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반응시간에 따른 아질산화 반응조 내 질소 화합물 변화

        임지열,길경익 한국방재학회 2015 한국방재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14 No.-

        본 연구는 A 하수처리장 내 혐기 소화 상징액 그리고 농축조 상징액을 대상으로 반응시간에 따른 질소 화합물 성상 변화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하수처리장에서 질소 처리는 일반적으로 질산화 – 탈질의 생물학적 처리를 기반으로 하고 있다. 세계적으로 친환경·저에너지 형 기술이 주목받음에 따라 기존의 완전질산화 반응과 비교하여 경제적인 아질산화 반응 및 관련 연계 기술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아질산화 반응은 SRT 조절에 따른 nitrite oxidizing bacteria(NOB)의 wash-out 또는 free ammonia(FA)에 의한 저해 작용과 같은 인위적인 조작이 없으면, 자연적 안정적으로 유도되기 어려운 반응으로 알려져 있다. 약 300일에 걸친 실험실 규모 아질산화 반응조 운전을 통하여 운전 SRT 별 반응시간에 따라 반응조 내 질소 화합물의 성상 변화를 분석하였다. 안정적인 아질산화 반응이 유도된 구간에서는 암모니아성 질소가 감소함에 따라 아질산성 질소만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하지만 완전질산화가 유도된 구간에서는 일정 반응 시간 암모니아성 질소가 감소함에 따라 아질산성 질소와 질산성 질소가 증가하다 일정 시간 이 후 아질산성 질소가 감소하고 질산성 질소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는 완전 질산화가 유도된 구간에서는 상대적으로 긴 SRT로 인해 반응기 내 아질산성 질소로 전환되었던 질소 화합물이 다시 질산성 질소로 전환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또한, 아질산성 질소가 질산성 질소로 전환되는 시점을 기준으로 아질산화 반응이 유도 가능한 SRT를 파악 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실험실 규모 운전 결과를 바탕을 도출된 본 연구의 연구 결과는 실제 하수처리장에 아질산화 반응 도입 시 중요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폐 배터리 셀 분말의 선택적 리튬 침출을 위한 질산염화 공정 최적화 연구

        정연재,박성철,김용환,유봉영,이만승,손성호 한국자원리싸이클링학회 2021 資源 리싸이클링 Vol.30 No.6

        In this study, the optimal nitration process for selective lithium leaching from powder of a spent battery cell (LiNixCoyMnzO2, LiCoO2) was studied using Taguchi method. The nitration process is a method of selective lithium leaching that involves converting non-lithium nitric compounds into oxides via nitric acid leaching and roasting. The influence of pretreatment temperature, nitric acid concentration, amount of nitric acid, and roasting temperature were evaluated. The signal-to-noise ratio and analysis of variance of the results were determined using L16(44) orthogonal arrays. The findings indicated that the roasting temperature followed by the nitric acid concentration, pretreatment temperature, and amount of nitric acid used had the greatest impact on the lithium leaching ratio. Following detailed experiments, the optimal conditions were found to be 10 h of pretreatment at 700°C with 2 ml/g of 10 M nitric acid leaching followed by 10 h of roasting at 275°C. Under these conditions, the overall recovery of lithium exceeded 80%. X-ray diffraction (XRD) analysis of the leaching residue in deionized water after roasting of lithium nitrate and other nitrate compounds was performed. This was done to determine the cause of rapid decrease in lithium leaching rate above a roasting temperature of 400°C. The results confirmed that lithium manganese oxide was formed from lithium nitrate and manganese nitrate at these temperatures, and that it did not leach in deionized water. XRD analysis was also used to confirm the recovery of pure LiNO3 from the solution that was leached during the nitration process. This was carried out by evaporating and concentrating the leached solution through solid–liquid separation. 본 연구에서는 Taguchi method을 사용하여 폐 배터리 셀 분말(LiNixCoyMnzO2, LiCoO2)으로부터 선택적 리튬 침출을 위한 최적의 질산염화 공정에 대한 연구를 진행했다. 질산염화 공정은 질산 침출 및 배소를 통해 질산리튬을 제외한 질산 화합물을 산화물로 변환하여선택적 리튬 침출을 하는 공정이다. 따라서 전처리 온도, 질산 농도, 질산 침적 양, 배소 온도에 대하여 Taguchi method를 적용하여 인자가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L16(44)직교 배열표를 사용하여 실험하였으며, 신호 대 잡음비(S/N) 및 분산 분석(ANOVA)을분석하였다. 그 결과 배소 온도가 가장 크게 영향을 미쳤으며 질산 농도, 전처리 온도, 질산 사용량 순으로 영향을 미쳤다. 각 인자에 대해세부적인 실험을 진행한 결과 전처리 700°C에서 10시간, 10 M 질산 2 ml/g 침출, 275°C 배소 10시간이 적절하였다. 그 결과 80% 이상의리튬을 침출을 확인하였다. 400°C 이상 배소 시 급격하게 리튬 침출율이 감소원인 분석을 위해 질산리튬과 질산 화합물을 배소 후 D.I water에서 침출하지 잔류물에 대해 XRD 분석을 진행하였다. 분석 결과 질산리튬과 질산망간과 400°C 이상의 온도에서 리튬 망간 옥사이드의 형성하며 D.I water에서 침출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질산염화 공정 시 침출된 용액을 고액분리 후 증발농축하여 XRD 분석한결과 LiNO3의 회수를 확인하였다.

      • KCI등재

        유럽연합의 지하수 질산염 관리정책의 우리나라 지속가능한 지하수관리에의 시사점

        오준섭,최재훈,서현수,김호림,안현태,윤성택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2024 자원환경지질 Vol.57 No.2

        본 연구는 지하수 내 질산염 오염관리를 위한 유럽연합(EU)의 정책 동향을 분석하고, 한국에서의 지속가능한 지하수 관리정책에의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수행되었다. EU의 지하수 질산염 관리 정책은 1991년 질산염 지침 도입으로 구체화되었다. 이 지침에서는 농업활동에서 발생하는 질산염 오염 감소를 목표로 하여 회원국들에게 지속가능한 농법 적용, 질산염 농도 모니터링, 그리고 기준치 초과 지역에 대한 질산염 취약 지역 지정을 요구하였다. 2000년 수질 프레임워크 지침(WFD)은 이를 확장, 모든 수역의 좋은 상태 달성 목표를 설정했으며, 2006년 지하수 지침(GWD)은 질산염 지침을 보완하여 지하수 보호를 위한 포괄적 접근 제공과 함께 오염물질 문턱값(threshold) 설정 등을 명시하였다. 2019년에는 그린딜(Green Deal) 발표와 함께 환경 및 기후변화 대응 목표에 부합하기 위해 질산염과 관련한 조치는 더욱 강화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변천사를 살펴봄으로써 질산염 오염 감소를 위한 주요 전략과 동향을 확인하고 현재 당면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EU는 어떠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지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는 EU의 동향을 기반으로 국내의 질산염 오염 문제의 현황과 이를 해결하기 위한 통합 관리 방식, 규제 체계, 농업 교육 프로그램 등 주요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예방적 조치의 강화와 이해관계자 간 협력 증진이 한국 지하수의 질산염 오염문제를 해결하고 지하수 품질을 향상시키는 단서가 될 수 있음을 제시한다. This study examines the European Union (EU)’s policies on managing nitrate contamination in groundwater and provides implications for the future groundwater management in South Korea. Initiated by the 1991 Nitrate Directive, the EU has pursued a multifaceted approach to reduce agricultural nitrate pollution through sustainable (‘good’) farming practices, regular nitrate level monitoring, and designating Nitrate Vulnerable Zones. Further policy integrations, like the Water Framework Directive and Groundwater Directive, have established comprehensive protection strategies, including the use of pollutant threshold values. Recently, the 2019 Green Deal escalated efforts against nitrates, aligning with broader environmental and climate objectives. This review aims to explore these developments, highlighting key mitigation strategies against nitrate pollution, and providing valuable insights for the future sustainable groundwater nitrate management in South Korea,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preventive measures and collaborative efforts to restore and improve groundwater quality.

      • KCI등재

        염화철(III) 개질 활성탄을 이용한 오염된 지하수 중 질산성 질소의 제거 특성

        김인하,한인섭 한국도시환경학회 2019 한국도시환경학회지 Vol.19 No.2

        In this study, the removal rate of nitrate nitrogen, which is the main contaminant of groundwater, was observed in various parameters using iron chloride(III)- modified activated carbon. The adsorption characteristics were investigated by Langmuir and Freundlich adsorption isotherms. The contamination of nitrate nitrogen in some groundwaters is very serious due to livestock waste and nitrogen-based synthetic fertilizer. When underground water contaminated with nitrate is ingested, it is reduced to nitrite in the body. It lowers the ability of oxygen to transport and produces N-nitroso compounds, which are carcinogenic agents. Therefore, it is strictly regulated to below 10 mg/L in domestic water quality standards. The removal rates of nitrate nitrogen were determined by varying the concentration of iron chloride, the amount of iron chloride - modified activated carbon, and the pH of the initial nitric acid solution, which may affect the adsorption reaction of iron chloride - modified activated carbon and nitrate nitrogen. When nitrate nitrogen was removed using iron chloride-modified activated carbon, equilibrium was reached after about 2 hours. The removal rate of nitrate nitrogen using activated carbon modified with 50 mM iron chloride solution was increased about 2.73 times compared with control activated carbon. In the case of 30 mM iron chloride - modified activated carbon, when the amount of iron chloride - modified activated carbon was 1 g, 2.5 g, 5 g, 10 g, 20 g, the removal rate of nitrate nitrogen was 30.39%, 67.07%, 91.68%, 97.18% and 99.58%. As the pH of the initial nitric acid solution increased, the removal rate of nitrate nitrogen decreased, suggesting that pH adjustment of the sample was necessary. This study is expected to providea basis for the study on the modification of activated carbon to remove contaminants in the future. 본 연구에서는 염화철(III) 개질 활성탄을 사용하여 다양한 변수에서 지하수의 주된 오염물질인 질산성 질소의 제거율 변화를 관찰하고, 그 결과를 Langmuir, Freundlich 흡착등온식에 적용하여 흡착 특성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축산 폐기물, 질소계 합성 비료 등으로 인해 일부 지하수에서 질산성 질소의 오염은 매우 심각한 수준이다. 질산성 질소로 오염된 물을 섭취하면 체내에서 아질산성 질소로 환원되어 산소의 운반능력을 저하시키고, 발암유발물질인 N-nitroso 화합물을 생성하기 때문에국내 수질환경기준 10 mg/L 이하로 엄격히 규제하고 있다. 염화철(III) 개질 활성탄과 질산성 질소의 흡착반응에 영향을 미칠수 있는 염화철 개질 활성탄 제조시 염화철의 농도, 염화철 개질 활성탄의 양, 초기 질산 용액의 pH에 변수를 두어 질산성 질소의 제거율을 비교하였다. 염화철 개질 활성탄을 사용하여 질산성 질소를 제거할 때 약 2시간을 반응시키면 평형상태에 도달하였다. 염화철로 개질하지 않은 활성탄에 비하여 50 mM의 염화철 용액으로 개질한 활성탄의 질산성 질소의 제거율은 약2.73 배 증가하였고, 염화철 개질 활성탄의 양이 1 g, 2.5 g, 5 g, 10 g, 20 g일 때 30 mM 염화철 개질 활성탄의 경우 30.39%, 67.07%, 91.68%, 97.18%, 99.58%의 질산성 질소의 제거율을 보였다. 초기 질산 용액의 pH가 증가할수록 질산성 질소의 제거율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시료의 pH 조절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는 향후 오염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활성탄의 개질에 관한 연구의 기초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염기성 pH에서 Enterobacter amnigenus GG0461의 질산이온 흡수증가

        최태근,김성태,한민우,김영기 한국응용생명화학회 2008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J. Appl. Vol.51 No.1

        Salt accumulation in soils of greenhouse due to the massive application of nitrogen fertilizers causes salt stress on the various crops, a serious problem in domestic agriculture. Since the majority of the salinity is nitrate, the excess nitrate should be removed; therefore, a bacterial strain having high capacity of nitrate uptake and identified as Enterobacter amnigenus GG0461 was isolated from the soils of greenhouse. Optimum conditions for the bacterial growth and nitrate uptake were investigated. GG0461 was able to grow without nitrate; however, nitrate facilitated the growth. The rate of nitrate uptake increased at alkaline pH and both growth and nitrate uptake were maximal at pH 8-9. When the initial pH of culture medium was increased to pH 8 or 9, it was decreased to neutral upon bacterial growth and nitrate uptake. These results imply that the major factor mediating bacterial nitrate uptake is a nitrate/proton antiporter. The fact was supported by the effect of nitrate addition in the absence of nitrate, since the addition of nitrate greatly increased the nitrate uptake and rapidly decreased pH of media. 질소비료의 과량 시용에 따른 시설원예지 토양 중 염류집적은 다양한 작물에 염류장애를 유발하여 국내농업에 심각한 문제가 되고 있다. 염류의 주성분은 질산염으로 필요이상의 질산 이온을 제거하기 위하여 질산이온 흡수력이 크며, Enterobacter amnigenus GG0461로 동정된 토양세균을 시설원예 토양에서 분리하였다. 이 균주의 최적 생육 및 질산이온 흡수력을 조사하였을 때, GG0461 균주는 질산이온이 없는 조건에서 생육이 가능하나, 질산이온이 존재할 때 생육이 크게 촉진되었다. 또한, 염기성 조건에서 질산이온 흡수율이 증가하였으며, 성장과 질산이온 흡수 모두 pH 8-9에서 최대로 나타났다. 배지의 초기 pH를 8과 9로 조정하였을 때, 균주에 의하여 질산이온이 흡수 됨에 따라 배지의 pH는 중성으로 감소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질산이온 흡수를 위한 주된 인자가 nitrate/proton antiporter임을 의미한다. 이것은 질산이온이 없는 조건에서 질산이온의 첨가 효과인 질산이온 흡수의 급격한 증가와 빠른 배지의 pH 감소 사실로도 확인되었다.

      • KCI등재

        질산 Etching 폐액으로부터 용매추출법에 의한 질산의 회수에 관한 연구

        안재우 한국자원리싸이클링학회 1998 資源 리싸이클링 Vol.7 No.5

        질산계 에칭폐액으로부터 질산과 유가금속을 분리하여 재활용하기 위하여 용매추출법을 이용하여 질산성분을 회수하기 위한 기초 연구를 수행하였다. 주요 실험내용으로는 추출제의 종류와 농도에 따라 질산의 추출거동을 조사하였고, 질산의 추출시 구리, 납, 철, 주석 등의 금속이온들과의 분리성을 고찰하였다. 또한 McCabe-Thiele 그림으로부터 질산성분을 추출과 탈거에 필요한 이론적인 단수를 분석하였다. 실험 결과 TBP가 Alamine336에 비하여 질산의 회수에는 유리하였으며 TBP는 유기상의 60∼70%가 적합하였으며 폐액상의 질산농도가 0.1N 이상인 경우에는 각 금속성분들이 추출되지 않았으며 60%TBP를 사용하여 O/A비가 3인 경우 5단으로 95%이상의 질산이 추출되었다. 한편, 질산이 추출된 유기상으로부터 탈거 실험의 경우 초기농도가 80 g/l일 때 증류수에 의해 O/A비가 2에서 4단으로 98%이상의 탈거율을 나타내었다. A study has been on the recovery of nitric acid and valuable metals such as Fe, Cu, Sn, Pb, from spent nitric etching solutions. The effects of extractant of extractant type, concentrations, phase raios and selectivity from Fe, Cu, Sn, Pb on nitric acid extraction were studied. The results showed that TBP as an extractant for recovering of nitric acid was more effective than Alamine336, and the optimal concentration of TBP was found to be 60~70% of organic phase. Also, the nitric acid were only extracted by TBP from the spent etching solutions and the heavy metals such as Fe, Cu, Sn, Pb were not extracted above 0.1N nitric acid in spent etching solutions, From the analysis of McCabe-Thiele diagram, the extraction of 95% nitric acid is attained at a ratio of O/A=3 with five stages by 60% TBP and the stripping of 98% nitric acid from 80 g/l nitric acid in organic phase is attained at a ratio of O/A=1 with four stages by distilled water.

      • 혐기 소화 상징액을 이용한 질소제거에 SRT가 미치는 영향

        길경익,백승봉 한국방재학회 2014 한국방재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014 No.-

        하수처리장은 인간의 생활에 있어서 중요한 공공시설이다. 하수에 포함되어 있는 유기물, 질소, 인 등의 오염물질이 함유되어 아무런 처리없이 수계로 방류 될 경우 수계에 심각한 오염을 야기 할 수 있다. 특히 질소(Nitrogen)와 인(Phosphorus) 경우 수계에 부영양화(Eutrophication)를 일으키는 주요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이 중 질소를 제거하는데에는 생물학적 방법이 대부분의 하수처리에 쓰이는데 이는 물리적 및 화학적 방법에 비하여 경제적, 환경적 장점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질소 제거방법에는 아질산화-탈질 공정이 사용 되는데, 기존에 쓰이는 질산화-탈질 공정에 비하여 25%의 산소량과 40%의 탄소원 절감이 가능하여 탈질의 고효율을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아질산화를 혐기 소화 상징액을 이용하여 SRT가 암모니아 제거율과 아질산화율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를 하였다. 서울 H 하수처리장의 혐기 소화액을 대상으로 실험실 규모의 아질산화 반응조 운전결과 SRT 6일 이상에서 대부분 60%이상의 효율을 보였다. 또한 아질산화율의 경우 SRT 4일에서 고효율의 아질산화율을 보였다. SRT 16일에 낮은 아질산화율이 나타났는데, 이는 아질산성 질소가 질산성 질소로 완전한 질산화가 이루진 것으로 사료된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SRT가 아질산화 반응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로 판단된다.

      • KCI등재

        알칼리도 제어에 의한 SBR 반응조에서의 부분아질산화

        이창규(Chang Kyu Lee) 大韓環境工學會 2013 대한환경공학회지 Vol.35 No.4

        혐기성 암모늄 산화공정 전처리로써 적절한 NO₂--N/NH₄+-N 반응비율에 맞는 유출수를 생성하기 위한 연구실 규모의 연속 회분식 반응기 시스템을 적용하였다. 부분아질산화 적용에 있어서 운전인자들을 이용하여 AOB를 활성화하고, 동시에 NOB 를 억제하는 다양한 전략이 있다. 하지만 적용된 인자들은 명확히 정의되지 않고 아질산 축적에 있어서 극복할 점이 있다. 본연구의 목적은 부분아질산화의 주 인자를 조사하여 안정적인 공정을 구축하는데 있다. 부분아질산화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하여우세적인 인자인 온도, 중탄산알칼리도, pH를 평가하고자 한다. 실험의 결과로써 알맞은 알칼리도 비가 35℃와 상온 두가지온도범위에 안정적인 50% 부분아질산화가 이루어졌다. 이는 질산화시 필요한 알칼리도를 50% 아질산화에 맞추어 주입하여질산화과정을 억제하는 것이다. 알칼리도 비는 pH 조절없이 50% 부분아질산화의 전략으로 제안한다. 유출수의 NO₂--N/NH₄+-N 비가 거의 100%에 다다랐을 때 중탄산알칼리도는 각각 6.8, 6.7이 되었다. PCR-DGGE의 미생물 분석 결과 암모늄산화균이 지배적인 질산화균임을 알 수 있었으며 NOB는 억제되어 활성을 잃은 것으로 사료된다. In this study, major parameter of partial nitritation was investigated for the stable operation. In order to establish partial nitritation system, prevailing parameters such as temperature, BA (bicarbonate alkalinity) and pH were evaluated. As a result, it is inferred that appropriate bicarbonate alkalinity ratio (mg NaHCO₃·L-1/mg Inf. NH₄+-N·L-1) drives stable 50% partial nitritation at 32℃ and ambient temperature, respectively. Alkalinity ratio was proposed as new strategy for 50% partial nitritation without pH control in both temperature regimes. Because of the results, it was added amound of BA required only for 50% nitritation to inhibit nitratation. The effluent NO₂--N/NH₄+-N ratio reached almost 100% when initial bicarbonate alkalinity ratios (mg NaHCO₃·L-1/mg Inf. NH₄+-N·L-1) were 6.8 (R1) and 6.7 (R2), respectively. Polymerase chain reaction and denaturing gradient gel electrophoresis (PCR-DGGE) results demonstrated that AOB was the dominant nitrifying bacteria and NOB was negligible after adopting process control.

      • KCI등재

        전기화학적 매개산화공정 폐액에서 은 및 질산의 회수

        최왕규,김영민,이근우,박상윤,오원진 한국자원리싸이클링학회 1998 資源 리싸이클링 Vol.7 No.3

        전기화학적 매개산화 공정에서 발생하는 질산 폐액으로부터 은 및 고농도 질산을 회수하기 위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고농도 질산용액 내에 포함된 은의 회수는 전착법으로 이루어졌으며, 질산농도 3M이하에서는 거의 100%의 전류효율로 98% 이상의 은을 회수할 수 있었다. 또한 질산의 회수를 위한 증발 실험이 수행되었으며, 증발률이 25에서 0.5~1.0mol%의$ NaNO_3$를 함유한 3.5M의 질산 공급폐액으로부터 질산의 절대회수율은 약 80~90%로써 2.8~3.1m의 질산을 얻을 수 있었다. 증발공정에서 회수된 묽은 질산 용액을 고농도 질산용액으로 농축하여 MEO 공정에 재사용하기 위한 처리용량 4kg/hr인 증류탑의 설계 인자 및 운전조건을 Naphtali-Sandholm의 MEH 모델을 사용하여 계산하였다. 단 효율이 70% 이상인 11개의 단으로 구성된 증류탑의 공급단을 6단으로 하고 환류비 0.25, 재비기 열용량 2.7㎾, 응축기 열량 0.5㎾로 운전할 경우 시간당 1.03kg의 12M 질산용액과 2.97kg의 물을 얻을수 있었다. A study on the recovery of silver and nitric acid in the liquid waste resulted from the mediated electrochemical oxidation(MEO) process was conducted. The removal of silver in the concentrated nitric acid solutions was carried out by the electrodeposition. The removal efficiency more than 98% could be obtained in nitric acid concentrations less than 3 M with the current efficiency of nearly 100%. The experimonts on the evaporation for the recovery of nitric acid were performed as well. At the evaporation factor of 25., the degree of nitric acid recovery in 3.5 M nitric acid solution containing 0.5 to 1.0 mol% NaNO, was 80~90% resulting in 2.8~3.1 M nitric acid. The design factors and operating conditions of the distillation tower were analyzed by using MEH model derived by Maphtali-Sandholm with the throughput of 4 kg/hr for the enrichment of dilute nitric acid solution recovered by evaporation to reuse in the MEO process. The distillation column composed of eleven theoretical stages having the overall tray efficiency of 70% are needed to obtain 1.03 kg/h of 12M nitric acid and 2.97 kg/h of water with feed being introduced to the column at tray 6 from the bottom at the reflux ratio of 0.25, the reboiler with the heat load of 2.7 kW, and the condenser with the cooling load of 0.5 kW.

      • KCI등재

        전자(電子)스크랩에서 구리 및 주석의 회수(回收)를 위한 질산(窒酸) 침출(浸出) 및 침출액(浸出液)에서 유리질산(遊離窒酸) 제거(除去) 연구(硏究)

        안재우,서재성,Ahn, Jae-Woo,Seo, Jae-Seong 한국자원리싸이클링학회 2009 資源 리싸이클링 Vol.18 No.5

        Fundamental study has been made on the recovery of copper from the electronic scrap by hydrometallurgical process. Nitric acid was used as a leaching agent to dissolve the metals such as Cu, Sn, Pb, Fe etc. from the crushed electronic scraps. TBP was employed to extract nitric acid from the strong nitric acid leaching solutions and to reclaim nitric acid. From the experimental results, Cu was effectively leached by 3.0-4.0 M nitric acid. And 95% of nitric acid in the leaching solution was extracted by 60% TBP, and 98% of nitric acid was stripped from the loaded organic phase by distilled water and it was possible to reuse as a leaching agent. 전자스크랩중에 함유된 구리 및 주석을 습식공정으로 회수하기 위하여 기초 연구를 실시하였다. 침출제로 질산을 이용하여 분쇄된 전자스크랩에서 구리, 주석, 납, 철 등의 금속 성분들에 대한 침출율을 조사하고 최적 침출조건을 제시 하였다. 이러한 질산 침출 용액으로부터 TBP를 이용하여 유리질산을 분리 추출하여 재활용하기 위한 기초 연구를 실시하였다. 실험 결과 3.0-4.0 M 질산으로 구리를 효과적으로 침출시킬 수 있었으며, 질산 침출액 중 유리질산을 60% TBP에 의해 95%정도 추출이 가능하였고, 유기상에 추출된 질산의 98%를 증류수에 의해 탈거하여 질산침출액으로 재사용이 가능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