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통합문화예술교육에 있어서 교육연극의 중심적 역할에 관한 연구

        표원섭,임재필 한국연기예술학회 2021 연기예술연구 Vol.24 No.4

        본 연구는 지역의 학교 밖 문화예술교육이 점차 통합문화예술교육으로 발전해나가는 현대적 경향 속 에서 연극놀이를 포함한 교육연극의 중심적 역할과 필요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그래서 통합문화예술교 육과 교육연극의 상호 관계에 대해 논의하고 통합수업과정 사례중심 분석으로 통합문화예술교육의 개념 을 다시 살펴보고, 교육연극의 중심적 역할을 분석하고자 한다. 서울과 멀리 있는 소외 지역의 지역성이 심할수록 전문교사에 의한 문화예술교육의 접근성은 현격히 떨어지고, 그에 반해 지역민들의 요구는 더 더욱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한국의 대표적인 문화예술 소외 지역이라 할 수 있는 전남 완도군 고금도에 초등 고학년과 중학생 20명을 대상으로 미술과 연극, 지역 역사 교육이 통합된 전남문화재단 꿈다락토요문화학교사업 통합예술수업 사례분석을 통해 통합문화예술교육에 있어서 교육연극의 실제 적 용 사례와 효용성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교육연극의 궁극적 목적이 자신이 자신만의 표현을 자유롭게 할 수 있는 역량을 키워나가는 것이고, 그것을 위해서는 타인과의 관계 속에서 다양한 행동과 형식으로 표현할 수 있어야 하고, 타인과 함께 서로 다름을 인정하고 나누는 문화적 훈련과 예술적 경험이 필요하 다. 이번 통합수업 사례의 특징은 단청을 중심으로 한 미술교육을 주도적 교육 커리큘럼으로 삼고, 그 지 역의 역사를 이해하고 그것을 이야기로 담아내는 연극놀이를 활용한 교육연극을 함께 진행하는 방식이 다. 교육연극은 본연의 탁월한 교육적 기능 이외에도 이렇듯 어떤 다양한 예술분야와 어울려서 그것을 더욱 돋보이게 할 수 있는 역할을 할 수 있는 유용한 예술교육 도구임을 확인하고자 이번 연구를 하고자 한다. In this study, the necessity and role of educational theater techniques including theater play are increasing in integrated culture and arts education amid the tendency of local culture and arts education to gradually develop into integrated culture and arts education. Therefore, I would like to discuss the relationship and role of integrated culture and arts education and educational theater and analyze them based on cases. The more severe the locality of the underprivileged area far from Seoul, the less accessibility of culture and arts education by professional teachers, while the demands of local residents are increasing. We would like to discuss the practical application and effectiveness of educational theater in integrated culture and arts education through the case analysis of 20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in Gogeumdo, Wando-gun, Jeollanam-do. The ultimate purpose of educational theater is to develop one's ability to express oneself freely, and for that, one must be able to express in various actions and forms in relationships with others, and cultural training and artistic experience of acknowledging and sharing differences with others. The characteristic of this integrated class case is that art education centered on Dancheong(traditional multicolored paintwork on wooden buildings) is used as a leading educational curriculum, and educational plays using theatrical games that understand the history of the region and capture it as a story. In addition to its natural excellent educational function, I would like to study that educational theater is a useful art education tool that can play a role in making it stand out in harmony with various art fields.

      • 장애학생을 위한 문화예술교육의 필요성에 관한 소고

        이필상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학회 2010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연구 Vol.1 No.1

        The twenty-first century can be called the era of culture. Hence culture and art education is becoming more important than ever before. One of alternatives to the problems derive from cognitive subject-centered education in school is culture and arts education. Culture and arts have not been seriously considered in relation to edcation, even though they had been frequently provided as a form of educational activities in many artistic and cultural veneus. In 2005, the National Assembly passed the Culture and Arts Education Act, which supported culture and arts education in primary and secondary schools and arts organizations. And in recent years, there has been much activity in field of culture and arts education. In spite that trends of culture and arts educational need, culture and arts education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has not been proceeded actively. This study aims to examine necessity of culture and arts education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to investigate the actual state of culture and arts education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to propose improvement directions of culture and arts education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21세기는 문화의 시대로, 학교교육의 문제점인 주지 교과 중심 교육의 대안 중 하나가 문화예술교육이다. 문화예술교육 활성화를 위한 문화예술교육지원법이 제정되고, 문화예술교육 분야에서 다양한 활동들이 시도되고 있지만 장애학생을 위한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연구는 아직 활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장애학생을 위한 문화예술교육의 필요성을 문화예술교육과 장애학생을 위한 문화예술교육의 의미, 특수학교 교육과정 내에서의 문화예술교육 관련 내용과 국내의 장애학생을 위한 문화예술교육의 사례를 문헌고찰을 통해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장애학생을 위한 문화예술교육은 현재 특수학교 교육과정 속에서 음악, 미술, 체육 등의 교과 내용으로 편성되어 있으며, 장애학생들의 정상화, 자립생활, 역량강화 및 사회통합 실현에 긍정적이고, 장애학생의 강점을 강조하고 비장애학생과의 통합의 가능성을 높여주는 유용한 교육활동으로서 그 필요성이 높음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향후 장애학생을 위한 문화예술교육 활성화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 KCI등재

        전래동화를 활용한 문화예술교육 통합프로그램 모형개발

        이수태,남영수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2014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Vol.38 No.-

        본 연구는 신체와 정서가 가장 많이 발달하는 시기인 아동을 대상으로 한국적 정서와 교육적 가치를 가장 많이 내포하고 있는 전래동화를 동기유발의 자료로 활용하여 문화와 예술, 교육이 통합된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연구자는 전래동화 중에서 ‘해와 달이 된 오누이’, ‘흥부와 놀부’를 선정한 통합프로그램을 대구시 수성구 소재의 ‘찾아가는 미술관’ 초등학교 저학년 교육프로그램 수업과 초등학교 5개교, 각 학교 저학년 20명씩을 대상으로 방과 후 수업에 적용하여 통합교육의 질적인 모색과 교육적 가치 및 문화와 예술의 관계, 그 관계에 따른 통합수업의 필요성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그 결과, 아동들은 미술 영역에서 오감을 체험할 수 있는 기회를 가졌고, 음악 영역에서는 우리 장단의 체험과 우리 민족의 정서, 그리고 정체성도 이해할 수 있었다. 교육적 가치로는 우리의 민족 정서인 충, 효와 권선징악, 형제의 우애 등 윤리적인 의식과 인간성 회복의 교훈도 얻을 수 있었으며, 문화와 예술적 체험에 접목된 영상은 아동들에게 자신감과 더 큰 즐거움을 안겨주었다. 따라서 통합적 프로그램의 개발은 학문과의 통합적 사고능력을 신장시키며, 아동들에게 표현 욕구를 더 많이 충족시킬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In this paper, we develop an integrated program by harmonizing art and education with traditional fairy tales which are the most familiar to children and allow us to experience traditional culture and art. Researchers from fairy tales “The brother and sister who became the sun and the moon”, “Heungbu and Nolbu” of materials, Suseong-gu, Daegu City as selected by the integration program of the ‘Museum of art to visit class’, elementary education programs to 5 schools, lowergrade students at a rate of 20 per each school and primary school classes after school integration by applying the quality of education for The current problems and issues integrated educational value and according to the relationship between culture and art, the relationship class about the need for research. As a result, children had opportunity, and who can experience your five senses in the areas of art music in the area of the experience and the sentiments of our people, and identity of our people. I could understand. A roundworm, which include our national sentiments of educational value, filial piety and brotherly affection, a didactic and other ethical consciousness and greening of lessons can also obtain, and a cultural and artistic The experience in high-tech imaging that gave children confidence and a larger gold medal bring a pleasure. Therefore, the integrated development of program were integrated with the academic thinking skills to advance and the expression for children, not for more appeared with one that can meet.

      • KCI등재

        연극 중심 통합예술교육 프로그램 모색

        김혜주(Hye-Joo, Kim) 한국문화교육학회 2020 문화예술교육연구 Vol.15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an integrated art education program. This research is to look at the definition of integrated art education from various perspectives and to focus on raising awareness to external and internal method of integration, integrated analogous element and integrated subjects leading to different educational attempt and unlimited potential of different results. In order to develop integrated art education, each field of art needs to cooperate to set better examples and create educational effect, rather than trying to be a lone main figure. Now, performing arts educators are interested not only in arts but also interested in education severely. Thus, this study is focused on the process of producing play rather than performing, and dissolving all theatrical procedure into integrated arts education. This would be the moment when genuine integrated arts education will take root only when all of the theatrical works, not the prestigious works, are focused on the integrated arts education and it is the result of the learner's satisfaction. 이 연구는 연극 중심 통합예술교육 프로그램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에 연구자는 통합예술교육의 의미와 배경을 이론적으로 살펴보고, 통합예술교육에서의 연극의 역할을 고찰함으로써 연극 중심 통합예술교육의 운영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에서는‘통합예술교육’의 정의를 다양한 각도에서 조명해 보고, 통합의 외적 방법과 내적방법, 유사요소 통합과 주제통합에 따른 다른 교육적 시도와 다른 결과에 대한 무한한 가능성을 인식하는 계기에 초점을 두었다. 통합예술교육이 발전하려면, 각 장르의 예술이 지닌 특성이 잘 어우러지는, 협업의 좋은 결과의 예시와 교육적 효과 창출이 중요하다. 통합예술교육은 각 분야별 예술교육의 병렬구조식 수업으로 끝나서는 안 된다. 이 연구에서는 연극, 미술, 사회·문화의 융합을 이룬 광고를 활용한 연극 중심 통합예술교육 프로그램의 사례를 제시함으로써 예술교육의 융합 프로그램의 실천 방안을 고찰하였다. 연극을 중심으로 한 통합예술교육 프로그램의 모색은 연극의 장점과 교육의 의의, 무엇보다도 통합을 통해서 탄생한 새로운 종합문화예술교육의 중요성을 재확인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하며, 이 연구를 통해 연극 중심 통합예술교육의 교육적 결과 창출이 원활히 이루어지를 희망한다.

      • KCI등재

        문화예술교육에서의 통합예술치료적 접근 가능성 탐색

        박미정,이에스더 한국문화교육학회 2014 문화예술교육연구 Vol.9 No.6

        Korean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spend most of their lives in schools. Schools should be the place where students develop their imagination and creativity. Also, schools should help students with holistic development to lead a happy life. However, schools are criticized as a place where the entrance of university is all that is emphasized. At this point of time, the stress for studying, school violence, and bullying in schools are viewed as social problems. In order to resolve these issues, the concern of Culture and Arts Education is increased, but systematic and efficient programs are not sufficient in schools. Utilizing music, art, gesture, act, photography and literature in Culture and Arts Education is also used in Integrative Arts Therapy. Therefore two sectors are easily integrated and it is highly likely to be more specialized researches and the possibility of program development. This research is aimed to help students with a harmonious life through their growth, self-expression, insight, and change by exploring accessibility to Integrative Arts Therapy in Culture and Arts Education and presenting program examples. 우리나라 중·고등학생이 생활의 대부분을 보내는 곳인 학교는 학생의 상상력과 창의성을 자극하고, 전인적 성장을 도와 행복한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돕는 장이 되어야한다. 그러나 입시 위주의 우리나라 교육환경으로 인해 지식전달 기관으로서의 기능이 지나치게 강조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에 따라 학교에서의 학업 스트레스, 학교폭력, 왕따, 학교부적응 등의 문제점이 학교 내에서 뿐만 아니라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이것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 중의 하나로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관심이 확대되고 있지만 학교교육 시스템 내에서 활용 가능한 체계적이고 효과적인 연구는 아직 미흡한 실정이다. 문화예술교육에서 활용되는 매체인 음악, 미술, 동작, 연극, 사진, 문학 등은 통합예술치료 분야에서도 근간을 이루는 매체이다. 통합예술치료는 문화예술교육의 목표와 유사하며 서로 간 융 ·복합적 접근이 매우 용이하다. 이에 본 연구는 문화예술교육에서의 통합예술치료적 접근가능성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즉, 프로그램을 설계하여 통합예술치료가 문화예술교육내에서 활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모색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학생들이 학교생활에서의 행복하고 조화로운 삶을 영위하기 위하여 효과적인 문화예술교육의 새로운 시도를 하였다.

      • KCI등재

        우리 문화 예술 중심의 통합교육과정 개발

        한윤이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2014 敎員敎育 Vol.30 No.1

        We have heightened interest in the integrated education and founded good result whin the study about that. As a result, a lot of integrated education has related subjects be formed from elementary school to high school. But it was not prepared the integrated curriculum from grade 3 up. So a teacher must reconfigure the curriculum and integrate learning content. This work is time-consuming and complex. Therefore in this study, I developed an integrated curriculum focused on the culture and arts from grade 3 to grade 6 in Elementary school. To this end, I analyzed the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from grade 3 to grade 6. As a result, I have found that subjects except mathematics and creative activities has the learning contents to related culture and arts. Based on that analysis I developed integrated curriculum focused on the culture and arts from grade 3 to grade 6 in elementary school. First, I decided on the goals and objectives of the curriculum and have set up three areas. Three areas are comprehension, experience, utilization. Next, I created a content system and selected achievement standards appropriate for three area and grade. As above, through the development of integrated curriculum I look forward to integrated education be fully activated in all the elementary school. Following from this study, I hope to continue the study about the selection of the specific learning activities appropriate for achievement standards. 통합교육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통합교육에 대한 성과가 확인되면서 초등학교 3학년 이후 중․고등학교에 이르기까지 여러 교과를 연계한 통합교육이 활발해졌다. 하지만 초등학교 3학년 이상에서는 통합교육과정이 마련되지 않아 교과별 교육과정에 의거 교사가 나름대로 교육과정을 재구성하고 내용을 통합하는 세심한 연구와 수고를 거쳐야만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3학년 이상에서도 통합교육과정이 필요함을 고려하여 초등학교 3~6학년에 적합한 우리 문화 예술 중심의 통합교육과정을 구상하여 보았다. 우리 문화 예술을 중심으로 통합교육과정을 개발하기 위해 먼저 초등학교 3~6학년의 교과와 창의적 체험활동의 교육과정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수학 교과를 제외한 모든 교과와 창의적 체험활동에서 우리 문화 예술과 관련된 내용이 제시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분석한 내용을 바탕으로 우리 문화 예술 중심의 통합교육과정을 개발하였다. 우선 교육과정의 목표와 목적을 정하고 이해, 체험, 활용 등 세 영역을 설정하였으며 각 영역별로 학년군에 따른 내용 체계를 마련하였다. 그리고 영역별 내용 선정을 근거로 영역별․학년군별 성취기준도 마련해보았다. 본 연구는 우리 문화 예술 교육 활성화 방안의 일환으로 우리 문화 예술 중심의 통합교육과정을 마련하여 학기말과 학년말의 수업 공백을 줄이고 보다 교육적이면서 효율적인 교육과정 운영할 수 있도록 제안한 것이다. 우리 문화 예술 중심의 통합교육과정 개발을 통해 초등학교 3~6학년에서 정식으로 통합교육을 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할 수 있었고 학교 현장에서 통합교육의 활성화를 기대할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앞으로 본 연구에 이어 성취 기준에 따른 구체적인 학습 활동을 선정하여 제시한다면 우리 문화 예술 중심의 통합교육이 보다 더 활성화 될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도서관에서의 통합형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황금숙,Hoang, Gum-Sook 한국도서관정보학회 2008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Vol.39 No.3

        도서관은 우리나라 국민들이 가장 많이 이용하는 문화시설이며 통합형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가장 잘 수행할 수 있는 최적의 장소이다. 본 연구는 국내.외 도서관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현황을 분석하여 도서관에서의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의 지향할 바와 통합형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모형을 개발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통합형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의 기본 방향은 현행 학교 및 사교육시장에서 수행되어져 오는 문화예술교육과는 차별화된 도서관의 본질에 충실한 문화예술교육이 이루어지게 하는데 지향점을 두었다. 또한 통합형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의 모형안은 체험-이해-소통을 중심으로 제시하였으며, 문화기반시설과 연계한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are to develop patterns for integrated culture and arts education program in libraries. In order to conduct the research, I analyzed the status of the culture and arts education programs in domestic and U.S. libraries. The basic aim of the culture and arts education program in libraries is based on a nature of the library. I presented the patterns of a integrated culture and arts education programs (experience-understanding-communication). Also, I presented a various culture and arts education programs in based cultural facilities of a region.

      • KCI등재

        문화시설기반 통합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개발 : 인천시 동구 우리미술관 문화나눔 프로그램 사례를 중심으로

        구영은,강현주 한국문화교육학회 2018 문화예술교육연구 Vol.13 No.4

        This research studied the case of Woori Museum of Art in Dong-gu, Incheon that developed an integrated arts and cultural education program based on cultural facilities. Woori Museum of Art developed and has implemented an integrated arts and cultural education program that unified three genres of fine arts, music, and play about the tale “Gaengiboori Tiger” since 2016. The program has focused on the cognitive domain of fine arts, the psychomotor domain of music, and the affective domain of play. Fifteen children took part in 12 sessions of the program in 2016, and 26 children participated in 16 sessions of the program in 2017. Thirty children are involved in the program in the first half of 2018, and the museum plans to expand the program according to community demand. Woori Museum of Art in Dong-gu, Incheon has functioned not only as a gallery but also local cultural facility considering the need to join in the art and cultural programs for local residents. This case shows that the cultural facility makes use of local cultural resources, and develops and constantly implements the program. This trial facilitates the spontaneous creation of the arts and cultural education ecosystem, and suggests the developmental direction of community based arts and cultural education. 본 연구는 문화시설을 기반으로 통합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한 인천광역시 동구의‘우리미술관’사례를 분석한 것이다. 우리미술관에서는 2016년부터 지역설화인‘괭이부리 호랑이’를 주제로 미술, 음악, 연극 세 장르를 아우르는 통합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기획하여 시행하고 있다. 프로그램의 문화예술교육 목표는 미술과의 인지적 측면, 음악과의 심동적 측면, 연극과의 정의적 측면에 강조점을 두었다. 2016년도 프로그램은 12차시 수업에 15명의 어린이가 참여했고, 2017년도 16차시 수업에는 26명의 어린이가 참여하였다. 현재 2018년 상반기 프로그램이 진행 중이며, 30명의 어린이가 참여하고 있다. 지역의 수요에 의해 프로그램 운영은 앞으로 더 확대될 예정이다. 인천 동구 지역의 우리미술관은 미술관으로서 역할이외에도 지역민의 문화예술 프로그램 운영에 대한 요구를 수용하여 지역문화시설로 기능하고 있다. 본 사례가 의미를 갖는 이유는 지역의 문화시설이 지역의 문화자원을 활용하여 독자적인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지속적으로 시행하고 있다는 점 때문이다. 이러한 시도는 지역에서 문화예술교육 생태계를 자발적으로 조성해 가는 데 도움을 주고, 향후 지역문화예술교육의 발전 방향에도 시사점을 준다.

      • KCI등재

        KDB 모형에 따른 문학, 음악, 연극 중심의 중학교 문화예술교육 통합프로그램 개발 연구

        노승환,조덕주 한국문화교육학회 2018 문화예술교육연구 Vol.13 No.5

        This study aimed to show the development process of integrated culture and arts education program according to Drake’s KDB model based on national curriculum standards. The procedure of development are follows; analyzing national standards, scanning and cluster, selecting broad-based standards, choosing theme, creating big questions, construct the know/do/be umbrella, and designing integrated units. Under the main theme “Searching for my identity through culture and arts education based on my life”, four units was developed as follows: “explore culture and arts through life story”, “value of culture and arts”, “power of self-expression” and “culture, arts and reflection”. As the big assessment task, “my story: noisy troubled growing up” was settled including small tasks such as writing autobiography and scenario, and composing songs together, etc. From this study, we could suggest that the national standards should be developed in balanced way in knowledge, do(skill) and be(character) and teachers professional community including arts teachers and another subjects teacher was needed for the integrated curriculum. 본 연구는 국가 교육과정의 성취기준을 토대로 Drake의 KDB 모형의 절차에 따라 문화예술교육 통합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제시함으로써 학교에서의 통합적 문화예술교육 확산에 기여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 것이다. 연구 방법은 KDB 모형에 대한 문헌 연구와 더불어 교육과정 도해, 스캔 및 클러스터, 주제 선정, 큰 평가 과제 만들기, 소단원 구성하기 등의 10단계를 거쳐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연구 결과, 문학, 음악, 연극의 성취기준을 토대로 문화예술교육 통합 프로그램의 주제 ‘삶을 반영한 문화예술이 주는 자아 찾기’를 설정하였고 이를 달성하기 위해 네 개의 소단원 ‘삶을 반영한 문화예술 탐구’, ‘문화예술의 활용 가치’, ‘예술을 통한 자기 표현의 힘’, ‘문화예술과 성찰적 태도’ 를 개발하였으며 큰 평가 과제로 음악극 ‘나의 좌충우돌 성장기’를 설정하고 수행활동 및 하위 평가 과제 등을 선정하였다. 연구 결과에 기반하여 개선점으로는 통합 프로그램 개발을 위해서는 지식과 기능, 인성이 고루 갖추어진 성취기준의 개발 및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전문적 공동체 구성 등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예술교육의 다문화주의 실천 양상에 대한 비판적 논의

        정옥희 한국문화교육학회 2017 문화예술교육연구 Vol.12 No.5

        이 연구는 그동안 인종, 민족, 성, 계층의 문화적 고정관념과, 편견, 선입관을 탈피하고 사회의 통합과 복지를 위해 정책적으로 사용된 다문화주의 담론과 이에 대한 다양한 해석을 검토하고 이를 기반으로 예술교육의 역할을 다문화주의적 관점에서 비판적으로 논의한다. 문화산업시대 예술, 세계인식의 한 도구로서 예술의 역할의 관점에서 문화재생산으로서의 예술교육을 비판적 다문화주의와 관련하여 논의하고 예술교육 실천 양상을 검토한다. 이를 위해‘문화예술교육’이라는 정책적 용어가 등장해야만 했던 시대적 상황과 사회적 요구 및 정서적 안정과 다문화교육 차원에서 소외계층들에게 제공되는 예술 체험교육 프로그램들을 문화 다양성과 다문화주의 관점에서 반성적으로 논의한다. 현재 주로 지역사회의 문화예술부흥과 예술향유의 기회 확대로 이루어지고 있는 예술교육의 실천 양상들은 문화예술교육정책, 여가와 웰빙, 예술통합교육, 지역사회 기반 및 연계교육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다문화주의 실천들에 대한 반성과 다문화주의 담론에 대한 비판적 관점에서 이런 실천 양상들은 예술이 가져다주는 인간 삶과 문화의 이해를 고정된 전통적 교육방식이 아닌 현대 우리가 살아가는 지역과 사회에 대한 관심과 이해로부터 비롯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The role of culture and arts education for endorsing multiculturalism is becoming increasingly important as there is a growing awareness of the division and cultural conflict between the newly emerging social classes among nations in the ‘cultural industry era’ formed by the proliferation of globalization. There is also a critical awareness of social problems and economic and cultural inequalities caused by excessive competitive knowledge-based education. This study explores aspects of current practices of the role of arts education in the perspective of multiculturalism, and examines the multicultural education that is practiced politically in order to rid cultural stereotypes, prejudices and bias that have been neglected while the spread of cultural diversity and multiculturalism. Firstly, it discusses the multicultural discourse and the arts education from the viewpoint of critical multiculturalism. Based on this, it examines the historical context in which the political term ‘culture and arts education’ had to be coined and practical aspects where the art education programs offered to the underprivileged class is expanding opportunities for local culture and arts and arts appreciation. This discussion is considered from the critical perspective of the ultimate role of arts education on multiculturalism discourse, which consists of culture and arts education policies, leisure and well-being, integrated education, community based and connected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