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北宋時期 四川地域 鐵錢 鑄錢監 硏究

        정일교 ( Jeong Il-gyo ) 호남사학회(구 전남사학회) 2018 역사학연구 Vol.72 No.-

        북송시기 사천지역에서 철전이 주요 화폐로 유통이 되었다. 이 과정에서 사천 지역의 주전감이 철전의 주조와 유통에 있어서 큰 역할을 하였다. 북송시기 사천지역의 철전감은 크게 두 번의 큰 변화를 겪었다. 첫 번째는 993년(淳化 4)에 王小波·李順의 난의 영향을 받았고 이시기 대부분의 철전주전감은 10여 년 동안 철전을 주조하지 못하였다. 두 번째는 993년(淳化 4)부터 10여 년 동안 철전의 주조가 중단되면서 사천지역에서 화폐 부족현상이 발생하였고 이로 인해 화폐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였다. 북송 조정은 당시 재정이 부족한 상황이었고 이를 타게 하게 위하여 사천지역에서 1005년(景德2)에 소평전보다 주조 비용이 적은 대철전을 주조하였다. 이때 주조한 대철전이 바로 경덕 대철전이다. 이 대철전은 소철전과의 가치는 1:10으로 규정하였고 동전과는 1:1의 가치를 갖고 있었다. 이후 송 조정은 다시 한 번 주조 비용을 절감하기 위하여 경덕대철전보다 그 중량이 절반밖에 되지 않는 상부대철전을 주조하였다. 경덕대철전과 상부대철전을 주조하게 되면서 사천지역에는 전경물중현상이 발생하였고 북송 조정은 전경물중현상을 해소하기 위하여 다시 1059년(嘉祐4)부터 10년간 停鑄 정책을 실시하였다. 두 번의 정주 정책은 사천지역 철전감의 설치와 주조량이 큰 영향을 끼쳤다. In the Northern Song Dynasty, iron coin as a major currency was put in circulation. In this process, the provincial Mints[鑄錢監] played a key role in the coinage and circulation of iron coin. In the Northern Song Dynasty, the mints of Sichuan Province underwent the two huge changes. First, these mints could not mint iron coins for 10 years by the influence of the peasant revolt[王小波,李順起義] in 993 year. Second, stopping coinage of iron coin caused a general scarcity of currency and increasing the demand of money. To solve the continual financial crunch, the government of the Northern Song Dynasty minted large iron coins that cost less expensive to cast in 1005 year[景德 2]. It is the large iron coin of Jingde[景德大鐵錢]. This the large iron coin of Jingde. This coin had been worth tenfold small iron coin and worth the same value as cooper coin. Then, the government minted a new large iron coin that is half weigh of the large iron coin of Jingde. It is the large iron coin of Xiangfu[祥符大鐵錢]. As minting the large iron coin of Jingde and the large iron coin of Xiangfu, it caused 'the lack of the amount of coins in circulation and resulting inflation[錢輕物重]' in Sichuan province. The government had banned mintage again for 10 years since 1059 year[嘉祐 4] to solve the problem. The ban on coinage two times by the government made an large impact on the establishment of the mints and the amount of coinage in Sichuan province.

      • KCI등재

        北宋時期 河東地域 錢法과 鐵錢

        정일교(Jeong, Ilgyo) 순천향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20 순천향 인문과학논총 Vol.39 No.4

        북송 시기 동전을 중심 한 화폐 체제가 확립되었던 반면 사천, 섬서, 하동 지역은 동전과 철전을 병행하기도 하였고 철전만을 사용하기도 하였다. 四川・陝西・河東지역은 북송 시기에 특수 화폐 지역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사천지역이 철전 전용지역으로 결정되는 데 있어서 정치적인 요소와 경제적인 요소가 큰 작용을 하였다. 섬서 지역은 1041년(경력 원)에 철전 사용지역으로 확정이 되었다. 섬서 지역의 철전사용은 西夏와의 전쟁의 영향을 받았던 것으로 보인다. 하동 지역은 섬서 지역과 같은 경우로 요와 서하의 전쟁의 영향으로 철전을 사용하게 되었고 다른 지역과는 다르게 처음부터 대전을 주로 사용하였다. 하동 지역은 사천과 섬서 지역과는 다르게 遼・西夏와 국경을 맞대고 있었다. 송대 철전 사용지역은 주로 北狄과 국경을 맞대고 있던 지역으로 이는 조정에서 동전이 북방지역으로의 유출을 막고자 하였던 이유도 있었다. 이를 위해 북방의 적들과 국경을 맞대고 있던 지역은 주로 철전을 사용하였다. 하동 지역에서의 철전 사용은 사천과 섬서 지역에 비해 다소 늦은 시기에 시작되었다. 하동 지역에서의 철전 사용을 보면 慶曆年間(1041~1048)부터 시작하였고, 철전 사용 초기에는 섬서 지역의 군비를 충당하기 위한 목적이었다. 또한, 사천과 섬서지역과는 다르게 小平錢이 아닌 대전을 주조하였다. 이미 사천 지역에서는 진종 시기부터 대철전을 주조하여 유통하고 있었기 때문에 하동 지역에서도 대철전을 주조하였다. 하동 지역에서 처음부터 대철전을 주조하게 되면서 대철전 사용 이전에 사용되었던 화폐와의 가치 평가에서 상당한 문제점이 발생하였고 이 과정에서 백성들이 조정에 항의하는 경우도 종종 발생하였다. 하동 지역에서 대철전을 사용하게 되면서 여러 문제들이 발생하였지만 결국 금의 북송 침입으로 하동 지역이 금의 영토에 포함되면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는 결말을 맞게 되었다. In the Northern Song Dynasty, most of China had the copper coin standard monetary system. But some regions of China like Shisen[四川], Shaanxi[陝西], and Hedong[河東] used both cooper coin and iron coin, or only used iron coin. Those regions were some special districts for currency. There were some important political and economic factors that Shisen became a exclusive using iron coin area. Shaanxi became the area using iron coin in 1041[Qingli(慶曆) 1]. It was the result that affected by the war between the Song Dynasty and Western Xia[西夏]. Hedong was also similar situation. Hedong was affected by the war between Western Xia and the Liao Dynasty[大遼], and became the area to using iron coin. Unlike other regions, Hedong used great iron coin since the first time. The region of Hedong had bordered on Western Xia and the Liao Dynasty, unlike Shisen and Shaanxi. In the Northern Song Dynasty, the areas using iron coin were usually the regions bordered on northern barbarian. Because the government of the Song Dynasty tried to prevent the leaks of copper coin into northen-east area of China. So, the regions that boarded on barbarian had used iron coin usually. The start using iron coin in Hedong was later than the regions of Shisen and Shaanxi. The using iron coin of Hedong was started in the era of Qingli[慶曆年間(1041~1048)]. When the using iron coin first started, it aimed to afford the military spending of Shaanxi. Also, Unlike Shisen and Shaanxi, since the first time, Hedong used great iron coin, not small coin. Because Shisen had minted great iron coin and used it since the reign of Emperor Zhenzong[眞宗]. So Hedong also became to mint great iron coin and used it. But the using great iron coin caused some severe problems of the valuation between old coin and new coin. And in this process, the people sometimes used to protest the government. There were lots of problems that happened to using great iron coin. But because of the invasion of the Jin dynasty [大金], Hedong became the territory of the Jin dynasty. Eventually, those problems were remained unresolved.

      • KCI등재

        조선시대 활쏘기 중 鐵箭[六兩弓] 射法의 특성과 그 실제

        최형국 국립민속박물관 2020 민속학연구 Vol.0 No.46

        In this study, we conducted an empirical study of Cheoljeon (Iron arrow), the main exam of Mugwa, which was one of main subject for military officials subject during the Joseon Dynasty. This is to correctly understand the traditional exam of military officials bow-type Cheoljeon. In order to restore this, this is a study that expanded the range of empirical studies by restoring various feed analysis and actual training. Iron arrow is about 10 times heavier than general arrows, so it corresponds to a special bow from the Joseon era that shoots a special bow called Yukryangjeon. Thus, using a heavy and heavy arrow compared to a general bow was a way to test the power of soldiers. In particular, to go up to the Mu-in dang sang-gwan (state council governement official), you have to pass Cheoljeon in the monthly archery test. However, it was too difficult to shoot Cheoljeon, and until the method of playing the test on behalf of others and Supervisor corruption, it became a social problem. Unlike the general bow, Cheoljeon is characterized by jumping and shooting technique in which jumps peculiarly and barbs the arrow. It's also confirmed that the Cheoljeon bow glove was a necessary auxiliary tool for these special method. We also examined how to use the Jogeundae tool for cheating in the exam. Finally, in the genre picture in the Joseon Dynasty, it was confirmed that the contents of the Kim Hong Do and Shin Yun Bok’s archery pictures were Cheoljeon and YukRyangjeon. 본 연구는 조선시대 무과시험의 핵심 과목이었던 鐵箭에 대한 실증연구를 진행한 것이다.이를 통해 전통의 활쏘기 방식 중 鐵箭 射法의 모습을 올바르게 이해하고 복원하기 위하여 다양한 사료분석과 함께 실제 實演으로 실증연구의 폭을 넓힌 연구이다. 철전은 일반 화살에 비해 10배 정도가 무거웠기에 六兩弓이라는 특수 활로 쏘는 조선시대 특수 활쏘기에 해당한다. 이처럼 일반 활에 비해 강하고 무거운 화살을 사용하는 것은 무인의 힘을 시험하기 위한 방법이었다. 특히 武人 堂上官에 오르기 위해서는 매월마다 진행하는 활쏘기 시험에서 철전을 통과해야만 했다. 그러나 워낙 철전 쏘기가 어려워 남이 대신해서 시험을 보는 代射나 시험관을 매수하는 일이 벌어져 사회문제화되기까지 하였다. 철전은 일반 步射와는 다르게 독특하게 앞으로 도약하며 화살을 발시하는 ‘踊躍射法’이 특징이다. 또한 이러한 특수 사법을 위해서는 철전용 활 장갑이 반드시 필요한 보조도구였음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助筋帶’라는 철전 시험시 부정행위 보조도구의 활용법까지도 함께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조선시대 풍속화 중 김홍도와 신윤복의 활쏘기 관련 그림에서 해당 그림의 내용이 철전과 육량궁임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北宋 四川 地域 紙幣 發行 배경과 유통 상황

        정일교 한국외국어대학교(글로벌캠퍼스) 역사문화연구소 2014 역사문화연구 Vol.52 No.-

        宋代는 중국 역대 왕조 중 貨幣鑄造量이 가장 많았을 뿐 아니라 역사상 최초의 紙幣인 交子를 발행한 시기이기도 하다. 이 시기 지폐의 발행에 가장 큰 영향을 준 곳은 바로 四川지역이며 특히 사천지역에서 사용된 鐵錢이 지폐 발행에 가장 큰 영향을 주었다고 할 수 있다. 眞宗 景德 2년(1105) 사천지역에서는 私交子를 發行하였는데, 사천지역에서 중국 역사상 최조의 지폐인 交子가 탄생한 원인은 사천지역의 발달된 경제력에 있다. 이는 사천지역이 송대 화폐사에서 갖는 특수성이다. 화폐의 割據性을 의미한다. 사천지역에서 지폐를 발행하기 이전에는 철전을 사용하였다. 이로 인해 동전을 사용하는 지역과는 경제적인 차이점을 보이게 된다. 사천지역은 동전보다 중량이 많이 나가는 철전을 전용하면서 물가 폭등 현상이 발생하였는데, 이러한 과정을 거치면서 교자가 탄생하였다. 교자의 발행 시기와 換界에 대하여 중국 학계에서는 그 동안 여러 논쟁이 있었다. 우선 교자의 환계에 대해 4年1界·3年1界·2年1界 등의 논쟁이 있었지만, 데체로 중국에서는 만2년 1계 즉, 3년1계로 보고 있다. 교자의 발행시기에 대해서도 논쟁이 있었는데, 대부분의 중국 학자들은 交子의 발행시기를 대체로 眞宗 景德 2년(1005)으로 보고 있다. 大觀 3년(1109) 第44界부터 교자는 錢引으로 명칭을 바꾸어 발행되었다. 이때부터 교자는 역사에서 사라지고 송대에 유통기한이 가장 길었던 지폐인 전인이 등장하였다.大觀 3년(1109)은 第41界 교자의 유통기한이 만기되고, 第44界를 전인으로 바꾸어 발행한 해로 송 조정은 第41界부터 第43界까지의 교자를 교환해 주지 않았다. 第44界부터 정식으로 전인을 발행하였다. 발행액은 天聖 初의 교자 발행액과 같은 1,256,340貫이었으며, 유통지역은 철전을 사용하는 路로 제한하였고, 동전을 사용하는 지역에서는 사용을 금지하였다. 사천 이외에 섬서·하동 또한 철전사용지역이었기 때문에 이들 지역에서도 전인을 사용하였다. 사천지역이 特殊貨幣 지역이 되면서 四川 이외의 지역에서는 銅錢을 사용하거나 銅․鐵錢을 함께 사용할 수 있었으나,사천 지역은 鐵錢만을 사용함으로써 백성들의 부담이 가중되었다. 物價가 상승하게 되고, 錢輕物重의 현상이 나타게 되었으며, 이는 鐵錢의 價値下落으로 이어졌다. 鐵錢의 가치 하락에는 여러 이유가 있겠지만, 이 가운데 가장 큰 원인은 宋 中央 政府의 財政 부족에 있다. 결국 사천지역은 중앙 정부의 재정 부족을 메우기 위해 탄생한 特殊한 화폐경제지역이었던 것이다.

      • KCI우수등재

        北宋時期 四川地域 鐵錢의 가치 변화

        정일교(Jeong, Ilgyo) 동양사학회 2018 東洋史學硏究 Vol.144 No.-

        In Sichuan, people already used Iron coin since Eastern Han Dynasty. This region became a special one where use iron coin only for currency after North Song Dynasty had conquered Later Shu(後蜀). However, the best important cause of using iron coin in Sichuan was in a policy of commerce and industry in Song period. Early in Song Dynasty, the central government fell short of finance because of wars of unification. For supplement this shortages, the government implemented policy of commerce and industry that gather local goods to central government. In the progress of this policy, Sichuan that comparatively developed economy damaged much more. In other words, because of tax payment and a policy that prohibit copper coins flow to Sichuan, a lot of iron coins were send to Kaifeng(開封), and Sichuan became an only region using iron coins. Although the government didn’t proclaim a law that designate Sichuan to use iron coin, but because of outflow of many copper coins and prohibition of inflow, the amount of copper coins in circulation reduced rapidly. In this situation, Song Dynasty minted a kind of iron coin, “景德大鐵錢” in 1005, but the coins were not in circulation by proper value. Finally the government minted a new iron coin, “祥符大鐵錢” which weight was a half of “景德大鐵錢”. The biggest problem when only using iron coins was uncomfortable economic life caused by reducing value of iron coin. This phenomenon is called “monetary value is low, the price become expensive(錢輕物重)”, this means that the value of coins reduced and inflation appeared. The essential cause of difference between Sichuan and other regions was the financial crunch of Song Dynasty. for this reason, the amount of minting iron coins increased exponentially and the value of iron coins depreciated. This phenomenon affected the people, people had to bear this kind of price fluctuation.

      • KCI등재

        고려시대 화폐정책의 변화와 물가산정 방식

        김도연 ( Kim Doyeon ) 고려대학교 역사연구소(구 역사학연구회) 2017 사총 Vol.90 No.-

        본고에서는 고려시대 화폐제도 변화와 그 기간 동안 물가산정 방식이 어떻게 변화했는지를 살펴보았다. 고려시대의 화폐가 제도적으로 어떻게 변화되어 갔으며, 같은 기간 물가산정의 변화를 살핌으로서 고려시대 화폐유통의 단면을 살피고자 했다. 고려왕조는 우리 역사상 처음으로 금속화폐의 유통을 시도했다. 성종은 동왕 15년에 철전을 유통했고, 숙종은 동왕 7년에 공식적으로 동전을 유통했다. 그러나 두 금속화폐는 모두 유통에 실패했다. 다음 왕인 목종과 예종이 화폐유통이 실패했다 선언했다. 이러한 사실은 물가 관련 사료에서도 잘 나타난다. 고려초에서부터 동전이 유통되던 숙종 때가지 철전과 동전으로 물가가 계산된 기록은 전혀 없다. 이는 실제도 시장에서 두 화폐의 역할이 매우 제한적이었음을 보여준다. 반면에 금속화폐 주조 이전처럼 물가기록은 米와 布의 교환 비율로 서술되었다. 반면 숙종 6년에 표인되어 유통되었던 은병은 조금 다르다. 은병은 시장에서 은의 가치대로 유통되던 일종의 물품화폐였던 것을 명목가치를 부여해 국가에서 직접 주조하고 유통함으로써 법정화폐에 편입한 것이다. 은병제도는 충혜왕 원년에 소은병제를 실시할 때까지 큰 제도적 변화없이 유통되었다. 그래서인지 예종의 후사인 인종 10년의 기사에서는 물가산정시에 제일 먼저 은병을 기준으로 미곡의 가치를 계산하였다. 그리고 충혜왕 원년까지의 물가산정에서는 은과 은병이 기준이 되어 미곡의 가치가 계산되었다. 이전까지 布와 米의 교환가치를 기준으로 계산되었던 물가산정 방식이 은 혹은 은병이 포함되는 구조로 바뀌었던 것이다. 특히 원간섭기였던 고려 후기에는 원의 지폐인 보초까지 유입되어 고려화폐 유통에 변화가 생겼지만, 은병제도는 계속 유지되었고 물가산정 방식도 은병 혹은 은과 米혹은 布의 교환비율로 산정되었다. 다만 은의 해외 유출과 보초의 유입은 은가에 큰 영향을 미쳤고, 이에 따라 가치가 보다 작은 소은병제도가 충혜왕때에 등장하였다고 생각된다. 하지만 공민왕대에 이르면 이전 시기보다 은가가 무려 3배 이상 등 귀한 상태에서 은병을 기준으로 하는 기존의 화폐제를 유지하기에는 무리가 있었던 듯하다. 여기에 대해서는 후에 자세히 살피겠지만, 결국 공민왕대에는 은전 주조 논의가 있었지만 실패했고, 그 뒤에는 저화 유통 논의도 있었지만 실패하고 말았다. 기존의 은병제도도 없어지고, 새로운 화폐제도는 논의에만 그치던 이 시기에는 물가산정 방식도 변화하였다. 바로 布대 米의 교환가치를 계산하는 방식으로 변화된 것이다. 이 당시는 실질적으로 국가가 유통하던 화폐가 없던 시기였던 고려 전기와 마찬가지로 물가산정 방식이 布대 米로 표현되었다. 다만 고려 전기에는 다양한 포의 종류와 다양한 곡물이 언급되었던 것에 반해 이 당시는 간결하게 布와 米로만 표현되었다. 다양한 종류가 아니라 한가지로 통일되었다는 것은 이들 물품화폐가 단일품목으로 가치 표준이 되었음을 의미한다. 이는 물품의 화폐화 과정에서 빼놓을 수 없는 과정이기도 하다. 정리하자면 고려시대는 시기에 따라 조금 다르지만, 米와 布중심의 물품화폐와 금속화폐인 은병, 칭량화폐인 은, 원간섭기 외부에서 유입된 원의 寶?등 다양한 화폐가 공존하며 유통되던 시기였다고 하겠다. The Goryeo Dynasty tried to distibute metallic currency for the first time in Korean history. Seongjong(성종) coinaged iron coins, and Sukjong(숙종) coinaged copper coins. But peolple of Koryeo didn`t use those coins, two kinds of coins were failed. Mokjong(목종), the next king of Seongjong and Yejong(예종) the next king of Sukjong declared those coins were failed. We can reconfirm those historical fact by the record of price estimations. From the early era of Goryeo to Sukjong era when copper coins were tried to be circulated, there is no price calcualtions record expressed by iron coins or copper coins. This means that those coin`s role in the market was very restrictive. Sukjong tried to another kind of metallic currency called Eunbyung (은병). Eunbyung is silver currency that was circulated well in Goryeo Era. That is the differency between those coins and Eunbyung. Especially, the price estimations were expressed by silver or Eunbyung those periods. This means silver currency was acting its role in Goryeo Era. But the situation was changed by Yuan Empire(원). Yuan intervened in the domestic affairs of Goryeo not only politics but also economy. Yuan`s paper money Boacho was inflowed in Goryeo. But Goryeo Dynaty kept their monetary policy of silver currency. Especially king Choonghye(충혜왕) coinaged Soeungbyung(소은병)- light silver currency. And during the same period, price estimation expressed by silver currency. When Yuan lost its power in both china and Goryeo, Goryeo was also losing it power in Korea. And value of silver rised up very high. So Goryeo Dynasty gave up its silver currency and price estimations were recorded by rice and fabrics.

      • SCOPUSKCI등재
      • KCI등재

        明淸교체기 전쟁 포로의 특수성과 「金英哲傳」

        이종필(Lee, Jong Pil) 동악어문학회 2014 동악어문학 Vol.63 No.-

        본고는 전쟁 포로의 문학적·문화적 표상 검토라는 거시적 작업의 일환으로 정묘·병자호란을 중심으로 한 明淸교체기 조선인 포로서사의 특수성을 적시하고, 이를 토대로 「김영철전」이 묘파해 낸 새로운 인물형의 시대적 의미를 고찰하였다. 임진년(1592)부터 병자년(1636)에 이르는 약 40여 년 동안 조선은 네 차례의 커다란 전쟁을 겪었고, 그 결과 무수한 백성들이 일본과 後金[淸]의 포로로 전락하게 되었다. 이러한 被虜 경험은 다양한 형태의 기록물을 통해 서사화 되었는데, 특히 정묘·병자호란을 포함한 명청교체기의 포로서사는 몇 가지 지점에서 임진·정유재란 시기와는 구별되는 차별성을 띤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첫째, 탈출 이후 고국에서의 삶이 순탄치 않게 그려지는 경우가 많다. 탈출에 성공한 이후 고국에서의 팍팍한 삶을 견디지 못하고 다시금 청나라로 회귀를 시도했던 안추원의 경우나 「梨花菴老僧行」에서 포착된바 귀국 이후의 부적응과 그로 인해 승려라는 존재로 표류할 수밖에 없었던 한 인간의 이력을 통해 드러나듯이, 명청교체기 포로들은 탈출과 귀국 이후에도 여전히 불안하거나 소외된 삶을 살아가는 경우가 많다. 이는 임진?정유재란 때 포로로 잡혀가 돌아왔던 이들의 기록인 「趙完璧傳」, 「辛起金傳」, 그리고 소설 「崔陟傳」 등이 가족 간의 재회나 새로운 삶에 대한 의지를 드러내고 있는 것과는 차이를 지닌다. 둘째, 동아시아 국제질서의 격변기였던 명청교체기의 와중에 전통적 華夷觀의 균열을 경험하던 시대적 특수성이 반영된 결과 소설사에 새로운 인물형이 출현하게 되었다. 「김영철전」의 주인공은 朝鮮人 포로로 시작된 여정에서 滿洲人의 일원으로 살아가다 다시 漢人으로서의 삶을 살았던 인물이다. 그러나 결국 그는 조선으로 돌아온 후 淸主에 의해 ‘帝國人’이라는 정체성을 부여받는다. 곧 김영철이라는 인물은 역사적 격변기를 온몸으로 가로지르며 생존했던 일종의 ‘混種的 주체’라는 점에서 기존 포로서사의 인물들과는 확연히 구별된다. 이상과 같이 명청교체기의 포로서사가 기존의 포로서사와는 구별되는 독특한 문학적 표상들을 산출했던 데에는 정묘·병자호란의 철저한 패배와 後金[淸]의 성장 및 동아시아 대제국의 성립 등과 같은 당대의 역사적 특수성이 자리하고 있었다. This paper aims to study the trends and attributes of narratives regarding Joseon captives during the transition period from the Ming Dynasty to the Qing Dynasty when Manchu"s Invasion in 1627 and in 1636 broke out. Joseon Dynasty had undergone four large wars for about 40 years from 1592 to 1636, which degrades a number of people to the captives of the Chinese powers. These experiences as captives were described through the various types of records. Among them, the narratives about captives during the transition period including Manchu`s Invasion shows considerable differences in the following respects, compared with those during the Imjin War. First, there is a tendency that lives of escapees after the escape from Ming or Qing is narrated as troubled ones. As shown in Ihwaamnoseunghaeng(?梨花菴老僧行?), the main characters of the narratives during the transition period still lead the life suffering from anxiety and alienation even after the escape and homecoming. These pessimistic perspectives show a notable difference with the records about escapees in the period of the Imjin War, in that the latter mainly describes family reunion and the will of the escapees towards a new life. Second, a new type of character appears during the transition period, which seems to reflect the historical circumstances at the time which the view of world centered on China began to dismantle on a backdrop of changes in international order of the East Aisa. Kimyeongcheol in Kimyeongcheoljeon(?金英哲傳?) is depicted as a figure who leads the life as a Joseon, a Manchu and a Ming. As such, the narratives about the captives in the transition period is clearly distinguishable, compared with the previous ones, in that the former describe vividly a sort of ‘Hybridity’. In conclusion, I would argue that narratives regarding the captives in the transition period from Ming dynasty to Qing Dynasty produce unique literature symbol, which is heavily influenced by the historical circumstances at the time such as devastating defeats from Manchu"s Invasion, the growth of Qing and the dissolution of the traditional view of the world centered on China.

      • KCI등재후보
      • KCI등재

        고려시대 화폐 주조의 시원에 대한 역사성 탐색

        김도연 경기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22 시민인문학 Vol.43 No.-

        The first currency in Korea, the iron coin(철전), was first created in April of the 15th year of King Seongjong (996). Seongjong started preparations for the distribution of iron coin by opening a state-run pub in October 983. And in 991, Samsa(삼사), the price control department, which was affected by Sung Empire(宋) was installed. And in 993, Sangpyeongchang(상평창) was also installed, which was associated with the purpose of price control, currency distribution. In other words, Seongjong prepared the distribution of iron coin from the following year of the accession, opened a store so that it could be used in the market, installed Samsa and Sangpyeongchang where money could be exchanged. Meanwhile, the copper coin was first cast in December of King Sukjong's second year(1097), when the coins circulated were also the first. Since then, there has been opposition from the newcomers such as Kwak Sang, but Sukjong has steadily promoted the distribution of coins. In the same as King Seonjong, Sukjong also set up a pub in Kaesong and took measures to make the people use money. In addition, he distributed money to his servants and soldiers, and he also told it to his ancestry. However, the attempts and efforts of Seongjong and Sukjong did not shine. Mokjong, the successor of the Seongjong distributed a letter that completely retreated the distribution of iron coin, Yejong, who succeeded Sukjong, showed his willingness to push forward the copper coin distribution, but distribution in the market was not active. So why did iron and copper coins not actively distribute? In the Goryeo period, the value of iron was not enough to have credit as money. And so did copper. And in Sung, coins were actively circulated and the value of copper rose. For this reason, there was a situation in which the value of copper was higher than the value of the coin, and the coin was melted. In this situation, Goryeo is believed to have seen financial profits by agreeing to export to Sung. Many countries in China, where metal currencies were actively distributed, also distributed goods currency(물품화폐) with metal currencies. This means that the distribution of metal currencies is not based on the disposal of goods currencies. In other words, metal and goods currencies could coexist. Although the Goryeo period did not actively distribute iron and copper coins, it is significant that these metal coins were first minted and distributed. Iron and copper coin in the Goryeo period is meaningful enough as a beginn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