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기후변화취약성 평가지표 분류체계에 따른 홍수취약성 평가결과의 비교

        이종석(Lee Jong Seok),최현일(Choi Hyun Il) 한국방재학회 2018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18 No.3

        최근 기후변화로 인하여 구조적 홍수저감대책에는 한계가 있으므로, 비구조적인 대책 중 하나인 홍수취약성 평가를 통한 선제적 홍수대응 방안이 필요하다. 홍수취약성 평가에는 IPCC(2001)의 기후변화취약성 평가이론이 널리 사용되고 있으나, 평가지표의 구성에 따라 홍수취약성 평가결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는 부족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후변화취약성의 3가지 평가지표인 노출성, 민감도, 적응능력 지표를 종합한 홍수취약성 지수와, 노출성 및 민감도 지표의 함수인 잠재영향 지표와 적응능력 지표를 종합한 홍수취약성 지수를 우리나라 231개 시군구를 대상으로 산정하여 2가지 홍수취약성 결과를 비교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홍수저감계획의 대안설정에 기초적인 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Since the structural flood mitigation measures are limited due to climate change, preemptive measures are recently required by the flood vulnerability assessment, one of the nonstructural countermeasures to floods. Although the vulnerability assessment theory to climate change in IPCC (2001) is widely used for the flood vulnerability assessments, there is limited research on the effect of the classification schemes for vulnerability components on flood vulnerability evaluation outcomes. This study has therefore compared the two flood vulnerability results for 231 administrative districts in Korea under study, for which the one is a combination of the three vulnerability components to climate change such as exposure, sensitivity, and adaptability capacity, while the other is a combination of potential impact as a function of exposure and sensitivity along with adaptive capacity indicator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for selecting alternatives in flood mitigation plans.

      • 경기도 기후변화 취약성 평가 연구

        고재경,김희선 경기연구원 2009 정책연구 Vol.2009 No.-

        기후변화 적응은 완화에 비해 지역적인 접근이 강조된다. 이상기후 현상이 동일하게 발생하더라도 지역의 지리적 여건, 기반시설, 인구적 특성, 물적ㆍ인적ㆍ사회적 자본 등에 따라 영향이 다르게 나타나기 때문이다. 기후변화의 불확실성과 지방자치단체의 한정된 자원을 고려할 때 효과적인 기후변화 적응을 위해서는 기후변화가 지역에 미칠 영향과 취약성을 분석하여 취약한 지역과 적응이 필요한 분야를 파악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기후변화 완화에 초점을 맞추었던 지방자치단체도 최근에는 기후변화 적응 전략 수립에도 관심을 돌리고 있다. 하지만 지역의 기후변화 취약성 평가를 위한 방법론, 기후 예측 모델, 부문별 영향 평가 등을 위한 인프라가 취약하고, 취약성 평가를 위한 다양한 방법론이 개발되어 있지 않아 지역의 기후변화 취약성을 종합적으로 분석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기존의 기후변화 취약성 평가 방법론을 검토하고 기초지자체에 활용가능한 취약성 평가 지표를 도출하여 지역간 상대적 취약성을 평가하는데 있다. 홍수, 가뭄, 해수면 상승, 폭염 등 기후변화 영향을 발생시키는 기후자극을 중심으로 지자체의 민감도와 적응능력을 종합적으로 평가하였다. AHP 설문조사에 의해 도출된 지표별 가중치를 적용하여 최종 취약성 지수를 산정한 결과 노출 지수와 민감도 지수를 합한 영향 지수는 김포시, 고양시, 오산시, 연천군, 파주시, 평택시 등에서 높았다. 한편 기후변화 취약성을 낮추는 적응능력은 과천시, 평택시, 수원시, 용인시, 안양시, 안산시 등에서 높았고 여주군, 양평군, 동두천시, 하남시, 포천시, 김포시 등의 적응능력은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기후노출 지수, 민감도 지수, 적응능력 지수를 종합한 취약성 평가 결과 여주군, 양평군, 김포시, 포천시, 연천군, 하남시의 취약성이 높게 나타났는데, 이들 지역은 대부분 기후노출과 민감도가 높으면서 적응능력도 전반적으로 낮은 지역에 속한다. 이와 같은 결과는 취약성 평가의 최종 결과물이 아니라 기후변화 취약성과 잠재적 결과를 분석하기 위한 기초 작업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앞으로 기후변화 취약성 평가를 위한 인프라가 지속적으로 확대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 경기도 AWS 관리체계의 개선, 기상청과의 업무협약을 통한 경기도 기후변화 영향 모델구축, 시군 재난관리 평가의 실효성 제고를 통한 적응능력의 배양과 취약성 평가의 연계 방안, 취약성이 높은 지역에 대한 적응대책 수립 지원 및 시범사업 발굴, 기후변화 적응 교육을 위한 시각화된 도구 개발이 필요하다.

      • KCI등재

        국내 연안도시의 기후변화 취약성 평가 연구

        오상백,강영훈,이한석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2014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Vol.16 No.4

        본 연구는 우리나라 연안도시에 적합한 기후변화 취약성 평가지표를 개발하고 실제 평가함으로서 연안도시가 기후변화에 어떤 취약성을 가지고 있는지 분석하는 것이 목적이다. 연안도시의 기후변화 취약성 평가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연안도시의 특성에 적합한 평가지표를 사용하는 것으로써 기존에는 내륙도시나 연안지역을 대상으로 만든 평가지표만 있어서 연안도시의 취약성을 제대로 평가하지 못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연안도시의 특성에 따른 기후변화 취약성을 고려하여 기후노출 관련 평가요소(기온, 강수, 풍속, 해수면), 민감도 관련 평가요소(인적요소, 시설요소, 토지요소, 해양요소), 적응능력 관련 평가요소(경제능력, 사회능력, 행정능력, 해양대응능력)를 정하고 평가요소 별로 구체적인 평가항목을 정하여 새로운 평가지표를 개발하였으며 이 평가지표를 사용하여 국내 연안도시 10곳의 기후변화 취약성을 평가하였다. 평가결과 인천시가 취약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서귀포시가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purposes to analyze what kind of weakness coastal cities in Korea have with regard to climate change, by way of developing and assessing an evaluation index of climate change vulnerability which is suitable to Korean coastal cities. In the evaluation of coastal cities' climate change vulnerability, the most important thing is using evaluation indexes suitable to the peculiarities of coastal cities. But as there were only the evaluation indexes intended for inland or coastal cities in former times, coastal cities' vulnerability today could not be estimated properly. Therefore this study, considering climate change vulnerability factors that marked coastal cities' peculiarity, selects climate exposure evaluation indexes (temperature, precipitation, wind speed, sea level); evaluation indexes related to sensitivity (human factors, facility factors, natural factors, ocean factors); evaluation indexes related with adaptive capacity (economic capacities, social capacities, administrative capacities, ocean’s response capacities), and develops new evaluation indexes choosing concrete evaluation provisions by evaluation factors. It estimates climate change vulnerabilities of ten Korean coastal cities by using this evaluation index. As a result, it is shown that the vulnerability of Incheon city is highest and that of Seogwipo city is lowest.

      • KCI등재

        연안 홍수취약성 평가구조 구축 및 적용

        이종석(Lee Jong Seok),최현일(Choi Hyun Il) 한국방재학회 2018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18 No.6

        In Korea, severe flood damages caused by regional and climatic effects characterized by the peninsular topography. This study was motivated by limitations found in the widely used flood vulnerability assessment frameworks of the OECD PSR model and the IPCC vulnerability concept. These limitations included ambiguity in the selection of proxy variables by classification of assessment components, quantification issues for some variables, and negative elasticity of countermeasures to vulnerability. To address these limitations, this study has developed a new assessment framework that comprises a flood cause indicator (FI), a potential target indicator (PI), and a damage history indicator (DI). Using these indicators, an assessment of the flood vulnerability was performed for Korea’s 73 coastal administrative districts. A coastal flood vulnerability index (CFVI) was calculated by a multiplicative utility function that aggregates the three assessment components from nine selected proxy variables. The calculated CFVI values indicated that the flood vulnerability is relatively high for the major coastal cities, where the values of all three assessment components together are larger. The new flood vulnerability assessment framework proposed in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helpful in coastal flood vulnerability assessment and mitigation decision making. 반도지형의 특성을 지닌 우리나라는 지역적 기후적 영향에 의하여 연안지역에서의 홍수피해가 크게 나타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홍수취약성 평가에 널리 이용되고 있는 OECD의 PSR 모형과 IPCC의 기후변화취약성 개념에서의 평가지표 분류에 따른 대리변수 선정의 모호성과 대책 관련 인자들의 취약성에 대한 역방향성과 아울러 일부 대책인자의 정량화 문제 등의 한계점을 고찰하였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홍수유발 지표(FI), 잠재대상 지표(PI), 피해이력 지표(DI)로 구성되는 새로운 평가구조를 구축하고, 전국 73개 연안 시군구를 대상으로 홍수취약성을 평가하였다. 선정된 9개의 대리변수들로부터 산정한 3개의 평가지표를 승법형 효용함수에 의해 종합한 연안 홍수취약성 지수(CFVI) 산정결과, 3개 평가지표의 값이 고르게 크게 나타나는 연안의 주요 도시들에서 홍수취약성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본 논문에서 제시한 새로운 홍수취약성 평가구조는 연안 홍수취약성 평가 및 저감대책 수립에 유용할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콜롬비아 중소도시의 토사재해 취약성분석 연구Ⅱ

        이정민(Lee Jungmin),이윤상(Lee Yunsang),진규남(Jin Kyunam),김상단(Kim Sangdan) 한국방재학회 2018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18 No.6

        토사재해를 포함한 자연재해로 인한 위험 및 피해정도의 평가를 위해서는 취약성 평가가 수행되어야 하며, 이는 물리적 취약성과 사회경제적 취약성으로 나눌 수 있다. 본 연구의 선행연구에서는 콜롬비아 중소도시의 물리적 취약성을 평가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사회경제적 취약성 평가를 수행하기 위해 지표기반 모델을 개발하였다. 인구통계 및 경제적 지표, 2차 피해 유발 지표, 재해 대비 및 대처 지표별로 대리변수의 점수 및 가중치 설정하였다. 각 대리 변수별 가중치를 이용하여 사회경제적 취약성 점수가 계산하고 등급화 하였다. 그리고 선행연구에서 수행한 물리적 취약성 평가결과를 반영한 토사재해 통합취약성 평가를 수행하였다. 통합 취약성 평가결과 현장 조사결과와 거의 유사한 취약지역을 도출할 수 있었다. 추후 토사재해 통합 취약성 평가 방법론을 기반으로 콜롬비아 중소도시 지역의 취약성 평가 추가 확대 및 토사재해 예측 및 예방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판단된다. Vulnerability assessments are essential for evaluating slope hazards and damages from natural disasters. The first part of this study focused on physical vulnerability assessments of small cities in Colombia. In this second part, we developed an indicator-based model for socioeconomic vulnerability assessment. We defined weights for indicators and proxy variables, including indicators for demographic and economic conditions, secondary-damage triggers, disaster preparedness, and response measures. Socioeconomic vulnerability scores were calculated and graded using the weights assigned to the proxy variables. In addition, the evaluation of the combined vulnerability to slope disasters incorporated the results of the physical vulnerability assessments that were conducted in the first part of this study. As a result, vulnerable areas similar to those identified in the field survey were obtained. In the future, these vulnerability assessment results will be used as basic input data for the forecasting and prevention of slope disasters in Colombia.

      • KCI등재

        국내외 토양 취약성 평가 연구 동향

        기서진,김경호,이현규,신경희 대한환경공학회 2017 대한환경공학회지 Vol.39 No.12

        This study aims to provide the technical considerations and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soil vulnerability assesment tool based on the review of existing tools and case studies applied both domestically and internationally. For this study, we specifically investigated the basic theories and major features implemented in the screening models abroad. In contrast, one case study of prioritizing the vulnerable districts was presented to identify the research trends in Korea. Our literature review suggested that the characteristic of target areas and contaminants needed to be properly incorporated into soil vulnerability assessment because the current tools in Korea neglected these properties which prevented this tool from being used as a correct measure of soil management and prevention. We also reached the conclusion that in terms of technical aspect, the soil vulnerability assessment tool should be developed based on the physical theory and environmental data that were varied over space and time so that the end-users were able to readily and effectively screen soil vulnerability over large areas. In parallel with technical improvement, great effort needed to be devoted to develop an integrated environmental information system that increased the availability of data and shared various types of environmental data through enhanced multi-agency collaboration. 산업 구조의 고도화와 토지이용의 다변화에 따라 토양 오염의 형태가 다양화되고 있으며 효과적인 사전 대응계획을수립하기 위해서 토양 오염 취약성을 고려되어야한다. 국외의 경우 다양한 평가 도구가 존재하며 평가 결과를 정책적 의사결정 과정에 적극적으로 활용되고 있지만, 국내의 경우 취약성 평가 도구가 지하수 분야에 집중되어 있으며 토양 취약성 개념 정립 및 도구와 관련된 연구가 매우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 토양 취약성 평가 도구를 조사하고관련 연구 사례를 검토하여 토양 취약성 평가의 국내 도입시 고려해야 할 사항과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취약성 평가에 대한 개념을 정리하고, 국외에서 활용되고 있는 WIN-PST, SCI-GROW, USGS의 통계모델, CLERS, EuroPEARL 모델, 메타 모델 등 취약성 평가 도구에 대한 개요 및 특징을 조사하였으며 우선관리지역 평가 사례를 통해 국내의 연구 동향을 파악하였다. 국내외 사례를 분석한 결과, 오염의 사전관리 및 예방을 위한 도구로서 취약성 평가 방법론을 도입하고자 한다면 지역 및 오염원 특성을 고려한 특정 취약성 평가의 개념을 도입하는 것이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기술적 측면에서 국내의 토양 오염현상을 현상학적으로 평가 가능하고 시공간적으로 변화하는 환경정보를 반영하여 사용자가 광범위한 지역을 쉽고 정확하게 평가할 수 있는 도구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며, 정책적 측면에서 유관기관과의 협조를 통해 다양한 환경 정보의 공유를 활성화할 수 있는 인프라 체계를 구축하는 노력이 지속적으로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도시특성을 고려한 홍수취약성 평가기법 개발 : 대구광역시를 대상으로

        송영석(Song, Youngseok),박종표(Park, Jongpyo),김하룡(Kim, Hayong),정상만(Jeong, Sangman),박무종(Park, Moojong) 한국방재학회 2020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20 No.6

        본 연구에서는 대구광역시를 대상으로 도시지역의 홍수취약성 평가기법을 개발하고 홍수피해에 대한 저감대책을 제공하고자한다. 홍수취약성 평가를 위한 대리변수는 기존의 선행연구와 부처에서 제공하는 DB 등을 고려하여 도시지역에 적합한대리변수를 선정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역별 중요도를 나타내는 지역중요성 지수(RSI)와 홍수피해 자료에 대한피해가능성 지수(DPI)를 이용하여 도시지역의 홍수취약성 지수(FVI)를 제시하였다. 지역중요성 지수(RSI)는 인적요소에 인구밀도와 취약인구 비율, 물적요소에 자산밀도와 주요시설물 면적으로 4개의 대리변수를 선정하였다. 피해가능성 지수(DPI)는지형요소에 저지대 면적비와 불투수 면적비, 재해요소에 내수재해위험지구 후보지 현황과 풍수해 이력 발생 현황으로 4개의대리변수를 선정하였다. 선별된 8개의 대리변수는 승법형 효용함수를 이용하여 종합적인 도시지역의 홍수취약성 지수를산정하였다. 산정결과 대구광역시의 홍수취약성 지수는 도시 중심지역과 하천인근 지역에서 높게 평가되었다. 본 연구결과는도시지역의 홍수취약성 평가 및 저감대책수립에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This study intends to develop a flood vulnerability assessment method and flood damage reduction measures in urban areas for Daegu Metropolitan City. The proxy variables for the flood vulnerability assessment were calculated using the previously investigated proxy variables for urban areas. The Flood Vulnerability Index (FVI) of the urban area was proposed using the Regional Significance Index (RSI), which indicates the importance of each region, and the Damage Possibility Index (DPI) for flood damage data. The RSI selected four proxy variables: population density, vulnerable population ratio, property density, and area ratio of major facilities. The DPI also selected four proxy variables: area ratio of low land, the impervious area ratio, status of domestic disaster risk district, and flood occurrence record. Eight proxy variables were selected and the FVI of urban areas calculated using multiplicative utility functions. As a result of the calculation, the FVI of Daegu Metropolitan City was found to be high in the central urban areas and by the stream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sed for flood vulnerability assessments in urban areas and establishing flood damage reduction measures.

      • 전국 가뭄취약지도 제작을 위한 가뭄취약성 평가기법

        조동호 ( Dongho Cho ),박종용 ( Jongyong Park ),이민우 ( Minwoo Lee ),박진원 ( Jinwon Park ) 한국농공학회 2023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23 No.0

        환경부에서는 선제적 가뭄 대응 및 관리를 위해 가뭄대책 수립이 시급한 지역을 확인하기 위한 전국 단위 가뭄취약지도를 구축하고 있다. 이를 위해 가뭄취약성 평가 방법론을 개발하고, 시범적으로 충남지역에 적용하여 평가방법론을 검증하였으며, 현재 전국에 대한 가뭄취약성 평가를 진행중이다. 가뭄취약성 평가는 가뭄대응능력, 노출도, 민감도, 보조수원능력 등의 4가지 평가 인자를 기반으로 Ⅰ-Ⅳ등급까지 총 4개의 등급으로 평가된다. 첫번째 평가 인자인 가뭄대응능력은 지역별 급수 체계를 고려한 물수지 분석을 통한 용수공급가능일수로 평가한다. 두번째 노출도는 가뭄의 발생빈도와 가뭄심도를 활용하여 가뭄 위해성지수를 산정하여 평가한다. 세번째 민감도는 생활용수와 공업용수 이용량을 합산한 생공용수 이용량으로 평가한다. 네번째 보조수원능력은 지역별 주 수원의 기능을 보조하여 가뭄 시 활용 가능한 지하수 개발 가능량과 저수지 용량을 해당용수 생공용수 수요량으로 나눈 값으로 평가한다. 가뭄취약성 평가 Ⅰ등급은 가뭄에 대한 취약성이 낮으며, Ⅳ등급으로 갈수록 가뭄에 취약한 것을 의미한다. 기후변화로 인해 가뭄의 규모 및 발생빈도가 증가하고 있는 실정으로 가뭄에 효율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가뭄대응 체계 구축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가뭄취약성 평가 및 전국 가뭄취약지도 구축뿐만 아니라 가뭄대응능력에 대한 모니터링, 평가, 예측 기술의 개발이 시급한 시점이다.

      • 농어촌용수 및 농업생산기반시설에 대한 기후변화 취약성 관련인자 상대중요도 선정

        최영완 ( Youngwan Choi ),이재익 ( Jaeik Lee ),김태윤 ( Taeyun Kim ),문지원 ( Jiwon Mun ),김영주 ( Youngjoo Kim ),장민원 ( Min-won Jang ),황세운 ( Syewoon Hwang ) 한국농공학회 2018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8 No.-

        기후변화는 사회 전반적인 부문에 있어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이 입증되고 있으며 최근 농업부문에서도 기후변화의 영향과 잠재적 위험성에 대한 실질적 대처가 시급하다는 우려가 높다. 수자원과 산림, 환경을 비롯한 다양한 분야에서는 기후변화에 따른 잠재적 취약성에 대한 평가 방법론을 정립하고 시공간적 취약성을 상대적으로 평가한 바 있으나 농업생산과 관련한 기후변화 취약성에 대한 실효성 있는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농어촌 용수와 농업기반시설에 대한 이수 및 치수 측면에서의 기후변화 취약성의 개념을 정립하고 취약성 평가 기준과 범위를 설정하였다. 더불어 세분화된 농어촌용수와 농업기반시설 관련 7개 부문(농어촌용수 이수, 농어촌용수 치수, 농업저수지 이수, 농업저수지 치수, 농업저수지 수질환경, 양수장, 배수장)에 대한 기후변화 취약성을 평가하기 위해 기후노출, 민감도, 적응능력에 대한 관련인자를 설정하고 그 중요도를 관련분야 전문가 대상 설문조사를 통해 평가하고자 하였다. 관련인자는 선행연구를 인용하여 초기 설정하고 Delphi 형식의 1차 조사를 통해 전문가 의견을 반영하여 보완 후 추가 AHP 조사를 통해 인자별 중요도를 도출하였다. 용수구역단위 자료를 수집하고 취약 부문별 취약성을 기후노출, 민감도, 적응능력을 비롯하여 기후변화 영향 및 취약성에 대한 남한지역의 상대평가 결과를 제시하였다. 관련인자 중요도 순위는 취약 부문·영역별로 다르게 나타났으며 조사대상에 따라 다소 상이한 결과가 도출되었다. 이는 자료 확보용이성, 관련인자의 적용 한계성 등을 고려하여 한정적으로 수집된 자료와 정보에 의해 도출된 결과이며 농어촌용수에 대한 기후변화 영향 관련 주요인자에 대한 추가조사 및 취약성평가를 위한 요소기술 고도화를 통해 보완해 나가야 할 것이다. 본 연구 결과는 향후 농어촌용수 기후변화 영향에 대한 일관적인 실태조사와 기후변화에 따른 정량적·정기적 취약 성평가에 직접적으로 적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폭염재해의 재해취약성분석 및 리스크 평가 비교

        설유정,김호용 한국지리정보학회 2023 한국지리정보학회지 Vol.26 No.1

        Recently, the frequency and intensity of heat waves due to the increase in climate change temperature are increasing. Therefore, this study tried to compare the evaluation process and evaluation results of the heat wave disaster evaluation, which is the government's analysis of the heat wave disaster vulnerability and the risk evaluation method recently emphasized by the IPCC. The analysis of climate change disaster vulnerability is evaluated based on manuals and guidelines prepared by the government. Risk evaluation can be evaluated as the product of the possibility of a disaster and its impact, and it is evaluated using the Markov chain Monte Carlo simulation based on Bayesian estimation method, which uses prior information to infer posterior probability.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two evaluation results for Busan Metropolitan City differed slightly in the spatial distribution of areas vulnerable to heat waves. In order to properly evaluate disaster vulnerable areas due to climate change, the process and results of climate change disaster vulnerability analysis and risk assessment must be reviewed, and consider each methodology and countermeasures must be prepared. 최근 기후변화 기온상승 따른 폭염의 발생 빈도와 강도가 증가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정부가 채택한 기후변화 재해취약성분석에 따른 폭염 재해취약성분석과 최근 IPCC에서 강조하고 있는 재해평가 방법인 리스크 평가라는 두 가지의 폭염재해 평가를 부산광역시 폭염을 대상으로 평가과정과 평가결과를 비교하고 시사점을 도출하고자하였다. 기후변화 재해취약성분석은 정부에서 마련한 매뉴얼과 가이드라인을 기반으로 평가하고 있다. 리스크 평가는 재해발생가능성과 그 영향의 곱으로 평가될 수 있으며, 재해발생가능성을 산출함에 있어서 사전 정보를 활용하여 사후확률을 추론하는 베이지안 추정법을 기반으로 한 마르코브체인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을 활용하여 평가하고 있다. 분석 결과 부산광역시를 대상으로 한 두 가지 평가 결과는 폭염 취약 지역의 공간분포에서 다소 차이가 발생하였다. 기후변화에 따른 재해 취약 지역을 적절하게 평가하기 위해서는 기후변화 재해취약성분석과 리스크 평가의 분석 과정 및 결과를 살펴보고 각각의 방법론에 대한 고려와 그에 맞는 대응을 마련해야하며, 이를 통해 장기적인 폭염 대응 방안을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