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나승일,정철영,문세연,정동열,남중수,김은석 한국농·산업교육학회 2010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Vol.42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long-term development model and performance management system of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s. To achieve the purpose, performed diagnostic assessment of 71 schools, survey for needs assessment. first, the results of diagnostic assessment were; requirements of curriculum which reflect latest industrial trend, reinforcement of specialized education program, strength of whole teacher's specialized awareness, employment rate, and introduction of evaluation index that reflect school characteristics. Second, the major needs were; the effort to improve the operating system which is considering the operation model, cooperation for an implementation of customized field based curriculum, the expansion of adjunct teacher, participation of entire teacher and reinforcement of specialization capacity, presentation of a carrier path for the student and reinforcement the carrier guidance, preparation of a performance management which is considering both operation model and stage of growth. third, operational diagnosis and demand analysis, it was developed that basic long-term development model and long-term development model by industries. also specialized operational model(small, single, multiple and comprehensive type) and stages of growth(leading specialization, operational improvement of specialization, reforming the specialization system) was developed. fourth, 17 strategies(including operation system, curriculum, teachers, students, and performance management) were developed. fifth, suggestions for development, administration perform the supporting and assessment concerning the operation model and stages of growth. unit school make a plan for specific development following by long-term development model. 이 연구의 목적은 중소기업 특성화 전문계고의 장기발전모형을 개발하고 추진과제를 마련하는데 있었다. 이를 위해 중소기업청 특성화고 사업에 참여하는 71개교를 대상으로 진단평가를 실시하였으며, 요구분석을 위한 설문조사가 실시되었다. 이를 통해 장기발전모형을 개발하고 추진과제를 도출하였으며, 전문가들로부터 타당성을 검토 받았다. 첫째, 특성화 전문계고 운영 진단 결과, 최신 산업 트랜드를 반영한 인력양성 노력, 정규교과 외 특성화 교육 강화, 전체 교원의 특성화 인식 강화, 취업률 강화, 학교 특성을 반영한 평가지표 도입에 대한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둘째, 요구분석 결과, 특성화고 운영 모델을 고려한 운영체제 개선 노력, 현장기반 맞춤형 교육과정 운영을 위한 산업체 연계, 산학겸임교원의 활용 확대, 전체 교원의 참여 및 특성화 역량 강화, 학생 성장경로 제시 및 진로지도 강화, 특성화고 운영 모델과 성장단계를 고려한 성과관리 마련 등이 요구되었다. 셋째, 운영 진단 및 요구분석을 통해 특성화 전문계고 장기발전 기본모형 및 산업분야별 장기발전모형을 개발하였으며, 특성화 운영모델(소규모형, 단일형, 복합형, 종합형)과 성장단계(특성화 선도, 특성화 운영개선, 특성화 체제개편)를 개발하였다. 넷째, 특성화 전문계고 추진과제로 운영체제, 교육과정, 교원, 학생, 성과관리 영역에서 총 17개 과제가 도출되었다. 다섯째, 향후 추진을 위한 제언으로 각 주체간의 협력, 단위학교차원의 장기발전 모형 및 추진과제 개발, 장기발전모형을 활용한 성과시스템, 교육과정 모델, 학과체제 개편방안 개발이 필요하다.
정보특성과 정보원천특성의 효과 : SNS 패션 인플루언서를 중심으로
류현재,이경탁 한국전략마케팅학회 2021 마케팅논집 Vol.29 No.4
본 연구는 SNS 인플루언서가 제공하는 정보특성과 정보원천으로 인플루언서의 특성이 소비자의 태도, 쇼핑몰입, 구매의도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는 것이 목적이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SNS를 통한 정보습득 및 구매행위가 가장 활발한 패션산업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정보특 성을 유용성, 신뢰성, 최신성으로 구분하였고, 정보원천특성은 유사성, 매력성, 유희성으로 구분하였다. 자료는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하였다. 조사대상은 최근 1년 이내 SNS 패션 인플루언서들을 통 해 패션제품에 관한 정보를 탐색한 경험이 있는 사람들이다. 분석에 이용한 자료는 286명이다. 분석결 과를 보면 다음과 같다. 정보특성 중에서는 유용성과 최신성이 태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 타났다. 그리고 정보원천의 특성 중에서는 유사성과 유희성이 쇼핑몰입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쇼핑몰입은 태도와 구매의도에 직접적이고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태도도 구매의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쇼핑몰입은 태도와 구매의도 간에 매개적 역할을 하는 동시에 구매의도에 직접적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학술 적, 실무적으로 유용한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s of information characteristics provided by SNS influencer and influencer characteristics on consumers' attitudes, shopping commitment, and purchase intentions. In order to achieve the research purpose, a study was conducted on the fashion industry where information acquisition and purchase activities were active through SN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n online survey. The subjects of the survey are those who have searched for information on fashion products through SNS fashion influencers over the past year. The data used for the analysis were 286.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Among the information characteristics, usefulness and up-to-date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attitudes. In addition, among the characteristics of information sources, similarity and playfulness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shopping commitment. Shopping commitment was found to have a direct and positive effect on attitudes and purchase intentions. In addition, attitudes were also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purchase intention. Therefore, it was confirmed that shopping commitment plays a mediating role between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 while directly affecting purchase intention.
특성 불안이 높은 여자대학생의 행동 모니터링에 관한 사건관련전위 연구
문석현,김명선 한국인지및생물심리학회 2018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Vol.30 No.3
This study investigated action monitoring in female college students with high trait anxiety using event-related potentials (EPRs) and Simon task. Based on the scores of State-Trait Anxiety Inventory Y version trait scale and Welsh Anxiety Scale, high trait anxiety (n=24) and low trait anxiety (n=23) groups were determined. The Simon task consists of two conditions-congruent and incongruent conditions. The locations of stimulus and response were the same in the congruent condition, whereas the locations of stimulus and response were different in the incongruent condition. Participants were instructed to press one of four buttons assigned to the location of a stimulus. High and low trait anxiety groups showed comparable behavioral performance. In terms of ERPs, high trait anxiety group exhibited significantly larger amplitude of error-related negativity (ERN) and correct response negativity (CRN) on Cz electrode site than low trait anxiety group. And there were negative correlations between ERN/CRN amplitudes on Cz and trait anxiety level.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female college students with high trait anxiety have a different action monitoring pattern from that of low anxiety group and ERN/CRN amplitudes could be used as trait markers of anxiety disorder. 본 연구는 불안장애 환자에서 비교적 일관되게 보고되는 행동 모니터링 특성이 불안장애 고위험군인 높은 특성불안을 가진 여자 대학생에서도 관찰되는지를 알아보았다. 상태-특성 불안 검사의 특성 불안 척도(State-Trait Anxiety Inventory trait scale: STAI-Y trait)와 Welsh 불안 척도(Welsh Anxiety Scale: WAS) 점수에 근거하여 높은 특성 불안군(n=24)과 낮은 특성 불안군(n=23)을 선정하였다. 행동 모니터링의 측정에는 사이먼 과제를 사용하였고, 사이먼 과제의 수행 동안 사건관련전위를 측정하였다. 사이먼 과제는 자극 위치와 반응 위치 간의 연합을 기본으로 하여, 자극의 위치와 반응 버튼의 위치가 동일한 일치 조건, 자극의 위치와 반응 버튼의 위치가 서로 다른 불일치 조건으로 구성되었다. 연구참여자에게는 자극이 제시되는 위치와 상관없이 각 자극에 이미 할당된 반응 버튼을 빠르고 정확하게 누르는 것이 요구되었다. 행동 자료 분석 결과, 반응 오류율과 반응 시간에서 높은 특성 불안군과 낮은 특성 불안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다. 사건관련전위 분석 결과, 낮은 특성 불안군에 비해 높은 특성 불안군이 중앙 전극영역(Cz)에서 유의하게 증가된 오류관련 부적전위(error-related negativity: ERN) 진폭과 정반응 부적전위(correct response negativity: CRN) 진폭을 보였으며, 이 결과는 우울과 과제 수행 전 상태불안을 통제한 경우에도 관찰되었다. 또한, Cz에서의 ERN과 CRN 진폭이 특성 불안 점수와 유의한 상관을 보였다. ERN과 CRN은 행동 모니터링 과정을 반영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높은 특성 불안군이 낮은 특성 불안군과 다른 행동 모니터링 특성을 가지고, 이러한 특성이 불안장애의 특성지표일 가능성을 시사한다.
개별건물기반 주차상한제 운영을 위한 적정주차대수 추정에 관한 수정연구
이재영 한국정책분석평가학회 2010 政策分析評價學會報 Vol.20 No.4
도심지역의 혼잡완화를 위한 교통수요관리방법인 주차상한제도는 규제적인 성격이 강하기 때문에 제도의 실효성을 담보하기 위해서는 합리적인 구역설정이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지금까지의 토지이용을 기준으로 한 면적(面的)인 방식은 개별건축물의 주차특성, 위치특성은 물론 교통량, 교통소통 수준 등 동적인 요인을 고려하지 않고 획일적 기준을 적용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주차이용 행태적 특성, 대중교통이용 가능성, 토지이용 및 건물의 특성 등을 고려하여 개별건물별로 적정한 주차상한대수 추정방법을 제시하고, 이를 사업대상지역에 적용하여 사회적 비용의 절감효과를 추정하였다. 특히, 본 연구는 저자의 1차 연구를 보완한 것으로 모형구조를 재설정하고, 전문가를 대상으로 재조사를 실시하여 1차 연구와는 달리 기존 도시에 적용이 가능한 보다 단순화된 모형을 도출하였다. 효과 분석방법에서도 시나리오를 보다 현실성있게 수정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동일지역에 위치한 건물임에도 불구하고 주차이용특성은 개별건물의 특성, 구역의 특성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따라서 적정 주차대수추정은 도시특성, 구역특성, 건물특성 등으로 구분하여 추정모형을 설정하고, AHP기법을 이용한 추정방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173개 개별건물의 추정량을 기반으로 사회비용의 절감효과를 추정한 결과 연간 약 95억원이 절감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결론적으로, 개별건물의 주차 및 교통특성을 반영한 주차상한제는 획일적 기준에 따른 문제점을 개선함으로써 제도시행의 합리성을 제고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나은숙(Na, Eun-Suk)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013 한국영유아보육학 Vol.0 No.75
본 연구의 목적은 창의적 특성이 높은 유아에게 유아의 놀이몰입특성이 어떻게 나타나는지 알아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전경원(2000)의 K-CTC의 창의적 특성검사를 실시하여 창의적 특성 점수가 높은 만 4, 5세 유아 8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였다. 자료 수집은 2011년 9월부터 12월까지 참여 관찰과 비디오 녹화, 심층면담, 문서 자료를 수집하여 사례 연구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유아들은 놀이를 어떻게 할지 분명한 목표를 세우는 특성, 놀이를 주도적으로 이끌며 자신이 놀이를 잘하고 있다는 것을 아는 특성, 도전과 기술의 균형을 통한 자기 개선적인 특성, 현재 진행되는 놀이에 집중하는 특성, 자기목적 추구적인 특성이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교사가 창의적 특성이 높은 유아의 놀이몰입특성을 이해하는 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ow the young children’s the flow of play affects high creative traits of four and five year young children. The participants were 8 young children with high creative traits. The tools used in this study was Korean Creative Trait Checklist(K-CTC), which was designed by 전경원. The study was conducted for three months from September to December, 2011. The data was collected through participation observation, video recording, in-depth interview, and material collections.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case study.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the young children’s the flow of play was high in five trait domains: setting up clear goals for their playing, knowing how well one is doing and play a proactive lead, being self-improved through the balance between challenge and skill, concentrating on their proceeding plays, and autotelic seeking. Therefore, this study shows that young children"s the flow of play and creative trait are closely connected. Also the result can be applied to primary material for teachers to understand absorbed features of play discovered in children with high creative trait.
특성화고 예비신입생 및 학부모의 고교 진학 준비과정 분석: 서울 지역을 중심으로
장명희(Myung-Hee Jang),김종우(Jong-Woo Kim),장영란(Yeoung Ran Jang),정동열(Dong Yul Jung),황영아(Young ah Hwang) 한국직업교육학회 2023 職業 敎育 硏究 Vol.42 No.6
본 연구는 특성화고 입학생의 고교 진학 준비 과정에서의 경험을 분석하여 특성화고 입학전형 지원 개선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이루어졌다. 이에 특성화고 입학이 확정된 예비신입생 및 예비신입생 학부모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연구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특성화고 진학 결정 단계에서는 진로와 적성을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일부 응답자는 특성화고에 대한 사회의 부정적 시선을 우려하고 있었다. 둘째, 특성화고 후진학 진학 지원 정책에 대한 인지도는 높았으나 그 밖에 지원제도에 대한 인지도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특성화고 입학 동기는 특성화고 설립 취지와 부합하는 학생이 많았으나 성적이나 대학 진학에 따라 입학을 결정하는 학생도 일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특성화고 진학·진로지도의 경우 중학교 및 특성화고 교사의 도움이 큰 것으로 나타났으나, 중학교에서의 진학·진로지도에 대한 만족도는 상대적으로 낮았다. 다섯째, 특성화고 정보 수집과 관련하여서는 지속적인 정보 제공 요구와 함께 전공이나 입학전형 준비를 위한 구체적인 정보 수집의 어려움이 확인되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특성화고의 긍정적 이미지 형성을 위한 일관된 메시지 전달, 중학교 및 특성화고 교사 대상 진학·진로지도 연수 강화, 입학 지원을 위한 구체적인 전공 정보 제공 및 지원 방안 모색을 개선방안으로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ways to improve vocational high school admissions support. Accordingly, in order to analyze the experiences of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in the high school preparation process, a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vocational high school freshmen and their parents. The main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many students considered their career path and aptitude at the stage of deciding to go on to vocational high school, and some were concerned about society's negative views. Second, awareness of the support policy for university admissions to vocational high schools was high, but awareness of other support policies was found to be low. Third, the motivation for entering vocational high school was often consistent with the purpose of establishing vocational high schools, there were some students who decided to enroll because of their grades or college admission. Fourth, in the case of vocational high school admission and career guidance, middle school and vocational high school teachers were found to be of great help, but satisfaction with middle schools career guidance was relatively low. Fifth, in terms of vocational high school admission information, the need for continuous provision of information and the difficulty in collecting specific information for major or admission preparation were confirmed.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improvement methods were presented to communicate a consistent message to create a positive image of vocational high schools, strengthen advancement and career guidance training for middle school and vocational high school teachers, provide specific major information for admission support.
경영자의 특성 및 사외이사의 특성이 조세회피와 자본비용에 미치는 영향
송동섭(Song Dong-seob) 한국국제회계학회 2016 국제회계연구 Vol.0 No.65
본 연구는 경영자특성과 사외이사특성이 조세회피 성향과 타인자본비용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연구의 표본은 2007년부터 2012년까지 한국증권거래소에 상장되어 기업을 대상으로 회귀분석을 통하여 검증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경영자의 특성은 조세회피성향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연구한 결과, 경영자가 인센티브를 받게 되면 조세회피성향이 커지는 것을 의미하며, 경영자의 변경도 변경되면 조세회피성향이 커지는 것을 의미하며, 둘째, 사외이사 특성은 조세회피성향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분석한 결과, 감사위원회를 설치한 기업의 경우는 조세회피성향이 감소하는 것을 의미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셋째, 경영자의 특성은 타인자본비용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분석한 결과, 경영자의 변경은 변경되면 타인자본비용이 커지는 것을 의미하며, 경영자특성을 모두 고려한 경우도 경영자변경의 경우 타인자본비용에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내며, 넷째, 사외이사 특성은 타인자본비용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분석한 결과, 사외이사의 독립성은 음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사외이사 특성을 모두 고려하면, 사외이사의 독립성은 음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characteristics of the management and outside directors on tax avoidance and capital cost. Firms listed in Korea Stock Exchange between 2007 and 2012 were selected as samples of this study and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analyze the data.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effect of the characteristic of the management on tax avoidance was analyzed, and it was found that the management’s incentive and the change of the management had a direct effect on tax avoidance. Second, the effect of characteristics of outside directors on tax avoidance was analyzed and the result showed that tax avoidance decreased in the firm with an audit committee. Third, the characteristic of the management on cost of debt capital was analyzed, and it was proved that there was a direct correlation between the change of the management and cost of debt capital. Forth, characteristics of outside directors on cost of debt capital were analyzed, and the result of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the independence of outside directors influenced on cost of debt capital inversely.
조재형,김대현,이자형,김재태 사단법인 한국부동산융복합학회 2023 부동산융복합연구 Vol.3 No.4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of store operators and analyzed them using the SPS program.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variables that had a significant effect on management performance were in the order of service characteristics >location characteristics, and facility characteristics were not significant. This means that service and location characteristics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management performance. In addition, the characteristics that affect operation satisfaction were found to affect in the order of location characteristics >facility characteristics, and service characteristics were not significant. It was found that location characteristics had a positive effect on both management performance and operation satisfaction. They should invest in facilities suitable for the industry and profitability, along with selecting a location suitable for the industry selected by small business owners, and avoiding services for excessive customers can improve the management performance of small business owners in the long run and increase operation satisfaction. This study expects that small business owners can be used as good data along with practical help to small business owners by presenting a methodology for business stabilization and managerial satisfaction. 본 연구는 점포운영특성이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실증연구를 위하여 수도권에서 소규모점포를 운영하는 사업주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경영성과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서비스특성>입지특성 순으로나타났으며, 시설특성은 유의하지 않았다. 이는 서비스와 입지특성이 경영성과에 유의미한 영향을 준다는 것이다. 또한 운영만족에 영향을 주는 특성으로는 입지특성>시설 특성 순으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서비스특성은 유의하지 않았다. 서비스특성이 경영성과에는 크게 작용하는 반면 운영만족에는 부(-)의 방향을 보인 것은 경영성과를 높이기 위한 고객에 대한 친절도 및 배려 등은 오히려 업무부담으로 작용하는 것으로보인다. 이와 같은 결과는 소규모점포운영주들은 선택한 업종에 맞는 입지 선택과 함께 업종과 수익성에 맞는 시설투자를 해야 하며, 과도한 고객에 대한 서비스는 지양하는 것이장기적으로 경영성과를 상승시키고 운영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고 하겠다
소프트웨어 제품 라인에서 JESS 규칙 기반 시스템을 이용한 특성 구성 검증
최승훈 德成女子大學校 2007 德成女大論文集 Vol.36 No.-
특성 모델(Feature Model)은 소프트웨어 제품 라인 개발 시 도메인 공학단계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모델로서, 특정 도메인에서 제품들 사이의 공통된 개념들과 서로 다른 개념들을 모델링하는데 사용된다. 구체적인 제품 생산시 특성 모델에서 특정 제품에 포함될 특성들을 선택한 결과를 특성 구성 (Feature Configuration)이라고 하며, 이것은 특정 제품에 대한 요구 사항을 나타낸다. 현재 소프트웨어 제품 라인 개발 시 특성 모델을 어떻게 구축하고 이용하는지에 대한 연구는 많이 되어 있지만, 특성 모델 및 특성 구성에 대한 정형적 모델과 논리적 추론에 대한 연구는 부족하다. 본 논문에서는 자바 언어로 구현된 규칙 기반 시스템인 JESS를 이용하여 특성 모델에 표현되어 있는 특성 및 특성들 사이의 관계/제한 조건을 JESS 언어로 정의하고 JESS가 제공하는 규칙 엔진을 이용하여 특성 구성의 불일치성(inconsistency)을 검증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본 연구는 자바 언어와의 결합성이 뛰어난 JESS 시스템에 기반을 두었기 때문에 다른 소프트웨어 개발 환경과 쉽게 통합될 수 있다.
국가 재정지원사업을 통한 공업계 특성화고등학교의 발전 사례
黃載鎬(Jaeho Howang),金秉柱(ByoungJoo Kim) 동아인문학회 2014 동아인문학 Vol.27 No.-
특성화고는 산업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우수한 기능 인력을 양성함으로써 우리나라의 경제 발전에 기여하였다. 그러나, 1990년대 이후 특성화고로서의 역할과 기능을 정립하지 못하고, 직업교육과 진학교육의 혼란에 따른 정체성 위기를 겪어 왔다. 이 연구는 A공고에서 5년 동안 시행한 국가 재정지원 사업 “중소기업 특성화고 육성사업”의 사례와 효과를 분석하였다. A공고 사례를 통하여 특성화고 발전 방향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특성화고 정체성 확립에 기반을 둔 산업체 수요에 부합하는 특성화 방향 설정 및 특성화 분야를 선정하여야 한다. 둘째, 특성화사업 이해관계자인 학생, 학부모, 교원, 산업체, 정부, 사회의 특성화관련 요구 내용 및 의견을 수렴하여 사업에 반영한다. 셋째, 특성화분야 산업체가 요구하는 기술과 인성의 Trend 분석을 기반으로 특성화 전략 및 추진과제를 설정하고 실행하여야 한다. 넷째, 특성화 중간평가 및 컨설팅을 통하여 교육수요자 만족도를 향상 시키고, 특성화사업의 효율성을 극대화하는 방안을 강구하여야 한다. 다섯째, 산업수요 맞춤식 교육으로 인재를 양성하고, 先취업 後진학이 가능한 지속성장 가능 경력 경로를 개발하여 산업체와 학교가 상호 유기적인 산학협력 체제를 구축하여야 한다. 여섯째, 차별화?특화한 교육 컨텐츠나 시스템을 구안하여 각종 국가 재정 지원사업에 공모?선정 후 지원되는 예산 확보로 수월성 교육을 실시하여야 한다. This study analyzed a case of development process of a technical high school supported by a national funding project. The object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hief elements of success of specialized technical high schools supported by the national funding project and to help specialized schools draw development plans. The survey about the chief elements of success of the specialized technical high school was carried out targeting employees in industry, teachers and students. The development plans for the specialized technical high schools which are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and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excellent student resources should be secured through a careful public relations strategy to recruit new students. Second, the departments and the curriculum should be changed in accordance with system suitable for the specialized high school. Third, the students" employment capability should be strengthened and the employment rate should be raised. Fourth,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should be improved by running differentiated programs. Fifth, school administrator should give strong guidance to secure educational budget by winning contracts of government projec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