 배제, 혐오가 지구촌 곳곳을 휩쓸고 있는 것을 경험하며 살고 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최근 환대의 중요성과 필요성에 대한 논의가 인문, 사회과 학 전반에서 화두가 되었고 환대의 실천을 제도화하려는 정치권과 시민단체의 노력도 적지 않았다. 하나님의 선교를 위해 세상으로 파송 받은 교회는 어떤 삶을 살아야 할 것인가? 본 논문은 환대의 신학에 나타난 하나님의 선교와 선교적 교회의 정체성을 연구한다. 환대 신학 안에 나타난 하나님의 선교와 교회의 온전한 선교적 삶이 무엇인지를 탐구한다. 하나님의 선교의 출발은 하나님의 환대에서 시작되며 교회의 사명은 하나님의 환대를 말과 삶을 통해 세상에 선포하는 것이다. 환대는 하나님의 선교를 지속 가능하게 하는 교회의 선교적 표지이다. 분열되고 배타적이며 혐오로 가득 찬 세상을 치유하기 위한 하나님의 선교의 정수는 하나님의 선교적 환대에서 비롯된다. In the 21st century, amidst calls for humanity, peace, and coexistence, we paradoxically witness violence and exclusion sweeping the globe. Discussions on the importance of hospitality have surged in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Efforts to institutionalize hospitality have emerged in politics and civil society. The church, on a divine mission, questions its role in this context. This paper delves into the theology of hospitality and the identity of a missional church within it. It explores what constitutes a wholesome missional life. God’s mission begins with His hospitality, and the church’s mission is to spread the gospel to the world. Hospitality serves as the church’s hallmark in sustaining God’s mission. At its core, God’s missional hospitality heals a fractured world.

      • KCI등재후보

        선교신학 : 하나님의 선교(Missio Dei)에서 본 존 웨슬리의 선교신학

        최형근 ( Hyung Keun Choi ) 서울신학대학교 기독교신학연구소 2013 神學과 宣敎 Vol.43 No.-

        본 논문은 하나님의 선교 개념을 고찰하고 존 웨슬리의 삶과 사역과 신학에 나타난 하나님의 선교의 특징들인 선행 은총, 그리스도인의 완전, 그리고 창조의 치유와 회복을 분석하고, 그 특징적 요소들이 오늘날 우리에게 주는 선교적 함의들을 제시한다. 하나님의 선교개념을 이해하는 최상의 방법은 선교학적 관점에서 성경을 해석하는 것이다. 다른 말로 하면, 하나님의 선교의 의미는 하나님의 신적 행위가 그의 백성을 불러 언약관계를 맺고 그들을 세상으로 파송하는 것이다. 아버지에 의해 보냄 받은 예수는 교회에게 성령의 능력을 주어 세상으로 파송한다. 존 웨슬리에게 “세계는 나의 교구다”라는 슬로건은, 삼위일체 하나님에 의해 보냄 받은 교회와 그리스도인들의 정체성을 규정한다. 웨슬리는 구원이 영원한 생명의 출발을 함축하는 선행은총에 의해 시작된다고 주장했다. 구원의 과정은 칭의(의롭게 하시고 회심케 하시는 은총)와 성화로 진행된다. 이 과정들은 구원의 통전적 차원을 가리킨다. 첫째, 비록 선행은총 그 자체가 구원하는 은혜는 아닐지라도, 선행은총의 핵심은 하나님이 성령을 통해 예수 안에서 우리에 앞서 가신다는 것이다. 둘째, 웨슬리 신학에서 구원은 “그리스도인의 완전”에 이른다는 의미로서, 그리스도인의 인격성숙의 과정이다. 하나님의 선교의 관점에서 이것은 하나님의 백성의 거룩한 삶과 밀접하게 연관된다. 웨슬리에게 구원은 하나님과 인간의 관계 안에서 이해된다. 존 웨슬리의 삶과 사역은 그의 설교와 행위의 통합 가운데 나타난다. 셋째, 구속신학과 창조신학의 통합으로서 존 웨슬리의 신학의 선교학적 함의들은 치유적 모델로서 개인적 차원과 관계적 차원 모두를 강조한다. 이것은 창조와 구속에 대한 이원론적 이해를 극복하게 하며, 인간과 다른 피조물들과의 관계에 있어서 통전적 차원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한다. 웨슬리 신학은 우리로 하여금 모든 인간의 삶의 차원에서 치유로서 하나님의 구원을 숙고하도록 만든다. 이것은 치유로서 구원이며, 치유란 하나님과 다른 피조물들과의 화해를 이루기 위해 오로지 예수 그리스도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치유는 우리로 하여금 성령의 능력을 통해 하나님과 그리스도의 형상을 회복하도록 만들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reflect the concept of Missio Dei, to analyze prevenient grace, Christian perfection, and the healing and restoration of the creation in John Wesley`s life and ministry as the main characteristics of Missio Dei, and to suggest missiological implications of those factors today. The best way to understand the concept of Missio Dei is to interpret the Bible from a missiological perspective. In other words, the meaning of the mission of God is that in the divine action God calls His people and has the covenant relationship with them and sends them into the world, and Jesus sent by the Father commissions His church as sending it to the world with the power of the Holy Spirit. For John Wesley, the slogan “The world is my parish” articulates the identity of the church and Christians who are sent by the triune God. Wesley insisted that the salvation begins with the prevenient grace, implying the march for the eternal life. And the salvation process follows both justification (justifying and converting grace) and sanctification. These process indicates the holistic dimension of the salvation. First, though the prevenient grace itself is not saving grace, the focal point of the prevenient grace is that God precedes us in Jesus through the Holy Spirit. Second, salvation in Wesleyan theology means to reach “Christian perfection,” which would be the process of maturity of Christian character. From a Missio Dei perspective, this is closely related to the holy life of the God`s people. For Wesley, salvation is understoo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God and men, between neighbors, and between men and the creation. Life and ministry of John Wesley can be seen the integration of his preaching and deed. Third, the missiological implications of John Wesley`s theology as seemingly integrating the redemption theology with the creation theology, is to emphasize both individual and relational dimension as a therapeutic model. This can make us overcome the dualistic understanding of creation and salvation and understand the holistic dimension of human relationships with other created order. Wesleyan theology brings us to think God`s salvation as healing in every dimension of human life. This is salvation as healing, one that healing can only through Jesus Christ reconciling God and others. This kind of healing can make us restore the image of God and Christ through the power of the Holy Spirit.

      • KCI등재

        하나님 백성의 선교적 사명과 책무

        이상훈(Sang hoon Lee) 한국선교신학회 2014 선교신학 Vol.36 No.-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find the principles for restoring the essence of Korean church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the missional calling and identity of the people of God. To achieve the purpose, this brief study examines the missio Dei of the Triune God as the principal agent in the theological perspective. Moreover, it attempts to biblically define the character and tasks of the people of God through the perspective of missional hermeneutics. First, the author studies the meaning and role of the missional hermeneutics. Recently developed missional hermeneutics has played a crucial role in understanding the bible in the context of mission. As a result, God's mission has become the basis for understanding how mission has been formed within the dynamics of the Triune God and how mission has been entrusted to God's people. The theological concept of the "missio Dei" has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development of the missional hermeneutics after the 20th century. Through this development, Triune God was found to be the God of mission who not only sent the Son and the Holy Spirit, but also who is sending church as the representative for the ministry. In such perspective, we find that the mission is both privilege and responsibility. This secret was revealed through the revelation of God's choice and promises in the Old Testament of the people of God. Especially by choosing and making promises to Abraham, his descendants, and Israelites meant that they are to be the channel of blessing and the tangible symbol of God's reign and becoming the tool for salvation. However, they have failed to carry on their tasks and it was found that God's plan was to be entrusted to the Israel that was succeeded by believing and following Jesus through the cross and resurrection. God's people have been sent to the world as His missionaries. They have become those who enjoy the privileges of having special relationship with God, but at the same time, exist as the light of the world (Isa 42:6) and the channel of blessing for all ethnicities so that God's reign can become tangible, and through this, the call has been entrusted for all nations to return back to God. The author considers the life of the people of God as a missional being in two perspectives; mission of being, and mission of doing. First, in the aspect of being the people of God, we must be able to carry out the mission. This is a privilege given only to those who live by the standard of God's Kingdom that is set apart from the world. For this, they existed as resident aliens, salt and light, contrast society, and an alternative community. However, it does not mean that such life has to deny or avoid the world. Rather, coexist in the middle of the world and to exist for the world as the people of God. Through this, God's people can carry out the role of being the tangible proof and symbol of God's love for the world. Secondly, as an apostolic community that has been sent, they were to proclaim and serve as the witnesses of Jesus. They not only must preach the gospel with their word, but also try to transform the society by doing good works and become a community that is dedicated in bringing righteousness and justice in the society. Through the contextualized flexibility and incarnational attitude they are to find the tasks of the people of God who goes into the world and live out the missional life. Ultimately, missional church becomes dynamic when each member of the church finds their identity as people called and sent by God as their missional identity is fulfilled. I wish Korean church would remember that she can only be renewed when she exist to serve and minister to the world in order for her to continuously be used as a tool for the Kingdom of God. 본 연구의 목적은 하나님 백성의 선교적 사명과 정체성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한국교회의 본질회복에 대한 원리를 발견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본 소고는 신학적 관점에서 선교의 주체로서 삼위일체 하나님의 선교(missio Dei)에 대해 살펴보고, 선교적 해석학의 관점에서 하나님 백성의 존재됨과 사명을 성서적으로 규명해 보는 시도를 기울였다. 먼저 필자는 선교적 해석학의 의미와 역할에 대해 살펴보았다. 비교적 최근에 발전하기 시작한 선교적 해석학은 성경을 선교적 맥락으로 이해하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그 결과 하나님의 선교가 삼위일체 하나님의 역학 안에서 어떻게 이루어 졌으며 그의 백성에게 어떻게 위임되었는지를 이해하는 근거가 되었다. 특히 선교적 해석학이 발전하게 된 중요한 계기에는 20세기 이후 하나님의 선교라는 신학적 개념정리가 큰 역할을 했는데, 이로 인해 삼위일체 하나님은 선교의 하나님으로서 성자와 성령을 보내실 뿐 아니라 다시 교회를 사역의 대리자로 파송하게 됨을 발견하게 되었다. 그런 관점에서 하나님 백성의 선교는 특권이며 동시에 책무임을 알게 되었다. 그 비밀은 구약에 나타난 하나님의 선택과 언약을 통해 계시되었다. 특히 아브라함과 그의 자손들, 그리고 이스라엘 백성을 선택하시고 그들에게 맺으신 언약은 그들이 세상을 향한 축복의 통로가 되며 하나님 통치의 가시적 상징과 구원의 도구가 됨을 의미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그들은 자신의 사명을 수행하는 일에 실패했고, 하나님의 계획은 예수의 십자가와 부활을 통해 그리스도를 믿고 따르는 계승된 이스라엘, 즉 하나님의 백성들에게 위임된 것임을 발견하게 되었다. 하나님의 백성은 그 분의 선교사로서 세상에 보냄을 받았다. 그들은 하나님과의 특별한 관계 속에서 특권을 누리는 존재가 되었지만 동시에 모든 민족을 위한 축복의 통로로서 열방의 빛이 되고(사 42:6) 하나님의 통치가 가시화될 수 있도록 존재해야 했으며, 이를 통해 모든 민족이 주께 돌아오는 사명이 위임되어 있었다. 필자는 선교적 존재로서 하나님의 백성의 삶을 두 가지 관점, 즉 존재(being)로서의 선교와 행함(doing)으로서의 선교로 고찰해 보았다. 먼저 하나님의 백성은 존재적인 측면에서 하나님의 선교를 수행할 수 있어야 한다. 그것은 세상과 구별되는 탁월한 하나님 나라의 기준에 의해 살아갈 때만 주어지는 특권이었다. 이를 위해 그들은 거류민으로서, 빛과 소금으로서, 대조사회로서, 대안 공동체로서 존재해야 했다. 그러나 이러한 삶이 세상을 거부하거나 회피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세상 한 가운데서 세상과 함께 하며, 세상을 위해 존재하는 하나님의 백성으로서 사는 것을 의미했다. 이를 통해 하나님의 백성은 세상을 향한 하나님의 사랑에 대한 가시적 증표와 상징으로서 역할을 감당할 수 있게 된다. 둘째는 보냄 받은 사도적 공동체로서, 선포와 섬김을 통해 예수의 증인됨을 실천하는 일이었다. 그들은 말로만 복음을 증거하는 것이 아니라 선행과 행함을 통해 사회 변혁을 위해 노력하고, 공의와 정의가 넘쳐흐를 수 있는 사회가 되도록 헌신하는 공동체가 되어야 한다. 상황화된 유연성과 성육신적인 자세를 통해 세상으로 들어가 선교적 삶을 살아내는 것이 백성의 책무 임을 또한 발견하게 되었다. 결국, 선교적 교회는 그 구성원 하나하나가 하나님의 부름 받은 백성으로서 자기 존재됨을 발견하고, 보냄 받은 백성으로서 선교적 정체성을 실현하게 될 때 역동성을 가지게 된다. 세상을 위해 존재하고 섬기는 사역을 감당하게 될 때만 교회는 갱신되고 새로워 질 수 있음을 기억하고 한국교회가 끊임없는 회심과 헌신을 통해 하나님 나라의 귀한 도구로 지속적으로 쓰임 받을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 KCI등재

        화해와 평화를 추구하는 성육신적 선교

        Ki Young Hong 한국선교신학회 2011 선교신학 Vol.28 No.-

        하나님의 선교의 목적은 회심과 교회개척을 통하여 하나님의 나라를 확장하는 것이다. 하나님의 나라는 미래에 완성될 것이지만 현재에도 임재한다 (마6:10). 더 나아가, 하나님의 나라에는 항상 의와 평강과 기쁨이 가득차 있다(롬 14:17). 예수 그리스도는 죄인들을 구원하시기 위하여 오셨으며 그들을 하나님의 나라로 인도하시기 위하여 오셨다. 하나님의 선교는 문화, 인종, 그리고 언어상 다양하다고 할지라도 교회들의 일치를 추구한다. 예수 그리스도는 그가 하나님 아버지와 하나인 것과 같이 교회가 하나 되기를 위하여 기도하셨다 (요 17:21). 기독교의 역사는 예수 그리스도가 원하신 것처럼 하나 되기 위하여 교회들 간에 일련의 에큐메니칼 운동들이 있었음을 보여준다. 교회들은 1910년에 개최되었던 에딘버러세계선교사대회 이후 예루살렘대회(1928), 탐바람-마드라스대회(1938), 휘트비대회(1947), 빌링겐대회(1952), 그리고 가나대회(1957-58) 등 여러 가지 선교대회들을 통하여 연합과 일치를 실현하기 위한 운동에 참가하도록 격려되었다. 특히 휘트비대회와 가나대회는 회해와 일치를 더욱 강조하였다. 그러나 복음주의 교회들은 에큐메니칼 운동들에 참가하기를 기뻐하지 않았는데 그 이유는 크게 에큐메니칼 교회들이 교회들 간의 일치를 강조하면서 하나님의 선교(Missio Dei)의 이름으로 인간화와 세속화를 강조하였기 때문이다. 복음주의 교회들은 인간과 하나님 사이의 화해는 예수 그리스도 없는 하나님과 세계 사이의 화해가 다르다는 것을 주장하면서 일치보다는 화해를 강조한다. 그렇다면, 세계에서 화해와 평화를 창조하기 위한 효과적인 도구는 무엇인가? 마타이어스 자나이져는 창세기를 통하여 화해와 평화의 모델을 제시하였다. 그는 아브라함과 그의 아들 이삭을 교차문화적 선교사의 모델로 제시하였는데, 그들은 창세기 13장과 26장에서 보여준 것처럼 화해와 평화를 추구하였다. 아브라함은 그의 목자들과 롯의 목자들 사이에서 평화를추구하였으며 이삭은 그 자신과 블레셋의 왕 아비멜렉 사이에서 평화를 추구하였다. 하나님의 축복 속에서 아브라함과 이삭은 평화를 추구하였다. J. H. 바빙크는 그의 책『선교학 개론(An Introduction to the Science of Missions)에서 화해와 평화 중심의 교차문화적 선교에 대한 엘렝틱 접근을 제시하였다. 그것을 요약하면, 엘렝틱스는 교차문화적 선교가 진행될 때에 복음의 능력을 확신하는 한편 타문화들/종교들에 대하여 예민한 감수성을 갖는 것을 포함한다. 같은 맥락에서, D. J. 보쉬는 교차문화적 선교사들이 여러 가지 사역들에 참여할 때에 선교활동의 취약성을 강조하였다. 다시 말해서 선교사들이 선교지에서 쉽게 상처를 받는 예민함과 연약함을 강조하였다. 그는 십자가군의 공격성보다는 십자가의 깊은 의미를 가리켰다. 더 나아가서 필자는 화해와 평화의 중요한 근거가 용서라고 본다. 아브라함은 롯을 용서하였고 이삭은 아비멜렉을 용서하였기 때문에 화해와 평화가 이루어진 것이다. 그러나 가장 드라마틱한 용서는 요셉에게서 발견할 수 있다. 형들이 그를 애굽에 노예로 팔아버렸는데도 불구하고 그는 형들을 너그러운마음으로 용서하고 그들을 환대하였을 뿐만 아니라 그의 부친을 비롯하여 가족들을 가뭄과 기아에서 구원하였다. 예수 그리스도는 죄인을 용서하셨을 뿐만 아니라 용서하라고 가르치셨다(막 2:5-10). 결론적으로, 현대의 교차문화적 선교가 하나님 나라를 세우고 그것을 지금 여기서 세상에 확장하기 위해 필요로 하는 것은 식민주의에서 실행된 제국주의적 모델이 아니라 예수 그리스도에 의해 보여진 성육신적 모델이다. 하나님의 선교는 항상 화해와 평화가 영원히 현존하는 하나님의 나라를 바라본다.

      • KCI등재

        예수 전승에 나타난 하나님 나라에 대한 선교적 이해: Q자료를 중심으로

        김종성(Abraham J. S. Kim) 한국선교신학회 2015 선교신학 Vol.39 No.-

        하나님의 선교( Missio Dei )의 궁극적 목적은 하나님의 나라 (basilei,a tou/ qeou)를 이루어 가는 것이다. 하나님이 주체가 되셔서 이루어가는 선교는 ‘그의 나라와 그의 의’(마 6:33)를 이루는 것이다. 그러나 19, 20세기를 거쳐 오는 동안 하나님의 선교에 있어서 하나님의 존재는 늘 선교의 주체가 되지 못했으며, 제국의 힘, 서구의 문화, 교육, 사상의 그늘에 가려져 있었다. 오늘의 한국교회의 세계선교도 대형교회 담임목사의 선교관, 선교사의 주관적 선교 이해, 교회 중심의 선교, 선교 단체 중심의 선교 그늘 아래 하나님의 선교의 본질적 요소가 무시되어 왔다. 필자는 한국교회가 세계선교에 대한 부정적 요소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하나님의 속성과 하나님 나라의 본질에 대한 분명한 선교적 이해를 가져야 한다고 본다. 그래서 본 논문의 논지인 ‘하나님 나라에 대한 선교적 이해’를 온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하나님이시면서 세상에 오신 예수 그리스도의 말씀을 구체적으로 이해해야 할 필요성이 요구된다. 예수 그리스도의 말씀인 예수 전승 가운데서 특별히 Q자료를 중심으로 그 자료에 나타난 하나님 나라에 대해 선교적으로 이해해 보고자 한다. 첫째로, Q자료를 통해서 살펴볼 수 있는 하나님 나라는 초월적 내재성 속에서의 하나님 나라이다. 이 나라는 초월성과 내재성 사이의 긴장 속에서 이해해야 한다. 이것은 선교의 범위를 보여주기도 한다. 이것은 현재의 요구와 초월자의 요구 사이에서 이해되어야 한다. 하나 님의 선교는 하나님의 나라를 이루어가는 것이다. 그의 나라에 대한 선교적 이해가 없이 이루어지는 선교를 하나님의 선교라고 말할 수 없다. 그리고 하나님 나라는 하나님이 계시는 곳, 하나님이 다스리는 곳, 하나님의 규율과 법칙이 존재하는 곳이다. 둘째로, 보편적 선민사상 속에서의 하나님 나라이다. 예수 전승을 통하지 않고 공관복음에 나타난 하나님의 나라를 이해하려고 할 때 독자의 혼동이 발생한다. 왜냐하면 하나님 나라가 이스라엘 민족만을 위한 것인지, 아니며 모든 민족과 족속을 위한 보편적이며 우주적인 하나님 나라를 언급하는 것인지가 분명하지 않기 때문이다. 그렇지만 Q자료는 분명히 보편적 선민사상의 개념 속에서 이해된 하나님 나라를 말한다. 셋째로, 완전성 추구를 향한 온전성 속에서의 하나님 나라이다. 하나님은 완전하시고, 온전하시다. 그의 피조물인 인간은 완전할 수 없다. 그러나 하나님의 은혜로 온전해질 수 있다. 온전해지는 과정을 필자는 선교의 과정이라고 표현한다. 예수 전승이라는 텍스트와 21세기 교회와의 역사적 거리감을 극복하고, 하나님의 선교를 구체적으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하나님의 마음, 뜻을 알아야 한다. 하나님을 인지하는 것은 직접 계시를 제외하고 는 환상과 계시의 통로가 되는 인간이 하나님을 어떻게 인지하느냐에 따라서 다르게 표현되었다. 물론 하나님의 나라에 대한 이해도 달랐다. 예수 당시 이스라엘 백성들은 하나님 나라를 이방 민족의 압제에서 벗어나 사랑, 평화, 공의를 누리는 샬롬의 나라로 이해했다. 그러기에 그들에게 있어서 하나님 나라는 묵시적 차원에서 도래할 것으로 믿었다. 하나님 나라는 현재적이며 미래적이다. 예수 그리스도가 세상에 오심으로 인해 하나님의 나라가 임하였고, 그리고 우주적 완성을 향하여 나아가고 있다. 이러한 하나님의 나라를 본론에서 선교적으로 이해 했는데, 그 이해를 현상학적 차원보다는 하나님 나라에 대한 존재론적 의미 차원에서 논한 연구이기에 이러한 내용을 실천의 현장인 선교현장에서 구체적으로 적용하는 과제가 우리들에게 있는 것이다. The ultimate purpose of the mission of God ( Missio Dei ) is to fulfill the Kingdom of God (basilei,a tou/ qeou). The mission work with God as the agent attains “his kingdom and his righteousness” (Matt. 6:33). However, over the 19th and 20th century, the agent of God has not remained as the active agent in mission, and its presence has been covered by the shadow of imperial forces, Western culture, education, and other ideologies. Likewise, in today’s churches world mission in Korea has also set aside the fundamental elements of the mission of God. The mission is overshadowed by the missiological views of senior pastors of mega-churches, by a missionary’s subjective understanding of mission, and by a church-oriented mission, as well as organization-oriented mission. Considering this, the author believes that in order for the churches in Korea to overcome the negative elements on world mission and to proceed to a more positive state, a clear missiological understanding of both the attributes of God and the essence of the Kingdom of God is necessary. Therefore, to fully comprehend the main argument of this present thesis, “the missiological understanding of the Kingdom of God,” it is required to comprehend concretely the Word of Jesus Christ: God the Son who came to earth. Among Jesus Tradition, which is the Word of Christ, this thesis will focus especially on the Q source for a missiological understanding of the Kingdom of God revealed in that document. First of all, the Kingdom of God presented in Q source is the Kingdom of God in transcendental immanence. This Kingdom should thus be perceived under the tension between transcendence and immanence. This also shows the range of mission. Moreover, this should also be understood in the needs of the present times and of the transcendental being of God. The mission of God is fulfilling the Kingdom of God. The mission without missiological understanding of His Kingdom cannot be considered as the mission of God. Hence, the Kingdom of God is where God resides and reigns, and where His laws and principles exist. Secondly, this Kingdom of God is seen under universal elitism. The attempt to comprehend the Kingdom of God revealed in the Synoptic Gospel without Jesus Tradition confuses the readers, because it is not evident whether the Kingdom of God mentioned is referring to the one exclusively for the Israelites only or to a more universal one, which is for all nations and tribes. Nonetheless, the Q source clearly states the Kingdom of God from the universal elitism. Thirdly, this Kingdom of God is in completeness and geared towards perfection. God is perfect and complete. On the other hand, human beings, who are not perfect. But they can move toward completeness by the grace of Christ. Moreover, completeness is the portrayal of the ultimate stage of maturity that humans should aspire. Missionaries should also aim for completeness in their mission work. In order to not only overcome the historical distance between the Jesus Tradition and the 21st Century church,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God’s heart and His will. In the Old Testament, the recognition of God varied among God’s chosen people and the prophets according to their faith. Except direct revelation, the illustration on the perception of God differed for God’s servants were the means of vision and revelation— perceived God. Indeed, their understanding of the Kingdom of God also differed. The Kingdom of God is both in present- and future-oriented. The Kingdom of God arrived with the coming of Jesus Christ to earth, and it is proceeding to the universal completion. This Kingdom of God is comprehended in missiological perspective in the body of the thesis; however, since this thesis study is not in a phenomenological approach but rather in an ontological understanding of the Kingdom of God, now the duty to apply concretely this understanding in the mission field—which is the field for practi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