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런던 익투스 공동체의 총체적 선교 연구

        김현진 한국선교신학회 2018 선교신학 Vol.49 No.-

        본 연구는 런던 익투스 공동체의 사례를 통하여 총체적 선교가 구체적으로 어떻게 실행되는 지를 연구해 보았으며 총체적 선교의 실제 적 가능성과 익투스 공동체의 총체적 선교적 특성이 무엇인지 탐구해 보았다. 이 연구를 통하여 영혼 구원을 위한 열정적인 전도와 성령의 능력으로 전도하며 구제와 사회 정의 사역을 통하여 가난하고 고통 당하는 이웃을 돌아보고, 미전도 종족 선교와 타문화권 선교를 총체적으로 실행하는 선교가 실제적으로 가능함을 확인할 수 있게 되었다. 예수님 과 사도 바울의 전도의 원리는 선포전도(proclamation evangelism - word), 현존전도(presence evangelism - work), 능력전도(power evangelism - wonder) 였다. 총체적 선교는 ‘복음 전도와 사회적인 책임의 통합’하는 선교이다. 그러나 본 연구를 통하여 익투스 공동체는 예수님과 사도 바울의 전도의 원리에 따라 복음 전도와 사회적 봉사 사역 뿐만 아니라 그 위에 성령의 능력으로 선교하는 ‘능력 선교’가 익투스 공동체의 총체적 선교의 특성임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이러한 총체적 선교의 모델은 흔하지 않은 경우이다. 익투스 공동체의 선교는 기존의 총체적 선교 패턴에 도전을 주며, 보다 새로운 모델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총체적 선교의 발전에 기여한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examines Ichthus Christian Fellowship’s expression of wholistic missions in order to find a balanced model for and which contributes to the ongoing development of wholistic missions. The thrust of wholistic mission is the combination of evangelism and social responsibility. Ichthus describes their mission to evangelize as “Word, Wonder and Work.” These are fulfilled in the power of the Holy Spirit through the proclamation of the word, the power of divine wonders and the manifestation of the presence of God through their involvement in work serving the surrounding society.

      • KCI등재후보

        아더 피어선과 한경직의 총체적 선교에 대한 비교 연구

        김현진 평택대학교 피어선기념성경연구원 2015 피어선 신학 논단 Vol.4 No.2

        아더 피어선과 한경직은 목회사역과 선교사역에 있어서 공히 당대에 기념비적인 역할을 한 사역자들이었다. 동시에 양자 모두 총체적인 선교를 지향했던 사역자들이었으나 그동안 양자를 비교하는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본 연구는 아더 피어선과 한경직이 각각 어떠한 선교 신학을 가지고 총체적인 선교를 실천했는지 양자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연구해 보았다. 총체적 선교는 선교를 단편적인 전도로만 보지 않고 가르침, 제자도, 선교적 교회, 긍휼 사역, 사회정의, 타문화권 선교 등을 포함하는 전체적인 것으로 보는 것을 말한다. 피어선과 한경직은 로잔 운동이 1974년에 총체적인 선교의 개념을 제정하기 이전에 이미 성경적 진리에 의거하여 나름대로 총체적인 선교를 실행하고 있었다. 피어선과 한경직의 총체적 선교에 있어서 유사점은 모두 목회자와 선교 운동가로서 전도와 사회봉사를 통한 총체적 선교를 지향하는 선교신학을 가지고 있었다는 것이다. 피어선은 선교의 영적, 육적 기능을 균형 있게 고수하려고 애썼다. 그는 양자를 통합하려고 노력한 에큐메니컬한 복음주의자였다. 한경직 역시 기독교인은 전도도 해야 하지만 교육과 사회봉사 역시 동일한 중요성을 가진다는 점을 강조하여 온건한 복음주의적 에큐메니칼을 지향하였다. 양자 모두 전도에 대한 기본적인 강조, 고통당하는 이웃을 위한 다양한 사회봉사 사역, 교회(교파)의 연합과 일치 도모, 해외선교를 감당하는 ‘선교적 교회’를 지향한 점에서 매우 유사하다. 양자의 차이점은 다음과 같다. 피어선은 선교 사역에 있어서 오순절 성령의 능력을 받는 것이 사역자의 필수 조건임과 평신도 선교를 강조하였다. 또한 선교신학자로서 선교신학에 대한 수권의 저서를 발행하여 당대에 선교의 바람직한 방향성을 제시했으며 동시에 국제적 선교 운동가로서 세계선교를 위한 학생자원운동을 이끌었다. 이에 비해 한경직은 선교 사역에 있어서 성령의 능력에 대한 강조는 상대적으로 미약했다. 그는 학원선교, 군 선교를 통한 민족복음화 사역과 나눔을 통한 북한 선교에 힘을 쏟았다. 한경직은 선교 이론을 제시한 선교 신학자라기보다 목회자와 선교 운동가로서의 면모를 가지고 국내외 선교를 위하여 적극 사역하여 당대에 큰 영향력을 끼쳤다. 피어선과 한경직의 선교 신학은 모두 영혼구원에 치우친 보수주의의 선교와 사회구원에 편중된 진보주의의 선교관을 아우르는 균형 잡힌 총체적 선교신학을 지향하였으며 그들은 총체적 선교사역을 일생동안 실행하였다. 이는 혼탁한 한국 교회를 선교적 교회로 그 체질로 개선하고, 한국교회의 선교가 나아갈 바람직한 방향성을 제공해주고 있다. 나아가 영적 지도자로서 시대를 달리하여 당대를 이끌었던 피어선과 한경직의 유사한 총체적 선교 신학과 그 선교 사역들은 현대의 선교가 나아가야 할 선교의 본질과 그 방향성을 적실하게 제시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Authur T. Pierson and KyungChik Han played a monumental role in mission and pastoral ministry. Both of them pursued holistic mission, but there has not been any attempt to compare it. This study researched the similarity and difference oftheir theology of mission in practising holistic mission. The holistic mission does not consider mission as evangelism only, but regards mission as the whole one which includes teaching, discipleship, missional church, mercy ministry, social justice and cross-cultural mission. The similarity of the holistic mission in Authur T. Pierson and KyungChik Han is the fact that they both had a similar theology of holistic mission which includes evangelism and social service. Pierson tried to pursue the balance in spiritual and practical aspect of mission. He was an ecumenical evangelical who tired to integrate both aspects. Han emphasized that Christian should preach gospel but educational enterprise and social service also has the same importance. He also pursued an ecumenical evangelical. Pierson and Han, both of them are very similar in basic emphasis on evangelism, various social service for the troubled people, promoting the unity of church, pursuing missional church including cross-cultural mission. The difference between them is as follows. Pierson emphasized that the missionaries should receive the power of the Holy Spirit. He also stressed the ministry of layman in mission. As a missiologist, he wrote numerous books on the theology of mission and presented the desirable direction of mission of those days. He also led student volunteer movement for the world mission as a mission mobilizer. In comparison with Pierson, Han was relatively weaker in emphasizing the power of the Holy Spirit and the ministry of laymen in mission. Han rather concentrated his effort on the evangelization of the nation through a campus mission, a military mission, and the mission for North Korea by providing their needs. He was not a missiologist who suggested any missiological theory but rather a mission mobilizer who powerfully promoted home mission and world mission. A theology of mission of Pierson and Han both intended the balanced holistic mission that integrates conservative mission which emphasizes salvation of soul and progressive mission which attaches importance to social salvation. They practiced holistic mission in their lifetime. The similar holistic theology of mission and missional ministries of Pierson and Han appropriately present the essence of mission and the direction of today's mission.

      • KCI등재

        로잔운동의 총체적 선교와 선교지 Business As Mission 기업사례 간의 연속성 연구

        이찬욱 ( Lee¸ Chan Wook ) 한국복음주의선교신학회 2021 복음과 선교 Vol.55 No.-

        로잔운동으로 본격화 된 글로벌 Business As Mission 운동이 한국교회와 선교계 안에 뿌리 내리고 전개되기 시작한 지 올해로 14년째다. 제1차, 2차, 3차 로잔대회 그리고 2004년 파타야포럼 등을 통해 차분히 발전된 총체적 선교와 BAM 개념은, 2007년 제1 회 상하이한인비즈니스포럼을 기점으로 한국교회와 선교계에 적극 수용되는 가운데 지금까지 한국인 BAM 선교사 동원, 교육-훈련, 선교지 파송, 현장지원 등의 이론적 기초이요 사역의 기반이 되고 있다. 본 연구자는 로잔운동의 총체적 선교와 선교지 BAM 기업사례 사이의 연속성을 고찰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로잔대회 공식 문서에 담긴 총체적 선교의 핵심개념을 확인하고 BAM 이론의 발전과정을 확인하며, 로잔운동으로 본격화 된 이론이 실제로 최근 한국교회의 글로벌 BAM 선교현장에 어떤 모습으로 적용되고 있는지 세 개 나라 BAM 기업사례들을 통해 확인할 것이다. 해당기업을 섬겨온 3명의 기업대표 혹은 이해관계자들이 심층면담에 참여하였다. 로잔운동의 총체적 선교와 BAM 이론, 그리고 실제 선교지 현장의 BAM 기업 사례들을 연속선상에서 고찰해 볼 때, 이론과 사례 사이에 다음과 같은 연속적인 특성이 발견된다. 첫째, 선교지 BAM 사역은 지속가능한 영리 비즈니스를 기초로 한다. 둘째, BAM 사역은 영적 변혁을 넘어 사회, 경제, 환경 등에 걸친 총체적 변혁을 추구한다. 셋째, BAM 사역은 일상 속에서 타종교인들과 마주할 때 삶의 과정을 통해 복음을 증거한다. 넷째, BAM 사역은 비즈니스 상황 속에서 유무형의 선교적 열매가 창출됨을 추구한다. 위의 4가지 요소들은 기존의 BAM 기업사례 연구들에서는 확인하기 어려운 요소들이다. 선행연구들의 경우, BAM이 로잔운동의 총체적 선교에서 도출된 ‘그 나름의 배경과 특성’을 가졌다는 점 보다는 일반적인 비즈니스 모델이나 기업성장 단계, 지속가능의 측면에 주목해왔기 때문이다. 그런 면에서, 본 연구자는 위의 네 가지 특성이 향후 선교지 BAM 기업사례 연구에 있어 의미 있는 분석의 틀이자 성과지표로 적용될 것을 기대한다. 본 연구에 등장하는 심층인터뷰 대상 기업들이 창의적 접근지역, 체제전환국, 내전 트라우마를 겪는 나라를 배경으로 한다는 점을 고려해 볼 때, 향후 본 연구를 응용하여 북한선교(혹은 통일선교)를 목표로 한 BAM 기업사례 연구도 가능하다. 무엇보다도, 최근 선교제한 국가의 숫자가 늘어나고 있다는 점에서 본 연구를 포함한 BAM 사례연구는 북한선교는 물론 세상곳곳 선교지 현장을 위한 학술연구에 작게나마 기여하길 기대한다 It has been 14 years since the global Business As Mission(BAM) movement, triggered by the Lausanne Movement, took place and established itself in the Korean Churches and their mission fields. The concept of Holistic Missions and BAM, which was gradually developed through the 1st, 2nd and 3rd Lausanne Congresses and the 2004 Pattaya Forum, has been actively accepted by the Korean church and missions starting from the Shanghai Korean Business Forum in 2007. It gave the theoretical foundation for BAM missionary mobilization, education-training, missionary commission, and field support. This paper studies the continuity between the Holistic Mission of the Lausanne Movement and the actual cases of Korean BAM companies in mission fields. In order to identify the continuity, the study identifies the core concept of the Holistic Mission contained in the official documents of the Lausanne Movement, checks the development process of the BAM theory, and examines how the theory triggered by the Lausanne Movement has been practically applied to the Korean BAM ministries in recent years. Three CEOs or stakeholders who have served BAM company in mission fields participated in in-depth interviews, and shared their own cases in each country. The result of the in-depth interview demonstrates that Holistic Mission as a theory and BAM companies' stories as actual cases are consistent, and derives the following four common characteristics of BAM companies: 1) sustainable and for-profit business, 2) pursuit of holistic transformation, 3) living life as a mission through everyday process, and 4) creating tangible/ intangible missional impact. The four factors above have been rarely focused in previous BAM case studies. Some indicators, such as business model, corporate growth stage, and sustainability, have been focused on rather than BAM's own background and characteristics derived from the Holistic Mission. In this regard, this researcher expects that the above four characteristics will be applied as a meaningful BAM analysis framework and performance indicator in upcoming BAM case studies. Furthermore, considering that the three BAM companies in this study have backgrounds in the Creative Access Nation, Transition Country, and African country experiencing PTSD due to the civil war, this study is extensible to the issue of North Korean missions and BAM. Given that the number of countries with access restrictions are increasing recently, the BAM case studies are expected to be of great help to future world missions among global mission fields.

      • KCI등재

        르네 파딜라(Rene Padilla)의 총체적 선교 연구

        박보경 한국복음주의선교신학회 2019 복음과 선교 Vol.46 No.-

        Integral Mission was first conceived by Rene C. Padilla, a leading theologian in Latin America during 1970s to the present. Padilla’s integral mission views the evangelism and social involvement as inseparable duty of Christians, Not long after, in 1974, the Lausanne Congress had adopted integral mission and introduced it to a wider audience. By the time the Micah Network, was established in 2001, the integral mission-which before was mainly argued by small progressive groups-became the dominant theological perspective within the global evangelical community. The paper aims to explore the key elements of the integral mission, including its beginning and key components of arguments, and the theological developments within the global evangelical community. The paper then applies that Padilla’s integral mission as the alternative understanding for constructing a more wholesome understanding of Korean mission in this age. Moreover, Padilla’s integral mission and their contribution to the global churches can be useful model for Korean mission theology and mission practice as the member of churches in Global South, 르네 파딜라의 총체적 선교는 남미의 사회정치적 상황안에서탄생하였다. 이 견해는 교회의 임무로서의 전도와 사회적 책임이비행기의 두 날개와 같이 동시적으로 필요하며, 이 두가지 의무는서로 구분되는 것이 아니라는 점을 강조하는 관점이다. 이 견해는1974년에 처음으로 로잔세계복음화대회에서 세계복음주의진영에서 르네 파딜라에 의해서 소개되었다. 이후 복음주의 진영안에서꾸준히 그 목소리를 내었고, 마침내 2000년이 넘어서면서 세계복음주의 진영안에서 무시할 수 없는 중요한 신학적 흐름으로 자리를 잡게 되었다. 이 글은 파딜라의 총체적 선교가 무엇인지 면밀하게 조사하였는데, 먼저 파딜라의 총체적 선교의 출발점은 철저하게 복음에 대 바른 이해에서 출발하였다는 점을 주목하였다. 즉, 복음의 광범위한 차원을 올바로 이해하지 못하면, 교회의 총체적 선교사명도바르게 이해할 수 없다. 한국교회에 적용하자면, 대체로 복음주의적 성향을 보이는 한국교회에 르네 파딜라의 총체적 선교론이 바람직한 대안이 될 수 있다고 확신한다. 또한 남방교회의 구성원으로서의 한국교회는 남미에서 탄생하여 세계교회의 신학에 영향을 미친 르네 파딜라의 총체적 선교처럼, 한국적 선교신학의 발전을 통한 세계교회를 향한 공헌의 길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호레이스 언더우드의 총체적 선교 : 펜데믹 시대의 교회의 선교를 위한 교훈

        박보경 ( Park¸ Bo Kyoung ) 한국복음주의선교신학회 2020 복음과 선교 Vol.52 No.-

        이 연구는 한국의 초기선교역사에서 중요한 역할을 감당하였던 호레이스 언더우드의 사역을 선교학적으로 조명하면서, 그의 선교사역에 나타나는 총체적 선교를 분석하고, 나아가 그의 선교사역이 오늘날 21세기 펜데믹 시대의 한국교회의 선교를 위한 교훈을 찾고자 한다. 이를 위해 먼저 총체적 선교에 대한 선교 신학적 이해를 다룬 후, 호레이스 언더우드의 사역을 총체적 선교의 관점에서 분석하여, 언더우드에게서 나타나는 총체적 선교의 측면을 1) 의료사역과 복음전도의 총체성 2) 교육과 복음전도의 총체성 3) 인재 양성의 총체성 4) 문화와 종교이해의 총체성 5) 교회이해의 총체성으로 나타남을 밝혔다. 이 글은 언더우드가 보여준 총체성의 선교에 근거하여, 21세기의 새로운 상황 속에서 적용할 포괄적 총체성의 선교의 4가지를 제시했다. 첫째, 생태학적 실천을 포함하는 선교에로 전환, 둘째, 공감과 구체적인 환대를 실천하는 선교에로 전환, 셋째, 여성과 남성의 동반자적 협력의 선교에로 전환, 넷째로 일방적 선교에서 동반자적 우정의 선교에로 전환되어야함을 주장한다. This paper explores the integral ministry of American mis-sionary Horace Grant Underwood, who was a major contributor in the establishment of early Korean churches. It furthermore explains how Underwood’s ideas and ministries can be applied to current Korean churches, which are experiencing dramatic changes due to the 2020 Coronavirus pandemic. Unlike his predecessors and contemporaries, Underwood has brought more integral understanding of mission. The paper examines his mission in five different areas: (1) the integration of medical work with evangelistic intention; (2) emphasis of educational work as a genuine missionary dimension; (3) the growing of leaders within the church as well as society; (4) a positive acknowledgement and integration of local culture and religion; and (5) the ecumenical understanding of the nature of the church. Using Underwood’s mission work as a base, the paper argues that Korean churches can expand its viewpoint of holistic mission. It argues the current Korean church must (1) embrace ecological work as mission; (2) exercise the often overlooked compassionate and empathetic work; (3) diversify its member by promoting gender equality; and (4) foster an friendship based mission over unilateral relationship.

      • KCI등재

        생명 선교의 의학적ㆍ기독교적 고찰

        박상은(Sang Eun Park) 장로회신학대학교 세계선교연구원 2008 선교와 신학 Vol.22 No.-

        생명 선교를 올바로 이해하기 위하여 우리는 생명이 무엇인지 확실히 깨달아야 할 것이며, 아울러 선교에 대해서도 분명한 이해가 있어야 할 것이다. 생명에는 분명 영적인 요소와 육적인 요소가 있는데, 실은 이 둘이 분리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유기적으로 연합되어 있어 이를 나누어 설명하기가 용이하지 않을 것이다. 생명을 바라보는 의학적 견해와 성경적 견해 그리고 한민족의 견해를 살펴보고, 생명 기간 동안 어떻게 이 생명을 누리며 이를 지켜 나갈 수 있을지, 나아가 생명 선교를 어떻게 이룰 수 있을지 함께 고찰해 보고자 한다. 우리는 막연히 건강을 질병이 없는 상태로 생각하지만, 세계보건기구(WHO)는 건강은 질병이 없는 상태를 넘어서 육체적, 정신적, 사회적으로 안녕한 상태라고 정의하고 있다. 따라서 치유 역시, 질병을 치료하는 개념에서 개인의 다양한 필요를 충족시켜 주는 쪽으로 발전되고 있다. 인간이 갖고 있는 생리적 필요, 정신적 필요, 사회적 필요, 나아가 영적인 필요까지도 만족시키는 것이 온전한 치유인 것이다. 왜냐하면 인간은 단지 육체적인 존재일 뿐 아니라 정신적이고도 영적인 존재이며, 이러한 각 부분이 분리되지 않고 긴밀히 연결되어 상호 작용하는 한 개체이기 때문이다. 치유 사역의 궁극적인 목표는 하나님 나라의 회복일 것이다. 모든 인간이 하나님께서 원래 만드셨던 아름다운 모습으로 되돌아갈 뿐 아니라 땅과 자연의 회복과 나아가 이 사회가 하나님 나라로 회복되는 것이다. 결국 전인 치유 사역이란 병들고 상처받은 인간을 치유함에 있어서 육체적, 정신적 치료에만 집중하는 것이 아니라 육체적, 정신적, 영적 치유를 통해 전 인간적 치유와 회복을 위한 새로운 대안이며, 궁극적으로는 ‘질병으로부터의 자유’를 가져다 주며 ‘영원한 생명을 얻기 위한 모든 노력의 총화’이다. 다시 말하면 오늘날의 선교는 통합 선교이며 총체적 선교이어야 한다. 모든 사람이 모든 자원을 총동원하여 모든 영역에서 온갖 방법으로 선교하여야 하는 셈이다. 목사 선교사만 선교하는 것이 아니며 선교지에서만 선교하는 것이 아니라, 평신도와 전문인이 함께 하며 장기와 단기가 함께 하고, 선교지뿐 아니라 이 곳에서도 일상에서의 선교가 이루어져야 하는 것이다. 그러기에 총체적 치유 사역은 결코 목사나 의사 혼자의 힘으로 이룰 수 없다. 성직자와 평신도, 전문인과 일반인이 함께 어우러지며, 각종 은사를 받은 자들이 함께 공동체를 이룰 때 가능해질 것이다. 한국 교회가 가지고 있는 모든 자원을 총동원하여 우리의 가까운 이웃뿐 아니라, 북한 그리고 멀리 아프리카 땅 끝까지 총체적 치유 사역을 펼칠 때 생명 선교의 꽃은 활짝 피어날 것으로 확신한다. To understand life mission thoroughly, we need to comprehensively understand the meaning of “life” as well as “mission.” Life consists mainly of spiritual and physical components, but it is not easy to divide these components because they are not completely separated but rather organically intertwined. This author would like to analyze life from medical and biblical viewpoints and further contemplate how to enjoy fullness of life, and consequently, how to achieve life mission. We inadvertently presume health merely as a condition without disease, but WHO’s constitutional definition of health incorporates aspects of physical, mental, and social well-being. Thus, ways of treatment are being developed not only to cure disease but also to recover and fulfill the individual’s various needs. True healing is the fulfillment of physiological, psycho-logical, social and even spiritual needs, for humans exist not only in physical but also in psychological and spiritual components. Each component is inseparable and intimately connected, interacting in unified motion. The ultimate goal of healing is the recovery of God’s kingdom: not only will all human beings be restored to the original image God had formed, but the earth, nature, and the whole society will also be restored to reconstruct God’s kingdom. Thus, wholistic healing is not merely a concentration on the physical and psychological treatment but rather a novel proposal of humane healing which includes even spiritual treatments. Ultimately it leads to freedom from disease, and it is a sum of all efforts toward eternal life. To reiterate, today’s mission should be both wholistic and integrated. In the process, everyone should apply every resource in every region with every method possible. Pastors are not the only ministers; missionaries are not the only messengers. Rather mission in daily life should be advanced both by the laymen and the professionals, both by the long-term and short-term workers, not only in mission fields, but also here. Wholistic healing cannot be done by a pastor or a doctor alone. Only when pastors and laymen, as well as experts and amateurs come together with their various gifts to form a mutual community does the healing become possible. Korean church must utilize all the resources to apply the ministry of healing not only toward our neighbors but for North Korea and even to the ends of the earth for a genuine blossoming of the mission of life.

      • KCI등재

        전문인 선교의 이론적 배경 연구 : 로잔운동을 중심으로

        이승현 ( Lee Seung Hyun ) 한국복음주의선교신학회 2018 복음과 선교 Vol.43 No.-

        개신교 선교에서 연합운동의 신호탄을 쏘아 올린 1910년 에든버러 대회는 이 세대 안에 세계복음화의 실현을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그러나 제2차 세계대전의 종전과 함께 피선교지의 많은 나라가 독립하였고 선교를 거부하는 종족이 증가하였다. 21세기 복음화율이 매우 낮은 창의적 접근지역은 목회자의 진입을 불허하고 전도와 교회개척도 불가능하다. 대신, 전문인 선교사는 진입과 비자 취득이 용이하고 역동적으로 사역을 감당할 수 있다. 로잔운동은 온 인류를 향해 복음을 들고 나아가는 세계복음화를 지향한다. 로잔언약(LC), 마닐라 선언(MM), 그리고 케이프타운 서약(CTC)은 구원에서 예수 그리스도의 유일성을 견지하고 종교다원주의와 종교혼합주의를 부인한다. CTC의 주제어 ‘화해(Reconciliation)’는 하나님의 사랑에 기초한다. 세상과 온 인류를 향한 그분의 사랑은 복음에 대한 사랑의 증거이다. 또한 주님을 향한 복종의 표현이고 선교의 강력한 원동력이다. CTC는 하나님의 백성에게 온전한 복음을 통한 섬김의 삶을 강조한다. 2010년부터 로잔진영은 ‘총체적 선교(Integral Mission)’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하나님은 선교의 모든 차원을 총체적이고 역동적으로 실천하기 원하신다. 하나님과 그분의 나라, 그리고 그분의 복음이 총체적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하나님의 선교가 이루어지는 세상은 그리스도인에게 일터이자 그분의 선교를 감당하는 장소이다. 하나님은 세상에서 자신의 백성을 부르고 자신의 선교에 동참 시키신다. 즉 모든 그리스도인은 세상으로 보냄 받고 하나님의 목적을 성취해야 할 선교사이다. 결론적으로 총체적 선교는 세상에 복음을 선포하고 그리스도인이 삶과 신앙을 성경적으로 동일하게 드러내는 것이다. 21세기 전방개척 선교지에서 전문인 선교는 로잔운동이 강조하는 총체적 선교를 감당할 수 있는 높은 가능성을 가진다. 무엇보다 전문인 선교사는 자신이 습득한 지식과 기술을 갖고 일터에서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다. 복음이 전문인 선교사의 소명인 직업(Life Work)을 통하여 세상과 사람들에게 침투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전문인 선교사는 예수 그리스도의 지상명령을 수행하고 이웃사랑의 실천을 삶으로 증거할 수 있는 하나님의 선교의 주요한 도구이다. The 1910 Edinburgh Conference, which launched a flare in protestant mission, positively assessed the realization of world evangelization in this generation. However, many countries of the mission field were independent with the end of the Second World War and the number of peoples who refused to mission increased steadily. In the 21st century, creative access area with a very low rate of evangelization do not allow pastor to enter, evangelism and church planting are impossible. Instead, tentmaker is able to enter and receive visas easily and carry out the ministry dynamically. The Lausanne movement aims to world evangelization for all mankind. Lausanne Covenant(LC), Manila Manifesto(MM), and Cape Town Committment(CTC) maintain the finality of Jesus Christ and salvation as well as deny religious pluralism and syncretism. CTC’s key word ‘Reconciliation’ which is based on God’s love. His love for the world and for all mankind is proof of love for the gospel. It is also an expression of submission to the Lord and a powerful force in mission. CTC emphasizes the life of service through the whole gospel to the people of God. From 2010 the Lausanne uses the term ‘Integral Mission’. God wants to practice all dimensions of mission in a holistic and dynamic way. Because God, His kingdom, and His gospel are holistic. And the world where God’s mission is accomplished is a place for Christian’s work and carry out the ministry. God calls his people in the world and brings them into his mission. Every Christian is a missionary to be sent to the world to fulfill God’s purpose. In conclusion, integral mission proclaim the gospel to the world, and Christian reveals life and faith biblically the same. Frontier mission fields in the 21st century, tentmaker has a high potential to support integral mission emphasized by Lausanne movement. Above all, tentmaker can have their own knowledge and skills in their workplace and exercise their influence. This is because the gospel penetrates the world and people through life work, which is the mission call of a tentmaker. Therefore, a tentmaker to carry out the great commandment of Jesus Christ and to testify the practice neighbor’s love as a life is a major instrument of God’s mission.

      • KCI등재

        Mission as Reconciliation: Meta-missiological Tasks of the 21st Century Korean Church

        Musung Jung 한국선교신학회 2017 선교신학 Vol.46 No.-

        세바스찬 김(Sebastian Kim)은 한국교회의 특징을 다음과 같이 범주 화했다: ① 성경 기독교(초기~1940년대), ② 부흥 기독교(1950~60년 대), ③ 해방 기독교(1960~70년대), ④ 토착 기독교(1970~90년대), ⑤ 통일 기독교(1990년대~현재). 이런 유형론적 접근은 한국교회의 선교학적 과제를 시대별로 단편화시키면서 한국교회에게 부여된 선교적 총체성을 간과하는 경향을 보인다. 본고에서 필자는 교회의 선교적 삶을 총체적으로 정향화시키는 선교학을 메타선교학(meta-missiology)으로 명명하고 21 세기 한국교회가 직면한 선교적 총체성을 주제별로 고찰한다. 이를 위해 필자는 로버트 슈라이터(Robert Schreiter) 등이 포괄적 용어로 규정한 화해를 본 연구의 개념 틀로 활용하며, 그 결과 21세기 한국교회의 메타선교 학적 과제를 다음과 같이 제시한다: 1) 전도와 갱신에 진력하는 ‘영적 화해로서의 선교,’ 2) 한국적 상황화와 간(間)교회적 협력을 지향하는 ‘종교 문화적 화해로서의 선교,’ 3) 양극화 해소와 남북한 샬롬을 추구하는 ‘정치경 제적 화해로서의 선교.’ 이와 같은 메타선교학적 과제에 충실할 때, 21세기 한국교회는 자신에게 부여된 한반도에서의 선교적 사명을 총체적으로 구현 해 나갈 수 있다. With the comprehensive term-“reconciliation”-as its conceptual framework, this paper explores the meta-missiological tasks of the Korean Church confronted with the multi-dimensional challenges in the new millennium. As a result of the research, mission as reconciliation is suggested as the meta-missiological tasks of 21st century Korean Church as follows: ① spiritual reconciliation via the evangelistic and church-renewal movements amidst secularizing milieus from within and without; ② religio-cultural reconciliation via syncretism-free With the comprehensive term-“reconciliation”-as its conceptual framework, this paper explores the meta-missiological tasks of the Korean Church confronted with the multi-dimensional challenges in the new millennium. As a result of the research, mission as reconciliation is suggested as the meta-missiological tasks of 21st century Korean Church as follows: ① spiritual reconciliation via the evangelistic and church-renewal movements amidst secularizing milieus from within and without; ② religio-cultural reconciliation via syncretism-free

      • KCI등재

        21세기 복음주의선교가 나아가야 할 방향

        김승호 한국복음주의선교신학회 2019 복음과 선교 Vol.48 No.-

        복음이 한국 땅에 들어온 지 135년이라는 비교적 짧은 기간 동안 한국 교회는 세계 교회가 놀랄만한 경이적인 성장을 경험했다. 주요교단의 세계최대교회들이 대부분 한국에 있을 정도로 크게 성장하는 축복을 누렸다. 한국 교회는 성경대로 믿고 성경대로 살고자 노력해온 복음적인 교회로 성장해왔다. 하지만 현재 선교이해당사자들 사이에서 한국선교가 중대 기로에 서 있음을 인정하고 있다. 최근 한국선교가 겪은 시행착오들에 대한 자기성찰과 반성에 대한 회의들과 글들이 수도 없이 쏟아져 나오고 있다. 연구자는 본 연구에서 한국선교의 현재를 진단하고, 21세기 한국 복음주의선교가 나아가야 할 방향을 네 가지로 제시했다. 첫째, 1974년 로잔대회 이후 많은 노력에도 불구하고 복음주의의 선교는 여전히 내세와 현세, 영혼과 육체, 거룩과 세속으로 나누는 이원론적 경향성을 띠고 있으며 선교를 전도와 동일시하여 복음의 총체적 성격을 여전히 간과하고 있음을 반성해야 한다. 둘째, 3차에 걸친 로잔대회의 교회사적 그리고 선교적 공헌과 특징을 들라면 ‘복음전도의 우선순위’를 강조함으로 복음주의 신학 및 선교의 정체성을 분명하게 규정해 준 점이다. 변함없이 복음전도의 절대 우선순위를 천명하면서도, 역사적으로 복음주의 진영이 간과해온 교회의 사회적 책임 또한 강조함으로 21세기 복음진영의 선교가 나아갈 방향이 어떻게 되어야 할지 제시했다. 따라서 21세기 복음주의 진영이 총체적 선교를 하되, 세계 교회협의회가 ‘세계 교회협의회가 연합하여 복음화를 이루고자 했던 목표가 시간이 흐르면서 인본주의로 흘러간 실수’를 재현 하지 않기 위해서도 ‘복음전도의 우선순위’를 확고하게 붙잡을 필요가 있다. 셋째, 다원주의 사회로 접어든 사회에서 복음주의 교회는 성경의 가르침을 확고히 지키되 다른 한편으로는 타종교와의 창조적 관계설정을 위해서도 노력해 나갈 필요가 있다(여기서 타종교란 성경의 핵심교리를 전면 부인하고 복음에 가장 저항적인 이슬람과 유사기독교를 제외한 종교를 의미함). 전통적으로 복음주의는 타종교에 대해 무례하고 무지하며 배타적인 자세를 취해왔다. 우리가 주장하는 ‘유일주의는 진리차원에서의 배타이지 사람에 대한 배타가 되어서는 안된다’. 필요한 부분에서의 협력은 예수 그리스도께서 보여주신 사랑의 실천, 기독신앙의 내용을 삶의 현장에서 타종교인들에게 보여줄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줄 수 있다. 넷째, 선교에서의 협력문제이다. 그 동안 복음주의 진영은 진보진영에 비해 개 교단, 개 교회, 그리고 개 선교단체중심의 선교를 해온 것이 사실이다. 개별적이며 경쟁적인 선교는 해소되어야 할 과제이다 During the relatively short period of 135 years since the Gospel entered Korea, the Korean church has experienced remarkable, phenomenal growth. The Korean church has been so blessed that Korea now has the largest churches of major protestant denominations in the world. From the beginning, the Korean church as an evangelical church has tried to believe in and live according to the Bible. However, all parties who are involved in missions related to Korean church missions are currently at a critical crossroads. There have been numerous meetings and written works pertainingto self-reflection on mistakes that Korean missions have made during last thirty-five years. In this study, the present state of Korean missions was analyzed, and four suggestions are presented for Korean evangelical mission in the 21st century. The suggestions are asfollows: First, despite significant efforts since the 1974 Lausanne Congress, Korean evangelical missions still have the dualistic tendency to make distinctions between afterlife and mortal life, soul and body, holiness and secularity and continues to overlook the whole nature of the gospel by identifying missions as merely evangelism. Korean evangelical churches need to make a concerted and strong effort to overcome their dualistic views toward human begins and the world. Second, contributions of the three Lausanne Conferences in church history and mission activities have been that the Lausanne movement clearly defined the identity of evangelical theology and Christian missions by emphasizing the “primacy of evangelism”. By emphasizing the social responsibility of the church which evangelicals have historically overlooked, a better direction is suggested for evangelical missions in the 21st century. Evangelicals in the 21st century must complete the whole mission. Furthermore, they need to be careful of not making the same great mistake W.C.C has made where missions were replaced by humanization. Third, in a pluralistic society, the evangelical church needs tokeep firmly to the teachings of scripture while trying to establish creative relations with other religions. However, evangelicals should not engage in dialogue with Islam and quasi-Christianism that are most resistant to the gospel. Traditionally, evangelicals have been rude, ignorant, and exclusive to other religions. Our main concern should be the exclusion of the truth, not the exclusion of the people of other religions. Cooperation with other religions in our daily life is practicing the love that Jesus Christ showed to people around Him during His public life. Fourth, cooperation is an important matter in Christian missions. For long periods in missionary history evangelicals have focused on individuals and followed a local church (denominations) centered missionary approach. From here on out, evangelicals must strive to end competition in the missionary fields and work towards cooper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