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 신입생을 대상으로 한 Holland 진로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진로의식 및 진로의사결정능력에 미치는 효과

        김경미,백사인 한국취업진로학회 2011 취업진로연구 Vol.1 No.2

        본 연구는 Holland 진로집단상담 프로그램이 대학 신입생들의 진로의식 및 진로의사결정능력에 미치는 효과 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특히 대학생들의 진로교육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일환으로 Holland 진로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개발, 활용함으로써 대학생들의 합리적인 진로의식성숙과 진로의사결정능력을 돕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 나타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Holland 진로집단상담 프로그램 실시 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간의 비교 결과, Holland 진로집단상담 을 실시한 실험집단이 진로의식에서 진로결정성, 진로독립성, 진로성향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 났다. 이는 Holland 진로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진로의식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Holland 진로집단상담 프로그램 실시 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간의 비교 결과, Holland 진로집단상담 프로그 램을 실시한 실험집단이 진로의사결정능력에서 합리적 유형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는 Holland 진 로집단상담 프로그램이 합리적인 진로의사결정능력을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음을 입증해 주고 있다. 이러한 결과에서, 진로결정성의 증가는 자신이 선호하는 진로의 방향에 대한 확신을 가지는 데 도움 을 줄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진로독립성의 증가는 학생들이 의존적인 진로결정에서 벗어나 독립적인 진로선택을 할 수 있는 사고의 성숙을 도와주며 진로성향의 증가는 진로결정에 필요한 사전 이해와 준 비를 하는데 본 프로그램이 도움을 주고 있다. 또한, Holland 진로집단상담 프로그램을 실시한 실험집 단은 통제집단보다 진로의사결정능력에서는 합리적 유형이 증가하였다. 따라서 대학 신입생들이 진로 의사결정능력 수준이 부분적으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구체적으로 합리적 유형의 증가는 학생들 이 자신과 상황에 대해 정확한 정보를 수집하고 논리적으로 의사결정을 수행해나가며 의사결정에 대한 책임감이 향상되었다. 이는 진로결정에 있어서 합리적인 의사결정을 향상시켜 자신의 진로선택에 보다 성숙하고 합리적인 생각으로 현명하게 진로를 선택하는데 도움이 된 것으로 볼 수 있다. 본 연구의 한계와 앞으로의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의 조사대상은 대전지역에 소재한 1개 대학교의 소수 대학생들로 제한되어 있으므로 이 결과를 같은 또래의 다른 대학교 학생들에게 모두 일반화 하는데 한계가 있다. 따라서 연구대상자들을 확대하여 연구할 필요가 있다. 둘째, 집단 활동들이 많은 프로그램으로 편안하고 신체활동을 할 수 있는 환경적 여건 마련이 중요하다. 셋째, 프로그램의 효과는 참가자의 요구와 수준에 따라 다를 수 있다. 그 러므로 참가자들을 전공과 기타 개인적 특성별로 차별화하고 요구와 수준에 맞는 운영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examine closely the effects of a Holland Career Group Counselling Program on the career maturity and decision-making abilities of College freshmen. Specifically, this study attempts to enhance College freshmen's ability to consider their future career with maturity and to carry out career decision-making abilities, by developing and utilizing the Holland Career Group Counselling Program as part of an effort to promote efficient performance of career education for them. The result of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fter the Holland Career Group Counselling Program was completed, the two groups were compared: career maturity of the experimental group, which was applied with the program,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in the aspects of decisiveness, independence, and propensity of the career choice. It indicates that the program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students' career maturity. Second, after the Holland Career Group Counselling Program was completed, the two groups were compared: career decision-making ability of the experimental group, which was applied with the program,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bett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in the reasonable pattern of decision-making, but not in the intuitive, and dependent patterns. It demonstrates that the program is effective in improving the ability of reasonable career decision-making.

      • KCI등재

        부모와 함께하는 진로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황정은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2009 청소년상담연구 Vol.17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implement a program utilizing parents' participation in career group counseling for middle school students and assess and validate its effect on their career maturity. Main objectives are as follows : Developing an effective way to construct the program for parents and children to participate in career group counseling : Validating its effect of the career maturity.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0 sophomore, junior students attending 'B' middle school in Seoul. For this research, thirty students who wanted to participate the career exploration group counselling program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 15 students with their par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15 students in the control group. This program is based on Consultation Program Development Model by Park In-u(1995). In terms of study procedure, we conducted the program to experimental group after class twice a week(60-90 minutes per session) which total to twelve sessions and took no measure to control group. It was administered three times, pre, post and follow test by CMI(Career Maturity Inventory) and were analyzed by 'Mixed ANOVA', 'Paired t-test' from SPSS/Window 12.0. Also the analysis of experience reports by session and counselor observation contents was indicated to supplement the limitations in the reliability of quantitative data. Results indicat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Content analyses further reveled that participants in the Program with parents demonstrated positive reactions towards the effectiveness of the intervention. Overall a positive effect was found in those who participated in the parents' participating career group counseling Program, supporting the hypothesis that the program may be beneficial for improving career maturity in middle school students. 본 연구는 중학생들을 대상으로 부모참여 진로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실시하여 진로성숙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고자 하는 데 있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진로성숙도 향상을 위한 부모참여 진로집단상담 프로그램은 어떻게 구안되어야 할 것인가. 둘째, 부모참여 진로집단상담 프로그램은 중학생의 진로성숙도 향상에 효과가 있는가를 밝히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서울특별시 강북구에 소재하는 ‘B' 중학교 2․3학년 학생들 중 부모가 함께 참여 가능한 희망 학생들을 대상으로 실험집단 15명과 통제집단 15명으로 구성하였다. 진로성숙도 향상을 위한 부모참여 진로집단 상담프로그램은 박인우(1995)의 상담프로그램 개발 모형을 바탕으로 구안되었으며, 검사도구로는 Crites가 제작한 CMI(Career Maturity Inventory)를 한국행동과학연구소에서 번역한 것(1984)으로 사용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Window 12.0에서 혼합변량분석 및 대응표본 t검증을 사용하여 통계적 결과를 분석하였다. 또한 매 회기별 부모설문을 통해 부모가 지각하는 자녀의 진로인식 변화에 관한 점수를 학생별로 누가 기록한 후 그 변화추세를 살펴보았고, 상담자의 관찰내용과 집단원의 경험보고서, 그리고 프로그램에 대한 평가 소감문을 분석하여 통계적 검증에 따른 연구 결과를 보완하였다. 연구결과 부모참여 진로집단상담 프로그램을 처치한 실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하여 통계적으로 진로성숙도 변화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내용 분석 결과에서도 실험참가자들이 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하여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부모참여 진로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진로성숙도를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다고 볼 수 있다.

      • KCI등재

        청소년 정서조절능력 향상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효과검증 연구: G도 사례를 중심으로

        이영희,이광재,김영근 한국상담학회 2022 상담학연구 사례 및 실제 Vol.7 No.2

        본 연구는 G도 지역에서 실시된 청소년 정서조절능력 향상 프로그램의 지역사회 실시사례를 살펴보고 지역사회의 요구를 반영하여 개발된 상담프로그램이 단순히 프로그램 개발에 그치지 않고 지역사회에 확대 실시되는 과정과 의의를 탐색하고자 한다. 2016년에 I 대학교 상담심리치료학과와 G도 청소년지원재단에서는 청소년 정서조절능력 향상 프로그램 “내 마음아, 부탁해” 를 개발하여 G도 18개 시․군의 정서조절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12세~15세 초기 청소년들에게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보급하였다. 본 프로그램이 개발된 이후 2022년 9월까지 7년간 초기 청소년 2,568명에게 실시되었다. 2022년에는 총 19개 집단 중 14개 집단이 실험연구에 참여하였고, 실험집단은 초등 고학년 14집단 101명이며 통제집단은 초등 고학년 15집단 106명으로 총 29집단 207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실험집단은 주 1회, 1일에 2회기씩 운영하여 총 8회기 프로그램이 실시되었다. 프로그램의 효과성 검증을 위해 프로그램 실시 전과 실시 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검사를 실시하였고, 공분산 분석으로 결과를 분석하였으며, 프로그램 실시 후 청소년과 지도자의 회기별 평가 인터뷰 결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사전-사후검사 결과 정서조절능력과, 정서조절곤란에 미치는 영향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는 대학과 지역사회의 연계를 통해 지역사회의 요구를 반영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실시, 보급하였다. 그리고 현재까지도 꾸준히 활용되며 상담연구와 실무현장 사이에 증거기반 연구결과로 상담의 효과성을 과학적으로 증명하였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 KCI등재후보

        마음챙김 명상 집단상담 프로그램 사례연구: 중학교 여학생의 스트레스 반응, 정서조절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이승희,조민아 한국상담학회 2019 상담학연구 사례 및 실제 Vol.4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group program based on mindfulness meditation on the stress response and emotional regulation among middle school freshman girl students. Participants(30 students) who agreed to participate in the study from public middle school, were assigned to each mindfulness group, contrast, and control group(10 students for each group) Stress response, affect regulation scores were all measured. Participants completed the scales two times, right before, and immediately after the mindfulness group program completion. The mindfulness meditation group program was consisted 8 sessions, 50 minutes per session. ANCOVA was used to evaluate the difference between post-test scores among the group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when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contrast group, the mindfulness meditation group showed a significant decrease stress response. Especially the mindfulness group decreased behavioral stress response and emotional stress responses significantly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change in physical stress response. The mindfulness mediation group program did not affect the overall emotional adjustment ability, but it was appeare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emotional adjustment ability to cope with problem centered support pursuit. Based on the results, the actual counseling practice to reduce the stress and to improve emotional adjustment ability of middle school girls and suggestions for follow-up study were presented. 본 연구는 중학교 1학년 여학생들을 대상으로 마음챙김 명상 집단 상담 프로그램이 스트레스 반응, 정서조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것이다. 이를 위해 서울 지역 공립 중학교에서 집단상담 프로그램 사례연구 참여에 동의한 30명의 학생을 집단상담 실시 집단, 대조집단, 통제집단에 10명씩 배정하고 집단상담 실시 집단에 총 8회기의 마음챙김 명상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스트레스 반응, 정서조절 척도를 사전-사후 검사로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공분산 분석(ANCOVA)을 실시하여 사전 검사 점수를 통제한 후, 사후 검사 점수에 있어 집단상담 실시 집단, 대조집단, 통제집단 간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마음챙김 명상 집단 상담 프로그램을 실시한 집단은 스트레스 반응이 유의미하게 감소하였으며, 특히 행동적, 정서적 스트레스 반응이 감소하였으나 신체적 스트레스 반응은 유의미한 변화가 없었다. 마음챙김 명상 프로그램은 정서조절 능력 전체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지만, 문제중심 지지추구 대처 정서조절 능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중학교 여학생들의 스트레스를 줄이고 정서조절 능력 함양을 위한 상담 실제에서의 방안을 제안하고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하였다.

      • KCI등재

        SNS 과다사용 후기 청소년을 위한 REBT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이우주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2024 청소년상담연구 Vol.32 No.1

        본 연구는 REBT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개발된 프로그램이 SNS 과다사용 후기 청소년의 SNS 과다사용, 비합리적 신념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1단계로 문헌 및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프로그램 목적과 목표를 수립하였고 2단계로 예비 프로그램의 회기별 주제 및 활동내용을 선정하였다. 3단계로 전문가 타당도 검증 과정을 통해 프로그램을 수정·보완하였고, 예비 프로그램 실시 및 평가 후 최종 프로그램을 완성하였다. 4단계로 SNS를 과다사용하며, 프로그램 참여를 희망하는 지원자 중 16명을 선정하고 8명은 실험집단, 8명은 통제집단에 배치하여 본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실험집단 및 통제집단에서 수집된 SNS 과다사용, 비합리적 신념에 대한 사전·사후검사 점수를 SPSS Ver. 27.0 Program을 활용하여 분석하였고, REBT 집단상담 프로그램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각 집단의 사전검사를 공변인으로, 사후검사를 종속변인으로 하여 공분산분석(ANCOVA)을 실시하였다. 프로그램은 주 2회 90분씩 총 9회기 실시하였으며, 연구결과 및 논의를 통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REBT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내용은 들어가기, 전개, 마무리의 순서에 따라 REBT에 대한 이해, SNS 사용 관련 인지-정서 행동 다루기, 감정탐색 및 자기수용, 행동연습으로 구성하여 개발하였다. 둘째, REBT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후기 청소년의 SNS 과다사용 전체 및 하위요인 모두에서 유의미한 효과가 있다. 셋째, REBT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후기 청소년의 비합리적 신념 전체 및 하위요인 모두에서 유의미한 효과가 있다. 이러한 결론은 REBT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인지-정서-행동 통합적 접근으로 SNS 과다사용 후기 청소년에게 적절한 교육적 개입이 제공되었다는 것을 시사하며, 현대인의 삶에 불가피한 SNS의 올바른 사용을 위해 연령별 맞춤형 REBT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REBT group counseling program and examine its effectiveness on late adolescents’ SNS overuse and their irrational thoughts. A total of 16 adolescents who used SNS excessively and who wanted to participate in the study were recruited; 8 were randomly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group with the developed program implemented, and the remaining 8 were assigned to the control group. The pre- and post-test scores collected from both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Ver. 27.0. An analysis of covariance(ANCOVA) was conducted with the pre-test scores as a covariate and the post-test scores as the outcome to examine the difference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A total of 9 sessions of the REBT group counseling program were conducted for 90 minutes each and 2 times a week. Results and discussions are as follows. First, the content of the REBT group counseling program included understanding REBT, dealing with cognitive emotional behaviors regarding SNS use, exploring emotions, self-acceptance, and self-regulation, and managing behaviors, based on the stages of group development. Second, the REBT group counseling program was effective for decreasing overall SNS addiction and three sub-factors. Third, the REBT group counseling program was effective for managing overall irrational beliefs and five sub-factors. Findings suggest that the REBT group counseling program can serve as a proper educational intervention to help late adolescents take an integrated approach to dealing with cognitive emotional behaviors related to SNS overuse. In order to help late adolescents properly use SNS that is inevitable in the life of today’s generation, it might be necessary to provide a REBT group counseling program to diverse individuals in adolescence.

      • KCI등재

        국내 대학생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및 연구동향

        김희은,이미현,김인규 한국상담학회 2014 상담학연구 Vol.15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recent research trends through related studies of group counselling programs for domestic university students and to meta-analyze the effect of group counselling. To do this, 121 theses which were studied on the subject of ‘group counselling for university students’ or ‘group counselling programs for university students’ from 2005 to 2014 were searched and 97 theses of them were collected to analyze study trends. The result is that there are 34(35.1%) theses on the subject of personal relations and 49 theses(50.5%) on the subject of goal setting program related in course in life, which appeared to be the largest number. The most number of group members ranges 10〜15 in 45thess(46.4%), 8 group operating sessions in 34 theses(35.1%), 120 minutes per session in 37 theses(38.1%). For the result of meta analysis, 180 effect volumes were calculated and the average effect volume of group counselling program for university students is .97. The biggest effect volume on the subject and the goal of group counselling program is each 1.19 and 1.21. in course of life. The biggest effect volume of 9-10group session is 1.28 and 91-120 operating time is 1.19. The number of group members less than 10 is 1.26 to be the biggest. The meaning and the plans for application of the trends of group counselling program for university students and the study result of meta analysis were discussed in this study.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대학생 집단상담 프로그램 관련 연구를 통하여 최근 연구경향을 탐색하고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을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2005년부터 2014년 4월까지의 ‘대학생 집단상담’ 또는 ‘대학생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주제로 연구된 논문 121편을 검색하였고, 그 중 97편의 논문을 수집하여 연구동향 분석을 하였다. 연구동향 분석결과 프로그램 주제에서 대인관계 영역을 주제로 한 프로그램이 34편(35.1%), 프로그램 목표에서는 진로 관련 목표의 프로그램이 49편(50.5%)으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집단원수는 10~15명이 45편(46.4%), 집단회기는 8회기가 34편(35.1%), 회기 당 시간은 120분이 37편(38.1%)으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동향 분석의 대상 논문으로 선정된 97편의 논문 중 사전․사후 실험설계를 적용한 연구만을 선정하여 56편의 논문을 대상으로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메타분석결과 분석대상 논문 56편에서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주제와 목표에 따라 5개 영역으로 구분하여 총 180개의 효과크기가 산출되었고 대학생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평균 효과크기는 .97로 나타났다.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주제와 목표에서 진로영역이 각각 1.19와 1.21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집단 회기 수는 9~10회기가 1.28, 회기당 운영시간은 91~120분 미만이 1.19, 집단인원수는 10명 미만이 1.26으로 가장 큰 효과크기를 보였다. 본 연구는 대학생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연구동향 및 메타분석 연구결과에 대한 의의와 향후 활용방안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홍보물 유형과 관여도에 따른 홍보태도와 프로그램 참여의사 차이: 대학상담센터 온라인 게시판 홍보를 중심으로

        강혜영 한국상담학회 2012 상담학연구 Vol.13 No.3

        This study was begun by the interest to marketing of counsel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at is the effective advertising strategy in counseling. Research questions was as followed: First, are there any differences in attitude toward the ad. by advertising appeal types(rational vs emotional) and involvement level? Second, are there any differences in program participatory intention by advertising appeal types(rational vs emotional) and involvement level? Third, do attitude toward the ad. affect program participatory intention significantly? 180 undergraduate students participated in simulation(male: 79.4%, female: 20.6%). Data collection was accomplished 16-17, January, 2012. Researcher made two kinds of advertising appeal types(rational vs emotional), the manipulation check was processed. Measurement of involvement, attitude toward the ad., program participatory intention was made on the basis of measures in advertising researche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ed: First, Interaction and major effects were not observed in attitude toward the ad. by advertising appeal types(rational vs emotional) and involvement level. Second, Interaction effect was not observed in program participatory intention, but major effect of involvement was found in program participatory intention by advertising appeal types(rational vs emotional) and involvement(F=24.93, p<.001). Third, 39% of program participatory intention was explained by attitude toward the ad., which had a significant effect on program participatory intention (Beta=.63, t=10.73, p<.001). These results show that involvement and attitude toward the ad. are important in advertising group counseling program. 본 연구는 상담 분야에서 마케팅에 대한 관심이 필요하다는 관점에서 수행되었으며 상담서비스 상품에 해당하는 집단상담 프로그램 홍보방식에 대해 경험적으로 살펴보았다. 구체적으로 홍보물 유형(이성적 유형, 감성적 유형)과 관여도(홍보되는 것에 대한 관심과 중요도 지각정도)에 따라 홍보태도(홍보되는 것에 대한 인지적, 정서적 반응)와 프로그램 참여의사에 차이가 있는지, 그리고 홍보태도는 집단상담 프로그램 참여의사에 의미 있는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대학상담센터에서 실시하고 있는 집단상담 프로그램 홍보방식 중, 온라인 게시판 홍보내용을 살펴보고, 현재 진행되고 있는 홍보내용에서 몇 가지 특징을 추출하였다. 그리고 이를 광고 분야의 광고소구유형이라는 이론적 근거에 기초하여 홍보물 유형을 이성적 유형의 홍보와 감성적 유형의 홍보로 구분하고, 각각의 정의에 해당하는 홍보물을 제작하였으며 이에 대한 조작 점검을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충청권에 소재한 4년제 대학교 180명(남: 79.4%, 여: 20.6%)이었고, 이들을 대상으로 모의실험을 실시하였다. 2012년 1월 16-17일까지 계절학기 수업을 통해 진행되었고, 연구자가 총 7개 분반에 직접 들어가 진행하였다. 관여도 측정, 홍보태도 측정, 집단상담 프로그램 참여의사 측정은 모두 광고 분야 선행연구를 토대로 본 연구 홍보물에 맞도록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홍보태도에서는 홍보물 유형과 관여도간의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고, 두 변인 모두에서 주효과도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집단상담 프로그램에 대한 참여의사에서는 홍보물 유형과 관여도간의 상호작용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으며, 관여도의 주효과만 나타났다(F=24.93, p<.001). 셋째, 프로그램에 대한 홍보태도가 프로그램 참여의사를 설명해주는 양은 39%였고, 홍보태도는 프로그램 참여의사에 유의하게 영향 미치는 변인인 것으로 나타났다(Beta=.63, t=10.73, p<.001). 결론적으로, 본 연구를 통하여 집단상담 프로그램 홍보에서는 잠재적 내담자(고객)의 관여도와 긍정적 홍보태도가 프로그램 참여의사를 높이는데 중요함을 알 수 있었고, 집단상담 프로그램 홍보 시, 잠재적 내담자(고객)의 관여도를 고려하고, 홍보하는 상담서비스에 대해 긍정적 반응을 형성하도록 하는 홍보 전략이 필요함을 시사해주었다.

      • KCI등재후보

        교류분석 집단상담프로그램이 보호관찰 위기청소년의 자아상태와 분노조절에 미치는 효과 -보호관찰 여자 위기청소년 중심으로-

        김다윤(Da yun, Kim),김미례(Mi Rye, Kim) 한국교류분석상담학회 2019 교류분석상담연구 Vol.9 No.2

        본 연구의 목적은 교류분석 집단상담프로그램이 보호관찰 위기청소년의 자아상태와 분노조절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G광역시에 소재한 보호관찰 중인 여자 위기청소년 22명을 대상으로 실험집단 11명과 통제집단 11명으로 나누어 실험집단 11명에게 교류분석 집단상담프로그램을 2018년 8월 30일부터 2019년 2월 8일 동안 주 1회 90분씩 8회기를 총 3회 실시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류분석 집단상담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 보호관찰 위기청소년이 통제집단보다 자아상태가 기능적으로 활성화 되었다. 둘째, 교류분석 집단상담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 보호관찰 위기청소년이 통제집단보다 더 효과적으로 분노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교류분석 집단상담프로그램이 보호관찰 위기청소년의 자아상태와 분노조절에 효과가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결과들에 대한 함의와 추후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transactional analysis group counseling program on ego state and controlling anger of Youth at a Crisis in Probation To that end target 22 youth at a women crisis in probation in G Metropolitan City probation. into 11 experimental groups and 11 control groups. to 11 experimental groups The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exchange analysis was conducted three times, 90 minutes per week, from August 30, 2018 to February 8, 2019.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experimental group probation crisis youth who participated in the transactional analysis group counseling program has a ego state became more functionally active than the control group. Second, the experimental group probation crisis youth who participated in the transactional analysis group counseling program had a higher degree of anger control than the control group. this suggests the exchange transactional analysis group counseling program of probation crisis youth is effective in controlling the ego state and controlling anger. finally, we discussed the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and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 지역아동센터 이용아동의 심리사회역량 강화를 위한 집단상담프로그램 효과성 연구

        주동해(Dong Hae Ju) 한국사회복지상담학회 2020 사회복지상담연구 Vol.4 No.1

        연구의 목적은 지역아동센터 이용아동 대상으로 심리사회역량 강화를 위한 집단상담프로그램의 효과성 검증을 하고자 계획되었다. 이를 위해 심리사회역량에 관한 문헌을 고찰하고 심리사회역량의 구성요소를 토대로 집단상담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고안된 집단상담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고자 본 연구의 취지에 동의하는 1개 지역아동센터를 선정하고 본 센터를 이용하는 아동 중에서 참여의사를 보인 24명을 선발하여 무작위로 실험집단 12명, 비교집단 12명으로 구성하였다. 본 집단상담프로그램의 효과성은 비동일집단 사전-사후 검증 방식을 활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비교집단에서는 심리사회역량의 변화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데 반해 실험집단에서는 심리사회역량에 긍정적 변화가 확인되어 심리사회역량 집단상담프로그램의 효과성이 검증되었다. 둘째, 심리사회역량의 하위요인별로 나타난 결과를 살펴보면 공감, 감정조절, 갈등해결, 자아존중감 영역에서 유의한 효과가 있었다. 이에 반해 의사소통 영역은 효과성이 입증되지 않았다. 셋째, 집단상담프로그램 초기과정에서 아동들은 자신의 주장만 내세우고 어울리지 못하는 모습을 보였지만 점차 타인의 표현에 공감하고 집단참여 수준이 향상됨이 발견되었다. 끝으로 본 연구결과를 기초하여 지역아동센터에서 집단상담프로그램을 발전시킬 수 있는 몇 가지 방안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designed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group counseling program to strengthen psychosocial competencies for children of regional child centers. To this end, the literature on psychosocial competency was reviewed and group counseling program was conducted based on the components of psychosocial competency.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designed group counseling program, one regional children's center that agrees with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selected, and among the children using the center, 24 people who showed a willingness to participate were randomly selected from 12 experimental groups and 12 comparative groups. The effectiveness of this group counseling program was based on a non-identical group pre-post verification method.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while the change in psychosocial competenc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comparative group, the positive change in the psychosocial competency was confirmed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effectiveness of the psychosocial competency group counseling program was verified. Second, looking at the results of each sub-factor of psychosocial competence, there were significant effects in the areas of empathy, emotion regulation, conflict resolution, and self-esteem. In contrast, the effectiveness of the communication area has not been proven. Third, in the early stages of group counseling program, the children showed only their own claims and did not match, but it was found that they gradually sympathized with the expression of others and improved the level of group participation. Finally,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everal ways to develop group counseling program in regional child centers were presented.

      • KCI등재

        보드게임을 활용한 집단상담프로그램이 자살경향성이 있는 청소년의 자기효능감, 또래관계 및 우울에 미치는 영향

        강수정,이은영,천성문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23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보드게임을 활용한 집단상담프로그램이 자살경향성이 있는 청소년의 자기효능감, 또래관계 및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한 것이다. 방법 연구대상은 U시 소재 O중학교 1학년 중 2019학년도 학생 정서⋅행동 특성검사에서 자살위기 문항(AMPQ-III Q53, Q57) 점수의 합이 2 이상인 대상자 16명으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8명씩 무선배정하였고 동질성검사를 통해 동일 집단임을 확인하였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모두에게 자기효능감, 또래관계, 우울에 대한 사전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실험집단에는 주 2회 50분씩총 12회기의 보드게임을 활용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이후 두 집단에게 사후 검사를 실시하고 효과가 있는지 검증하기위해 공분산분석(ANCOVA)를 실시하였다. 결과 첫째, 보드게임을 활용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한 자살경향성이 있는 청소년들은 자기효능감, 또래관계 영역에서 유의미한 긍정적인 변화가 있었다. 둘째, 보드게임을 활용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한 자살경향성이 있는 청소년들은 우울영역에서 유의미한 긍정적인 변화가 있었다. 이는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우울이 감소하고 자기효능감과 또래관계가 향상되었음을 의미한다. 결론 보드게임을 활용한 집단상담프로그램은 자살경향성이 있는 청소년의 자기효능감과 또래관계를 향상시키고, 우울을 감소시키는 데 효과적인 프로그램임을 확인하였고, 자살 경향성이 있는 청소년들에게 대상자의 다양한 요구와 특성을 반영한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s of the board games group counseling program on self-efficacy, peer relationships and depression of Adolescent with suicidal tendency. Method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16 students in the first grade of O Middle School in U City who scored a sum of 2 or more on the suicide crisis questions (AMPQ-III Q53, Q57) in the 2019 Student Emotional and Behavioral Characteristics Test, and 8 stude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and the homogeneity test confirmed that they were the same group. Both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were given a pretest on self-efficacy, peer relationships, and depression, and the experimental group was given a group counseling program using board games for a total of 12 sessions of 50 minutes twice a week. Afterwards, the two groups were given a post-test, and normality and an analysis of covariance (ANCOVA) were conducted to verify the effectiveness. Results First, suicidal adolescents who participated in the group counseling program using board games showed significant positive changes in self-efficacy and peer relationships. Second, suicidal adolescents who participated in the group counseling program using board games showed significant positive changes in depression. This means that the experimental group who participated in the program had less depression and improved self-efficacy and peer relationships than the control group. Conclusions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group counseling program using board games is an effective program for improving self-efficacy and peer relationships and reducing depression in suicidal adolescents, and suggested the need to develop programs for suicidal adolescents that reflect their needs and characteristic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