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피아노교수법 연구의 현황과 과제

        최진호 ( Choi Jin Ho ) 한국피아노교수법학회 2017 음악교수법연구 Vol.18 No.2

        본 연구의 목적은 그동안 지속되어 온 피아노 교수학 관련 연구들의 연구유형과 주제들을 파악하여 한국 피아노교수법 연구의 현황을 밝히고 미래의 한국 피아노교수법 연구가 나아가야할 방향 및 과제를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에서 출간되는 대부분의 논문이 포함된 한국교육학술정보원에서 제공하는 논문 검색엔진인 RISS(www.riss.kr)를 통해, 그동안 한국에서 출간되어온 피아노교수법 관련 논문들의 데이터를 확보하여, 한국 피아노교수법 연구의 동향을 분석하고, 앞으로 나아갈 과제를 제시해 보았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한국 피아노교수법 연구는 한국 피아노교수법 학회의 발전과 맥을 함께하고 있었으며, 5시기로 구분된 피아노교수법학회의 역사적 흐름과 정확히 일치하는 발전 양상을 보였다. 둘째, 피아노 교수법 학회지인 ‘음악교수법연구’가 전체 한국 피아노교수법 연구논문의 73%(n=112)를 포함하고 있어, 피아노 교수법 연구에 중추적 역할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피아노교수법 연구대상별 분석 결과 62.7%(n=96)가 대학생(전문가) 및 초등학생에 집중되어 있고, 유아, 성인, 특수계층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어 연구대상의 쏠림현상이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피아노교수법 연구의 76%(n=117)의 논문이 문헌연구방법을 사용하고 있고, 양적연구는 11%(n=18)에 그쳐, 피아노교수법 연구의 연구방법론적 다양성을 확보하는 것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methodological trend of piano pedagogy research in Korea and provide suggestions to the future research direction of Korean piano pedagogy. In order to achieve this goal, this study used RISS (www.riss.kr), the web search-engine regulated by Korean government for collecting and analyzing data.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ing. First, the developmental stages of the Korean piano pedagogy research was the same as those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Piano Pedagogy(KAPP). Secondly, the ‘Research in Music Pedagogy(RMP)’, a main journal of KAPP, was the most important journal contributing studies of Korean piano pedagogy in that 73% of piano pedagogical studies in Korea was published in RMP. Thirdly, research subjects in Korean piano pedagogy focused on college and elementary students while toddlers, adults, and special needs were very limited. Lastly, majority of Korean piano pedagogy studies were review articles(76%). Thus, studies in Korean piano pedagogy needs to balance research methodologies and subjects.

      • KCI등재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피아노 교수법에 관한 연구

        서해합 인문사회 21 2022 인문사회 21 Vol.13 No.4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피아노 교수법에 관한 연구서 해 합* 연구 목적: 본 연구는 스마트 기기와 피아노 교수,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피아노 교수법 개발의 필요성에 대해 살펴보고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효과적인 피아노 교수법에 대해 제안하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연구방법은 문헌고찰 방식을 사용했다. 연구 내용: 연구 내용으로는 선행연구를 검토하고, 스마트 기기의 활용 및 피아노 교수법에 대해 분석하였으며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피아노 교수법에 대해 제안하고자 하였다. 결론 및 제언: 연구결과 첫째, 스마트 기기는 우리 사회 전반에 영향을 미치고 있지만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피아노 교수법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스마트 기기의 활용은 학습자의 흥미와 동기를 유발하고 피아노 교숩에 대한 진입장벽을 낮출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스마트 환경에서 교수자와 학습자는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는 수업이 가능하며, 자기주도적인 학습이 가능할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QR코드의 활용으로 몰입도와 수업에 대한 흥미를 끌어낼 수 있으며, 다섯째, SNS를 통해 피아노 전반에 대한 흥미를 넓히고 심화학습으로 이어질 수 있을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 피아노 교수자에게 스마트 기기 사용법에 대한 교육을 지원하여 클래식과 피아노에 대한 사람들의 관심을 증대시키고 피아노 교수법의 다양화로 이어질 수 있기를 기대한다. 핵심어: 스마트 기기, 피아노 교수법, 스마트 교육, 교수 및 학습방법, 모바일 러닝 □ 접수일: 2022년 7월 11일, 수정일: 2022년 8월 12일, 게재확정일: 2022년 8월 20일* 세종대학교 대학원 음악학과 박사과정(Doctoral Course, Sejong Univ., Email: xuhaigewh520@naver.com) A Study on How to Teach Piano Using Smart DevicesXu Haige Abstract: This study tried to examine the necessity of developing a piano teaching method using smart devices, piano teaching, and smart devices, and to suggest effective piano teaching methods using smart devices. For this reason, the literature review method was used as the research method. As the contents of the study, previous studies were reviewed, the use of smart devices and piano teaching methods were analyzed, and piano teaching methods using smart devices were proposed.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it was found that although smart devices are affecting the overall society, research on piano teaching methods using smart devices is insufficient.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use of smart devices can provoke learner’s interest and motivation and lower the barrier to entry into the piano. Third, in a smart environment, teachers and learners can take classes regardless of time and place, and self-directed learning is possible. Fourth, it is possible to draw immersion and interest in the class by using QR code. Through these research results, it is expected that by supporting education on how to use smart devices for piano instructors, it will increase people’s interest in classical music and piano and lead to diversification of piano teaching methods. Key Words: Smart Device, How to Teach Piano, Smart Education,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Mobile Learning

      • KCI등재

        음악교수법연구 : 음악대학 비피아노전공생들을 위한 국내외 피아노교재 분석

        권수미 ( Sumi Kwon ) 한국피아노교수법학회 2011 음악교수법연구 Vol.8 No.-

        우리나라 대부분의 음악대학에서는 비피아노전공 음대생들에게 제2실기, 부전공실기, 혹은 클라스 피아노라는 명칭으로 피아노실기를 선택 혹은 필수로 학습하게 한다. 이 과목의 운영에 대한 선행연구에서 제시된 문제점 중의 하나인 ‘전문교재의 부재’에 대한 대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현재 외국과 우리나라의 비피아노전공 음대생들을 위하여 개발된 피아노교재들을 분석하여 우리나라 교육현실에 적합한 피아노 교재의 구성, 내용, 및 지도방법 등을 살펴보는 것이 이 연구의 목적이다. 실제 교재들을 분석해 본 결과, 음악대학에서 사용되는 부전공피아노 실기를 위한 교재는 그 교재구성, 분량, 내용, 연습곡의 선택 및 병행교재 등에 있어 기존의 성인초보자를 위한 피아노 교재와 확실한 차이점이 발견되었다. 이 연구를 통하여 우리나라 음악대학 비피아노전공생들을 위한 보다 전문적인 피아노 교재의 필요성을 깨달으며 그 개발이 이루어지기를 기대해 본다. Most of music colleges and universities in Korea require non-piano major music students to take piano lessons under the title of ``piano for non-piano majors,`` ``the secondary piano,`` or ``class piano.`` One of the problems suggested in operating these classes is the lack of the proper teaching method.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the proper piano method for college required piano by analyzing the representative foreign piano methods and comparing with the one published in Korea. The result of this research reviewed that the piano method for college required piano should be different from that for the general adult beginners in terms of amount, structure, contents, and other characteristics.

      • KCI등재

        쇼팽의 교수법과 피아노 연주기법: 교사와 학생을 위한 새로운 통찰력

        문영미 ( Moon Youngmi ) 한국피아노교수법학회 2016 음악교수법연구 Vol.17 No.2

        본 연구는 쇼팽의 피아노 작품을 더 잘 이해하고 가르칠 수 있도록, 그의 교수법을 조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본 저자는 쇼팽의 피아노 교사로써의 배경과 그가 저술한 교수법 교재 [Sketch for a Method]를 살펴보았다. 쇼팽의 동시대 음악가들과 제자들을 통해 기록된 문서도 조사하여, 쇼팽의 피아노 연주기법과 그의 양식적 특성도 반영되었다. 또한, 쇼팽의 무용가와 무용반주자로써의 중요한 배경이 그의 피아노 연주기법에 어떻게 영향을 미쳤는지도 간단히 논의되고 있다. 쇼팽의 교수법과 피아노 연주기법에 관한 연구는 그의 피아노 작품을 더 효과적으로 가르치기 위해서 매우 중요하다. 본 논문을 통하여 피아노 교사들은 쇼팽이 어떻게 학생들을 가르쳤는지 발견하게 될 것이며, 그가 그의 연주에서 사용한 기법과 학생들을 가르치는데 강조했던 그 기술적 통찰력을 깨닫게 될 것이다. 이 기술적 통찰력에는 그가 피아노를 연주하는데 고려하였던 좋은 손가락번호를 선택하고, 손목을 유연하게 사용하는 것에서부터 자연스러운 생리학적 접근방법에 관해 발전시키는 것도 포함되어있다. 이런 기술적 조언뿐만 아니라, 쇼팽이 추구한 연습법, 음악적 표현법, 그리고 페달 사용법 등의 좋은 아이디어를 통해 교사들이 학생들의 음악성을 발전시키는데 많은 도움을 줄 것이다. 그리고 학생들은 더 발전된 테크닉과 더 훌륭한 음악성으로 청중들과 더 나은 소통을 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논문은 교사들에게 테크닉과 음악성에 대해 새로운 생각을 일깨워 줄 것이며, 이 새로운 방법이 학생들을 지도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In this article, I will explore Chopin’s own pedagogical philosophy for pedagogical suggestions for better understanding and teaching his piano music. For the research, I investigate Chopin’s background as a teacher with his teaching method [Sketch for a Method]. Moreover, it includes insights into Chopin’s pianism and his stylistic characteristics through documentation provided by his contemporaries and students. In addition, Chopin’s integral relation to dance as both a dancer and dance accompanist influenced on his pianism is briefly discussed. This research into Chopin’s teaching and pianism is important because it will lead to more effective teaching. Piano teachers will discover how Chopin himself taught, learning some of the technical insights that he employed in his own playing and emphasized in his teaching. These technical insights include everything from selecting the best fingerings to playing with a flexible wrist to developing a natural physiological approach to the piano. In addition to technical advice, Chopin’s ideas on such topics as practicing, musical expression, and pedaling can greatly assist the teacher in developing students’ musicality. Students who have a better developed technique and who play more musically will be able to communicate their ideas better with the audience. This article will give teachers new ways of thinking about technique and musicality and new ways to explain those ideas to students.

      • KCI등재

        다중지능이론과 싸이네스테시아이론을 융합한 피아노교수법 모색

        박지원 ( Park Ji Won ) 한국피아노교수법학회 2018 음악교수법연구 Vol.19 No.2

        본21세기의 화두는 온통 융합과 통합으로 대변되며, 이러한 기치아래 현시대는 지식을 대 통합하는 원류를 따르고 있다. 어느 시대나 총체 혹은 통합, 환원 혹은 해체냐의 논리를 번복하거나 시도해온 것이 사실이고 이러한 조류는 시대마다 신 용어, 새로운 도식, 개념을 설파하여 오는 것으로 시대성을 자처해 온듯하다. 본고는 지금 이시대의 통합의 분위기를 이끈 두 가지 아주 중요한 이론을 피아노교수법에 적용하여 설명하고자하며, 어떤 다른 분야보다도 예술, 특히 음악분야에 효과적으로 접목될 수 있는 이론들이라 생각하여 이 두 가지 이론을 피아노교수법에 효과적으로 융합시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전인교육으로서의 피아노교육이 순수한 과학자, 기술자, 예술가의 통합체로서 이 시대를 대변하는 교수법으로 존속하기 위해 다중지능이론의 교육학적 강점과 싸이네스테시아 이론의 감각과 지능에 관한 신과학적 논리, 예술가적인 상상력, 창의성, 독창성을 통합하여 도식화하였다. 이에 본고는 좀 더 총체적인 관점에서 피아노교육이 이해되고 연구되고 연주되어지기 바라며, 단편적인 지식들이 서로 자유롭게 교류되고 통합될 때 교육학적으로는 그 효율성과 적용, 근접성이 극대화되고 학문의 ‘다양성과 집중’이라는 두 과업을 다소 수월하게 수행하리라 생각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promoting M.I.(Multiple Intelligences) and Synesthesia (Total Senses) Theory into Piano Pedagogy, in oder to integrate learning piano in convergent and divergent ways at the same time. Since the M.I. theory is the most confidential and effective theory in the educational field, it is utterly important to bring this multi-dimensional notions to music community. 21<sup>st</sup> century’s intellectual literacy is correlated with integration, specifically, ‘Consilience: the unity of knowledge’ is discussed in many other areas already. In parallel, main topic of using synesthesia is discussed with piano pedagogy and M.I. theory simultaneously. This study attempts to develop the schemata based on combining road map of these three areas. The successful execution of this schemata depends on how the concept of synesthesia(theory of sense modality) is crystallized and links logically to the piano pedagogic issues and M.I. theory in the sense of ‘the unity of Knowledge.’ Sense modality and multiple intelligence modality are thoroughly presented with music reading, sign, bodily-kinesthetic movement, pattern recognition, interpretation, acoustics, expression, and finally the performance.

      • An Instructional Guide to Teaching Kurtag`s Jatekok Volume I to Beginning and Intermediate Piano Students

        장정욱 ( Jang Jeongwook ) 한국피아노학회 2016 피아노음악연구 Vol.10 No.-

        피아노 교수법에 있어서 여러 가지 교육방법들이 계속적으로 진화되어가고 있다. 초급단계의 피아노 학생들을 위한 전통적인 접근방법들은 대체적으로 음악이론과 악보를 읽는 기술을 발전시키는데 집중되어 있는 것이 현실이다. 그러나 몇몇의 현대적인 교수법들은 악기를 연주하면서 동시에 학생들의 몸 전체를 사용하는 방법들에 집중하고 있다. 이러한 접근방법의 가장 대표적인 작품들 중 하나는 헝가리 작곡가 쿠르탁 (Gyorgy Kurtag, 1926)의 8권으로 이루어진 모음곡 『야테콕』(Jatekok)이다. 『야테콕』1권은 쿠르탁이 직접 고안한 새로운 그래픽 음표들이 특징적인 짧은 곡들로 이루어져있고 손바닥, 주먹, 팔뚝으로 연주하는 평범하지 않은 피아노 테크닉이 사용되어 진다. 이러한 방법은 학생들이 주로 손가락으로 피아노를 연주하는 것과 다르게 몸을 사용하게 만들고 피아노의 전체 음역을 사용할 수 있게 한다. 『야테콕』은 작곡된 지 40년이 지났음에도 불구하고 헝가리뿐만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교육용 작품집으로 잘 알려있지 않은 것이 현실이다. 이것은 아마도 선생님과 학생들 모두에게 익숙하지 않은 기보법, 그래픽 음표들, 한 권에 다양한 수준의 곡들이 있는 이례적인 음악적인 요소들 때문일 것이다. 이 연구는 『야테콕』1권을 지도할 선생님에게 체계적인 안내서를 제공함으로써 보다 더 효과적인 피아노 교수법 도구로 잘 사용할 수 있도록 도와줄 것이다. 이 안내서는 『야테콕』1권이 담고 있는 교육내용을 제공하고, 원래 곡들의 순서를 레벨에 맞게 재배열할 뿐만 아니라 다양한 음악적인 기술을 창의적으로 가르칠 수 있는 교수법을 제공한다. Pedagogical methods in piano instruction are constantly evolving. Traditional approaches for beginning students typically focus on teaching music theory and developing the skills necessary to read music. Some contemporary methods, however, are centered on training students to use their whole body while playing the instrument. These more recent methodologies allow students to bond with the piano in a more personal manner, as if they were playing a game with a big toy. One of the most representative works of this approach is the eight-volume collection Jatekok (1973) by Gyorgy Kurtag (b. 1926). Volume I of Jatekok consists of short pieces featuring a new graphic notation devised by Kurtag himself. It also incorporates the use of unusual piano techniques, such as playing with the palm, fist, and forearm. The method also explores the use of the entire range of the instrument. Though the work is over 40 years old, Jatekok is only infrequently used as a teaching tool for piano instructors in Hungary, and is unknown in the United States. This probably stems from the fact that it presents students and teachers with atypical musical elements such as unusual notation, use of an unlimited register, and pieces that feature varying degrees of difficulty within the same volume. This study provides a guideline which will assist instructors in implementing Jatekok`s Volume I effectively as a pedagogical tool by introducing instructor`s teaching content, rearranging the original order of pieces in ascending level of difficulty, and providing a methodology to creatively teach the three most significant musical skills to be developed through Volume I.

      • KCI등재

        한국피아노교수법학회논문집 : Murphy-Meisgeier Type Indicator for Children (MMTIC) 기질별 학습스타일에 따른 피아노 교수법 적용 연구

        이정연 ( Jung Yeon Lee ) 한국피아노교수법학회 2010 음악교수법연구 Vol.6 No.-

        피아노 레슨을 할 때, 교사와 학생간의 관계형성이 잘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서로에 대한 부정적인 시각이 강해지며 교사는 자기 중심적 레슨을 하게 된다. 또한 학생 개개인의 성격이나 음악적 재질등의 차이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획일화된 레슨은 가능성이 있는 학생의 흥미를 떨어뜨리기도 한다. 심리학자 Jung은 교육의 목적은 어린이에게 모든 경향을 똑같이 발달시키도록 돕는 것이 아니고 오히려 어린이가 자신의 고유한 경향을 지닌 잠재력을 발견하도록 돕는 것이라고 했다. 그러므로, 선생님이 알아야 할첫 번째는 바로 아이의 고유한 성격유형과 기질을 파악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성격유형에 맞는 개개인별의 피아노 교수법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학생들의 기질별 피아노 학습 스타일의 관계를 분석하여 성격유형에 맞는 피아노 교수법 적용에는 어떤것이 있는지 알아보는데 있다. 본 연구 결과, SP(감각인식형)아동들은 행동하려는 충동과 자유로운 행동방식을 과시하고픈 욕구가 강하고, 몸으로 부딪히며 배우는 스타일이기 때문에, 일반적이고 전통적인 레슨 방식에 흥미를 느끼지 못한다. 그러므로 피아노 레슨을 할 때는 약간의 자유도 허용되는 가운데 즐겁고 재밌게 레슨을 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SP 아동들은 다른기질의 아이들보다 예체능 방면에 재능을 가지고 있고 흥미만 일으켜 준다면, 다른 4가지 기질 중 악기를 다루는 것에 성격이 가장 잘 맞는 기질이다. SJ(감각판단형)아동들은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모습은 안정감을 필요로 한다는 것이다. 그래서 레슨도 잘 짜여지고 준비된 레슨을 선호한다. SP와는 반대로 자유를 허용하는 분위기 보다는 규칙 안에서 구체적으로 정확히 지시해 주면서 차근차근 레슨 받는것을 더 편안하게 느낀다. 이 기질의 아이들은 선생님이 레슨 하기에 가장 잘 맞는 유형으로 선생님의 말을 잘 따른다. 자신의 평가보다 선생님의 평가에 민감하게 반응하며 인정받기 위해 노력한다. 연습을 할 때는 스스로 연습하는 것보다는 선생님이 정해준 연습을 하는 것을 선호하며, 성실하고 책임감이 강해 숙제를 잘해온다. NT(직관사고형)아동들은 바로 “호기심”이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유형이다. 그러므로 그들의 호기심을 자극시켜 집중할 수 있도록 해주며 간략하고 정확하게 반복적이지 않게 레슨을 이끌고 가야 한다. 또한 미지의 세계에 대한 신비함을 통해 에너지를 얻으며 자율성이 강한 편이라 알고자 하는 욕구가 충족될 때까지 정보를 모으는 등 자기 스스로 알아내길 원한다. 그러므로, 선생님은 인내심을 갖고 지켜봐 주어야 하고 NT 아동이 중요하게 여기는 것에 대해 귀 기울여주는 것이 좋다. NF(직관감정형)아동들은 인정과 보살핌, 인간적인 관심, 상호교류 등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이 기질은 특히 다른 사람과의 관계가 많은 영향을 끼치기 때문에 레슨 하는데 있어서 그 무엇보다도 아이와 선생님과의 신뢰를 쌓는 것이 최우선이다. 또한 칭찬을 할 때는 그들만이 가지고 있는 장점을 부각시켜 이야기 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또한 선생님이 아주 사소하고 그냥 지나칠만한 비평이라 할지라도 NF아동들에게는 매우 파괴적인 영향을 가져 올 수 있으므로 꼭 필요할 때는 칭찬과 함께 지혜롭게 첨가되어야할 부분이다. NF아이들은 예습을 해 올 때, 레슨시간에 호기심을 가지게 되므로 숙제를 꼭 해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효과적인 레슨을 끌어 낼 수 있다. 이처럼, 학생의 성격유형의 차이는 피아노 학습 스타일에 큰 영향을 미치고, 그들의 성격차이에서 오는 행동을 이해함으로써 교사 자신이 지향하는 교수방법만을 고집하는것이 아니라 학생의 기질에 맞는 학습스타일을 살려 최대한의 레슨 효과를 올릴 수 있는 것이다. In piano teaching, teachers offer self-centered lessons to their students with negative perspective unless they do not build up the relationship. In addition, if teachers teach their students by rigid rule without any concerning of their differences of personalities or musical abilities of individuals, it can make them loose their interesting easily. A child psychologist, Jung said the goal of education is not to help a child to develop in the normal ways, but to encourage discovering his/her potentials with by him/herself. To do this, teachers has to find out the types of temperament of each student. A goal of this study is to recognize the need of different piano pedagogies with different personalities and to find out what is the most effective piano teaching method for each student by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style and different personalities. As a result of this study, SP children tend to act impulsively and have strong desire to show themselves off. Usually, they do not like a typical lesson method because they like to learn by experiencing. Therefore, it is more effective to make them feel free and fun rather than offering a typical and rigid lesson. The SP children are more talented at the art than other tempers, so they are suited for learning the piano if teachers motivate them. The common aspect of SJ children is the need of safety. So, they prefer well-prepared lessons. Opposite to SP children, they feel safe when they are ordered in details by their teacher rather than having free space. These types of children are easy to teach because they obey the rule. They are sensitive to evaluation and try to get positive feedback from their teachers. Most of them work very hard and do their homework with a strong sense of responsibility. Theses types of children do not ask “why” because they think it is rude for their teacher. So, teachers should observe their mind very carefully. Curiosity is the common aspect of NT children. So, it is effective way to stimulate their curiosity and to provide simple and accurate lessons without many repetitions. In addition, they like to get information until they are satisfied, because they obtain some energy from curiosity about unknown world. Also, they need time to think and find out the way of learning by themselves. Therefore, teachers should wait their students patiently and listen carefully what the students want. NT children essentially need feelings of care, humanity and mutual relationship. The most important factor for those students is building up relationship and providing trust through lessons because they are influenced easily by the relationship with other people. In addition, it is more effective way to give prominence to merits when teachers compliment them. Teachers should give not only critiques but also some praise too because NF children can be damaged very easily by little critiques. The children can have more curiosity when they prepare their lessons, so it is helpful to encourage them to do their homework. As I discussed above, the differences of the type of temperaments can influence their styles of learning. Therefore, teachers should not stick to their teaching methods, but be flexible by understanding different personalities and learning styles of each student in order to provide effective lessons to them.

      • 달크로즈 교수법을 활용한 초등 방과후학교 클래스 피아노 프로그램 연구

        심라경 한국달크로즈학회 2009 한국달크로즈논집 Vol.1 No.-

        The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MEST) announced ‘Plans for Year 2010’ which is expanding the operation of ‘After School’ programs as a method to reduce spending on private education through public education enhancement. The study is based on the effective development of education programs for elementary students’ abilities and aptitudes to practical needs. It is also based on the musical theories of comprehensive musicianship and related to the Revised National Music Curriculum in 2007. Class Piano Programs using the Jaques-Dalcroze method and various classical pieces from different periods of time are applied. The final step ends with a review of the day’s lesson. In the last week of each quarter, reviews are made of all the lessons taught during the quarter and open classes are prepared for the students’ parents. According to the activities of the Class piano program of 32 weeks, students gain an understanding of music terminology, sight readings in grand staffs, and in developing comprehensive musicianship which the students express with movement of their bodies after listening to music. There are some suggestions for successful Class piano lessons as after school programs. First, the educational environment and system should be provided for elementary students in order to give successful instruction in Class piano lessons. If the facilities in a piano laboratory at school are insufficient, alternative ways should be sought. For example, classes could be operated in the Academy of Continuing Education, Youth Training Centers, and residents’ self-administration centers which already have many programs. Second, Class piano lessons are approached not only in keyboard activities, but also include diverse activities such as physical movements, rhythm, improvisations, etc. For this goal to be fully realized, musical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to improve teachers’ teaching skills. Moreover, A College of Music should provide piano instructions and supported curriculum to ensure that the students be well-trained piano teachers with globalized teaching abilities upon graduation. The Music Research Center and the Academy of Continuing Education should open various kinds of lectures to foster music teachers. Third, support should be available for the study of and interests to systematically develop the texts and materials. Fourth, Class piano programs for students’ abilities in Korean music education system should also be incorporated. In France, there is a good after-school program called the Conservatoire. Students learn about Solfege and various music theories in order to play the piano and other musical instrumentals in a year. Finally, taking all of the after school programs globally and domestically into consideration, the programs in our next study will be revised and supplemented. Those revisions will also be developed for junior and senior high school students and be extended more systematically and more relevantly to Class piano teaching methods for after school programs. 교육과학기술부는 ‘공교육 내실화를 통한 사교육비 경감’을 위한 방안으로 방과후학교를 확대 운영하는 ‘2010년 업무계획’을 발표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시대적 요구에 부합하면서 학생들의 소질과 적성을 효과적으로 계발할 수 있도록 클래스 피아노 프로그램에 포괄적 음악성 계발의 원리를 바탕으로 하고 있고 2007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과 연관성이 많은 ‘달크로즈 교수법’과 다양한 시대의 ‘클래식곡’을 적용하여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는 방과후학교에 달크로즈 교수법을 활용한 클래스 피아노 프로그램을 도입하여 초급수준의 초등학생들이 음악의 기본 악기인 피아노를 통해서 음악의 즐거움을 느끼고 포괄적 음악성을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 KCI등재

        달크로즈 교수법 기반으로 한 온라인 피아노 교수방법 연구

        차오씬 한국문화융합학회 2024 문화와 융합 Vol.46 No.3

        본 연구의 목적은 달크로즈 교수법을 기반으로 온라인 피아노 교습의 중요성을 탐색하고, 이를 통해 온라인 피아노 교습의 발전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바이엘 피아노 교본을 사용하는 유사한연령과 능력을 가진 젊은 초보자를 대상으로 달크로즈 교수법의 세 가지 지도법을 적용하였다. 18명의학습자를 대상으로 강의실과 강의 내용을 설정하고 강의 후기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달크로즈 교수법을 적용한 온라인 피아노 교육이 효율성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교수법과 온라인 피아노 교육의 효과적인 결합을 위한 학문적 기반을 마련하고, 향후 온라인 피아노 교육분야에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ractical value and importance of the Dalcroze method in online piano instruction and to suggest directions for the development of online piano teaching. To achieve this, three instructional methods of the Dalcroze approach were applied to young beginners of similar age and ability using the Beyer piano textbook. The study involved setting up classrooms and lesson content for 18 learners and analyzing their feedback. The results indicate that applying the Dalcroze method in online piano education positively impacts efficiency improvement. This study aims to establish an academic foundation for the effective combination of instructional methods and online piano education and is expected to make a substantial contribution to the future of online piano education.

      • KCI등재

        고영신의 <고흐의 피아노 솔로를 위한 5개의 환타지>에 대한 해석과 교수법적 접근

        박부경 한국피아노교수법학회 2019 음악교수법연구 Vol.20 No.2

        <Five Fantasies for Piano Solo, “For Vincent Van Gogh”> by Young-shin Ko, piano solos inspired by Van Gogh's “Trees and Undergrowth” “The Potato Eaters,” “Terrace of a cafe at night (Place du Forum)” “Self-Portrait with Bandaged Ear and Pipe” and “Starry Night on the Rhone”. The performer had to understand Gogh's philosophical and spiritual world in order to play the work. This study was conducted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Gogh's philosophy and works and apply them to piano performance and teaching. Gogh tried to express his psychological state, background of life and philosophy in his works using symbolic media, and Go Young-shin Ko reflected these Gogh’s traits in his work.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erpret Young-shin Ko’s <Five Fantasies for Piano Solo, “For Vincent Van Gogh”> and suggest way of expression and piano teaching. It is hoped that through this study, creative composition and performance combining picture and music will be more enriched and activated. 고영신 작곡가의 <고흐의 피아노 솔로를 위한 5개의 환타지>는 반 고흐(Van Gogh)의 다섯 작품, ‘숲의 정경’, ‘감자먹는 사람들’, ‘아를의 포룸 광장의 테라스’, ‘파이프를 물고 귀에 붕대를 감은 자화상’, ‘론강의 별이 빛나는 밤’에 영감을 받아 작곡된 피아노 독주 작품이다. 작품 연주를 위해 연주자는 본 작품의 영감 소재인 고흐의 철학과 작품세계를 먼저 이해하여야 하기에, 본 연구는 고흐의 창작세계의 근간이 된 그의 철학과 작품 특성을 파악하여 이를 피아노 연주에 적용하고자 한다. 고흐는 작품에서 그의 심리상태, 삶의 배경, 철학들을 상징적 매개체를 활용하여 표현하였으며. 고영신의 작품 속에는 이러한 고흐의 생각들이 반영되어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작곡의 영감 소재인 고흐 작품에 대한 이해를 통하여, 고영신의 <고흐의 피아노 솔로를 위한 5개의 환타지>에 대한 피아노 연주의 해석 및 표현과 교수방법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를 통해 관객과의 소통을 확장시킬 수 있는 그림과 음악이 결합된 현대작품에 대한 창작과 연주들이 더욱 확산되기를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