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추측 표현 교육 방안 연구

        김세령 국어교과교육학회 2010 국어교과교육연구 Vol.17 No.-

        우리는 많은 문법 항목을 배우고 가르치며 그것들을 사용한다. 우리가 사용하고 있는 이러한 추측 표현에는 추측의 의미 이외에도 당위성, 의도, 의지, 완곡, 공손, 가능성 등 여러 의미를 가지고 있다. 그렇지만 본고에서 추측의 의미에 초점을 맞춘 이유는 이러한 여러 의미 중에서도 추측의 의미로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그 추측 표현 속에 들어있는 확실성의 정도, 개연성, 필연성, 희망 등을 잘 파악하고 대화를 한다면 훨씬 풍부한 언어생활을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고는 제2언로서의 한국어 학습자의 의사소통 능력 향상에 추측 표현의 교육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관점에서 출발하였다. 본고는 말뭉치 자료 분석을 통하여 선정된 추측 표현 '-겠-', '-(으)ㄴ/는/(으)ㄹ 것 같다', '-(으)ㄹ 것(이다)', '-나/ㄴ/은 가 보다', '-(으)ㄴ/는/(으)ㄹ지도 모르다', '-(으)ㄹ걸(요)'를 가지고 4개 대학의 교재를 분석하고, 한국어 학습자의 구어 텍스트를 연구 대상으로 하여 그들이 사용하는 추측 표현을 분석하고자 한다. 그리하여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효율적인 교육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KCI등재

        관형사형 어미에 따른 한국어 추측 표현 {-을 것 같다}의 중국어 대응표현 연구

        ZHANG JINGXI 한중인문학회 2018 한중인문학연구 Vol.59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corresponding expressions of Korean epistemic speculative {-ul kes kathta} to Mandarin Chinese followed by the adnominal endings. Based on this parallel corpus approach, the author found that both of the modal auxiliary verbs of ‘probability’ and ‘possibility’ takes a large proportion, however, the modal auxiliary verbs of ‘certainty’ only takes a very small proportion. Therefore, {-ul kes kathta} is more often used in showing speaker‘s prediction of the ’probability’ and ‘possibility’ of a proposition or an event. Although the Chinese modal auxiliary verbs corresponding to Korean speculative showed similar degrees of certainty, the study discerned differences in their usage followed by the change of adnominal endings as the former have unique semantic characteristics. So the author examined how are the modal auxiliary verbs corresponding to {-ul kes kathta} followed by the various adnominal endings. As a conclusion, ‘-ul kes kathta’ is corresponding with ‘Hui’ and ‘Yinggaihui’ of ‘probability’, ‘Kenenghui’ of ‘possibility’, ‘Yao’ and ‘Kendinghui’ of ‘certainty’. And ‘-eun/den/neun kes kathta’ is corresponding with ‘Hui’ of ‘probability’ of ‘Yinggai’ and ‘Keneng’ of ‘possibility’. 본고는 관형사형 어미에 따른 {-을 것 같다}의 중국어 대응표현을 살펴봄으로써 중국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한국어 교육 자료를 마련하는 것을 시도하였다. 개연성 추측의 경우, ‘应该’는 [+근거]의 의미적 특성 때문에 추측 시 근거가 필수적이며 ‘会’는 추측의 근거에 대한 제약이 없기 때문에 자유롭게 대응할 수 있다. 특히, 공손성과 객관적 추측을 나타내는 ‘-은/던/는 것 같다’에 대응되는 경우, ‘应该’는 ‘会’보다 더 적절한 대응표현이라고 본다. ‘应该会’는 미래 지향성을 띄며 미래를 추측하는 ‘-을 것 같다’의 의미적 특성과 잘 호응한다. 가능성 추측의 경우, ‘-은/던/는 것 같다’가 하는 추측은 ‘-을 것 같다’보다 높은 신뢰도에 기반한 추측이기에 객관성이 강한 추측을 할 때 ‘可能’이 더 많이 대응이 된다. 또한 의견이나 주장을 단언하지 않고 완곡하게 제시할 때에도 ‘可能’의 대응이 ‘-은/던/는 것 같다’의 의미적 특성을 더 잘 반영할 수 있다. ‘可能会’는 ‘가능성+미래성’으로 의미 해석이 되기 때문에 미래의 일에 대한 추측을 하는 ‘-을 것 같다’에 가장 적절한 의미적 대응이 된다. 필연성 추측의 경우, 모든 양태 조동사가 ‘-을 것 같다’에만 대응되었다. ‘要’는 화자 자신의 심리 상태 추측에 대응되며, ‘肯定会’와 같은 필연성 양태 조동사 결합형은 관형사형 어미 ‘을’의 미래의 일에 대한 추측 의미와 가장 잘 부합한다.

      • KCI등재

        관형사형 어미에 따른 한국어 추측 표현 {-을 것 같다}의 중국어 대응표현 연구

        장경희 한중인문학회 2018 한중인문학연구 Vol.59 No.-

        본고는 관형사형 어미에 따른 {-을 것 같다}의 중국어 대응표현을 살펴봄으로써 중국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한국어 교육 자료를 마련하는 것을 시도하였다. 개연성 추측의 경우, ‘应该’는 [+근거]의 의미적 특성 때문에 추측 시 근거가 필수적이며 ‘会’는 추측의 근거에 대한 제약이 없기 때문에 자유롭게 대응할 수 있다. 특히, 공손성과 객관 적 추측을 나타내는 ‘-은/던/는 것 같다’에 대응되는 경우, ‘应该’는 ‘会’보다 더 적절한 대응표 현이라고 본다. ‘应该会’는 미래 지향성을 띄며 미래를 추측하는 ‘-을 것 같다’의 의미적 특성 과 잘 호응한다. 가능성 추측의 경우, ‘-은/던/는 것 같다’가 하는 추측은 ‘-을 것 같다’보다 높은 신뢰도에 기반한 추측이기에 객관성이 강한 추측을 할 때 ‘可能’이 더 많이 대응이 된다. 또한 의견이나 주장을 단언하지 않고 완곡하게 제시할 때에도 ‘可能’의 대응이 ‘-은/던/는 것 같다’의 의미적 특성을 더 잘 반영할 수 있다. ‘可能会’는 ‘가능성+미래성’으로 의미 해석이 되기 때문에 미래 의 일에 대한 추측을 하는 ‘-을 것 같다’에 가장 적절한 의미적 대응이 된다. 필연성 추측의 경우, 모든 양태 조동사가 ‘-을 것 같다’에만 대응되었다. ‘要’는 화자 자신의 심리 상태 추측에 대응되며, ‘肯定会’와 같은 필연성 양태 조동사 결합형은 관형사형 어미 ‘- 을’의 미래의 일에 대한 추측 의미와 가장 잘 부합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corresponding expressions of Korean epistemic speculative {-ul kes kathta} to Mandarin Chinese followed by the adnominal endings. Based on this parallel corpus approach, the author found that both of the modal auxiliary verbs of ‘probability’ and ‘possibility’ takes a large proportion, however, the modal auxiliary verbs of ‘certainty’ only takes a very small proportion. Therefore, {-ul kes kathta} is more often used in showing speaker‘s prediction of the ’probability’ and ‘possibility’ of a proposition or an event. Although the Chinese modal auxiliary verbs corresponding to Korean speculative showed similar degrees of certainty, the study discerned differences in their usage followed by the change of adnominal endings as the former have unique semantic characteristics. So the author examined how are the modal auxiliary verbs corresponding to {-ul kes kathta} followed by the various adnominal endings. As a conclusion, ‘-ul kes kathta’ is corresponding with ‘Hui’ and ‘Yinggaihui’ of ‘probability’, ‘Kenenghui’ of ‘possibility’, ‘Yao’ and ‘Kendinghui’ of ‘certainty’. And ‘-eun/den/neun kes kathta’ is corresponding with ‘Hui’ of ‘probability’ of ‘Yinggai’ and ‘Keneng’ of ‘possibility’.

      • KCI등재

        韓国語を母語とする日本語学習者の読解における推測ストラテジー

        野田?史(Hisashi Noda),任ジェヒ(Jaehee Yim) 한국일본어학회 2021 日本語學硏究 Vol.- No.70

        일본어 학습자는 일본어 문장을 읽다가 이해가 가지 않는 부분이 있을 때 한자의 개별 의미를 토대로 어구의 의미를 추측하기도 하고 앞뒤 문맥을 토대로 문장의 의미를 추측하기도 한다. 이 논문에서는 한국어를 모어로 사용하는 일본어 학습자가 일본어 문장을 읽을 시에 잘 모르는 부분의 의미를 어떻게 추측하고 있는지를 조사하였다.그 결과,학습자는 다음 네 종류의 방법에 기반하여 의미를 추측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이러한 네 종류의 방법에는 공통적으로 성공사례와 실패사례가 혼재되어 있었다. (1) 개별 문자를 이용한 추측: 예를 들어 「受け入れ」의 의미를 모를 때, 자신이 알고 있는 한자 「入」의 의미를 이용하여 「受け入れ」를「받아들이다」라고 추측하는 경우이다. (2) 연관된 단어를 이용한 추측:예를 들어 「牛耳る」의 의미를 모를 때, 자신이 알고 있는 단어「エリート層」가 「パリの政治経済を牛耳る」의 주어인 것을 이용하여 「牛耳る」의 의미를 「좌지우지한다」라고 추측하는 경우이다. (3) 문법을 이용한 추측: 예를 들어 「認められません」의 의미를 모를 때, 자신이 알고 있는 부정의 뜻을 나타내는 문법인 「ません」을 이용하여 「認められません」의 의미를 「안 된다」라고 추측하는 경우이다. (4) 맥락을 이용한 추측: 예를 들어 「頭を下げました」의 의미를 모를 때,자신이 알고 있는 사죄의 표현인 「申し訳ないけれど」가 나오는 맥락을 이용하여「頭を下げました」의 의미를 「사죄했다」라고 추측하는 경우이다. When Japanese learners are reading Japanese documents and come across unfamiliar phrases, they may guess at the meanings based on the significance of individual kanji, or according to context. In this paper, we asked Korean-speaking learners of Japanese to read Japanese documents, and then investigated how they guessed at the meanings of unknown parts of phrases. As a result, it became clear that learners used one of the following four types of guessing strategies. Whichever the guessing strategy employed, we found both successful and unsuccessful cases. (1) Guessing from characters (kanji): When a learner finds kanji that he/she does not know, for example, “受け入れ (ukeire),” he/she can guess the meaning of “accept” from the known kanji, 入 (incoming), used in the latter half of 受け入れ (ukeire). (2) Guessing from words in the sentence: When a learner encounters an unknown word, for example “gyuuziru (牛耳る),” he/she tries to find a known word in the surrounding context. Since he/she has the expression “eriito-soo (エリート層),” which is the subject of “Pari no seizi-keizai o gyuuziru (パリの政治経済を牛耳る)” as part of the clause with “gyuuziru (牛耳る)” he/she can guess the meaning of “gyuuziru” to be “affect.” (3) Guessing from grammar: When a learner finds an unknown expression, “mitomeraremasen (認められません),” for example, and knows the grammar form “…masen (ません)” which expresses the negative, he/she can guess “mitomeraremasen” as “must not.” (4) Guessing from context: When a learner finds an unknown phrase such as “atama o sagemasita,” he/she tries to find the meaning from the context around that phrase. Since he/she finds the known phrase “moosiwakenai-keredo,” which expresses an “apology,” he/she can guess that “atama o sagemasita” also has the meaning of “apologize.”

      • KCI등재

        추측 표현의 유형과 통사적 특성

        김경열 ( Kim Gyeongyeol )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2021 한국어문교육 Vol.37 No.-

        본고에서는 추측의 의미를 갖는 복합 구성 추측 표현의 유형별 통사적 특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먼저 추측 표현을 단일 형태소에 의한 추측 표현과 복합 구성의 추측 표현으로 구분한 후, 이 중 복합 구성의 추측 표현의 유형을 네 가지로 분류하고 각각의 유형에 따른 통사적 특성을 살펴보았다. 통사적 특성으로 선행 성분의 시제 제약, 후행 성분의 시제 제약, 선행 어휘의 제약, 문장 종결법, 주체 높임 선어말 어미 ‘-시-’의 결합 제약, 대용화 등을 살펴보았다. 복합 구성의 추측 표현은 선행 성분의 논항 구조와 다를 바가 없다. 그러나 후행 성분이 생략되면 추측의 의미가 드러나지 않는다. 또한 선행 성분과 구성 전체는 각각 다른 의미역을 요구하게 된다. 따라서 추측의 의미를 나타낼 경우에는 후행 성분만으로 문장의 논항 구조를 설명하기가 어렵다. 이에 따라 문법적 연어 구성이라고 할 수 있는 복합 구성 전체가 논항 실현을 지배하는 것으로 보는 것이 타당할 듯하다. This paper examined the syntactic characteristics of complex composition speculative expressions according to their types. First, after dividing the speculative expressions were divided into the two groups: speculative expressions by a single morpheme and speculative expressions of a complex composition, the types of speculative in a complex composition were classified into four, and then the syntactic characteristics of each type were examined. As for syntactic characteristics, the tense restriction of preceding components, the tense restriction of the lagging component, the restriction of the preceding vocabulary, the sentence termination method, the combination restriction of the prefinal ending ‘-si-’ of honorific expression, and anaphora, etc. were examined. The speculative expression of the complex composition is not different from the argument structure of the preceding component. However, if the lagging component is omitted, the meaning of speculative is not revealed. In addition, the preceding components and the entire composition require different meanings.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describe the argument structure of a sentence only with the lagging component when indicating the meaning of speculative. Accordingly, it seems valid that the entire complex composition, which can be called a grammatical collocation composition, dominates the realization of the argument.

      • KCI등재

        한국어 추측 표현과 양태 부사의 공기 양상에 대한 계량적 연구

        탕이잉,진영하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2021 한국언어문화학 Vol.18 No.1

        이 연구는 추측 표현과 양태 부사의 공기 양상을 대규모 말뭉치로부터 추출하여 계량적 방법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파이선을 활용하여 말뭉치로부터 추측 표현이 포함된 용례를 도출하였다. 이어서 추측 표현과 양태 부사의 공기 빈도 및 기대 빈도를 구하고 이를 바탕으로 구한 t값에 기초하여 공기 여부 및 공기 강도를 고찰하고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 우선 양태 부사와의 공기 여부에 의한 4개의 추측 표현 간의 확실성 정도의 구분은 불가능함이 확인되었다. 또한 ‘아마’와의 공기 강도에서 나타나는 차이는 이들 표현 간의 주관성의 차이를 드러내고, 양태 부사 ‘분명히’, ‘확실히’와의 공기 관계에서 나타나는 대립 양상은 추측 표현의 추정 유형에서의 차이를 보여 준다. 한편으로 ‘-ㄹ 것 같다’만 ‘확실히’, ‘아마’, ‘어쩌면’ 모두와 공기하는 것은 이 표현의 확실성 정도의 ‘무표성’을 보여 주며, ‘왠지’와의 공기는 ‘-ㄹ 것 같다’가 화자의 직감, 느낌 등에 의한 추측에도 쓰일 수 있다는, 다른 3개의 추측 표현과 구별되는 특성을 반영한다.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co-occurrence between speculative expressions and modal adverbs of Korean using quantitative methods. To this end, Python was used to extract examples containing speculative expressions from a corpus. Then, based on the co-occurrence frequency, expected frequency, and obtained t-score, the co-occurrence aspects were analyzed and contrasted. The results of the study confirmed that it is impossible to distinguish a degree of certainty based on the co-occurrence between speculative expressions and modal adverbs. Furthermore, the variations in co-occurrence strength with “ama” reveal differences in subjectivity between speculative expressions. Furthermore, adversarial aspects in co-occurrences with “bunmyeonghi” and “hwaksilhi” show differences in the type of estimation of the speculative expressions. On the other hand, “-l kes katta” is the only expression that co-occurs with “hwaksilhi,” “ama,” and “eojjeomyeon,” showing that the degree of certainty in this expression is related to unmarkedness. Moreover, the co-occurrence between “-l kes katta” and “weanji” reflects the characteristic of “-l kes katta” in which it can be used for speculation based on the speaker’s intuition and feeling; with this characteristic, “-l kes katta” could be distinct from the three other speculative expressions.

      • KCI등재

        한국어 학습자 말뭉치 분석을 통한 추측 양태부사 교육 연구 : ‘아마’와 ‘혹시’를 중심으로

        허지이(Heo Ji-yi),이해인(Lee Hae-in),박수빈(Park Su-been),권혜진(Kwon Hye-ji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6

        목적 본 연구는 국립국어원 <한국어 학습자 말뭉치>에 나타나는 추측 양태부사 ‘아마’와 ‘혹시’의 사용 양상과 오류 유형을 파악한 후 이를 바탕으로 효과적인 추측 양태부사의 교육 방안을 제시하는 데 목적을 두고 연구를 진행하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국립국어원 <한국어 학습자 말뭉치>의 원시 말뭉치 용례를 분석 자료로 선정하여 ‘아마’와 ‘혹시’의 사용 양상과 오류 유형을 분석하였다. 결과 말뭉치 분석 결과, 한국어 학습자들이 추측 양태부사의 사용에 어려움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추측 양태부사 ‘아마’와 ‘혹시’의 호응하는 표현으로 주로 단정적인 표현이나 추측이 아닌 표현과 함께 사용하거나, 각각의 의미 차이를 구별하지 못하여 상황에 맞는 적절한 표현을 사용하는 데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추측 양태부사 사용에 어려움이 있는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O-H-E 모형을 적용하여 ‘아마’와 ‘혹시’의 교육 방안을 제시하였으며, 이와 같은 연구는 유사 의미를 지닌 다양한 추측 양태부사의 이해 능력과 사용 능력 향상에 도움이 될 수 있으리라 여겨진다. Objectives This study proceeded with the study that aimed to suggest the appropriate education method for conjecture modality adverbs ‘ama’ and ‘hoksi’ through the analysis of use aspect and error type of Korean learners’ corpus. Methods To analyze ‘ama’ and ‘hoksi’ through the analysis of use aspect and error type, we chose the raw corpus examples of Korean learners’ at The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Language as the analysis material. Results As a result, we found that learners have difficulty in using conjecture modality adverbs. They mainly used declaratory expressions or none-speculative expressions with conjecture modality adverbs ‘ama’ and ‘hoksi’ in responsive expression. Conclusions This study is able to present the education applied O(Operation)-H(Hypothesis)-E(Experiment) model plan for Korean learners who find difficulty in using ‘ama’ and ‘hoksi’. Also, it will provide valuable support in enhancing the understanding and usage ability of various conjecture modality adverbs which have similar meanings.

      • 프레임 예의 관점에서 본 한국 뉴스 댓글의 추정적 레임 구축에 관한 연구

        陈艳平,孙谷佳 동양예학회 2021 東洋 禮學 Vol.45 No.-

        본 연구는 한국 <조선일보> 오피니언을 자료로 삼아 평론인-독자 대화 틀에서 추측 서술부 양태가 공손성을 실현하는 특정한 패러다임을 탐구하는 데 목적을 둔다. 연구에 따르면 한국 신문 오피니언에는 확실성, 개연성, 가능성 세 가지 추측 서술부 양태가 주로 쓰이며, 그 중에 확실성 추측이 가장 많이 나타난다. 미래를 추측하거나 이미 발생한 사건을 재추측할 때에는 확실성 추측과 가능성 추측을 사용 함으로써 최대한 독자와의 관점 충돌을 낮춘다. 현재 진행인 사건을 추측할 때는 개연성 추측을 많이 사용해 우회적으로 자신의 견해를 제시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신문 오피니언에서 추측 서술부 양태의 공손성을 파악하는 것이 오피니언 번역을 원활히 하고 한국문화를 깊게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리라 기대한다. 本研究以韩国《朝鲜日报》的新闻评论为语料, 旨在探究评论员-读者对话框架中, 推断类述位情态实现礼貌的特定范式。研究发现, 韩国新闻评论中采用了确定性、盖然性和可能性三种推断类述位情态, 确定性推断出现的频率最高;在预测未来或对已经发生的事件进行重新预测时, 评论员多使用确定性推断和可能性推断降低与读者观点产生冲突的可能性;对于正在发生的事件进行推断时, 评论员多使用盖然性推断委婉提出自己的观点。把握新闻评论中推断类述位情态的礼貌范式, 对于新闻评论语篇的翻译以及深入了解韩国文化有一定的帮助。

      • KCI등재

        선택형 문항에서 부분적 지식에 의한 선택지 소거가 문항 추측도에 미치는 영향

        권보섭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21 교육과정평가연구 Vol.24 No.4

        본 연구는 선택형 문항에서 부분적 지식을 활용한 선택지 소거가 문항 추측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합론, 확률론 및 컴퓨터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정량적으로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질문지와 선택지 혹은 보기 사이에 진위를 모두 파악한 경우를 제외한 지식을 부분적 지식으로 정의하고, 이를 근거로 대학수학능력시험의 선택형 문항들을 수학형, 사회형 및 과학형 문항으로 분류하였으며, 각각의 문항에 대해 문항 추측도가 문항 난이도에 차지하는 비율을 분석하였다. 먼저 부분적 지식이 없는 수학형 문항은 고전검사이론에서 연구된 결과와 같으므로 이를 정리했다. 그다음은 사회형 문항으로 부분적 지식을 이용하여 추측 없이 정답을 맞히는 경우와 정답을 맞히기 위해서는 추측이 필요한 경우로 분류하여 문항 추측도와 문항 난이도와의 관계를 유도했다. 마지막으로는 과학형 문항에서는 보기 가운데 어떤 보기를 아는가에 따라 추측으로 정답을 맞힐 확률이 균일하게 되는 균형 잡힌 선택지의 조건을 제시하고, 판별하는 알고리즘을 개발하였다. 이를 사용하여 문항 추측도와 문항 난이도의 관계를 계산했다. 연구 결과로는 사회형이나 과학형 문항에서 문항 추측도가 문항 난이도에 차지하는 비율이 고전검사이론에서 연구된 결과에 비해 비율이 높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사회형이나 과학형 문항에서는 실제의 능력보다 문항 난이도가 과장되게 나타날 수 있다. 따라서 대학수학능력시험과 같은 영역별로 문항 난이도를 조절할 필요가 있는 시험에 본 연구 결과가 활용 되도록 제언한다. This study is to quantitatively analyze the effect of choice elimination using partial knowledge on the guessing parameter using combinatorics, probability theory and computer programming in the selection-type item. For this purpose, knowledge was defined as partial knowledge, except for cases in which all true-false was identified between the questionnaire and the choices or options. Based on this, the selection-type items of the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were classified into mathematics-type, social-type and science-type item, and for each of them, the proportion of guessing parameter to item difficulty was analyzed. First, the mathematical-type items without partial knowledge are the same as the results studied in the classical test theory, so they are summarized. Next, the social-type items were classified into a case in which the correct answer was correct without guessing using partial knowledge and a case in which a guess was required to get the correct answer, and their relationship was derived by calculating the guessing parameter and item difficulty. Lastly, in the science-types items, the condition of a balanced choice that the probability of getting the correct answer by guessing is uniform depending on what option is known, and an algorithm to determine it was developed. This was used to calculate the relationship between guessing parameter and item difficulty. The study show that the ratio of guessing parameter to item difficulty in social-type or science-type items higher than that of classical test theory. In social-type or science-type items, the item difficulty may be exaggerated compared to the actual ability, so it is suggest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be used in tests that require adjustment of the item difficulty, such as the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 KCI등재

        비주얼 씽킹을 활용한 한국어 추측 표현 교육 방안 : ‘-(으)ㄹ 것 같다’, ‘-나 보다’를 대상으로

        이은경(Eun-Kyoung Lee),박종호(Jong-Ho Bak)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21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Vol.15 No.5

        이 연구는 상황에 따라 다양한 의미 기능을 나타내는 추측 표현 중 ‘-(으)ㄹ 것 같다’와 ‘-나 보다’를 대상으로 그 의미와 기능을 분석하고 실제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 비주얼 씽킹을 적용한 시각화를 통해 전통적인 수업 방법에서 확장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추측 표현을 교육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Visual Thinking’은 ‘생각의 시각화’인데, 머릿속 지식이나 생각, 느낌 등을 시각적으로 나타내는 것으로 다양한 교육 현장에서 활용 가능한 것이다. 이 비주얼 씽킹을 활용하여 실제 교육 현장에서 교육 내용의 시각적 전달을 통해 학생들의 흥미를 높이고, 메타 언어적 정보 전달의 수업 방식도 보완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의 대상인 추측 표현은 화자의 어떤 일이나 상황에 대한 추측을 나타내는데, 추측의 근거와 추측의 주체 등에 따라 그 의미에 미세한 차이가 있다. 다양한 상황에서 미세한 의미 차이를 보이는 추측 표현을 정보나 지식의 시각화를 통해 교수-학습의 다변화 및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교육 방안을 제안하였다. 비주얼 씽킹을 언어 교육에 활용하게 되면 언어 지식의 시각화를 통해 언어 정보를 단순화해서 제공할 수 있고 학습자들은 언어 지식을 정리하고 체계화하는 데 효율적일 수 있다. 또한 언어 지식의 시각화를 통해 언어 정보를 장기기억 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 적용해 볼 수 있는 다양한 교육 방법의 시도는 좀 더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교육 방법을 정립하는 데 기여할 수 있는데, 이 연구에서 제안한 비주얼 씽킹을 적용한 한국어 교육 방안은 유학생들의 한국어 학습에 또 다른 흥미와 효율성을 줄 수 있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This study analyzed the meaning and functions of ‘-(으)ㄹ 것 같다’ and ‘-나 보다’ among the various semantic functions depending on the situation, and discussed ways to train speculative expressions more efficiently by expanding them from traditional teaching methods through visualizations applied visual thinking at real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 speculative representation, which is the subject of this study, represents the speaker"s speculation about something or situation, with slight differences in meaning depending on the basis of the speculation and the subject of the speculation. We propose a training method that can enhance the diversification and efficiency of teaching-learning through visualization of information or knowledge, speculative representations that exhibit fine semantic differences in various situations. Utilizing visual thinking in language education can simplify and provide language information through visualization of language knowledge, and learners can be efficient at organizing and organizing language knowledge. It also has the advantage of long-term memory of language information through visualization of language knowledge. Attempts of various educational methods that can be applied at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site can contribute to establishing a more systematic and efficient education method, which is meaningful in that the visual thinking proposed in this study can give interest and efficiency to international stud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