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광고 크리에이터의 사회적 지능과 직무성과의 관계 - 성별, 근속기간별, 직무별 차이를 중심으로 -

        최원수,진용주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2014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ol.12 No.3

        광고회사는 소비자에게 전달할 유용한 광고메시지를 창조적 협업을 통하여 산출한다. 광고제작과 관련된 전반적인 업무과정에서 광고 크리에이터의 창의력과 실행능력은 광고 직무성과에 중요한 변수이다. 본 연구는 광고회사 크리에이터의 개인 심리적 특성에서 구성원과의 협업과 관련된 사회적 지능이 광고현업의 직무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인구통계변인별로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첫째는 선행연구를 검토하여 광고회사 크리에이터의 사회적 지능, 직무성과 등의 주요 개념들과 관련된 요인들과 측정 변수들을 설정하였다. 둘째는 광고 크리에이터의 사회적 지능과 직무성과의 관계에 대하여 국내 광고회사 크리에이터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다. 요인분석결과, 광고 크리에이터의 사회적 지능은 3가지 요인으로 분류되었다. 즉, 리더십 요인, 배려성 요인, 설득성 요인이다. 본 연구결과, 사회적 지능이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설득성 요인, 배려성 요인, 리더십 요인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사회적 지능은 성별, 근속연수별, 업무분야별에서, 남성이 여성보다, 근속연수가 많을수록, 뉴미디어와 관련된 업무를 하는 사람들이 더욱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직무성과 역시 성별, 근속연수별, 업무분야별에서, 남성이 여성보다, 높은 근속연수가 더욱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과 연령별에 따른 직무성과의 상호작용효과에서도 각 연령대별로 다양한 상호작용효과가 발견되었다. The ability of creative people in advertising company is the key factors to increase the job performance. From the recent reports about important factor to creativity, the personal psychological factors of creative people are also important. This research examined the relation between social intelligence of creative people and their job performance and analysed the results with the demographical variables. For this research many research papers regarding social intelligence and job performance were reviewed and analysed to find the conceptual and operational definition. And research field work were proceeded to find out their thought about social intelligence and job performance to creators in Korean advertising companies. From the factor analysis, the social intelligence were divided to 3 factors, ie. leadership factor, consideration factor, persuasive factor. The research result showed that the most important factor to increase job performance was persuasive factor and next factor was consideration factor. But leadership factor were the least factor for job performance that is totally different from previous research results. From the results of demographic factors about the impact of social intelligence and job performance, man was higher than woman, long period workers were higher than short period workers, and new media workers were higher than traditional workers. The interaction effect between gender and length of working years about job performance were positively showed in many range of creators' ages.

      • KCI등재

        메타버스 크리에이터 특성에 관한 탐색적 연구: 제페토 크리에이터의 창작동기와 플랫폼 특성, 몰입을 중심으로

        김하연,홍세민,이상우 한국혁신학회 2023 한국혁신학회지 Vol.18 No.1

        As the metaverse market expands, so do metaverse creators, who engage in activities for creating within the metaverse platform. Although consumers and companies have grown increasingly interested in metaverse creators, related academic studies have not yet been actively conducted. Therefore, this study explored the motivations of metaverse creators and investigated the effect of motivation for creating and platform characteristics on flow and intention to use. To this end, this study derived the motivation for creating ZEPETO creators through literature research and in-depth interviews and examined the effect of motivation for creating and platform characteristics on creators' flow and intention to use. The results show that intrinsic motivation (entertainment motivation, self-expression motivation, achievement motivation), and extrinsic motivation (economic motivation, relationship-building motivation) were derived as the creators' motivations. As a result of the structural model verification, creators with strong intrinsic motivation (entertainment motivation and achievement motivation) were more immersed in creative activities. Creators who perceived interactivity, telepresence, and convenience of use on the platform were more immersed in ZEPETO. Furthermore, flow in creative activities is positively associated with flow in ZEPETO, and flow in ZEPETO also significantly influences the intention to use. This study is the first exploratory study on metaverse creators and is meaningful in that it conceptualized metaverse creators and identified their creative behavior and platform use behavior. 메타버스 시장이 성장하면서 메타버스 플랫폼 내에서 창작행위를 하는 이용자인 메타버스 크리에이터가 주목받고 있다. 메타버스 크리에이터에 대한 소비자와 기업의 관심이 증가하고 있는 것과 달리, 아직까지 이와 관련된 학술 연구는 활발히 진행되지 않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메타버스 크리에이터의 창작동기를 탐색하고 창작동기와 메타버스 플랫폼의 특성이 크리에이터의 몰입과 플랫폼 이용 행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문헌연구와 심층인터뷰를 통해 제페토 크리에이터의 창작동기를 도출하고, 창작동기와 플랫폼 특성이 크리에이터의 몰입과 지속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 크리에이터의 창작동기로 내재적 동기(오락적 동기, 자기표현 동기, 성취적 동기)와 외재적 동기(경제적 동기, 관계 맺기 동기)가 도출되었다. 구조모형 검증 결과, 내재적 동기(오락적 동기, 성취적 동기)가 강한 크리에이터일수록 창작활동에 더욱 몰입하였다. 또 플랫폼에서 상호작용성, 원격실재감, 이용편리성을 높게 인식하는 크리에이터일수록 제페토에 더욱 몰입하였다. 마지막으로 창작활동에 몰입하는 크리에이터일수록 제페토에 몰입하는 경향이 높았고, 이러한 크리에이터들은 제페토를 지속적으로 이용하려는 의도가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메타버스 크리에이터에 대한 최초의 탐색적 연구로, 메타버스 크리에이터를 개념화하고, 이들의 창작행위와 플랫폼 이용행위를 파악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KCI등재

        틱톡 라이브 방송 크리에이터 속성이 후원의도에 미치는 영향 -대인존재감을 매개 변인으로-

        김종무 ( Kim Jong-moo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 2022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81 No.-

        최근 ‘짧은 동영상’인 숏폼(Short-Form) 동영상 플랫폼인 틱톡의 사용이 늘어나고 있다. 이러한 경향은 콘텐츠의 홍수 속에 긴 영상보다 짧은 영상 콘텐츠를 선호하기 때문이다. 틱톡의 성장은 숏폼이 경쟁력 있는 플랫폼임을 보여 준 것이며, 유튜브의 ‘쇼츠(Shorts)’, 인스타그램의 ‘릴스(Reels)’, 네이버의 ‘블로그 모먼트(Blog Moment)’, 넷플릭스의 ‘패스트 래프(Fast Laughs)’가 출시되는 배경이 되었다. 이런 상황에서 틱톡 라이브 방송에서 크리에이터의 직접적인 수입원인 ‘틱톡코인(Tik Tok Coin)’ 후원에 대한 소비자의 후원의도에 크리에이터 속성과 대인존재감이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이에 본 연구는 틱톡 라이브 방송 크리에이터 속성이 무엇이며, 크리에이터 속성이 시청자의 후원의도 관계에 있어 대인존재감이 어떤 매개 역할을 할 것인가를 중국 소비자 299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틱톡 라이브 방송 크리에이터 속성은 크리에이터 전문성, 신뢰성, 친밀성, 유희성, 매력성으로 나타났다. 둘째, 틱톡 라이브 방송 크리에이터 전문성, 신뢰성, 친밀성, 유희성, 매력성 모두 후원의도에 유의한 영향력을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특히 크리에이터 전문성이 후원의도에 가장 높은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틱톡 라이브 방송 크리에이터 속성과 후원의도의 영향 관계에서 대인존재감 매개효과 방법을 적용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크리에이터 전문성, 친밀성, 유희성은 부분 매개효과가 있은 것으로 확인됐으며, 크리에이터 신뢰성과 크리에이터 매력성은 대인존재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아 완전 매개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틱톡 라이브 방송 크리에이터의 후원의도에 대한 중국 소비자 태도를 이해하는데 기초 자료가 될 것이다. The use of TikTok, Short-Form video platform as short video is increasing recently. This tendency is due to the preference of short video over long video in the flood of contents. The growth of TikTok shows that short form is competitive platform. Then, it became the background for the release of ‘Shorts’ of YouTube, Reels of Instagram, Blog Moment of Naver, Fast Laughs of Netflix. In such situation, I wish to know how creator attributes and interpersonal presence(Mattering) influence consumer’s Intention to Support the support for Tik Tok Coin which is creator’s direct income source in TikTok live broadcast. Thus, this study analyzed 299 Chinese consumers to see what attributes of creator are in TikTok live broadcast, what mediator role interpersonal presence plays in the relation between creator attributes and consumer’s Intention to support. The result of analysis is as follows. First, creator attributes in TikTok live broadcast are found to be creator’s expertise, reliability, intimacy, amusement and attraction. Second, It was found that TikTok live broadcast creator’s expertise, reliability, intimacy, amusement and attraction significantly influence Intention to Support. Especially, creator’s expertise is found to be most influential on Intention to Support. Third, performing regression analysis by applying interpersonal presence mediator effect method to influential relation between TikTok live broadcast creator attributes & Intention to Support, it was found that creator’s expertise, intimacy & amusement has partial mediation effect, but creator’s reliability & attraction have no significant influence on interpersonal presence, thereby showing complete mediator effect. This study will be basic materials to under the attitude of Chinese consumers for TikTok live broadcast creator’s Intention to Support.

      • KCI등재

        틱톡(TikTok) 한국 관광콘텐츠 시청동기와 크리에이터 공신력이 한국 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류 호감도와 몰입 경험을 매개 변인으로-

        양몽림,김종무 (사)한국커뮤니케이션디자인협회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 2023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85 No.-

        본 연구는 틱톡(TikTok)에서 한국 관광콘텐츠 시청 동기와 크리에이터 공신력이 한국 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과 한국 관광콘텐츠 시청 동기와 크리에이터 공신력이 한국 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몰입 경험과 한류 호감도가 어떠한 매개 역할을 하는지를 분석하였다. 연구를 위해 총 400부의 설문 데이터를 사용하였으며, 분석은 SPSS 27.0을 이용하였다. 설문의 타당성 검증을 위해 요인 분석과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였고, 변인 간의 상관관계 분석, 회귀분석, 매개효과 분석를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틱톡 한국 관광콘텐츠의 시청동기 요인은 ‘정보 추구’, ‘오락 추구’, ‘상호작용성’, ‘시청 편의성’ 요인으로 확인되었으며, 크리에이터 공신력 요인은 ‘크리에이터 전문성’, ‘크리에이터 신뢰성’, ‘크리에이터 매력성’, ‘크리에이터 유희성’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한국 관광콘텐츠 시청동기 요인 중 오락 추구, 상호작용성, 시청 편의성이 높을수록 한국 방문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크리에이터의 전문성이 한국 방문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틱톡 한국 관광콘텐츠의 상호작용성, 시청 편의성과 크리에이터 전문성이 한국 방문의도에 영향을 미치고, 시청자가 몰입 경험을 많이 지각할수록 시청자의 한국 방문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밝혀졌다. 다섯째, 틱톡 한국 관광콘텐츠의 오락 추구, 상호작용성, 시청 편의성과 크리에이터 공신력이 한국 방문의도에 영향을 미치고, 시청자의 한류 호감도가 높을수록 시청자의 한국 방문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밝혀졌다. 본 결과를 통하여 틱톡에서 한국 관광콘텐츠 시청 동기와 크리에이터 공신력을 이해함과 동시에 향후 효과적인 관광콘텐츠 제작에 있어 시청자 태도가 어떠한지를 파악하는 데 도움을 줄 것이다.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s of motivations for watching Korean tourism content and creator credibility on the intention to visit Korea through TikTok. Additionally, it examined how immersion experience and Hallyu (Korean Wave) preference play a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otivations for watching Korean tourism content, creator credibility, and the intention to visit Korea. For the research, a total of 400 survey responses were utilized, and the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SPSS 27.0. To validate the survey,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were performed, followed by correlation analysis among variables, regression analysis, and mediat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 motivations for watching Korean tourism content on TikTok were identified as 'information-seeking,' 'entertainment-seeking,' 'interactivity,' and 'convenience,' while the factors influencing creator credibility were 'creator expertise,' 'creator trustworthiness,' 'creator attractiveness,' and 'creator playfulness.' Second, among the motivations for watching Korean tourism content, entertainment-seeking, interactivity, and convenience positively influenced the intention to visit Korea. Third, creator expertise had a positive influence on the intention to visit Korea. Fourth, the interactivity of TikTok Korean tourism content, viewing convenience, and creator expertise affected the intention to visit Korea, and the more viewers perceived immersion experience, the more positively it influenced their intention to visit Korea. Fifth, the entertainment-seeking, interactivity, and convenience of TikTok Korean tourism content, as well as creator credibility, influenced the intention to visit Korea, and the higher the viewers' Hallyu preference, the more positively it influenced their intention to visit Korea. Through these results, this study provides insights into understanding motivations for watching Korean tourism content and creator credibility on TikTok, as well as understanding viewers' attitudes for effective tourism content production in the future.

      • KCI등재

        소셜 크리에이터 산업의 활성화 요인 연구

        오동일(Dong Il Oh) 한국애니메이션학회 2016 애니메이션연구 Vol.12 No.1

        소셜 크리에이터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주요 플랫폼으로 활용하고 있으며, 1인 창작자 중심의 ‘사용자 창작 콘텐츠(UCC: User Created Contents)’가 본격적으로 사업화되기 시작하면서 디지털시대 미디어 시장의 새로운 콘텐츠 공급원으로 급속히 부상하고 있다. 즉, 소셜 크리에이터는 디지털시대의 1인 창작자이며, 디지털기술이 제공하는 환경 속에서 작가 · 행위자 · 프로듀서의 중요한 역할을 동시에 수행하는 멀티태스킹(Multi-tasking)과 올인원(All-in-one)의 특성을 가지고 있다. 현재, 소셜 크리에이터의 활동 범위는 게임 · 음악 · 스포츠 · 먹방 · 쿡방 · 뷰티 · 라이프 · 취미 · 토크 · 유머 · 시사 · 정보 등과 같이 기존의 전통적인 미디어가 다루고 있는 콘텐츠 분야뿐만 아니라, 일상 속에서 접할 수 있는 다양한 소재와 내용들을 포함하고 있다. 그들은 콘텐츠의 다양성, 현장성, 상호작용성을 통해 콘텐츠를 구현함으로써 사용자들에게 많은 재미와 흥미를 전달하고 있다. 특히, 소셜 크리에이터는 기존 한류 콘텐츠의 영향력을 기반으로 새로운 패러다임의 한류 콘텐츠 확산을 주도할 수 있는 잠재적인 성장 동력이기도 하다. 그러므로 이와 같은 소셜 크리에이터 산업의 활성화와 발전을 위해 콘텐츠 기획, 홍보, 광고영업, 수익창출 및 관리 등을 지원하는 MCN(Multi Channel Network) 기업과의 선순환적인 제휴도 필요하겠지만, 무엇보다도 소셜 크리에이터 자체의 기획 · 제작 역량이 우선적으로 강화되어야 할 것이다. 그것은 소셜 크리에이터가 거대 기업에 종속되는 산업 생태계의 고착을 막기 위한 최선의 대안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국내 소셜 크리에이터들의 산업적 활동을 하나의 특화된 산업분야로 인식하는 정부의 정책적 접근과 인프라 구축이 반드시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Social creators utilize the social network service (SNS) as major platforms and they are rapidly emerging as a new source of content supplies on the media market in the digital era as the one-person creator-centered ‘user-created contents (UCC)’ have begun to be commercialized in earnest. In other words, social creators are one-person creators in the digital era and have multi-tasking and all-in-one characteristics of performing important roles of a writer, performer, and producer simultaneously in the environment provided by digital technologies. Currently, the scope of the social creators’ activities includes not only the contents that the existing traditional media deal with, such as games, music, sports, eating show, cooking show, beauty, and information, but also diverse materials and contents through the diversity, sense of realism, and interactivity of the contents. Particularly, the social creators are also a latent growth engine that can lead the proliferation of a new paradigm of the Korean wave contents based on the existing Korean wave influence. Accordingly, to vitalize and develop the social creator industry, the virtuous cycle alliance with MCN (Multi-channel network) companies that support the content planning, promotion, advertisement business, profit creation and management is needed but, most of all, the planning and production capabilities of social creators themselves should be reinforced preferentially. This can be said to be the best alternative to prevent the industrial ecosystem, in which social creators are dependent on big corporations, from becoming permanent. And, it is judged that the government’s strategic approach and the building of the infrastructure, in which domestic social creators’ industrial activities are recognized as a specialized industrial sector, are acutely needed.

      • KCI등재

        1인 미디어 크리에이터(BJ)의 광고모델 속성이 광고효과에 미치는 영향

        김나경,김예솔란,이세진 한국광고PR실학회 2020 광고PR실학연구 Vol.13 No.4

        One-person media creators play an effective and influential source of information for consumers in modern society who are familiar with video content. This study tried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attributes of media creator on the advertising effects, which are measured in terms of attractiveness, trustworthiness, expertise and similarity. Furthermore, this study tried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of the major attributes of the media creator according to the genre of the media content.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the attractiveness, similarity, and trustworthiness of creators had a positive effect on advertising attitude, while expertise had a negative effect. Also, on brand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 only the creator's attractiveness and similarity had a positive effect. While examining the relative influence of the attribute of the media creator(BJ) on the advertising effect by genre, it was found that similarity has the greatest influence in the game and food genres. On the other hand, the attractiveness of creators in the beauty/cosmetics genre has the greatest influence. Meanwhile, the influence of similarity of media creators on brand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 differed according to genr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 and a discussion about the direction of future research were presented. 1인 미디어 크리에이터는 기존 매체들이 해결해주지 못했던 갈증을 모바일 동영상 콘텐츠를 통해 해소해주고 있으며, 실시간 소통과 공유를 통해 어린이부터 성인까지 영상 콘텐츠에 익숙한 현대 사회의 소비자들에게 효과적이고 영향력 있는 정보원의 역할을 하고있다. 이 연구에서는 1인 미디어 크리에이터의 광고모델 속성이 광고효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나아가 이러한 광고모델의 속성이 광고효과에 미치는 영향은 크리에이터의 주요 장르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나타나는지 규명해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광고태도에 대해서는 크리에이터의 매력성, 유사성, 신뢰성은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반면 전문성은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브랜드태도와 구매의도에는 크리에이터의 매력성과 유사성만이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장르별 광고효과에 대한 광고모델 속성의 상대적 영향력은 게임과 먹방 장르에서는 크리에이터의 유사성이 가장 큰 영향력을 가지는 반면 뷰티/화장품 장르에서는 크리에이터의 매력성이 가장 큰 영향을 가지는 것으로나타났다. 한편, 1인 미디어 크리에이터의 유사성이 브랜드태도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은 장르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이론적 및 실무적 시사점과 향후 1인 미디어 크리에이터 연구의 방향성에 대한 논의를 제시하였다.

      • KCI등재

        대학생 시청자의 뷰티 유튜브 크리에이터 특성이 시청몰입에 미치는 영향

        김수지,최윤경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22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8 No.4

        최근 외모에 관심이 많은 20대들은 뷰티와 관련된정보와 노하우들을 뷰티 크리에이터가 업로드 하는유튜브 플랫폼을 통해 제공받고 있다. 뷰티 유튜브에서는 메이크업 시연하는 영상과 제품리뷰 및 정보를 제공해주는 영상이 주를 이으며, 이외에도 화장품 브랜드와 협업을 통해 제품 광고 홍보영상까지 업로드 하면서 다양한 형태로 제공되고 있다. 특히, 특정 화장품 브랜드 모델로 발탁되어 제품을 직접 홍보하면서 인지도가 높아진 뷰티 크리에이터들은 TV 예능프로그램 출연과 화장품 잡지, SNS 모델 등으로 활약까지 하면서 유명세는 물론 큰 수익까지 얻고 있다. 이러한 흐름에 따라서 뷰티 콘텐츠와 뷰티 크리에이터에 관련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나 대부분 인식과 지속이용도, 구매행동에 관련된 마케팅 연구로 뷰티 크리에이터 특성에 따른 몰입연구는 미비한 편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뷰티 콘텐츠 이용실태를 파악하고, 뷰티 크리에이터 특성과 몰입과의 관계를 조사함으로써 효과적인 뷰티 콘텐츠의 제작 활용 및 성공적인 뷰티 크리에이터 활동에 도움이 되고자 하는 데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설문기간 및 대상은 2021년 6월 1일부터2021년 7월 1일까지 한 달간 실시하였고, 광주 지역에거주하는 20대 대학생 200명을 대상으로 20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였으며, 그중 불성실한 응답자 18부를제외한 총 182부의 자료를 사용하였다. 분석 방법은SPSS 21.0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과 독립표본t-test, 탐색적 요인분석, Cronbach’s α계수 산출,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뷰티 크리에이터 특성 중 전문성, 신뢰성, 친근성이 영상 시청 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것으로 조사되면서 유튜브 영상 제작 시, 크리에이터의 충분한 경험을 바탕으로 노하우를 전달하고, 전문적인 지식과 용어를 사용한다면 구독자들에게 만족도높은 영상물이 제공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제품 사용법에 대한 객관적 설명과 솔직한 리뷰를 제공할 경우에도 콘텐츠의 몰입은 더 증대될 것으로 보이며, 특히, 친근함이 중요한 요소로 꼽히면서 정적인 분위기보다는 편안하고 친근한 분위기에서 구독자와 소통하고, 유대감을 형성한다면 보다 더 효과적인 뷰티 콘텐츠의 제작과 성공적인 뷰티 콘텐츠의 제작과 성공적인 뷰티크리에이터 활동에 도움이될 것이라 기대한다.

      • KCI등재

        메타버스 콘텐츠 플랫폼 비즈니스 모델 수립 전략 연구 - 1인 미디어 크리에이터를 중심으로

        박은지(Eun Ji Park),김익수(Ik Su Kim),김재현(Jae Hyun Kim) 한국문화경제학회 2022 문화경제연구 Vol.25 No.3

        본 연구는 메타버스 플랫폼을 콘텐츠 플랫폼으로써 활용 시 수립 가능한 기업의 비즈니스 모델 수립 전략을 고찰하는 연구이다. 최근 메타버스 플랫폼이 활성화되며 미디어 크리에이터들이 메타버스 플랫폼을 활용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메타버스 플랫폼이 유저 중심의 플랫폼의 모습을 보이고 있고, 크리에이터들이 활용하기에는 비즈니스 모델이 명확하지 않아 기업들이 이를 콘텐츠 시장에 적용하기에 적합한형태로 플랫폼을 운영하고 있지 못한 실정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 1인미디어크리에이터 212명을 대상으로 선호하는 메타버스 플랫폼 비즈니스 모델에 대한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이를 바탕으로 메타버스 플랫폼 기업이 활용 가능한 비즈니스모델 수립 전략을 제언했다. 비즈니스 모델에 대한 전략을 제언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현재 콘텐츠 플랫폼으로 사용되고 있는 메타버스 콘텐츠 플랫폼의 4가지 비즈니스 모델에 대한 선호도 조사를 1인 미디어 크리에이터를 대상으로 실시하고, 해당 선호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했다. 분석 결과, 선호도는 채널 이용자 수에 비례한 보상 모델>광고를 활용한 선호도 영향 요인 중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요인은 연령과 메타버스 이용 경험 유무로분석되었다. 이는 연령이 낮은 1인 미디어 크리에이터일수록 기존 유튜브의 비즈니스모델을 선호하고, 메타버스 이용 경험이 있는 크리에이터들은 블록체인 기반 P2E 수익모델에 친숙하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이를 바탕으로 기존 유튜브 방식의 수익 모델을접목한 수익 모델 구상, 메타버스 플랫폼 이용이 쉽게 이루어 질 수 있는 전략 마련, 연령이 높은 크리에이터를 대상으로 기업과 협업할 수 있는 구조 마련, 연령 맞춤형 크리에이터 수익 모델 구상 등의 전략을 제언했다. This study is fucused on the strategies for establishing a business model of metaverse platform companies by building a content platform. Recently, media creator’s use of the metaverse platform as contents platform is increasing. However, the metaverse platform is not still creator-centered platform, and the business model is not clear for creators to utilize, so companies are not operating the platform in a form suitable for applying it to the content market. Accordingly, in this study, a survey of 212 one person media creators in Seoul was conducted on the preferred metaverse platform business model, and based on this, a business model establishment strategy that metaverse platform companies can utilize was suggested. In order to suggest a strategy for the business model, this study conducted a preference survey on the four business models of the metaverse content platform, which is currently used as a content platform, for media creators, and analyzed the factors influencing their preference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preference was in the order of ‘compensation model proportional to the number of channel users’ > ‘profit model using advertisement’ > ‘blockchain-based P2E profit model’ > ‘collaboration model with platform companies’. Statistically significant factors among preference influencing factors were analyzed by age and metaverse experience. This is interpreted as younger single media creators prefer the existing YouTube business model, and creators with experience using the metaverse are familiar with the blockchain-based P2E profit model. Based on this results, we suggest the business models for metavers platform companies as ‘grafting the YouTube revenue model to the metaverse revenue model’, ‘making it easy for media creators to use the metaverse platform’, ‘creating a business that can collaborate with older creators’, ‘building an age-appropriate creator revenue model’.

      • KCI등재

        1인 미디어 크리에이터의 MCN 선택 동기와 창작자로서 불만족 요인에 대한 연구

        유수정(Soojung Yoo),이영주(Yeong-Ju Lee),유홍식(Hongsik Yu) 한국콘텐츠학회 2018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8 No.8

        본 연구는 1인 미디어 콘텐츠의 활성화를 모색하기 위해 구독자 10만 명 미만을 가진 초기 크리에이터를 대상으로 MCN 선택 동기와 콘텐츠 창작자로서 겪는 어려움, 지원 요구사항을 설문조사를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크리에이터들이 MCN을 선택하는 동기는 콘텐츠 제작과 유통에 대한 지원 및 수익 배분에 대한 만족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MCN을 불신하거나 독자 운영이 가능한 크리에이터는 독립적으로 활동하고 있었다. 크리에이터들은 공통적으로 해외 진출의 어려움을 인식하고 있었다. MCN에 소속되지 않은 크리에이터들은 콘텐츠 마케팅과 유통을, MCN 소속 크리에이터들은 해외 시장진출을 가장 어렵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소속 여부에 상관없이 동영상 플랫폼의 이용자 확대, 수익성에 대해 만족도가 낮았다. 성별에 있어서 여성 크리에이터들은 영상제작 수월성과 동영상 플랫폼의 작업 편리성에 대한 만족도가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초기 크리에이터들은 공통적으로 제작비 지원과 제작시설과 같은 인프라 구축을 필요로 하고 있었으며 특히 마케팅이나 해외 진출에 대한 공적 지원에 대한 요구가 크게 나타났다.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the creators of less than 100,000 subscribers about the motivation of choosing MCN, dissatisfaction factors, and the need for public supports. The results show that the motivation to select MCN is that they were satisfied with content distribution and distribution support. However, the creators who distrusted the MCN or were able to operate independently were working independently. Creators were aware of the difficulties of entering overseas market. Creators who were not affiliated with MCN recognized content marketing and distribution. Creators affiliated with MCN recognized that its the most difficult to enter overseas markets. And regardless of affiliation, satisfaction with profitability was low. In terms of gender, female creators were found to be less satisfied with video production excellence and ease of use of the video platform. Early creators commonly required infrastructure such as production support and production facilities, and particularly demanded public support for marketing and overseas expansion.

      • KCI등재

        1인 미디어 분야에서 뷰티 크리에이터의 발전 방향에 관한 연구

        김기영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017 조형미디어학 Vol.20 No.4

        Content Creators have emerged as the new industrial market, showing the potential for various projects. Beauty Creator is the most active activity ever since the beginning of the first generation of media creation. The activities of the content creators are shifting from the traditional way of creating content through simple personal broadcasting and filtering, shifting into a new commercial system that connects to other commercial platforms, and the importance of big entertainment or big business moves towards the MCN market. In this text, we look at the evolution of the MCN(Multi Channel Network) industry, examine the direction of the transition, explore the direction of direction, and explore the direction in which the beauty Crusaders should evolve. First of all, we need to develop a B.J. or creator with a spewing content, and develop the contents and In the midst of the big framework of the Korean Wave, the contents of the Creator's Content must be divided into one flow, The Asian market is not easy to localize because it is different from system structure, because it is difficult for the U.S. and European MCN to enter the market, and the Korean MCN has the opportunity to lead the content of the world, because the U.S. and Europe have the opportunity to have the opportunity and risk. 콘텐츠 크리에이터가 새로운 산업 시장으로 발돋움하며, 각종 사업의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뷰티 크리에이터는 1인 미디어 창작이 시작되는 초창기에서부터 나타나 현재까지 가장 활발한 활동을 보이고 있는 분야이다. 현재 콘텐츠 크리에이터의 활동은 단순한 개인 방송을 통한 콘텐츠 수익과 광고 수익 위주의 형태로 진행되어 가는 기존의 방식에서 탈피하여, 다른 상업적인 플랫폼과 연계하는 새로운 상업 시스템으로 변모되어 가고 있으며, 그 중요성이 대두되면서 대형 엔터테인먼트나 대기업들이 MCN(Multi Channel Network) 시장에 진출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이에 본 본문에서는 MCN 산업의 변화과정을 살피고, 콘텐츠 크리에이터가 나아가는 방향을 고찰해보고, 지향해야 할 방향을 연구해서 뷰티 크리에이터가 발전해 나가야 할 방향에 관해 첫째, 톡톡 튀는 콘텐츠를 가진 BJ 혹은 크리에이터를 양성하고, 콘텐츠를 개발하여야 한다는 점과 한류의 큰 틀 속에서 크리에이터의 콘텐츠를 하나의 흐름으로 넣어야한다는 결론과 함께 아시아 시장은 시스템 구조, 인종, 관리 방법이 달라 현지화가 쉽지 않아서 미국이나 유럽 MCN이 들어오기 어려운 시장이며, 한국 MCN은 언어와 플랫폼의 기회와 리스크를 모두 가지고 있는데, 뷰티콘텐츠는 언어가 안 통해도 가치가 있는 유일한 시각적 콘텐츠이기 때문에 아시아를 넘어 전세계에 콘텐츠 한류를 이끌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