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청소년 시의 장르적 특성 연구-시적 화자 문제를 중심으로-

        권유성 ( Kwon Yu-seong ) 한국문학언어학회(구 경북어문학회) 2017 어문론총 Vol.71 No.-

        이 글은 2010년 이후 발간된 청소년 시집을 대상으로 청소년 시의 특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최근의 청소년 시는 과거의 청소년 시와 달리 청소년의 목소리를 `대변`하고자 하는 뚜렷한 목적을 가지고 창작된 시들이 대부분이다. 이 글은 이 같은 청소년 시의 특징을 시적 화자의 문제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청소년 시의 시적 화자는 매우 다양하게 설정되고 있었는데, 그것은 청소년 집단의 다양한 경험을 시적으로 수용할 수 있는 방법적 측면에서 의미 있는 것이었다.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 청소년 시는 한 편의 시에 표면적인 청소년 화자 이외에 시인과 겹쳐지는 숨은 화자가 개입하는 모습을 보여주기도 했다. 이런 현상은 시인이 의도한 것이라고 보기는 어려웠는데, 그 원인은 시인이 가진 계몽적 의도 때문으로 볼 수 있었다. 즉, 표면적으로 설정된 청소년 화자의 목소리를 갈라지게 만드는 숨은 화자의 목소리는 시인의 계몽적 의도나 의지의 산물로 보인다는 것이다. 이런 의미에서 청소년 시는 표면적으로 청소년 화자에 의해 발언되고 있다고 하더라도 시인의 시선 아래 통제되고 있다고 볼 수 있었다. 이런 청소년 시의 특성 때문에 청소년 시에 실제 청소년의 목소리가 반영되는 방식은 매우 제한적이었는데, 그것은 시인의 통제를 뚫고 틈입하는 방식으로 청소년의 목소리가 수용될 수밖에 없었기 때문이다. 금지와 금기에 둘러싸인 청소년의 실제 목소리는 청소년 시에서 소음이나 욕설 혹은 그와 유사한 차원에서 수용되거나 발현될 수밖에 없었다. 그럼에도 언어가 되지 못하는 그런 소리들은 청소년의 존재가 발현되는 순간에 출현하는 것이기도 했다. 최근 청소년 시는 청소년을 집단적 훈육의 대상에서 개별성을 지닌 독자적 존재로 바라보고자 하는 청소년 담론의 전환에서 촉발된 것이다. 그러나 기성시인이 청소년의 목소리를 `대변`하고자 하는 최근의 청소년 시는 창작의 의도와는 별개로 실제 청소년들의 개별적인 목소리를 배제하거나 억압할 가능성을 일정부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청소년 시가 그 가능성을 확장해가기 위해서는 청소년들의 개별적인 목소리를 수용할 수 있는 시적 방법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This study intends to investigate the genre traits of Korean adolescent poetry since 2010. Adolescent poetry, as the name suggests, speaks for a group of adolescents. This paper closely studies the problem of the poetic speaker. A poetic speaker in adolescent poetry is placed in various types of settings. For it is necessary to express what adolescents experience in different situations. However, adolescent poetry frequently depicts the simultaneous occurrence of a surface speaker and a hidden speaker in a poem. This phenomenon is the unwitting result of poet`s intention to enlighten. Thus, even though an adolescent speaker articulates a adolescent poetry on the surface, it is actually controlled by the poet`s intentions. Given these traits, it is very difficult for adolescent poetry to reflect their voices. Therefore, the only method to include their vivid voices in poetry through noise, abuse, and other experiences. However, such non-language sounds began to emerge the moment adolescents appeared on the stage.

      • KCI등재

        청소년담론의 시적 형상화 전략 ― 발화 주체를 중심으로 ―

        문신 ( Moon Shin ) 현대문학이론학회 2018 現代文學理論硏究 Vol.0 No.73

        이 논문은 청소년담론이 청소년시에 어떻게 형상화되고 있는지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청소년들이 쓴 시에 나타난 청소년들의 인식 세계와 청소년들의 내적 갈등의 핵심을 우선 검토하였다. 이 과정에서 청소년들이 인식하는 세계가 주로 학교공간에 집중되고 있으며, 학교 공간에 대한 경험적 사유가 청소년들의 내면에서 욕망과 현실 사이에서 분열된 ‘나’를 발견하고 그로 인한 불안 의식을 노출하고 있다는 것을 도출해내었다. 청소년담론이 청소년시에 어떻게 반영되고 있는지를 검토하기 위해 청소년 화자, 청소년으로 위장한 성인 화자, 비-청소년 화자의 경우로 나누어 청소년시를 논의하였다. 청소년 화자를 내세운 경우 청소년들의 세계 인식의 범주와 방법을 가장 순수한 형태로 드러내고 있었다. 청소년 화자로 위장한 경우에는 기성사회의 이념을 수용적으로 드러냄으로써 성인의 관점을 청소년의 관점으로 전환시키는 특징을 보여준다. 마지막으로 성인화자가 등장한 경우 기성세계의 관점을 청소년 세계를 판정하고 평가하는 규율로 활용하는 잘못된 욕망이 반영되고 있었다. This paper aims to examine how youth discourse is shaped in youth poetry. To this end, we examined the core of youth's cognitive world and youth's inner conflict in their works. In this process, the world recognized by adolescents is mainly concentrated in the school space, and experiential thinking about the school space reveals the 'I', which is divided between the desire and the reality in the inside of the youth, It turned out. In order to examine how the discourse of youth is reflected in the youth poetry, we discussed the cases of youth speakers, adult speakers disguised as teenagers, and non-youth speakers. In the case of a youth speaker, the category and method of world awareness of youth were revealed in the most pure form. In the case of adult speakers disguised as teenagers, it reveals the ideology of the established society and shows the characteristic of transforming the viewpoint of the adult into the viewpoint of the youth. Finally, when a non-youth speakers emerged, the erroneous desire to utilize the viewpoint of the established world as a discipline to judge and evaluate the youth world was reflected.

      • KCI등재

        동시와 청소년시의 여성 화자

        김유진 한국아동청소년문학학회 2020 아동청소년문학연구 Vol.- No.26

        In this thesis, I analyze the feministic aspects of the children and youth poetry published after the ‘feminism rebooting’ especially for the poetry in which the female children and adolescent persona are clearly presented in the whole poetry. Based on the feminism literature theory, I also critically review the recent critics that mentions the female persona in the connections to the female writers, and studies their connections at the children and youth poetry. In the conclusion, I understand the children and youth poetry that present the female persona in front is meaningful, in the gender political point of view, in visualizing the female children and adolescent persona, and in the ethics and esthetics point of view of the children and youth poetry, in reorganizing more specific and individual reality of children and adolescents. In the poetry, the female children and adolescent persona, in showing their innner mind and in presenting their experiences, make new voice which is not observed at the children and youth poetry until now, and make us imagine a possibility to be in the solidarity and sympathy between the children and grownups. 이 글에서는 ‘페미니즘 리부트’ 이후 발간된 동시집과 청소년시집 중 여성 어린이 화자, 여성 청소년 화자가 시집 전반에 뚜렷이 드러나는 작품을 여성주의 시선으로 분석하고, 이들 여성 화자의 의미를 밝혔다. 또 여성 화자를 여성 저자와의 관계에서 언급한최근 비평들을 여성주의 문학 이론에 비추어 비판적으로 점검하며, 동시와 청소년시의여성 화자와 여성 저자의 관계를 검토했다. 그 결과, 여성 화자를 전면에 내세운 동시와 청소년시는 젠더 정치의 측면에서는 여성 어린이, 청소년을 가시화한다는 점에서, 아울러 아동청소년문학의 윤리와 미학의 측면에서는 보다 구체적이고 개별적인 어린이, 청소년의 현실을 재현한다는 점에서 의미가있음을 알 수 있었다. 여성 어린이 화자, 여성 청소년 화자는 자신의 내면을 고백하고경험을 재현하면서 지금까지 동시와 청소년시에서 발견되지 못한 새로운 목소리를 들려주었으며 어린이와 어른 간, 여성 간에 서로 공감하고 연대하는 관계의 가능성을 상상하게 했다.

      • KCI등재

        ‘청소년시’에 나타난 생태의식 연구

        김지연 현대문학이론학회 2022 現代文學理論硏究 Vol.- No.89

        이 논문은 아동문학과 성인 문학 사이에서 모호한 위치에 있던 ‘청소년 문학’ 중에서도 최근 하나의 장르로 자리 잡은 ‘청소년시’에 대해 고찰한다. 특히 ‘청소년시’의 특징을 살피고 ‘청소년시’에서 구현된 생태적 지향을 그 주제 및 형상화 방식에 따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청소년시’의 특징을 분명히 밝히고 ‘청소년시’의 주제적 측면에서의 확장 가능성과 교육 텍스트로서의 가능성까지 예측해 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청소년은 지금까지 아동과 어른의 중간 지대에 끼어 있는 세대로, 어른으로의 이행기쯤으로 여겨졌던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최근에는, 출판사의 기획에 의해 만들어진 측면이 없지는 않지만 청소년이 문학장 내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게 되었다. 이처럼 성인 시인이 청소년 독자를 대상으로 하는 ‘청소년시’가 만들어졌다면 그 내용이 어떻게 채워져야 할지에 대해 진지한 논의가 필요한 상황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청소년시’의 생태 지향 연구는 ‘청소년시’의 다양성 검토의 측면에서 꼭 필요한 작업이라고 할 수 있다. 여러 시인의 ‘청소년시’에서 확인할 수 있는 생태의식은 한마디로 정리하자면 ‘생태 문제에 대한 공감과 해결의 실천 의지’라고 할 수 있다. 청소년이 생태의 심각성을 발견하도록 하고 그 심각성에 대해 현실적으로 인식하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시의 창작자는 성인이지만 시의 화자 및 청자가 청소년이라는 특성은 ‘청소년시’에서 중요하게 작용한다. 그것은 청소년인 시적 화자가 생태 위기에 대해 적극적으로 공감의 감정을 표현한다는 점이다. 즉 직접적인 감정어를 통해 독자와 소통하게 되며 새로운 대안으로서의 실천을 독자가 스스로 생각하도록 만든다. 또한, 이야기 형식과 대화 방식으로 쉽게 청소년이 생태 위기의 상황을 이해하고 공감하도록 한다는 점이다. 이러한 ‘청소년시’의 생태주의적 지향은 그동안 청소년의 정체성 찾기에 맞춰져 있던 ‘청소년시’의 지형을 확장하는 등 주제의 다양성 측면에서 의의가 크다. 따라서 앞으로 생태의식을 나타내는 ‘청소년시’의 교육적 텍스트로서의 가능성에 대한 구체적인 논의가 이루어진다면 ‘청소년시’는 청소년의 미적 향유뿐만 아니라 교육적 역할로도 자리할 수 있을 것이다.

      • 다문화사회와 국제이민자 문화적응 연구 : 러시아어권 동포 청소년을 대상으로(이론적 검토)

        강수경(Kang, Su Kyung) 경북대학교 러시아-유라시아 연구소 2021 러시아유라시아연구 Vol.6 No.-

        본 논문은 중도입국 청소년 중 러시아어권 동포 청소년을 대상으로 그들의 한국 문화 적응 양상과 적응 과정을 한국어교육의 관점에서 탐색하고, 선행 연구 결과를 분석하여 이들을 위한 한국 문화 적응 프로그램을 개발의 시급함과 중요성을 지적하고자 하였다. 선행 연구 분석 결과 그동안 국제이민자의 문화 적응과 관련한 국내 연구들은 크게 사회과학 분야 심리, 상담, 다문화의 관점과, 교육일반·교육행정의 관점, 한국어 교육학의 세 가지 관점에서 진행되어 왔다. 한국어 교육의 관점에서 문화 적응의 문제를 다룬 연구는 외국인 학습자의 문화 적응 양상을 다룬 연구와 문화 적응을 측정하는 도구로 문화 적응 스트레스와 다른 변인과의 관계를 밝히는 연구들이 대부분이었다. 하지만 국내 체류 재외동포의 문화 적응 관련 연구는 대개 사회과학 일반에서 주로 진행되었고, 러시아어권 동포 청소년을 비롯해 국내 체류 동포들의 문화 적응에 관한 연구가 한국어교육의 관점에서 진행된 경우는 찾기 어려웠다. 이 같은 문제의식 하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 체류 중인 고려인과 사할린 교포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양적 및 질적 연구를 병행하여 그들의 한국어 학습과 한국문화 적응의 어려움, 요구 사항 등을 파악하고 그들의 문화 적응 과정을 진단하여 이들의 한국어학습과 한국문화 적응을 도울 수 있는 한국 문화 적응프로그램 개발이 시급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explore the aspects of Korean acculturation and adaptation process from the perspective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s a foreigner, targeting Russian-speaking youth among middle-age immigrants, and to develop a Korean culture adaptation program for them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Domestic prior studies related to the cultural adaptation of international immigrants have been largely conducted from three perspectives: psychology, counseling, and multicultural perspectives in the social sciences, general education/educational administration, and Korean language education. Here, a series of studies related to the cultural adaptation of migrants and overseas Koreans were considered from the perspective of Korean education. However, it was confirmed that studies related to cultural adaptation of overseas Koreans residing in Korea, which this paper intends to focus on, are mainly conducted in the social sciences, including psychology, counseling, and multicultural studies. In addition, the limitations of existing studies in that they measure the pattern of acculturation and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cale of acculturation and Korean language learning, or that the research results are too generalized or subjective, can be pointed out as limitations. With this awareness in mind, in this study,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research was conducted on Korean and Sakhalin adolescents residing in Korea to identify the difficulties and requirements of their Korean language learning and adaptation to Korean culture, and diagnose their cultural adaptation process. He pointed out the urgent need to develop a Korean culture adaptation program that can help students learn Korean and adapt to Korean cul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