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채권자 취소권의 행사기간의 문제점

        박용석(Park Young-Sug) 부산대학교 법학연구소 2011 법학연구 Vol.52 No.2

        우리 민법에서서는 채권자취소권의 요건을 제406조 제1항에서 객관적 요건인 사해행위의 존재와 주관적 요건인 채무자와 수익자등의 악의를, 제2항에서는 “전항의 소는 채권자가 취소원인을 안 날로부터 1년, 법률행위 있은 날로부터 5년 내에 제기하여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으며, 위 기간의 성질은 판례와 통설에서 제척기간이라고 하고 있다. 우리 민법은 일본 민법을 계수하면서 독일, 프랑스 등 외국의 입법례와는 달리 취소권의 행사기간을 초단기로 위와 같이 규정하였는바, 이는 사해행위 취소로 인한 불안정한 지위에 놓이게 된 수익자 등을 보호하여 불안정한 법률관계를 조기에 안정시킬 필요성 때문이라고 이해하나, 그 반면에 선의의 채권자들이 행사기간의 도과로 권리행사를 못하는 경우가 생길 수 있는 것이고, 사해행위취소권의 요건에서도 수익자등이 선의를 입증하면 보호되는 점을 감안하면 행사기간의 초단기로 인한 법률관계의 조기안정의 이상 때문에 선의의 채권자가 희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통상 채권자취소소송에서 피고인 수익자등의 주된 주장은 자신이 법률행위를 할 때에 선의였음과 제척기간도과의 항변을 하는 경우가 많고, 이에 대해 대법원은 피고의 선의 주장에 대해서는 객관적이고 납득할 만한 증거자료 등이 뒷받침되는 엄격한 증거를 제시해야 한다는 취지로 좁게 해석하여 채권자를 보호하는 반면, 제척기간인 ‘취소원인을 안 날’과 ‘법률행위가 있은 날’의 인정범위를 점점 더 넓게 해석함으로써 또한 거래의 안전을 기하고 있다. 우리 민법의 일반적인 취소권의 소멸에 관한 규정인 민법 제146조에 의하면 “취소권은 추인할 수 있는 날로부터 3년, 법률행위를 한 날로부터 10년 내에 행사하여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고, 손해배상에 관한 행사기간인 제766조도 “손해 및 가해자를 안 날로부터 3년, 불법행위를 한 날로부터 10년”으로 규정하고 있는 점과 채권자취소권의 행사기간을 다른 외국의 입법례와 달리 초단기로 정하여야 할 특별한 이유가 없는 점을 감안하여, 채권자취소권의 행사기간을 위의 일반적인 취소권의 행사기간과 같이 취소원인을 안 날 부터 3년, 법률행위 있은 날로 부터 10년으로 입법적으로 변경함이 타당하다고 생각한다. In our civil law, there are two provisions and requirements exerting debtee’s revocation right. 406 provision-1 clause indicates the fraudulence as an objective requirement and knowing to damage creditor of a debtor and a beneficiary as a subjective requirement. 406 provision-2 clause indicates the period of debtee’s revocation right; the right of action could be exercised within one year when the creditor knew the cause of action, within five years from the day when doing legal actions. And there is no argument according to precedent and common view that these periods are the period of prescription. On the ground that our civil law have a blind imitation of Japanese civil law, the period of exerting debtee’s revocation right is too short comparing to other countries’ civil law like German and French. This short period purpose finishing unstable legal relation to protect the beneficiary by the revocation of fraudulent transfer. However, there is a problem because of accomplishing ideal of fixing early legal relations that creditors who don’t know existence of the debtee’s revocation right can’t exert the right. Frequently, in process of debtee’s revocation right, beneficiary who is a defendant protests not to know anything to damage the creditor or to be finished of the period of prescription. Then, Supreme Court interprets narrowly with strict evidences about protest of defendant not knowing to damage the creditor to protect the creditor. And Supreme court interprets widely about the period of prescription such as the day when a debtee knows the fraudulent transfer and the day when (someone is) doing legal actions to protect the business. In conclusion, the period of exerting debtee’s revocation right have to change like as a general right of rescission; within the right of action could be exercised within three years when the creditor knew the cause of action, within ten years from the day when doing legal actions, because of balance comparing to another clauses in our civil law and balance comparing to other countries’ legislation. According to 146 provision in our civil law, the rule of general right of rescission, right of rescission should exert within three years when someone can ratify, within ten years from the day when doing legal actions. According to 766 provision, the period of a claim for damages, a claim for damages should claim within three years when knowing the damage and the inflictor, within ten years from the day when doing legal actions. It is pretty sure that there is not any reason for making a distinction between the period of general right of rescission and period of debtee’s revocation right.

      • KCI등재

        취소소송에 있어서 판결의 기속력

        김창조 경북대학교 법학연구원 2013 법학논고 Vol.0 No.42

        This thesis analyzes the binding force of revocation judgment in the appeal litigation. The research methods employed in this thesis include examining the development of legal systems, case laws and theories related to this problem in Korea. The Administrative Litigation Law of Korea Article 30 regulates the binding force of revocation judgment. According to the Administrative Litigation Law of Korea Article 30, a final judgment revoking a disposition shall be binding on the parties, an administrative agency and other administrative agencies involved in case. If a disposition revoked by a judgment is involved in the rejection of a request of the party, the administrative agency, that has made such a disposition, shall make a new disposition to the previous request in keeping with the aim of such a judgment. This provision shall apply mutatis mutandis to a case where a disposition at a request is revoked for reasons of illegality in its procedure. The function of the binding force of revocation judgment is investigated through the analyses of the case law in this thesis. That are the function to revoke illegal disposition, the function to repeat same disposition, the function of restoration, the function to make a new disposition to the previous request in keeping with the aim of the judgment etc. The scope of the binding force of revocation judgment in the appeal litigation is not clear in some case laws. The binding force of revocation judgment in the appeal litigation play an important role in relieving citizens from the infringement of their rights or interests by illegal dispositions of administrative agencies and settling properly disputes over the rights involved in public law. From this view point the scope of the binding force of revocation judgment in the appeal litigation is to be regulated. 취소판결의 기속력이라 함은 취소판결이 확정된 경우, 행정청이 처분을 위법하다고 확정한 판결의 판단내용을 존중하고 수인하여 그 이후의 사건에 대하여 판결의 취지에 따라서 행동하고, 만약 이것과 모순하는 것과 같은 처분 등이 있는 경우에는 적당한 조치를 취하여야 한다는 기속을 발생시키는 것을 말한다. 취소판결 후 관계행정청이 적절한 조치를 취하지 않을 경우, 취소판결이 존재하는 것만으로 처분의 취소를 구하는 원고의 실효적 구제가 보장되어 있지 않을 수 있는데 이러한 상황 발생을 예방하기 위하여 취소판결의 직접적 효과를 넘어 행정청에게 각종 조치를 취할 것을 요구하는데 이러한 요구가 취소판결의 기속력이라고 할 수 있다. 현행의 취소소송제도는 행정처분의 존재를 전제로 이에 대한 사후적 사법심사형태로 규정되어 있다. 따라서 행정처분에 대하여 취소판결이 내려지더라도 이 판결에 따른 행정청의 시정조치가 강구되지 않으면 취소판결의 의미가 반감할 수도 있다. 행정소송법 제30조는 취소소송에서 확정된 위법에 대한 시정을 위하여 적극적 작위명령권을 규정하는 대신에 취소판결의 취지에 따른 시정조치의무를 규정하여 실효적 권리구제를 도모하고 있다. 기속력은 처분청 그 밖의 관계행정청에 대하여 판결이유에서 제시된 취지를 존중하여 취소판결 이후 당해 법률관계처리에 있어서 적절한 조치를 취하여 국민의 위법상태배제청구권을 만족시키는 것을 의무지우는 힘이라고 해석된다. 판결에 의하여 취소된 행정처분과 관련하여 발생한 일체의 위법상태를 제거하기 위한 모든 작위․부작위의무가 이에 포함된다. 취소판결의 실현을 방해하는 처분이 남아있는 경우에 이것을 취소하여야 할 부정합처분의 취소의무, 동일한 처분의 반복금지 내지 동일과오의 반복금지의 부작위의무, 취소판결의 취지에 맞지 않는 위법한 사실상태가 남아 있는 경우에 이것을 원상으로 회복할 의무, 거부처분에 대한 적극적 시정조치의무, 절차하자를 이유로 한 처분에 대한 시정조치의무 등이 이러한 의무의 내용으로 설명된다. 취소판결의 기속력은 기판력으로는 설명하기 어려운 의미와 내용을 가진 것으로 행정소송법이 취소판결의 실효성확보를 위하여 인정한 특수한 효력이라고 파악하는 것이 타당한 것 같다. 이러한 입장을 취할 경우 취소판결 기속력의 내용과 한계가 문제되는데, 그것의 구체화과정에는 취소판결의 권리구제기능과 적법성보장기능을 향상시킨다는 관점에서 접근이 요청된다. 행정소송법 개정과정에서 기속력 내용의 하나로서 추가되는 행정청의 결과제거의무에 관한 규정도 이러한 관점에서 그 위미와 한계를 설정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결과제거의무가 종래 학설, 판례에서 검토되어져 온 원상회복의무를 행정소송법상 명문으로 규정한 것인가 그렇지 않으면 원상회복의무를 넘는 소송법상 행정청의 시정의무를 규정한 것인가에 대하여는 이 제도의 시행과 더불어 충분한 논의를 축적하여 갈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채권자취소권과 부인권이 상호 교차하는 경우에 관한 규율 - 취소채권자에 대한 부인권 행사를 중심으로

        임선지 사법발전재단 2023 사법 Vol.1 No.63

        A creditor’s right of revocation and avoidance power have their common roots in Roman legal doctrine of actio pauliana, and they serve almost the same purpose which is to recover the assets fraudulently transferred or concealed by the debtor to secure a joint security for the benefit of all creditors. Meanwhile, different issues can be raised in a case where a trustee in a bankruptcy process tries to exercise her avoidance right against a creditor, who successfully revoked a fraudulent transfer between the debtor and a transferee and restored the previously transferred asset, consequently collecting her own claim before declaration of bankruptcy, and the trustee argues to deny the realization of a claim by the foregoing creditor who exercised the right of revocation against the debtor’s fraudulent transfers. This article aims to delve into proper solutions in cases where the right of revocation and the avoidance power are exercised to contradict and mutually negate each other, by examining the Korean Civil Act in the light of comparative legal studies of foreign jurisdictions and de lege ferenda. First of all, according to the relative effect theory adopted by Korean court rulings and legal academia regarding the effect of a creditor’s revocation on a debtor, the restored asset remains as the transferee’s own property despite the transfer of the registered title from the transferee to the debtor by means of restoration (thus a discrepancy happens between the nominal title and the substantial ownership). This leads to the fact that the restored asset does not constitute the debtor’s executable property responsible for her creditors in general, that the creditor’s collection can not be evaluated as a harmful transaction diminishing the value of the debtor’s executable property, and that the trustee may not challenge the creditor’s collection as a transaction subject to the exercise of the avoidance power. In Germany, France, and Anglo jurisdictions, the ownership title is not restored to the debtor even if a creditor exercises her revocation right. On the other hand, the 2017 amendment of the Japanese Civil Code accepted the absolute effect theory and discarded the relative effect theory that was built over a long time through court rulings and legal practices. This is unprecedented legisl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comparative law and thus needs to be prudently examined to see if there will be any unexpected complications or legal instabilities. Further, Korean court rulings and legal academia interpret that the scope of creditors who are affected by creditor’s revocation and thus can claim their rights to distribution from the restored asset in civil execution procedures provided in Article 407 of the Civil Act are confined only to such creditors who had previously acquired their claims before the revoked fraudulent transfer. This interpretation can also make the revoking creditor’s collection from the restored asset unavoidable in the following bankruptcy process, because creditors who are afforded protection of Article 407 are not creditors in general that constitute total creditors protected by the equitable doctrine in bankruptcy process. In Germany, France, and the Anglo jurisdictions, a creditor’s revocation does not affect other creditors unless those creditors do not successfully exercise their own revocation rights. In order to allow creditor’s revocation to accomplish its own roles separated from trustee’s avoidance, it is not desirable for the trustee to be vested with the overwhelming avoidance powers to cancel the effect of the creditor’s previous revocation. 채권자취소권과 부인권은 채무자의 사해행위로 일탈된 재산을 회복하여 총 채권자의 이익을 위한 공동담보를 확보한다는 공통된 목적에서 출발하였다. 그런데 도산절차 밖에서 취소채권자가 수익자 등을 상대로 사해행위취소 및 원상회복청구의 소를 제기하여 승소확정판결을 받고, 사해행위로 일탈되었던 책임재산을 수익자 등으로부터 회복한 후 그 재산에서 자신의 피보전채권을 만족시킨 경우 그 이후에 개시된 채무자에 대한 도산절차에서 관리인 등이 위와 같은 취소채권자의 채권실현행위를 부인할 수 있는지 여부가 문제 된다. 위와 같이 채권자취소권과 부인권이 상호 대립하는 방향으로 교차하는 경우를 어떻게 규율할 것인가에 관하여는 채권자취소권과 부인권의 성격이나 역할, 상호관계 등을 보는 관점에 따라 상반된 검토가 가능하다. 이 글에서는, 부인권 행사 여부가 문제 되는 취소채권자의 행위는 원상회복행위 그 자체라기보다는 그 후 회복된 재산을 재원으로 한 피보전채권의 실현행위이고, 구체적으로는 회복된 재산에 대한 채권실현 방법에 따라 집행절차를 통한 배당금수령행위 또는 수령한 금전에 의한 피보전채권 충당행위로 특정하였다. 먼저 사해행위취소의 채무자에 대한 효력에 관하여 우리나라의 통설·판례가 취하고 있는 상대적 효력설에 의하면, 사해행위취소판결로 회복된 재산은 취소채권자 및 민법 제407조에 의하여 채권자취소의 효력을 받는 채권자들에 대한 관계에서 채무자의 책임재산으로 취급될 뿐 채무자가 직접 그 재산에 대하여 어떠한 실체적 권리를 취득하는 것은 아니며, 채권자취소로 인한 원상회복의 결과 등기나 등록을 요하는 재산이 채무자 명의로 회복되더라도 그 재산은 여전히 수익자의 소유로서, 다만 취소채권자 등의 강제집행을 당할 수 있는 부담을 지는 데 불과하다. 이에 따르면, 취소채권자가 회복된 재산에서 강제집행절차에 의하거나 또는 수령한 금전으로 바로 피보전채권을 만족시키는 행위를 하였더라도 이와 같은 배당금수령행위나 피보전채권 충당행위는 채무자 소유가 아니었던 재산을 재원으로 한 것이어서 사해행위 또는 편파행위 등 부인대상행위가 되기 위한 공통적 요건으로 유해성을 구비하였다고 보기 어렵다. 우리나라의 사해행위취소제도에 많은 영향을 주었던 독일, 프랑스, 미국에서는 사해행위취소청구가 인용되더라도 일탈재산이 채무자의 재산으로 복귀되지 않으며 여전히 수익자 명의로 남겨둔 채 취소채권자가 마치 채무자의 책임재산인 것처럼 취급하여 강제집행을 할 권한을 가지게 될 뿐인데, 이와 같은 비교법적 검토 역시 중요한 참고가 될 수 있다. 다만 일본의 2017년 개정 민법은 종래 판례를 통해 구축되어 온 상대적 효력설을 폐기하고 사해행위취소의 효력이 채무자에게도 미친다는 절대적 효력설을 채택하였는데, 이는 비교법적으로 유례를 찾기 어려울 뿐 아니라 로마법의 파울루스 소권에서 출발하여 도산절차상 부인권과 분화되어 발전해 온 채권자취소권의 본질과도 정합되지 않으며 오랜 시간을 두고 정착되어 온 법리를 입법의 방식으로 변경하는 것이어서 새로운 혼란을 초래하거나 법적 안정성을 해칠 우려도 배제하기 어려우므로, 이와 같은 방향의 민법 개정에 대하여는 신중하게 접근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나아가 사해행위취소의 효력이 미치는 채권자의 범위에 관하여 우 ...

      • KCI등재

        취소채권자의 가액배상청구권은 책임재산이 될 수 있는가

        조경임(Cho, Kyung Im) 한국비교사법학회 2019 비교사법 Vol.26 No.1

        대법원 2017. 8. 21. 선고 2017마499결정은 취소채권자의 가액배상청구권에 대한 압류 및 전부명령을 허용하고 있다. 민사집행은 채무자에게 귀속된 재산을 그 대상으로 하므로, 가액배상청구권을 취소채권자의 책임재산으로 파악한 것이다. 하지만 우리 민법은 사해행위 취소 및 원상회복의 효과는 모든 채권자의 이익을 위하여 효력이 있다고 정하고 있으며(민법 제407조) 채권자 취소소송을 진행한 채권자의 우선권을 인정하고 있지 않다. 모든 채권자를 위하여 채무자의 일반재산을 확보함으로써 채무자를 집행채무자로 하는 강제집행의 준비절차로서 기능하는 채권자취소 제도의 취지를 고려할 때, 취소채권자가 가액배상청구권을 행사하여 수령한 금원은 모든 채권자를 위한 채무자의 일반재산으로 환원되어야 하지, 취소채권자 개인이 향유할 수는 없다고 보아야 한다. 더욱이 가액배상청구권은 강제 집행할 수 있는 권리로 보기도 곤란하다. 어떠한 권리가 압류할 수 있는 성질을 갖는지에 관하여 우리 판례는 재산적 가치가 있고 독립하여 처분 가능할 것을 요구한다. 취소채권자의 가액배상청구권을 독립하여 처분 가능한 취소채권자의 재산으로 보기 위해서는 이를 채권적 청구권이 아닌 채권으로 인정할 수 있어야 할 것으로 생각되며, 어떠한 권리가 채권이려면 그 속성으로서 이행청구력, 소구력, 집행력 및 급부보유력을 함유하여야 하는데, 취소채권자가 수령한 가액은 채무자에게 귀속되어야 할 몫이지 취소채권자가 이를 사용 수익할 권한이 없다는 점에서, 가액배상청구권은 급부보유력을 함유하는 채권이라고 보기 어렵다고 생각되기 때문이다. 가액배상청구는 원물반환이 불가능할 때 예외적으로 인정되는 원상회복청구의 한 형태이다. 원상회복의 방식이 다르다고 하여 취소채권자의 재산 규모가 달라질 수는 없다. 가액배상청구권은 취소채권자가 채무자에 대하여 보유하는 피보전채권의 실현을 위하여 법이 인정한 대외적 권능이며, 피보전채권의 종된 권리로서, 피보전채권과 분리하여 독립적으로 처분 가능한 재산이라고 볼 수 없다. 따라서 압류나 전부명령의 대상이 될 수 없다고 보는 것이 타당하다. The Supreme Court Judgment 2017Ma499, dated August 21, 2017, permits the seizure and claims transfer command for revocation of creditors’ right to claim monetary compensation. Since civil execution is administered to the property vested in the debtors, the right to claim monetary compensation is deemed the property of revocation creditors. To acknowledge any right as claims, however, it should include the right to demand performance, the right of resource, power of execution, and power of retaining benefits. However, the right to claim monetary compensation does not include the power of retaining benefits, and therefore cannot be deemed as claims nor property of revocation creditors. The Civil Act provides that the revocation and restitution of its original status takes effect for the benefit of all obligees (Article 407 of the Civil Act), and does not acknowledge the priority of the creditors who institute a lawsuit for a creditor’s revocation right. Given the purpose of the creditor’s revocation to secure general property of the debtors for the benefit of all creditors and serve as a preliminary process for compulsory execution by which creditors become execution creditors, it should be deemed that any money received by revocation creditors by exercising the right to claim monetary compensation should be reverted to general property of the debtors and should not be enjoyed by individual revocation creditors. The same conclusion will be reached when examining the essence of the right to claim monetary compensation. Claim for monetary compensation is a type of claims for restitution exceptionally acknowledged when the original cannot be returned. When the method of restitution is different, is it appropriate to assume a different amount of “property” of revocation creditors? Further, the Supreme Court does not allow for the seizure of any right exercised by subrogating creditors or collecting creditors. As revocation creditors’ right to claim monetary compensation shares the same nature of such right, it is not appropriate to distinguish them in consideration of systematic consistency. In sum, the right to claim monetary compensation should include the right of collection and the right to receive performance in addition to the right to demand performance, the right of resource, and power of execution, but does not incldue the power of retaining benefits. As it cannot be acknowledged as property of revocation creditors, therefore it is reasonable to conclude that it is not subject to seizure or claims transfer command.

      • KCI등재

        채권자취소권의 효력론 비판 및 개선방안

        전원열(Wonyol Jon) 한국법학원 2017 저스티스 Vol.- No.163

        채권자취소권은 실무상 소송 건수도 무척 많고 관련 판례와 논문이 다수 나와 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수미일 관한 논리를 찾기 어렵다고 여겨지고 있다. 이러한 이론적 혼란의 근저에는 판례·통설의 상대적 효력설이 자리잡고 있다. 또한 가액배상 사건 수의 증가와, 가액배상금을 수령한 취소채권자에 대한 상계 허용이 결합하여 관련자들 간의 이익역전(利益逆轉) 사태가 빈발하고 있다. 그런데 한국·일본에 이 제도를 전수하여 준 서구의 주요국(독일‧프랑스‧미국 등)에서는 사해행위취소가 행해지더라도 그 일출재산은 채무자의 재산으로 복귀되지 않으며, 이는 여전히 수익자의 재산이다. 다만 사해행위취소 판결의 효과로서, 취소채권자가 그 재산에 직접 강제집행을 할 수 있을 뿐이다. 한국은 위 국가들과는 다르게, “채무자 앞으로의 등기명의 복귀”제도를 취하고 있으나, 이러한 책임재산 회복방법은 판례‧통설이 말하는 상대적 효력설과 논리상 정면으로 배치된다. 달리 말해서, ‘상대적’ 효력설 즉 “사해행위취소의 효력이 채무자에게는 미치지 않고 취소채권자에게만 미친다”는 입장을 일관하려면, 그 취소판결 이후의 처리에 있어서 “채무자를 개입시키지 않아야” 한다. 그렇게 하려면, 채무자에게로 등기명의를 복귀시키지 않도록 입법적 개선을 하여야 한다. 한국·일본은 독일·프랑스로부터 채권자취소권이라는 실체법상의 권리를 수입하면서 그와 한 묶음(set)으로 되어 있는 집행방법은 도입하지 않았고, 이와 전혀 달리 채무자에게로의 등기명의 복귀 방식을 선택하였기 때문에, 지속적으로 이론상·실무상 문제가 발생하여 온 것이다. 상대적 효력설과 등기명의 복귀 사이의 모순 때문에, 등기명의 복귀 후 그 부동산이 채무자의 책임재산이 되는 점 자체가 상대적 효력설상 명쾌히 설명되지 않고, 그에 대한 강제집행에서의 배당잉여금이 채무자에게 귀속되는 현상 및 수익자가 그 강제집행절차에 참가할 수 있다는 판례가 논리적으로 설명되지 않으며, 그 복귀재산에 대한 채무자의 처분권 유무에 관한 판례들이 서로 충돌하는 등 수많은 이론적 난점들이 생겨나고 있다. 제407조는 이러한 혼란에 대한 가중요소이다. 게다가 취소채권자의 상계로 인한 우선적 만족 현상도 근본적으로는 등기명의복귀 방식에서 비롯하는 가액배상 사건 증가가 사태의 원인이다. 역사적으로 검토하여 보면, 이러한 난맥상의 기본구조인 “상대적 효력설 + 제407조 + 채무자에게로의 등기명의 복귀”라는 세트(set)는, 19세기 말 및 20세기 초의 일본의 연구부족 내지 제도이해 부족에 따라 잘못 만들어진 구조이다. 이런 구조적 문제점이, 사건 수가 얼마 되지 않을 때에는 크게 드러나지 않았지만, 연간 7천건을 넘나드는 소제기가 행해지는 현재에 이르러서는 각 소송사건의 사실관계가 복잡해지면서 자꾸 불거지게 되었고, 이에 따라 사해행위취소판결의 세부 법리들도 점점 이해할 수 없게 복잡해지는 사태가 발생한 것이다. 이런 문제들을 기존의 조문을 유지한 채로 해석론으로 해결하기는 어렵다. 2013년 법무부 산하 민법개정위원회가 내놓은 채권자취소권 개정안은 수익자 악의추정으로 인한 억울한 수익자 양산의 문제 등 채권자취소권의 다른 문제들에 대해서는 약간의 대책이 될 수 있겠지만, 사해행위취소 제도 내의 법리들 간의 모순의 양산이라는 구조적 문제에 대해서는 대책이 되지 못하고 있다. 일본은 2017년 민법 개정에서, 채권자취소권의 효력에 관하여 절대적 효력설을 취함으로써 모순을 누그러뜨리고자 하였다. 그러나 채권자취소권 제도의 본래의 취지, 근본목적을 고려한다면 서구 주요국과 마찬가지로, 수익자 앞으로 등기명의를 존치한 채로 취소채권자로 하여금 강제집행을 할 수 있도록 민법과 민사집행법을 개정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생각한다. In the background to the chaos in judicial precedents for creditor’s revocation lies so-called relative effectiveness of the creditor’s revocation system. In Germany(Anfechtungsgesetz), France(CC) and the Anglo-jurisdictions(such as UVTA in the U.S.), the registered title to the transferred property does not go back to the debtor, when a creditor successfully exercises his revocation right. Japan and Korea did not take over such civil execution system when they received legal doctrines of creditor’s revocation, even though substantial law of creditor’s revocation and the execution system thereof may not and cannot be separated. Dogmatics of creditor’s revocation at the present explain that the effect occurs only between the creditor and the defendant, but the absolute return of the title (the present execution system in Korea) in the property registry is contradictory to the explanation and generates many doctrinal and practical problems. Historically the discrepancy between the effect and the registry system originated during the reception process of creditor’s revocation in Japan from the end of 19th century to the beginning of the 20th century. Recently, Japan changed its legal doctrine on the creditor’s revocation in the newly adopted civil code, which is to be put into force on June 2nd, 2020. The new civil code in Japan says that the effect of the creditor’s revocation reaches even to the debtor. Korea now faces torrents of lawsuits on creditor’s revocation and problems arising out of those lawsuits. Therefore, the reorganization of this issue is urgently needed. In order to solve the present legal discrepancies and conflicts, the aiming direction of the reorganization should not be the new civil code of Japan, but the direction of France or Germany.

      • KCI등재

        사해행위취소소송의 경합과 가액배상

        이혜진(Lee, Hye-Jin) 동아대학교 법학연구소 2012 東亞法學 Vol.- No.55

        사해행위취소 소송은 채무자의 책임재산을 유지할 목적으로 채무자와 제3자 사이에 행하여진, 채무자의 재산을 감소시키는 법률행위를 취소하고, 채무자의 책임재산으로부터 빠져나간 재산을 도로 채무자의 책임재산에로 회복해 오는 권리를 채권자에게 인정하는 제도이다. 어디까지나 채권자취소 소송의 목적은 재판으로서 채무자가 한 사해행위를 취소하고 원상회복을 꾀하여 공동담보의 부족을 구하는 소송으로서 채권자 취소소송을 제기한 당해 채권자에게는 우선변제권이 없고 모든 채권자를 위해서만 유효하다 할 것이다. 이에 대해 자신의 노력으로 사해행위에 의하여 일탈된 책임재산을 회복한 취소채권자를 우선적으로 보호하는 것이 형평의 이념에 맞다는 비판론도 있을 수 있으나 채권자 취소소송의 본질이 모든 채권자를 위한 공동담보의 확보에 있는한 그러한 이익충돌은 불가피하다 할 것이다. 사해행위 취소소송에서 말하는 원상회복이란 사해행위가 있기 전의 상태로의 복귀를 의미하는 것으로 원칙적으로 그 목적물의 반환을 청구하여야 하며 원물반환이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모든 채권자를 위한 채무자의 일반재산의 확보라는 채권자 취소소송의 본질에 반하지 않는다. 그러나 원물반환이 불가능하거나 현저히 곤란한 경우에는 원상회복의무의 이행으로서 사해행위 목적물의 가액을 상환하여야 하는데 이러한 경우에도 채권자취소소송의 원칙론을 거론하며 채무자에 가액의 지급을 명하여야 하는가하는 의문이 제기될 수 있다. 원물반환의 경우야 채무자에게로 반환된 재산에 대해 모든 채권자들이 강제집행을 통해서 형평의 이념에 맞게 배당을 받을 수 있지만 공시가 되지 않는 가액의 배상을 채무자에게 명할 경우 과연 채무자가 수령한 가액을 적정히 일반채권자들에게 변제될 수 있는지에 대해서는 매우 회의적이다. 이에 대해 대판 2008.4.24.2007다84352는 “원상회복을 가액배상으로 하는 경우에 그 이행의 상대방은 채권자여야 한다”고 판시함으로써 사해행위취소소송을 제기한 채권자에게 사실상 우선변제권을 인정함으로써 사해행위취소소송의 원칙을 훼손하는 듯한 태도를 보이고 있다. 이논문은 가액배상의 경우에도 채권자취소소송의 본질을 훼손하지 않은채 일반채권자들의 채권을 확보할 수 있는 방안을 연구하기 위해 작성되었다. The Civil Code § 406 prescribes "Creditor"s Right of Revocation". This provision is probably the only one that treats such a theme in the Civil Code. Such a simplicity may cause inconsistency and confusion in exercising a creditor"s right to revoke through a suit. Many case laws might have given solutions to the inconsistency and confusion in exercising the Creditor"s Right of Revocation, but logical contradictions have been revealed in interpreting some cases. As an attempt to get a solution to such a contradiction, this paper explores some issues concerning the Creditor"s Right of Revocation including "concurrent suits revoking fraudulent act and problems in ordering monetary compensation" and "some issues in the distribution procedure", etc. After inquiring such ones, this paper points out that some supreme court"s opinions should be changed.

      • KCI등재

        일본 민법 채권자취소권 제도 개정과 절대적 효력설

        이승섭(Lee, Seung-seob) 강원대학교 비교법학연구소 2020 江原法學 Vol.60 No.-

        민법 제406조와 제407조는 채권자취소권에 관하여 규정하고 있고, 판례와 다수설은 사해행위취소의 효과(사해행위취소판결의 효력)에 관하여 상대적 효력설을 취하고 있다. 상대적 효력설은 사해행위취소의 효과가 취소채권자와 수익자 또는 전득자 사이에만 미친다는 이론이다. 이와 비교되는 이론으로 절대적 효력설, 책임설, 채권설 등이 있다. 상대적 효력설은 특히 사해행위취소의 효과가 채무자에 미치지 않는다고 하는데 이로써 많은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특히 등기나 집행 법제 실무 등과의 모순과 혼란이 일어나고 있다. 그래서 그 개정을 모색하게 되었는데, 우선 책임설이나 채권설은 실질적으로 민법 제407조의 폐기를 전제로 하고, 또 집행법상 제도나 실무의 도입이 필요하므로 현재 이를 채택하기는 어렵다. 그런데 일본은 최근 민법 채권자취소권 제도 개정을 통하여 상대적 효력설을 포기하고 사해행위 취소의 효과가 채무자에게 미친다고 보는 절대적 효력설을 채택하였다. 이 이론은, 비록 완전한 것은 아니라고 하더라도, 민법 제407조의 규정 취지를 살리면서 다른 각종 법제와의 모순이나 실무상 혼란을 제거할 수 있는 유효한 이론이다. 오래 전에 중국 계약법에서도 절대적 효력설을 채택하였는데, 우리 민법의 개정 작업을 함에 있어 절대적 효력설의 채택을 적극적으로 검토할 필요가 있다. 앞으로 한중일 3국이 공동연구와 상호협력을 통하여 채권자취소권 제도를 발전시켜 나갈 것을 기대한다. Article 406 and Article 407 of Our Civil Act regulate the creditor’s revocation right system and the position about the effect by revocation of fraudulent transfer, taken by the court precedents and general commentaries is the theory of relative effect. The theory of relative effect explaines the effect by revocation of fraudulent transfer(the effect of the positive judgement of the revocation suit) reaches only the creditor(plaintiff) and the initial transferee or the additional transferee (defendent) and does not reach the debtor or other creditors. And there are other theories such as the theory of absolute effect, the theory of responsibility(haftungsrechtliche Theorie) and the theory of claim (schuldrechtliche Theorie) and so on. The theory of relative effect especillay explains the effect by revocation of fraudulent transfer does not reach the debtor. This very point raises many problems. Above all, there is the logical and practical contradiction between the theory of relative effect and the registration system, the practice of compulsory execution and the purpose of the system. So the need to revise the effect by revocation of fraudulent transfer aroused. First, the theory of responsibility(haftungsrechtliche Theorie) and the theory of claim (schuldrechtliche Theorie) actually needs the abolishment of Article 407 and requires the introduction of new system and practice concerning the Civily Execution Act and relevant progress. Therefore, at present, it is not desirable to adopt the above theories. By the way, through the revision of Civil Act in 2017, Japan abandoned the theory of relative effect and newly adopted the theory of absolute effect, in which the effect by revocation of fraudulent transfer reaches the debtor. The new creditor’s revocation right system in Japan, though not perpect, is expected to settle the problems in the theory and pratice of the creditor’s revocation right system. And, long ago, the Contract Law of China also adopted the theory of absolute effect. In our Civil Act revision work, we ought to positively study the adoption of the theory of absolute effect. Afterwards Korea, China and Japan are expected to develop the creditor’s revocation right system by joint research and mutual cooperation.

      • KCI등재

        채권자취소소송에서 소송물과 관련된 문제점

        이순동 영남대학교 법학연구소 2019 영남법학 Vol.0 No.48

        Actio Pauliana(obligee’s right of revocation) can only be exercised through litigation, and in a lawsuit, thus object of lawsuit is a pivotal concept. Actio Pauliana exposes difficult problems in practice, from the contradiction between the relative invalid theory which is case law at the same time the orthodoxy and the Civil Law Article 407 (creditor equalism), and concerning the method of restoration of real estate registration adopted by our case in the way of restitution and the monetary compensation. In addition, although the case law is based on the old theory about the object of lawsuit, it does not hold it in every situation, and the dispute over the formative right(Gestaltungsrecht) is still a subject of controversy. So there are several issues in the litigation of Actio Pauliana concerning the object of lawsuit. In this article, we looked at issues related to ① the object of lawsuit of Actio Pauliana and restitution of original property and monetary compensation, ② jurisdiction, ③ claim range, ④ merge and change of claims, and third-party intervention to prevent an act of fraud, ⑤ duplicate litigation, ⑥ principal of disposition, ⑦ the distribution of the burden of proof, ⑧ res judicata and the effect of the Actio Pauliana judgment, ⑨ effect of the termination of prescription period and period compliance by filing of a lawsuit, ⑩ problems of dividends in executive process. In particular, the contents of the Supreme Court's rulings and theories which need to be supplemented or clarified are described in more detail. 이 글은 채권자취소소송에서 소송물이 직・간접으로 작용하는 여러 가지 측면들을 검토하였다. 채권자취소권은 소송을 통하여만 행사할 수 있다. 따라서 그 성격이 소권이라거나 형성소권이라는 견해가 주장될 정도로 소송과 밀접한 권리이다. 한편 소송에서 소송물은 소제기 단계에서부터 심리단계를 거쳐 그 결과인 판결효력에 이르기까지 중추적인 역할을 개념이다. 채권자취소권은 판례·통설인 절충설(상대적 무효설)과 민법 407조(채권자평등주의)와 모순을 비롯하여, 원상회복의 방식으로 우리 판례가 채택하고 있는 부동산등기의 회복방식과 가액배상을 둘러싸고 실무상 어려운 문제점들을 노출하고 있다. 거기다 소송물이론 역시 판례가 비록 구소송물이론에 서 있다고 하나, 모든 상황에서 이를 견지하지는 않고 형성권에 대한 소송물은 아직도 논란의 대상이다. 그래서 형성소송인 채권자취소권을 소송상 행사함에도 소송물과 관련하여 여러 가지 쟁점들이 있다. 여기에는 취소와 원상회복청구의 소송물을 비롯하여 청구범위와 청구병합 및 중복소송, 기판력과 취소판결의 효력 및 집행과정에서 배당 문제에 이르기까지 소송과정에 나타나는 거의 모든 쟁점들이 포함되어 있다. 그 중 채권자취소권의 상대효와 관련된 문제점이 여러 곳에서 나타나고 있다. 이 글에서는 ① 채권자취소소송과 원상회복청구권(원물반환과 가액반환)의 소송물을 비롯하여 ② 관할, ③ 청구의 범위(피보전채권과 관련) ④ 청구병합・변경과 사해방지참가, ⑤ 중복소송, ⑥ 처분권주의 ⑦ 증명책임 분배 ⑧ 기판력과 취소판결의 효력, ⑨ 소제기의 따른 시효중단・기간준수의 효과 ⑩ 집행과정에서 배당의 문제와 관련된 쟁점들을 보았다. 특히 대법원의 판시 내용이나 학설 중 보완이나 정리가 필요한 부분은 좀 더 상세히 설명하였다. 민사소송을 운영하기 위하여 만들어진 소송물이론이 실제로 유용한 도구가 되기 위해서는 그 적용단계마다 그에 맞는 해석이 필요하고 실제로 소송실무에서도 하나의 소송물 이론이 모든 사안에서 기계적・일률적으로 적용되지는 않는다. 이와 관련하여 채권자취소권 행사의 효과인 상대효의 적용에 관한 예를 들면, 채권자가 수익자에 대하여 제기한 소송에 다른 채권자가 사해방지참가를 할 수 없다는 대법원 판결은 납득하기 어렵다. 사해방지참가의 전형적인 사례가 사해행위취소를 청구하는 것임에도 불구하고, 이를 사해방지참가에서 제외함으로써 민사소송법이 모처럼 마련한 사해방지참가가 설 자리가 없어지고, 조속한 분쟁해결을 할 수 없는 불합리한 결과를 가져오기 때문이다. 또한 독립당사자참가 소송의 성격이 합일적 삼면소송이라는 점에서도 이해하기 어려운 판결이다. 이는 채권자취소권의 적절한 운용을 위하여 고안된 상대효 이론이 오히려 채권자취소권이나 이를 소송에서 구현하는 사해방지참가를 방해하고 있는 모양이 되었다. 상대효도 채권자취소권을 운용하기 위하여 만든 이론적 도구이므로, 이를 채권자취소권 행사와 관련된 모든 측면에서, 여기서는 소송이 종결된 후의 기판력 문제와 당사자참가의 문제에서, 기계적이고 일률적으로 적용하면, 오히려 상대효를 둔 원래의 취지에 맞지 않는 타당성 없는 결과를 가져오므로, 소송물이 적용되는 단계에 맞는 유연한 해석과 합리적 적용이 필요하다.

      • KCI등재

        채권자취소권(債權者取消權)의 법적(法的) 성질(性質)에 관한 일시론(一試論)

        강구욱 ( Kang Goo-wook ) 한양대학교 법학연구소 2017 법학논총 Vol.34 No.1

        민법 제406조 제1항 본문은 “채무자가 채권자를 해함을 알고 재산권을 목적으로 한 법률행위를 한 때에는 채권자는 그 취소 및 원상회복을 법원에 청구할 수 있다.”고 규정함으로써 채권자취소권에 관해 규정하고 있다. 그리고 일본 민법 제424조 제1항 본문은 채권자취소권에 관해 “채권자는 채무자가 채권자를 해함을 알고 한 법률행위의 취소를 법원에 청구할 수 있다.” 고 규정함으로써 우리 민법과 달리 `취소`만을 규정한 채 `원상회복`에 관해서는 규정하지 않고 있다. 그래서 일본에서는 `취소`의 법적 성질을 두고 120여 년에 걸쳐 논란이 계속되고 있다. 그런데 일본의 채권자취소권 제도에 대해서는 프랑스 민법의 관계 규정은 입법적으로, 독일의 관계 법률에 관한 판례·학설은 해석론적으로 심대한 영향을 끼쳤고, 우리나라의 판례와 통설은 일본의 판례와 통설을 거의 그대로 받아들인 것이며, 프랑스와 독일의 해석론을 수용하려는 소수설이 제시되어 있다. 필자는 위와 같은 상황을 염두에 두고 우리 민법의 채권자취소권의 법적 성질을 규명하기 위한 실마리를 찾기 위해 프랑스·독일·일본법의 관계 규정과 그 해석론을 개관·검토하고, 우리나라의 판례와 학설을 개관한 다음 민법 제406조 제1항 본문의 규정 문언자체에 근거해서 독창적인 견해를 제시했다. 그 요지는 우리 민법의 채권자취소권은 사해행위의 `取消`와 일탈재산의 `원상회복`을 `법원에` 청구하는 권리이므로 소권이고, 채권자취소 소송은 사해행위의 취소를 구하는 형성의 소와 일탈재산의 원상회복을 구하는 형성의 소의 병합소송이며, 원상회복의 내용(방법)은 일탈재산의 원물반환이 아니라 채무자의 사해행위로 인해 상실되거나 감소된 일탈재산에 대한 집행력을 회복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는 것이므로 취소채권자는 일탈재산이 수익자 또는 전득자 수중에 있는 상태에서 채무자에 대한 집행권원으로 그 재산에 대한 강제집행을 실시하면 된다는 것이다. The Article 406⑴ in Korean Civil Act[KCA] regulates `Obligee`s right of revocation` as “If the obligor has performed any juristic act which has a property right for its subject, with the knowledge that it would prejudice the obligee, the obligee may apply to the court for its revocation and restitution of its original status.” The Article 424⑴ in Japanese Civil Code[JCC], on the other hand, `Obligee`s right to demand the rescission of fraudulent act` regulates as “An obligee may demand the court to rescind any juristic act which an obligor commits knowing that it will prejudice the obligee.” As JCC regulates not `restitution of its original status` but `rescission`, the legal nature of `rescission` has been controversial for over 120 years. However, in relation to the obligee`s right of revocation in JCC, the legal provisions related to the French Civil Law and the precedents and the opinions concerning the German law were very influential. Korea`s judicial precedents and general opinions accepted almost all the Japanese precedents and opinions, and there are minority opinions to embrace the interpretation of French and German law. In order to find the clue to clarify the legal nature of the obligee`s right of revocation in KCA, I have overviewed and reviewed the relevant provisions of the French, German, and Japanese laws and their interpretations, and then have reviewed the precedents and opinions in Korea. After those, I have presented a unique opinion based on the text of Article 406⑴ of KCC. The point is that the obligee`s right of revocation in KCC is a right to claim `cancellation` of the acts of fraudulent conveyance and `restitution of its original status` of the deviant property to the `court`, and the obligee`s right of revocation lawsuit is a merger of lawsuits for seeking cancellation of the acts of fraudulent conveyance and lawsuits for the restitution of its original status of the deviant properties. And the principle of restitution is not to return the original property of the deviant property but to restore the executive power on the deviant property lost or reduced by the obligor`s acts of fraudulent conveyance. Therefore, the obligee is able to enforce the deviant property in the hands of the beneficiary or the subsequent purchaser with the enforcement authority for the obligor.

      • KCI등재

        조세법상 사해행위취소권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관한 소고

        차규현 ( Gyu Hyun Cha ) 서울시립대학교 법학연구소 2011 조세와 법 Vol.4 No.1

        우선, 국세기본법 제30조와 지방세기본법 제97조 규정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민법상 채권자취소권과 달리 국세징수법 제30조와 지방세기본법 제97조는 그 “취소”만을 규정하고 있어 통설·판례가 취하고 있는 절충설과 일치되지 않는 문제가 있음을 지적하였고, 본 조항을 「취소 및 원상회복」이라고 개정함으로써 입법적 미비를 보완하고 민법과의 통일성을 기할 수 있을 것이며 아울러 세법 해석의 혼란을 방지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조세채권자가 사해행위취소권을 행사하려면 최소한 독촉장 납부기한까지 기다려야 하는데 독촉장 납부기한까지를 기다려 사해행위취소권을 행사하게 되면 제척기간이 만료할 경우 현행 세법상으로는 조세채권의 일실 문제가 발생할 수밖에 없어 문제인데, 이 경우 납세의무 확정일 이후부터 과세관청이 사해행위취소권을 행사할 수 있도록 국세징수법을 개정함이 타당하다. 셋째, 조세 사해행위취소소송은 조세채권자가 취소원인을 「안 날로부터 1년」이라는 제척기간의 제한을 받는데 이 기간은 날로 지능화 되어 가는 악의의 조세체납자를 조세채권자가 일일이 추적조사 하기에는 지극히 단기라는 점이 문제인데, 독일과 일본의 입법례가 채권자가 사해행위취소권을 행사할 수 있는 기간을 비교적 장기간으로 규정함으로써 채권자의 권익을 두텁게 보호하고 있다는 점, 조세수입은 한 국가를 운영하는 근간이 되므로 민사채권에 비해 그 특수성을 인정하여야 한다는 점, 날로 지능화 되어가는 체납자들의 은닉재산을 찾아내고 추적조사 하기에 1년이라는 기간은 지극히 짧다고 볼 수밖에 없는 점 등을 감안하여 조세채권 확보를 위한 사해행위취소권의 제척기간을 최소한 2년으로 연장하는 입법적 개선이 필요하다. 넷째, 원칙적으로 납세의무 성립시기 이후의 사해행위에 대하여 그 취소가 가능하나, 대법원은 일정 요건이 충족되면 납세의무 성립시기 전의 사해행위에 대하여도 사해행위취소권을 행사할 수 있도록 인정하고 있는데 세법상 명문규정이 없어 세법해석의 혼란을 초래하고 세무행정의 투명성을 저해하고 있으므로 이를 세법상 명문으로 입법화하여 세법해석의 혼란을 방지하고 세무행정의 투명성을 제고하여야 할 것이다. 다음으로, 지방세기본법 제97조와 같은법 시행령 제85조 규정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지방세기본법 제97조의 내용 중 「지방자치단체의 장」이라는 표현과 관련하여, 사해행위취소소송은 민사소송으로서 조세행정소송과는 달리 행정청에게는 당사자능력이 없고 행정청이 속하는 지방자치단체 등이 당사자 적격이 있는 것인데 위와 같은 세법규정상의 표현으로 말미암아 혼란이 초래되고 있어서 문제인데, 이를 「지방자치단체」로 개정하여 입법상 오류를 보완하여야 할 것이다. 둘째, 지방세기본법시행령 제85조에서는, 체납자는 사해행위취소소송의 상대방(피고)이 될 수 없음에도 「체납자」라는 표현을 쓰고 있어 통설·판례가 취하는 절충설과 배치되므로 문제인데, 이러한 시행령 제85조의 규정은 혼란만 초래하는 불필요한 조항이므로 이를 삭제하여 국세와의 통일을 기하여야 할 것이다. 끝으로, “허위담보취소권”을 규정한 국세기본법 제35조제4항과 지방세기본법 제99조제4항 규정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위 법의 규정 내용 중 「그 재산의 매각금액으로」라는 표현은 과세관청이 납세자의 다른 재산에 대한 체납처분을 통하여 충분히 조세채권의 만족을 얻을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과세관청에 허위담보취소권을 행사하게 함으로써 사법상 거래에 국가가 지나치게 간섭한다는 비판을 받을 수도 있고 과세관청에 취소권 남용의 여지를 준 것이어서 문제이므로, 본 규정에 「다만, 다른 재산으로 국세를 징수할 수 있는 경우에는 본 취소권은 행사할 없다」라는 단서조항을 신설하여 납세자의 권익과 사법상의 거래의 안전을 도모하여야 할 것이다. To begin with, the problems and improvement in Article 30 of the basic law for national taxes and Article 97 of the basic law for local taxe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unlike a creditor's right to revoke in the civil law, Article 30 of the national tax collection law and Article 97 of the basic law for local taxes provide only ‘revocation’, and therefore this paper points out the problem that it does not correspond to eclecticism which conventional wisdom and precedents hold by. Revising the article as 「revocation and restorative justice」 will be able to supplement legislative imperfection, secure unity with the civil law, and prevent confusion in interpretation in the tax law. Second, in order for a creditor of tax to exercise rights of revoking fraudulent actions, it should wait until the due date for payment of tax reminder. In this case, the problem is that if the statute of limitations is expired, missing tax claims eventually occurs under the current tax law, so it is reasonable to revise the national tax collection law so that tax authorities can exercise rights of revoking fraudulent actions from a fixed date of liability to pay taxes. Third, bringing a tax revocation suit for fraudulent acts is limited by the statute of limitations, that is, one year from the day when a creditor of tax gets to know the cause of revocation. The problem is that the term is extremely short for a creditor to conduct a follow-up survey one by one on malicious defaulters who are increasingly sophisticated.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term of the statute of limitations of rights of revoking fraudulent actions at least to two years to secure tax claims when considering the followings: the fact that in Germany and Japan, legislative examples provide relatively longer term for a creditor to exercise rights of revoking fraudulent actions, strongly protecting a creditor's rights and interests, the fact that it is imperative to acknowledge the uniqueness of tax revenue compared with obligations in the civil law since tax revenue is the basis of operating a nation, and the fact that one year term is too short to trace and discover hidden assets of increasingly sophisticated defaulters. Fourth, in principle, while it is possible to revoke fraudulent actions taken after establishment of liability to pay taxes, the Supreme Court recognizes that rights of revoking fraudulent actions can be exercised even before establishment of liability to pay taxes if certain conditions are met. Since there is no substantive enactment in the tax law, which causes confusion in interpretation of the tax law and undermines transparency in the tax administration, it is necessary to define it by law for preventing confusion in interpretation of the tax law and improving transparency in the tax administration. Next, the problems and improvement of Article 85 of the enforcement ordinance, the same law as Article 97 of the basic law for local taxe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n regards of the expression, 「the head of local government」, because a revocation suit for fraudulent acts is a civil litigation, the administrative agency lacks the admissibility of a party to legal proceedings but the local government which the administrative agency belongs to has the qualifications to deal with it. As a result, there is a confusion caused by the expression above in the provisions of the tax law, so it is necessary to revise it as 「the local government」 and compensate the defect. Second, Article 85 of the enforcement ordinance in the basic law of local taxes uses the expression 「defaulter」 despite the fact that defaulters cannot be the other party(the accused), which contradicts eclecticism that conventional wisdom and precedents hold by. Since this Article 85 is an unnecessary provision only bringing about confusion, it is suggested that it should be deleted to promote unity with the national law. Finally, the problems and improvement of Clause 4, Article 35 of the basic law for national taxes and Clause 4, Article 99 of the basic law for local taxes which provide “rights to revoke fictitious security” are summarized as follows. Among the provisions of the law above, the expression, 「with proceeds from sale of the property」 can be criticized for the reason that even though tax authorities could secure tax claims through disposition for failure in tax payment against taxpayers' other property, the state interferes excessively in judicial transactions. Another problem is that the expression gave room for abusing rights to revoke to tax authorities, and therefore there should be a proviso only, if national taxes can be collected with other property, these rights to revoke cannot be exercised newly attached so that it can promote taxpayers' rights and interests and security of judicial transac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