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내셔널리즘을 횡단하는 ‘비(非)국민’의 시선 -김사량의 「향수」에 나타나는 아편 중독 모티프를 중심으로

        모지현 한국문학회 2024 한국문학논총(韓國文學論叢) Vol.97 No.-

        이 연구는 근대성 자체에 대한 비판으로서 내셔널리즘이 부과하는 보편문법을 ‘트랜스(trans-)’하는 것을 ‘트랜스내셔널’ 개념이라 전제하고, 김사량의 「향수」에 나타나는 아편 중독 모티프를 중심으로 트랜스내셔널의 가능성을 고찰한다. 시대적 상황과 일제의 통치 담론 속에서 「향수」에 등장하는 아편중독자 가야는 이주자이자 범죄자로서 이중의 ‘비(非)국민’으로 위치하는데, 본 연구는 가야의 ‘비(非)국민’으로서의 위치뿐만 아니라 이 ‘비(非)국민’의 위치에서 벗어나고자 하지 않는다는 점에 주목했다. 정체성의 혼란을 ‘극복’하고 이질적인 문화를 받아들이는 트랜스내셔널적 과정은 역설적으로 내셔널리즘을 강화하게 만드는 결과로 이어지기도 한다. 그렇기에 국가 정체성에 대한 혼란과 극복 과정이 거세된 이들의 시선에서 오히려 내셔널리즘이 부과하는 보편문법을 역전시키는 진정한 의미의 트랜스내셔널의 가능성을 읽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비(非)국민’의 위치에서 벗어나지 않고자 하는 가야의 행위를 내셔널리즘이 부과하는 국가 정체성에 균열을 내는 행위로 해석할 수 있다. 게다가 또 다른 인물인 현의 트랜스내셔널리즘도 ‘아편 중독’이라는 모티프를 통해 발견되는데, 이와 같은 양상은 트랜스내셔널과 탈식민성 사이의 상관관계를 암시한다. 하지만 현은 국가 정체성에 대한 인식론적 전환 과정 속에서도 북경의 조선인들에게 부과한 민족정체성은 해체하지 못한다. 이는 내셔널리즘을 횡단하는 가야와 대비되며, ‘국가’ 또는 ‘민족’ 중에 택일해야만 했던 일제강점기의 내셔널리즘 그 자체를 보여준다. This study posits the concept of ‘trans-national’ as a critique of modernity itself by transcending the universal grammar imposed by nationalism, and explores the potential of the ‘trans-national’ by focusing on the motif of opium addiction in Kim Sa-ryang's Nostalgia. Within the context of the era and Japanese colonial discourse, the character Kaya, an opium addict in Nostalgia, occupies a dual position as a ‘non-national’, both as an immigrant and a criminal. This study not only highlights Kaya’s position as a ‘non-national’ but also notes that Kaya does not seek to escape this status. The ‘trans-national’ process of ‘overcoming’ identity confusion and embracing an alien culture paradoxically leads to the reinforcement of nationalism. Thus, from the perspective of those marginalized and stripped of their national identity, the true potential of ‘trans-national’ can be seen in its ability to subvert the universal grammar imposed by nationalism. Therefore, Kaya’s refusal to abandon his position as a ‘non-national’ can be interpreted as an act that disrupts the national identity imposed by nationalism. Furthermore, another character, Hyeon, also exhibits a ‘trans-national’ perspective through the motif of opium addiction, which suggests a correlation between ‘trans-nationalism’ and postcoloniality. However, even within the process of epistemological shifts, Hyeon is unable to escape the ethnic identity imposed on Koreans in Beijing. This contrasts with Kaya's traversal of nationalism and highlights the very nationalism of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at required a choice between ‘nation’ and ‘ethnicity’.

      • KCI등재

        일본 사회의 내셔널리즘과 트랜스내셔널리즘의 기회구조

        박명희(Myung-Hee Park) 고려대학교 일민국제관계연구원 2014 국제관계연구 Vol.19 No.2

        일본 사회 내에는 과거 역사를 반성하고, 민주주의적 가치를 존중하는 흐름이 여전히 공존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왜 우리는 일본 사회의 변화를 일방적 우경화로 인식하게 되는가? 본 논문에서는 담론의 기회구조의 틀을 사용하여 현재 일본 사회 내에서 내셔널리즘이 어떻게 제도화되는지, 트랜스내셔널리즘이 어떻게 주변화되는지를 일본군 위안부 문제를 사례로 살펴보았다. 세대교체로 인한 과거사 단절이 심화되는 가운데 보수우파의 정치권 장악, 미디어를 통한 역사 수정주의적 담론의 양적 투입 증가가 맞물리면서 식민지 지배 및 역사적 책임을 거부하는 대중정서를 강화시키고 있다. 한편, 민주당으로의 정권 교체를 계기로 부상한 트랜스내셔널담론은 정치권에서의 지지세력 부재, 미디어의 관심 저조로 인하여 주변화되었다. 뚜렷한 견제세력이 등장하지 못한 채 보수 우파에 의해 일본의 민주주의가 운영되는 한 트랜스내셔널리즘의 부상은 당분간 기대하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In Japan, there is a coexisting social atmosphere of introspection toward the past and respect toward democratic values. However, why is the Japanese society unilaterally recognized to have a conservative swing? By using the framework of opportunity structure of discourse, this study explores on how nationalism is institutionalized and transnationalism is marginalized with focus on Japanese military comfort women issue. With the severance of past affairs due to generational shift, political domination of the conservative right-wing party and the increase of media discourse for historical revisionism have strengthen the public sentiment to reject historical responsibility. Meanwhile, the transnational discourse which has emerged with the Democratic Party’s power shift has been marginalized due to low interest of the media and few supporting political groups. As for the time being, the rise of trans-nationalism in Japan is hard to expect as long as Japan is governed by the conservative right party without any counter balance.

      • KCI등재

        호주한인 시문학의 트랜스내셔널리즘 양상 연구

        강회진 사단법인 한국문학과예술연구소 2023 한국문학과 예술 Vol.48 No.-

        그동안 진행된 해외 한인문학을 다룬 연구의 주요 패러다임은 ‘국가’ 혹은 ‘민족’ ‘디아스포라’, ‘한국인으로서의 정체성’의 틀에 맞춰 연구가 진행되었다는 아쉬움이 있다. 주지하다시피 디아스포라는 주로 분산, 공동체, 집단을 의미하며 모국이나 국가에 매우 강하게 얽매여 있다. 디아스포라는 반드시 ‘고향’으로 돌아가야 하는 상태를 지칭한다. 이에 디아스포라 개념은 현재 거주하고 있는 사람들의 삶을 타자화하는 측면이 강하다. 그러므로 자발적 이주를 하였던 사람들의 주체성을 몰각하고, 해외문학을 철저히 한국-서울 중심의 주변문학으로 전락시키는 오류를 범할 수 있다. 이에 반해 트랜스내셔널리즘에서는 모국과의 단절은 일어나지 않으며, 모국이라는 곳에 얽매이지 않는다. 다시 말해 두 개 이상의 국가에서 평행적 삶을 유지한다. 즉, 거주지와 모국의 영향을 함께 받는다. 그러므로 ‘트랜스내셔널’은 “기존의 ‘디아스포라’, ‘다문화주의’ 등에서 충족되지 못한 어떤 부분에 대한 기대를 나타낼 수 있”으며 “근대의 민족국가적인 인식 틀로는 해석이나 예측이 불가능한 객관적 상황이나 주관적 인식”을 읽어낼 수 있는 단서를 제공한다. 일테면 일국 중심의 국수적 정체성을 해체할 수 있다는 점, 자발적 이주민들의 삶이나 의지를 긍정하거나 있는 그대로 바라볼 수 있다는 점에서 트랜스내셔널 관점은 의의를 지닌다. 민족국가의 완강한 경계선이 무너지고, 초국가적 이동과 이주가 일상화되어 가고 있는 현 시대에 해외 한인 문학을 접근하는 방식 역시 좀 더 확장되어야 한다. 다양한 조건과 맥락과 형태와 기원을 갖는 해외 한인 문학을 ‘디아스포라 문학’이라는 하나의 범주로 구분 짓고자 하는 것에는 무리가 있다. 본 연구는 호주한인 시문학을 읽어내는 방법 중 하나로 화자의 트랜스내셔널한 특성과 그 의미를 고찰하고자 하였다. 그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공간의 전유와 트랜스내셔널이다. 작품 속에서 거주 공간의 자연풍경이나 인물들은 낭만적 이상향으로서의 모습으로 그려지고 있다. 호주 한인 대부분이 자발적인 이주 주체였음에도 불구하고 이주 후 문화적 혼종지에서 주변과 현실, 이상 사이에서 갈등을 겪기 마련이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무의미한 “공간”을 특별한 “장소”로 만들고자 하는 일종의 ‘영토화’ 혹은 ‘공간의 전유’가 이루어진다. 이때 낯선 공간을 낭만적이거나 평화로운 곳, 때로는 과도한 신비로움을 지닌 장소로 묘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공간의 환상성과 트랜스내셔널이다. 낭만적 작품은 종종 노동현실이나 고통스러운 현재의 상황이나 공간을 은폐한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살펴본 작품들은 이러한 한계를 뛰어넘는다. 일테면 이채롭고 이국적 공간에 숨어있는 현실의 고통을 직접적으로 드러내는 이미지로 그려내고 있다. 그럼에도 그것은 환상성을 품고 있는데 이는 정체성을 형성하고자 하는 현실로서의 개인의식으로 읽을 수 있다. 마지막으로 자의식의 발현 장소와 트랜스내셔널이다. 작품 속 화자는 고통의 ‘공간’에서 새로운 세계로의 ‘장소’를 꿈꾼다. 이때 ‘장소’는 외부로의 발산적 의식의 어떠한 이미지라기 보다는 자신을 지키기 위한 내부로의 응집의 의미를 지닌 이미지로 드러남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Transnational History as a Methodological Nationalism : Comparative Perspectives on Europe and East Asia

        Jie-Hyun Lim (임지현) 西江大學敎 人文科學硏究所 2008 서강인문논총 Vol.24 No.-

        Transnational history is a new trend in the historical writings of the twenty first century. Transnational history has been assumed as an alternative narrative to the national history paradigm which was dominant in the modern historiography. A scrupulous reading of the transnational history writings, however, betrays such an expectation. Transnational history has been often no less national. Traced back to the late nineteenth century, East Asian transnationalism has been often translated into the racial struggle between white people and yellow people. Transnationalism, often pregnant with nationalist ideas, is hardly unique to East Asia. Disguised in the various form of the universal history, transnational history in the service of the nationalist ideas can be found in Europe and America. With a focus on East Asia within the comparative perspectives, this paper will illuminate how various orientations of transnational history accommodated nationalist agenda. 21세기 역사 서술의 새로운 트렌드로 등장한 트랜스내셔널 히스토리는 19세기 이후 근대 역사학을 지배해 온 ‘국사’의 패러다임을 대체하는 대안적 역사 서술로 흔히 간주되고 있다. 그러나 트랜스내셔널 히스토리의 역사 서술을 깊이 읽다 보면, 그것이 국사의 대안적 패러다임이라는 우리의 믿음은 쉽사리 깨진다. 트랜스내셔널 히스토리가 때때로 ‘국사’ 못지않게 민족주의적인 것이다. 19세기 말의 범아시아주의로 거슬러 올라가는 동아시아의 트랜스내셔널리즘은 종종 백인종과 황인종의 싸움에서 일본을 맹주로 하는 아시아인의 단결과 인종주의적 투쟁을 정당화하는 논리로 작동했다. 이처럼 민족주의와 결합한 트랜스내셔널 히스토리 혹은 트랜스내셔널리즘은 비단 동아시아만의 특수성은 아니었다. ‘보편사’의 다양한 형태로 가장한 채 민족주의에 복무하는 트랜스내셔널 히스토리는 유럽과 미국에서도 폭넓게 발견된다. 이 논문은 유럽과의 비교사적 전망을 견지하면서 동아시아에 초점을 맞추면서 민족주의적 아젠다와 접목되어 온 트랜스내셔널 히스토리의 다양한 양상을 조명하고자 한다.

      • KCI등재

        대만 작가 쟝 션치에를 통해 본 식민시기 트랜스내셔널리즘

        한인혜 서강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6 서강인문논총 Vol.0 No.47

        Zhang Shenqie (1904-65) was a Taiwanese writer who was educated in Japan and led active political and literary careers in both Taiwan and China—including Guangdong, Shanghai, and Beijing—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In China, Zhang developed the renaissance movement of classic Chinese tradition as an anticolonial strategy; in Taiwan, he embarked on the New Taiwan Literature Movement articulating uniquely Taiwanese sensibilities distinct from the Chinese. This paper examines the ways in which Zhang engaged his audiences in both colonized Taiwan and semicolonized China, a transnational practice that identifies heterogeneous, counter-Enlightenment notions of the nation obscured by the modern colonial ideology of nationalism. My analysis shows how inter-colonial transnationalism strategically makes use of the nation as a strategy countering colonial nationalism. Although Zhang was versed in both Eastern and Western literature and philosophy, ranging from ancient to modern, he sought not to be bound to any strand of ideology of thought, including anarchism, Marxism, or nationalism. Yet he critically drew on religious insights, especially Daoism, due to Daoism’s anti-institutional and deconstructive worldview, contending that Daoism provides the Chinese with the best means to adapt to the rapidly changing world and thus oppose imperialist strategies employing ever-changing technology and rhetoric. Zhang also urged Taiwanese writers to discern ever-changing Dao within Taiwanese masses’ lives and cater to their demands, even if the masses’ tastes contradict Taiwan New Literature’s pursuit. This paper shows Zhang’s use of Daoism sought transnational reconnection between Taiwan and China yet identified the counter-modern idea of the nation in each country. 쟝 션치에 (1904-65)는 식민시기 일본에서 교육을 받고, 중국대륙과 대만을 오가며 양국에서 반제 운동 및 신문학 운동을 전개한 대만 작가이다. 중국에서는 전통문화 부흥운동에 주력하는 한편, 대만에서는 신문학 운동의 주축이 되어, 식민지 대만과 반식민지 중국을 아우르며 양안(兩岸)에서 독자층을 형성하였다. 기존의 중화권 연구에서는 장 션치에의 작품 세계를 계몽주의, 민족주의의 패러다임에 입각하여 분석한 반면, 본 논문은 선행 연구의 한계를 밝히고 쟝 션치에의 문학과 비평에 드러난 트랜스내셔널리즘의 지평을 해명한다. 특히 장 션치에의 트랜스내셔널리즘이 식민주의의 이데올로기로서 만연했던 민족주의를 전략적으로 전유하는 방식을 집중적으로 조명한다. 쟝 션치에는 동양과 서양의 고전에 조예가 깊었음에도 불구하고, 결정적인 순간에 중국의 전통 도가철학을 토대로, 중국에서는 반제운동을, 대만에서는 대만 신문학 운동을 전개한다. 본 논문은 쟝 션치에가 (1)당대 큰 반향을 일으킨 그 어떤 이데올로기와도 비평적 거리를 유지하며, (2)급격히 변화하는 현실에 민감하게 반응하고, (3)대중들의 삶에 깊숙히 침투하는 전략으로서 도가 철학을 활용한 방식을 분석한다. 아울러 이러한 사상체계가 구체화된 사례로서, 쟝 션치에의 희극 "망인(亡人)보기"가 어떻게 대만의 고유한 감수성을 포착하였는지를 추적한다. 궁극적으로 본 연구는 쟝 션치에가 어떻게 양국의 내셔널리즘을 전략적으로 이용하여 급진적인 트랜스내셔널리즘의 장을 구축하였는지 밝힌다.

      • KCI등재

        재외 한인문학에 나타난 트랜스내셔널 양상 - 중앙아시아 고려인문학과 재중조선인문학의 시를 중심으로

        강회진(Kang Heo-jin) 숭실대학교 한국문학과예술연구소 2021 한국문학과 예술 Vol.37 No.-

        근대 이후 세계화가 급속도로 진행되면서 한반도에 거주하다가 민족과 국가를 횡단하거나 산포되는 실존적 주체들이 대거 양산되고 있다. 따라서 기존의 국가 이데올로기나 민족적 프레임으로는 해명하기 어려운 정치, 사회, 문화, 문학, 철학에 대한 새로운 사유 양식이 요구된다. 국가나 민족이라는 개념과 영토를 횡단하는 실존적 주체들은 삶의 과정에서 장소 밖 타자성과 혼종성을 경험하면서 다양한 양상으로 트랜스내셔널한 정체성을 형성하게 된다. 이에 본 연구는 중앙아시아 고려인과 재중조선인 시문학에 나타난 트랜스내셔널 양상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중앙아시아 고려인들의 시작품은 강제 이주 후 소비에트의 이데올로기에 대한 찬양과 동일화를 보여주는 방식으로 주체를 보호하고 형성하는 방식으로 정체성을 구축하고자 한다. 그러나 자기 동일성을 획득하지 못하게 되면서 이는 오인된 환상이었음을 깨닫게 된다. 그로 인해 혼란을 겪은 주체는 거주국과 고향(원동) 사이의 ‘틈새’의 공간인 ‘제3의 공간’을 탐색한다. 이후 ‘제 3의 공간 탐색’은 시간과 공간, 국가와 민족의 경계를 가로지르며 유동하는 공간탐색으로 이어진다. 거주국에 정착하고자 하는 동시에 자신들이 여러 집단에 걸쳐 있는 존재인 ‘고려인’으로서의 ‘차이’를 인식하고 이를 ‘유지’하며 트랜스내셔널한 정체성을 구축하고자 한다. 재중조선인 작가들의 시문학 작품은 중국이라는 국가적 정체성과 조선족이라는 민족적 정체성의 차이를 횡단하면서 경계를 허물고자 하는 양상을 보인다. 동화와 비동화라는 양가성을 문학적 전략으로 삼고 있는 것이다. 이는 ‘국민’에 귀속하지 않음으로써 역설적으로 ‘국가’와 거리를 유지할 수 있는 방편이 될 수 있다. 즉 거대 국가인 중국의 국민이면서 조선족이라는 소수민족의 위치 사이에서 길항하면서 ‘공존’과 ‘화합’을 꿈꾸는 방식으로 자신들의 정체성을 찾는 양상을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As globalization has progressed rapidly since the modern era, a large number of existential subjects who live on the Korean peninsula and traverse or scatter nations and countries are mass produced. Therefore, a new way of thinking about politics, society, culture, literature, and philosophy that is difficult to elucidate with the existing national ideology or ethnic frame is required. Existential subjects traversing the concept of a state or nation and territories form transnational identities in various ways while experiencing heterogeneity and heterogeneity outside the place in the process of life. So,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transnational aspects of Soviet-Korean poetry in Central Asia and Chinese-Korean poetry in China. The poetry work of the Soviet-Koreans in Central Asia seeks to establish an identity in a way that protects and forms the subject in a way that shows the praise and identification of the Soviet ideology after forced migration. However, the subject who has not acquired self-identity realizes that the identity it has built up is a misrecognized illusion. As a result, the subject searches for a “third space” that is a “niche” between the country of residence and hometown (Won-dong) and between the country and the nation. Afterwards, the “third space search” leads to a space search that flows across the boundaries of time, space, and between countries and nations. At the same time, they want to settle in a residential country and recognize the ‘difference’ as a ‘Soviet-Korean’ who they are across groups, "maintain" it, and build a transnational identity. The works of poetry and literature by Chinese Korean writers have an aspect of cross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national identity of China and the national identity of the Korean-Chinese, trying to break down boundaries. The literary strategy is the ambivalence of being assimilated and unassimilated. Paradoxically, this can be a way to maintain a distance from the state by not reverting to the ‘national’. In other words, this shows a pattern of finding their identities in a way that dreams of "coexistence" and "harmony" while antagonizing between the positions of ethnic minorities such as Korean-Chinese as well as citizens of China, a large country.

      • KCI등재

        트랜스내셔널리즘, (불)가능 그리고 재일조선인이라는 예외상태: 재일조선인의 한국전쟁 관련 텍스트를 중심으로

        장세진 ( Sei Jin Chang )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2012 동방학지 Vol.157 No.-

        이 글의 일차적 목적은 일본 내 조선인들이 한국전쟁에 연루되었던 다양한 경험들을 관련 텍스트들을 통해 재구성하는 데 있다. 이 경험들은 크게 좌파 측의 반전·반미 투쟁과 우파 측의 참전으로 나뉘는데, 이 글에서는 김달수와 고바야시 마사루와 같은 문학적 텍스트를 위시하여, 반전 무장 투쟁과 참전의 실제 양상들을 후대에 규명한 역사서들도 부분적으로 언급한다. 재일조선인들은 패전 직후 열도 내에서 담론의 수면 위로 좀처럼 떠오르지 못한 (동)아시아라는 지평을 강력하게 환기하는 존재들로, 이들의 한국전쟁 경험을 재구성하는 작업은 당시 새롭게 구획되고 있던 역내 네이션 체제의 성립과 관련, 이 프레임 밖으로 누락되거나 망각된 역내 국가 간 월경의 제 현상들을 포착하고 그 의의를 재조명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다. 초(超) 국가적 트랜스내셔널리즘에 어떤 유의미한 가능성이 존재한다면, 그것은 국가와 국가를 그저 공간적으로 횡단 이동하는 것이 아니라 그 기원으로 거슬러 올라가는 사유 속에서 모습을 드러낼 터이다. 그것은 구(舊) 제국의 잔여 및 전 지구적 냉전 서사와 뿌리 깊이 얽히며 성립된, 현 동아시아 국민국가 패러다임의 근원을 사유한다는 바로 그러한 의미에서, 급진적인(radical) 트랜스내셔널리즘의 문제 제기로 이어질 가능성을 의미한다. In this article, I examined the forgotten experiences of Zainichi Koreans who were involved in the Korean War through various texts, including literary works and historical materials. During the postwar time, their presence itself strongly reminded Japanese society of the East-Asian prospect, which was rarely brought into the public discourse among the Japanese intellectuals. First, this work will be a chance to elucidate various kinds of national border-crossings, which had been forgotten about in both Korea and Japan. Second, it will examine the meaning of the establishment of the East Asian Nation system. If something meaningful were to be said about transnationalism, it is that it appears not by a mere national border-crossing phenomenon but by the speculation, which revolves on the origin of the nation state that is strongly connected to cold war narrative. Also, it can lead to a radical transnationalism in that it considers the root of East-Asian nation paradigm in which we are now living.

      • KCI등재

        윤동주 문학 연구의 트랜스내셔널리즘적 가능성

        곽명숙 한중인문학회 2012 한중인문학연구 Vol.37 No.-

        본고는 시인 윤동주가 간도 이주민의 후손으로서 그의 시세계에는 조선과 일본을 유학하며 체험한 이민과 이산의 경험이 내재해 있음에 주목하였다. 그의 이산이 학업이라는 자발적인 형태의 것이었지만, 간도라는 지역이 갖는 특이성, 조선의 피식민지성, 그리고 일본이 보여준 제국주의적 성격은 그의 지리적 이동과 이산의 경험에 대해 트랜스내셔널한 관점에서 접근해 볼 여지를 준다. 그동안 윤동주 문학에 대한 일본과 중국에서 전개된 기억과 연구는 그의 문학을 트랜스내셔널하게 읽을 수 있는 가능성을 가늠할 수 있게 한다. 선행 연구 가운데디아스포라 문학연구는 윤동주 시에 나타나는 정체성을 재만조선인이라는 특수한 지역적 정체성과 결부하여 읽고자 하는 시도를 보여주었다. 일국문학으로 정전화 되다시피한 윤동주 문학에 대한 그러한 비스듬히 읽기는 윤동주 문학에 내재된 다양한 정체성을 재발견하게 한 성과를 갖고 있지만, 또다른 지역성에 포섭될 우려를 갖는다. 혼종적 정체성에 대해 다문화주의에서 타국과 모국의 경계에서 분열되는 사태에 주목했다면, 윤동주의 문학을 트랜스내셔널하게 읽는다는 것은 그러한 정체성과 지역성을 재개념화하는 것이며 이분법의 틀 안에 가둘 수없는 시인의 다양성을 읽어내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윤동주 문학에 나타나는 민족주의적인 사상적 기질과 시대에 대한 비판적인 인식을 수용하면서도, 그의 작품세계에서 작가가 가진식민지 지배로 인한 이산과 근대의 경험을 배제하지 않고 다양화시킬 수 있도록 연구의 지평을 확장시킬 필요가 있다고 본다. Yun Dong-ju is regarded as a representative poet of 1940s who saved national language and literature from Japanese imperialism. The existing studies of Yon Dong-ju have focused on cultural-essentialism through ‘reading in detail’. But in accordance with the studies on his works in Japan and China, we find new meaning of his works through ‘reading askew’. This is can be called transnationalism related literature study. There is no consensus on the meaning of ‘Transnationalism’. But this term seems to fulfill something that ‘diaspora’ or ‘multi-culture’ cannot. The prefix "trans-" includes ‘across’, ‘beyond’, and ‘through’. So ‘Transnational’ implicates ‘across-national’, ‘beyond-national’ ‘through –national’ and ‘out of borders’. Yon Dong-ju’s personal experience in gando(間島, zhendao), Korean peninsula and Japan(gando-Seoul-Kyoto-Fukuyama) contains trans-national experience of emigration and separation caused by Japanese imperialism. So we can see this universal experience of those times through the prism of You Dong-ju. Normally diaspora identity produces a narrative of hardship of getting to hometown. But Yun Dong-ju sees his native place – gando as a self-fulfilled community. By this experience and memory of Manchuria, he could pursue the plural coexistence of minors standing against the logic of assimilation of imperialism. His writing notes also contain the trans-national lexicon and especially his main poetic word ‘hometown’ shows diverse regional meanings. Calling his literature as martyrdom for the rescue of national language from Japanese imperialism might be resulted from a desire of researcher who want to assimilate Yun’s works with motherland. To see the colony not out of the imperial but in the imperial, we need a new perspective which requires the re-conceptualization of the region and identity.

      • KCI등재

        다문화주의에 관한 공적 페다고지로서의 영화: 〈방가?방가!〉에 나타난 마이너 트랜스내셔널리즘과 소수자 공간정치

        이유혁 성결대학교 다문화평화연구소 2019 다문화와 평화 Vol.13 No.3

        This paper examines the possibility of film as public pedagogy on multiculturalism in Korea. Henry Giroux argues that not only does film as public pedagogy represent social reality and influence the formation of culture, but it also influences how people form their imagination and public consciousness. He draws our attention to the ways in which popular mainstream films play such a role due to their easy accessibility to the public. Hence, he suggests that popular mainstream films can effectively play the role of public pedagogy, often as effectively as documentary films. This paper appropriates Giroux’s ideas on film as public pedagogy and analyzes Banga?Banga!. I choose this film because it deals entertainingly with some important issues on multiculturalism in Korea and was widely accepted by the public at that time when it was first screened. Moreover, the film serves as a good case study through which for me to consider ‘minor transnationalism’ and a ‘spatial politics of minority’ in Korea, the two main topics of the paper. I suggest minor transnationalism as a discursive concept that can enable us to have a critical perspective on multicultural situations in Korea, and more specifically, as a critical frame that can help us to better understand how minor activist solidarity is formed on a microscopic level. 이 논문은 한국의 다문화주의에 관한 공적인 페다고지로서 영화라는 매체의 가능성에 대한 연구이다. Henry Giroux는 공적인 페다고지로서 영화라는 매체가 현실을 영화적으로 재현하고 문화의 구성에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더 나아가 대중들의 상상력과 공적인 의식의 형성에 영향을 미친다고 논한다. 그는 특히 대중적인 주류 영화들이 이러한 역할을 하는 것에 주목하는데, 그 이유는 이러한 영화들의 엔터테인먼트적인 요소로 인해 대중들이 보다 쉽게 그것에 접근할 수 있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그래서 그는 대중적인 주류 영화들이 종종 기록영화 못지않게 공적인 페다고지로서의 역할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고 논한다. 이 논문에서는 이러한 공적인 페다고지로서의 영화에 대한 Giroux의 논지를 전유하여 〈방가?방가!〉라는 영화의 분석에 적용한다. 이 영화를 선택한 이유는 한국의 다문화주의와 관련한 중요한 주제들을 재미있게 잘 다루고 있고 상영 당시 이 영화에 대한 대중들의 반응들도 상당히 괜찮았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이 영화는 한국의 다문화주의와 관련한 이 논문의 핵심 주제인 ‘마이너 트랜스내셔널리즘’과 ‘소수자 공간정치’에 대해서 살펴볼 수 있는 좋은 작품이기 때문이다. 이 연구를 통해 필자는 마이너 트랜스내셔널리즘이 한국의 다문화주의 현실에 대한 비판적 시각을 제시할 수 있는 담론적 개념으로서, 좀 더 구체적으로 미시적인 차원에서 소수자들의 실천적 연대 형성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를 이해하기 위한 비평적 틀로서 상당히 유용할 수 있음을 제안하고자 한다.

      • KCI등재

        탈냉전시대 영화 <역도산>이 말하지 않은 것들

        정영권(Chung, Young Kwon) 한국영화학회 2017 영화연구 Vol.0 No.72

        영화 <역도산>(2004)은 한국과 일본시장을 동시에 겨냥해 제작되었지만 상업적으로도 비평적으로도 큰 성공을 거두지 못했다. 영화는 한류의 붐 속에서 제작되었으며, 일본 등 아시아 국가에서 상영될 목적으로 뚜렷한 민족적 색채를 제거했다. 이 영화에서 역도산은 한국인도, 일본인도 아닌 세계인으로서 스스로를 호명했다. 물론 이는 일차적으로 국제적인 영화시장에서 마주하게 될 민족적인 거부감을 상쇄하기 위한 상업적 전략이었다. 그러나 본 연구는 이것이 표층적인 차원의 이유이고 보다 심층적인 차원에서는 역도산이라는 인물에 각인된 냉전의 기억, 특히 북한을 다루는 것에 대한 부담감이 주요한 요인으로 작용했다고 해석한다. 그것은 프레드릭 제임슨이 제기한 것처럼, 다루어서는 안 되는 것에 대한 일종의 ‘이데올로기적 봉쇄’인 것이다. 이 점에서 <역도산>이 추구하는 트랜스내셔널리즘은 ‘내셔널’한 것을 지워냄으로써 얻어진 것이며, 세계인이란 남한, 북한, 일본 그 어느 하나도 역사성과 민족성을 제대로 재현할 수 없었기 때문에 파생된 하나의 균열된 형상이다. 영화의 중반부 이후 역도산이 특별한 이유 없이 편집증적이고 자기파괴적이 되어 가는 것은 그에게 각인된 역사와 민족의 언어를 말할 수 없음으로써 비롯된 일종의 남성 히스테리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영화 <역도산>이 역사와 민족, 그리고 북한과 관련한 냉전의 기억을 다루지 못함으로써 균열된 세계인과 모호한 트랜스내셔널리즘으로 귀착했다고 주장한다. This paper calls attention to the central problem as to a film, Rikidozan (2004) in terms of ideological analysis. While this film had been produced at the targets of South Korean film market and Japanese one, it did not win success in both commercially and critically. This film had been produced in the boom of Hallyu (Korean Wave), and removed evident nationalism and ethnicity because it aimed to be exhibited in Asian countries such as Japan. Surely, this would be a commercial strategy in order to lessen resistance associated to ethnicity in the international film market. However, I diagnose that it is on the surface. Discussing Rikidozan in depth, it is highly probable that this film would have burden to represent North Korea where Rikidozan was born and spent his childhood and adolescent period. Because North Korea could evoke a memory of Cold War era. As Fredric Jameson puts it, I argue that it is "ideological closure", something which it should not pronounce on account of taboos connected with history and nationality, etc. In this respect, the transnationalism which Rikidozan represent was derived from removing "the national", and "cosmopolitan" became a cracked figure who was spawned because this film could not represent history, ethnicity and nationality of North and South Korea. Considered in this framework, I interpret that Rikidozan’s paranoia and self-destruction without a cause since the second half of the film is a kind of male hysteria which was formed from the things which he could not pronounce his own history, ethnicity and nationality. The conclusion to be drawn here is that Rikidozan expressed a cracked cosmopolitan and ambiguous transnationalism because it could not deal with a memory of Cold war, particularly of North Ko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