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디자인사고기반 캡스톤디자인 수업지원도구 개발

        전연홍 ( Yeonhong Jeon ),정현미 ( Hyunmi Chung ) 한국교육공학회 2022 교육공학연구 Vol.38 No.2

        본 연구의 목적은 공과대학 교수자들이 활용할 수 있는 디자인사고기반 캡스톤디자인 수업지원도구를 개발하는 것이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가장 먼저 문헌분석 및 전문가 검토를 통해 디자인사고기반 캡스톤디자인 수업 절차를 도출하였다. 이후 캡스톤디자인 수업 준비 및 운영 시 필요한 사항에 대해 교수자 요구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요구분석 결과와 추가 문헌분석 결과를 반영하여 1차 수업지원도구를 개발하였다. 1차 수업지원도구에 대한 전문가 및 사용자 검토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반영하여 웹 사이트 형태의 2차 수업지원도구를 개발하였다. 이후 2차 수업지원도구에 대한 사용자 검토를 실시하였으며 이를 반영한 최종 수업지원도구를 완성하였다. 연구결과 개발된 수업지원도구는 디자인사고기반 캡스톤디자인 강좌의 수업준비, 오리엔테이션, 문제정의, 해결안 발상, 해결안 개발, 발표 및 후속 활동 단계를 안내하며, 각 단계별 세부 활동 및 지침, 교수자와 산업체 전문가의 역할 등을 제시한다. 수업지원도구는 디자인사고기반 캡스톤디자인 수업 단계별 활동 상세 설명, 활동 양식, 체크리스트, 산업체 전문가·학습자 배포자료 등을 포함하며, 사용안내, 수업모형, 수업준비 활동안내, 수업운영 메뉴로 구조화된다. 이 도구는 캡스톤디자인 수업의 유형을 3가지(심화학습병행형, 실무문제해결형, 자율문제해결형)로 분류하여 수업계획서 작성 활동을 지원한다. 또한, 단계별 교수자, 산업체 전문가, 학습자의 역할과 학습 팀의 개별 학습 활동, 참여동기 유발 전략, 무임승차자 방지 전략 등 수업준비 및 운영 과정에 필요한 세부 정보를 제시한다. 본 연구는 디자인사고기반 캡스톤디자인 수업의 세부절차와 각 단계별 교수-학습 활동, 교수자 및 산업체 전문가의 역할, 필요 양식, 배포자료 등을 제공하는 수업지원도구를 개발함으로써 공과대학 교수자가 수업준비 및 운영 활동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데 의의가 있다. This study developed an instructional support tool based on a design thinking process to assist instructors at engineering colleges plan and operate Capstone Design courses. First, a literature review and expert interviews were conducted to identify the instructional steps, from which the primary instructional support tool was developed. Then experts and users reviewed the tool and a secondary tool was developed for a website format, which was again reviewed by users. The instructional support tool comprised several stages: preparation, orientation, problem definition, ideating, solution development, final presentation, and follow up activities. The developed instructional support tools give guidance on stage-specific activities and provide support elements for each activity, such as activity descriptions, checklists, and materials. This tool also provides three types of Capstone Design classes, a summary of the instructor and industry expert roles, and detailed learner guidance for self-directed team learning activities. This study is significant because it provides developed instructional support tools that detail the instructor and industrial expert roles, the worksheets, and the distribution of materials to assist instructors at engineering colleges looking to apply design thinking to Capstone Design courses.

      • KCI등재

        경영컨설팅 분야 캡스톤디자인 수업 사례 연구: H 대학 재직자 중심 학과 사례를 중심으로

        임욱빈(Leem, Wook-Bin),황영아(Hwang, Young-Ah) 한국경영교육학회 2021 경영교육연구 Vol.36 No.6

        [연구목적] 본 연구는 경영컨설팅 분야의 캡스톤디자인 수업운영 모형을 개발하여 적용하고 그 효과를 검증함으로써 경영컨설팅 분야 캡스톤디자인 수업 운영에의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수행되었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캡스톤디자인의 개념, 운영체계 및 절차에 관한 문헌 고찰을 토대로 산업체 멘토를 선정하여 15주로 구성된 캡스톤디자인 수업을 설계하고, 수업준비, 수업, 종료 단계에 따른 학습자, 교수자, 산업체 멘토의 역할을 포함한 수업운영 세부 절차를 마련하였다. 이후 설계된 수업운영모형을 적용하여 수업을 진행하였으며, 수업성과 및 만족도 분석을 통해 수업의 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설계된 수업모형에 따라 학습자들은 3팀으로 나누어 팀별 주제 설정, 과제계획서 제출, 프로젝트 수행, 프로젝트 평가 등을 수행하였으며, 교수자와 산업체 멘토의 프로젝트 진행 지원과 피드백이 이루어졌다. 수업 운영 결과 기존 습득한 전문지식을 바탕으로 실무에서 요구하는 실제적인 역량 함양, 선행학습 내용의 종합적 적용 측면에서 캡스톤디자인 수업의 효과가 확인되었다. [연구의 시사점] 본 연구는 경영컨설팅 분야의 캡스톤디자인 수업에 있어 학습자, 교수자, 멘토의 역할을 체계적으로 제시하는 수업모형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지며, 향후 경영컨설팅 분야 수업설계의 기초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rive implications by developing and applying a teaching and learning model in the field of management consulting using capstone design, and verifying its effectiveness. [Methodology] In this study, a 15-week capstone design class was designed by selecting industrial mentors based on a literature review on capstone design. After that, the class was conducted by applying the designed class model, and the effectiveness of the class was verified through the class performance and satisfaction analysis. [Findings] According to the designed class model, the learners were divided into three teams to select a topic, submit a task plan, perform a project, and evaluate the project. Support and feedback from instructors and industry mentors were provided. As a result of the class operation, the effectiveness was confirmed in terms of developing the competency required in practice and comprehensive application of the contents of prior learning based on the previously acquired professional knowledge. [Implications]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that it systematically presented a teaching model for the capstone design class in the field of management consulting.

      • KCI등재

        캡스톤디자인 수업이 학생역량 및 수업만족도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사례 연구

        전영미(Young-Mee Jeon) 한국콘텐츠학회 2018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8 No.3

        본 연구는 최근 대학에서 강조되고 있는 캡스톤디자인 수업이 실제 어떻게 구성되고, 이들 수업을 통해 학생들의 핵심역량은 변화되었는지, 그리고 수업만족도는 어느 정도인지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수도권에 위치한 S대학에서 2017학년도에 개발·운영된 세 개 캡스톤디자인 교과목과 수업 참여 학생 92명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연구대상인 캡스톤디자인 수업은 기존 수업과 비교하여 학생들의 실무능력향상 및 문제해결능력 향상을 위한 참여 활동이 다양한 유형으로 확대되어 있었다. 둘째, 캡스톤디자인 수업은 학생의 역량을 향상시켰고, 수업만족도 역시 매우 높았다. 또한 기존의 일반적 수업과 비교하여 캡스톤디자인으로 수업이 설계되었을 때 만족도가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캡스톤디자인 수업이 추구하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학생들이 스스로 참여하고 활동하는 기회를 많이 제공할 수 있도록 수업 구성 방식 및 방법이 다양화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였다. 또한 학생들의 작품 개발 및 발표가 많은 캡스톤디자인 수업의 특성상 지필 시험에 따른 객관적인 평가에 비해 주관적인 평가가 개입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학생들의 수업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평가절차 및 평가방법에 대한 기준을 명확히 하여 공정한 평가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노력이 필요함도 제안하였다. This case study analyzed the effect of capstone design on students’ competence and class satisfaction. Three subjects developed in S university were analyzed, and 92 students participated. Results show that the lesson structure of the capstone design was developed to provide students with problem solving competence and practical business skills through hands-on experience. In addition, the students’ competence was enhanced, and their satisfaction in class was very high. Statistical results show that, compared to the existing classes, class satisfaction in capstone design improved significantly. Considering the foregoing results, this study suggested that for the capstone design, the lesson structure and method need to be diversified to provide more opportunities for students to participate and become active. The assessment procedure and method also have to be more objective to lessen subjectivity and to increase class satisfaction in capstone design.

      • KCI등재

        코칭기법을 적용한 캡스톤디자인 수업경험에 대한 주관성 연구

        정희정,전재흥,김휘경 한국코칭학회 2020 코칭연구 Vol.13 No.2

        본 연구는 캡스톤디자인 교과목을 이수한 졸업생을 대상으로 코칭기법을 적용한 캡스톤디자인 수업경험에 관한 인식유형과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Q방법론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코칭기법을 적용한 캡스톤디자인 수업경험에 대한 Q모집단을 구성한 후, Q표본인 33문항의 Q진술문을 추출하였고 캡스톤디자인 교과목을 이수한 졸업생 15명을 P표본으로 선정하여 33개의 진술문을 Q분류를 통해 자료수집 후, QUANL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주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제1유형 ‘전공실무경험을 통한 자신감 강화형’, 제2유형 ‘갈등관리를 통한 대인관계역량 강화형’, 제3유형 ‘현장적용을 통한 직무역량 강화형’으로 코칭기법을 적용한 캡스톤디자인 수업경험에 대한 인식유형이 분류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코칭기법을 적용한 캡스톤디자인 수업의 효과와 교육적 함의를 고찰하고, 코칭을 적용한 대학 수업에 대한 후속연구와 교육분야에서의 Q방법론을 활용한 추후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길 기대한다. This subjective study uses Q methodology to grasp the perception type and characteristics of the Capstone Design class experience by applying a coaching skill for graduates who completed the Capstone Design course. First, after constructing a Q-population group for the capstone design class experience using coaching techniques, Q statements from 33 questions were extracted. Second, 15 graduates who completed the Capstone Design course were selected as P samples, and 33 statements were collected through Q-sorting. Third, principal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he QUANL program.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perception of students with experience in the capstone design class using the coaching skill is 'Confidence enhancement through major practice experience'(Type 1), 'Interpersonal competency enhancement through conflict management'(Type 2), and 'Job competency enhancement through field application'(Type 3). Through this study, we consider the effects and educational implications of the capstone design class using the coaching skill, and we expect that further studies using Q methodology in the field of education and follow-up studies on college classes applying coaching will be actively conducted.

      • KCI등재

        중국소설 과목의 캡스톤 디자인 수업 환경에 대한 연구

        崔眞娥 한국중국소설학회 2018 中國小說論叢 Vol.54 No.-

        On this thesis, it is about Capstone Design course that analyze how Chinese novel’s classroom circumstance influence on result of the class. Primarily, Capstone design was meant to be used in engineering course study, yet when it imposed on literature, all of the related courses on literature make an attempt on connecting two different kinds of area. Among the area of Capstone Design course, the meeting with Chinese novel makes the students to present a problem and deducting solution in order to produce an output based on Chinese novel. The classroom circumstance based on Capstone Design is affected by Shared mental model, Mutual performance monitoring and Individual creativity. Also, Chinese Novel Class composed of only Korean students and mixed team with Chinese shows different classroom circumstance. Between two teams, the only Korean students team shows comparatively high result in Shared mental model, Mutual performance monitoring and Individual creativity, which directly connected to bigger satisfaction and output. On the other hand, mixed team with Chinese shows comparatively low result in Shared mental model, Mutual performance monitoring and Individual creativity. Although, mixed team shows low result, when the professor is subject to an involvement, the moment of the students proves their real worth in creativity, satisfaction and the result are much higher than single organization of Korean students. This means that the understanding of Chinese culture and even beyond the way of utilization ability in Chinese are highly influenced in the process of creating Capstone Design. Therefore, on the basis of the Capstone Design education course, manage the Chinese novel is needed to organize students from many different areas. In conclusion, Korean and foreign students team or students from different major make the class circumstance more diverse and creating significant output. Yet, constructing wholesome class circumstance, involvement by the instructor in Charge of Capstone Design is inevitable. 본 논문에서는 캡스톤 디자인 과정으로 운영되는 중국소설 과목의 수업환경이 수업의 결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고찰한다. 본래 캡스톤 디자인은 공학 교육과정에서 사용되는 개념이었으나 이 개념이 인문학에 도입된 후, 인문학 관련 각 수업들에서는 서로 이질적인 두 층위를 접합시키는 시도를 꾸준히 진행하고 있다. 그 중 캡스톤 디자인 교육과정과 중국소설 과목의 만남은 중국소설 교육을 통해 학생들이 문제를 제기하고 스스로 해답을 도출해 내며, 나아가 중국소설 기반의 산출물을 생산해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캡스톤 디자인 교육과정에 근간한 중국소설 과목의 수업 환경은 공유정신 모형과 상호수행 모니터링, 그리고 개인의 창의성에 의해 큰 영향을 받는다. 또한 중국소설 과목의 수업 환경은 우리나라 학생들만으로 구성된 단일 팀의 경우와 우리나라 및 중국인 학생의 혼합 팀의 경우에 따라 서로 상이한 조건으로 조성된다. 이 가운데 우리나라 학생들로만 구성된 중국소설 과목에서는 공유정신모형, 상호수행 모니터링, 개인의 창의성 면에서 모두 평균 이상의 수업환경이 구성되고 이에 따른 캡스톤 디자인 수업 결과물도 평균을 웃도는 성과를 산출해 낼 수 있다. 이에 비해 중국인 학생과의 혼합 팀으로 구성된 중국소설 과목에서는 공유정신모형, 상호수행 모니터링의 단계에서 교수자의 개입이 없는 경우 평균 이하의 결과치를 도출해 낸다. 그러나 교수자의 개입을 전제로 할 경우, 개인의 창의성을 발휘하는 단계에서 중국인 학생과의 혼합 팀 수업환경은 우리나라 학생들로만 이루어진 단일 팀 구성의 수업환경에 비해 훨씬 큰 만족도와 결과물을 산출해 낼 수 있다. 이는 중국학생 자체가 지닌 중국소설과 중국문화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도, 나아가 모국어로서의 중국어 활용능력이 캡스톤 디자인 결과물 창출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따라서 캡스톤 디자인 교육 과정에 의거하여 효과적으로 중국소설 과목을 운영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수업의 구성원을 이질적인 집단으로 구성했을 때, 예를 들어 내외국인 학생의 혼합 팀, 또는 서로 다른 전공의 혼합 팀 등으로 수업환경을 조성했을 때 가장 다양하고 의미있는 산출물이 나온다는 결론에 도달한다. 다만 이 과정에서 수업 환경 조성을 위한 교수자의 개입은 필수적인 요소로 작용해야만 한다.

      • KCI등재

        영어수업에서의 캡스톤디자인 수업 모델

        김지은 한국콘텐츠학회 2019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9 No.1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1) to present a model for Capstone design class in English education, and (2) to recognize students' performance and perceptions about Capstone design class in English education. The participants were senior students majoring in English education. The Capstone design class model was developed, applied, and evaluated after changing 'English-American Culture' subject to 'Capstone Design for English-American Culture Education.' In this study, the class design, performance procedures, derived topics, and examples of performance outcomes were presented. The classes were also evaluated through an understanding evaluation of English-American culture, task performance and final outcome evaluation, a descriptive satisfaction assessment of students, a lecture evaluation, and a teacher's self-reflection assessment. As the result, the average score of a class that applies Capstone design was higher than that of a class that does not apply the Capstone design. There were many positive opinions regarding the Capstone design class. In addition, the teacher's self-reflection indicated that students should be exposed to such design from the beginning. 본 연구는 지금까지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지 않았던 사범계열이면서 인문사회분야인 영어교육에서의 (1)캡스톤디자인 수업 설계와 실제 운영의 예시를 제시하고 (2)캡스톤디자인 수업의 성과와 만족도를 포함한 학생들의 인식을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대상은 영어교육과에 재학 중인 4학년 학생들이었고 영어교육과 전공수업인 ‘영미문화’ 교과목의 과목명을 ‘영미문화교육 캡스톤디자인’으로 변경 후 수업 모델을 개발, 적용, 성과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수업의 설계와 수행 절차, 도출된 주제, 수행 결과물의 예시 등을 제시하였고 영미문화 이해도 평가, 과제 수행 및 최종 결과물 평가, 학생들의 서술형 만족도 조사와 강의평가, 교사의 자기 성찰 평가도 수행하였다. 과제수행의 평가 결과 2017년과 2018년의 모든 팀이 비교적 높은 성취도를 보였다는 것을 알 수 있었고 영미문화 이해도의 경우, 캡스톤디자인을 적용하지 않고 강의와 학생들의 발표로 이루어진 수업과 캡스톤디자인을 적용한 수업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강의평가 점수의 경우는 캡스톤디자인을 영미문화 수업에 적용한 수업의 강의평가 점수가 높았다.

      • KCI등재

        캡스톤디자인을 활용한 디자인 전공수업 사례 연구

        안현정(Hyun Jung Ahn),강민구(Min Gu Kang) 한국디자인리서치학회 2023 한국디자인리서치 Vol.8 No.2

        본 연구는 대학에서 산학협력교육의 일환으로 진행된 프로젝트 수행사례로 캡스톤디자인을 기반으로 하는 디자인학과 전공수업으로 진행되었다. ㈜비노디자인과 산학협력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글로벌 워밍을 주제로 디자인 상품을 기획, 개발하고 시제품을 제작하여 전시를 진행하였다. 캡스톤디자인 수업을 통해 학생은 산업현장에서 직면한 문제를 파악하고 해결해나가는 과정에서 실제 업무에 적용할 수 있는 능력과 경험을 향상시킬 수 있어, 진로 설정 및 경쟁력 강화에 큰 도움이 될 수 있다. 교수는 캡스톤디자인 수업을 개발하고 운영함으로써 다양한 경험과 교육사례를 수집하고 이를 수업에 적용하여 현실적인 교육 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대학은 학생들의 취업역량을 강화시키고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으며, 장기적으로 교육과 산업현장 간의 협력적 관계를 강화시킬 수 있다. 기업은 인재 출처를 다양화할 수 있으며, 산학협력을 통해 대학과의 파트너십을 강화하고 더 나은 비즈니스 성과를 이뤄낼 수 있는 기회를 얻을 수 있다. 연구를 통해 디자인 전공수업에서 캡스톤디자인 적용의 긍정적인 가능성을 확인 할 수 있었으며, 학생과 교수, 대학과 기업이 상호발전의 관계를 유지할 수 있는 교육환경이 조성되어야 하겠다. This study is an execution case which is part of an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project , and conducted as a course based on capstone design in design major. The program was operated in collaboration with Bino Design Co., Ltd., focusing on the theme of global warming to plan, develop, and produce design products and hold exhibitions. Through the capstone design course, students can improve their abilities and gain experience that can be applied to actual work, as they identify and solve problems faced in the industry. This can greatly help with career development and competitiveness. Professors can collect various experiences and educational cases through developing and operating capstone design courses, and apply them to create a realistic educational environment. Universities can enhance students' employability and competitiveness, while also strengthening the cooperative relationship between education and industry in the long term. Companies can diversify their talent pool, strengthen partnerships with universities through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and gain opportunities to achieve better business results. Through this research, the positive potential of capstone design education in the design field has been confirmed, and it is necessary to create an educational environment in which universities and companies can maintain a mutually beneficial relationship for further development.

      • KCI등재

        지역사회 연계 캡스톤디자인 수업개선 방안 연구- 시각디자인 수업 운영사례를 중심으로 -

        서연화 사단법인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2022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ol.20 No.1

        Not only do local universities provide education, but they also perform a pivotal role in regional development. For revitalizing local industries and fostering the practical talent, industry-university education needs to be diversified and expanded. This study aims to develop and run a community-connected capstone design instruction, verify its effectiveness. Based on the opinions of the students, instructional improvement plan is derived. Based on literature reviews, characteristics of community-connected capstone design were extracted and applied to instructional design. Also, pre-post experiments were conducted with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class to examine problem-solving skills, collaborative self-efficacy and class satisfaction, and By taking into account the needs of students, qualitative contents analysis was conducted to devise instructional improvement for the future. Capstone design subject run by a university results showed that students’ problem-solving skills did not significantly change, but their collaborative self-efficacy through team activities improved and their class satisfaction was relatively high at 4.01 points. Then qualitative data, were analyzed to see specific factors of effective instruction management and develop improvement plans. To improve this issue, it is required to provide sufficient feedback time by strengthening one-to-one mentoring, adjust the difficulty of problems and reinforce a class management support system. It is anticipated that the instructional improvement suggested by this study would serve as basic data for future development of community-connected capstone design. 지역의 대학은 교육의 제공뿐만 아니라 지역발전의 중추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지역산업의 활성화 및 실무형 인재양성을 위해 대학의 산학협력 교육과정은 다변화되고 확대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사회 연계 캡스톤디자인 수업을 개발하고 운영하여 학습효과성을 검증하고 학생들의 의견을 토대로 수업개선안을 도출하는 것이다. 문헌연구를 통해 지역사회 연계 캡스톤디자인의 특성을 도출하여 수업설계에 적용하고 사전-사후 실험을 실시하여 문제해결능력, 협력적 자기효능감 및 수업만족도를 알아보았다. 학생들의 요구사항들을 종합한 정성적인 내용분석을 통해 향후 수업을 위한 개선안을 도출하였다. A 대학의 시각디자인학과에서 개설된 캡스톤디자인 수업운영 결과, 학생들의 문제해결능력은 유의미한 변화가 없었으나 팀 활동을 통한 협력적 자기효능감은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수업만족도는 4.01점으로 높은 만족수준을 나타내었다. 정성적 데이터를 분석하여 수업의 운영효과성 및 개선사항 세부요인들을 확인하고 개선안을 도출하였다. 학생들은 수업을 통해 전반적인 실무능력 및 협력적 자기효능감이 향상되었지만 처음 경험해보는 현실세계의 프로젝트 해결에 어려움을 겪고 있어 문제해결능력은 향상이 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교수 및 전문가들의 일대일 멘토링 강화, 문제의 난이도 조절 및 수업운영 지원체계를 강화하도록 수업을 개선한다. 본 연구를 통해 제시된 개선안을 통해 향후 캡스톤디자인 수업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캡스톤디자인(일본문화)의 수업 실천

        김현주 한국일본학회 2021 日本學報 Vol.- No.129

        본 연구는 일본 관련 전공 분야에서 그 선례를 찾기 힘든 캡스톤디자인(일본문 화) 수업을 실천한 사례를 보고하고 교육과정에서 검토해야 할 기본사항 및 학습자 데이터에 기반한 분석결과를 고찰한 것으로 일본어교육의 실천연구로 그 위치를 제 시할 수 있다. 교육의 질 제고 및 정보 제공을 목표로 다음 세 가지 의문점을 해명하였다. 1) ‘캡스톤디자인(일본문화)’이란 무엇인가? 2) 실질적인 수업 전개과정은 어떠한가? 3) 본 수업에 대한 학습자들의 주관적인 소감은 어떠한가? 먼저 일본어와 일본문화를 매개로 한 캡스톤디자인의 가능성과 학습목표, 학습대 상, 수업내용, 수업설계, 교과서 선정, 수업운영 및 학습평가의 순으로 기본적인 사 항을 정리하였다. 다음으로 실질적인 수업 실천사례를 보고하고 수업에 참가한 학습 자의 주관적 소감을 데이터마이닝 분석도구인 KH Corder를 이용하여 분석하고 고찰 하였다. 수강 학생 대부분이 캡스톤디자인(일본문화)이 실무지식 향상에 도움이 된 다는 인식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의 성과는 향후 외국어교육의 질 제고 및 교육과정 운영에 도움이 되는 기초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데이터의 확충 및 수업에서 탐구할 문제 발굴, 수 업 모듈 구축, 평가를 위한 루브릭 개발 등을 향후 과제로 제시할 수 있다. The current study reports a case of conducting the “Capstone Design (Japanese Culture)” course, whose precedent is difficult to find in different fields of majors related to Japan. The paper examines the basic items that must be reviewed in the curriculum, and the results of analysis based on the learners’ data. As such, its position can be presented as a study of the praxis of Japanese language education. With the goals of raising the quality of education and providing information, the three following questions were answered: 1) What is “Capstone Design (Japanese Culture)”? 2) What is the actual process of class development? 3) What are the learners’ thoughts on this course? First, the basic items were summarized in the order of the possibilities of Capstone Design with Japanese and Japanese culture as media, learning goals, objects of learning, contents of classroom sessions, class design, textbook selection, class management, and learning evaluation. Next, the actual cases of classroom praxis were reported, and the subjective thoughts of the learners participating in classroom sessions were analyzed and examined by using KH Coder, a data mining analysis tool. The frui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sed as basic materials for raising the quality of foreign language education and managing the curricula in the future. The expansion of data, discovery of issues to be explored in class, construction of class modules, and development of evaluation rubrics can be presented as future tasks.

      • KCI등재

        캡스톤 디자인 수업 내실화를 위한 교육과정 운영 현황 및 학습 만족도 조사 연구

        왕보현 한국지능시스템학회 2019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Vol.29 No.2

        This study started from the idea that capstone design course should be improved in order to fully utilize its intended purpose as it is widely spread not only in the engineering field but also in the humanities, social studies and arts. For this purpose, we have selected three core topics (teaching method and model, team composition method, creativity improvement plan) which are focusing while operating capstone design class. The literature survey has been performed and analyzed according to the three derived topics, and the operating status of the capstone design course was grasped. In addition, we surveyed the student satisfaction level of capstone design class including students belong to nonengineering fields. The results of the literature and the questionnaires survey were summarized in order to suggest the improvement plan of the capstone design class. 본 연구는 캡스톤 디자인 수업이 공학 분야 뿐 아니라 인문·사회·예체능 계열까지 폭 넓게 확산됨에 따라 본래 캡스톤디자인 수업에서 의도했던 목적을 충분히 살릴 수 있도록 수업 운영을 내실화해야 한다는 생각에서 출발하였다. 이를위해 캡스톤 디자인 수업을 운영하면서 고민하게 되는 3개의 주제 (교수법과 교수모형, 팀 구성 방식, 창의성 함양 방안)를도출하였다. 문헌 조사를 통해 찾은 논문을 도출된 3개의 주제별로 분류하고 분석하여 캡스톤 디자인 교과목의 운영 실태를파악하였다. 이와 함께 비이공계열 학생을 포함하여 캡스톤 디자인 수업의 만족도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문헌조사내용과 설문조사 내용을 종합적으로 정리하여 캡스톤 디자인 수업의 발전 방안을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