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에서 대중국관념의 변화:중화주의, 소중화주의, 탈중화주의

        장현근 경희대학교(국제캠퍼스) 국제지역연구원 2011 아태연구 Vol.18 No.2

        This article point to examine closely the essence of Sino-Barbarian(華夷) dichotomy and Sino-centrism. This article also ask the origin of Korean Small-Sinocentrism, and explain the process what the Sino-centrism has spread to Chosun intelligentsia as a Little China(小中華) or Korean Sinocentrism, and the Silhak(實學) scholars’s solution as a Post-Sinocentrism. Originally the concept of Han nationality(華夏) and Yi nationality(夷狄) are quite distinct from each other, not use to cultural superiority. But in the Zhou(周) dynasty, Sino-Barbarian dichotomy has passed from a mere local problem to a contempt for all Barbarians in some regards. Sinocentrism is closely associated with cultural discrimination. Korea as a surrounding nations is influenced by the Sinocentrism, and then neo-Confucian scholars in the Chosun dynasty is simply following in the path of the Sinocentric cultural superiority, named as Korean small-Sinocentrism. But Chosun people's cultural superiority over Qing(淸) dynasty, overcome traditional Sino-Barbarian dichotomy by Silhak scholars, and an agitation of toadyism in Chosun follows penetration of Western powers. As a result, post-Sinocentrism at the end of Chosun wasn't based on internal introspection but formed blindly, the Korea of today fell into universalism of Western culture. And there is an establishment of an intellectual independence as an alternative idea. We need Korean identity in the real meaning. 이 글은 중화주의의 본질은 무엇이며, 우리나라 소중화주의는 어떤 의미를 지니고 있으며, 언제 어떤 계기로 우리가 탈중화주의의 길에 들어서게 되었는가에 관한 연구이다. 지성사적 관점에서 우리의 대중국관념 전환을 살펴보고, 앞으로 중국의 문화우월주의적 중화주의에 어떻게 대처할 것인지 생각해보고자 한다. 원래 단순한 민족구분에 쓰였던 화하(華夏)와 이적(夷狄) 개념은 주나라 성립시기 문화적 우열을 가르는 개념으로 변질되었고, 화이론은 더욱 왜곡되어 이민족에 대한 천시와 멸시로 이어지게 되었다. 중화주의는 본질적으로 문화우월주의의 산물이며, 중국 중심 세계관의 압축적 표현이며 불평등 의식의 산물이다. 중화주의의 깊은 영향을 받은 조선시대 주자학자들은 불평등한 중화문화 우월주의를 답습하면서 소중화주의로 발전을 하였다. 그러나 조선 후기 북학론의 등장은 기존의 소중화 문화의식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 우리문화와 중국문화에 대한 객관적인 인식을 하기 시작하였다. 이렇게 시작된 탈중화주의의 싹은 내부문화의 발전을 통한 주체적 전환이 아니라, 제국주의 침탈이란 외적 환경과 맞물리면서 친서학으로방향전환을 하였다. 지성 내부의 비판과 대안 모색의 과정을 생략한 체 친서양적 관념이 중화주의를 대체하게 된 것이다. 서구중심주의와 중화주의의 질곡에서 벗어나 한국적 정체성을 확립하려면 한국 사상사의 독자적 맥락을 확립해야 할 것이고, 그 길을 통해서만 진정한 의미의 탈중화주의가 가능할 것이다.

      • KCI등재

        특집논문 : 연행의 길, 인문의 길 ; 연행 여정에서 형성된 "탈중화"의 두 번째 경로

        이철희 ( Chul Hee Lee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15 大東文化硏究 Vol.90 No.-

        조선후기 탈중화주의의 진전은 두 가지 경로가 확인된다. 첫 번째는 주지하다시피 서구에서 유입된 세계지도와 우주관으로부터 중국이 더 이상 세계의 중심이 아님을 깨닫게 된 것이다. 두 번째는 연행 여정에서 북방민족과 한족을 직접 경험하며 형성된 민족담론과 문명론을 통해서다. 조선 지식인은 존명반청의 이념을 고수하고 있었지만, 실제 연행 여정에서 만난 만주족에게는 순실하고 강건함을 느낀 반면 한족에서는 교활함을 느낀다. 조선을 잔혹하게 짓밟은 만주족에게 오히려 친밀감을 느끼고, 은혜를 입은 명나라의 유민인 한족에게 반감을 느낀다는 것은 그들의 이념과는 배치되지만 연행에서 직접 경험한 현실이었다. 이러한 체험의 담론은 북방민족으로부터 자국을 지켜내지 못했던 한족, 특히 남방 한족의 ‘숭문주의’에 대한 회의감을 불러일으켰고, 오랑캐로 치부되던 북방민족에게서 상대적인 강점을 발견하게 된다. 조선후기 제기된 고구려 정통론과 ‘고구려, 발해, 여진족, 만주족’을 하나의 계보로 묶은 북방민족론은 중원 중심의 중화주의와 숭문주의에서 벗어나 새롭게 민족정체성을 탐색하는 ‘탈중화’의 또 다른 경로였다. In late Choson era, one can easily find two social movements to De Sinocentrism. First movement is due to physicism and world atlas introduced by Western civilization and people start to recognize that China was not the center of the Universe. Second movement occurred through Ethic discussion and Civilization Theory by confronting Manchu Peoples and Chines during entraining journey. During 18th century, most of Choson``s intellectuals kept socialism of favor Ming against Qing Dynasty. However, they felt simple, sincere, and strength from Manchu People but felt devious from Chinese. It was very contradictory to feel intimacy from Manchu People, who conquered and destroyed Choson, and to feel antipathy from Chinese, the people of Ming Dynasty. However, the discussion of these experience raised skepticism about Chinese, who could not defend their country from Manchu People, especially Chongwenism. Also, it became a start to find new values of Manchu People, whom Choson believed to be a barbarians. Koguryo Legitimacism and discussion to include Koguryo, Balhae, Ruzhens, Manchu as genealogy of North East Asia by Yu Deuk-gong was to study National identity depart from Sinocertrism and Chongwenism; thus, it was the movement to Exit Sinocentrism.

      • KCI등재

        한국사상사에서 중화주의의 형성과 맥락

        신복룡(Shin, Bok-ryong) 한국동양정치사상사학회 2016 한국동양정치사상사연구 Vol.15 No.1

        [1] 이 글은 선악의 문제를 떠나서 한국사상사의 중요한 인자를 이루고 있는 중화사상이 역사적으로 어떻게 형성되었고 이어져내려 왔는가를 살펴보고자 쓴 것이다. [2] 역사적으로 보면 중화사상은 중국의 유구한 역사와 정치(精緻)한 문명, 그리고 주변 국가를 압도하는 국력에 대한 한국인의 경도에서 비롯되었다. 신라시대의 중화인식은 국제관계의 측면이 강하고, 고려시대의 그것은 화하문명에 대한 숭모의 뜻이 있고, 조선 개국에 담긴 중화는 이성계의 주변부 인식과 관련이 있으며, 조선중기의 그것에는 임진왜란 이후의 재조지은(再造之恩)의 의미가 강하다. [3] 한국사상사에서 중요한 부분을 이루고 있는 중화사상은 부끄럽지만 덮어둘 수만은 없는 백내장(白內障)이었으며 계층이나 시대를 초월하는 한국의 적층(積層)문화였다. 한국사상사에서의 중화주의나 사대의 문제는 김부식(金富軾)이나 화서(華西)학파에 한정된 일이 아니었다. 중화는 사대의 중핵(core)이었고 사대는 중화의 과육(果肉)이었다. 한국사에서 개명 문화의 시기 이전에 중화주의로부터 자유로울 수 있는 정치인이나 지식인은 많지 않았다. [4] 중화사상이 한국사상사를 관통하고 있는 한 줄기였음에는 틀림이 없지만 마치 그것이 한국 사상이 주류였다든가 기본 가치였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역사에는 도전과 응전이 있었듯이 중화주의가 있었고 그에 도전하는 반중화나 탈중화가 있었기 때문이었다. 따라서 한국사에서의 중화의 뿌리를 찾는 노력에 못지않게 탈중화의 맥락에 대한 천착이 이어지지 않는다면 이 글은 균형 잡힌 작업이 아니다. 그러므로 탈중화에 대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1] This article was written to depict the origins and context of the Sino-centric tradition in the Korean political thoughts, regardless it was stain or not. [2] Historically speaking, Sino-centrism in Korea have originated from the respect for and devotion to the long history, graceful civilization, and dominant power over neighboring states. In Silla age, inclination to China(Tang) was forced by international dynamics, in Goryu age, her intelligentsias were envious to Chinese literary culture, and at the foundation of Chosun Dynasty was based on the inferiority complex of Lee Sung-gye(Taejo) as a marginal man and borderland garrison. In the middle age of Chosun Dynasty Confucian scholars were thankful and felt heavy burden to China(Myung) for their military assistance to rebuild the state during the war with Japan(1592-1598). [2] Sino-centrism in Korea, even though shameful, was an important requisite in traditional society. It was, as to say, a kind of cataract, which can not be hidden, and an accumulated heritage regardless of class and age. It was not only misconception of Kim Boo-shik or Hwa-suh(Lee Hang-ro) School. The Sino-centrism was core of vassal state and vassal state was fruit of Sino-centrism. In the Korean history before the 19th Enlightenment age, there were few politicians and scholars free from Sino-centric bondage. [3] But even if it is true that the Sino-centrism was a stem that constituted the Korean political thought, it does not mean that it was main stream or basic value of Korean thought. As there were challenge and response, there were persistent resistance against Sino-centrism. Therefore there were no following deep and considerate research on anti/ or De-sino-centrism, this article is not relevant one. So I frankly confess that this article is neither perfect nor complete one but a half of it, until I finish my counter part article.

      • KCI등재

        근대 조선의 ‘탈중화’와 지역의식의 재구성 - 『독립신문』의 논설을 중심으로 -

        김수자 ( Kim Soo Ja ) 한서대학교 동양고전연구소 2017 동방학 Vol.37 No.-

        1876년 조선이 일본에 의해 개항하면서 한중일 3국은 조선과 청의 전통적인 조공, 책봉관계, 그리고 자주 개념을 서로 다르게 이해, 해석하고 있었음이 드러났다. 일본은 조일수호조약을 체결하면서 사용한 ‘자주국’이라는 용어를 통해 조선이 중국에 대해 자주, 독립국임을 분명히 하려고 하였다. 조선은 중국의 속방(屬邦)이나 내치외교는 자주(自主)라고 하는 ‘형식적인’ 종속관계를 유지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중국은 조선이 자국의 속국임을 실제화하려 했다. 이와같이 선명하지 않은 관계는 청일전쟁에서 일본이 승리하고, 청나라가 패하면서 종결되었다. 그리고 1899년 대한제국이 중국과 한청통상조약을 체결하면서 정치적 의미와 중세적 지역의식에서 조선은 중국으로부터 ‘완전히’ 벗어났다고 할 수 있다. 당시 개화 지식인들은 탈중화의 주요한 방법으로 문명담론을 활용하였다. 문명담론에 의거해 중국적인 것은 거의 예외없이 배격, 부정되었다. 중국의 것이 야만적인으로 규정되었기 때문이다. 유교문명 자체에 대해서도 회의하고 부정하는 태도를 보였다. 특히 『독립신문』은 중국을 서양이 갖추고 있는 문명의 양상들이 모두 결여된 어리석고, 천하고, 더러우며 나라를 위하는 마음이 없는, 미개화 혹은 야만과 동격화 하였다. 중국은 더 이상 문화의 중심이 아니라 동아시아의 다른 국가들과 마찬가지로 ‘지역’의 하나가 되어가고 있었다. 그러나 중국을 주변국으로 간주하면서도 동양의 방어를 위해서는 조선과 중국, 일본이 연대하여야 한다는 지역연대의식을 보여주고 있다. 이 연대의식은 자연스럽게 서양과 대별되는 아시아 지역공동체 성격을 띠는 것이었다. 이것은 조선의 위치를 독립국으로 자리매김하면서 동시에 자국의 역할을 규정한 것이기도 하였다. In 1876, when Chosun was opened by Japan. It was revealed that the three countries of Korea, China and Japan had different understanding about Chosun-Qing Relation, Tributary and Investiture. Japan tried to make it clear that Chosun was independent country from Qing by using a word ‘independent state’ at the Chosun-Japan Treaty. Chosun wanted to maintain a ’formal’ subordinate relationship with Qing, but was able to use its own independent diplomacy . But Qing tried to actualize that Chosun was Qing’s subject country. However, this unclear relationship ended with when Japan won and Qing lost at the Sino-Japanese War. And in 1899, by the Korean empire and Qing signing at the Korea-Qing Commercial Treaty, de-sinocentralism were composed at the political meaning and medieval regional consciousness. The intellectuals developed the moves that the movement to de-sinocetralism in terms of culture and consciousness. Based on the discourse of civilization, Qing style was rejected and denied almost without exceptions. Furthermore the China’s things were thought as barbaric. Also they seemed attitude that they denies with the confucianism too. Especially The Independent become equaled Qing same with barbarism that is insufficient civilization which Western has, and foolishness, dirty, and lack of interest for country. The reason why the intellectuals of Chosun made Qing as the barbarian country was they thought that dele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Qing which blocked the Chosun’s independence traditionally would announce that Chosun is independent country and make Chosun rich and strong. It was for showing that China was no longer the center of the culture anymore and it was just a local like other countries in East Asia. And in the process, it was defined the role of the Chosun state in that it should stand as an independent country.

      • KCI등재

        유득공의 북방인식과 탈중화의 궤적

        이철희 ( Lee Chul-hee ) 한국실학학회 2021 한국실학연구 Vol.- No.42

        유득공은 18세기 조선 지식인 중 옛 북방영토에 대한 인식과 중국 중심적 세계관에서 벗어나려는 의식의 변화과정을 비교적 선명하게 보여준다. 20대 백탑 동인들과 소품문과 시문학에 열중하던 유득공은 1778년 북경의 청나라 문사들에게 보내기 위해 지은 『이십일도회고시』를 계기로 역사방면으로 관심을 돌려 이후 『발해고』와 『사군지』 등 북방영토와 역사의 연구에 큰 성과를 남겼다. 『이십일도회고시』는 민족적 역사의식이나 북방경략의 의지가 관철되어있다기보다 만주족 치하의 한족 지식인과 망국의 슬픔을 공감하기 위해 지은 작품이었다. 같은 해 심양에 사행을 다녀오며 요동에서 지은 시는 고구려 고토에 대한 인식이 나타나 있지 않는 반면, 소중화 의식이나 정묘, 병자호란에 대한 울분이 표현되어 있다. 그러나 『이십일도회고시』는 단순한 회고시가 아니라 역사서의 성격도 지니게 되면서, 부여, 옥저 등 북방역사를 제외하고 조선의 역사적 영역을 압록강과 두만강 이남으로 축소시켰다는 비판을 초래하게 되었다. 이러한 비판을 만회하기 위하여 유득공은 북방역사 탐구에 매진하여 『발해고』를 저술하며 고구려 고토회복 의식을 드러내었고, 몽고, 여진 등 동북아 제민족의 역사문화로 관심의 폭을 넓혀 나갔다. 1790년 12년 만에 두 번째 사행을 떠나 북경과 열하를 다녀온 유득공은 그의 여행기에서 만주족 인물과 통치에 대해 호의적으로 평가하는가 하면, 교만하고 불평을 늘어놓는 한족지식인의 일면을 드러내기도 하여 양쪽에 대하여 객관적 관점에서 취하였다. 그 결과 당시 여행기의 대단원이라 할 수 있는 <鳳城>에서 고구려 정통론과 고구려, 발해, 여진, 만주로 이어지는 동북아민족의 계통론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소위 동북아 정세론이라 할 수 있는 이 주장은 5년 뒤 재편집하는 과정에서 삭제되었다. 고구려의 강성함에 대비하여 신라를 倭문화에 물든 야만의 문화로 비하하였고, 고구려와 발해가 여진족과 만주족과 친밀하였다는 이유를 들어 하나의 계보로 묶었는데, 이러한 주장은 당시 조선의 지식층의 반발을 불러일으키기에 충분한 것이었다. 그러나 유득공의 동북아 정세론은 명나라의 패망원인을 북방 민족의 강성함과 남방 한족의 문약함을 대비하는 남북문화 비교론에서 찾았던 김창업과 이기지의 의론과 연계되며, 홍대용이 『의산문답』에서 제기하였던 중화문명의 숭문주의에 대한 懷疑와 맥락을 같이한다는 점에서 중국 중심주의에서 벗어나려는 ‘탈중화’의 궤적이라 평할 수 있다. This article examines how Yu Deuk-gong reveals the perception regarding the old territory of Goguryeo among 18th century Joseon intellectuals, as well as the broader process of breaking away from a Chinese-centered worldview. Yu Deuk-gong, who spent his twenties absorbed in literature and poetry with his baektap colleagues, turned his attention to history in 1778 with the book 《二十一都懷古詩》, which was sent to Qing dynasty scholars in Beijing. Along with his later works, Balhaego and Sagunji, Yu Deuk-gong made 《二十一都懷古詩》was written to sympathize with the sorrows of Han Chinese intellectuals under Manchurian rule, rather than embodying national historical consciousness or the will of the northern territories. In the same year, while traveling to Shenyang and writing a poem in Liaodong, Yu Deuk-gong showed no awareness of Goguryeo’s native lands. 《二十一都懷古詩》was not simply a retrospective poem but also a historical book, which led to criticism for reducing Joseon’s historical areas to the south of the Yalu and Tuman rivers, except for northern historical lands such as Buyeo and Okjeo. To overcome such criticism, Yu Deuk-gong devoted himself to exploring northern territory history and wrote Balhaego, revealing a sense of restoration regarding ancient Goguryeo land. He also expanded his interest to the historical culture of the Northeast Asian Empire peoples, such as Mongolia and Yeojin. In 1790, Yu Deuk-gong, who left for the second time in 12 years to visit Beijing and Yeolha, gave a favorable evaluation of Manchuria’s character and government in his travel journals. He represented both sides in an objective manner by also discussing a Han Chinese intellectual who complained and was arrogant. The culmination of his travel records can be considered <鳳城>, which presents not only the orthodoxy of Goguryeo but also a systematic theory of the Northeast Asian people linking the Goguryeo, Balhae, Yeojin, and Manchu tribes into one genealogy. However, this theory, which can be referred to as the Northeast Asian Political Situation Theory, was deleted from his travel records in the process of re-editing five years later. In contrast to the strength of Goguryeo, Silla was degraded as a barbaric culture stained with Wakoku culture, furthermore, Goguryeo and Balhae were grouped into the genealogy with Manchuria and Yeojin because they were intimately related, which provoked opposition from Joseon’s intellectual class at the time. However, Yu Deuk-gong’s Northeast Asian Political Situation Theory is linked to Kim Chang-up and Lee Ki-ji’s comparative theory of inter-Korean culture, which posits that the collapse of the Ming Dynasty is attributable to both the national strength of the northern peoples and the cultural weakness of the Han Chinese in the south. His theory is also in the same context as Hong Dae-yong’s suspicion of the reverence of Chinese literature, discussed in his work Uisan Question and Answer, which demonstrates a sort of “de-Chineseization” as an escape from Chinese centralism.

      • KCI등재

        <혼일강리역대국도지도>와 사상으로서의 ‘아프리카’ - 혼일의 세계상과 탈중화의 주체성, 사상과제로서의 아프리카

        차선일 ( Cha Sun-il ),유정완 ( Yu Jung-wan ) 경희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1 인문학연구 Vol.- No.46

        이 글은 1402년에 조선이 그린 세계지도인 <혼일강리역대국도지도 >에 나타난 세계상과 ‘아프리카’의 의미를 고찰한다. 구체적으로 이 연구는 <강리도>가 보여주는 세계의 상상적 ‘조작’과 ‘왜곡’을 적극적으로 해석하여, 그것이 보여주는 지리적 세계의 확장과 ‘세계’ 개념의 전환을 살펴본다. <강리도>는 실제 세계를 설명하는 ‘세계의 텍스트’이면서, 조선이 지향하는 세계상을 말해주는 ‘세계에 관한 텍스트’이기도 하다. 즉 <강리도>는 이제 막 건국한 15세기 조선이 지향하고자 했던 세계상(world image)을 말해주는 텍스트이며, ‘아프리카’는 새로운 세계상의 구축에 필요한 타자 표상으로서 의미를 가진다. <강리도>는 조선이 지향했던 이상적인 세계상을 담고 있다. 구체적으로 그것은 성리학에 기반한 조선적 문명 중화의 세계였다. 중국과 중화 세계를 동일시하지 않았다는 점에서 <강리도>는 탈중화주의를 선언하는 텍스트이다. 또한 중화와 이적의 경계나 구분 자체가 없는, 모든 지역이나 민족이 평등한 문명사회이자 문명국이라는 인식에 기초한 세계질서를 기획하는 담론이라고 할 수 있다. 보편적이고 다원적인 중화 문명의 세계, 그것이 <강리도>를 제작한 조선의 사상적 야심이었다. <강리도>의 ‘아프리카’는 조선이 꿈꾼 혼일의 세계 지평과 문명 중화의 세계를 보증하는 타자 표상이다. 실정적인 측면에서 조선인에게 ‘아프리카’는 미지의 장소이며, 교류할 수 없는 상상의 나라와 다르지 않았다. <강리도> 속 ‘아프리카’는 구대륙의 모든 영토를 지배한 몽골의 세계제국이 구축했던 문화교류와 문물교역의 거대한 네트워크를 증명하는 유산이다. 세계제국의 변방에 위치한 조선은 분명 제국의 세계지도를 보고 ‘혼일’의 세계정신을 물려받았으며, ‘아프리카’는 세계제국의 광대한 세계지도가 개시한 사상적 유산을 이어받음으로써 상상할 수 있었던 세계상, 즉 혼일의 지평과 조선적 문명 중화의 세계를 완성하는 상징적 타자였다. 이 연구는 아프리카의 이미지와 표상, 개념과 이데올로기가 한국문학에 수용되는 양상 연구에 대한 시론으로서, 한국의 역사와 문학에서 아프리카가 차지하는 의미와 위상을 고찰하고 나아가 사유의 대상으로서 아프리카를 논의하기 위한 입론이다. This article examines the world image and the meaning of “Africa” in the < Honil gangni yeokdae gukdo jido > a world map drawn by Choson in 1402. Specifically, the study actively interprets the imaginative “manipulation” and “distortion” of the world shown by < Gangnido >, looking at the expansion of the geographical world and the transformation of the concept of “world.” < Gangnido > is the text of the world that describes the real world and also the text of the world that Choson aims for. In other words, < Gangnido > is a text that tells the world image that Choson, which was just founded in the 15th century, wanted to pursue, and ‘Africa’ is meaningful as a typeface needed to build a new world. < Gangnido > contains the ideal world image that Choson was aiming for. Specifically, it was a world of neutralization of Choson civilization based on Neo-Confucianism. < Gangnido > is a text declaring de-Chineseism in that it did not identify China and the Chinese world. It is also a discourse that plans the world order based on the perception that all regions and peoples are equal civilized societies and civilized countries, with no boundary or distinction between neutralization and transfer. The universal and pluralistic world of Chinese civilization, it was Choson’s ideological ambition to produce < Gangnido > “Africa” in < Gangnido > is a typist’s symbol that guarantees the world of marriage and civilization neutralization that Choson dreamed of. In practical terms, for Koreans, ‘Africa’ was an unknown place, and it was no different from an imaginary country where they could not interact. “Africa” in < Gangnido > is a heritage that proves the huge network of cultural exchanges and cultural exchanges established by the Mongol world empire that ruled all the territories of the Old Continent. Choson, located on the periphery of the world empire, clearly inherited the spirit of “Honil” by looking at the world map of the empire, and Africa was a symbolic type of world image that could have been imagined by inheriting the ideological legacy initiated by the vast world map of the world, namely, the horizon of marriage and the neutralization of Choson civilization. This study is a poetic theory on the aspects of African images, representations, concepts and ideologies accepted in Korean literature, and is an introduction to consider the meaning and status of Africa in Korean history and literature and further discuss Africa as a subject of private reasons.

      • KCI등재

        조선 속의 명나라 ― 大報壇을 통해서 본 조선 지배층의 중화 인식 ―

        계승범 명청사학회 2011 명청사연구 Vol.0 No.35

        With emphasis on the sacrificial performances at the Altar of Great Gratitude (Taebodan), designed to pay tribute to the memory of the three emperors of the fallen Ming, this paper examines the way in which Korean ruling elites struggled to link themselves to Ming China under Manchu dominance in the eighteenth and nineteenth centuries. Since the 1500s, Ming China had been honored in Chosŏn Korea as the suzerain-father, with the result that the Ming became the object for Chosŏn filial piety as well as loyalty. With the compromise with the Manchu in 1637, however, the Korean leadership faced an ideological crisis; king and court officials themselves had violated the two primary Confucian values, loyalty and filial piety, on which the ruling mechanism of the dynasty had been based for about 250 years. The establishment and enlargement of the Altar of Great Gratitude in the palace yard was designed to offset the violation and visibly demonstrate Chosŏn’s fulfillment of its righteous obligations to the fallen Ming regardless of the circumstances. The post-Ming Korean kings, such as Yŏngjo (r. 1724-76) and Chŏngjo (r. 1776-1800) performed sacrifices for three Ming emperors on the anniversaries of their deaths every year. These sacrifices were regularly performed even after Chosŏn opened up its ports to Japan (1876) and Western powers (1880s), and continued until Seoul was occupied by the Japanese on the eve of the Sino-Japanese War (1894-95), implying that the majority of Korean elites still lived spiritually under the imaginary Ming order on the threshold of the so-called modern era. It also suggests that Ming China was still serving as a source of authority in Chosŏn Korea even after the Ming disappeared from the scene in 1644.

      • KCI등재

        예교(禮敎)에서 종교(宗敎)로 - 대한제국기 종교정책과 배경 담론들을 중심으로

        이종우(李鐘羽)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2019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Vol.81 No.-

        본고의 목적은 근대 종교 지형이 예교에서 종교로 변모해 가는 과정을 대한 제국기 종교정책과 종교정책의 배경이 되는 담론들을 중심으로 검토하는 것이다. 특히 대한제국기 종교정책이 서구와 일본으로부터 유입된 ‘종교’ 개념유입의 영향을 받았으며, 대한제국의 건국 취지였던 구본신참(舊本新參)이 반영되었으나, 실제로는 종교 개념에 대한 깊은 이해가 없는 구본(舊本)의 성격이 더 강했으며, 그 배경 담론 속에서도 큰 차이가 없었음을 밝히고자 한다. 대한제국기 종교정책은 근대, 서양의 문명과 함께 종교라는 개념의 유입에 일정부분 영향을 받았다. 특히 기존의 예교라는 개념이 종교로 대체되면서, 기존에 있던 것들, 특히 성리학을 종교라는 틀에 맞출 필요가 있었다. 이러한 과정에서 대한제국의 개국의 취지인 ‘구본신참’이 종교정책에도 적용되었다. 그 그래서 새로 생긴 종교정책과 기존의 종교정책 중 변화한 것이 있었는데, 그 대표적인 예가 원구단에서의 하늘에 대한 의례와 역법의 변화이었다. 원구단에서의 하늘에 대한 의례와 역법의 변화 속에서 조선에서 대한제국으로의 변화와 탈중화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모습은 조선이 대한“제국”이 된 것일 뿐, “중화”라는 과거의 프레임에서 벗어나지 못한 모습이었다. 또한 종교 개념의 유입과 함께 정교분리, 신앙의 자유 등 외부에서 들어온 것도 있었다. 조선 말과 대한제국기의 지식인을 중심으로 이것에 대한 논의가 활발히 있었는데, 특히 소위 “다른 종교”라는 개념이 탄생한 것에 주목하였다. 그러나 정교분리의 기반에는 황제가 곧 국가라는 전제 아래, 종교가 국가의 유지에 기여할 수 있는 방식으로 고안되었고, 신앙의 자유는 대한제국 지배층이 아닌 통감부에 의해서 공인 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pare is to review the process of changing the modern religious landscape from Yegyo to religious, focusing on religious policies and discourses of the time when the Korean Empire was in place. In particular, I want to show that the religious policy of the Korean Empire was influenced by the inflow of the concept of "religious" from the West and Japan, and reflected the KuBonShinCham , which was intended to be the founding of the Korean Empire, but in reality, the KuBon was more strongly formed without a deep understanding of the religious concept, and there was no big difference in the background discourse. The religious policy of the Korean Empire, along with modern and western civilization, was influenced in part by the introduction of the concept of religion. Especially, as the concept of pre-existing precepts were replaced by religions, it was necessary to fit the existing ones, especially the Neo-Confucianism, into the framework of religion. In this process, KuBonShinCham , the purpose of the founding of the Korean Empire, was applied to religious policy as well. Therefore there were changes in what had occurred and what had been in the past. Typical exampleswere the rite of heaven at the WonGuDan and the change of the method of calendar. Amid them, we could see the change from Joseon to the Korean Empire and post-Sinocentrism. But it was just the change from Joseon to Korean "Empere", and it did not break away from its past frame of Sinocentrism. In addition to the influx of religious concepts, there were also those brought in from the western and Japan, such as the separation of religion-policy, and the freedom of religion. There were brisk discussions on this, centering on intellectuals from the late Joseon Dynasty and the Korean Empire, especially noting the birth of the so-called "other religions." However, on the basis of the the separation of religion-policy, on the premise that the emperor was the state, the freedom of religion was conceived by the Resident-General, not the ruling class of the Korean Empire.

      • KCI등재

        1763 계미통신사행과 한일 관계의 변화 탐색 -충돌과 갈등 양상을 중심으로-

        이홍식 ( Hong Shik Lee ) 한양대학교 동아시아문화연구소(구 한양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1 동아시아 문화연구 Vol.49 No.-

        본고는 계미통신사행기록을 토대로 한일 양국 교류의 갈등 지점과 원인 및 양상을 밝히고, 그 결과를 토대로 한일 양국의 관계 변화 정도와 의미 등을 고찰하는 데 주된 목적을 두었다. 계미통신사행을 통한 한일 문화 교류의 실제에 대해서는 조엄·남옥·원중거·성대중·김인겸 등 일군의 통신사들이 남긴 기록을 통해 분명히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그 교류와 소통의 이면에는 단절과 불통의 잔재들이 여전히 남아 있었다. 본고는 이 지점에 논의를 집중하였는데, 특히 사행의례의 변화를 둘러싼 갈등과 역사 인식 차이에서 빚어진 충돌 및 학문과 사상의 대립에 기인한 불통에서 한일 교류의 갈등 지점과 원인 및 양상 등을 파악하였다. 더하여 귀로에 대판에서 터진 최천종 피살 사건과 그 처리 과정을 통해 한일 양국 간의 단절과 불통을 상징적으로 읽어낼 수 있었다. 한일 양국의 단절을 보여주는 이러한 일련의 사건들은 우연이 아니라 분명한 인식 차이에서 발생한 것이었다. 특히 주자학과 중화주의에 중심을 둔 조선의 교린 외교 정책과 반주자주의와 탈중화주의로 나아간 일본의 외교 정책이 충돌하는 지점에서 주로 발생했으며, 그 충돌은 통신사행 출발 이전부터 이미 예견된 것이기도 했다. 계미통신사행은 조선이 에도를 방문한 마지막 통신사행으로 한일 양국의 갈등과 충돌이 여과 없이 드러나 있는 만큼, 조선이 일본 전체를 조망하고 파악할 수 있었던 마지막 기회였다 할 만하다. 하지만 당시의 조선은 이러한 변화를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였고 결국에는 외면하고 말았다. 한일 양국의 상호 우호관계가 일변하여 1811년 이후 단절되고 1876년 이후 굴절되고 만 데에는 이러한 인식의 부재가 미친 영향도 적지 않을 것으로 판단된다. 한일 교류사에서 계미통신사행이 가지는 의미는 결국 이 지점에서 자연스럽게 도출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set aims to reveal conflict points, causes and aspects of exchanges between Korea and Japan, then based on results, to investigate degree and meaning of changing relation between two countries through Kyemi journey of Tongsinsa(the delegation to Japan) as a main text. Kyemi journey of Tongsinsa was the last visit to Edo with Joseon`s delegation. We could confirmed facts on exchange cultures and communications through the report of this journey written by Jo am, Nam Okwon, Won Junggeo, Sung Daejung, Kim Ingyem and etc. However vestiges of rupture and disconnect still remained in the other side of exchanges and communications, and sometimes these burst up in specific surrounds and conditions. Changing several rituals surrounded the ritual of passing on official documents incommoded Joseon delegations and distortions of ancient history and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Introduction and prevalence of Japanese ancient study against neo-Confucian fully discombobulate Joseon delegations too. Especially murdering Choi Cheonjong on theirs way home in Osaca emblematically showed disconnection and disruption of Joseon delegations journey. This accident brought many disputes. This conflict represented changes relation between two countries as it is. Things which were not existed or little stood out arouse in the period of Joseon delegations journey. Particularly, because these affairs and accidents happened in the conflict between Joseon`s diplomatic neighbor policy based on neo-Confucian and Sinocentrism and Japan`s diplomatic policy for anti neo-Confucian and anti Sinocentrism. Therefore finding and trimming on disconnection burst from gab between exchange and communications and vestiges of rupture are used for not only correcting relation between two countries but also investigating differences on interchange cultures, history cognition, and world view.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