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경험자료에 의한 동해안의 지진해일 재해도 평가

        김민규,최인길,강금석 한국지진공학회 2010 한국지진공학회논문집 Vol.14 No.4

        본 연구에서는 지진해일에 의한 원자력발전소의 확률론적 안전성 평가를 위하여 필수적으로 도출해야 하는 지진해일 재해도 곡선을 도출하기 위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1900년도 이후에 기록된 동해안에서의 지진해일 기록과 1900년도 이전에 역사지진기록에서 찾을 수 있는 지진해일 기록을 이용하여 지진해일에 의한 최대파고에 대한 재현주기를 산정하고자 하였다. Power law, upper-truncated power law 그리고 지수함수에 의해서 추세선을 작성하였으며 그 결과를 비교하였다. 동해안에서 발생한 지진해일의 기록이 10건 내외에 불과하므로 기록에 의한 지진해일 재해도 곡선추정 연구에 제한이 있으나 국내에는 지진해일의 재해도곡선 추정에 관한 연구가 전무한 현실이므로 지진해일 확률론적 안전성 평가를 위한 초석을 놓은 것으로 판단된다. In this study, a tsunami hazard curve was determined for a probabilistic safety assessment (PSA) of a tsunami event at a Nuclear Power Plant site. A Tsunami catalogue was developed by using the historical tsunami record prior to 1900 and the instrumental tsunami record after 1900. For the evaluation of the return period of the tsunami run-up height, power-law, upper-truncated power law and exponential function were considered for the assessment of regression curves and each result was compared. Although there were in total only 9 tsunami records on the east coast of Korea during the time period of the tsunami catalogue, there is no research like this about tsunami hazard curve evaluation, so this research lays a foundation for probabilistic tsunami hazard assessment (PTHA)

      • KCI등재

        간이평가법을 이용한 지진재현주기별 부산광역시 액상화 재해 평가

        임현지 ( Hyunjee Lim ),정래윤 ( Rae-yoon Jeong ),오동하 ( Dongha Oh ),강혜진 ( Hyejin Kang ),손문 ( Moon Son ) 대한지질공학회 2020 지질공학 Vol.30 No.4

        과거의 많은 지진 사례에서 볼 수 있듯이 액상화 현상은 부등침하를 일으키고 심한 경우 건물 파괴, 지반함몰과 같은 심각한 피해를 유발한다. 연구지역인 부산광역시 인근에는 지진발생 가능성이 높은 단층들이 분포하며 양산단층, 동래단층, 일광단층이 도심지를 통과하고 있다. 또한 최근 발생한 경주, 포항, 일본 구마모토 지진의 영향권 내에 위치하며, 도시 내 넓은 단층곡을 따라서 두꺼운 제4기 미고결 충적층이 발달하고 해안 지역에는 해빈 퇴적물과 함께 매립지가 넓게 분포한다. 따라서 부산광역시 인근에서 대형 지진이 발생할 경우 도심지 내에 액상화로 인한 큰 피해가 예상되어, 도시 전 지역을 대상으로 지진재현주기별 액상화 발생 가능성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지진재현주기에 따라 정도의 차이는 존재하나 낙동강 하구평야지대와 부산만, 수영만, 송정역 일대에서 액상화 발생 가능성이 매우 높은 것으로 예측되었다. 또한 짧은 지진재현주기일수록 부지주기에 따라 상당히 다른 결과가 도출된 반면, 재현주기가 길어질수록 부지주기에 관계없이 그 결과는 비슷한 양상을 보였다. As can be seen in many earthquakes, liquefaction causes differential settlement, which sometimes produces serious damages such as building destruction and ground subsidence. There are many possible active faults near the Busan city and the Yangsan, Dongrae, and Ilgwang faults among them pass through the city. The Busan city is also located within the influence of recent earthquakes, which occurred in the Gyeongju, Pohang, and Kumamoto (Japan). Along the wide fault valleys in the city, the Quaternary unconsolidated alluvial sediments are thickly accumulated, and the reclaimed lands with beach sediments are widely distributed in the coastal area. A large earthquake near or in the Busan city is thus expected to cause major damage due to liquefaction in urban areas. This study conducted an assessment of the liquefaction hazard according to seismic recurrence intervals across the Busan city. As a result, although there are slight differences in degree depending on seismic recurrence intervals, it is predicted that the liquefaction potential is very high in the areas of the Nakdonggang Estuary, Busan Bay, Suyeong Bay, and Songjeong Station. In addition, it is shown that the shorter the seismic recurrence interval, the greater difference the liquefaction potential depending on site periods.

      • 강우패턴과 지진계수를 고려한 단양읍 지역 무한사면 안정 해석

        이기석 ( Lee Giseok ),김형신 ( Kim Hyeong Sin ),문성우 ( Moon Seoung Woo ),서용석 ( Seo Yong-seok ) 충북대학교 건설기술연구소 2020 建設技術論文集 Vol.39 No.1

        본 연구에서는 강우 패턴과 지진 계수를 고려한 무한사면 안정 해석을 실시하여 강우 특성 및 지진 하중이 사면 안정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한다. 지질학적 특성은 실험실과 현장 실험에 의해 결정되며, 강우 패턴은 Huff의 4분위법을 사용하여 계산된다. 또한 지진계수는 국내 지진설계기준을 고려하여 붕괴방지수준의 재현주기와 지역계수로 결정된다. 강우 패턴을 고려한 무한사면 안정성 분석 결과 Fs ≤ 1.2의 불안정한 영역은 전체 연구 면적과 비교하면, 1분위 12.46%, 2분위 12.47%, 3분위 12.49%, 4분위 12.50%를 각각 차지한다. 또한 지진계수를 고려한 무한사면 안정 해석 분석 결과 Fs ≤ 1.2의 불안정한 영역은 전체 연구영역에 비해 지진하중이 없는 경우 12.50%, 500년 동안 13.52%, 1000년 동안 13.90%, 2400년 동안 14.48%를 각각 차지한다. In this study, infinite slope stability analyses considering rainfall patterns and seismic coefficients were conducted to find the effects of rainfall characteristics and seismic loads on safety factor of slope. Geotechnical properties were determined by laboratory and in-situ tests, and rainfall patterns were calculated by using Huff’s method. Also, seismic coefficients were determined as recurrence periods of collapse prevention level in consideration of domestic seismic design criteria. As the results of infinite slope stability analysis considering rainfall patterns, unstable areas of Fs ≤ 1.2, compared to entire study area, account for 12.46 % in 1st quartile, 12.47 % in 2nd quartile, 12.49 % in 3rd quartile, and 12.50 % in 4th quartile, respectively. Furthermore, the results of infinite slope stability analysis considering seismic coefficients show that unstable areas of Fs ≤ 1.2, compared to entire study area, account for 12.50 % in no seismic loads, 13.52 % in 500 years period, 13.90 % in 1000 years period, and 14.48 % in 2400 years period, respectively.

      • KCI등재

        국내 5개 주요 도시에 대한 등재해도 스펙트럼

        김준경,위성훈,경재복 한국지구과학회 2016 韓國地球科學會誌 Vol.37 No.3

        Since the Northridge earthquake in 1994 and the Kobe earthquake in 1995 occurred, the concept of performance based design has been introduced for designing various kinds of important structures and buildings. Uniform hazard spectra (UHS), with annual exceedance probabilities, corresponding to the performance level of each structure, are required for performance-based design. The probabilistic seismic hazard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spectral ground motion prediction equations, which were developed from both Korean Peninsula and Central and Eastern US region, and several seismotectonic models suggested by 10 expert panel members in seismology and tectonics. The uniform hazard spectra for 5 highly populated cities in Korea, with recurrence period of 500, 1,000, and 2,500 years using the seismic hazard at the frequencies of 0.5, 1.0, 2.0, 5.0, 10.0 Hz and Peak ground acceleration (PGA) were analyzed using the probabilistic seismic hazard analysis. The sensitivity analysis suggests that spectral ground motion prediction equations impact much more on seismic hazard than what seismotectonic models do. The uniform hazard spectra commonly showed a maximum hazard at the frequency of 10 Hz and also showed the similar shape characteristics to the previous study and related technical guides to nuclear facilities. 최근 미국 노스리지 지진(1994)과 일본 고베 지진(1995) 발생 이후 다양한 구조물 및 건축물을 설계할 때 성능 기반 설계 개념이 적극적으로 도입되고 있다. 성능기반 설계가 도입되면서 구조물 각각의 성능에 적합한 연발생빈도의 등재해도 스펙트럼이 요구되고 있다. 10 인의 지진 및 지체구조 전문가가 제시한 국내 및 미국 중동부에서 개발된 스펙트럴 지반진동 감쇠식과 다수의 지진지체구조구 모델을 사용하였다. 인구 밀도가 높은 5개 주요 도시에 대해 확률론적 방법을 이용하여 등지진재해도 스펙트럼을 분석하였다. 0.5, 1.0, 2.0, 5.0, 10.0 Hz 및 PGA에 대해 확률론적 지진재해도 결과를 이용하여 500년, 1,000년 및 2,500년의 3개 재현주기에 대해 등재해도 스펙트럼을 분석하였다. 민감도 분석 결과 각각의 고유 진동수에 해당하는 지반진동 감쇠식이 지진지체구조구 모델에 비하여 지진재해도에 보다 커다란 영향을 주었다. 마지막으로 등재해도 스펙트럼은 공통적으로 10 Hz에서 최대값을 보여 주었고, 원자력 관련 기술기준 또는 기존 연구에서 제시된 등지진재해도 스펙트럼과 수준과 모앙 특성에서 유사성을 보여주었다.

      • KCI등재

        지진 재현주기에 따른 석탑구조물의 동적거동 특성 평가

        김호수(Kim, Ho-Soo) 대한건축학회 2013 大韓建築學會論文集 : 構造系 Vol.29 No.7

        Recently, the interests for the earthquake disaster reduction of stone pagoda structure have been increased. So, the seismic performance evaluation is required according to the construction types and seismic intensity. But, it is not easy to apply the general structural analysis because of the difference in the masonry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stone pagoda structure. Therefore, this study presents the reasonable seismic performance evaluation method for the stone pagoda structure. To this end, the seismic loads are generated according to seismic return period and then the dynamic behavior characteristics are evaluated through the structural modelling and analysi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