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치매안심센터 작업치료사 역할에 대한 중요도와 교육 요구도 분석: 작업치료 전공 학생들을 중심으로

        조미림(Cho, Mi-Lim)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 2020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Vol.14 No.1

        목적: 본 연구에서는 작업치료 전공 학생들을 대상으로 치매안심센터 작업치료사 역할에 대한 중요도와 교육 요구도에 대해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2019년 9월부터 2020년 1월까지 경상권, 중부권, 호남권에 위치한 4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인 작업치료 전공 학생 4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응답이 누락된 12부를 제외한 388부가 자료분석에 활용되었다. 연구결과: 첫째, 작업치료 전공 학생들은 치매안심센터 기능과 치매안심센터 작업치료사의 직무에 대하여 보통의 인식수준을 가지고 있었으며, 치매안심센터로의 취업의사가 있는 학생들은 전체 학생의 80%이상이었다. 둘째, 작업치료 전공 학생들은 치매안심센터에서 작업치료사의 역할은 중요하며, 치매조기검진 및 예방관리사업에서 작업치료사 역할에 대한 중요도가 가장 높다고 인식하였다. 셋째, 작업치료 전공 학생들은 치매안심센터의 전반적인 기능, 치매안심센터 작업치료사의 직무, 치매안심센터 임상실습에 대한 교육이 모두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넷째, 일반적 특성 중 연령과 학년, 지역에 따라 치매안심센터 작업치료사 역할의 중요도와 치매안심센터 전반적인 기능, 치매안심센터 작업치료사의 직무에 대한 교육 요구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다섯째, 치매안심센터 임상실습 경험이 있는 경우 작업치료사 역할의 중요도와 임상실습에 대한 교육 요구도가 유의하게 높았다. 또한, 지역사회 작업치료 교과목 수강경험이 있는 학생들이 치매안심센터의 전반적인 기능과 치매안심센터 임상실습에 대한 교육 요구도가 높음을 알 수 있었다. 여섯째, 치매안심센터 기능과 치매안 심센터 작업치료사의 직무에 대한 인식수준, 그리고 치매안심센터 작업치료사에 대한 관심 정도에 따라 치매안심센터 작업치료사의 역할에 대한 중요도와 치매안심센터의 전반적인 기능과 치매안심센터 임상실습에 대한 교육 요구도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결론: 작업치료 전공 학생들은 치매안심센터 작업치료사 역할을 중요하게 생각하며, 치매안심센터 관련 교육에 대한 요구도가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는 지역사회 작업치료 분야의 활성화와 교육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유용한 근거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is of the importance of role of the occupational therapist in the dementia care center and educational needs of students in the department of occupational therapy. Methods : From September 2019 to January 2020, 400 students majoring in occupational therapy were surveyed at universities located in the Gyeongsang, Joongbu and Jeonra areas. With the exception of 12 missing responses, 388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data analysis. Results : First, students majoring in occupational therapy had a normal level of awareness about the function of the dementia care center and role of the occupational therapist in the dementia care center and more than 80 percent of all students were willing to work at a dementia care center. Second, students recognized that role of the occupational therapist was important at the dementia care center, and role of the occupational therapist was most important in early screening of dementia and preventive management project. Third, students were all aware of the need for education on the overall function of the dementia care center, role of the occupational therapist, and clinical practice at the dementia care center. Fourth,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importance of role of the occupational therapist in the dementia care center and educational needs about overall function of the dementia care center and role of the occupational therapist in the dementia care center according to age, grade and region among the general characteristics. Fifth, the importance of role of the occupational therapist and the educational needs for clinical practice were significantly high when there was a clinical practice experience at the dementia care center. Sixth,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importance of role of the occupational therapist and educational needs about overall function of the dementia care center and clinical practice at the dementia care center, depending on the level of awareness of the function of the dementia care center, job of the occupational therapist in the dementia care center and level of interest in the occupational therapist in the dementia care center. Conclusion : Students majoring in occupational therapy valued the role of the occupational therapist in the dementia care center and found that there was a high demand for education related to the dementia care center. These findings could used as a useful basis for activating the community based occupational therapy and enhancing the efficiency of education.

      • KCI등재

        자료포락분석(DEA) 모형에 따른 치매안심센터의 효율성 평가- 서울시 치매지원센터를 중심으로 -

        김은나,유태규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2019 사회복지정책 Vol.46 No.2

        본 연구는 서울시를 중심으로 한 치매지원센터 모델이 전국적으로 확대 적용되는 것에 있어 이 정책적 목표가 갖는 적절성과 향후 치매안심센터의 확장에 따른 효과성을 예측해보고자 예측을 위한 기준을 제시하는 목적에서 출발하였다. 치매안심센터는 서울시 치매지원센터 운영모델을 전국적으로 확대한 것으로 선행 치매지원센터의 취약점 및 보완점이 채 개선되지 않은 상태로 전국에 일괄적으로 적용된 측면이 있다. 또한, 치매지원센터는 서울이라는 지역특성을 반영하여 설계된 반면 치매안심센터는 상대적으로 지역별 편차를 고려하지 못한 채로 운영되고 있어 이에 치매지원센터 운영 모델을 재점검해야할 필요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공공기관의 운영 효율성 분석에 주로 사용되고 있는 DEA 분석을 시행했다. 현재는 치매안심센터에 대한 2018년도의 운영실적이 외부에 공개되지 않은 관계로 2017년도 치매지원센터의 운영 현황과 운영 실적을 결합하여 서울시의 치매지원센터가 타 지역의 치매지원센터 대비 상대적으로 더 효율성을 확보하는지를 심층적으로 규명하였다. 치매안심센터 운영 효율성 연구를 위하여 보건복지부‧중앙치매센터에서 발표한 2017년 보건소 치매상담센터 실적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이에 동시점에서의 평가를 위해 운영기간이 비교적 오래된 치매지원센터를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치매안심센터의 투입자원은 전반적으로 과잉 투입이 된 것으로 나타났다. 규모, 인력, 예산에 있어 각 투입자원을 절반 수준으로 줄여도 동일한 수준의 성과를 도출할 수 있을 때 비로소 효율적인 수준에 도달할 수 있다고 볼 수 있다. 치매관리체계의 고도화를 감안하여 치매안심센터의 투입자원을 줄여야 한다고 단언하기는 어렵지만, 필요한 수준의 인력을 계획하고 운용할 때에 더 큰 효율을 발휘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과반수 서울시 치매안심센터의 비효율성이 확인되었다. 타 지역에서 운영되던 치매안심센터는 투입총량은 비교적 적어도 효율성은 높은 곳이 다수 있는 것으로 나타나 개별 인력의 역량이 효율성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칠 가능성을 시사했다. 이에 따라 정부는 치매안심센터의 각 사업의 특성과 업무를 고려하여 각 직군의 전문성을 활용할 수 있는 체계를 구축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criteria for predicting the appropriateness of Dementia management policy and the effectiveness of Dementia Centers. The Dementia Centers was a nationwide expansion of the Seoul Dementia Center Model. However, The weaknesses and the deficits of Seoul Dementia Centers have not been improved. In addition, Dementia Center is designed to reflect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of Seoul, while Dementia Centers are operated without consideration of regional differences, so it is necessary to review the operation model of these Centers. In this study, DEA analysis, which is mainly used to analyze the operational efficiency of public institutions, was conducted. Currently, since the operational results of the Dementia Center in 2018 are not disclosed to the public, We decided to use the data of Seoul dementia center project. The results of this paper are as follows. First, the input resources of the Dementia Care Centers were overproduced. In terms of size, manpower, and budget, it can be seen that efficiency can only be reached when the same level of performance can be achieved even if each input resource is reduced by half. Second, the ineffectiveness of the majority of the dementia center in Seoul was confirmed. The Center, which was operated in other regions, showed that the total amount of input was comparatively at least highly efficient, suggesting that the capacity of the individual workforce might have a considerable effect on efficiency. It has been pointed out that the work guidelines which do not consider the professional group, ranging from the old model of the dementia center to the model of the dementia center in 2019, are more likely to lead to the deterioration of the service quality due to the decrease of the job satisfaction and the ambiguity of the work. The government should establish a system that can utilize the expertise of each group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and tasks of each project of the Dementia Care Center.

      • KCI등재

        치매안심센터 기능에 대한 작업치료 전공 학생들의 인식 수준 조사

        조미림(Mi-Lim Cho)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20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Vol.14 No.2

        본 연구는 치매안심센터 기능에 대한 작업치료 전공 학생들의 인식 수준과 일반적 특성에 따른 인식수준의 차이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2019년 9월부터 12월까지 작업치료 전공 학생들을 대상으로 치매안심센터의 7개 사업유형별 기능에 대한 인식 수준에 대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치매안심센터의 7개 사업유형 중 상담 및 등록관리사업에 대한 인식 수준이 가장 높았다. 작업치료 전공 학생들의 일반적 특성 중 연령에 따라 7개의 치매안심센터 사업유형 모두 인식 수준의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학년의 경우, 방문형 모델을 제외한 6개의 치매안심센터 사업유형에 대한 인식 수준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지역은 치매환자쉼터 운영사업과 치매가족 지원사업에 대한 인식 수준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치매안심센터 이용경험 유무에 따라 치매안심마을 운영에 대한 인식 수준의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치매안심센터 임상실습 경험 여부에 따라 상담 및 등록관리사업, 치매가족 지원사업, 치매안심마을 운영에 대한 인식수준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지역사회 작업치료 분야의 연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작업치료 전공 관련 교육기반 마련에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cognition levels of students in occupational therapy on the function of the dementia care center. The study included 357 students in occupational therapy and the study was conducted from September 2019 to December 2019 based on the questionnaire about the function of the dementia care center.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Among the types of projects of the dementia care center, ‘consultation and registration management’ scored the highe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recognition levels of 7 projects of dementia care center according to ‘age’ among general characteristic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recognition levels of 6 projects except ‘a visiting model’ according to ‘grade’.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recognition levels of ‘rest area business for dementia’ and ‘support for families with dementia’ according to ‘region’.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s in recognition levels of ‘dementia care village’ according to ‘experience of using dementia care center’.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recognition levels of ‘consultation and registration management’, ‘support for families with dementia’, ‘dementia care village’ according to ‘experience of clinical practice’. This study will provide basic data for the study of community based rehabilitation and help to establish the curriculum of occupational therapy.

      • KCI등재

        지역사회 노인의 헬스케어를 위한 치매안심센터 작업치료사의 역할 수행도 및 만족도, 중요도 조사

        주은솔(Eun-Sol Ju),방요순(Yo-Soon Bang),황민지(Min-Ji Hwang)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20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Vol.14 No.7

        본 연구는 지역사회 노인의 헬스케어를 위한 치매안심센터에서 작업치료사 역할 수행도 및 만족도를 조사하고, 중요도 순위에 따른 작업치료사의 업무를 확인하여 역할 정립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호남지역 · 광주광역시 치매안심센터 작업치료사를 대상으로 메일 및 우편을 통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 문항은 일반적 특성 및 치매안심센터 현황(8문항), 치매안심센터 사업영역 및 업무내용(45문항)에 대한 수행도와 만족도,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업무(주관식 1문항), 총 54개의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치매안심센터 작업치료사들은 대상자를 위한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치매예방 관리사업’을 주로 수행하고 있었고, 만족도도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치매선별검사’는 수행도, 만족도가 높고 고유의 역할임에도 불구하고 치매안심센터 작업치료사의 역할로는 배정되지 않아 역할의 미흡함을 나타내었다. ‘행정업무 및 지역사회 역량강화’는 수행도와 만족도가 낮게 나타났지만, 치매안심센터의 운영과 대상자 관리를 위해서는 필수적인 업무이기에 수행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작업치료사에게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사업범주 또한 작업치료사가 수행해야 하는 업무와 일치하여, 치매안심센터 작업치료사들이 고유의 역할을 인식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치매안심센터 작업치료사의 역할 정립을 위해서는 사업에 대한 수행도, 만족도, 중요도를 기반으로 한 운영지침의 개정이 필요하며, 수행도 및 만족도가 미흡한 업무를 향상시킬 수 있는 교육과정의 개발 및 프로그램의 운영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performance and satisfaction of occupational therapists at the Dementia Relief Center for health care of the elderly in local communities, and to provide basic data necessary for role establishment by checking occupational therapists" tasks according to the priority.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occupational therapists in dementia care centers in the Honam area and Gwangju Metropolitan City, who were surveyed via mail and e-mail. The survey had a total of 54 items covering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therapists and current state of the centers (n=8), performance and satisfaction with the service areas and task content of the centers (n=45), and tasks that were considered important (one short-answer question). It was found that occupational therapists at the Dementia Relief Center were mainly carrying out the “Dementia Prevention Management Projects”, which provided the programs for the patients, and they showed the highest satisfaction. Although the ‘MMSE-DS’ is occupational therapists’ own area with high performance and satisfaction, it was not assigned to the occupational therapists at the Dementia Relief Center, indicating that the role was insufficient. The tasks related “administrative works and strengthening community capacities” showed low performance and satisfaction, but they are essential for the operation of the Dementia Relief Center and the management of the patients, so the plans to increase the occupational therapists’ performance should be established. The categories of projects that occupational therapists consider important were also consistent with those they had to perform. It means the occupational therapists at the Dementia Relief Center recognized their unique roles. In this context, to establish the role of occupational therapist at the Dementia Relief Center, it is necessary to amend the operating guidelines based on the performance, satisfaction, and priorities of the projects, and to develop the curriculums and programs that can improve the tasks with insufficient performance and low satisfaction.

      • KCI등재

        치매안심센터 조기검진팀 구성원으로서 작업치료사의 필요성에 대한 문헌 고찰

        박주원,김준아,윤도현,조연희,전가영,장용훈,김환희 대한작업치료학회 2019 대한작업치료학회지 Vol.27 No.2

        목적 : ‘치매관리법’에 따라 전국적으로 치매안심센터가 설립되고, 치매 관련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전 문 인력의 요구도 증가되고 있다. 하지만 치매안심센터 조기검진팀의 구성원으로 작업치료사는 배제되어 있다. 따라서 치매안심센터 조기검진팀 구성원으로서 작업치료사의 필요성과 중요성을 알아보고자 하며, 이에 근거 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치매 평가영역에서 작업치료사의 역할에 대한 문헌을 중심으로 고찰하였으며, 작업치료사가 시 행하는 평가도구 및 평가영역에 대하여 국내 및 국외 연구, 보건복지부 치매정책 관련 자료집과 치매센 터 책자를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치매안심센터 조기검진팀에서 시행하는 선별검사 및 신경인지검사 와 작업치료사가 주로 사용하는 인지관련 평가도구의 항목들을 분석하였다. 결과 : 작업치료 수행영역에서 인지ᆞ지각영역의 평가 및 치료는 중요도나 수행도 측면에서 상위에 위치한 다. 치매안심센터의 평가와 작업치료사들이 임상에서 사용하는 평가는 6가지 인지영역(기억력, 시공간 능력, 집중력, 실행능력, 계산능력, 언어능력)에서 중복되어 사용되고 있다. 결론 : 본 연구에서 작업치료사는 인지ᆞ지각 평가 영역에서 충분한 자질을 갖추고 있는 전문가임을 제시 하였기에 치매안심센터 조기검진팀의 구성원으로 포함되어야 하는 근거자료가 될 것이다. 본 연구는 앞 으로 보건복지부에 치매정책관련 개정사항으로 의견 제출 시 유용하게 활용 될 것이다. Purpose: Recently, the need should establish a dementia safety center and provide dementia care service is on the rise. As a team of early screening, occupational therapists have been excluded.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at an occupational therapist is an evaluation expert. Method: This study collected data on assessment tools and areas conducted by occupational therapists through domestic and foreign studies and guide books on dementia policy of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This study compared the evaluation tools used by early screening teams and clinical occupational therapists. Result: The evaluation and treatment of the cognitive and perceptual domains in the occupational therapy are at the top in side of importance and performance. Assessment of the dementia safety center and evaluation of clinical use by occupational therapists are used in six different cognitive areas: memory, visuospatial, concentration, execution, calculation and language.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ed that occupational therapist could be a professional who has sufficient qualifications in the evaluation domain, This study will be usefully used in the future when submitting opinions to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for amendments to the dementia policy series.

      • KCI등재

        DACUM 기법을 이용한 치매안심센터 작업치료사의 직무분석

        정수정(Jung, Su-Jung),고하나(Ko, Ha-Na)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 2021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Vol.15 No.2

        목적 : 본 연구는 대한민국 치매안심센터에 근무하는 작업치료사의 직무를 정의하고 수행하고 있는 임무(duty)와 작업(task)을 도출하여 치매안심센터 작업치료사의 역량강화 및 전문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실시되었다. 연구방법 : DACUM 기법에 따라 위원을 선정하여 치매안심센터 작업치료사의 직무를 도출하고 직무분석 결과에 대해 2 단계의 타당도 검증과 직무에 대한 중요도, 난이도, 수행빈도를 조사하여 수행작업표(DACUM chart)를 작성하였다. 연구결과 : DACUM 워크샵을 통해 치매안심센터 작업치료사의 직무를 정의하고 타당도 검증을 거쳐 9개의 임무와 56개의 작업을 도출하였다. 도출된 임무와 작업의 중요도, 난이도, 수행빈도를 파악하여 중요 임무 및 작업을 도출한 결과, 인지프로그램운영(쉼터, 인지강화교실) 임무의 중요성이 가장 높았으며, 인지프로그램운영(쉼터, 인지강화교실) 임무의 인지프로그램 준비하기와 인지프로그램 운영하기(내소/출장) 작업의 중요성이 높게 나타났고 이에 대한 교육수요도 또한 가장 높게 조사되었다. 결론 : DACUM 기법을 통해 분석한 치매안심센터 작업치료사의 직무는 치매안심센터 작업치료사의 인력관리 및 효율적인 업무수행을 위한 교육과정 운영에 기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Objective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mprove the competence and professionalism of occupational therapists in the dementia care center in Korea by defining the duties and tasks they are performing. Methods : The DACUM method was used to achieve an analysis of the duties of the dementia care center occupational therapists. In order to achieve this analysis, a job analysis was executed through a DACUM workshop by a DACUM committee, checked for validity in two steps of survey, and the importance, difficulty, and frequency of the job was investigated to created a DACUM chart. Results : Through the DACUM workshop, the duties of occupational therapists in the dementia care center were defined, and 9 duties and 56 tasks were derived through validation. As a result of identifying the importance, difficulty, and frequency of performance of duties and tasks, the importance of Management of cognitive program was the highest, and the Preparing for a cognitive program and Operate cognitive programs (in-center/business trip) tasks were high. Conclusion : The results of this study would be help for the development of a curriculum for efficient work performance of occupational therapist in the dementia care center.

      • KCI등재

        치매안심센터 작업치료 관련 연구동향 분석

        차수민 ( Sumin Cha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0 인문사회 21 Vol.11 No.6

        본 연구는 치매안심센터 작업치료 관련 연구 동향을 분석함으로써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하고 치매안심센터 작업치료 전문가로서의 역량강화 및 관련 정책 수립에 활용할 수 있는 기초자료 확립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관련 제도 시행 이후 치매안심센터가 설치되기 시작한 2018년부터 2020년8월까지 연구 선정기준에 따라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논문을 검색하여 최종적으로 선정된 총 5편의 연구 동향을 분석하였다. 최종 선정된 연구에 대해 질적 수준, 연구 방법론, 주요 변수, 주요 주제 및 결과 분석을 실시하였다. 모든 연구가 Level Ⅳ(조사연구)에 해당하였으며, 주요 주제는 치매안심센터에 대한 인식도, 치매안심센터 작업치료사의 역할, 치매안심센터 작업치료 비용편익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치매안심센터 작업치료 관련 연구동향을 분석한 첫 번째 연구로써 현재 관련 연구가 미비함을 확인하고, 향후 국내 연구 방향을 제시하는데 중요한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future research directions by analyzing research trends related to occupational therapy at the dementia care center, and suggest a plan to establish basic data that can be used to strengthen competency as an occupational therapy expert at the dementia care center and establish related policies. From 2018, when the dementia care center was established after the implementation of the related system, from 2018 to Aug. 2020, we searched the papers registered in the database according to the research selection criteria, and analyzed a total of five research trends finally selected. The quality level, research methodology, major variables, major topics, and results were analyzed for the final selected studies. All studies corresponded to Level IV (research study), and the main topics were analyzed as the degree of awareness of the dementia care center, the role of the occupational therapist at the dementia care center, and the cost and benefit of the occupational therapy at the dementia care center. This study is the first study to analyze the research trends related to occupational therapy at the dementia care center, and it can be said that it has important significance in confirming that the current research is insufficient and suggesting the future direction of domestic research.

      • KCI등재

        치매안심센터에서의 미술치료와 미술치료사에 관한 인식조사연구 – 서울 · 경기 치매안심센터 실무자를 중심으로 -

        강현정,유미 한국예술치료학회 2023 한국예술치료학회지 Vol.23 No.3

        본 연구는 서울 · 경기지역 치매안심센터 실무자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시행하여 미술치료 및 미술치료사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치매안심센터에서의 미술치료의 발전 방안에 대해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설문은 미술치료에 대한 만족도와 효과의 기대치, 미술치료사에 대한 자질, 미술치료 진행 시 고려 사항이었으며, 자료 분석은 SPSS WIN 23.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빈도분석, 교차분석, 독립표본 t 검정을 시행 하였다. 본 연구 결과, 치매안심센터 실무자의 미술치료 만족도는 자발성, 생활개선, 이해도, 치매 예방 및 증상 지연의 효과성 부분에서 높았으며, 미술치료의 지속적 운영을 원하고 있었다. 참여자 증가 이유는 흥미로움, 사회적 관계, 이전 이용자의 긍정적 평가 등 이었으며, 감소 이유는 미술 활동에 대한 부담, 흥미를 느끼지 못함, 이용자의 건강상 어려움, 다른 프로그램으로 이동 순 이였다. 또한 실무자들의 미술치료 효과에 대한 기대치는 자기표현 향상, 긍정적 정서 촉진, 소근육 운동 향상, 문제행동 감소 등으로, 인지기능 강화 측면보다는 정서적 측면의 강화에 대한 요구가 더 높았다. 이러한 결과는 미술치료가 정서적인 치료로 인식하고 있음을 유추하게 한다. 또한 미술치료사에 대한 인식에서는 기대 학력으로 학사가 가장 많았으며, 학력보다는 임상경험과 공감 능력을 더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술치료 진행 시 고려사항에서는 대상별 특성화된 프로그램 과 다양한 매체사용을 들었다. 본 연구는 빠르게 진행되는 한국의 고령화에 치매안심센터의 역할이 높아지고 있는 상황에서 치매안심센터 내 실무자를 대상으로 미술치료와 미술치료사에 대한 인식조사를 시행, 분석함으로 써 치매안심센터의 미술치료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향후 나아갈 방향성을 제시였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This study researched the perception of art therapists and art therapy among practitioners at dementia relief center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and proposed ways to improve art therapy at dementia care centers based on the research data. This study used an online survey method, and the content of the the survey was satisfaction and expected effectiveness of the art therapy, qualities of being an art therapist, and consid erations to take while conducting art therapy. Data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he SPSS WIN 23.0 progra m to conduct frequency analysis, cross-analysis, and independent sample t-test.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satisfaction level of art therapy among dementia relief center practitioners was high in terms of spontanei ty, improvement in life, understanding, and effectiveness in preventing dementia and delaying symptoms, which in turn kept subjects hoping to continue the art therapy. The reasons for increase in the participation were interests, social relations, and positive evaluation from previous users, while the reasons for the decrea se in participation were the burden of art activities, lack of interest, poor health, and moving on to other programs. In addition, practitioners’ expectations for the effectiveness of art therapy were higher in emotiona l aspects than in terms of strengthening cognitive function, as they improved self-expression, promoted positive emotions, improved fine motor skills, and reduced problematic behaviors. These results infer that art therapy is recognized as an emotional treatment. In addition, therapists perceived that the bachelor's degree was the highest in terms of expected academic background, and clinical experience and empathy were more important than academic background. Considerations to take while conducting art therapy include d specialized programs and the use of various media for each subject.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provided basic data for art therapy and suggests future directions by conducting and analyzing a survey on the perception of art therapy and art therapists for practitioners in the Dementia Relief Center at a time when the role of the Dementia Relief Center is increasing in Korea's rapidly progressing aging population.

      • KCI등재

        작업치료사의 치매안심센터 조기검진팀 사업 참여 당위성에 대한 연구

        조미림(Cho, Mi-Lim)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 2021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Vol.15 No.1

        목적 : 본 연구에서는 전국 작업치료사들을 대상으로 작업치료사의 치매안심센터 조기검진팀 사업 참여 당위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2020년 4월부터 2020년 8월까지 전국 작업치료사 26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 회수 결과, 응답이 누락된 6부를 제외한 258부가 최종 분석자료로 활용되었다. 연구결과 : 치매안심센터 조기검진팀 사업과 관련하여 작업치료사의 역량에 대한 인식 조사 결과, 연구에 참여한 작업치료사들은 노인 및 치매질환, 인지, 일상생활활동, 조기검진팀 검진사업, 조기검진팀 서비스 연계 5개 영역 모두 평균 4점 이상으로 작업치료사가 해당 영역에 대한 역량을 갖춘 전문가라고 인지하고 있었다. 또한, 작업치료사의 치매안심센터 조기검진팀 사업 참여에 관한 당위성에 대한 인식 조사 결과, 치매안심센터 조기검진팀의 작업치료사 포함에 대한 당위성, 인지와 인지평가 및 중재 전문가를 통한 인지검사 수행, 노인과 치매질환에 대한 지식을 갖춘 전문가를 통한 치매지원서비 스 연계 및 후속상담 실시, 노인의 일상생활활동에 대한 지식을 갖춘 전문가를 통한 치매지원서비스 연계 및 후속상담 실시의 필요성에 대한 4개 문항 모두 평균 4점 이상으로 해당 영역에 대한 전문가가 관련 서비스를 실시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조기검진팀 사업 관련 작업치료사의 역량과 당위성에 대한 인식은 모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 : 본 연구는 작업치료사의 치매안심센터 조기검진사업 참여 당위성 마련을 위한 근거자료를 제시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certain the justification for occupational therapists participation in the projects by the early examination team of a dementia care center from occupational therapists nationwide. Methods : A survey of 264 occupational therapists nationwide was conducted during the period from April 2020 to August 2020. After collecting the questionnaires, 258 copies were used as data for the final analysis, and 6 copies with missing responses were excluded. Results :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urvey of the occupational therapists’ perception of their own competencies in relation to the projects of the early examination team of the dementia care center, the occupational therapists who participated in the study gave themselves scores of 4 or more points on average in five areas: the elderly and dementia, cognition, activities of daily living, the examination project by the early examination team, and connection with the early examination team’s services. Therefore, the occupational therapists perceive themselves as experts with competencies in the relevant areas. In addition, in the results of the survey regarding the perception of the justification for the occupational therapists’ participation in the projects by the early examination team of the dementia care center, they got scores of 4 or more points on average for the four questions about the justification of the inclusion of occupational therapists in the projects by the early examination team of the dementia care center: cognition and cognitive assessment, and performance of cognition testing through intervention experts; connection with dementia support services through experts with knowledge about the elderly and dementia and follow-up consultation; and the necessity of connection with dementia support services through experts with knowledge about the elderly’s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follow-up consultation. In this way, it determined that they think the experts for the relevant areas must carry out the relevant services. Regarding the perception of the competence of occupational therapists and the justification in relation to the projects by the early examination team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Conclusion :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presented evidence for the justification for the participation of occupational therapists in the early examination project by the dementia care center.

      • KCI등재

        치매안심센터 사업영역별의 업무수행도 및 인식도 차이 -호남지역 작업치료사 및 대학생을 중심으로-

        주은솔 ( Eunsol Ju ),황민지 ( Minji Hwang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1

        본 연구는 치매안심센터 사업영역별 작업치료사의 업무 수행도를 파악하고 작업치료학과 대학생의 업무 인식도를 조사하여 그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2020년 3월부터 7월까지 호남지역의 작업치료사와 전공 학생들을 대상으로 사업영벽별 업무 수행도 및 인식도에 대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작업치료사의 치매안심센터 사업영역별 업무수행도가 가장 높은 범주는 치매예방관리이었고, 전공 대학생의 업무인식도가 가장 높은 범주는 치매진단검진이었다. 작업치료사의 업무수행도와 작업치료 전공 학생들의 업무인식도를 비교하였을 때, ‘상담, 등록 및 분류’, ‘치매인식개선 및 교육·홍보’, ‘치매진단검사’, ‘지역사회 역량강화 및 행정업무’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국가치매사업에서 작업치료사의 역할을 확고히 하기 위해서는 치매안심센터 작업치료사를 위한 심화된 보수교육이 필요하고 전공 대학생들에게는 국가치매사업에 관한 홍보 및 교육이 더욱 활발히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본다. This study examined and compared the job performance of occupational therapists and the job perception among college students in the Department of Occupational Therapy by each business area of the Dementia Support Center. During the period from March to July 2020, a survey on the job performance and perception was conducted using occupational therapists and college students in Honam region, South Korea. In the study result, “dementia prevention management” was the category with highest job performance level by each business area among the occupational therapists working in the Dementia Support Center. “Dementia diagnosis and screening” showed the highest job perception among the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occupational therapy. In a comparison of the occupational therapists’ job performance and college students’ job perception,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in “counseling, registration, and classification”, “improvement of dementia awareness and education/promotion”, “dementia diagnostic test”, and “reinforcement of capability and administrative affairs in local community.” To strengthen the role of occupational therapists in the National Dementia Plan, advanced continuing education for occupational therapists working in the Dementia Support Center is required. For the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the occupational therapy, promotion of the National Dementia Plan and relevant training should be more actively implemen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